[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9080B1 - Hazard Warning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Hazard Warning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080B1
KR101689080B1 KR1020150079822A KR20150079822A KR101689080B1 KR 101689080 B1 KR101689080 B1 KR 101689080B1 KR 1020150079822 A KR1020150079822 A KR 1020150079822A KR 20150079822 A KR20150079822 A KR 20150079822A KR 101689080 B1 KR101689080 B1 KR 101689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llision
signal
alarm signal
recei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8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43303A (en
Inventor
영 식 박
Original Assignee
영 식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식 박 filed Critical 영 식 박
Priority to KR1020150079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080B1/en
Publication of KR20160143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3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080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6Portable traffic signa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2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oncom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방에서 접근하는 주행 차량에게 사고 차량이 정차해 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장착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여 충돌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주기 위한 충돌감지부; 상기 충돌감지부에서 생성시킨 충돌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이에 대응하는 경보신호를 생성시켜 주기 위한 경보신호생성부; 상기 경보신호생성부에서 생성시킨 경보신호를 전달받아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 다른 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경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경보신호를 전달받아 다른 차량의 충돌을 경고하기 위한 경고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risk alert transmitting / receiving apparatus that can recognize that an accident vehicle is stopped from a vehicle approaching from behind, and is mounted on a vehicle, generates a collision detection signal by detecting a collision of the vehicle, A collision sensing unit; An alarm signal generation unit for receiving the collision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collision detection unit and generating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A transmitter for receiving an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alarm signal generator and transmitting the alarm signal to another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 receiver for receiving an alarm signal transmitted from another vehicle; And a warning unit for receiving a warning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and warning a collision of another vehicle.

Description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Hazard Warning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for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zard warning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방에서 접근하는 주행 차량에게 사고 차량이 정차해 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risk alert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risk alert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that recognizes that an accident vehicle is stopped from a rearward approaching vehicle.

후방 차량과 전방 차량 사이의 안전거리는 일반적으로 각 차량 속도에 따라 규정되어 있다. 즉, 차량 서행 시에는 차량 간격이 1m로 허용되고, 차량 고속주행 시에는 차량 간격이 80m로 허용된다.The safety distance between the rear vehicle and the front vehicle is generally specified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That is, the vehicle interval is allowed to be 1 m when the vehicle is slowing down, and the vehicle interval is allowed to be 80 m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t a high speed.

그런데 현재 생산되는 차량들은 그 주행 성능이 좋아 주행거리가 어느 정도 확보되면 차량 간격에 비해 큰 속도를 내다가 전방 차량과의 충돌 직전에 갑자기 브레이크를 밟는 수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갑작스러운 브레이크 동작에도 불구하고 차량 간격이 제동거리만큼 유지되어 있을 경우에는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되나, 제동거리가 확보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충돌사고를 피할 수 없게 된다.However, currently produced vehicles have a good running performance, and when the mileage is secured to a certain extent, the vehicle speed is higher than the interval of the vehicle, and the brakes are often suddenly applied just before the collision with the preceding vehicle. However, if the vehicle interval is maintained as long as the braking distance in spite of the sudden brak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no collision occurs. However, if the braking distance is not secured, the collision can not be avoided.

그런데 만일 상기와 같은 전방 차량과의 충돌을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후방 차량도 제동거리를 미확보한 상태라면 3중 충돌에서 그 이상의 충돌까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 충돌사고는 운전자의 거리 착각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However, if the braking distance of the rear vehicle is uncertain in a situation where the collision with the preceding vehicle can not be avoided, the collision can occur from the triple collision to the further collision. In addition, a vehicle collision accident may be caused by a driver's distance illusion.

즉, 후방 차량과의 간격 확인은 백미러나 룸미러를 통해 이루어지고, 전방 차량과의 간격은 전면 유리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빛이 반사되거나, 비나 눈이 올 경우에는 차량 간격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게 되어 충돌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interval between the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is checked through a rearview mirror or a room mirror, the interval between the front vehicle and the vehicle is made through the front glass, so that when the light is reflected or when rain or snow comes, A collision accident will occur.

이에 따라, 차량 뒷좌석 선반에 경고등을 설치하는 고안, 차량 트렁크 내측판넬에 안전반사경이나 고장표시판을 설치하는 고안, 고장표시판을 자동차 트렁크 열쇠부에 걸어 표시하는 고안 등등 여러 가지 우수한 발명특허가 나와 있으나 모두 차량 일부에 부착하는 고안으로 안전표시판과 경고등의 설치 높이 문제로 인한 그 성능과 기능을 최대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나 접근하는 후방 차량에 실시간으로 상황 전달을 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대형 추돌사고가 자주 발생하였다Accordingly, there have been various excellent invention patents, such as a design for installing a warning lamp on the rear seat rack of a vehicle, a design for installing a safety reflector or a fault signboard on the inner side panel of the vehicle trunk, a design for displaying a fault signboard on a key of a trunk of a car, Due to the devise to attach to part of the vehicle, the problem that the performance and function of the safety signboard and the warning lamp are not fully exhibited due to the installation height problem, And

한국공개특허 제1998-04092호(1998.08.17.)는 후방 차량의 속도와 차량 간격을 확인하여 후방 차량과의 간격이 속도에 따라 정해진 안전거리 보다 작으면 경고등을 자동 점등시켜 후방 차량에게 속도를 줄이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안전거리 미확보에 따른 충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차량간 안전거리 미확보 경고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후면에 장착되어 후방 차량쪽으로 거리 및 속도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발신부; 상기 발신부에서 발생되어 후방 차량에 반사되는 상기 신호를 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수신부; 상기 발신부에서 상기 신호가 발생하는 시간과 상기 수신부에서 해당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 차이를 확인하여 후방 차량과의 거리를 구하는 거리 감지부; 상기 거리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현재 거리와 바로 이전 거리의 시간차 및 각 거리의 차이를 확인하여 후방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부; 후방 차량의 속도 변화에 따라 유지해야 하는 차량간 안전거리가 설정되어 있는 메모리부; 상기 속도 감지부에서 입력되는 속도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안전거리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읽어들여 현재 속도에서의 차량 간격이 안전거리 보다 작으면 이에 따른 제어동작을 실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점등되어 후방 차량에게 감속을 지시하는 경고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차량 간격이 후방 차량의 속도에 따라 결정되는 안전거리보다 작을 경우 후방 차량으로 하여금 속도를 줄이도록 하는 자동 경고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안전거리 미확보에 따른 충돌사고가 미연에 방지되어 안전운행에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998-04092 (1998.08.17.) Confirms the speed of the rear vehicl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safety distance, Vehicle safety distance unrecognized warning device for preventing a collision according to a safety distance uncertainty by providing a device for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An emerging transmitter;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signal generated by the transmitter and reflected by the rear vehicle to convert th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 distance sensing unit for sensing a time at which the signal is generated by the transmitter and a time difference between receiving the signal at the receiver and a distance to the rear vehicle; A speed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speed of the rear vehicle by check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distance input from the distance sensing unit and the immediately preceding distanc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tances; A memory unit in which an inter-vehicle safety distance to be maintained according to a speed change of a rear vehicle is set; A control unit for reading the safety distance set for the speed input from the speed sensing unit from the memory unit and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the vehicle distance at the current speed being less than the safety distance; And a warning lamp that is turned 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instructs the rear vehicle to decelerate.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when the vehicle interval is smaller than the safety distanc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rear vehicle, an automatic warning is issued to the rear vehicle so as to reduce the speed, thereby preventing a collision due to the safety distance uncertain, The reliability can be provided.

한국등록특허 제10-1382873호(2014.04.01.)는 차량 탐지 및 추적 기능을 제안하여 도입함으로써 간단하게 전방 차량과의 충돌을 경고하며, 차량 탐지 시에 수정된 Haar 분류법을 적용하여 후보 차량을 판단하고, 다시 필터링으로 검증함으로써 차량과 차량 이외의 주변 환경을 구분하여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전방 차량 충돌 경고 시스템 및 전방 차량 충돌 경고 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본 차량의 전방에 부착되어 상기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영상 촬영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소정의 마스크에 의해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류하여 전방의 후보 차량을 찾고, 상기 후보 차량을 필터링하여 실제 차량인 대상물을 확정하고, 복수의 프레임에 대한 상기 대상물을 트래킹하여 놓친 대상물을 추가하고, 현재 프레임의 상기 대상물과 이전 프레임의 상기 대상물을 오버랩하여 히스토리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한 히스토리 결과를 기준으로 상기 대상물과 상기 본 차량의 거리에 따라 충돌시간을 연산하여 상기 충돌시간에 따라 경고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부; 및 상기 경고 발생 신호를 받아 전방 차량 충돌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 Patent No. 10-1382873 (Apr. 21, 2014) proposed a vehicle detection and tracking function to warn a collision with a preceding vehicle simply by applying a modified Haar classification method to detect a candidate vehicle A front vehicle collision warning system and a front vehicle collision warning system which can improve reliability by distinguishing a vehicle and a surrounding environment other than the vehicle by verifying by filtering again.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ique, there is provided an image pickup apparatus comprising: a video image pickup unit attached to a front side of the vehicle and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vehicle; Receiving the image data from the image capturing unit, classifying the image data by a predetermined mask to find a candidate vehicle ahead, filtering the candidate vehicle to determine an actual vehicle object, A track is added to missed objects, a history is checked by overlapping the object of the current frame with the object of the previous frame, and a collision time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checked result of the history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vehicle A driving unit for generating a warning signal according to the collision time; And a warning unit for receiving the warning signal and generating a frontal vehicle collision warning signal.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 경초 장치는, 일반적으로 차량 후부에 비상 표시등이 장착되어 있어서 사고 시 전방 차량이 도로 상에 정차 시 후미비상표시등을 점멸시켜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에서 위험상황을 감지하여 사고예방을 하도록 되어 있으나, 표시 위치가 낮아 야간 또는 기상악화 시 전방 사고 차량의 비상표시등의 점멸상태를 인지하지 못 해 다중 추돌사고로 인해 대형사고 및 인명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vehicle secur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an emergency indicator lamp is mount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in general, so that when a vehicle ahead of the vehicle stops on the road, the aft emergency indicator flashes to detect a dangerous situation in a vehicle approaching from behind, However, since the display position is low, the blinking state of the emergency indicator light of the forward accident vehicle can not be recognized at nighttime or when the weather deteriorates, resulting in the occurrence of large accident and personal injury due to multiple collision accidents.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 경초 장치는, 차량 고장으로 인한 정차 시 안전표시판을 주간 100m 이상 지점에 설치하고, 야간에는 자동차 후방 200m 이상 설치 지점에 설치하게 되어 있으나, 야근, 기상악화 시, 고속도로 등에서는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즉시 후방 차량에 알릴 수 없는 무제로 다중 추돌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 차량운전자는, 차량용 안전표시장치조차도 소지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상술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회적 비용이 많이 소요하지 않고 기존 안전표시판을 이용한 차량 위험경보 방안의 문제점을 실시간적이고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The conventional vehicle secur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at a position of 100 m or more in the daytime when the vehicle is stationary due to a breakdown of the vehicle and is installed at an installation point of 200 m or more in the rear of the vehicle at night. However, Is not easy to install, and there is a problem that multiple collision accidents occur due to untimely notification to the rear vehicle immediately. In many cases, the driver of a vehicle does not even have a vehicle safety indicator, so that it does not require a lot of social cost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an improve the problem of the vehicle risk warning using the existing safety indicator in real time and dramatically The need for a new approach has emerged.

한국공개특허 제1998-0409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8-04092 한국등록특허 제10-1382873호Korean Patent No. 10-138287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후방에서 접근하는 주행 차량에게 사고 차량이 정차해 있음을 무선통신을 통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ular risk alert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for recognizing that an accident vehicle is stopped from a rearward traveling vehicl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do.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여 충돌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주기 위한 충돌감지부; 상기 충돌감지부에서 생성시킨 충돌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이에 대응하는 경보신호를 생성시켜 주기 위한 경보신호생성부; 상기 경보신호생성부에서 생성시킨 경보신호를 전달받아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 다른 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경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경보신호를 전달받아 다른 차량의 충돌을 경고하기 위한 경고부를 포함하는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를 제공한다.To solve these problem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llision sensing apparatus, comprising: a collision sensing unit mounted on a vehicle, for sensing a collision of a vehicle and generating a collision sensing signal; An alarm signal generation unit for receiving the collision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collision detection unit and generating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A transmitter for receiving an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alarm signal generator and transmitting the alarm signal to another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 receiver for receiving an alarm signal transmitted from another vehicle; And a warning unit for receiving a warning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and warning a collision of another vehicl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충돌감지부는, 차량에 장착 설치되고,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며, 감지된 차량 충돌의 충격량이 기준충격량 이상인 경우에 충돌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경보신호생성부로 전달하기 위한 충돌감지센서부재; 및 다른 차량의 위험 경보를 하기 위한 차량의 충돌에 대한 기준이 되는 기준충격량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기 위한 충격메모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llision sensing unit is mounted on a vehicle, detects a collision of the vehicle, generates a collision sensing signal when the collision amount of the detected vehicle collis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collision amount, Detection sensor member; And an impact memory member for presetting and storing a reference impact amount as a reference for collision of the vehicle for danger warning of another vehicl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경보신호생성부에서 생성시킨 경보신호를 전달받아 무선통신형태에 따른 무선전송신호로 변조하기 위한 변조부재; 상기 변조부재에서 변조된 무선전송신호의 세기를 증폭하기 위한 송신증폭부재; 및 상기 송신증폭부재에서 증폭된 무선전송신호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안테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modulation member for receiving an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alarm signal generation unit and modulating the alarm signal into a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ype; A transmission amplifying member for amplifying the intensity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modulated by the modulating member; And a transmission antenna member for transmitting the radio transmission signal amplified by the transmission amplification member to another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신부는, 다른 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전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안테나부재; 상기 수신안테나부재에서 수신된 무선전송신호의 세기를 증폭하기 위한 수신증폭부재; 및 상기 수신증폭부재에서 증폭된 무선전송신호를 경보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복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ceiving unit includes: a receiving antenna member for receiving a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transmitted from another vehicle; A receiving amplifying member for amplifying the intensity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received at the receiving antenna member; And a demodulating member for demodulating the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amplified by the receiving amplifying member into an alarm signa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변조부재는, 상기 경보신호생성부에서 생성시킨 경보신호를 무선전송신호로 변조할 시 상기 수신안테나부재에서 다른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무선전송신호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alarm signal generator is modulated into a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the modulation member may use a frequency different from a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received from another vehicle in the reception antenna memb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경보신호생성부에서 생성시킨 경보신호를 전달받아 차량의 비상 장비를 스위칭 온시키기 위한 비상장비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unlisted non-burning unit for receiving the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alarm signal generating unit and switching on the emergency equipment of the vehicle.

일 실시 예에서, 종료버튼의 입력에 따라 차량 충돌 상황의 종료를 확인하여 경보신호생성종료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송신부로 전달하기 위한 상황종료신호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tatus termination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generation termination signal by confirming the end of the vehicle collision situation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termination button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transmission section.

일 실시 예에서, 구조요청버튼의 입력에 따라 구조상황을 확인하여 구조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송신부로 전달하기 위한 구조요청신호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structure request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structure request signal by confirming the structure status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structure request button and transmitting the structure request signal to the transmitt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경보신호생성부에서 생성시킨 경보신호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차량으로 전송할 시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차량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ransmitter may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gether with the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alarm signal generating unit, when transmitting the alarm signal to another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일 실시 예에서, 차량에 장착 설치되며, 다른 차량의 근접을 감지하여 근접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송신부로 전달하기 위한 근접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proximity sensing unit mounted on the vehicle and sensing proximity of another vehicle to generate a proximity sensing signal and transmitting the proximity sensing signal to the transmission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후방에서 접근하는 주행 차량에게 사고 차량이 정차해 있음을 무선통신을 통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이나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이 2G, 3G 또는 LTE 통신용 주파수 외에 위험경보신호 특정주파수 수신 기능을 가지게 되어 접근하는 후방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전방 차량에서 보내는 위험경보 신호주파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도록 하여 전방 사고 차량 운전자가 안전표시판을 설치하지 않아도 신속한 상황대처가 가능해 고속도로 다중 추돌사고를 획기적으로 방지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hicle risk warning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that allows a traveling vehicle approaching from the rear to recognize that an accident vehicle is stopp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he frequencies for 2G, 3G or LTE communication, the rear vehicle driver who has access to the critical alarm signal specific frequency reception function detects the danger alarm signal frequency transmitted from the preceding vehicle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situation promptly and it is possible to drastically prevent multiple collision accidents on the highway.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차량 안전표시판을 통한 전방 차량 상황을 알리는 고안과 완전히 다른 진일보된 개념으로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차량위험경보전파로 차량 내 비상경고등과 함께 구성함으로 주야간 또는 악천후 등에도 많은 경제적 비용 없이 완벽히 기존 고안된 위험표시판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차량추돌사고로 인한 재산 및 인명피해의 발생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pt of notifying the situation of the front vehicle through the existing vehicle safety signboard is a completely different concept, and it is constituted together with the emergency warning light in the vehicle by radio frequency alarm propagation using the radio frequency, It has the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of the risk signboard completely designed and solving the occurrence of property and personal injury caused by the vehicle collision accident.

도 1 또는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충돌감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송신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수신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 or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risk alert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llision sensing unit in FIG. 1.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transmitter shown in Fig.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eceiving unit in FIG. 1. FIG.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risk alert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FIG.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 vehicle risk alert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또는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 or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risk alert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10)는, 충돌감지부(100), 경보신호생성부(200), 송신부(300), 수신부(400) 및 경고부(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vehicle risk alert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10 includes a collision sensing unit 100, an alarm signal generating unit 200, a transmitting unit 300, a receiving unit 400, and a warning unit 500.

충돌감지부(100)는, 차량에 장착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여. 해당 감지한 차량의 충돌에 따른 충돌감지신호를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된 충돌감지신호를 경보신호생성부(200)로 전달한다.The collision sensing unit 100 is mounted on a vehicle and detects a collision of the vehicle. Generates a collision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llision of the detected vehicl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llision detection signal to the alarm signal generation unit 200.

경보신호생성부(200)는, 충돌감지부(100)에서 생성시킨 충돌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충돌감지신호에 대응하는 경보신호를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시킨 경보신호를 송신부(300)로 전달한다.The alarm signal generating unit 200 receives the collision sensing signal generated by the collision sensing unit 100 and generates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llision sensing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alarm signal to the transmission unit 300. [ .

송신부(300)는, 경보신호생성부(200)에서 생성시킨 경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경보신호를 다른 차량으로 전송한다.The transmitting unit 300 receives the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alarm signal generating unit 200 and transmits the received alarm signal to another vehicle.

일 실시 예에서, 송신부(300)는, 전방의 1번 고장 또는 사고 차량과 후방 접근 2번 차량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구간(예를 들어, AM 통신 또는 FM 통신으로, 10mW의 출력을 가지며, 전파 유효 거리가 200m 등)을 구성하며, 1번 전방 고장 차량에서 경보신호 송출 시 2번 후방 접근 차량에서 상황에 따른 경보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 가능하게 하고, 2번 차량에서 경보신호 수신 시 주파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램프와 알람 등을 알림과 동시에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3번 후방 접근 차량에 경보신호를 보내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부(300)는, 순차전파신호 전달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저비용으로도 실시간으로 수 Km까지 후방 차량에 주파수의 손선 없이 차량 안전 경고 상황을 전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ransmitter 300 has an output of 10 mW i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val (for example, AM communication or FM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failure or accident vehicle in the front and the rear- Distance 200m, etc.), and when an alarm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fault vehicle,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alarm signal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the second vehicle in the rear direction in real time, and to prevent the frequency crossing when receiving the alarm signal from the second vehicl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notify the lamp and alarm, etc., and send an alarm signal to the rear access vehicle 3 using a different frequency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e transmission unit 300 can transmit the vehicle safety warning condition to the backward vehicle without kinking the frequency by a few Km in real time even at a low cost by using the sequential propagation signal transmission principle.

일 실시 예에서, 송신부(300)는, 경보신호의 전송을 3초 간격으로 송출하도록 하여, 주파수 혼선을 최소화 하고, 차량에 항상 있으면서 수신기능을 보유한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또는 라디오 등의 수신 장치와 연동하도록 하여 운영 효과를 극대화 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the transmitter 300 transmits the alarm signal at intervals of 3 seconds, minimizes frequency confusion, interlocks with a receiving device such as a navigation device, a smart phone, or a radio, It is desirable to maximize the operational effect.

일 실시 예에서, 송신부(300)는, 전파 형식을 FM/AM 주파수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개발 제작비용이 적게 소요되어 기존 차량 안전 표시판을 통한 기술의 단으로 발생하는 대령 차량 추돌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ransmission unit 300 uses the FM / AM frequency in the radio wave format,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development and production, .

일 실시 예에서, 송신부(300)는, 보신호생성부(200)에서 생성시킨 경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경보신호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차량으로 전송할 시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차량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ransmitter 300 receives the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200, and when transmitting the received alarm signal to another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transmitted together.

수신부(400)는, 다른 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경보신호를 수신하며, 해당 수신된 경보신호를 경고부(500)로 전달한다.The receiving unit 400 receives an alarm signal transmitted from another vehicle, and transmits the received alarm signal to the warning unit 500.

경고부(500)는, 수신부(400)에서 수신된 경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경보신호에 따라 다른 차량의 충돌을 경고한다.The warning unit 500 receives the alarm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er 400 and alerts the user of the collision of other vehicles according to the received alarm signal.

일 실시 예에서, 경고부(500)는, 경보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시각적 수단(예를 들어, 빨간색 등의 점멸 등) 또는 청각적 수단(예를 들어, 경고음의 생성 등)으로 전방 차량의 충돌 등을 미리 알려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rning unit 500 may be configured to alert the user to a warning signal by visual means (e.g., blinking red, etc.) or audible means (e.g., And the lik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10)는, 전방 운행자동차의 고장이나 사고로 인해 긴급 정차 시 후방에서 접근하는 주행 차량에게 원거리(예를 들어, 100m 내지 200m 등)에서도 사고 차량이 정차해 있음을 쉽게 인식시켜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다중 추돌 사고를 방지하며,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에서 경보신호를 즉시 수신하여 전방 운행 차량의 위험 상활을 실시간으로 알려주어 후방에서 접근하는 후방 주행 차량 운전가자 신속히 대처 하도록 할 수 있다.The vehicle danger warn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to a traveling vehicle approaching from the rear at the time of an emergency stop due to a failure or an accident of the forward driving vehicle even at a long distance (for example, It is easy to recognize that the vehicle is stopped and prevents multiple collision accidents leading to a major accident. It also receives alarm signals from a vehicle approaching from the rear and informs the dangerous situation of the forward driving vehicle in real time, We can make it happen quickly.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10)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할당 받아 무선 송수신의 무선 표준화를 추진하여 본 발명을 IC칩과 접목하여, 차량에 항상 있으면서 전파 수신 기능을 보유한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또는 라디오 등의 수신 장치와 연동하도록 함으로써 운영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할 수 있다.The vehicle danger warn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wireless standardization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allocated to a specific frequency ban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IC chip, , A smart phone or a radio receiver, thereby maximizing the operational effec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10)는, 후방에서 접근하는 주행 차량에게 사고 차량이 정차해 있음을 무선통신을 통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이나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이 2G, 3G 또는 LTE 통신용 주파수 외에 위험경보신호 특정주파수 수신 기능을 가지게 되어 접근하는 후방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전방 차량에서 보내는 위험경보 신호주파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도록 하여 전방 사고 차량 운전자가 안전표시판을 설치하지 않아도 신속한 상황대처가 가능해 고속도로 다중 추돌사고를 획기적으로 방지 할 수 있다.The vehicle danger warn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nables the traveling vehicle approaching from the rear to recognize that the accident vehicle is stopp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navigation system installed in the vehicle or the driver or passenger In addition to the frequencies for 2G, 3G or LTE communication, the smartphone has a risk alarm signal specific frequency reception function, which enables the rear vehicle driver to detect the danger alarm signal frequency transmitted from the front vehicle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situation promptly without installing the display panel, and thus it is possible to drastically prevent multiple collision accidents on the highway.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10)는, 기존 차량 안전표시판을 통한 전방 차량 상황을 알리는 고안과 완전히 다른 진일보된 개념으로 무선주파수를 이용한 차량위험경보전파로 차량 내 비상경고등과 함께 구성함으로 주야간 또는 악천후 등에도 많은 경제적 비용 없이 완벽히 기존 고안된 위험표시판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차량 추돌사고로 인한 재산 및 인명피해의 발생을 해결할 수 있다.
The vehicle risk warn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n advanced concept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notifying the situation of the front vehicle through the existing vehicle safety signboard. The vehicle danger warning transmitter /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risk signboard completely designed without any economic cost even in day and night or bad weather, and to solve the occurrence of property and personal injury caused by the vehicle collision accident.

도 2는 도 1에 있는 충돌감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llision sensing unit in FIG. 1. FIG.

도 2를 참조하면, 충돌감지부(100)는, 충돌감지센서부재(110) 및 충격메모리부재(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ollision sensing unit 100 includes a collision sensing member 110 and an impact memory member 120.

충돌감지센서부재(110)는, 차량에 장착 설치되고,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며, 해당 감지된 차량 충돌의 충격량이 기준충격량 이상인 경우에 충돌감지신호를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된 충돌감지신호를 경보신호생성부(200)로 전달한다.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member 110 is mounted on the vehicle, detects a collision of the vehicle, generates a collision detection signal when the collision amount of the detected collis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collision amount, To the signal generator 200.

일 실시 예에서, 충돌감지센서부재(110)는, 자이로 센서 등의 충격 센서로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때 충격 센서는 충돌의 충격량을 정량적으로 계산하여 등급화할 수 있는 충격 센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member 110 may be formed of an impact sensor such as a gyro sensor to detect a collision of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impact sensor may include a shock sensor Is preferably used.

일 실시 예에서, 충돌감지센서부재(110)는, 차량의 충돌 또는 추돌 시 충격메모리부재(12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충격량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기준충격량과 차량의 충돌 또는 추돌 시 감지된 차량 충돌의 충격량을 비교하여, 차량의 충돌 또는 추돌 시 감지된 차량 충돌의 충격량이 충격메모리부재(12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충격량보다 낮은 경우에는 충돌감지신호를 생성하지 아니하며, 차량의 충돌 또는 추돌 시 감지된 차량 충돌의 충격량이 충격메모리부재(12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충격량이상인 경우에만 충돌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member 110 reads the reference collision amount stored in the impact memory member 120 at the time of collision or collision of the vehicle, If the impact amount of the vehicle collision detected at the time of collision or collision of the vehicl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collision amount stored in the impact memory member 120, the collision detection signal is not generated, The collision detection signal can be generated only when the detected amount of collision of the vehicle collis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collision amount stored in the impact memory member 120. [

충격메모리부재(120)는, 다른 차량의 위험 경보를 하기 위한 차량의 충돌에 대한 기준이 되는 기준충격량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둔다.The impact memory member 120 stores in advance a reference impact amount as a reference for collision of the vehicle for danger warning of another vehicle.

일 실시 예에서, 충격메모리부재(120)는, 기준충격량으로서 차량이 정차하여야 하는 충격량(예를 들어, 차량이 바퀴가 분리된 정도 또는 차량의 운행이 불가능한 정도 등)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mpact memory member 120 may preset the amount of impact that the vehicle should stop as a reference amount of impact (e.g., the extent to which the vehicle is separated from the wheel, or the extent to which the vehicle is unable to travel).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충돌감지부(100)는, 차량에 일정 충격이상이 가해진 경우에만 충돌감지신호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에 소량의 충격이 있어 차량을 제동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불필요한 충돌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전달하는 불필요를 해소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llision sensing unit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generates a collision sensing signal only when a certain impact is applied to the vehicle, so that even when there is a small amount of impact on the vehicle and it is not necessary to braking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necessity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detection signal.

도 3은 도 1에 있는 송신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transmitter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송신부(300)는, 변조부재(310), 송신증폭부재(320) 및 송신안테나부재(3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transmitter 300 includes a modulation member 310, a transmission amplification member 320, and a transmission antenna member 330.

변조부재(310)는, 경보신호생성부(200)에서 생성시킨 경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경보신호를 무선통신형태에 따른 무선전송신호로 변조하며, 해당 변조된 무선전송신호를 송신증폭부재(320)로 전달한다.The modulation member 310 receives the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alarm signal generation unit 200, modulates the received alarm signal into a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ype, and transmits the modulated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to the transmission / Member 320 as shown in FIG.

일 실시 예에서, 변조부재(310)는, 전파 형식을 FM/AM 주파수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개발 제작비용이 적게 소요되어 기존 차량 안전 표시판을 통한 기술의 단으로 발생하는 대령 차량 추돌 사고를 예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modulating member 310 uses FM / AM frequency in the form of radio wave, so that the cost of development and production is low, .

일 실시 예에서, 변조부재(310)는, 경보신호생성부(200)에서 생성시킨 경보신호를 무선전송신호로 변조할 시 수신안테나부재(410)(도 4를 참조)에서 다른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무선전송신호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변조부재(310)는, 후방 차량과 그다음 후방 차량과의 주파수 혼선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alarm signal generator 200 is modulated into a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the modulation member 310 may receive the reception signal from the receiving antenna member 410 (see FIG. 4) You can use a different frequency than the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ly, the modulating member 310 can prevent frequency cross-over between the rear vehicle and the next vehicle behind.

송신증폭부재(320)는, 변조부재(310)에서 변조된 무선전송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무선전송신호의 세기를 증폭하며, 해당 증폭된 무선전송신호를 송신안테나부재(330)로 전달한다.The transmission amplifying member 320 receives the radio transmission signal modulated by the modulation member 310 and amplifies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radio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s the amplified radio transmission signal to the transmission antenna member 330 do.

송신안테나부재(330)는, 송신증폭부재(320)에서 증폭된 무선전송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무선전송신호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차량으로 전송한다.The transmission antenna member 330 receives the radio transmission signal amplified by the transmission amplification member 320 and transmits the received radio transmission signal to another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송신부(300)는, 전방의 1번 고장 또는 사고 차량과 후방 접근 2번 차량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구간(예를 들어, AM 통신 또는 FM 통신으로, 10mW의 출력을 가지며, 전파 유효 거리가 200m 등)을 구성하며, 1번 전방 고장 차량에서 경보신호 송출 시 2번 후방 접근 차량에서 상황에 따른 경보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 가능하게 하고, 2번 차량에서 경보신호 수신 시 주파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램프와 알람 등을 알림과 동시에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3번 후방 접근 차량에 경보신호를 보내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부(300)는, 순차전파신호 전달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저비용으로도 실시간으로 수 Km까지 후방 차량에 주파수의 손선 없이 차량 안전 경고 상황을 전달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3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the output of 10 mW i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val (for example, AM communication or FM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failure or accident vehicle in the front and the rear- And the effective distance of the radio wave is 200 m, etc.). When the alarm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failure vehicle, the second rear access vehicle makes it possible to receive the alarm signal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notify the lamp and alarm, etc., and simultaneously send an alarm signal to the rear access vehicle using another frequency. Accordingly, the transmission unit 300 can transmit the vehicle safety warning condition to the backward vehicle without kinking the frequency by a few Km in real time even at a low cost by using the sequential propagation signal transmission principl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송신부(300)는, 경보신호의 전송을 3초 간격으로 송출하도록 하여, 주파수 혼선을 최소화하고, 차량에 항상 있으면서 수신기능을 보유한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또는 라디오 등의 수신 장치와 연동하도록 하여 운영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 transmitter 3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transmit the alarm signal at intervals of 3 seconds to minimize the frequency confusion, and can also be used as a receiver, such as a navigation device, a smart phone, or a radio, So that the operation effect is maximized.

도 4는 도 1에 있는 수신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eceiving unit in FIG. 1. FIG.

도 4를 참조하면, 수신부(400)는, 수신안테나부재(410), 수신증폭부재(420) 및 복조부재(430)를 포함한다.4, the receiving unit 400 includes a receiving antenna member 410, a receiving amplifying member 420, and a demodulating member 430. As shown in FIG.

수신안테나부재(410)는, 다른 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전송신호를 수신하며, 해당 수신된 무선전송신호를 수신증폭부재(420)로 전달한다.The receiving antenna member 410 receives a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transmitted from another vehicle and transmits the received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to the receiving amplification member 420. [

수신증폭부재(420)는, 수신안테나부재(410)에서 수신된 무선전송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무선전송신호의 세기를 증폭하며, 해당 증폭된 무선전송신호를 복조부재(430)로 전달한다.The receiving amplification member 420 receives the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antenna member 410 and amplifies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s the amplified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to the demodulation member 430 do.

복조부재(430)는, 수신증폭부재(420)에서 증폭된 무선전송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무선전송신호를 경보신호로 복조한다.
The demodulating member 430 receives the amplified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reception amplifying member 420 and demodulates the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received as an alarm signal.

도 5는 도 1에 있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risk alert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FIG.

도5를 참조하면,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20)는, 충돌감지부(100), 경보신호생성부(200), 송신부(300), 수신부(400), 경고부(500), 비상장비연동부(600), 황종료신호생성부(700), 구조요청신호생성부(800) 및 근접감지부(9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충돌감지부(100), 경보신호생성부(200), 송신부(300), 수신부(400) 및 경고부(5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5, the vehicle risk alert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20 includes a collision sensing unit 100, an alarm signal generating unit 200, a transmitting unit 300, a receiving unit 400, a warning unit 500, A hue end signal generator 700, a structure request signal generator 800, and a proximity sensor 900. The hue end signal generator 600, the hue end signal generator 700, Here, the collision sensing unit 100, the alarm signal generating unit 200, the transmitting unit 300, the receiving unit 400, and the warning unit 500 are the same as those of FIG. 1 and will not be described.

비상장비연동부(600)는, 경보신호생성부(200)에서 생성시킨 경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경보신호에 따라 차량의 비상 장비를 스위칭 온시킨다.The emergency stop non-interfering unit 600 receives the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alarm signal generating unit 200 and switches on the emergency equipmen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received alarm signal.

일 실시 예에서, 비상장비연동부(600)는, 차량의 충돌 등의 비상상황 시 차량의 비상 장비(예를 들어, 차량 비상등, 경보음 또는 차량 브레이크 제동 등)와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비상시 운전자가 자의로 비상 장비를 구동할 수 없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이를 스위칭 온하도록 하여 위급 상황에도 차량의 비상을 다른 차량으로 알리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nlisted non-interdependent portion 600 can be linked to emergency equipment (e.g., a vehicle emergency light, an alarm sound, or a vehicle brake braking) of an automotive vehicle during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vehicle collision, Even if the emergency equipment can not be driven by the user, it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on so that the vehicle emergency can be notified to another vehicle even in an emergency.

상황종료신호생성부(700)는, 종료버튼의 입력받으며, 해당 입력된 종료버튼에 따라 차량 충돌 상황의 종료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차량 충돌 상황의 종료에 대응하는 경보신호생성종료신호를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시킨 경보신호생성종료신호를 송신부(300)로 전달한다.The state end signal generator 700 receives the end button, confirms the end of the vehicle collision situation according to the input end button, and generates an alarm signal generation e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identified vehicle collision situ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alarm signal generation end signal to the transmission unit 300.

일 실시 예에서, 상황종료신호생성부(700)는, 종료버튼(예를 들어, 버튼식 또는 스마트폰 등의 터치스크린 등)을 입력받아, 차량 충돌 등의 비상상황 종료를 알릴 수 있어, 불필요한 차량 제동 등을 예방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ituation termination signal generator 700 can receive an end button (e.g., a touch screen such as a button or smart phone) to notify the end of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vehicle collision, Vehicle braking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구조요청신호생성부(800)는, 구조요청버튼의 입력받으며, 해당 입력된 구조요청버튼에 따라 구조상황을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구조상황에 대응하는 구조요청신호를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된 구조요청신호를 송신부(300)로 전달한다.The structure request signal generation unit 800 receives the structure request button, confirms the structure state according to the inputted structure request button, generates a structure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structure state, And transmits a request signal to the transmission unit 300.

일 실시 예에서, 구조요청신호생성부(800)는, 구조요청버튼(예를 들어, 버튼식 또는 스마트폰 등의 터치스크린 등)을 입력받아 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차량 강도 등의 위난 시 근처에서 주행하고 있는 다른 차량으로 자신의 위난을 알리도록 하여, 이를 전달받은 차량 또는 경찰 등으로 하여금 위난을 벗어남에 도움을 받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ructure request signal generator 800 generates a structure request signal by receiving a structure request button (e.g., a touch screen such as a button or smart phone) By letting the other vehicles that are driving nearby to announce their distress, the vehicle or the police who received it can help them to get out of the danger.

근접감지부(900)는, 차량에 장착 설치되며, 다른 차량의 근접을 감지하며, 해당 감지된 다른 차량의 근접에 대응하는 근접감지신호를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된 근접감지신호를를 송신부(300)로 전달한다.The proximity sensing unit 900 is mounted on the vehicle, detects proximity of another vehicle, generates a proximity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proximity of the sensed other vehicl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roximity sensing signal to the transmission unit 300. [ .

일 실시 예에서, 근접감지부(900)는, 다른 차량이 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00m 또는 200m 등) 이내로 접근 시 이를 운전자에게 알림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전방에 사고 차량 또는 저속 차량이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하여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ximity sensing unit 900 notifies the driver of the proximity sensor 900 when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100 m or 200 m, etc.) so that the driver can see the driver So that a collision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apparatuses and / or methods, but may be implemented by a program for realizing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such an embodiment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0: 충돌감지부
110: 충돌감지센서부재
120: 충격메모리부재
200: 경보신호생성부
300: 송신부
310: 변조부재
320: 송신증폭부재
330: 송신안테나부재
400: 수신부
410: 수신안테나부재
420: 수신증폭부재
430: 복조부재
500: 경고부
600: 비상장비연동부
700: 상황종료신호생성부
800: 구조요청신호생성부
900: 근접감지부
100:
110: absence of collision detection sensor
120: absence of impact memory
200: an alarm signal generating unit
300:
310: Modulation member
320: transmission amplification member
330: absence of transmitting antenna
400: Receiver
410: absence of receiving antenna
420: receiving amplifying member
430: demodulation member
500: Warning section
600: unlisted non-burning
700: situation end signal generating unit
800: structure request signal generation unit
900: proximity sensing unit

Claims (10)

차량에 장착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여 충돌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주기 위한 충돌감지부;
상기 충돌감지부에서 생성시킨 충돌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이에 대응하는 경보신호를 생성시켜 주기 위한 경보신호생성부;
상기 경보신호생성부에서 생성시킨 경보신호를 전달받아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
다른 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경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경보신호를 전달받아 다른 차량의 충돌을 경고하기 위한 경고부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부는, 상기 경보신호생성부에서 생성시킨 경보신호를 전달받아 무선통신형태에 따른 무선전송신호로 변조하기 위한 변조부재; 상기 변조부재에서 변조된 무선전송신호의 세기를 증폭하기 위한 송신증폭부재; 상기 송신증폭부재에서 증폭된 무선전송신호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안테나부재 다른 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전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안테나부재; 상기 수신안테나부재에서 수신된 무선전송신호의 세기를 증폭하기 위한 수신증폭부재; 및 상기 수신증폭부재에서 증폭된 무선전송신호를 경보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복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는, 전방의 1번 고장 또는 사고 차량과 후방 접근 2번 차량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구간을 구성하며, 1번 전방 고장 차량에서 경보신호 송출 시 2번 후방 접근 차량에서 상황에 따른 경보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 가능하게 하고, 2번 차량에서 경보신호 수신 시 주파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램프와 알람을 알림과 동시에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3번 후방 접근 차량에 경보신호를 보내도록 하며,
상기 충돌감지부는, 차량에 장착 설치되고,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며, 감지된 차량 충돌의 충격량이 기준충격량 이상인 경우에 충돌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경보신호생성부로 전달하기 위한 충돌감지센서부재; 및 다른 차량의 위험 경보를 하기 위한 차량의 충돌에 대한 기준이 되는 기준충격량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기 위한 충격메모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충돌감지센서부재는, 충돌의 충격량을 정량적으로 계산하여 등급화할 수 있는 충격 센서를 사용하며, 차량의 충돌 또는 추돌 시 상기 충격메모리부재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충격량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기준충격량과 차량의 충돌 또는 추돌 시 감지된 차량 충돌의 충격량을 비교하여, 차량의 충돌 또는 추돌 시 감지된 차량 충돌의 충격량이 상기 충격메모리부재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충격량보다 낮은 경우에는 충돌감지신호를 생성하지 아니하며, 차량의 충돌 또는 추돌 시 감지된 차량 충돌의 충격량이 상기 충격메모리부재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충격량 이상인 경우에만 충돌감지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충격메모리부재는, 기준충격량으로서 차량이 정차하여야 하는 충격량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
A collision sensing unit mounted on a vehicle for sensing a collision of a vehicle and generating a collision sensing signal;
An alarm signal generation unit for receiving the collision det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collision detection unit and generating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A transmitter for receiving an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alarm signal generator and transmitting the alarm signal to another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 receiver for receiving an alarm signal transmitted from another vehicle; And
And a warning unit for receiving an alarm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and warning a collision of another vehicle,
Wherein the transmission unit comprises: a modulation member for receiving an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alarm signal generation unit and modulating the alarm signal into a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ype; A transmission amplifying member for amplifying the intensity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modulated by the modulating member; A transmitting antenna member for transmitting a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amplified by the transmission amplifying member to another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 receiving antenna member for receiving a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transmitted from another vehicle; A receiving amplifying member for amplifying the intensity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received at the receiving antenna member; And a demodulating member for demodulating the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amplified by the receiving amplifying member into an alarm signal,
The transmitting unit constitute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ection between the first failure or accident vehicle and the rear approach vehicle No. 2, and when the warn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failure vehicle, And to send an alarm signal to the third rear access vehicle using a different frequency at the same time as automatically notifying the lamp and alarm in order to prevent frequency confusion when receiving the alarm signal from the second vehicle,
Wherein the collision sensing unit comprises: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member mounted on the vehicle, for detecting collision of the vehicle, generating a collision detection signal when the collision amount of the vehicle collis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collision amount, and transmitting the collision detection signal to the alarm signal generation unit; And an impact memory member for presetting and storing a reference impact amount as a reference for collision of the vehicle for danger warning of another vehicle,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member uses an impact sensor capable of quantitatively calculating and grading an impact amount of a collision, reads a reference impact amount stored in the impact memory member when the vehicle collides or collides with the vehicle, A collision detection signal is not generated when an impact amount of a vehicle collision detected at the time of collision or collision of the vehicle is lower than a reference collision amount stored in the impact memory member, A collision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only when the impact amount of the vehicle collision detected at the time of collision or collision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impact amount stored in the impact memory member,
Wherein the impact memory member sets and stores an amount of impact that the vehicle should stop as a reference impact amount in advan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부재는,
상기 경보신호생성부에서 생성시킨 경보신호를 무선전송신호로 변조할 시 상기 수신안테나부재에서 다른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무선전송신호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alarm signal generator is modulated into a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the reception antenna member uses a frequency different from a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received from another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신호생성부에서 생성시킨 경보신호를 전달받아 차량의 비상 장비를 스위칭 온시키기 위한 비상장비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unlisted non-interfering unit for receiving the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alarm signal generating unit to switch on the emergency equipment of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종료버튼의 입력에 따라 차량 충돌 상황의 종료를 확인하여 경보신호생성종료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송신부로 전달하기 위한 상황종료신호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atus termination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termination signal by confirming termination of the vehicle collision situation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termination button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transmission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구조요청버튼의 입력에 따라 구조상황을 확인하여 구조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송신부로 전달하기 위한 구조요청신호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ructure request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structure request signal by confirming the structure status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structure request button and delivering the structure request signal to the transmiss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경보신호생성부에서 생성시킨 경보신호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차량으로 전송할 시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차량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And transmits the alarm signal generated by the alarm signal generation unit together with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and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ransmitting the alarm signal to another vehic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차량에 장착 설치되며, 다른 차량의 근접을 감지하여 근접감지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송신부로 전달하기 위한 근접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위험 경보 송수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oximity sensing unit mounted on the vehicle for sensing a proximity of another vehicle to generate a proximity sensing signal and transmitting the proximity sensing signal to the transmission unit.
KR1020150079822A 2015-06-05 2015-06-05 Hazard Warning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for Vehicle Expired - Fee Related KR1016890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822A KR101689080B1 (en) 2015-06-05 2015-06-05 Hazard Warning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822A KR101689080B1 (en) 2015-06-05 2015-06-05 Hazard Warning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303A KR20160143303A (en) 2016-12-14
KR101689080B1 true KR101689080B1 (en) 2016-12-22

Family

ID=5757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822A Expired - Fee Related KR101689080B1 (en) 2015-06-05 2015-06-05 Hazard Warning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08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270A (en) 2017-02-06 2018-08-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Vehicles equipped with directional antennas that propagate accidents
KR102434007B1 (en) * 2018-01-05 2022-08-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041151B1 (en) * 2018-03-05 2019-11-06 자동차부품연구원 Apparatus for informing accident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accident of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4092A (en) 1996-06-10 1998-03-30 구자홍 Computer Key Phone Telephone Access Card
KR19980044966A (en) * 1996-12-09 1998-09-15 김영환 Vehicle's accident area detection / warning device and method
KR20070060570A (en) * 2005-12-09 200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uto Collision Warning System of Vehicle
KR101573767B1 (en) * 2009-07-17 2015-12-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Securing Safety of Emergency Parked Car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382873B1 (en) 2012-06-29 2014-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orward Collision Warning System and Forward Collision Warning Method
KR20150000818U (en) * 2015-02-02 2015-02-25 영 식 박 Hazard warning signal reception, functional smartphone navigation hazard warning system the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303A (en)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18086B (en) Automobile anti-rear end collision and safe driving information interchange caution control system
JP4939564B2 (en)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US8917188B2 (en) Method for detecting and warning against wrong-way drivers, and wrong-way driver reporting and warning system
CN105608926B (en) Alarm prompting method, alarm prompting system and terminal
US8525694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object tracking
CN104103181B (en) Fault car caution system based on DSRC and method thereof
KR20190101909A (en) Viechle radar system for sensing danger
CN103959354A (en) Street lamp for providing safe driving information, and system for providing safe driving information using street lamp
KR100831935B1 (en) Intelligent Vehicle Safe Driving Method and System Using Adaptive Communication Technology
WO2001082627A1 (en) Video-monitoring safety systems and methods
CN104299452A (en) Vehicle collision pre-warning system and pre-warning method thereof
KR101660585B1 (en) Bus Information System
US200401557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tor vehicle-based emergency/hazard detection
KR101689080B1 (en) Hazard Warning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for Vehicle
CN119895476A (en) Digital warning system for vehicle
CN102910114A (en) Vehicular whistle control method and system
CN203780522U (en) Rear-end prevention and safe driving information exchange alarm control system for vehicles
KR20170033985A (en) The highway went to second for accident prevention system
JP4898496B2 (en) Accident prevention system
KR101371974B1 (en) Apparatus for announcing emergency of car
KR20110013874A (en) Automatic deceleration and alarm generator in school zone
JP7008785B1 (en) Collision prevention system
JP2006259861A (en) Hazard warning system
KR102042002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ccident monitoring method thereof
JPH09282592A (en) Method and device for issuing alarm of confronting vehicle to vehicle turning to right at cro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1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7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1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9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12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1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9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