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096B1 - Open side tonbaek - Google Patents
Open side tonbae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8096B1 KR101688096B1 KR1020160028688A KR20160028688A KR101688096B1 KR 101688096 B1 KR101688096 B1 KR 101688096B1 KR 1020160028688 A KR1020160028688 A KR 1020160028688A KR 20160028688 A KR20160028688 A KR 20160028688A KR 101688096 B1 KR101688096 B1 KR 1016880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g
- tone
- front surface
- cabbage
- t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claims 1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claims 1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400006145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74883 Urtica dio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108 Urtica dio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417 Vigna umbel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53 Vigna umbell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9/00—Sacks or like containers made of fabrics; Flexible containers of open-work, e.g. net-like construction
- B65D29/04—Net-like containers made of plastics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2—Local reinforcements or stiffening inserts, e.g. wires, strings, strips o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B65D88/1637—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cables or straps from top to botto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surrounded by a n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 B65D88/1687—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the forks of a forklif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0—Large containers flexible with rigid end-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8—Doors for containers, e.g. ISO-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쪽 측면이 개방되는 톤백에 관한 것으로, 각종 농산물을 톤백에 담아 이동 또는 보관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톤백을 사용하는데, 보통 양파, 감자, 마늘 등의 작은 농산물의 경우 톤백의 상층부로 농산물을 적재하기 쉽지만, 배추, 양배추, 무 등의 부피가 큰 농수산물의 경우 일반 톤백을 사용하였을 경우 차곡차곡 쌓아 적재하는데 노동력의 소모가 크며, 수분이 고여 부패가 쉽다. 이러한 종류의 적재물을 효율적으로 적재하기 위해서 쉽게 농산물을 쌓아서 적재가 가능하도록 직육면체의 기둥쪽의 한쪽면이 개봉과 체결이 쉽게되도록 하며 수분이 쉽게 빠지고 고이지 않도록 망사로 제작하는 측면 개방형 톤백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ne bag having one side opened, and uses a tonne bag to easily transport or store various agricultural products in a tonne bag. In the case of a small agricultural commodity such as onion, potato, and garlic, In case of bulky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such as cabbage, cabbage, radish, etc., it is easy to load, but when using general ton back bag, it takes a lot of labor to load and accumul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opening type ton bag which can easily open and fasten one side of a column sid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o as to easily stack agricultural products so as to be able to stack these kinds of loads efficiently,
Description
본 발명은 한쪽 측면이 개방되는 톤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종 농산물을 톤백에 담아 이동 또는 보관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톤백을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양파, 감자, 마늘 등의 작은 농산물의 경우 톤백의 상층부로 농산물을 적재하기 쉽지만, 배추, 양배추, 무 등의 부피가 큰 농수산물의 경우 일반 톤백을 사용하였을 경우 차곡차곡 쌓아 적재하는데 노동력의 소모가 크며, 수분이 고여 부패가 쉽다. 이러한 종류의 적재물을 효율적으로 적재하기 위해서 쉽게 농산물을 쌓아서 적재가 가능하도록 직육면체의 기둥쪽의 한쪽면이 개봉과 체결이 쉽게되도록 하며 수분이 쉽게 빠지고 고이지 않도록 망사로 제작하는 측면 개방형 톤백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al bag having one side opened. More specifically, a tonal bag is used to easily transport or store various agricultural products in a tonal bag. Generally, a small bag of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onion, potato, and garlic In case of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cabbage, cabbage, radish, etc., which are easy to load agricultural products at the upper part of the ton bag, when the general ton bag is used, the labor is consumed to load and accumul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opening type ton bag which can easily be opened and fastened on one side of a column sid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o that the agricultural product can be easily stacked and loaded so as to efficiently load these kinds of loads,
일반적으로, 톤백(양곡마대)이라 함은 쌀, 콩, 팥, 양파, 마늘 등과 같은 곡물을 담아서 일정기간동안 저장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이다.Generally, ton-bags are used to store grains such as rice, beans, red beans, onions, garlic, etc.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상기 톤백은 일정양의 곡물 및 농산물들을 담을 수 있도록 측면부와 밑면부를 PP원단으로 형성하고, 상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측면부의 상측 끝단에 일정길이의 조임끈이 삽입되기 위한 조임부가 형성되며, 상층부에 적재물을 넣고 저장된 톤백을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여러개의 고리를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톤백은 상층의 개구부를 통해 일정양의 적재물을 투입한 후 조임끈을 조여서 개구부가 밀봉되도록 하며, 이후 크레인기구로서 고리에 걸어서 적재물이 담겨진 톤백을 원하는 위치로 손 쉽게 이동 및 안전하게 저장하는 것이다.
The tonne bag has a side portion and a bottom portion formed of a PP fabric so as to contain a certain amount of grain and agricultural products and a tightening portion for inserting a certain length of a tightening string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portion in an open state, And a plurality of rings for locating the stored tonbags are formed. The conventional tonne bag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configured such that a certain amount of the load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upper layer and then the opening portion is tightened by tightening the tightening strap. Then, the crane mechanism is hooked to the hook, .
이러한 톤백은, 구조적인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97623를 출원한 바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2536호의 "톤백"이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66622호의 "복수본 경사 보강부가 형성된 마대" 등의 톤백이 제작되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톤백은 내용물의 충진을 위해 톤백의 외면에 탄성을 가진 심재가 내장된 걸고리를 부착하는 방법에 의해서 하나의 위사와 직조되는 경사를 복수본으로 하는 복수본 경사 보강부를 형성하여 톤백의 형상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내용물을 적제시 용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톤백은 내부에 곡물 등의 내용물이 담겨진 상태에서 측면부의 상부를 조임끈으로 조여 밀봉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상기와 같이 조여진 경우에는 톤백에 통풍성이 확보되지 않아 곡물의 변질이 쉽기 때문에 곡물을 장시간 저장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This ton-back has been filed by the applicant of Korean Patent No. 10-1397623 in order to secure the structural strength. In addition, a tone bag such as "Tonebag" of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02536 or "Saddle with multiple tapered reinforcement portions"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66622 was produced. However, in order to fill the contents, the tone bag has a plurality of main inclined reinforcing portions formed by a plurality of inclined warp yarns woven with one weft by a method of attaching a hook having an elastic cor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one bag, And the content is presented for presentation by a method of maintaining the shape. However, such a conventional tone bag uses a method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portion is tightly tightened with a fastener while the content of grain or the like is contained in the conventional ton bag, and when the tightening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tone bag is not ventilated and deterioration of the grain is eas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tore the grain for a long time.
상기와 같은 톤백의 내부에 채소나 곡물 등의 내용물이 담긴 톤백은 직사각형의 팔렛트에 안착되어 저온 저장창고에 저장되는데, 양파나 감자와 같이 외주면이 둥근 내용물이 톤백 내부에 저장될 경우 톤백의 외주면이 둥글게 부풀어 오르기 때문에 원하는 양의 내용물을 담을 수 없고, 원형으로 형성되므로 높이 적재되었을 경우에 어느 방향으로도 붕괴되어 톤백에 저장된 내용물이 손상되고 창고내부의 관리자들이 부상당할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높으며, 팔렛트 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저온 저장창고에 투입될 때 상기 팔렛트 상에 유휴공간이 형성되어 전기소모가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The tone bag containing the contents of vegetables or grains is placed on a rectangular pallet and stored in a low temperature storage warehouse. When the contents of the rounded outer surface such as onion or potato are stored in the inside of the tone bag, It can not contain the desired amount of contents because it is rounded and it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that when it is stacked up, it collapses in any direction, the contents stored in the tone bag are damaged, and safety accidents that the managers inside the warehouse are injured are likely to occur , There is a problem that an idle space is formed on the pallet when the pallet is placed in a low temperature storage warehouse in a state of being seated inside the pallet, thereby consuming a large amount of electricity.
상기와 같은 톤백은 적재물의 투입시 상층 개구부에 물건을 투입하는 방식으로 되어왔다. 하지만, 배추와 양배추 무와 같이 크기가 큰 농산물은 차곡 차곡 쌓아야 하는데 상기와 같은 적재물의 경우 상층부로 물건을 투입하는 방식으로는 노동력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Such a tonne bag has been a method of putting an object into an upper layer opening when loading a load. However, large-sized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cabbage and cabbage must be piled up.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load,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efficiency of the labor force is lowered by the method of putting the goods into the upper layer.
상기와 같은 물건의 적재시 보관과 노동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조단가가 낮은 톤백의 제조의 필요가 요구 되어 왔다.
There has been a demand for manufacturing a tone bag which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storage and labor during loading of such articles and has a low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각종 농산물의 적제시 통풍이 안될 경우 수분이 고여 보관시에 쉽게 부패하여 농산물의 저장이 어려우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통풍이 원활하고 수분이 고이지 않도록 하며, 기존에 제공되는 톤백과 같이 제작비용이 저렴하여 농가에서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망사에 의한 적재물을 넣으면 발생하는 외주면의 부풀어 오름을 줄여 톤백을 저장고에 보관할 때 팔렛트에 쉽게 넣을 수 있도록하며, 물건이 커서 차곡차곡 쌓아 적제 해야하는 배추, 양배추, 무의 경우 톤백의 전면을 개방하여 노동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it can be economically used in a farmhous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ut the ton bag into the pallet when the ton bag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by reducing the swelling of the outer circumference generated by loading the net bag with the load. In case of cabbage, cabbage, and radish, So a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labor for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로 직조된 통풍이 용의한 톤백에 상층의 개구부에 고리(50)를 형성하여 크레인기구로서 고리에 걸어서 곡물이 담겨진 톤백의 이동을 용의하도록 제공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ntilating tone bag fabricated with a synthetic resin, which has a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망사 원단으로 이루어진 톤백으로 망사에 의한 통풍이 원활하며 물빠짐이 용의해서 포대 내부에 위치한 농산물이 통풍 부족으로 인해 변질 되거나 부패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ne bag made of a mesh fabric, which is smoothly ventilated by mesh, and is prevented from being deteriorated or corrupted due to insufficient ventilation due to water leakage.
또한, 망사의 문제점인 내용물의 충진시에 톤백 본체의 모양이 부풀어 올라 사각형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모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로와 세로로 보강띠(20, 30)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톤백의 아래 부분부터 적재물을 차곡차곡 쌓을 수 있도록 측면 개방형 톤백을 제공하는 데 있다.
Furthe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shape of the tone-back main body which can not maintain the shape of the quadrangle due to the swelling of the shape of the tone-back main body when filling the contents, which is a problem of the mesh, the shape is maintained by the reinforcing
또한, 한쪽 면을 개봉하였을 때 톤백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앞쪽으로 지지대(60)를 형성하는 띠를 첨가하여 물건 적제가 용의하도록 한다.
In addition, a band forming th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둘레가 망사 원단으로 이루어진 톤백은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가 가능하여 다수의 농민들이 사용할 수가 있게 됨은 물론이고 구조도 단순하여 노동생산성이 향상되면서 다량의 톤백을 직사각형의 팔렛트에 안착시키고 높은 높이로 적제하여도 안전하게 적제를 할 수 있게 되어 안전사고의 발생의 우려가 없게 되는 전면 개방이 가능한 톤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onne bag having the perimetric mesh fabric can be manufactured at an inexpensive price, so that it can be used by a large number of farmers. Moreover, sinc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labor productivity is improved, a large amount of ton- And can be safely applied even if it is filled at a high height, so that there is no fear of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측면 개방형 톤백에 의하여 톤백이 제작될 경우 배추, 양배추 무와 같은 큰 농산물을 담을때에도 통풍이 잘되어 장기간 보관이 용의하며 농가에서 부담없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작이 쉽고 제작비가 저렴하고 다량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ongue bag is produced by the side opening type ton b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large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cabbage and cabbage are packed, the structure is simple so that ventilation is good and long-term storage is possible. And can be manufactured in a large amount.
또한, 톤백의 외부에 가로 보강대(30)와 세로 보강대(20)에 의해 내용물의 형상에 따라 톤백 외주면의 부풀어오름을 방지하여 톤백 본체(100)의 사각형의 유지가 가능하며, 내부에 가로지지대(60)를 한번 더 설치하여 물건을 적제할 때 용의하게 하고 톤백의 적재와 보관시에 적제 물품의 손상이 줄고 통풍이 원할하여 냉방비가 줄어들어 경제적 이득이 생기며, 파랫트에 적재가 쉬워 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quadrangle of the tone-bag
또한, 물건의 적재시 차곡차곡 쌓아야 하는 적재물의 경우 측면부의 한쪽면이 개방 가능하여 사용의 편리함으로 노동력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load that must be piled up when the object is loaded, one side of the side portion can be open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labor force by the convenience of use.
도 1은 측면 개방형 톤백의 예시도.
도 2는 톤백의 저면부의 예시도.
도 3은 톤백의 측면부 예시도.
도 4는 측면개방형톤백의 전면 개방부 예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n illustration of a side opening tone bag.
2 is an exemplary view of a bottom portion of a tone bag;
3 is a side view of the tone bag.
4 is an illustration of a front opening of a side opening type tone bag.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개방형 톤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의 망사로 직조되고 전면(11), 후면(12), 우측면(13), 좌측면(14)의 네개의 측면과 저면(40)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개방된 직육면체의 톤백본체(100)가 형성되어 있다.
The side opening type ton b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ven with a mesh of synthetic resin and has four sides of the
상기 톤백본체(100)의 저면(40)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측면과 가로보강대(30) 겹쳐지게 제봉하여 망사로된 바닥의 사각면에 형상이 유지되도록 제작한다.
The
상기 도 1과 같이 톤백본체(100)에는 측면에 세로보강대(20)가 세로방향과 저면(40)으로 연장되면서 네개의 모서리의 상부면에 고리부(50)를 형성하고 저면(40)에는 도 2의 예시도에 나타난 것과 같이 우물 정(井)과 같은 저면보강부(21)가 형성되고 합성수지로 직조된 세로보강대(20)와, 상기 톤백본체(100)의 측면이 보강되게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게 고정되고 합성수지로 직조된 복수의 가로보강대(30)를 포함한다. 상기 가로보강대(30)와 세로보강대(20)는 측면에서 망사위에 도 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각 보강대가 체크무늬를 형성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 the tonne bag
톤백본채(100)의 전면(11)은 좌측면(14)과 우측면(13)에 재봉이 되어 완전하게 결합하지 않고 절개 되어 있으며 전면(11)은 저면(40)과만 결합되고, 절개되어 있는 전면(11)은 좌측면(14)과 우측면(13)이 아래부터 25cm간격으로 버클을 장착하여 버클을 모두 채웠을 경우 완전한 톤백의 형상을 유지하며 버클을 풀렀을 경우 직육면체의 앞쪽면이 완전히 개봉되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The
상기 버클을 간격은 25cm로 한정하지 않고 톤백의 크기와 용도에 의해서 조절이 가능하며, 다만 전면(11)의 개봉과 잠금과 용의하며, 적제물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각각 측면당 3개 이상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The buckle can be adjusted by the size and use of the tone bag without limiting the gap to 25 cm. However, the buckle is provided for opening and locking the front face (11) and installing more than three buckles per side In principle.
상기 톤백본체(100)의 전면(11)은 우측면(13), 좌측면(14)과 절개되어 있고, 상기 전면(11)은 바닥면(40)에 제봉되어 접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면(11)은 우측면(13)과 좌측면(14)이 모두 바닥면(40)으로부터 같은 높이의 간격으로 버클을 달아서 상층부까지 버클을 채울경우 완전한 톤백을 형성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톤백본체(100)는 통풍이 가능하며 내부에 담긴 내용물을 육안으로 식별이 용의하게 망사형의 망체로 제조되고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 프로필렌(PP)로 제조된다. 상기 세로보강대(20)와 가로보강대(30)는 내용물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게 튼튼하게 직조되도록 폴리 프로필렌(PP)으로 직조되어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ne-back
상기와 같이 망사로 제조된 톤백은 통풍은 좋으나 곡물이나 흙 등을 담는 마대와 다르게 소재 특성상 물건 적제시 하중에 의해 부풀어 올라 사각형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크레인을 이용한 운반과 저장 창고내의 사각 팔레트에 형상을 유지하여 저장할 경우 적제된 물체의 훼손이 증가되며, 물건 적제시 일정량을 적제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망사형이 아닌 단단한 PP소재의 세로 보강대(20)와 가로 보강대(30)로 톤백의 모양을 유지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tonne bag made of mesh is good in ventilation, but unlike a garment for holding grain or soil, i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shape of a quadrangle by swelling due to a product presentation load. The above-mentioned problem is that when the shape is maintained in the rectangular pallet in the transportation and storage warehouse using the crane, the damage of the loaded object is increased and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certain amount of presentation of object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the shape of the tone bag is to be maintained by the
상기 실시예에서는 톤백의 전면(11)을 우측면(13), 좌측면(14)과 절개되어 있으면서 물건을 적재하면서 버클을 도1과 같이 체결하여 톤백에 물건의 적재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상기의 체결 수단으로는 버클 외에도 지퍼, 벨크로, 스냅단추, 끈, 연결고리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도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실시 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상기 톤백 본체(100)의 전면(11)을 개방을 하게되면 앞에 가로지지대(60)를 형성하여 톤백이 비었을때도 우측면(13)과 좌측면(14)이 서로 지지가 되어 형상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며, 물건 적제시에도 서로 지지되어 물건 적제가 쉽게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가로 지지대는 도3에 예시로 나타내었고, 도면에는 상기의 가로 지지대를(60) 재봉하여 부착하였으나, 버클, 고리, 끈, 벨크로와 같은 체결 수단을 사용하여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the
상기 가로지지대(60)는 버클 간격과 동일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지지를 위해서 톤백의 크기에 따라 1~5개 까지 설치가 가능하다. 가로지지대(60)는 톤백 본체의 우측면(13)과 좌측면(14)이 전면(11)과 만나는 위치에 설치하고 전면(11)이 개방하였어도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하며, 높이는 용도에 따라 설치가 가능하다.
The lateral supports 60 can be installed in the same manner as the buckle intervals, and can be installed from 1 to 5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tone bag. The
상기 가로지지대(60)는 형상 유지를 위해서 가로보강대(30), 세로보강대(20)와 같은 PP소재를 사용하여 힘을 받아 단단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로 지지대는(60) 그 크기가 5~15cm로 톤백의 크기에 따라 다양 하게 가로지지대의 크기가 변동이 가능하나, 물건을 적제할 때 방해지 않으며, 지지할 수 힘이 있어야 함으로 그 크기를 상기와 같이 5~15cm로 지정하였다.
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상기 톤백은 배추와 무와 같이 크기가 커서 아래부터 차곡차곡 채워야하는 물건을 적재할 때 망사로 되어 물 빠짐이 용의하며 통풍이 좋으며, 적제물을 아래부터 차곡차곡 채우고 일정한 높이에 오면 버클을 아랫단부터 채우는 방식으로 하여 물건의 적제가 편리하다며 적제물이 쏟아지지 않게 안정감있게 채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끝까지 채워서 전면을 부착시키는 것이 아닌 채워나가면서 아래부터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물건의 적재시 쏟아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tone bag is made of nettle when it is loaded like a cabbage and a radial object such as a radish and is filled with wat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filled in a stable manner so that the enemy is not poure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attach it from the bottom without filling the entire area to fill it to the end and to fill it, so that it can be safely used so as not to be poured when the object is loaded.
또한, 가로보강대(30)와 세로보강대(20)의 형성으로 톤백(100)이 망사로 되어있음에도 적제된 물건에 의한 부풀어 오름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톤백의 직사각형 형상을 안정감 있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horizontal reinforcing
상기 톤백본체(100)의 상층부에 고리(50)는 재봉으로 형성되어 크레인 등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들어올릴 때 걸수 있도록 제작한다. 도면 1의 예시에서는 전면부 고리를 연결하는 방벙으로 버클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전면부에 고리를 설치할 경우, 버클, 연결고리, 지퍼, 벨크로, 스냅단추, 끈 중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도 가능하다. 상기의 전면개방을 위해서 고리는 모서리에 위치하지 않고 전면(11), 후면(12), 우측면(13), 좌측면(14)의 상층부 중간에 위치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The
톤백의 본체에 상층부는 개봉이 되어 있도록 제작이 되어 있으나 덮개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덮개는 상층부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막기 위한 개폐 용도이고, 아울러 통풍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는 상층부의 입구를 따라 연결되고 전면(11)에는 연결하지 않아 전면 개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덮게는 톤백 본체와 같이 망사로 제작이 가능하며, 마대, 통풍형 메시(mesh) 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The upper part of the tone bag is made to be open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 cover. The lid is use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of the upper layer portion, and can also serve as a ventilation function. This lid is connected along the mouth of the upper part and is not connected to the
상기 망사용 덮개는 조임끈으로 조여 덮개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net use lid can be fastened with a clamping lug to fix the lid.
상기 톤백의 형상 유지를 위해서 톤백의 버클에 고정되어 있는 전면부뒤에 가로 지지대(60)를 형성한다. 상기 가로지지대(60)는 버클을 모두 개방하여 물건을 적재할 때 톤백의 형상을 유지 하기 위해서 1~5개까지 톤백의 크기에 따라 설치가 가능하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5~15cm크기의 PP로 형성된 단단히 띠로 재봉하여 설치 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 유지를 위해서 모서리에 모서리 형성대(7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tone bag, a transverse support (60) is formed behind the front part fixed to the buckle of the tone bag. 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tone bag when the buckle is opened by opening all the buckles, the
상기와 같이 모서리에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모서리 형성대(7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모서리에 가로보강대(30)의 모서리 사이에 재봉으로 설치하거다 또는 세로 보강대(20)의 모서리를 연결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재봉으로 만듦으로써 형상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한다.
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at the corners as described above, the
톤백본체의 모서리의 내측에서 서로 인접한 측면에서 내부공간을 가로질러서 연결되는 모서리형성대가 각 모서리마다 2개 내지 5개가 고정되어 내용물의 충진시에 모서리에 고정된 모서리형성대(70)가 긴장되면서 모서리가 형성되어 톤백본체의 사각형의 유지가 가능하게 되도록 한다(도 1).
Two to five corner fixing bases connected to each other across the inner space at the side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inner side of the corner of the tonne bag main body are fixed so that the
<실시예>
<Examples>
톤백본체(100)는 망사로 제조되었으며, 가로보강대(30)와 세로보강대(20)를 형성하여 톤백에 물건을 적제하여 이동 보관시 부풀어 오름울 줄였으며, 상기 세로 보강대(20)와 연결하여 상층부에 모서리로 크레인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고리(50)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50)는 전면과는 버클로 체결되어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저면에는 저면보강부(20)가 설치되어 저면이 안정적으로 유지 되도록 한다.
The tonne bag
또한, 측면 중 전면은 측면과 절개되고 버클을 저면부터 20cm 간격으로 설치되어 버클(10)을 모두 채웠을 경우 완전한 톤백의 모양을 형성하며, 전면(11)의 버클(10)을 모두 풀러 개봉하였을 경우 우측면(13)과 좌측(14)면의 전면부와 체결되는 부분쪽에 가로 지지대(60)가 형성이 된다.
When the
상기 가로지지대(60)는 우측면과 좌측면에 재봉으로 결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바닥면으로부터 40cm 간격으로 2개를 설치한다. 상기 가로 지지대(60)는 폭이 7cm의 PP원단으로 하여 제작한다.
The transverse supports 60 are attached to the right side surface and the left side surface by sewing, and two
상기 실시예의 경우 망사로 된 톤백에 측면이 개방 가능 하도록 제작하여 세로보강대, 가로보강대, 가로지지대를 포함하여 제작하였으나 상기 보강대와 지지대는 임의로 생략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덮개를 생략하였으나 덮개를 포함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netback is made to be openable to the side surface of the tonne bag,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bar, the horizontal reinforcing bar, and the horizontal supporting bar are manufactured. However, the reinforcing bar and the supporting bar may be omitted arbitrarily. Although the lid is omitted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a lid including the lid.
측면이 개방되는 톤백은 망사로 제작하여 예시를 하였으나 톤백 본체가 마대, 통풍형 메시와 같이 다른 톤백의 소재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차곡차곡 쌓을 수 있는 적재물의 경우, 물건을 적재하였을 때 부풀어 오름이 생기지 않는 물건을 적재 할 경우가 있으므로 가로보강대(30)와 세로보강대(20)를 포함하지 않는 측면이 개방되는 톤백도 제작이 가능하다. Although the tone bag with the open side is exemplified as a mesh, the tone bag body can be made of another tone bag material such as a saddle or a ventilation mesh.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load that can be piled up, there is a case where an object which does not swell up when the object is loaded may be loaded, so that the side surface not including the
상기와 같이 측면 개방형 톤백은 망사로 직조되어 있는 전면(11), 우측면(13), 좌측면(14), 후면(12)의 네 개의 측면과 저면(40)에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세로보강대(20)와 가로보강대(30)와 저면보강부(21)와 모서리형성대(70)가 한 개나 또는, 2개 이상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side opening type ton bag is provided with four side surfaces of the
100 : 측면 개방형 망사 톤백 본체
10 : 버클 11 : 전면
12 : 후면 13 : 우측면
14 : 좌측면 20 : 세로 보강대
21 : 저면보강부 30 : 가로 보강대
40 : 저면 50 : 고리
60 : 가로지지대 70 : 모서리형성대100: side opening type mesh tone back body
10: buckle 11: front
12: rear surface 13: right side
14: left side 20: vertical rib
21: bottom reinforcement part 30: transverse reinforcement bar
40: bottom 50: ring
60: transverse support 70: corners
Claims (5)
합성수지 직조되어있는 전면(11), 우측면(13), 좌측면(14), 후면(12)의 네 개의 측면과 저면(40)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개방된 톤백본체(100)를 포함하고,
톤백본체(100)의 전면(11)은 우측면(13)과 좌측면(14)에서 절개되어 있으며 저면(40)은 부착이 되어있는 전면(11)을 이루며;
상기 전면(11)은 우측면(13)과 좌측면(14)에 체결수단에 의해 각각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전면(11)의 안쪽에는 가로지지대(60)를 톤백의 크기에 따라 1 ~ 5 개까지 형성하며;
상기 체결수단으로는 버클, 지퍼, 벨크로, 스냅단추, 끈, 연결고리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도록 하며;
망사로 직조되어 있는 전면(11), 우측면(13), 좌측면(14), 후면(12)의 네 개의 측면과 저면(40)에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세로보강대(20)와 가로보강대(30)와 저면보강부(21)와 모서리형성대(70)가 한 개나 또는, 2개 이상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측면 개방형 톤백.
In a side opening type ton bag which must be piled up and loaded like a cabbage, a cabbage, and a radish,
The upper portion includes an open tone bag body 100, which is composed of a synthetic resin woven front surface 11, a right side surface 13, a left side surface 14, four side surfaces and a bottom surface 40 of the rear surface 12,
The front surface 11 of the tonneau body 100 is cut at the right and left sides 13 and 14 and the bottom surface 40 forms the front surface 11 to which it is attached;
The front surface 11 is connected to the right side surface 13 and the left side surface 14 by fastening means, respectively;
In the inside of the front surface 11, 1 to 5 transverse supports 60 are form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tone bag;
Wherein the fastening means is constituted by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buckle, a zipper, a velcro, a snap button, a string, and a connecting ring;
The longitudinal ribs 20 and the lateral ribs 30 are formed on the four side surfaces and the bottom surface 40 of the front surface 11, the right surface 13, the left surface 14 and the rear surface 12, Side reinforcing portion 21 and corner forming portion 70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to maintain a shape.
상부에 덮개가 형성이 가능한 측면 개방형 톤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ide-opening ton back with a cover on top.
합성 수지로 직조된 톤백본채는 망사, 마대, 통풍형 메시(mesh)의 어느 한 형태로 형성된 전면(11), 우측면(13), 좌측면(14), 후면(12)과, PP(Poly-propylene)나 PE(Polyethylene)의 합성수지로 제작이된 세로보강대(20), 가로보강대(30), 저면보강부(21), 가로지지대(60), 모서리형성대(70), 고리(50)가 형성된 측면 개방형 톤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ne backbone woven with a synthetic resin has a front surface 11, a right surface 13, a left surface 14 and a rear surface 12 formed in a mesh, a saddle, a ventilated mesh, the vertical reinforcement 20,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30, the bottom reinforcement 21, the transverse support 60, the edge formation 70 and the collar 50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propylene or polyethylene Formed side open tone ba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8688A KR101688096B1 (en) | 2016-03-10 | 2016-03-10 | Open side tonbae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8688A KR101688096B1 (en) | 2016-03-10 | 2016-03-10 | Open side tonbae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88096B1 true KR101688096B1 (en) | 2016-12-20 |
Family
ID=57734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8688A Active KR101688096B1 (en) | 2016-03-10 | 2016-03-10 | Open side tonbae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8096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7701Y1 (en) * | 2018-03-15 | 2018-10-24 |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 Foldable container specially used for storage of agricultural products |
KR101941779B1 (en) | 2017-07-21 | 2019-01-23 | 추형근 | A Spread out type bulk-bag |
KR101958001B1 (en) * | 2017-10-16 | 2019-03-14 | 이정민 | Multipurpose ton bag |
KR20190073894A (en) * | 2017-12-19 | 2019-06-27 | 손상민 | Tonbaek openable and closablr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91792U (en) * | 1987-12-07 | 1989-06-15 | ||
KR20040066622A (en) | 2003-01-20 | 2004-07-27 | (주)씨큐텍 | Internet leads and the person gift certificate sale and the method which it uses |
KR20100023125A (en) * | 2008-08-21 | 2010-03-04 | 김경진 | Open type functional ton bag |
KR20100002536U (en) | 2008-08-29 | 2010-03-1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module |
KR101397623B1 (en) | 2013-07-12 | 2014-05-23 | 김흥이 | Ton bag for keeping of form |
-
2016
- 2016-03-10 KR KR1020160028688A patent/KR10168809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91792U (en) * | 1987-12-07 | 1989-06-15 | ||
KR20040066622A (en) | 2003-01-20 | 2004-07-27 | (주)씨큐텍 | Internet leads and the person gift certificate sale and the method which it uses |
KR20100023125A (en) * | 2008-08-21 | 2010-03-04 | 김경진 | Open type functional ton bag |
KR20100002536U (en) | 2008-08-29 | 2010-03-1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module |
KR101397623B1 (en) | 2013-07-12 | 2014-05-23 | 김흥이 | Ton bag for keeping of form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1779B1 (en) | 2017-07-21 | 2019-01-23 | 추형근 | A Spread out type bulk-bag |
KR101958001B1 (en) * | 2017-10-16 | 2019-03-14 | 이정민 | Multipurpose ton bag |
KR20190073894A (en) * | 2017-12-19 | 2019-06-27 | 손상민 | Tonbaek openable and closablr |
KR101994349B1 (en) * | 2017-12-19 | 2019-06-28 | 손상민 | Tonbaek openable and closablr |
KR200487701Y1 (en) * | 2018-03-15 | 2018-10-24 |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 Foldable container specially used for storage of agricultural product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88096B1 (en) | Open side tonbaek | |
KR101397623B1 (en) | Ton bag for keeping of form | |
KR101688098B1 (en) | Tonbaek production methods to mesh | |
US6662962B2 (en) | Flexible liner for shipping bulk load inside shipping containers and method for placing said flexible liner for shipping bulk load into a shipping container | |
KR101235558B1 (en) | Ton bag | |
US4868955A (en) | Device for stabilizing a cluster of articles | |
KR101922377B1 (en) | Baffle type container bag | |
US4307764A (en) | Bulk material transport bag | |
US20070127852A1 (en) | Lifting Bag | |
JP6298333B2 (en) | Self-supporting flexible container | |
US5073035A (en) | Bulk carrying bag | |
US20120281932A1 (en) | Flexible bulk storage container having a discharge chute | |
US20230150728A1 (en) | Firewood transport & storage assembly | |
US20130015184A1 (en) | Reusable cover with integrated fasteners for transporting goods on an industrial shipping rack | |
KR101594160B1 (en) | Sack for storage | |
EP0280494A2 (en) | Container liner | |
KR101704209B1 (en) | Ton Bag | |
KR20100011810U (en) | Sandbag | |
US20110024471A1 (en) | Cargo bags | |
KR200475490Y1 (en) | Mesh tonbag having a strengthen cover | |
KR101935827B1 (en) | Standing Ton Bag with Side Opening for Enhanced Loading/Unloading Stability | |
KR102053797B1 (en) | Ton Bag with Upper and Lower Openings | |
JPH0350071Y2 (en) | ||
EP0732249A1 (en) | Device for the protection of plants | |
JP5189554B2 (en) | Container interior ba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3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3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12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