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7207B1 - Wire-terminel assembly for camera - Google Patents

Wire-terminel assembly for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207B1
KR101687207B1 KR1020140130588A KR20140130588A KR101687207B1 KR 101687207 B1 KR101687207 B1 KR 101687207B1 KR 1020140130588 A KR1020140130588 A KR 1020140130588A KR 20140130588 A KR20140130588 A KR 20140130588A KR 101687207 B1 KR101687207 B1 KR 101687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alloy
shape memory
alloy wire
terminal
wi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5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37682A (en
Inventor
김재동
이광한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모스탑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모스탑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40130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207B1/en
Publication of KR20160037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6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207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6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xpansion or contraction of bodies due to heating, cooling, moistening, drying or the like
    • F03G7/061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xpansion or contraction of bodies due to heating, cooling, moistening, drying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element
    • F03G7/0614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xpansion or contraction of bodies due to heating, cooling, moistening, drying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element using shape memory elements
    • F03G7/06143Wi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착공정 이후에도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로서, 전류의 인가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및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전류가 출입하는 터미널을 포함하되, 상기 터미널은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가 선 접촉으로 압착 고정되는 압착부를 갖도록 이루어진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를 제공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terminal assembly for an automatic focusing device for a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terminal assembly for an automatic focusing device for a camera in which the performance of a shape memory alloy wire can be stably maintained even after a pressing process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terminal assembly of an autofocus device for a camera, comprising: a shape memory alloy wire which is contracted or relaxed upon application of an electric current; And a terminal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the terminal being connected to the wire-terminal of the auto focus device for a camera, which is configured to have a crimp portion in which the shape memory alloy wire is press- Assembly.

Description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WIRE-TERMINEL ASSEMBLY FOR CAMERA}≪ Desc / Clms Page number 1 > WIRE-TERMINEL ASSEMBLY FOR CAMERA <

본 발명은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착공정 이후에도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terminal assembly for an automatic focusing device for a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terminal assembly for an automatic focusing device for a camera in which the performance of a shape memory alloy wire can be stably maintained even after a pressing process .

형상기억합금 와이어(shape memory alloy wire, SMA-Wire)는 열탄성 변태를 일으키는 합금으로서, 일정한 온도에 이르면 형상이 탄성적으로 변하는 합금 소재이다. Shape memory alloy wire (SMA-Wire) is an alloy that causes thermoelastic transformation. It is an alloy material whose shape changes elastically at a certain temperature.

즉,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합금 와이어에 힘을 가해 다른 모양으로 변형시킨 상태에서 온도를 높여주면 처음의 모양을 기억해서 그 모양으로 돌아가는 성질이 있다.In other words, the shape memory alloy wire has a property of remembering the first shape and returning to the shape when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in a state where the alloy wire is deformed into another shape by applying a force to the wire.

이러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미세조정이 요구되는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에서 사용된다.Such a shape memory alloy wire is used in an automatic focusing device for a camera which requires fine adjustment.

이 때,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별도의 터미널에 압착되어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에 설치다. At this time, the shape memory alloy wire is pressed on a separate terminal and installed in the camera auto focus device.

그러나, 터미널의 형상이나 압착 공정에 따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저항 값은 다양하게 측정된다.However,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is variously measur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erminal or the pressing process.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의 원기둥형태 터미널의 경우, 원기둥 내측의 비어있는 공간에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삽입하여 압착공정을 하게 된다. 이 때,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터미널 내부에 삽입된 부분 전체가 압착되면서 넓은 면적의 데드존(Dead Zone)이 발생하게 되었다.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ylindrical terminal, a shape memory alloy wire is inserted into an empty space inside the cylinder to perform a compression bonding process. At this time, the shape memory alloy wire has a large dead zone as a whole inserted in the terminal is squeezed.

여기서 데드존이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해 압착되는 면적을 말한다. Here, the dead zone refers to the area compressed to fix the shape memory alloy wire.

이러한 데드존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하중에 의한 손상으로 인하여 조직구조가 변경되어 수축 또는 이완이 불가능하게 된다. Such a shape memory alloy wire of the dead zone is deformed due to damage due to a load, so that shrinkage or relaxation becomes impossible.

그리고, 터미널과 압착되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조직구조가 일부 변경됨에 따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저항 값 측정 시 압착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면적이 노이즈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 노이즈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저항 값이 정확하게 측정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것을 말한다. As the structure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is partially changed by pressing with the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rea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that is pressed during the measurement of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acts as noise. In this case, the noise means tha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is prevented from being accurately measured.

이러한 노이즈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저항 값의 변화 범위를 크게 만들어서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의 미세조정이 어렵게 한다.This noise makes the variation range of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large, making it difficult to fine tune the wire-terminal assembly of the camera autofocus device.

따라서 미세 조정을 요구하는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는 노이즈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압착 공정 이후에도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가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wire-terminal assembly of a camera autofocus device in which the performance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can be stably maintained even after the compression process because the auto focus device for camera requiring fine adjustment has a large influence of nois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터미널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고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와 결합하기에 용이한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terminal assembly for an automatic focusing device for a camera which minimizes a contact area between a terminal and a shape memory alloy wire and is easy to combine with an automatic focusing device for a camera .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로서, 전류의 인가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및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전류가 출입하는 터미널을 포함하되, 상기 터미널은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가 선 접촉으로 압착 고정되는 압착부를 갖도록 이루어진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terminal assembly for an automatic focusing device for a camera, comprising: a shape memory alloy wire which is contracted or relaxed with application of an electric current; And a terminal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the terminal being connected to the wire-terminal of the auto focus device for a camera, which is configured to have a crimp portion in which the shape memory alloy wire is press- Assemb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에 고정되는 결합 유닛과 상기 결합 유닛의 일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압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may include a coupling unit fixed to the autofocusing apparatus for the camera and a crimping portion extending and bending at one end of the coupling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한 개 이상의 선에서 압착 고정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imping portion can compress and fix the shape memory alloy wire at one or more lin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압착면적이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두께의 두 배 이상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queeze portion may have a squeeze area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equal to or more than twice the thickness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wire-terminal assembly of the automatic focusing device for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에 따르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가 선 접촉으로 압착 고정되는 압착부를 포함함으로써, 데드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수축 및 이완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조직구조가 일부 변경됨에 따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저항 값 측정시 압착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면적이 노이즈로 작용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ad zone can be reduced by including the pressed portion in which the shape memory alloy wire is pressed and fixed in line contact. That is, the shrinkage and relaxation performance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can be improved. Specifically, as the structure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is partially chang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henomenon that the area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pressed on measur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acts as noise.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면에서 바라본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들 케이스의 하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조정부가 결합된 상태의 미들 케이스의 상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조정부가 결합된 상태의 미들 케이스의 하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면에서 바라본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을 상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에서 바라본 터미널의 단면도이다.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서 바라본 터미널의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지지부를 상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과 터미널 지지부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for a camera as viewed from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for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structure of a middl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structure of a middle case with an auto focus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structure of a middle case in which an auto-focus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ver viewed from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erminal viewed from the fro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erminal as seen from a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ire-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re-terminal assembly of an autofocusing apparatus for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10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support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 Also,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compon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면에서 바라본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분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autofocusing apparatus viewed from a top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a camera autofocu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과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1000)는 렌즈 배럴(1100), 상부 케이스(1200), 탄성부(1150), 미들 케이스(1400), 자동 초점 조정부(1600), 하부 케이스(1800), 실드 커버(190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for a camera 1000 includes a lens barrel 1100, an upper case 1200, an elastic part 1150, a middle case 1400, an autofocus adjusting part 1600, A lower case 1800, and a shield cover 1900. [

렌즈 배럴(1100)은 상부 케이스(1200)와 미들 케이스(1400) 사이에 구비되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 The lens barrel 1100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case 1200 and the middle case 1400 and includes a lens (not shown) for photographing the subject.

탄성부(1150)의 일단은 상부 케이스에 지지되고 타단은 렌즈 배럴(1100)의 둘레를 따라 돌출된 탄성 지지 유닛(1140)에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1150)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e end of the elastic part 1150 may be supported on the upper case and the other end may be supported on the elastic supporting unit 1140 protruding along the periphery of the lens barrel 1100. At this time, the elastic portion 1150 may be formed of a spring.

미들 케이스(1400)는 상부 케이스(1200)와 결합되며, 렌즈 배럴(1100)을 지지하게 된다.The middle case 1400 is coupled to the upper case 1200 and supports the lens barrel 1100.

자동 초점 조정부(1600)는 미들 케이스(1400)에 결합되며, 렌즈 배럴(1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초정 조정부(1600)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의 수축 또는 이완됨에 따라 렌즈 배럴(110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The automatic focus adjustment unit 1600 is coupled to the middle case 1400 and adjusts the height of the lens barrel 1100. More specifically, the lens barrel 1100 can be raised or lowered as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of the automatic initial adjustment unit 1600 is contracted or relaxed.

하부 케이스(1800)는 미들 케이스(14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case 18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iddle case 1400.

실드 커버(1900)는 상부 케이스(1200), 미들 케이스(1400), 하부 케이스(1800)를 감싸며, 하부케이스(1800)와 결합된다. The shield cover 1900 surrounds the upper case 1200, the middle case 1400 and the lower case 1800 and is coupled to the lower case 1800.

구체적으로는, 상부 케이스 체결홈(1010)과 미들 케이스 체결홈(1020) 그리고, 하부 케이스 체결홈(1030)을 일직선상에 위치시켜 고정 부재(미도시)를 관통삽입한 후에, 실드 커버(1900)의 고정홈(1910)에 하부 케이스(1800)로부터 돌출된 고정 돌기(1810)를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Specifically, after the upper case coupling groove 1010, the middle case coupling groove 1020, and the lower case coupling groove 1030 are positioned in a straight line and a fixing member (not shown) is inserted and inserted, the shield cover 1900 The fixing protrusion 1810 protruding from the lower case 1800 can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910 of the main body 1800. [

한편, 미들 케이스(1400)와 자동 초점 조정부(16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하기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In order to explain the structure of the middle case 1400 and the auto-focus adjusting unit 1600, the following drawings are referred to.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들케이스의 하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조정부가 결합된 상태의 미들 케이스의 상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 조정부가 결합된 상태의 미들 케이스의 하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structure of a middl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structure of a middle case with an auto focus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structure of a middle case in which an auto-focus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도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들 케이스(1400)는 미들 케이스 몸체부(1405), 레버 삽입부(1420), 터미널 지지부(1430), 텐션 조정부(1450), 경계판(1480)을 포함할 수 있다.3 to 5, the middle case 1400 includes a middle case body 1405, a lever inserting portion 1420, a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430, a tension adjusting portion 1450, and a boundary plate 1480 .

미들 케이스 몸체부(1405)는 미들 케이스(1400)의 외형을 형성하며, 미들 케이스(1400)에 결합되는 부품을 지지할 수 있다.The middle case body 1405 forms an outer shape of the middle case 1400 and can support a part coupled to the middle case 1400.

레버 삽입부(1420)는 미들 케이스 몸체부(1405)의 상면에 한 쌍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레버 삽입부(1420)는 레버(1700)와 결합될 수 있다. The lever inserting portion 142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one pair of the lever inserting portions 1420 are opposed to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iddle case body portion 1405 and the lever inserting portion 1420 may be engaged with the lever 1700.

터미널 지지부(1430)는 미들 케이스 몸체부(1405)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terminal support portion 1430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iddle case body portion 1405.

텐션 조정부(1450)는 터미널 지지부(1430)와 마주보도록 미들 케이스 몸체부(1405)에 구비될 수 있다. The tension adjusting unit 1450 may be provided on the middle case body 1405 so as to face the terminal supporting unit 1430.

또한, 텐션 조정부(1450)는 미들 케이스 몸체부(1405)에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텐션 조정홈(1440)과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텐션 조정홈(1440)과의 결합 위치에 따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의 텐션(tension)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tension adjusting unit 1450 may be coupled to the tension adjusting groove 1440 formed in the middle case body 1405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t this time, the tension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engagement with the tension adjusting groove 1440.

이 때, 텐션 조정부(1450)가 초승달 형태의 텐션 조정홈(1440)과 결합될 경우, 텐션 조정부(1450)가 텐션 조정홈(1400)의 결합 위치에 따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의 텐션이 달라질 수 있다.When the tension adjusting unit 1450 is engaged with the crescent-shaped tension adjusting groove 1440, the tension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tension adjusting groove 1400 It can be different.

그리고, 경계판(1480)은 미들 케이스(1400)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 케이스(1200, 도2 참조)와 하부 케이스(1800, 도 2 참조)를 분리할 수 있다. The boundary plate 1480 may be provided inside the middle case 1400 to separate the upper case 1200 (see FIG. 2) and the lower case 1800 (see FIG. 2).

이 때, 미들 케이스(1400)는 경계판(1480)을 통해 제 1공정과 제 2공정으로 공정을 나누어 진행 함으로 공정을 단순하고 안정적이게 진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iddle case 1400 is divided into the first process and the second process through the boundary plate 1480, so that the process can be performed simply and stably.

일 예로, 종래의 조립 공정은 하부 케이스에 모든 부품을 적층하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경우, 각 부품을 조립하는 과정이 복잡해지고 각 부품을 고정하는 가이드가 없어서 조립 불량이 발생하였다.For example, the conventional assembling process was a method of stacking all the parts in the lower case. In this case, the process of assembling each part becomes complicated, and there is no guide for fixing each part, so that an assembly failure occurs.

그러나,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1000)는 미들 케이스(1400)와 경계판(1480)이 구비되어 상부 케이스(1200)와 미들 케이스(1400) 사이에 제 1공정을 진행하고, 다시 미들 케이스(1400)와 하부 케이스(1800) 사이에 제 2공정을 진행함으로 조립이 쉽고 간편해졌다.However, in the automatic focusing device for a camera 1000, the middle case 1400 and the boundary plate 1480 are provided to carry out the first process between the upper case 1200 and the middle case 1400, And the lower case 1800, the assembly process is simplified and simplified.

자동 초점 조정부(1600)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 터미널(1660), 레버(17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o-focus adjusting unit 1600 may include a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a terminal 1660, and a lever 1700. [

형상기억 합금 와이어(shape memory alloy wire, SMA-Wire)(1640)는 열탄성 변태를 일으키는 합금으로서, 일정한 온도에 이르면 형상이 탄성적으로 변하는 합금 소재이다. A shape memory alloy wire (SMA-Wire) 1640 is an alloy causing thermoelastic transformation, and is an alloy material whose shape changes elastically at a certain temperature.

즉,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는 합금 와이어에 힘을 가해 다른 모양으로 변형시킨 상태에서 온도를 높여주면 처음의 모양을 기억해서 그 모양으로 돌아가도록 이루어진다.That i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is increased by applying a force to the alloy wire and deformed into another shape,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stores the initial shape and returns to the shape.

자동 초점 조정부(1600)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에 전류를 인가하여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의 수축 또는 이완을 제어할 수 있다.The auto-focus adjusting unit 1600 can control the shrinkage or relaxation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일 예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에 전류가 인가되면 저항치가 낮아지고 온도가 상승하면서 체적 수축 현상이 발생하고, 전류 인가를 해제하면 온도가 낮아짐과 동시에 체적 수축 현상이 중단되면서 다시 이완된다. 그리고 이 때, 터미널(1660)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a resistance value is lowered and a volume shrinkage phenomenon occurs while the temperature rises. When the current application is canceled, the temperature is lowered and the volume shrinkage phenomenon is stopped and relaxed again. At this time, the terminal 166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respectively, and can apply current.

터미널(1660)은 결합 유닛(1664)과 압착부(166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결합 유닛(1664)과 압착부(1666)는 일체형일 수 있다.The terminal 1660 may include a coupling unit 1664 and a crimping portion 1666. At this time, the coupling unit 1664 and the crimping portion 1666 may be integrally formed.

터미널(1660)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erminal 1660 will be described later.

레버(1700)는 레버 삽입부(1420, 도 3 참조)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레버(1700)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하기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The lever 1700 may be inserted into the lever inserting portion 1420 (see FIG. 3). The lever 17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면에서 바라본 레버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ver viewed from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1700)는 레버 몸체부(1710), 레버 고정부(1730), 렌즈 배럴 지지부(1720), 걸림부(1750)를 포함할 수 있다.6, the lever 1700 may include a lever body portion 1710, a lever fixing portion 1730, a lens barrel supporting portion 1720, and a locking portion 1750. [

레버 몸체부(1710)는 레버 삽입부(1420)에 삽입되어 레버(1700)가 미들 케이스(1400, 도 3 참조)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The lever body portion 1710 may be inserted into the lever insertion portion 1420 so that the lever 1700 is engaged with the middle case 1400 (see FIG. 3).

레버 고정부(1730)는 레버 몸체부(1710)의 측면으로부터 대칭되어 돌출될 수 있으며, 레버 삽입부(1420, 도 3 참조)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레버 결합홈(1410, 도 3 참조)과 결합될 수 있다.The lever fixing portion 1730 may protrude symmetrically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lever body portion 1710 and may include a pair of lever engagement grooves 1410 (see FIG. 3)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ever insertion portion 1420 (see FIG. 3) Lt; / RTI >

렌즈 배럴 지지부(1720)는 렌즈 배럴(1100, 도 2참조)을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렌즈 배럴 지지부(1720)는 레버 몸체부(1710)에서 렌즈 배럴 지지부(1720) 한 쌍이 레버 몸체부(17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돌출되어 형성 될 수 있다. The lens barrel support portion 1720 can support the lens barrel 1100 (see Fig. 2). The lens barrel supporting portion 1720 may protrude from the lever body portion 1710 such that a pair of lens barrel supporting portions 1720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ever body portion 1710.

또한, 레버(1700)는 미들 케이스 몸체부(1405, 도 3 참조)에 한 쌍이 마련되므로 렌즈 배럴 지지부(1720)는 총 네 개가 구비되어 렌즈 배럴(1100, 도 2 참조)을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air of levers 1700 are provided in the middle case body 1405 (see FIG. 3), four lens barrel supporting portions 1720 are provided to support the lens barrel 1100 (see FIG. 2).

즉, 렌즈 배럴(1100, 도 2 참조)이 상부 케이스(1200, 도 2 참조) 방향으로 상승하였을 때, 렌즈 배럴 지지부(1720)는 네 곳의 위치에서 렌즈 배럴(1100, 도 2 참조)을 지지할 수 있다.2) is raised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case 1200 (see Fig. 2), the lens barrel support portion 1720 supports the lens barrel 1100 (see Fig. 2) at four positions can do.

그러나, 렌즈 배럴 지지부(1720)의 형상은 일실시예에 한정 되지 않으며, 레버(170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렌즈 배럴 지지부(1720) 구성에 포함 될 수 있다. However, the shape of the lens barrel support portion 1720 is not limited to one embodiment, and may be includ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lens barrel support portion 1720 if the shape capable of supporting the upward or downward movement of the lever 1700 is included.

일 예로, 보다 안정적으로 렌즈 배럴(1100, 도 2 참조)이 지지되게 하기 위하여 렌즈 배럴 지지부(1720)의 개수를 늘릴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lens barrel supporting portions 1720 may be increased to more stably support the lens barrel 1100 (see FIG. 2).

또는, 렌즈 배럴(1100, 도 2 참조)이 상승하였을 때, 렌즈 배럴 지지부(1720)와 접촉하는 부분에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렌즈 배럴 지지부(1720) 끝 단에 미끄럼 방지 처리(미도시)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Not shown) is provided on the end of the lens barrel supporting portion 1720 so that a slipping phenomenon does not occur at a portion contacting the lens barrel supporting portion 1720 when the lens barrel 1100 (see FIG. 2) You can do it.

걸림부(1750)는 레버 몸체부(1710)의 하부에 구비되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 도 2 참조)가 지지될 수 있다. The latching portion 1750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ever body portion 1710, and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see FIG. 2) can be supported.

다시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P)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wire-terminal assembly P of the automatic focusing device for a camera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을 상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에서 바라본 터미널의 단면도이며,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에서 바라본 터미널의 단면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erminal viewed from the fro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erminal viewed from the si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7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P)는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1000)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Wire-Terminal Assembly)로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와 터미널(1660)을 포함할 수 있다.7 to 8, the wire-terminal assembly P of the automatic focusing device for a camera is a wire-terminal assembly of the automatic focusing device 1000 for a camera, A terminal 1640 and a terminal 1660.

터미널(1660)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Terminal 1660 is coupled to both ends of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respectively, and is capable of applying current.

터미널(1660)은 결합 유닛(1664)과 압착부(1666)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1660 may include a coupling unit 1664 and a crimping portion 1666.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결합 유닛(1664)은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1000, 도 2 참조)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결합 유닛(1664)이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1000, 도 2 참조)에 구비된 터미널 지지부(1430)의 터미널 체결홈(1435)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oupling unit 1664 can be fixed to the automatic focusing device 1000 (see Fig. 2) for the camera. Specifically, the engaging unit 1664 can be seated and engaged in the terminal engaging groove 1435 of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430 provided in the camera autofocusing apparatus 1000 (see Fig. 2).

결합 유닛(1664)은 단면으로 보았을 때, 일측면이 개방되는 ‘ㄷ’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모서리는 절곡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coupling unit 1664 may be formed in a 'C' shape having one side opened when viewed in section, and each corner may be provided with a bent extension.

또한, 압착부(1666)는 결합 유닛(1664)의 일단에서 절곡 연장되어 구비되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가 압착 고정될 수 있다.The crimping portion 1666 is provided by bending and extending at one end of the coupling unit 1664, and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can be pressed and fixed.

터미널(1660)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가 단면으로 보았을 때, 선 접촉으로 압착 고정되는 압착부(1666)를 포함할 수 있다. Terminal 1660 may include a crimping portion 1666 that is press-fit in line contact when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is viewed in cross-section.

이 때,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가 압착부(1666)에 점 점촉으로 압착 고정 되게 하는 이유는 데드존(Dead Zone)(D, 도 9 참조)을 줄이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the reason why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is pressed and fixed to the crimping portion 1666 in a point-contact manner is to reduce the dead zone (D, see FIG. 9).

데드존(D, 도 9 참조)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가 고정되는 면적으로써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의 성능이 손상된 부분을 말한다.The dead zone D (see Fig. 9) refers to a portion where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is damaged due to the area where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is fixed.

즉, 압착되는 부분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는 하중에 의한 손상으로 인하여 조직구조가 변경되어 수축 또는 이완이 불가능하게 된다. That is,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to be compressed is deformed due to damage due to the load, so that shrinkage or relaxation becomes impossible.

그리고,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는 조직구조의 일부가 변경됨에 따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의 저항 값 측정 시 노이즈가 발생되기 때문에 미세 조정을 요구하는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1000, 도 2 참조)의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P)에서는 데드존(D, 도 9 참조)을 작게 하는 것이 좋다.Since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generates noise when measur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as a part of the structure is changed, the automatic focusing device for a camera 1000 (Fig. 2 The dead zone D (see Fig. 9) in the wire-terminal assembly P of the automatic focusing device for a camera of FIG.

이 때, 노이즈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의 저항 값 측정 시 정확성을 저하시키는 현상을 말한다.At this time, noise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accuracy of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is lowered.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9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ire-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b)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 Sectional view of the assembly.

도 9의 (a)를 참고하면, 종래의 터미널(100)의 경우 압착부(110)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를 압착시키는 면이 평평한 형태이다. 9 (a),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erminal 100, the crimping portion 110 has a flat surface on which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 is pressed.

따라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가 압착부(110)와 결합 유닛(120) 사이에서 압착 및 고정되었을 때, 압착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의 면적 전체가 데드존(D')이 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 is pressed and fixed between the crimping portion 110 and the coupling unit 120, the entire area of the compressed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becomes the dead zone D ' .

다시 말하면, 압착부(110)의 전체 너비만큼의 면적이 데드존(D')이 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width of the crimping portion 110 can be a dead zone D '.

이 때, 압착부(110)의 너비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를 말한다.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crimping portion 110 refers to the length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

하지만, 압착부(1666)의 압착 면적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의 두께의 두 배 이상이면 충분히 압착 및 고정이 될 수 있다. However, if the compression area of the compression bonding portion 1666 is twice or more the thickness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it can be sufficiently pressed and fixed.

따라서, 압착부(110)와 결합 유닛(120) 사이에 있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 전체를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것은 불필요하게 넓은 데드존(D')을 형성하게 된다. Therefore, it is unnecessary to form a wide dead zone D 'by pressing and fixing the entir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between the crimping portion 110 and the coupling unit 120.

한편, 도 9의 (b)를 참고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1660)의 경우 압착부(1666)를 단면으로 보았을 때, 점 점촉으로 압착되는 ‘V’자 형태이다. 9B, in the case of the terminal 166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crimping portion 1666 is viewed in cross section, it is in the form of a 'V' which is pressed in a point-to-point manner.

따라서, ‘V’자 형태의 압착부(1666)와 결합 유닛(1664)사이에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를 고정시키면, 종래의 터미널(100)의 데드존(D')보다 작은 데드존(D)이 형성되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의 성능을 덜 감소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is fixed between the 'V' shaped compression unit 1666 and the coupling unit 1664, the dead zone D 'of the conventional terminal 100 is smaller than the dead zone D' D) may be formed to reduce the performance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to a lesser degree.

즉, 종래의 압착부(110)는 압착부(110)의 너비 전체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를 압착함으로써 압착부(110)의 전체 너비만큼 데드존(170)이 형성되었다. That is, in the conventional crimping portion 110, the dead zone 170 is formed by the entire width of the crimping portion 110 by pressing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all over the width of the crimping portion 110.

하지만, 일실시예에 따른 압착부(1666)는 압착부(1666)의 전체 너비 중에 일부분만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를 압착함으로써 종래의 압착부(110)의 데드존(D')에 비해 작은 데드존(D)이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sing portion 1666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formed by pressing a portion of the entire width of the pressing portion 1666 against the dead zone D 'of the conventional pressing portion 110 by pressing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A smaller dead zone D can be formed.

따라서, 압착부(1666)는 단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한 개 이상의 선에서 압착 고정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crimping portion 1666 can compressively fix the shape memory alloy wire at one or more lines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즉, 압착부(1666)를 ‘V’자 형태로 함으로써 단면으로 보았을 때,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가 선 접촉되어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can be linearly contacted and compressed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by making the crimping portion 1666 into a V shape.

또는, 압착부(1666)를 ‘U’자 형태로 함으로써 ‘V’자 형태의 압착부(1666)에 비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의 이탈에 대한 안정성을 높일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shape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may be more stable than the shape of the 'V' shaped crimping portion 1666 by making the crimping portion 1666 U-shaped.

또는, 압착부(1666)를 ‘W’자 형태로 함으로써 단면으로 보았을 때,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가 두 개의 점에 접촉되어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V’자 형태의 압착부(1666)에 비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의 이탈에 대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can be pressed and contacted at two points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by making the crimping portion 1666 'W' shape. By doing so, the stability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against separation can be enhanced compared to the 'V' shaped crimping portion 1666.

또는, 압착부(1666)를 ‘T’자 형태로 함으로써 ‘V’자 형태의 압착부(1666)에 비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의 이탈에 대한 안정성을 높일 수도 있다. 그리고, ‘T’자 형태의 경우 ‘V’, ‘U’, ‘W’ 등의 형태에 비해 곡선이 없고, 형태가 단순하다. 따라서, ‘T’자 형태의 압착부(1666)는 형상을 구현하기에 용이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hape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may be more stable than the shape of the 'V' shaped crimping portion 1666 by making the crimping portion 1666 'T' shape. And, in the case of the 'T' shape, there is no curve and the shape is simple compared to the shapes such as 'V', 'U', and 'W'. Thus, the 'T' shaped crimping portion 1666 may be easier to implement the shape.

압착부(1666)의 형상은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가 단면으로 보았을 때, 선 접촉으로 압착 고정되게 하기 위하여 압착부(1666)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pressing portion 1666 is not limited to one embodiment and includes changing the shape of the pressing portion 1666 so that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is pressed and fixed in line contact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

한편, 압착부(1666)의 압착 면적이 지나치게 작을 경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가 터미널(1660)에서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queezed area of the squeezed part 1666 is too small, there may arise a problem that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is separated from the terminal 1660.

따라서, 압착부(1666)의 압착 면적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의 두께의 두 배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mpression area of the compression bonding portion 1666 can be made twice or more the thickness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또한, 압착부(1666)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640)와 접촉하는 면에 미끄러움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sing portion 1666 can use a material capable of preventing slip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hape memory alloy wire 1640.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지지부를 상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과 터미널 지지부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10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support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판(1140)과 결합 유닛(1664) 사이의 수용되는 공간을 통하여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P)는 미들 케이스 몸체부(1405, 도 3 참조)와 결합될 수 있다. 10, the wire-terminal assembly P of the camera autofocus device through the space accommodated between the compression plate 1140 and the coupling unit 1664 has a middle case body portion 1405 (see FIG. 3) ). ≪ / RTI >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10의 (a)를 참고하면, 터미널 지지부(1430)는 미들 케이스 몸체부(1405, 도 3 참조)의 상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며, 터미널 지지부(1430)의 상단에 터미널 체결홈(1435)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10A,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430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iddle case body 1405 (see FIG. 3), and a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43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430, A pair of fastening grooves 1435 may be provided.

터미널 체결홈(1435)의 깊이는 결합 유닛(1664)의 두께와 일치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depth of the terminal fastening groove 1435 may be provided to coincide with the thickness of the coupling unit 1664.

도 10의 (b)를 참고하면, 결합 유닛(1664)은 터미널 지지부(1430)에 마련된 터미널 체결홈(1435)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10 (b), the engaging unit 1664 can be seated and engaged in the terminal engaging groove 1435 provided in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430. [

즉, 터미널(1660)은 터미널 체결홈(1435)이 결합 유닛(1664) 내측의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미들 케이스 몸체부(1405, 도 3 참조)와 결합될 수 있다. That is, the terminal 1660 can be engaged with the middle case body 1405 (see FIG. 3) by inserting the terminal fastening groove 1435 into the space inside the coupling unit 1664.

결합 유닛(1664)의 형태는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미들 케이스 몸체부(1405, 도 3 참조)와 결합되는 방식에 따라 적용이 용이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coupling unit 1664 is not limited to one embodiment and may be modified to facilitate application in a manner that is coupled with the middle case body 1405 (see FIG. 3).

일 예로, 결합 유닛(1664)을 더욱더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결합 유닛(1664) 내측에 작은 돌기(미도시)를 마련하고, 결합 유닛(1664)의 돌기와 접하는 터미널 지지부(1430)에는 결합 유닛(1664)의 돌기에 대응되는 홈(미도시)을 구비 할 수 있다. A small projection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coupling unit 1664 and the terminal support 1430 in contact with the projection of the coupling unit 1664 is provided with a coupling unit 1664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s of the protrusions 1664 and 1664.

즉, 터미널 지지부(1430)가 결합 유닛(1664)에 완전히 삽입될 때, 결합 유닛(1664) 내측에 마련된 돌기가 터미널 지지부(1430)에 마련된 돌기에 대응되는 홈에 끼워짐으로써 터미널(1660)과 미들 케이스 몸체부(1405, 도 3 참조)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43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engaging unit 1664, the protrusion provided inside the engaging unit 1664 is fitted into th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provided on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430, The middle case body portion 1405 (see FIG. 3) can be more stably engaged.

그리고, 미들 케이스 몸체부(1405, 도 3 참조)와 터미널(1660)가 체결되는 부분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들 케이스 몸체부(1405, 도 3 참조)와 터미널(1660)이 접하는 면에 미끄러움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3) and the terminal 1660 so as to prevent the portion where the middle case body 1405 (see FIG. 3) and the terminal 1660 are slipped from slipping, You can use materials that can be.

일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P)의 형태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먼저 터미널(1640)의 상부에는 압착부(1666)가 구비되며, 압착부(1666)는 단면으로 보았을 때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한 개 이상의 선에서 압착 고정시키는 형태이다. 그리고, 압착부(1666)의 일단에 결합 유닛(1664)이 절곡되어 연결되며, 결합 유닛(1664)은 단면으로 보았을 때, 일측면이 개방되는 ‘ㄷ’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각 모서리는 절곡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hape of the wire-terminal assembly P of the automatic focusing device for a camera is briefly summarized. First, a crimping portion 1666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terminal 1640, The shape memory alloy wire is compressed and fixed by one or more wires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The coupling unit 1664 is bent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rimping portion 1666, and the coupling unit 1664 may be provided in a 'C' shape having one side opened when viewed in section. At this time, each of the corners may be bent and extended.

그리고, 형상기억합금 와이어(W)는 압착부(1666)와 결합 유닛(1664) 사이에 압착되어 고정되며, 이 때, 형상기억합금 와이어(W)의 압착면적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W) 두께의 두 배 이상이 되도록 선 접촉되어 고정되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hape memory alloy wire W is pressed and fixed between the compression bonding portion 1666 and the coupling unit 1664. At this time, the compression bonding area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W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W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coming off.

한편, 미들 케이스 몸체부(1405, 도 3 참조)의 상면에는 터미널 지지부(1430)가 돌출되어 일체형으로 구비되며, 터미널 지지부(1430)의 상단에는 터미널 결합홈(1435) 한 쌍이 마련 될 수 있다. 결합 유닛(1664)은 터미널 결합홈(1435)에 안착되어 결합되며, 이로 인하여,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P)과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1000)가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43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iddle case body 1405 (see FIG. 3), and a pair of terminal fitting grooves 1435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430. The coupling unit 1664 is seated and engaged in the terminal fitting groove 1435 so that the wire-terminal assembly P of the autofocusing apparatus for a camera and the autofocusing apparatus 1000 for a camera can be combin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터미널 110: 압착부
120: 결합 유닛 164: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1000: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 1010: 상부 케이스 체결홈
1020: 미들 케이스 체결홈 1030: 하부 케이스 체결홈
1100: 렌즈 배럴 1140: 탄성 지지 유닛
1150: 탄성부 1200: 상부 케이스
1400: 미들 케이스 1405: 미들 케이스 몸체부
1410: 레버 결합홈 1420: 레버 삽입부
1430: 터미널 지지부 1435: 터미널 체결홈
1440: 텐션 조정홈 1450: 텐션 조정부
1480: 경계판 1600: 자동 초점 조정부
1640: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1660: 터미널
1664: 결합 유닛 1666: 압착부
1700: 레버 1710: 레버 몸체부
1720: 렌즈 배럴 지지부 1730: 레버 고정부
1750: 걸림부 1800: 하부케이스
1810: 고정 돌기 1900: 실드 커버
1910: 고정홈 D: 데드존
P: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
100: Terminal 110:
120: coupling unit 164: shape memory alloy wire
1000: automatic focusing device for camera 1010: upper case fastening groove
1020: Middle case fastening groove 1030: Lower case fastening groove
1100: lens barrel 1140: elastic support unit
1150: elastic part 1200: upper case
1400: Middle case 1405: Middle case body part
1410: lever coupling groove 1420: lever insertion portion
1430: Terminal support portion 1435: Terminal fastening groove
1440: tension adjusting groove 1450: tension adjusting portion
1480: Boundary plate 1600: Auto focus adjustment unit
1640: shape memory alloy wire 1660: terminal
1664: Coupling unit 1666:
1700: Lever 1710: Lever body part
1720: lens barrel support part 1730: lever fixing part
1750: engaging portion 1800: lower case
1810: Fixing projection 1900: Shield cover
1910: Fixing groove D: Dead zone
P: Wire-to-terminal assembly of an autofocus device for a camera

Claims (4)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로서,
전류의 인가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및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전류가 출입하는 터미널을 포함하되,
상기 터미널은,
상기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에 고정되고 일측면이 개방되는 형태의 결합 유닛; 및
상기 결합 유닛의 일단에서 절곡 연장되고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가 점 접촉으로 압착 고정되는 압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가 일부분에서만 점 접촉으로 압착 고정 되는 것인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
A wire-terminal assembly of an autofocusing device for a camera,
A shape memory alloy wire which shrinks or relaxes upon application of an electric current; And
A terminal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and through which a current flows,
The terminal comprises:
A coupling unit fixed to the autofocusing apparatus for the camera and having one side opened; And
A press-bonding portion which is bent at one end of the coupling unit and in which the shape memory alloy wire is pressed and fixed by point contact;
Lt; / RTI >
The press-
The shape memory alloy wire is compressed and fixed in point contact only at a portion thereof
A wire-terminal assembly of an autofocus device for a camera.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한 개 이상의 점에서 압착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bonding portion press-fixes the shape memory alloy wire at one or more points. ≪ RTI ID = 0.0 > 11. < / RTI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압착면적이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두께의 두 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카메라용 자동 초점 장치의 와이어-터미널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ression bond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ression bonding area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is at least twice the thickness of the shape memory alloy wire.
KR1020140130588A 2014-09-29 2014-09-29 Wire-terminel assembly for camera Expired - Fee Related KR1016872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588A KR101687207B1 (en) 2014-09-29 2014-09-29 Wire-terminel assembly for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588A KR101687207B1 (en) 2014-09-29 2014-09-29 Wire-terminel assembly for came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682A KR20160037682A (en) 2016-04-06
KR101687207B1 true KR101687207B1 (en) 2016-12-28

Family

ID=55790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588A Expired - Fee Related KR101687207B1 (en) 2014-09-29 2014-09-29 Wire-terminel assembly for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20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31037B (en) * 2019-09-21 2022-07-19 华为技术有限公司 Anti-shake autofocus device and camera equip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6300A (en) * 2003-11-28 2005-06-23 Jst Mfg Co Ltd Female terminal for high current, and female terminal for high current with shell
JP2009103861A (en) 2007-10-23 2009-05-14 Seiko Instruments Inc Drive module
JP2011107413A (en) 2009-11-17 2011-06-02 Morioka Seiko Instruments Inc Actuator, drive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545B1 (en) * 2011-09-06 2018-07-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Auto focus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6300A (en) * 2003-11-28 2005-06-23 Jst Mfg Co Ltd Female terminal for high current, and female terminal for high current with shell
JP2009103861A (en) 2007-10-23 2009-05-14 Seiko Instruments Inc Drive module
JP2011107413A (en) 2009-11-17 2011-06-02 Morioka Seiko Instruments Inc Actuator, drive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682A (en)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0847B2 (en) High voltage DC rela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6084898B2 (en) Connecting terminal
CN105739051B (en) Lens moving device
US20190141225A1 (en) Camera module
KR101426628B1 (en) Terminal for fuse
JPH1092497A (en) Electrical terminal
JP2009237496A (en) Optical connector
WO2017221703A1 (en) Temperature detection module
JP6013731B2 (en) Contact prob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514897B2 (en) Magnetic contactor
US10056716B2 (en) Female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female connector and male connector
TW201435466A (en) Auto-focus device with shape memory actuator
JP2019153565A5 (en)
KR101687207B1 (en) Wire-terminel assembly for camera
WO2018216523A1 (en) Terminal module
EP2423504A1 (en) Driver module, electronic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driving module
US8952283B2 (en) Slide switch
US20160268081A1 (en) Rail attachment apparatus for electrical device
TW201203730A (en) Connector
KR102592416B1 (en) plug connector part
US10044141B2 (en)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KR102165740B1 (en) Connector
JP6997565B2 (en) Fluid property detection device
KR20200122795A (en) Mosquito net fixing cord
JP2007019813A (en) Fixing structure of imaging device, lens unit, and image pickup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