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7874B1 -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 - Google Patents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874B1
KR101687874B1 KR1020140129392A KR20140129392A KR101687874B1 KR 101687874 B1 KR101687874 B1 KR 101687874B1 KR 1020140129392 A KR1020140129392 A KR 1020140129392A KR 20140129392 A KR20140129392 A KR 20140129392A KR 101687874 B1 KR101687874 B1 KR 101687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meth
compound
chemical formula
rad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7599A (ko
Inventor
허은수
박광승
이미린
박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PCT/KR2014/00913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47004A1/ko
Priority to CN201480046265.3A priority patent/CN105555890B/zh
Priority to JP2016533261A priority patent/JP6275842B2/ja
Priority to US14/902,535 priority patent/US9790403B2/en
Priority to TW103133929A priority patent/TWI541308B/zh
Publication of KR20150037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8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0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henols, e.g. 2-hydroxyethyl (meth)acrylate or glycerol mono-(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1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only one oxygen, e.g. furfuryl (meth)acrylate or 2-methoxy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8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glycid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J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09J133/2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amide or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1Polarizer or dy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5Ester polymer, e.g. polycarbonate, polyacrylate or polyes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09K2323/057Ester polymer, e.g. polycarbonate, polyacrylate or polyes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09K2323/059Unsaturated aliphatic polymer, e.g. viny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분자 내에 3개의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및 (C) 라디칼 개시제를 포함하는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RADICAL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MEMB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편광자와 보호 필름간에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면서도, 내수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통상 이색성 염료 또는 요오드로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이하 'PVA'라 함)계 수지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보호 필름을 적층한 구조로 사용되어 왔다. 종래에는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triacetyl cellulose)계 필름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TAC 필름의 경우 고온, 고습 환경에서 쉽게 변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TAC 필름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의 보호 필름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싸이클로올레핀 폴리머(COP, cycloolefin polymer), 아크릴계 필름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이때,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부착시키는데 사용되는 접착제로는 주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수계 접착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수계 접착제의 경우, 보호 필름으로 TAC이 아닌 아크릴계 필름이나 COP 필름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접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필름 소재에 따라 그 사용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계 접착제의 경우, 소재에 따른 접착력 불량 문제 외에도, PVA 소자의 양면에 적용되는 보호 필름의 소재가 다를 경우, 수계 접착제의 건조 공정에 의한 편광판의 컬(curl) 발생의 문제 및 초기 광학 물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더욱이, 상기 수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건조공정이 반드시 필요하고, 이러한 건조공정에서 투습율, 열팽창 등의 차이가 발생하여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수계 접착제 대신에 비수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현재까지 제안된 편광판용 비수계 접착제는 경화방식에 따라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와 양이온 경화형 접착제로 나눌 수 있다. 양이온 경화형 접착제의 경우 다양한 소재의 필름들에 대해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는 장점이 있으나, 느린 경화속도 및 낮은 경화도로 인해 제조 공정상 많은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양이온 경화형 접착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크릴계 또는 아크릴 아마이드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아크릴계 또는 아크릴 아마이드계 화합물을 주 성분으로 하는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의 경우, 양이온 경화형 접착제에 비해 경화 속도가 빠르기는 하나, 내수성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물을 많이 사용하여 고습 환경인 편광판 제조 공정에 있어서 편광자 내의 요오드 이온이 영향을 받아 탈색이 일어나는 등 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또는 아크릴 아마이드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의 경우, 라디칼 경화 후 접착제의 유리전이온도가 낮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편광판의 내열 신뢰성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편광자와 보호 필름간에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면서도, 내수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새로운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다른 측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영상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 및/또는 하부 기판에 편광판을 점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한 구조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박형화를 위하여 편광자의 일면에만 접착제를 이용하여 보호 필름을 적층하고, 편광자의 보호 필름이 적층된 면의 반대면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보호 필름 없이 점착제를 매개로 직접 부착하여 사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구조의 편광판을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점착제로는 주로 아크릴계 점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의 경우 통상 적당한 점착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0㎛ 정도의 두께가 필요하며,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박형 경량화의 추세에 부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이형 필름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 용매를 건조한 다음, 샘플 표면에 전사하는 방법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바, 디스플레이 장치에 편광판을 부착함에 있어서 번거로움이 많으며,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의 경우 통상 유리전이온도가 0℃ 이하인바, 이를 편광자에 직접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열충격 신뢰성 테스트에서 편광자에 크랙이 발생하는 등 내열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박형으로 형성이 가능하며, 편광판과 디스플레이 패널 부착에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열신뢰성이 우수한 새로운 부착 수단 역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편광자와 보호 필름간에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면서도, 내수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며, 박형으로 형성이 가능하고,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부착뿐만 아니라 편광자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착에도 사용될 수 있는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A)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분자 내에 3개의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및 (C) 라디칼 개시제를 포함하는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A)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40 내지 93 중량부; (B)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1 내지 30 중량부; 및 (C) 라디칼 개시제 0.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A)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a-1)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히드록시기 및 적어도 1개의 (메트)아크릴기를 포함하는 라디칼 중합성 제 1 화합물; 및 (a-2)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히드록시기, 적어도 1개의 벤젠 고리 또는 시클로헥산 고리, 및 적어도 2개의 (메트)아크릴기를 포함하는 라디칼 중합성 제 2 화합물의 혼합물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a-1) 제 1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92088770-pat00001

[화학식 2]

[화학식 3]
Figure 112014092088770-pa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14092088770-pat00004

[화학식 5]
Figure 112014092088770-pat00005

[화학식 6]
Figure 112014092088770-pat00006

[화학식 7]
Figure 112014092088770-pat00007

[화학식 8]
Figure 112014092088770-pat00008

[화학식 9]
Figure 112014092088770-pat00009

[화학식 10]
Figure 112014092088770-pat00010

[화학식 11]
Figure 112014092088770-pat00011

[화학식 12]
Figure 112014092088770-pat00012

[화학식 13]
Figure 112014092088770-pat00013

[화학식 14]
Figure 112014092088770-pat00014

[화학식 15]
Figure 112014092088770-pat00015

[화학식 16]
Figure 112014092088770-pat00016

[화학식 17]
Figure 112014092088770-pat00017

[화학식 18]
Figure 112014092088770-pat00018

[화학식 19]
Figure 112014092088770-pat00019

[화학식 20]
Figure 112014092088770-pat00020

[화학식 21]
Figure 112014092088770-pat00021

또한, 상기 (a-2) 제 2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2] 내지 [화학식 2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화학식 22]
Figure 112014092088770-pat00022

[화학식 23]
Figure 112014092088770-pat00023

[화학식 24]
Figure 112014092088770-pat00024

한편, 상기 (B)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
Figure 112014092088770-pat00025
상기 [화학식 I]에서,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1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 ~14 시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14 아릴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X1, X2 및 X3는 각각 독립적으로 O(산소) 또는 N(질소)임.
한편, 상기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D) 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의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D)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있어서 5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Ⅱ] 및/또는 [화학식 Ⅲ]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학식 Ⅱ]
Figure 112014092088770-pat00026
상기 [화학식 Ⅱ]에서,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1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 ~14 시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14 아릴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X4 및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O(산소) 또는 N(질소)임.
[화학식 Ⅲ]
Figure 112014092088770-pat00027
상기 [화학식 Ⅲ]에서, R1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1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 ~14 시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14 아릴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X6는 각각 독립적으로 O(산소) 또는 N(질소)임.
한편, 상기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E) 다관능성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E) 다관능성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은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있어서 5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 다관능성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Ⅳ] 내지 [화학식 Ⅵ]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학식 Ⅳ]
Figure 112014092088770-pat00028
상기 [화학식 Ⅵ]에서,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임.
[화학식 Ⅴ]
Figure 112014092088770-pat00029
상기 [화학식 Ⅴ]에서, R15, R16 및 R17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이고, R18는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 히드록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10 알킬기임.
[화학식 Ⅵ]
Figure 112014092088770-pat00030
상기 [화학식 Ⅵ]에서, R19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10 알킬렌이고, R20 및 R21은 각각 독립적으로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임.
한편, 상기 라디칼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층의 두께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경화 후 유리전이온도가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점도가 70cP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접착제층; 및 상기 접착제층 상에 형성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인 편광판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외면에 접착제층을 매개로 부착되는 편광자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인 광학 부재 역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다양한 소재의 필름들, 예를 들어, TAC 필름, 아크릴계 필름, COP 필름, PET 필름 등에 대해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고, 높은 습도 상황에서도 편광자의 탈색이 발생하지 않는 등 내수성이 우수하며, 경화 후 유리전이온도가 높은바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편광판의 내열성이 우수하고, 나아가 낮은 점도를 가지는바 접착제층을 보다 얇게 형성이 가능하며, 작업성 역시 우수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나아가 편광자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크릴계 점착제 등에 비하여 박형화가 가능하며, 인-라인(in-line) 공정으로 편광자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는바 우수한 생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크릴계 점착제 등에 비하여 내열신뢰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1.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본 발명자들은 연구를 거듭한 결과,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접착제 조성물에 분자 내에 3개의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접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수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며, 나아가 저 점도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A)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분자 내에 3개의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및 (C) 라디칼 개시제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있어서, (A)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40 내지 93 중량부, (B)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1 내지 30 중량부, 및 (C) 라디칼 개시제 0.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1-1. 친수성기 포함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A)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접착제의 접착력을 구현하기 위한 성분으로,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친수성 관능기를 가짐으로써 수소 결합을 통한 접착력 구현이 가능하고, 또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 분자 내에 탄소간 불포화 이중 결합이 존재함으로써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것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친수성 관능기는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우레탄기, 아민기, 아마이드기 등 수소 결합이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 되는 것은 아니나, 그 중에서도 특히 히드록시기인 것이 우수한 접착력의 구현을 위하여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A)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a-1)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히드록시기 및 적어도 1개의 (메트)아크릴기를 포함하는 라디칼 중합성 제 1 화합물; 및 (a-2)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히드록시기, 적어도 1개의 벤젠 고리 또는 시클로헥산 고리, 및 적어도 2개의 (메트)아크릴기를 포함하는 라디칼 중합성 제 2 화합물의 혼합물인 것이 본 발명의 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특히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a-1) 제 1 화합물은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며, 적어도 1개의 (메트)아크릴기를 포함하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나,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후술하는 (a-2) 제 2 화합물에 해당하는 것은 (a-1) 제 1 화합물에서 제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a-1) 제 1 화합물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92088770-pat00031

[화학식 2]
Figure 112014092088770-pat00032

[화학식 3]
Figure 112014092088770-pat00033

[화학식 4]
Figure 112014092088770-pat00034

[화학식 5]
Figure 112014092088770-pat00035

[화학식 6]
Figure 112014092088770-pat00036

[화학식 7]
Figure 112014092088770-pat00037

[화학식 8]
Figure 112014092088770-pat00038

[화학식 9]
Figure 112014092088770-pat00039

[화학식 10]
Figure 112014092088770-pat00040

[화학식 11]
Figure 112014092088770-pat00041

[화학식 12]
Figure 112014092088770-pat00042

[화학식 13]
Figure 112014092088770-pat00043

[화학식 14]
Figure 112014092088770-pat00044

[화학식 15]
Figure 112014092088770-pat00045

[화학식 16]
Figure 112014092088770-pat00046

[화학식 17]
Figure 112014092088770-pat00047

[화학식 18]
Figure 112014092088770-pat00048

[화학식 19]
Figure 112014092088770-pat00049

[화학식 20]
Figure 112014092088770-pat00050

[화학식 21]
Figure 112014092088770-pat00051

또한, 상기 (a-2) 제 2 화합물은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고, 적어도 1개의 벤젠 고리 또는 시클로헥산 고리를 포함하며, 적어도 2개의 (메트)아크릴기를 포함하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a-2) 제 2 화합물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22] 내지 [화학식 2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화학식 22]
Figure 112014092088770-pat00052

[화학식 23]
Figure 112014092088770-pat00053

[화학식 24]
Figure 112014092088770-pat00054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함량은 전체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있어서, 40 내지 93 중량부정도,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 중량부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90 중량부정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함량으로 포함되는 경우 우수한 접착력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1-2. 3관능성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B)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B) 분자 내에 3개의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접착제의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키고, 나아가 우수한 내수성 및 내열성 확보하기 위한 성분으로, 분자 내에 3개의 (메트)아크릴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중에서도 특히 분자 내에 세 개의 (메트)아크릴기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 분자 내에 하나 또는 두 개의 (메트)아크릴기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 대비, 우수한 열충격 안정성 및 내열성 역시 확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저 점도의 구현이 더욱 용이하였다.
한편,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B)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한 효과가 특히 우수하기 때문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14092088770-pat00055
상기 [화학식 I]에서,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1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 ~14 시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14 아릴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X1, X2 및 X3는 각각 독립적으로 O(산소) 또는 N(질소)이다.
이때, 상기 R1, R2 및 R3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기는 1 내지 10개, 또는 1 내지 8개,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2가 탄화수소 부위를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 상기 알킬렌기는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알킬렌기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메틸렌, 에틸렌, 트리메틸렌, 테트라메틸렌, 펜타메틸렌, 헥사메틸렌, 헵타메틸렌, 노나메틸렌, 데카메틸렌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알킬렌기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임의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1, R2 및 R3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알킬렌기는 4 내지 14개, 또는 4 내지 10개, 또는 4 내지 6개의 고리 탄소의 비방향족 2가 모노사이클릭, 바이사이클릭 또는 트리사이클릭 탄화수소 부위를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 상기 알킬렌기는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시클로알킬렌기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2가의, 시클로펜탄 고리, 시클로헥산 고리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시클로알킬렌기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임의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1, R2 및 R3에 있어서, 상기 아릴렌기는 6 내지 14개, 또는 6 내지 12개의 고리 원자를 가지는 2가 모노시클릭, 바이시클릭 또는 트리시클릭 방향족 탄화수소 부위를 의미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2가의, 벤젠 고리, 나프탈렌 고리, 안트라센 고리, 비페닐 고리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아릴렌기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임의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R1, R2 및 R3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그 중에서도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10 알킬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8 알킬렌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4 알킬렌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B)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5] 내지 [화학식 3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화학식 25]
Figure 112014092088770-pat00056

[화학식 26]
Figure 112014092088770-pat00057
.
[화학식 27]
Figure 112014092088770-pat00058

[화학식 28]
Figure 112014092088770-pat00059

[화학식 29]
Figure 112014092088770-pat00060

[화학식 30]
Figure 112014092088770-pat00061

한편, 본 발명의 (B)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의 함량은 전체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있어서, 1 내지 30 중량부정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부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29 중량부정도일 수 있다.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을 이보다 적게 첨가하여 사용하는 경우 열충격 안정성 및 내수성 확보가 어려우며, 점도가 높다. 또한 이보다 많이 첨가하여 사용하는 경우 접착력이 하락하는 결과를 보인다.
1-3. 라디칼 개시제 (C)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C)라디칼 개시제는, 라디칼 중합성을 촉진하여 경화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라디칼 개시제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라디칼 개시제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펜닐-케톤(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온(2-Hydroxy-2-methyl-1-phenyl-1-propanone), 2-히드록시-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1-프로판온(2-Hydroxy-1-[4-(2-hydroxyethoxy) phenyl]-2-methyl-1-propanone), 메틸벤조일포르메이트(Methylbenzoylformate), 옥시-페닐-아세트산-2-[2-옥소-2-페닐-아세톡시-에톡시]-에틸 에스테르(oxy-phenyl-acetic acid -2-[2 oxo-2phenyl-acetoxy-ethoxy]-ethyl ester), 옥시-페닐-아세트산-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틸 에스테르(oxy-phenyl-acetic acid-2-[2-hydroxy-ethoxy]-ethyl ester), 알파-디메톡시-알파-페닐아세토페논(alpha-dimethoxy-alpha-phenylacetophenone), 2-벤질-2-(디메틸아미노)1-[4-(4-모르폴리닐) 페닐]-1-부타논(2-Benzyl-2-(dimethylamino)-1-[4-(4-morpholinyl) phenyl]-1-butanone), 2-메틸-1-[4-(메틸티오)페닐]-2-(4-모르폴리닐)-1-프로판온(2-Methyl-1-[4-(methylthio)phenyl] -2-(4-morpholinyl)-1-propanone), 디페닐 (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Diphenyl (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phenylbis(2,4,6-trimethylbenzoyl)-phosphineoxid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phenylbis(2,4,6-trimethylbenzoyl)-phosphineoxide)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C) 라디칼 개시제의 함량은 예를 들면,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0.5 내지 20 중량부, 0.5 내지 15 중량부 또는 0.5 내지 10 중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디칼 개시제의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접착제의 경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1-4. 추가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D)
본 발명에 따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보다 우수한 접착력 및 내수성 효과를 얻기 위하여, (D) 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의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A)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분자 내에 3개의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C) 라디칼 개시제; 및 (D) 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의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D)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의 (메트)아크릴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D)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Ⅱ] 및/또는 [화학식 Ⅲ]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한 효과가 특히 우수하기 때문이다.
[화학식 Ⅱ]
Figure 112014092088770-pat00062
상기 [화학식 Ⅱ]에서,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1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 ~14 시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14 아릴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X4 및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O(산소) 또는 N(질소)임.
이때, 상기 R7 및 R8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기는 1 내지 10개, 또는 1 내지 8개,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2가 탄화수소 부위를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 상기 알킬렌기는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알킬렌기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메틸렌, 에틸렌, 트리메틸렌, 테트라메틸렌, 펜타메틸렌, 헥사메틸렌, 헵타메틸렌, 노나메틸렌, 데카메틸렌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알킬렌기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임의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7 및 R8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알킬렌기는 4 내지 14개, 또는 4 내지 10개, 또는 4 내지 6개의 고리 탄소의 비방향족 2가 모노사이클릭, 바이사이클릭 또는 트리사이클릭 탄화수소 부위를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 상기 알킬렌기는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시클로알킬렌기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2가의, 시클로펜탄 고리, 시클로헥산 고리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시클로알킬렌기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임의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7 및 R8에 있어서, 상기 아릴렌기는 6 내지 14개, 또는 6 내지 12개의 고리 원자를 가지는 2가 모노시클릭, 바이시클릭 또는 트리시클릭 방향족 탄화수소 부위를 의미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2가의, 벤젠 고리, 나프탈렌 고리, 안트라센 고리, 비페닐 고리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아릴렌기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임의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R7 및 R8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그 중에서도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10 알킬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8 알킬렌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4 알킬렌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화학식 Ⅲ]
Figure 112014092088770-pat00063
상기 [화학식 Ⅲ]에서, R1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1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 ~14 시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14 아릴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X6는 각각 독립적으로 O(산소) 또는 N(질소)임.
이때, 상기 R11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기는 1 내지 10개, 또는 1 내지 8개,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2가 탄화수소 부위를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 상기 알킬렌기는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알킬렌기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메틸렌, 에틸렌, 트리메틸렌, 테트라메틸렌, 펜타메틸렌, 헥사메틸렌, 헵타메틸렌, 노나메틸렌, 데카메틸렌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알킬렌기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임의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11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알킬렌기는 4 내지 14개, 또는 4 내지 10개, 또는 4 내지 6개의 고리 탄소의 비방향족 2가 모노사이클릭, 바이사이클릭 또는 트리사이클릭 탄화수소 부위를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 상기 알킬렌기는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시클로알킬렌기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2가의, 시클로펜탄 고리, 시클로헥산 고리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시클로알킬렌기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임의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11에 있어서, 상기 아릴렌기는 6 내지 14개, 또는 6 내지 12개의 고리 원자를 가지는 2가 모노시클릭, 바이시클릭 또는 트리시클릭 방향족 탄화수소 부위를 의미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2가의, 벤젠 고리, 나프탈렌 고리, 안트라센 고리, 비페닐 고리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아릴렌기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임의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R12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그 중에서도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10 알킬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8 알킬렌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4 알킬렌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D)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1] 내지 [화학식 3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화학식 31]
Figure 112014092088770-pat00064

[화학식 32]
Figure 112014092088770-pat00065

[화학식 33]
Figure 112014092088770-pat00066

[화학식 34]
Figure 112014092088770-pat00067

한편, 상기 (D)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있어서 5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 중량부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부정도일 수 있다. (D)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많이 포함되는 경우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적게 포함되는 경우 내수성이 취약해질 수 있다.
1-5. 다관능성 ( 메트 )아크릴계 화합물 (E)
본 발명에 따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보다 우수한 접착력 및 내수성 효과를 얻기 위하여, (E) 다관능성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A)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분자 내에 3개의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C) 라디칼 개시제; 및 (D) 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의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및/또는 (E) 다관능성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E) 다관능성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것으로써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다양한 다관능성(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하기 예시로 나열한 다관능성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제회하고는 상술한 (A) ~ (D) 화합물에 해당하는 화합물은 다관능성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에서 제외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E) 다관능성 (메트)아크릴계 화합물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디(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에스테르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2,2-비스[4-(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에톡시시클로헥실]프로판, 수소 첨가 디시클로펜타디에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디옥산-2,5-디일디(메트)아크릴레이트, 2-(2-히드록시-1,1-디메틸에틸)-5-에틸-5-히드록시메틸-1,3-디옥산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E) 다관능성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Ⅳ] 내지 [화학식 Ⅵ]로 표시되는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내수성 개선 효과가 더욱 우수하기 때문이다.
[화학식 Ⅳ]
Figure 112014092088770-pat00068
상기 [화학식 Ⅵ]에서,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이다.
이때, 상기 R13 및 R14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의 알킬은 1 내지 10개, 또는 1 내지 8개,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탄화수소 부위를 의미하며,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는 알킬기의 임의의 위치에 치환될 수 있다. 상기 알킬에 포함되어 있는 나머지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임의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화학식 Ⅴ]
Figure 112014092088770-pat00069
상기 [화학식 Ⅴ]에서, R15, R16 및 R17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이고, R18는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 히드록시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10 알킬기이다.
이때, 상기 R15, R16 , R17 및 R18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의 알킬은 1 내지 10개, 또는 1 내지 8개,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탄화수소 부위를 의미하며,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는 알킬기의 임의의 위치에 치환될 수 있다. 상기 알킬에 포함되어 있는 나머지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임의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18에 있어서, 상기 알킬기는 1 내지 10개, 또는 1 내지 8개,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탄화수소 부위를 의미하며, 상기 알킬기에 포함되어 있는 1 이상의 수소 원자는 임의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화학식 Ⅵ]
Figure 112014092088770-pat00070
상기 [화학식 Ⅵ]에서, R19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10 알킬렌이고, R20 및 R21은 각각 독립적으로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이다.
이때, 상기 R19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은 1 내지 10개, 또는 1 내지 8개,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2가 탄화수소 부위를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 상기 알킬렌기는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알킬렌기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메틸렌, 에틸렌, 트리메틸렌, 테트라메틸렌, 펜타메틸렌, 헥사메틸렌, 헵타메틸렌, 노나메틸렌, 데카메틸렌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알킬렌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임의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20 및 R21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의 알킬은 1 내지 10개, 또는 1 내지 8개,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탄화수소 부위를 의미하며,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는 알킬기의 임의의 위치에 치환될 수 있다. 상기 알킬에 포함되어 있는 나머지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임의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E) 다관능성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5] 내지 [화학식 38]로 표시되는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학식 35]
Figure 112014092088770-pat00071

[화학식 36]
Figure 112014092088770-pat00072

[화학식 37]
Figure 112014092088770-pat00073

[화학식 38]
Figure 112014092088770-pat00074

한편, 본 발명의 상기 (E)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의 함량은 전체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부정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 중량부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부정도일 수 있다. (E)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많이 포함되는 경우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적게 포함되는 경우 내수성이 취약해질 수 있다.
1-6. 조성물의 물성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층의 두께는 0 초과 10㎛ 이하 정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또는 0.1 내지 5㎛정도인 것이 좋다. 접착층 두께가 0.1㎛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제층의 균일도 및 접착력 저하될 수 있으며, 접착층 두께가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박형화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등의 외관에 주름이 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경화 후 유리전이온도가 50℃ 이상, 예를 들면, 70 내지 150℃ 또는 70 내지 140℃ 정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치 범위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판은 내열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점도가 70cP 이하, 예를 들면, 10 내지 70cP 또는 10 내지 65cP 정도일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접착제층의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고, 저점도를 갖기 때문에 작업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다양한 소재의 필름에 대해 우수한 접착력을 가질 뿐 아니라, 내수성, 내열성 및 점도 특성이 우수한바 편광판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편광자와 디스플레이 패널간에도 상기한 우수한 접착력 구현이 가능하고, 박형으로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내열신뢰성이 우수하고, 나아가 인-라인(in-line) 공정으로 편광자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는 등 생산성이 우수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에 편광자를 직접 부착하는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2. 편광판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접착제층; 및 상기 접착제층 상에 형성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층이 상술한 본 발명의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이다.
2-1. 편광자
먼저, 상기 편광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편광자, 예를 들면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콜(PVA)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PVA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염착시켜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편광자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며, 편광판은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2-2. 접착제층
다음으로, 상기 접착제층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자 또는 보호 필름의 일면에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한 다음,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합판한 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포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도포 방법들, 예를 들면, 스핀 코팅, 바 코팅,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블레이드 코팅 등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화는 광 경화,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가시광선, 전자선 X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외선 조사장치(Metal halide lamp)를 이용하여 10 내지 2500mJ/cm2 정도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화는 열 경화, 보다 구체적으로는 80℃ 이상의 경화 온도에서의 열 경화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열 경화시 경화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조성물에 공지의 아민계 개시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화는 상기 광 경화 후 열 경화를 추가로 수행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열 경화 후 광 경화를 추가로 수행하는 것일 수도 있다.
2-3. 보호 필름
다음으로, 상기 보호 필름은 편광자를 지지 및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다양한 재질의 보호 필름들,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싸이클로올레핀 폴리머(COP, cycloolefin polymer) 필름, 아크릴계 필름 등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광학 특성, 내구성,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아크릴계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아크릴계 필름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성형 재료를 압출 성형에 의해 성형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를 주 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로 이루어진 호모 폴리머 수지뿐 아니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 이외에 다른 단량체 단위가 공중합된 공중합체 수지 및 상기와 같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에 다른 수지가 블랜드된 블랜드 수지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는, 예를 들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는 알킬아크릴레이트계 단위 및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단위를 모두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의 알킬기는 탄소수 1 ~ 10인 것이 바람직하며, 탄소수 1 ~ 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와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 단위로는, 스티렌계 단위, 말레산 무수물계 단위, 말레이미드계 단위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티렌계 단위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고; 상기 말레산 무수물계 단량체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말레산 무수물, 메틸 말레산 무수물, 시클로헥실 말레산 무수물, 페닐 말레산 무수물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말레이미드, N-메틸 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 N-페닐 말레이미드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크릴계 필름은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일 수 있다.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230016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2001-15181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2-120326호 등에 기재된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필름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그 밖의 중합체, 첨가제 등을 임의의 적절한 혼합 방법에 의해 충분히 혼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필름 성형하여 제조하거나, 또는 (메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그 밖의 중합체, 첨가제 등을 별도의 용액으로 제조한 후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액을 형성한 후 이를 필름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필름은 미연신 필름 또는 연신 필름 중 어느 것일 수 있다. 연신 필름인 경우에는 1축 연신 필름 또는 2축 연신 필름 일 수 있고, 2축 연신 필름인 경우에는 동시 2축 연신 필름 또는 축차 2축 연신 필름 중 어느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편광판은,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접착제층과 상기 보호 필름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프라이머층은 수분산성 고분자 수지, 수분산성 미립자 및 물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바 코팅법, 그라비어 코팅법 등을 이용하여 보호 필름 상에 도포하고 건조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고분자 수지는 예를 들면,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수지, 수분산 아크릴계 수지, 수분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일 수 있으며, 수분산성 미립자는 실리카, 티타니아,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등의 무기계 미립자나,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가교 폴리비닐알코올 및 멜라민계 수지로 이루어진 유기계 미립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 광학 부재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외면에 접착제층을 매개로 부착되는 편광자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층이 상술한 본 발명의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이다.
3-1. 디스플레이 패널
먼저,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모드의 액정 패널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액정 패널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상부 투명 기판/칼러필터/보호막/투명도전막 전극/배향막/액정/배향막/박막 트랜지스터/하부 투명 기판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외면, 즉 상부 투명 기판 또는 하부 투명 기판에 접착제층을 매개로 편광자가 부착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접착제층이 상술한 본 발명의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이다. 한편, 접착제층을 매개로 편광자가 부착되는 상기 투명 기판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유리 기판이나, 투명 고분자 필름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3-2. 편광자
다음으로, 상기 편광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편광자, 예를 들면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콜(PVA)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편광자는 PVA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염착시켜서 제조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편광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면의 반대면에 편광자를 지지 및 보호하기 위하여 접착제층을 매개로 별도의 보호 필름을 부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호 필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부착은 롤 코터, 그라비어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또는 캐필러리 코터 등을 사용하여 편광자 또는 보호 필름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이들을 합지 롤로 가열 합지하거나, 상온 압착하여 합지하는 방법 또는 합지 후 UV 조사하는 방법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제는 상기한 본 발명의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편광판용 접착제들,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양이온계 또는 라디칼계 접착제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3-3. 접착제층
다음으로, 상기 접착제층은 전술한 본 발명의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인-라인(in-line)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접착제층의 형성은 편광자 또는 편광자의 일면에 보호 필름이 부착된 편광판을 롤로부터 권출하면서 편광자의 표면에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도포 방법으로 본 발명의 상기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 디스플레이 패널에 이를 합지하고, 도포된 접착제 조성물층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화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광 경화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층은 이와 같이 인-라인(in-line) 공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는바, 연속적으로 생산이 가능한 등 생산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10㎛ 이하 정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또는 0.1 내지 5㎛정도인 것이 좋다. 종래에 편광자(또는 편광판)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하던 아크릴계 점착제는 통상 적당한 점착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0㎛ 정도의 두께가 필요한바,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박형화에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접착층은 이와 같이 얇은 두께로 형성이 가능한바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욱 박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 아크릴계 보호 필름의 제조
폴리(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co-메틸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수지 및 페녹시계 수지를 100:2.5:5의 중량비로 균일하게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원료 호퍼(hopper)로부터 압출기까지를 질소 치환한 24φ의 압출기에 공급하여 250℃에서 용융하여 원료 펠렛(pellet)을 제조하였다.
페녹시계 수지는 InChemRez 사의 PKFE(Mw=60,000, Mn=16,000, Tg=95℃)을 사용하였고,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수지는 스티렌 85 중량%, 무수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 15 중량%인 Dylaeck 332를 사용하였으며, 폴리(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co-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NMR 분석 결과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의 함량이 6.5 중량%인 것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원료 펠렛을 진공 건조하고 260℃에서 압출기로 용융, 코트 행거 타입의 티-다이(T-die)에 통과시키고, 크롬 도금 캐스팅 롤 및 건조 롤 등을 거쳐 두께 150 ㎛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필름을 파일로트 연신 장비를 사용하여 125℃에서 MD 방향으로 롤의 속도 차를 이용하여 170% 비율로 연신하여 아크릴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된 아크릴 필름을 코로나 처리한 후, 상기 아크릴 필름의 일면에 CK-PUD-F(조광 우레탄 분산액)을 순수로 희석하여 제조된 고형분 함량 10중량%의 프라이머 조성물에 옥사졸린 가교제 (일본촉매사, WS700) 20중량부를 첨가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7 바(bar)로 코팅한 후 TD 방향으로 130℃에서 텐더를 이용하여 190% 연신하여 최종적으로 프라이머층 두께가 400nm인 아크릴계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1) 접착제 조성물 A
HEA(hydroxyethyl acrylate) 66.7 중량%, BPA type epoxy di-acrylate(EB600, Cytec 제품) 16.6 중량%, tri-(acryloyloxy ethyl) phosphate 16.7중량%를 넣어 제조한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라디칼 개시제인 irgacure-819(Ciba 사) 3 중량부를 첨가하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A를 제조하였다.
(2) 접착제 조성물 B
HEA(hydroxyethyl acrylate) 50 중량%, BPA type epoxy di-acrylate(EB600, Cytec 제품) 21.4 중량%, tri-(acryloyloxy ethyl) phosphate 14.3중량%, di-(methacryloyloxy ethyl)phosphate 14.3중량%를 넣어 제조한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라디칼 개시제인 irgacure-819(Ciba 사) 3 중량부를 첨가하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B를 제조하였다.
(3) 접착제 조성물 C
HEA(hydroxyethyl acrylate) 50 중량%, BPA type epoxy di-acrylate(EB600, Cytec 제품) 21.4 중량%, tri-(acryloyloxy ethyl) phosphate 21.4 중량%, di-(methacryloyloxy ethyl)phosphate 7.2 중량%를 넣어 제조한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라디칼 개시제인 irgacure-819(Ciba 사) 3 중량부를 첨가하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C를 제조하였다.
(4) 접착제 조성물 D
HEA(hydroxyethyl acrylate) 50 중량%, BPA type epoxy di-acrylate(EB600, Cytec 제품) 21.4 중량%, tri-(acryloyloxy ethyl) phosphate 14.3 중량%, DCPDA(Dimethylol tricyclodecane diacrylate) 14.3중량%를 넣어 제조한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라디칼 개시제인 irgacure-819(Ciba 사) 3 중량부를 첨가하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D를 제조하였다.
(5) 접착제 조성물 E
HEA(hydroxyethyl acrylate) 16.7 중량%, GLM(glyceryl methacrylate) 50 중량%, BPA type epoxy di-acrylate(EB600, Cytec 제품) 16.6 중량%, tri-(acryloyloxy ethyl) phosphate 16.7 중량%를 넣어 제조한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라디칼 개시제인 irgacure-819(Ciba 사) 3 중량부를 첨가하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E를 제조하였다.
(6) 접착제 조성물 F
HEA(hydroxyethyl acrylate) 50 중량%, 1,4-cyclohexanedimethanol mono-acrylate 16.7 중량%, BPA type epoxy di-acrylate(EB600, Cytec 제품) 16.6 중량%, tri-(acryloyloxy ethyl) phosphate 16.7 중량%를 넣어 제조한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라디칼 개시제인 irgacure-819(Ciba 사) 3 중량부를 첨가하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F를 제조하였다.
(7) 접착제 조성물 G
HEA(hydroxyethyl acrylate) 50 중량%, BPA type epoxy di-acrylate(EB600, Cytec 제품) 21.4 중량%, 2-(acrylamido)ethyl bis(2-(acryloyloxy)ethyl) phosphate 14.3 중량%, DCPDA(Dimethylol tricyclodecane diacrylate) 14.3중량%를 넣어 제조한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라디칼 개시제인 irgacure-819(Ciba 사) 3 중량부를 첨가하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G를 제조하였다.
(8) 접착제 조성물 H
HEA(hydroxyethyl acrylate) 30 중량%, BPA type epoxy di-acrylate(EB600, Cytec 제품) 70 중량%를 넣어 제조한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라디칼 개시제인 irgacure-819(Ciba 사) 3 중량부를 첨가하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H를 제조하였다.
(9) 접착제 조성물 I
HEA(hydroxyethyl acrylate) 66.7 중량%, BPA type epoxy di-acrylate(EB600, Cytec 제품) 16.6 중량%, di-(methacryloyloxy ethyl)phosphate 16.7 중량%를 넣어 제조한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라디칼 개시제인 irgacure-819(Ciba 사) 3 중량부를 첨가하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I를 제조하였다.
(10) 접착제 조성물 J
HEA(hydroxyethyl acrylate) 66.7 중량%, BPA type epoxy di-acrylate(EB600, Cytec 제품) 16.6 중량%, mono-(methacryloyloxy ethyl)phosphate 16.7 중량%를 넣어 제조한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라디칼 개시제인 irgacure-819(Ciba 사) 3 중량부를 첨가하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J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 필름계 보호 필름의 프라이머 층에 스포이드로 접착제 조성물 A를 도포하고, 편광자(PVA 소자)의 양면에 적층 한 다음, 최종 접착층의 두께가 1~2㎛이 되도록 조건을 설정한 후, 라미네이터(5m/min)를 통과시켰다. 그런 다음, 상기 아크릴 필름이 적층된 면에 UV 조사장치(Metal halide lamp)를 이용하여, 1000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한편, 편광판은 온도 20℃, 습도 50%의 조건에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접착제 조성물로 B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접착제 조성물로 C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접착제 조성물로 D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접착제 조성물로 E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접착제 조성물로 F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접착제 조성물로 G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접착제 조성물로 H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접착제 조성물로 I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접착제 조성물로 J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편광판의 박리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에서 제조된 편광판의 박리력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을 온도 20℃, 습도 70% 조건에서 4일 방치한 후, 폭 20mm, 길이 100mm로 재단하고, Texture Analyzer장비(Stable Micro Systems사 TA-XT Plus)로, 속도 300m/min, 90도로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이때, 박리력이 2.5N/2cm 이상을 ◎, 1.5 N/2cm 이상 2.5N/2cm 미만을 ○, 1.0 N/2cm 이상 1.5N/2cm 미만을 X, 1.0N/2cm 미만인 경우를 XX로 표시하였다.
실험예 2 - 편광판의 내수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의 내수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편광판을 유리 기판에 라미네이션(glass lamination)한 후에 60℃ 항온조에 침지시키고, 8 시간 경과 후 편광판 단부의 탈색여부로 내수성을 판단하였으며, 변형이 없는 경우를 우수로, 일부 탈색이 있는 경우 양호로, 탈색이 많이 일어난 경우를 나쁨으로 표시하였다.
실험예 3 - 열충격 안정성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의 열충격 안정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편광판을 유리 기판에 라미네이션(glass lamination)하고, 이를 -40℃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이를 다시 80℃에서 30분 동안 방치하는 것을 100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그런 다음, 편광판 외관에 변형 여부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편광판의 외관이 변형이 없을 경우를 우수로, 재단부 1mm 미만의 크랙이 발생한 경우를 양호로, 1mm 이상의 크랙이 발생한 경우를 나쁨으로 표시하였다.
실험예 4 -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를 25℃에서 Viscometer TV-22(TOKI SANGYO)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접착제 조성물 박리력 내수성 열충격 안정성 점도[cP]
실시예 1 A 우수 우수 42
실시예 2 B 우수 우수 65
실시예 3 C 우수 우수 55
실시예 4 D 우수 우수 63
실시예 5 E 우수 양호 50
실시예 6 F 우수 양호 47
실시예 7 G 양호 우수 68
비교예 1 H XX 나쁨 나쁨 90
비교예 2 I 나쁨 양호 72
비교예 3 J 나쁨 양호 75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 7의 경우 접착력이 우수할 뿐 아니라, 내수성 및 열충격 안정성 역시 우수하며, 점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에서와 같이 3 관능성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박리력, 내수성, 열충격 안정성, 점도 특성이 모두 불량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에서와 같이 3 관능성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대신 2 관능성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박리력 및 열충격 안정성은 양호하나, 여전히 내수성 및 점도 특성이 불량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에서와 같이 3 관능성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대신 단관능성 포시페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마찬가지로 박리력 및 열충격 물성은 양호하나, 여전히 내수성 및 점도 특성이 불량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유리 기판에 접착제 조성물 A를 도포하고, 편광자(PVA 소자) 및 상부 보호 필름을 적층한 다음, 최종 접착층의 두께가 1~2㎛이 되도록 조건을 설정한 후, 라미네이터(5m/min)를 통과시켰다. 그런 다음, 상기 편광자 및 보호 필름이 적층된 면에 UV 조사장치(Metal halide lamp)를 이용하여, 1000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유리 기판에 편광자가 부착되어 있는 광학 부재를 제조하였다. 한편, 광학 부재는 온도 20℃, 습도 50%의 조건에서 제조하였다.
실험예 4 - 광학 부재의 박리력 평가
상기 실시예 8에서 제조된 편광판의 박리력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8에서 제조된 광학 부재를 온도 20℃, 습도 70% 조건에서 4일 방치한 후, 폭 20mm, 길이 100mm로 재단하고, Texture Analyzer장비(Stable Micro Systems사 TA-XT Plus)로, 속도 300m/min, 90도로 편광자와 유리 기판의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이때, 박리력이 2.0N/2cm 이상을 우수, 1.0 N/2cm 이상 2.0N/2cm 미만을 양호, 1.0 N/2cm 미만인 경우를 나쁨으로 표시하였다. 한편, 하기 표 2에 추가로 기재한 박리력 등의 측정 방법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구분 접착제 조성물 박리력 내수성 열충격 안정성 점도[cP]
실시예 8 A 우수 우수 우수 42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편광자와 유리 기판 사이에서도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며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7)

  1. (A)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분자 내에 3개의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및
    (C) 라디칼 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A)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a-1)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히드록시기 및 적어도 1개의 (메트)아크릴기를 포함하는 라디칼 중합성 제 1 화합물; 및
    (a-2)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히드록시기, 적어도 1개의 벤젠 고리 또는 시클로헥산 고리, 및 적어도 2개의 (메트)아크릴기를 포함하는 라디칼 중합성 제 2 화합물을 포함하는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있어서, (A)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40 내지 93 중량부; (B) 포스페이트계 화합물 1 내지 40 중량부; 및 (C) 라디칼 개시제 0.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1) 제 1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63732013-pat00075


    [화학식 2]
    Figure 112016063732013-pat00076


    [화학식 3]
    Figure 112016063732013-pat00077


    [화학식 4]
    Figure 112016063732013-pat00078


    [화학식 5]
    Figure 112016063732013-pat00079


    [화학식 6]
    Figure 112016063732013-pat00080


    [화학식 7]
    Figure 112016063732013-pat00081


    [화학식 8]
    Figure 112016063732013-pat00082


    [화학식 9]
    Figure 112016063732013-pat00083


    [화학식 10]
    Figure 112016063732013-pat00084


    [화학식 11]
    Figure 112016063732013-pat00085


    [화학식 12]
    Figure 112016063732013-pat00086


    [화학식 13]
    Figure 112016063732013-pat00087


    [화학식 14]
    Figure 112016063732013-pat00088


    [화학식 15]
    Figure 112016063732013-pat00089


    [화학식 16]
    Figure 112016063732013-pat00090


    [화학식 17]
    Figure 112016063732013-pat00091


    [화학식 18]
    Figure 112016063732013-pat00092


    [화학식 19]
    Figure 112016063732013-pat00093


    [화학식 20]
    Figure 112016063732013-pat00094


    [화학식 21]
    Figure 112016063732013-pat00095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2) 제 2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2] 내지 [화학식 2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화학식 22]
    Figure 112016063732013-pat00096


    [화학식 23]
    Figure 112016063732013-pat00097


    [화학식 24]
    Figure 112016063732013-pat00098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화학식 I]
    Figure 112016063732013-pat00099

    상기 [화학식 I]에서,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10 알킬렌기, C4~14 시클로알킬렌기, C6~14 아릴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X1, X2 및 X3는 각각 독립적으로 O(산소) 또는 N(질소)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D) 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의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D)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있어서 5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D)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Ⅱ] 및 [화학식 Ⅲ]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화학식 Ⅱ]
    Figure 112016063732013-pat00100

    상기 [화학식 Ⅱ]에서,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C1~10 알킬렌기, C4~14 시클로알킬렌기, C6~14 아릴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X4 및 X5는 각각 독립적으로 O(산소) 또는 N(질소)이고,
    [화학식 Ⅲ]
    Figure 112016063732013-pat00101

    상기 [화학식 Ⅲ]에서, R11은 C1~10 알킬렌기, C4~14 시클로알킬렌기, C6~14 아릴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X6는 각각 독립적으로 O(산소) 또는 N(질소)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E) 다관능성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E) 다관능성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은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있어서 5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E) 다관능성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Ⅳ] 내지 [화학식 Ⅵ]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된 1종 이상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화학식 Ⅳ]
    Figure 112016063732013-pat00102

    상기 [화학식 Ⅵ]에서,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이고,
    [화학식 Ⅴ]
    Figure 112016063732013-pat00103

    상기 [화학식 Ⅴ]에서, R15, R16 및 R17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이고, R18는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 히드록시기, 또는 C1~10 알킬기이고,
    [화학식 Ⅵ]
    Figure 112016063732013-pat00104

    상기 [화학식 Ⅵ]에서, R19는 C1~10 알킬렌이고, R20 및 R21은 각각 독립적으로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층의 두께는 10㎛ 이하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경화 후 유리전이온도가 50℃ 이상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은 점도가 70cP 이하인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16.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접착제층; 및
    상기 접착제층 상에 형성되는 편광자 보호 필름;
    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층은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의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인 편광판.
  17.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외면에 접착제층을 매개로 부착되는 편광자;
    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층은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의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인 광학 부재.
KR1020140129392A 2013-09-30 2014-09-26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 Active KR101687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9136 WO2015047004A1 (ko) 2013-09-30 2014-09-29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
CN201480046265.3A CN105555890B (zh) 2013-09-30 2014-09-29 自由基可固化的粘合剂组合物及包含其的偏光板和光学构件
JP2016533261A JP6275842B2 (ja) 2013-09-30 2014-09-29 ラジカル硬化型接着剤組成物、これを含む偏光板および光学部材
US14/902,535 US9790403B2 (en) 2013-09-30 2014-09-29 Radical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and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member comprising same
TW103133929A TWI541308B (zh) 2013-09-30 2014-09-30 自由基固化性黏著劑組成物、偏光板及包含其之光學元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042 2013-09-30
KR20130117042 2013-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599A KR20150037599A (ko) 2015-04-08
KR101687874B1 true KR101687874B1 (ko) 2016-12-19

Family

ID=530334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387A Active KR101687873B1 (ko) 2013-09-30 2014-09-26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
KR1020140129392A Active KR101687874B1 (ko) 2013-09-30 2014-09-26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387A Active KR101687873B1 (ko) 2013-09-30 2014-09-26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790403B2 (ko)
JP (2) JP6275842B2 (ko)
KR (2) KR101687873B1 (ko)
CN (2) CN105765019B (ko)
TW (2) TWI5265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873B1 (ko) * 2013-09-30 2016-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
KR101637082B1 (ko) * 2013-09-30 2016-07-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1697402B1 (ko) * 2013-09-30 2017-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1627928B1 (ko) * 2013-09-30 2016-06-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
TWI521037B (zh) * 2015-04-10 2016-02-11 博威電子股份有限公司 光學膠組成物、光學膠膜以及光學積層板
KR20180062201A (ko) * 2016-11-30 2018-06-08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스코리아 주식회사 유기 전자 소자 봉지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봉지재
CN109207114A (zh) * 2018-07-03 2019-01-15 南宁珀源能源材料有限公司 防切割掉片的单组份厌氧胶及其制备方法
KR20220110799A (ko) 2019-12-04 2022-08-09 버슘머트리얼즈 유에스, 엘엘씨 높은 산화막 제거율의 얕은 트렌치 격리(sti) 화학적 기계적 평탄화(cmp) 연마
USD1083737S1 (en) * 2022-03-12 2025-07-15 Dangleman Enterprises, LLC Rim protec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9880B2 (ja) * 2005-09-15 2010-04-28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接着剤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1180A (en) * 1983-02-01 1986-04-08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Phosphates having one to three (meth)acrylate groups
JP2782694B2 (ja) 1990-03-28 1998-08-06 和雄 伊藤 歯科用接着剤
US5204383A (en) * 1990-03-28 1993-04-20 Kuraray Co., Ltd. Dental adhesives
JP3158422B2 (ja) * 1990-10-16 2001-04-23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水系光硬化型接着剤組成物
JPH09132761A (ja) 1995-11-09 1997-05-20 Okura Ind Co Ltd 二液主剤型アクリル系接着剤
JPH11100419A (ja) * 1997-09-26 1999-04-13 Jsr Corp 放射線硬化性樹脂組成物
KR100405311B1 (ko) 2000-12-29 2003-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4330109B2 (ja) 2001-05-17 2009-09-16 日本化薬株式会社 光ディスク用接着剤および光ディスク
JP3942150B2 (ja) 2001-09-26 2007-07-11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エマルジョン型粘着剤組成物
DE102004061925A1 (de) * 2004-12-22 2006-07-13 Ivoclar Vivadent Ag Selbstätzende Dentalmaterialien auf Basis von (Meth)acrylamidphosphaten
JP2007023147A (ja) 2005-07-15 2007-02-01 Toagosei Co Ltd 光学材料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
JP2008009329A (ja) * 2006-06-30 2008-01-17 Jsr Corp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49275B2 (ja) * 2007-11-19 2015-01-07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光学部材用粘着剤、及び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
JP5107022B2 (ja) 2007-12-26 2012-12-26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
KR100926222B1 (ko) 2007-12-28 2009-11-09 제일모직주식회사 대전방지 코팅층을 포함하는 편광필름
FR2928931B1 (fr) * 2008-03-21 2011-03-25 Jacret Composition pour adhesif structural
JP2009298991A (ja) 2008-06-17 2009-12-24 Toyobo Co Ltd 光硬化性・熱硬化性樹脂組成物、光硬化性・熱硬化性層、インキ、接着剤、及び、プリント回路基板
JP4561936B1 (ja) * 2009-09-04 2010-10-13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偏光板及び偏光板形成用光硬化性接着剤
TWI465534B (zh) 2010-12-31 2014-12-21 Eternal Materials Co Ltd 可光固化之黏著組合物
CN108314979B (zh) * 2011-02-18 2020-02-28 3M创新有限公司 光学透明的粘合剂、使用方法和由其制得的制品
US9487685B2 (en) 2011-10-14 2016-11-08 Lg Chem, Ltd. Adhesive for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JP5530470B2 (ja) * 2012-03-09 2014-06-25 チェイ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偏光板用接着剤
KR101697402B1 (ko) * 2013-09-30 2017-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1749792B1 (ko) * 2013-09-30 2017-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
KR101697404B1 (ko) * 2013-09-30 2017-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1687873B1 (ko) * 2013-09-30 2016-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9880B2 (ja) * 2005-09-15 2010-04-28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接着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Vol. 97, 185-194 (20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24826B2 (ja) 2017-11-01
TWI541308B (zh) 2016-07-11
TW201527469A (zh) 2015-07-16
TW201522561A (zh) 2015-06-16
JP2016537446A (ja) 2016-12-01
US9790403B2 (en) 2017-10-17
CN105555890B (zh) 2018-04-17
KR20150037599A (ko) 2015-04-08
US10072183B2 (en) 2018-09-11
CN105765019A (zh) 2016-07-13
KR101687873B1 (ko) 2016-12-19
CN105765019B (zh) 2018-03-13
CN105555890A (zh) 2016-05-04
TWI526511B (zh) 2016-03-21
JP2016532747A (ja) 2016-10-20
US20160376469A1 (en) 2016-12-29
KR20150037594A (ko) 2015-04-08
JP6275842B2 (ja) 2018-02-07
US20160244646A1 (en)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874B1 (ko)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
KR101697403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1749792B1 (ko)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
KR101697404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1732228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JP6266795B2 (ja) 偏光板およびこ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KR101637082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1627928B1 (ko)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 부재
KR101685257B1 (ko)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687872B1 (ko)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