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8270B1 - 매체감지장치 및 매체감지방법 - Google Patents

매체감지장치 및 매체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270B1
KR101688270B1 KR1020140081425A KR20140081425A KR101688270B1 KR 101688270 B1 KR101688270 B1 KR 101688270B1 KR 1020140081425 A KR1020140081425 A KR 1020140081425A KR 20140081425 A KR20140081425 A KR 20140081425A KR 101688270 B1 KR101688270 B1 KR 101688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medium
unit
ultrasonic waves
wav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278A (ko
Inventor
방영식
배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40081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270B1/ko
Publication of KR20160002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2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08Acoustic wa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1Electronic funds transfer with electronic means providing security
    • Y10S902/07Means to identify counterfeit mone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Characterised By Use Of Acoustic Mean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일 예에서, 매체감지장치는, 매체에 초음파를 출력하는 초음파 발신기; 상기 매체를 투과한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 수신기; 및 상기 수신된 초음파와 미리 저장된 초음파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매체의 정상권 여부 및 권종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매체감지장치 및 매체감지방법{Medium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실시 예는 매체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는 매체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기기는 매체를 입출금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는, 입금을 위한 매체 또는 출금을 위한 매체를 감지하는 매체감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특허 공개공보 10-2008-0044544(공개일 2008. 05. 21)에는 지폐/수표 감지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지폐/수표 감지장치는 매체를 중심으로 일 측에는 초음파 생성/출력 제어수단을 설치하고, 그 반대 편에는 매체 겹침 판정수단을 구비하여, 초음파에 의한 매체의 겹침 여부를 판정한다.
종래의 지폐/수표 감지장치는 초음파에 의해 매체의 겹침 여부만을 판정하는 것으로, 지폐의 정상권 여부 및 지폐의 권종을 판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해 매체의 정상권 여부 및 권종을 판별하는 매체감지장치 및 매체감지방법을 제공한다.
일 예에서, 매체감지장치는, 매체에 초음파를 출력하는 초음파 발신기; 상기 매체를 투과한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 수신기; 및 상기 수신된 초음파와 미리 저장된 초음파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매체의 정상권 여부 및 권종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매체감지방법은, 매체에 초음파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매체를 투과한 초음파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초음파와 미리 저장된 초음파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매체의 정상권 여부 및 권종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초음파 센서의 펄스 개수 및 에너지 크기를 변경하며, 매체를 투과하여 매체의 정상권 여부 및 권종을 판별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구성도,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매체감지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상기 초음파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초음파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 5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매체의 권종판단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초음파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 례로 지폐, 증권(수표를 포함),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 (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10)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1)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는 매체가 입출되기 위한 매체 입출부(13),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매체보관함(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매체 보관함(40)은 상기 본체(1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매체 입출부(13)는 고객에 의해 접근 가능한 매체 처리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입출부(13)는 다수 종류의 매체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공통 입출부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낱장을 포함하는 번들 단위로 상기 매체 입출부(13)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번들 단위로 상기 매체 입출부(13)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기기(10)는 그 종류에 따라서, 통장의 입출을 위한 통장 입출부(14) 및 카드의 입출을 위한 카드 입출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기기(10)는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10)는 매체감지장치(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감지장치(100)는 매체를 수납하거나 인출할 때 매체의 종류를 식별하거나 불량 매체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매체감지장치(10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금융기기(10)는 매체가 임시로 집적되는 임시 집적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시 집적부(30)는 고객이 매체를 상기 금융기기(1)에 입금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매체 입출부(13)를 통하여 수납된 매체를 임시로 저장한다. 상기 임시 집적부(30)에 집적된 매체는 고객이 매체 수납을 최종적으로 결정한 때에 후술할 매체 보관함(40)으로 이송된다.
상기 금융기기(10)는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매체 보관함(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보관함(40)은 하나 이상의 지폐 보관함(41, 42, 43)과 하나 이상의 수표 보관함(4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 및 수표 보관함(44)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따라서, 상기 금융기기(10)는 지폐 보관함만 구비하거나 수표 보관함만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매체 보관함(40)에는 이송된 매체가 인입되기 위한 매체입구와 내부에 집적된 매체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매체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매체 보관함(40)의 외관을 구성하는 박스(box)의 상단에 상기 매체입구와 매체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 보관함(40) 내부에는 상기 매체 보관함(40)의 외부로부터 이송된 매체를 나란히 집적하는 매체 집적수단과, 집적된 매체를 하나씩 분리하여 상기 매체 보관함(40)의 외부로 이송하는 매체 픽업수단(Pick-up means)이 함께 구비된다. 즉, 상기 매체 보관함(40)에 저장된 매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입금된 매체가 상기 매체 보관함(4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10)는 입금 과정에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매체가 저장되는 제1 회수함(50), 출금 과정에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매체가 저장되는 제2 회수함(52) 및 회수 보충함(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 보충함(60)은 매체를 상기 매체 보관함(40)에 보충하거나 상기 매체보관함(40)으로부터 매체를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기기(10)는 출금을 위하여 상기 매체 입출부(13)로 방출된 매체를 고객이 미수취한 경우 상기 미수취한 매체가 회수되는 제3 회수함(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금융기기(10)를 구성하는 각 모듈(매체 입출부, 매체감지장치, 매체보관함, 임시 집적부, 회수함등)은 이송경로(19)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송경로(19)는 상기 매체 입출부(13)와 연결된 제1 경로(191)와 제2 경로(19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매체감지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매체감지장치(100)는 초음파 발신기(110), 제어부(120) 및 초음파 수신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신기(110) 및 초음파 수신기(130)는 경로(180)를 이동하는 매체(19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경로(180)는 상기 초음파 발신기(110)와 초음파 수신기(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신기(110)는 전원부(111), 초음파 생성부(113), 발신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신부(11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발신부(115)가 제1 발신부(115a) 및 제2 발신부(115b)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전원부(111)는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로 초음파 생성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부(11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경로(180)로 조사되는 초음파를 생성한다.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펄스폭이 다른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다수의 구간별로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가진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수의 구간은 제1 내지 제5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초음파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초음파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제1 펄스폭 내지 제5 펄스폭을 가지는 초음파를 반복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다수의 구간마다 상이한 펄스폭을 갖는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수의 구간은 제1 내지 제5 구간(T1 내지 T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각각의 구간별로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가지는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각 구간별로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가지는 펄스를 출력한다. 즉,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각 구간별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각 구간별로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가지는 초음파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각 구간별로 서로 다른 에너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제1 구간(T1)에서 제1 펄스폭(d1)을 가지는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제2 구간(T2)에서 제2 펄스폭(d2)을 가지는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제3 구간(T3)에서 제3 펄스폭(d3)을 가지는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제4 구간(T4)에서 제4 펄스폭(d4)을 가지는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제5 구간(T5)에서 제5 펄스폭(d5)을 가지는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펄스폭(d1)은 가장 큰 폭을 가지고, 상기 제5 펄스폭(d5)은 가장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펄스폭(d1), 제2 펄스폭(d2), 제3 펄스폭(d3), 제4 펄스폭(d4) 및 제5 펄스폭(d5)은 순서대로 더 작은 펄스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구간(T1)의 초음파는 260kHz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구간(T2)의 초음파는 280kHz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3 구간(T3)의 초음파는 300kHz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4 구간(T4)의 초음파는 320kHz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5 구간(T5)의 초음파는 340kHz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발신부(115)는 제1 발신부(115a) 및 제2 발신부(11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신부(115)는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에 의해 생성된 초음파를 상기 경로(180)로 송신한다. 상기 발신부(115)는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에 의해 생성된 초음파를 상기 경로(180)를 이동하는 매체(190)로 송신한다.
상기 제1 발신부(115a)는 상기 제2 발신부(115b)와 동일한 초음파를 상기 매체(19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수신기(130)는 수신부(131), 증폭부(133) 및 필터(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31)는 제1 수신부(131a) 및 제2 수신부(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신부(131a)는 상기 제1 발신부(115a)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신부(131b)는 상기 제2 발신부(115b)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발신부(115a)는 상기 제1 수신부(131a)와 상기 경로(180)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며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발신부(115b)는 상기 제2 수신부(131b)와 상기 경로(180)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31)는 상기 발신부(155)로부터의 초음파를 수신한다. 상기 수신부(131)는 상기 경로(180)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매체(190)를 투과한 초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신부(131a)는 상기 제1 발신부(115a)의 초음파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2 수신부(113b)는 상기 제2 발신부(115b)의 초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증폭부(133)는 상기 수신부(131)로부터 수신된 초음파를 전달받아 증폭시킬 수 있다. 상기 증폭부(133)는 상기 수신된 초음파의 진폭을 확장할 수 있다.
상기 증폭부(133)는 제1 증폭부(133a) 및 제2 증폭부(13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증폭부(113a)는 상기 제1 수신부(131a)로부터 수신받은 초음파를 증폭시킬 수 있고, 상기 제2 증폭부(113b)는 상기 제2 수신부(131b)로부터 수신받은 초음파를 증폭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135)는 상기 증폭부(133)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필터(135)는 상기 증폭부(133)로부터 전달받은 신호 중 불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필터(135)는 제1 필터(135a) 및 제2 필터(13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135a)는 상기 제1 증폭부(113a)로부터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어부(120)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제2 필터(135b)는 상기 제2 증폭부(113b)로부터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어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상기 수신부(131), 증폭부(133) 및 필터(135)가 각각 2개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상기 수신부(131), 증폭부(133) 및 필터(135)의 개수는 상기 발신부(115)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발신부(115)가 제1 발신부(115a) 및 제2 발신부(115b)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수신부(131)는 제1 및 제2 수신부(131a, 131b)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부(133)는 제1 및 제2 증폭부(133a, 133b)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135)는 제1 및 제2 필터(135a, 135b)를 포함한다.
상기 초음파 발신기(110) 및 상기 초음파 수신기(130)가 각각 2개의 발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함으로써 중복측정에 의해 상기 제어부(120)에서 보다 정확한 매체판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초음파 발신기(110)의 초음파 발신을 제어하고, 상기 초음파 수신기(13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 상기 매체(190)의 이매여부, 위폐여부 및 권종을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초음파 수신기(13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와 미리 저장된 권종별 초음파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매체(190)의 이매여부, 위폐여부 및 권종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저장부(121) 및 비교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1)에는 권종별 초음파 특성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저장부(121)에는 상기 구간별 초음파에 대한 권종별 특성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초음파 수신부(130)로부터의 초음파 정보를 누적하여, 권종별 초음파 특성을 추출하여 상기 저장부(121)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저장부(121)는 상기 권종별 초음파 특성을 외부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상기 비교부(123)는 상기 초음파 수신기(13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와 상기 저장부(121)에 저장되어 있던 권종별 초음파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매체(190)의 이매여부, 위폐여부 및 권종을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매체의 권종판단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매체의 권종판단방법은 초음파 생성부(113)에서 초음파를 생성한다. (S200)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다수의 구간별로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가지는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발신부(115)는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로부터 전달받은 초음파를 상기 경로(180)를 이동하는 매체(190)로 발신한다. (S210)
상기 초음파 수신기(130)는 상기 매체(190)를 투과한 초음파를 수신한다. (S220) 상기 초음파 수신기(130)는 상기 수신한 초음파를 증폭하고 필터링하여 상기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수신된 초음파를 전달받아 정상권 여부 및 권종을 판단한다. (S230)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수신된 초음파와 미리 저장된 권종별 초음파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매체(190)의 정상권 여부 및 권종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매체(190)의 정상권 여부는 이매여부 및 위폐여부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에는 권종별로 매체를 투과한 초음파의 구간별 특성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수신된 초음파를 각 구간별로 상기 미리 저장된 초음파 특성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제1 내지 제4 단계의 수신된 초음파가 상기 저장된 초음파 특성과 동일한 경우 이매 또는 위폐가 아닌 정상권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20)는 정상권 판단 단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간에서의 수신된 초음파와 저장된 제1 구간의 초음파 특성이 동일한 경우 정상권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및 제2 구간의 초음파 특성이 동일한 경우 정상권으로 판단할 수도 있으며, 제1 내지 제3 구간의 초음파 특성이 동일한 경우 정상권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정상권 판단 구간을 설정함으로써 비정상권 반환율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간의 초음파 특성에 의해서 정상권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낮은 확률로 매체가 반환될 수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4 구간의 초음파 특성이 모두 동일한 경우에만 정상권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높은 확률로 매체가 반환될 수 있다. 따라서, 매체가 반환될 확률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설정에 따라 상기 정상권 판단 구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20)가 자동으로 조절하고 이를 알람 등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각 구간별로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가지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정상권을 판단하므로, 매체의 재질과 두께를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어 정상권 및 권종을 보다 정확히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매체(190)가 정상권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매체(190)를 반환하도록 제어한다. (S240)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매체(190)가 비정상권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매체 입출부(13)를 통해 상기 매체(190)가 반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매체(190)가 정상권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매체(190)를 수납한다. (S250)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매체(190)가 정상권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매체(190)를 상기 매체 보관함(40)에 저장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매체감지장치(100)가 별도의 인식기나 인식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경우 상기 매체감지장치(100)는 상기 초음파 판단결과와 상기 인식기 또는 인식 센서의 결과와 비교하여 권종 및 정상권 여부에 대한 2차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초음파 판단 결과에 의해 정상권으로 판단된 매체(190)에 대해 상기 인식기 판단 결과와 동일한 경우에만 수납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초음파 판단 결과와 인식기 판단 결과가 상이한 경우에는 매체(190)를 반환한다.
상기 인식기 또는 인식 센서에 의한 2차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매체(190)에 대한 정확한 판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초음파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제2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구간별 초음파의 진폭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생성부(113)는 초음파를 출력한다.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다수의 상이한 진폭을 가지는 초음파를 반복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의 파형은 제1 내지 제5 구간(T1 내지 T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각각의 구간별로 진폭이 상이한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각 구간별로 서로 다른 진폭을 가지는 펄스를 출력한다.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각 구간별로 서로 다른 진폭을 가지는 초음파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각 구간별로 서로 다른 에너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제1 구간(T1)에서 제1 진폭(V1)을 가지는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제2 구간(T2)에서 제2 진폭(V2)을 가지는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제3 구간(T3)에서 제3 진폭(V3)을 가지는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제4 구간(T4)에서 제4 진폭(V4)을 가지는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생성부(113)는 제5 구간(T5)에서 제5 진폭(V5)을 가지는 초음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진폭(V1)은 가장 큰 폭을 가지고, 상기 제5 진폭(V5)은 가장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진폭(V1), 제2 진폭(V2), 제3 진폭(V3), 제4 진폭(V4) 및 제5 진폭(V5)은 순서대로 더 작은 진폭을 가질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매체감지장치는 각 구간별로 서로 다른 진폭을 가지는 초음파를 통해 정상권을 판단하므로 매체의 재질과 두께를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어 정상권 및 권종을 보다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한편, 제3 실시 예에 따른 매체감지장치는 각각 각 구간별로 서로 다른 진폭 및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통해 정상권을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간(T1)에서는 제1 펄스폭(d1)과 제1 진폭(V1)을 가진 초음파를 통해 정상권을 판단하고, 제2 구간(T2)에서는 제2 펄스폭(d2)과 제2 진폭(V1)을 가진 초음파를 통해 정상권을 판단하고, 제3 구간(T3)에서는 제3 펄스폭(d3)과 제3 진폭(V3)을 가진 초음파를 통해 정상권 여부 및 권종을 판단하고, 제4 구간(T4)에서는 제4 펄스폭(d4)과 제4 진폭(V4)을 가진 초음파를 통해 정상권을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매체의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에 대해 동일한 파형을 갖는 초음파를 통해 정상권을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매체의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에 진폭 및 주파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한 파형을 갖는 초음파를 통해 정상권을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매체의 영역별 초음파 특성은 미리 상기 저장부(121)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21)에 저장된 매체의 영역별 초음파 특성과 비교하여 정상권 여부 및 권종을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금융기기 13: 매체 입출부
30: 임시 집적부 40: 매체 보관함
100: 매체감지장치 110: 초음파 발신기
111: 전원부 113: 초음파 생성부
115: 발신부 120: 제어부
130: 초음파 수신기 131: 수신부
133: 증폭부 135: 필터

Claims (16)

  1. 매체의 영역별로 진폭 및 펄스폭 중 적어도 하나를 단계적으로 변조한 초음파를 출력하는 초음파 발신기;
    상기 매체의 영역별로 투과한 단계적으로 변조한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 수신기; 및
    상기 초음파 발신기 및 상기 초음파 수신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초음파 수신기에서 수신한 초음파와 미리 저장된 정상권 및 권종 각각의 단계적으로 변조한 초음파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매체의 정상권 여부 및 권종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매체감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신기는 상기 매체의 영역별로 서로 다른 에너지를 가지는 초음파를 출력하는 매체감지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특성이 미리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초음파 특성과 수신된 초음파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매체감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신기는,
    상기 초음파를 생성하는 초음파 생성부; 및
    상기 초음파를 상기 매체로 출력하는 발신부를 포함하는 매체감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부는 2개 이상인 매체감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수신기는,
    상기 매체를 투과한 초음파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의 초음파를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된 초음파를 필터링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매체감지장치.
  9. 삭제
  10. 삭제
  11. 매체의 영역별로 진폭 및 펄스폭 중 적어도 하나를 단계적으로 변조한 초음파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매체의 영역별로 투과한 단계적으로 변조한 초음파를 수신하는 단계; 및
    초음파 발신기 및 초음파 수신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초음파 수신기에서 수신한 초음파와 미리 저장된 정상권 및 권종 각각의 단계적으로 변조한 초음파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매체의 정상권 여부 및 권종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체감지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에 초음파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매체의 영역별로 서로 다른 에너지를 가지는 초음파를 출력하는 매체감지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정상권 여부 및 권종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초음파에 의한 결과와 별도의 인식기에 의한 판단 결과에 의해 정상권 여부 및 권종을 판단하는 매체감지방법.
KR1020140081425A 2014-06-30 2014-06-30 매체감지장치 및 매체감지방법 Active KR101688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425A KR101688270B1 (ko) 2014-06-30 2014-06-30 매체감지장치 및 매체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425A KR101688270B1 (ko) 2014-06-30 2014-06-30 매체감지장치 및 매체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278A KR20160002278A (ko) 2016-01-07
KR101688270B1 true KR101688270B1 (ko) 2017-01-02

Family

ID=55168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425A Active KR101688270B1 (ko) 2014-06-30 2014-06-30 매체감지장치 및 매체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27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664A (ko) * 2002-03-20 2003-09-26 최문도 위조지폐 검출장치
DE102006033001A1 (de) * 2006-07-17 2008-01-24 Giesecke & Devrient Gmbh Verfahren zur Beurteilung eines Zustands eines Wertdokuments im Hinblick auf Lappigkeit und Mittel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KR100838493B1 (ko) * 2006-11-16 2008-06-19 주식회사 푸른기술 지폐/수표 감지 장치
KR101029467B1 (ko) * 2008-08-21 2011-04-18 기산전자 주식회사 위폐 검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278A (ko)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8059B2 (ja) 貨幣処理システム及び貨幣処理方法
JP2009295132A (ja) 自動取引装置
KR101364222B1 (ko) 지엽류 판별 장치
KR101178001B1 (ko) 매체 이미지 검출장치, 매체 이미지 검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금융기기
JP2012014539A (ja) 紙葉類処理システムおよび紙葉類判別装置
JP2010181987A (ja) 紙幣取引装置および紙幣取引システム
KR101688270B1 (ko) 매체감지장치 및 매체감지방법
KR101252405B1 (ko) 금융기기
KR101539604B1 (ko) 현금 자동 입출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위폐 검출 방법
KR101736569B1 (ko)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
KR101617947B1 (ko) 매체 인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금융기기
RU238805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ема банкнот
JP2006250869A (ja) 媒体処理装置
JP2006250869A5 (ko)
CN102903175A (zh) 金融设备
KR101385383B1 (ko) 매체집적장치를 포함한 금융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6270374B2 (ja) 紙葉類管理システム及び紙葉類管理方法
KR100857588B1 (ko) 위폐감별기능이 있는 신용카드 조회 단말기
KR101579379B1 (ko)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44989B1 (ko)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과 그의 금융기기
JP6195816B2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紙幣枚数特定方法
KR101667103B1 (ko) 두께 검지 장치 및 금융 기기
CN102456244A (zh) 智能型金融事务机
KR101871438B1 (ko) 카세트, 카세트 제어방법 및 금융기기
JP6359917B2 (ja) 紙葉類疲弊判別装置、紙幣処理装置、紙葉類疲弊判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3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