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7180B1 - Natural type nonpoint pollution decrease infiltration trench - Google Patents

Natural type nonpoint pollution decrease infiltration tren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180B1
KR101687180B1 KR1020160058409A KR20160058409A KR101687180B1 KR 101687180 B1 KR101687180 B1 KR 101687180B1 KR 1020160058409 A KR1020160058409 A KR 1020160058409A KR 20160058409 A KR20160058409 A KR 20160058409A KR 101687180 B1 KR101687180 B1 KR 101687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ration
storm
box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4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순
강치성
Original Assignee
그린로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로드(주) filed Critical 그린로드(주)
Priority to KR1020160058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1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18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3Naturals or landscape retention bodies, e.g. p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전조로 유입된 우수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다수의 고분자 필터들과 접촉시켜 우수를 여과시키고 여과된 상등수만을 수평 여과수단으로 공급함에 따라, 침전조로 유입된 우수와 고분자 필터들의 접촉 시간을 길게 하여 침전조에서 수평 여과수단으로 공급되는 우수의 여과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노출되게 지중에 매설되고, 상부에는 그레이팅이 구비되며 일측의 상부에는 유입부가 연결되고 타측의 상부에는 우수 배출구가 형성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내부 타측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우수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다수의 고분자 필터들과 접촉시켜 우수를 여과시키고 여과된 상등수만을 상기 우수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수직 여과수단과; 상기 침전조의 타측인 지중에 지중 파기를 통해 좌우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타측의 상부에는 우수를 배출하는 배수부가 연결되어 있는 지중 함몰부와; 상기 지중 함몰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 배출구를 통해 일측의 상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재차 여과시켜 지중 함몰부의 하부의 지중으로 침투시키는 수평 여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device for separating the stormwater from the sedimentation tank by moving the stormwater flowing into the sedimentation tank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and contacting the plurality of polymer filters to filter the stormwa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tural type infiltration ditch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which is capable of enhancing the filtration effect of rain water supplied from a horizontal filtration means in a sedimentation tank. The natural type infiltration ditch has an upper part buried in the ground and an upper part provided with a grating, A sedimentation tank having an inlet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n outlet having an upper port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Vertical filtration means vertically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dimentation tank and contacting the plurality of polymer filters while moving the storm introduced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to filter the stormwater and discharge only the filtered supernatant to the storm drain; An underground depression formed in the other side of the settling tank so as to be depres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rough a digging operation and connected to a drainage unit for discharging the storm, And a horizontal filtration unit installed inside the ground depression and re-filtering the storm that flows into the upper part of one side through the storm drain to penetrate into the ground below the ground depression.

Description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Natural type nonpoint pollution decrease infiltration trench}Natural type nonpoint pollution decrease infiltration trench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본 발명은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전조로 유입된 우수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다수의 고분자 필터(여재)들과 접촉시켜 우수를 여과시키고 여과된 상등수만을 수평 여과수단으로 공급함에 따라, 침전조로 유입된 우수와 고분자 필터들의 접촉 시간을 길게 하여 침전조에서 수평 여과수단으로 공급되는 우수의 여과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tural type infiltration ditch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filtration method in which a stormwater introduced into a settling tank is contacted with a plurality of polymer filters (filter media) Is supplied to the horizontal filtration means to increase the contact time of the fine and polymer filters introduced into the sedimentation tank, thereby improv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fine supplied by the horizontal filtration means in the sedimentation tank. .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점오염물질과 도시, 도로, 농지 등과 같이 배출지역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로 나눌 수 있다.Generally, pollutants are divided into nonpoint pollutants, such as dirt, industrial wastewater, and livestock wastewater, which are discharged from a wide range of non-point pollutants, such as point pollutants emitted from clear, limited point sources, and urban, road and farmland .

그런데 비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배출지역이 불분명하고 광범위한 지표면 상에 잔존해 있다가 우천시 우수와 함께 하천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유입되어 수질오염을 야기하는 주요원인이 되고 있다. 그래서, 종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방법으로는 우수를 정화시킨후 토양층에 침투시키는 침투형 시설인 침투도랑을 사용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non-point pollutants, the discharge area is unclear and remains on a wide range of ground surface, and it becomes a main cause of water pollution by entering into public waters such as rivers and groundwater in rainy weather. Therefore, as a conventional method for treating non-point pollutants, a method of using infiltration ditches, which are infiltration facilities that infiltrate into the soil layer after purification of rainwater, is widely used.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침투형 시설인 침투도랑을 개량한 것으로, 먼저, 종래의 침투도랑의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95322호의 "자연적 물순환 및 비점오염 저감 기능을 겸비한 침투도랑"(이하, "종래의 침투도랑"이라 한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ovement of a conventional infiltration-type infiltration trench.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infiltration trench is an infiltration tren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 infiltration trench having a function of reducing natural water circulation and non- "Conventional penetration ditch") is as follows.

종래의 침투도랑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수가 유입되도록 일측면에 유입관(21)이 형성되어 있는 유입부(20); 내부에 여과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부(20) 내 오염수가 상기 여과층의 일측면으로 유입되거나 상기 여과층의 상부로 유입되며 여과된 오염수가 유출되도록 타측면에 여재부 유출홀(34)이 형성되어 있는 여재부(30); 및 상기 여재부 유출홀(34)을 통하여 유입된 오염수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일측면에 유출관(41)이 형성되어 있는 유출부(40);를 포함하는 자연적 물순환 및 비점오염 저감 기능을 겸비한 침투도랑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20), 여재부(30) 및 유출부(4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하부에 여과된 오염수를 지하로 유도하는 지하 유도부(5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하 유도부(50)는 상기 유입부(20), 여재부(30) 및 유출부(40)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형성된 지하 유도홀(51) 및 상기 지하 유도홀(51) 내부에 삽입되는 지하 유도관(5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하 유도관(52)의 길이는 상기 지하 유도홀(51)의 길이보다 길어 상기 지하 유도홀(51)의 상부로 상기 지하 유도관(52)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6, the conventional infiltration trench has an inflow section 20 having an inflow pipe 21 formed on one side thereof for inflow of contaminated water; A filter layer is formed in the inlet portion 20 and the contaminated water in the inlet portion 20 flows into one side of the filtration layer or flows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ration layer, (30); And an outlet (40) having an outflow pipe (41) formed on one side thereof so as to allow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through the filter material outlet hole (34) to flow to the outside, and a natural water circulation and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unction The underground induction section 50 is formed in the infiltration ditch to guide the contaminated water filtered under any one of the inflow section 20, the filter medium section 30 and the outflow section 40 to the basement, The induction unit 50 includes an underground induction hole 51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any one of the inflow unit 20, the filter unit 30 and the outflow unit 40 and an underground induction hole And the length of the underground induction pipe 52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underground induction hole 51 so that a part of the underground induction pipe 52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underground induction hole 51 .

상기 유입부(20) 내 오염수가 상기 여재부(30)의 일측면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여재부(30)의 일측면에 다수의 여재부 유입홀(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부(20) 내 오염수가 상기 여재부(30)의 상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여재부(30)의 일측 상단에 연결도랑(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A plurality of filter unit inlet holes 31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lter unit 30 so that the contaminated water in the inlet 20 flows into one side of the filter unit 30. The inlet unit 20 (Not shown)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filter material portion 30 so that the contaminated water can flow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material portion 30.

상기 우드칩팩(25)이 상기 유입부(20) 내 오염수가 여과되도록 상기 유입부(20)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여재부(30)의 일측면으로 유입되는 상기 유입부(20) 내 오염수가 여과되도록 상기 유입부(20)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The wood chip pack 25 is formed horizontally in the inlet 20 so that the contaminated water in the inlet 20 is filtered and the inlet 20 is introduced into one side of the filter 30, And is formed vertically inside the inflow portion 20 so that the contaminated water is filtered.

상기 유입부(20)의 하부에 자갈층(26) 또는 모래층(2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여과층은 다수의 자갈층(36) 및 모래층(37)이 교차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자갈층(36) 위에 우드칩팩(3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20)의 일측면을 통하여 유입된 오염수가 상기 여재부(30) 내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여재부(30)의 내부에 다수의 유공관(39)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A gravel layer 26 or a sand layer 27 is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inlet 20. The gravel layer 36 and the sand layer 37 are formed to cross the filtration layer, And a wood chip pack 35 is formed on the gravel layer 36. A plurality of porous pipes 39 are arranged horizontally in the filter medium 30 so that the polluted water flowing through one side of the inlet 20 moves into the filter medium 30. [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침투도랑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penetration trench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종래의 침투도랑은 유입부의 타측면에는 높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여재 유입홀을 막는 우드칩팩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유입부의 타측면에 구비된 우드칩팩은 양측이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음에 따라 유입부에서 오염수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우드칩들과 접촉됨으로써, 오염수와 우드칩들의 접촉 시간이 짧아 우드칩을 통한 여과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First, in the conventional infiltration trench, the other side of the inflow portion is provided with a wood chip pack which blocks a plurality of filter medium inflow holes having different heights. In this way, the wood chip pack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flow portion are opened on both sides The contaminated water is contacted with the wood chips while the contaminated water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inflow part, so that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contaminated water and the wood chips is short and the filtering effect through the wood chip is deteriorated.

또한, 종래의 침투도랑은 우수의 유입량이 적을 경우에, 오염된 우수가 하부 및 중간에 위치되는 유공관을 통해 여재부로 유입된 다음, 자갈층과 모래층만을 통과하여 지중으로 유입됨으로써 비점오염물질이 상당히 포함된 우수가 그대로 지중으로 유입되어 지중을 오염시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Further, when the inflow amount of the conventional infiltration ditch is small, the contaminated infiltration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material through the pipe located at the bottom and the middle, and then flows into the ground through only the gravel layer and the sand layer, And there was a problem of polluting the ground.

또한, 종래의 침투도랑은 철근 콘크리트로 구성된 하부판에 다수의 지하 유도홀을 천공하고, 각각의 지하 유도홀에 직경이 작은 지하 유도관을 삽입함에 따라, 지하 유도관의 내부가 우수에 포함되는 토사 등의 이물질로 인하여 쉽게 막히게 되어 우수의 지중 침투가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penetration ditch, a plurality of underground induction holes are drilled in a lower plate composed of reinforced concrete and inserting an underground induction pipe having a small diameter into each underground induction hole, It is easily clogged due to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the like.

또한, 종래의 침투도랑은 유입부의 우측에 여재부 설치용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비함에 따라, 여재부 설치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에 따른 침투도랑의 시공 비용이 과다하게 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infiltration ditch has the concrete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filter media portion on the right side of the inflow portion,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infiltration ditch due to the manufacture of the concrete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filter media portion is excessively increased.

또한, 침투도랑을 비롯한 자연형 비점오염 저감시설은 우수를 담수할 수 있는 용적으로 시설용량을 산정하기 때문에 여과면적으로 산정하는 장치형에 비해 면적과 체적을 많이 차지하는데, 특히 일반적 침투도랑의 경우 사용되는 모래, 자갈 등의 골재 평균기공률이 통상 32% 수준이므로 시설체적이 해당 용량의 3배 이상 크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the natural type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ies including infiltration ditch occupy a large area and volume compared to the device type calculated by the filtration area, Since the average porosity of aggregate such as sand and gravel used is usually 32%, the facility volume is more than three times larger than the capacity.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95322호의 "자연적 물순환 및 비점오염 저감 기능을 겸비한 침투도랑"(2011.12.12.)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95322 entitled "Penetration Ditch Combining Natural Water Circulation and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unction" (December 12, 201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침전조로 유입된 우수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다수의 고분자 필터(여재)들과 접촉시켜 우수를 여과시키고 여과된 상등수만을 수평 여과수단으로 공급함에 따라, 침전조로 유입된 우수와 고분자 필터들의 접촉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침전조에서 수평 여과수단으로 공급되는 우수의 여과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eparating a stormwater from a sedimentation tank by moving the stormwater introduced into the sedimentation tank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and contacting the plurality of polymer filters And to provide a natural type infiltration ditch for reducing the non-point contamination, which can improve the filtration effect of the fine supplied from the horizontal filtration means in the sedimentation tank by increasing the contact time of the polymer filter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수의 유입량이 적을 경우에도 유입된 우수를 자갈층과 박스 여과부 및 모래층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우수의 유입량이 적을 경우에도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의 저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reducing the amount of nonpoint pollutants contained in rainwater even when the inflow amount of rainwater is small even when the inflow amount of stormwater is small even when the inflow rainwater is small, And to provide a natural type infiltration ditch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중 함몰부의 제일 하부에 모래층을 구비함으로써, 박스 여과부에서 배출되는 정화된 우수의 지중 침투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atural type infiltration ditch for reducing the non-point pollution so that the infiltration of the cleaned fine discharged from the box filtration part can proceed smoothly by providing the sand layer at the bottom of the under-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전조의 배수측에 별도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하지 않고도 지중에 박스 여과부를 바로 구비함으로써, 침투도랑의 시공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atural type infiltration ditch for reducing the non-point pollution so as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infiltration trench by directly providing the box filtration section in the ground without preparing a separate concrete structure on the drainage side of the settling tank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분자 필터가 채워지는 매트릭스박스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운반과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매트릭스박스를 슬라이드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적은 힘으로 간단하게 매트릭스박스를 직육면체 형태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trix box in which a polymer filter is filled in a prefabricated manner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and a matrix box can be constructed as a slide assembly type to easily form a matrix box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natural type infiltration ditch for reducing non-point contamina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트릭스박스를 직육면체의 형태로 조립한 후에는 매트릭스박스를 구성하는 각 다공판이 외측으로 이탈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atural type infiltration ditch for reducing the non-point pollution, which prevents each of the perforated plates constituting the matrix box from being detached after being assembl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투도랑 여재층의 일부를 매크릭스박스로 사용함으로써 기공률을 95% 이상 높여 일반 침투도랑의 시설체적을 절반 이상 줄일 수 있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atural type infiltration ditch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which can reduce the facility volume of general infiltration ditch more than half by increasing the porosity by 95% or more by using a part of the infiltration ditch media layer as a crick box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로 구성된 고분자 필터를 통해, 우수에 포함된 탁질입자와 포집자(필터)간 물리적 유체 기전인 침전(sedimentation), 관성력(inertial force)에 의한 부착(관성충돌), 차단(interception), 확산(diffusion) 현상이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게 함으로써, 우수 내에 포함된 다양한 입경별 고형물과 유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ymer filter composed of a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which is capable of suppressing sedimentation and inertial force, which is a physical fluid mechanism between the contaminant particles contained in the well and the trapper (filt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duce adhesion (inertial collision), interception, and diffusion phenomenon, thereby realizing a natural type infiltration ditch for the reduction of non-point pollution, which effectively removes solid matter and oil by various particle diameters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은, 상부가 노출되게 지중에 매설되고, 상부에는 그레이팅이 구비되며 일측의 상부에는 유입부가 연결되고 타측의 상부에는 우수 배출구가 형성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내부 타측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우수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다수의 고분자 필터들과 접촉시켜 우수를 여과시키고 여과된 상등수만을 상기 우수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수직 여과수단과; 상기 침전조의 타측인 지중에 지중 파기를 통해 좌우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타측의 상부에는 우수를 배출하는 배수부가 연결되어 있는 지중 함몰부와; 상기 지중 함몰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 배출구를 통해 일측의 상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재차 여과시켜 지중 함몰부의 하부의 지중으로 침투시키는 수평 여과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여과수단은 상기 지중 함몰부의 하부에 채워지는 모래층과, 상기 모래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하부 투수시트와, 상기 하부 투수시트의 상부에 둘레 이격공간을 두고 설치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는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을 고분자 필터들을 통해 여과시켜 하부로 배출시키는 박스 여과부와. 상기 박스 여과부의 상부와 둘레를 감싸는 커버 투수시트와, 상기 둘레 이격공간에 채워지는 둘레 자갈층과, 상기 둘레 자갈층과 박스 여과부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층 자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natural type infiltration ditch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upper part is buried in the ground to be exposed, a grating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an inflow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A sedimentation tank having an upper discharge port formed therein; Vertical filtration means vertically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dimentation tank and contacting the plurality of polymer filters while moving the storm introduced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to filter the stormwater and discharge only the filtered supernatant to the storm drain; An underground depression formed in the other side of the settling tank so as to be depres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rough a digging operation and connected to a drainage unit for discharging the storm, And a horizontal filtration means installed inside the ground depression for re-filtering the storm that flows into the upper portion of one side through the storm drain to penetrate the ground below the ground depression, A lower permeable sheet lamin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and layer, and a non-point pollutant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permeable sheet, And a box filtration part for discharging the filtrate to the lower part. A cover permeable sheet surrounding the box filtration part and an upper portion of the box filtration part; a peripheral gravel layer filled in the peripheral space; and a laminated gravel layer stacked on the peripheral gravel layer and the box filtration p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의 상기 수직 여과수단은 상기 침전조의 타측벽에 상기 우수 배출구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우수를 내부의 하부에서 유입받아 상부로 이동시키고 내부의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는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을 고분자 필터들을 통해 여과시켜 상기 우수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박스 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vertical filtration means of the " natural type infiltration ditch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wall of the settling tank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above- A case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nd a box filtration unit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filtering the nonpoint pollutant contained in the rainwater, which is transported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through the polymer filters and discharging the nonpoint pollutant to the rainwater discharge po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의 상기 케이스는 상기 침전조의 타측벽에 형성된 우수 배출구의 전,후방에 일측으로 돌출되게 고정되고 각각의 하단은 상기 침전조의 하면에 밀착 고정되는 전,후방 수직판과, 상기 전,후방 수직판의 일측 단부를 일체로 서로 연결하고 하부에는 우수 유입홀이 형성되는 일측 수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se of the "natural type infiltration ditch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one side of the outlet port formed on the other side wall of the settling tank so as to protrude to one side, And a single vertical plate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vertical plates which are tightly fixed to each other and one end of the front and rear vertical plate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bottom inflow hole is formed.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의 상기 수평 여과수단은 상기 적층 자갈층의 상부 적층되는 상부 투수시트와, 상기 상부 투수시트의 상부에 적층되는 잔자갈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horizontal filtration means of the " natural type penetration trench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n upper permeable sheet laminated on the laminated gravel layer and a laminated layer laminated on the upper permeable sheet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연형 비점오염물질 저감식 침투도랑"의 상기 박스 여과부는 내부에 고분자 필터들이 채워지는 다수의 매트릭스박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box filtration part of the "natural type nonpoint pollutant-reducing permeation d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atrix boxes filled with polymer filters therei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의 상기 매트릭스박스는 상부 양측에 종방향으로 T형 홈이 형성되고 다수의 물 통과홀이 형성된 하부 다공판과; 하부와 상부 및 전,후방에 T형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다공판의 양측 T형 홈에 하부의 T형 돌출부가 슬라이드식으로 각각 삽입되며, 각각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이 형성된 측 다공판과;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의 양측에 T형 홈이 형성되고, 각각의 내측면 양측에 형성된 T형 홈이 양쪽의 측 다공판의 전방에 위치된 T형 돌출부와 후방에 위치된 T형 돌출부에 슬라이딩식으로 각각 삽입되며, 각각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이 형성된 전,후방 다공판과; 하부 양측에 종방향으로 T형 홈이 형성되고, 양쪽의 상기 측 다공판의 T형 돌출부에 양측의 T형 홈이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며, 다수의 물 통과홀이 형성된 상부 다공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matrix box of the " natural type penetration trench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wer perforated plate formed with T-shaped gro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water holes; And a lower T-shaped protrusion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T-shaped grooves on both sides of the lower perforated plate, and a plurality of water holes are formed in the lower T- and; Shaped groov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facing each other, and a T-shaped groove form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each of the T-shaped projections positioned in front of both side porous plates and a T- Respectively, and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walls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water through holes; And a top plate having a T-shaped groov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a lower portion thereof, a T-shaped groove on both sides thereof being slidably inserted into a T-shaped protrusion of the side porous plates on both sides thereof,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의 상기 전방 다공판의 상부에는 하나의 탭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다공판에는 상기 탭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조립홀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홀과 탭홀에는 고정볼트가 관통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e tap hole is formed on the front porous plate of the " natural type penetration groove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ssembly hole is formed in the upper plate, And a fixing bolt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 and the tap ho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의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박스 여과부는 상기 매트릭스박스들이 수직으로 적층 조합되어 수직으로 긴 직육면체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투수시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박스 여과부는 상기 매트릭스박스들을 전,후,좌,우로 연속되게 조합시켜 좌우로 긴 수평의 직육면체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box filtration part provided inside the case of the "natural type infiltration ditch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vertically stacked combination of the matrix boxes to form a vertically long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box filter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trix box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long rectangular parallelepiped horizontally by continuously combining the matrix boxes in front, back, left, and righ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의 상기 고분자 필터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필름 띠가 나선형으로 말려서 형성된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lyme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film strip is formed by spirally winding a cone-shaped floating polymer fil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의 상기 원뿔형상의 필터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띠가 나선형으로 4~10회 말려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ical filter of the "natural penetration trench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band is manufactured by spirally spinning 4 to 10 time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침전조로 유입된 우수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다수의 고분자 필터들과 접촉시켜 우수를 여과시키고 여과된 상등수만을 수평 여과수단으로 공급함에 따라, 침전조로 유입된 우수와 고분자 필터들의 접촉 시간을 길게 하여 침전조에서 수평 여과수단으로 공급되는 우수의 여과 효과를 향상시킴으로써,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의 저감 효과를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mwater introduced into the sedimentation tank is moved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and is contacted with the plurality of polymer filters to filter the stormwater, and only the filtered water is supplied to the horizontal filtration unit,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nonpoint pollutants contained in the rainwater by increasing the contact time of the polymer filters and improving the filtration effect of the rainwater supplied from the horizontal filtration means in the sedimentation tank.

또한, 본 발명은, 우수의 유입량이 적을 경우에도 유입된 우수를 자갈층과 박스 여과부 및 모래층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우수의 유입량이 적을 경우에도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의 저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inflow amount of the stormwater is small, the inflow stormwater is allowed to pass through the gravel layer, the box filtration portion and the sand layer, so that the effect of reducing the non- There is also an effect.

또한, 본 발명은, 지중 함몰부의 제일 하부에 모래층을 구비함으로써, 박스 여과부에서 배출되는 정화된 우수의 지중 침투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게 함으로써, 비점오염물질이 저감된 우수의 지중 침투 효과가 우수한 침투도랑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nd layer at the bottom of the bottom depression to smoothly penetrate the underground penetration of the purified wells discharged from the box filtration portion, thereby achieving excellent underground penetration effect with reduced non- There is also an effect of providing infiltration ditch.

또한, 본 발명은, 침전조의 배수측에 별도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하지 않고도 지중에 박스 여과부를 바로 구비함으로써 침투도랑의 시공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lowering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infiltration trench by providing the box filtration portion directly in the ground without producing a separate concrete structure on the drainage side of the settling tank.

또한, 본 발명은, 고분자 필터가 채워지는 매트릭스박스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운반과 시공을 용이하게 할 있도록 하고, 매트릭스박스를 슬라이드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적은 힘으로 간단하게 매트릭스박스를 직육면체 형태로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매트릭스박스의 시공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침투도랑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trix box that is filled with a polymer filter in a prefabricated manner, facilitating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and a matrix box can be constructed as a slide assembly so that a matrix box can be easily assembl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ith a small force Thereb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filtration ditch which can make the construction of the matrix box more easily.

또한, 본 발명은, 매트릭스박스를 직육면체의 형태로 조립한 후에는 매트릭스박스를 구성하는 각 다공판이 외측으로 이탈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구성이 향상된 매트릭스박스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improved durability matrix box capable of preventing the perforated plates constituting the matrix box from being detached and separated after the matrix box is assembl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또한, 본 발명은, 침투도랑 여재층의 일부를 매크리스박스로 사용함으로써 기공률을 95% 이상 높여 일반 침투도랑의 시설체적을 절반 이상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porosity by 95% or more by using a part of the permeable ditch material layer as a crisscross box, thereby reducing the facility volume of the general permeation ditch by more than half.

또한, 본 발명은,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로 구성된 고분자 필터를 통해, 우수에 포함된 탁질입자와 포집자(필터)간 물리적 유체 기전인 침전(sedimentation), 관성력(inertial force)에 의한 부착(관성충돌), 차단(interception), 확산(diffusion) 현상이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게 함으로써, 우수 내에 포함된 다양한 입경별 고형물과 유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mer filter composed of a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which can be used for sedimentation which is a physical fluid mechanism between the contaminant particles contained in the well and the collector (filter), adhesion by inertial force Collision, interception, and diffusion can be effectively induced, thereby effectively removing various solids and oil fractions included in the rainb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투도랑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1c는 도 1b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1d는 도 1b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침전조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수직 여과수단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매트릭스박스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 내지 도 3c는 매트릭스박스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고,
도 3d는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3e는 도 3d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분자 필터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4b는 고분자 필터의 탄성변형을 예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c는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를 제조하기 위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필름 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d 내지 도 4g은 본 발명의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포집자) 내부 중공의 침전 기전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며,
도 4h 내지 도 4j는 본 발명의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포집자)에 의한 연속운전 여과공정의 유수분리와 유분분리 기전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며,
도 4k는 본 발명의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포집자)에 의한 초기우수 여과공정 처리의 유수분리와 역세탈리 기전 기전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의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침투도랑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
1 shows a penetration tr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A is a perspective view,
FIG. 1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A,
1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1B,
1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1B.
2 is an enlarged view of a settling tank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cross-sectional view,
2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vertical filtration means.
Fig. 3 shows a matrix box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show a process of assembling the matrix box,
Figure 3d shows the assembled state,
3E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3D.
4 shows a polymer filter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4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polymer filter,
4C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film strip for producing a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4D to 4G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hollow hollow precipitating mechanism of the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4H to 4J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il separation and the oil separation mechanism in the continuous operation filtration process by the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K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echanism of oil separation and the backwashing mechanism of the initial excellent filtration process by the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of the prior art.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enetration trench.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투도랑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1c는 도 1b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1d는 도 1b의 D-D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침전조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수직 여과수단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아울러,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매트릭스박스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 내지 도 3c는 매트릭스박스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고, 도 3d는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3e는 도 3d의 E-E선 단면도이다. 1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1A, Fig. 1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CC in Fig. 1B, Fig. 1D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in Fig. 1B, to be.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dimentation tank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sectional view, and Fig. 2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vertical filtration means. 3A to 3C show a process of assembling the matrix box, FIG. 3D shows the assembled state, and FIG. 3E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3D.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투도랑은 상부가 노출되게 지중에 매설되고 일측의 상부에는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2)가 연결되고 타측의 상부에는 우수 배출구(13)가 형성되는 침전조(1)와, 상기 침전조(1)의 내부 타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수직 여과수단(2)과, 상기 침전조(1)의 타측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타측의 상부에는 배수부(31)가 연결되어 있는 지중 함몰부(3)와, 상기 지중 함몰부(3)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평 여과수단(4)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infiltration tr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let port 12 through which an upper portion is exposed and an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through which rainwater flows, A vertical filtration means 2 vertically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terior of the settling tank 1 and a drainage unit 31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ttling tank 1 in a long left- And a horizontal filtration unit 4 installed inside the underground depression 3. The horizontal depression unit 3 is connected to the ground depression unit 3,

상기 침전조(1)는 내부로 유입된 우수를 최초로 침전하여 우수에 포함되는 침전물를 가라앉히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침전조(1)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상부의 개방부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그레이팅(1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ttling tank (1) serves to initially settle the storm that has flowed into the inside of the sediment tank (1), thereby sinking the sediment contained in the storm. The settling tank 1 having such a shap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n open top, and it is preferable that a grating 11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ttling tank 1 so that the storm can be introduced into the open top.

상기 유입부(12)는 지면에 내리는 우수를 취합하여 상기 침전조(1)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지면에 함몰되게 시공되는 "U"자형이나 관형의 측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inflow section 12 is constituted by a U-shaped or tubular sidewall which is formed so as to be recessed on the ground so as to collect the rainwater falling on the ground and to flow into the settling tank 1.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수직 여과수단(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전조(1)의 내부 타측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12)로 유입된 우수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다수의 고분자 필터(F1)들과 접촉시켜 우수를 여과시키고 여과된 상등수만을 상기 우수 배출구(13)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2 and 3, the vertical filtration means 2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vertically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terior of the sedimentation tank 1, And moves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polymer filters (F1) while filtering out the stormwater, and discharging only the filtered supernatant to the storm drain (13).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수직 여과수단(2)은, 상기 침전조(1)의 타측벽에 상기 우수 배출구(13)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우수를 내부의 하부에서 유입받아 상부로 이동시키고 내부의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21)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는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을 고분자 필터(F1)들을 통해 여과시켜 상기 우수 배출구(13)로 배출시키는 박스 여과부(F)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rtical filtration means 2 having such a function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wall of the sedimentation tank 1 in communication with the storm drainage port 13 to allow the stormwater to flow in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The non-point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ainwater which is provided in the case 21 and is moved upward from the bottom are filtered through the polymer filters F1 and discharged to the outflow outlet 13 And a box filtration portion F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케이스(21)는 박스 여과부(F)를 이탈 없이 내부에 견고하게 내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침전조(1)의 타측벽에 형성된 우수 배출구(13)의 전,후방에 일측으로 돌출되게 고정되고 각각의 하단은 상기 침전조(1)의 하면에 밀착 고정되는 전,후방 수직판(211)(212)과, 상기 전,후방 수직판(211)(212)의 일측 단부를 일체로 서로 연결하고 하부에는 우수 유입홀(214)이 형성되는 일측 수직판(21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se 21 is fix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outlet 13 formed on the other side wall of the settling tank 1 so as to firmly house the box filtration part F without leaving the box filtration part F The lower ends of the front and rear vertical plates 211 and 212 and the front and rear vertical plates 211 and 212 ar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ttling tank 1, And a single vertical plate 213 on the lower portion where the intrusion inflow hole 214 is formed.

특히 상기 박스 여과부(F)는 내부에 고분자 필터(F1)들이 채워지는 다수의 매트릭스박스(B)의 조합으로 구성되는데 그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아울러, 각 상기 매트리스박스(B)에 채워지는 고분자 필터(F1)의 설명도 후술하기로 한다.Particularly, the box filtration unit F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atrix boxes B filled with polymer filters F1,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a description of the polymer filter F1 filled in each of the above-mentioned mattress box (B)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지중 함몰부(3)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전조(1)의 타측인 지중에 지중 파기를 통해 좌우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 여과수단(4)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1 and 3, the ground depression 3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be reces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rough the ground wave in the ground on the other side of the settling tank 1, And serves as a space for installing the horizontal filtration means 4.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지중 함몰부(3)의 바닥은 상기 수평 여과수단(4)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중 함몰부(3)의 타측의 상부에는 미처리되어 지중 함몰부(3)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우수를 배출하는 배수부(31)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of the underground depression 3 serving as the above-mentioned function is formed as a flat surface so that the horizontal filtration means 4 can be easily install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drainage unit 31 for discharging the overflowing water from the underground depression 3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underground depression unit 3.

그리고 상기 배수부(31)는 지중 함몰부(3)에서 오버플로우되어 미처리된 우수가 지면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U"자형이나 관형의 측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rainage unit 31 is preferably formed of a U-shaped or tubular sidewall so as to prevent the untreated storm surge from overflowing in the underground depression 3 and infiltrating into the ground.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수평 여과수단(4)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중 함몰부(3)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 배출구(13)를 통해 일측의 상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재차 여과시켜 지중 함몰부(3)의 하부의 지중으로 침투시키는 역할을 한다. 1 and 3, the horizontal filtration means 4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underground depression portion 3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one side The inflowing stormwater is filtered again to penetrate into the lower ground of the underwater depression portion 3.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수평 여과수단(4)은 상기 지중 함몰부(3)의 하부에 채워지는 모래층(41)과, 상기 모래층(41)의 상부에 적층되는 하부 투수시트(42)와, 상기 하부 투수시트(42)의 상부에 둘레 이격공간을 두고 설치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는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을 고분자 필터(F1)들을 통해 여과시켜 하부로 배출시키는 박스 여과부(F)와, 상기 박스 여과부(F)의 상부와 둘레를 감싸는 커버 투수시트(43)와, 상기 둘레 이격공간에 채워지는 둘레 자갈층(44)과, 상기 둘레 자갈층(44)과 박스 여과부(F)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층 자갈층(45)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평 여과수단(4)은 지면을 좀 더 평탄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적층 자갈층(45)의 상부 적층되는 상부 투수시트(46)와, 상기 상부 투수시트(46)의 상부에 적층되는 잔자갈층(47)을 더 포함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horizontal filtration means 4 serving as the above function comprises a sand layer 41 fi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nderground depression 3, a lower permeable sheet 42 stacked on the sand layer 41, A box filtration part F disposed at the upper part of the lower permeable sheet 42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ermeable sheet 42 and filtering the non-point pollutant contained in the storm that moves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through the polymer filters F1 and discharging the same downward; A cover pervious sheet 43 surrounding the box filtration part F and an upper and a periphery of the box filtration part F, a peripheral gravel layer 44 filled in the peripheral space, a peripheral gravel layer 44 and a box filtration part F And a laminated gravel layer 45 laminated on the upper part. The horizontal filtration means 4 includes an upper permeable sheet 46 stacked on top of the laminated gravel layer 45 and a finer layer stacked on top of the upper permeable sheet 46 so as to make the surface more flat. (47).

상기 잔자갈층(47)과 적층 자갈층(45) 및 둘레 자갈층(44)은 불규칙한 자갈로 구성되는 것으로,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우수가 자갈들이 형성하는 공극으로 통과되면서 자연 정화되는 것이다.The gravel layer 47, the laminated gravel layer 45 and the surrounding gravel layer 44 are formed of irregular gravel. The gravel layer 47 is naturally cleaned by passing through the gaps formed by the pebbles containing non-point pollutants.

상기 상부 투수시트(46)와 커버 투수시트(43) 및 하부 투수시트(42)는 섬유필터로 구성되는 것으로,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우수를 투수시키면서 우수에 포함되는 오염 입자를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The upper water permeable sheet 46, the cover water permeable sheet 43 and the lower water permeable sheet 42 are formed of a fiber filter, and serve to filter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water while permeating the water containing the non- do.

상기 박스 여과부(F)는 내부에 고분자 필터(F1)들이 채워지는 다수의 매트릭스박스(B)의 조합으로 구성되는데 그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아울러, 각 상기 매트리스박스(B)에 채워지는 고분자 필터(F1)의 설명도 후술하기로 한다.The box filtration unit F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atrix boxes B filled with polymer filters F1,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a description of the polymer filter F1 filled in each of the above-mentioned mattress box (B)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모래층(41)은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우수를 모래들이 형성하는 공극으로 통과시키면서 자연 정화시키고, 우수를 하부로 투수시켜 지중 함몰부(3)의 하부를 통해 지중으로 침투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지중 함몰부(3)의 제일 하부에 모래층(41)을 구비함에 따라, 박스 여과부(F)에서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이 저감된 우수의 지중 침투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게 하고, 매트릭스박스(B)들이 좀 더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The sand layer 41 performs a function of passing the rainwater containing the non-point pollutant through the pores formed by the sand and allowing the rainwater to permeate downward and permeating the ground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under-buried part 3 .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and layer 41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underground depression 3, the underground penetration of the excellent under which the non-point pollutant discharged from the box filtration part F is reduced can be smoothly progressed , And the matrix boxes (B) can be more stably sea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침전조(1)의 배수측에 별도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하지 않고도 지중에 박스 여과부(F)를 바로 구비함으로써 침투도랑의 시공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infiltration trench can be lowered by providing the box filtration part F directly in the ground without preparing a separate concrete structure on the drainage side of the settling tank 1.

한편, 본 발명의 수직 여과수단(2)이나 수평 여과수단(4)을 구성하는 상기 박스 여과부(F)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고분자 필터(F1)들이 채워지는 다수의 매트릭스박스(B)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1 to 3, the box filtration part F constituting the vertical filtration means 2 or the horizontal filtration means 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x filtration system in which polymer filters F1 are filled therein And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atrix boxes (B), thereby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contained in the rain.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매트릭스박스(B)는 조립식으로 조립시킬 수 있도록, 상부 양측에 종방향으로 T형 홈(T1)이 형성되고 다수의 물 통과홀(H)이 형성된 하부 다공판(B1)과, 하부와 상부 및 전,후방에 T형 돌출부(T2)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다공판(B1)의 양측 T형 홈(T1)에 하부의 T형 돌출부(T2)가 슬라이드식으로 각각 삽입되며 각각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H)이 형성된 측 다공판(B2)과,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의 양측에 T형 홈(T1)이 형성되고 각각의 내측면 양측에 형성된 T형 홈(T1)이 양쪽의 측 다공판(B2)의 전방에 위치된 T형 돌출부(T2)와 후방에 위치된 T형 돌출부(T2)에 슬라이딩식으로 각각 삽입되며 각각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H)이 형성된 전,후방 다공판(B3)(B4)과, 하부 양측에 종방향으로 T형 홈(T1)이 형성되고, 양쪽의 상기 측 다공판(B2)의 T형 돌출부(T2)에 양측의 T형 홈(T1)이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며, 다수의 물 통과홀(H)이 형성된 상부 다공판(B5)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The matrix box B having such a function is provided with a lower perforated plate B1 in which T-shaped grooves T1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water through holes H are formed, And a lower T-shaped protrusion T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wall T1 of the lower sidewall B1 and the lower T-shaped protrusion T2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lower sidewall T1 of the lower sidewall B1 A plurality of water holes H formed on the side plate B2; a T-shaped groove T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opposite to each other and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Are inserted into the T-shaped protrusions (T2) positioned forward of the side porous plates (B2) and the T-shaped protrusions (T2) located at the rear,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water through holes The front and rear perforated plates B3 and B4 and the T-shaped grooves T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and the T-shaped protrusions T2 on both sides of the perforated plate B2.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T-shaped groove T1 on both sides is slidably inserted and the upper perforated plate B5 on which a plurality of water passage holes H are formed.

그리고 상기 전방 다공판(B3)의 상부에는 하나의 탭홀(J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다공판(B5)에는 상기 탭홀(J1)과 상응되는 위치에 조립홀(J2)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홀(J2)과 탭홀(J1)에는 고정볼트(J3)가 관통 체결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J3)의 체결을 통해 매트릭스박스(B)의 조립을 완료한 후에는 매트릭스박스(B)가 전혀 해체될 수 없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볼트(J3)의 체결을 통해 조립된 매트릭스박스(B)의 내구성을 최대로 향상시킴으로써, 매트릭스박스(B)의 설치후 수직의 큰 하중이 매트릭스박스(B)에 전달되더라도 매트릭스박스(B)의 해체 손상이 미연에 방지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One tab hole J1 is formed on the front perforated plate B3 and an assembly hole J2 is formed on the upper perforated plate B5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ab hole J1, The fixing bolt J3 may be passed through the hole J2 and the tap hole J1. Therefore, after the assembly of the matrix box B is completed through the fastening of the fixing bolts J3, the matrix box B can not be disassembled at 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astening the fixing bolts J3 It is possible to prevent disassembly damage of the matrix box B even if a large vertical load is transferred to the matrix box B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matrix box B is maximized 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assembled matrix box B to the maximum There is also.

특히 상기 케이스(21)에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박스 여과부(F)는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는 우수와 고분자 필터(F1)들의 접촉시간을 늘릴 수 있도록, 상기 매트릭스박스(B)들이 수직으로 적층 조합되어 수직으로 긴 직육면체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articularly, the box filtration part F provided in the case 2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atrix boxes B are stacked vertically so as to increase the contact time of the polymer filter F1,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vertically long rectangular parallelepiped.

또한 상기 하부 투수시트(42)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박스 여과부(F)는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는 많은 양의 우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매트릭스박스(B)들을 전,후,좌,우로 연속되게 조합시켜 좌우로 긴 수평의 직육면체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ox filtration part F provided on the lower permeable sheet 4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atrix boxes B are disposed in front of, behind, left, Most preferably in the form of a horizontally long rectangular parallelepiped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고분자 필터(F1)가 채워지는 매트릭스박스(B)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운반과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고, 매트릭스박스(B)를 슬라이드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적은 힘으로 간단하게 매트릭스박스(B)를 직육면체 형태로 조립할 수 있게 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매트릭스박스(B)를 직육면체의 형태로 조립한 후에는 매트릭스박스(B)를 구성하는 각 다공판이 외측으로 이탈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구성이 향상된 매매트릭스박스(B)를 제공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matrix box B filled with the polymer filter F1 can be constructed as a prefabricated structure, facilitating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and the matrix box B can be constructed as a slide assembly type,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matrix box B into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simply.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matrix box B is assembl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perforated plates constituting the matrix box B ar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 Is also provided.

또한, 각각의 상기 매트릭스박스(B)에 채워지는 고분자 필터(F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필름 띠가 나선형으로 말려서 형성된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로 구성된다. The polymer filter F1 filled in each matrix box B is composed of a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formed by spirally winding a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film strip, as shown in FIG.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HDPE)은 밀도가 0.95 이상으로 물보다 가벼우며 저밀도 LDPE에 비해 강도가 높고 마모성이 적은 특징을 갖는다. 또한, 필름으로 박피되는 경우 탄성 복원력이 우수하며 수처리 필터로서 수중 침적시 물과 분리되는 소수성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수중 소수성 입자상 물질인 고형물(SS)과 유분을 여과 포집하는 포집자(필터)의 기본 베이스로 적합하다.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has a density of 0.95 or more and is lighter than water, and has a higher strength and lower abrasion resistance than a low density LDPE. In addition, when the film is peeled off, it is excellent in elastic restoring force and has a hydrophobic property as a water treatment filter, which is separated from water when immersed in water. Because of this feature, it is suitable as the basic base of solids (SS) which is a hydrophobic particulate matter in water and a collector (filter) which collects oil by filtration.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필름 띠는 분자량 900만 이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원뿔형상의 필터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띠가 나선형으로 4~10회, 바람직하게는 5~7회 말려서 제조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뿔형상의 필터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띠가 일부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게 말린 형태일 수 있다(도 4a 및 도 4b 참고).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film strip may be made of a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film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900,000 or more. The conical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the form of a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band formed by spirally spinning 4 to 10 times, preferably 5 to 7 times. In addition, the conical filter may be partially overlapped with a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band or may be in a non-overlapping, dry form (see FIGS. 4A and 4B).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띠가 중첩되지 않게 말린 형태인 경우, 원뿔형상 필터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은 나선형의 트인 공간에 의해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선형의 트인 공간은 원뿔체에 유체의 흐름압력에 의한 외력 또는 근접한 고분자 필터 간의 밀착력이 작용하게 되면 원뿔체의 외형이 탄력적으로 변형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뿔체의 외형이 탄력적으로 복원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띠가 중첩되지 않게 말린 형태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즉, 이러한 경우에도 원뿔형상 필터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은 나선형의 트인 공간에 의해 연통된다.As shown in FIG. 4A, when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band is in a dry form without overlapping,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of the conical filter can be communicated by a spiral open space. When the external force due to the flow pressure of the fluid or the close adhesion between the adjacent polymer filters acts on the conical body, the external shape of the conical body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external shape of the conical body is resiliently restored . This function is the same even when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band is in a dry form so as not to overlap. That is, even in this case,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of the cone-shaped filter are communicated by the spiral open spac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나선형으로 말린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를 제조하기 위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띠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일단부와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타단부를 가지며,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일단부로부터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타단부를 향하여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띠로 제조된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C,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band for manufacturing the spirally dried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end having a relatively wide width and the other end having a relatively narrow width And may have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width gradually narrows from one end portion having a relatively wide width toward the other end portion having a relatively narrow width. A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made of this type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band has a shape as shown in FIG. 4A.

상기 나선형으로 말린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를 제조하기 위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띠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띠는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일단부와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타단부를 가지며,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일단부로부터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타단부를 향하여 두께가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띠가 상기와 같은 형태를 가질 경우,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박피 시에 띠가 자동으로 말려 쉽게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를 형성하는 장점을 갖는다.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band for making the spirally dried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band has one end which is relatively thick in thickness and the other end which is relatively thin in thickness and whose thickness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end of the thickness being relatively thick to the other end which is relatively thin in thickness And the like. Therefore, when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band has the above-described shape, the band is automatically curled when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is peeled, thereby forming a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easily.

또한 본 발명의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는 대략 원뿔 하단부의 지름이 14~50㎜, 길이 30~100mm를 가지며, 상기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를 제조하기 위한 필름 띠는 두께가 대략 0,01~0.08㎜ 정도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는 속이 빈 원뿔체로 형성되므로 부피표면적 대비 중량을 최소화한다. 상기 고분자 필터의 사이즈는 상기한 사이즈보다 너무 크게 형성되면 중량이 물의 비중보다 커져 물에 부유하지 않고 가라앉기 때문에 유수분리 및 고형물제거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사이즈를 너무 작게 형성하면 표면적이 작아 유수분리성능 및 고형물제거성능이 저하되고, 무게가 너무 가볍게 되면 고분자 필터가 수면위로 완전히 부상하므로 역시 유수분리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The cone-shaped floating polymer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e bottom diameter of 14 to 50 mm and a length of 30 to 100 mm. The film band for manufacturing the cone-shaped floating polymer filter has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0.01 to 0.08 mm Can be used. The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is formed as a hollow cone, thereby minimizing weight to volume surface area. If the size of the polymer filter is too large, the weight of the polymer filter becomes larg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ter, and it sinks without floating in the water. On the contrary, if the size is too small, the surface area is small to deteriorate the water separation performance and solids removal performance. If the weight is too light, the polymer filter floats completely on the water surface,

상기 고분자 필터(F1)의 충진밀도는 외압이 없는 자연상태에서 여과챔버 용적의 80% 전후 범위로 하여 유속에 따른 고분자필터의 유동성을 보장한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고분자 필터(F1)의 충진밀도는 상호 근접한 고분자 필터(F1)와 고분자 필터(F1)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하고, 이 공간으로 처리수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원뿔체의 속이 빈 내부공간에 의해서도 처리수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다.The filling density of the polymer filter F1 is in the range of about 80% of the volume of the filtration chamber in a natural state without external pressure, and ensures the fluidity of the polymer filter according to the flow rate. The filling density of the polymer filter F1 set as described above causes a space to be formed between the polymer filter F1 and the polymer filter F1 which are close to each other and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process water flows. Also,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treated water flows is formed also by the hollow internal space of the cone.

따라서 기름성분 및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우수가 고분자 필터(F1)가 채워진 매트릭스박스(B)를 통과하게 되면, 기름성분은 고밀도 고분자 폴리에틸렌 소재로 제작된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의 표면과 공간 사이를 타고 이동하면서 합체된다. 합체된 기름액적의 크기가 증가하면 부상하여 물로부터 제거되고, SS 성분의 고형물은 침전에 의해 매트리스박스(B)의 하부로 낙하하여 제거된다. Therefore, when the oil passes through the matrix box (B) filled with the polymer filter (F1) containing the oil component and the non-point pollutant, the oil component is formed between the surface and the space of the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made of the high- It merges while riding. When the combined oil droplets increase in size, they float and are removed from the water, and the solids of the SS component fall to the bottom of the mattress box (B) by sedimentation and are removed.

이때, 원뿔형상의 고분자 필터(F1)는 나선형으로 말려진 필름 띠와 필름 띠 사이에 원뿔체의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의 트인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의 흐름압력에 의한 외력 또는 근접한 고분자 필터(F1)간의 밀착력이 작용하게 되면, 원뿔체의 외형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상하, 내외측으로의 탄력적인 변형과 복원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변형작용은 원뿔체의 표면과 공간 사이를 타고 이동하면서 합체된 기름성분의 부상을 더욱 원활하게 하고, 원뿔체의 표면에 부착되는 고형물을 털어내므로 고형물의 부착을 최소화하게 하며, 고형물을 매트리스박스(B) 하부로 낙하시키는 것을 더욱 원활하게 만든다.Since the conical polymer filter F1 has a helical space defined between the film strip and the film stri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ical body, the external force due to the flow pressure of the fluid or the proximity of the polymer filter F1, The outer shape of the conical body is elastically deformed and restored to the left and right, up and down and inside and outside as shown in FIG. 4B. Such elastic deformation acts to move the surface of the cone through the space and space to smoothly float the coalesced oil component, to shake out the solid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one, thereby minimizing the adhesion of the solids, So that it is possible to smoothly drop the liqui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ttress box (B).

이하에서 본 발명의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포집자)에 의한 여과 기전을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ltration mechanism by the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필터(포집자) 내부 중공의 침전 기전><Sedimentation mechanism of the hollow inside the filter (trapper)>

본 발명의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F1 : 포집자) 내부 중공의 침전 기전은 도 4d 내지 도 4g에 의하여 자세히 설명된다.The mechanism of precipitation of hollow inside the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F1: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lain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D to 4G.

즉, 매트리스박스(B)에 충진된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F1 : 포집자)는 상향 유속을 갖는 외부 유체와 충돌한다. 이 때, 유체는 수류 분산되어 포집자 내부 중공에 수류가 빗겨가는 상부층 유속을 변화시켜 천이류 상태와 층류상태를 만들어 밀도가 큰 입자를 침전시킨다.That is, a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F1: collector) filled in the mattress box (B) collides with an external fluid having an upward flow rate. At this time, the fluid is dispersed by the water, and the flow of the upper layer, in which the water is deflected into the hollow inside the collector, is changed to create a transition flow state and a laminar flow state, thereby precipitating the high density particles.

고형물과 에멀전 상태의 유분 입자를 포함한 난류상태 외부 상향류 유체는 포집자와 충돌하여 원뿔 마디 사이 서로 다른 반경의 띠상 공간으로 수류를 분산시킨다. 이때 원뿔 형상의 내부 공간과 고분자 필터(포집자) 좌우 상향 흐름에 따른 고분자 필터(포집자) 상부의 유속은 감소하고 층류 상태로 변하며, 난류 상태의 상향 유체에 포함된 밀도가 큰 입자가 대부분 스토크법칙에 의해 원뿔상 중공내부와 상단에 침전(sedimentation)되어 제거 대상 입자가 포집 및 여과된다. 또한 고분자 필터(포집자)에 형성된 4~10개, 바람직하게 5~7개의 띠상 공간에 상호 고리형태로 얽혀 만들어진 필터(포집자) 연결체와 매트리스 층을 통과하며 입자의 밀도와 관계없이 필터(포집자)에 관성충돌(inertial impaction)하여 고분자 필터(포집자)에 부착 침적된다. 이러한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는 상향 유체의 흐름을 원뿔상 동심원의 중공과 단일 포집자 사이에 띠상 흐름 공간을 만들어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고분자 필터(포집자) 내부에 층류영역을 유도하여 밀도가 큰 입자와 유분을 포집 여과한다.A turbulent external upflow fluid containing solids and emulsion oil particles collides with the trapper to disperse the water stream into the lumen of different radii between the cone nodes. At this time, the flow rate of the upper part of the polymer filter (collector) due to the conical internal space and the upward and downward flow of the polymer filter (collector) is reduced and changed into the laminar flow state. In the turbulent state, By the law, it is sedimented in the inside and the top of the conical hollow so that the particles to be removed are trapped and filtered. In addition, the filter passes through a filter (trapper) connector and a mattress layer entangled in a loop of 4 to 10, preferably 5 to 7, loops formed in a polymer filter (collector) (Collectors) and adhered to the polymer filter (collector) by deposition. These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s create a stratified flow space between the hollow and single collectors of the conical concentric circles to effectively distribute the upward fluid flow to effectively induce a laminar flow region within the polymer filter (collector) Is collected and filtered.

<연속운전 여과공정의 유수분리와 유분분리><Oil separation and oil separation in continuous operation filtration process>

본 발명의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F1 : 포집자)에 의한 연속운전 여과공정의 유수분리와 유분분리 기전은 도 4h 내지 도 4j에 의하여 자세히 설명된다.The oil separation and oil separation mechanism of the continuous operation filtration process by the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F1: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lain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H to FIG. 4J.

즉, 상향류 난류 유체에 포함된 고형물과 에멀젼 유분은 유체역학적 작용(hydrodynamic), 확산(diffusion), 침전(sedimentation), 관성력(inertial force)에 의한 부착(관성충돌), 차단(interception)의 기전을 최적화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탄성포집자에 포집되어 여과 고정되며 공기역세의 과정을 통해 여과조 하단으로 탈리되어 시스템 역세 자동 공정과 같이 배출된다.In other words, the solids and emulsion fractions contained in the upflow turbulent fluid have a mechanism of hydrodynamic, diffusion, sedimentation, adhesion by inertial force (inertial collision), interception (HDPE) elastic collector, filtered and fixed, and is discharged to the bottom of the filtration tank through the process of air backwash, and is discharged like the backwash process of the system.

<초기우수 여과공정 처리의 유수분리와 역세탈리><Oil separation and backwashing of the initial excellent filtration process>

본 발명의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F1 : 포집자)에 의한 초기우수 여과공정 처리의 유수분리와 역세탈리 기전은 도 4k에 의하여 자세히 설명된다.The water separation and backwash separation mechanism of the initial excellent filtration process by the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F1: col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k.

즉, 유체에 포함된 에멀전 상태의 유분은 쉽게 액적 상태로 합류되지 않는 성질이 있다. 에멀전 유분체는 유속에 의해 브라운운동 상태로 확산(diffusion)한다. 수중 에멀전 상태의 유분제거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탄성 포집자 중공내 층류상태에서 소수성 성질을 갖는 고분자 필터(포집자) 외벽에 흡착되고 중공내에서 물과 유분체의 밀도차에 의해 고분자 필터(포집자) 상부에 액적을 만든다. 유분의 소수성 분리성질과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포집자)의 소수성 특징이 물보다 친유성 성질을 띄기 때문이다. 고분자 필터(포집자) 외벽에 흡착된 유분은 상호 합류되어 액적상태화 되며 유분이 커져 물과의 비중차에 의해 고분자 필터(포집자) 외부로 배출 부상되는 유수분리의 특징을 갖는다. 하지만 초기우수 여과처리에 있어서 강우 종료 후 48시간 이내에 입자상 물질의 역세 공정을 통해 배출되야 하기 때문에 입자탈리와 함께 역세수에 흡착된 액적상태의 유분을 함께 탈리하여 역세수를 배출한다.That is, the emulsion state oil contained in the fluid does not easily join in the droplet state. The emulsion oil is diffused into the Brownian motion by the flow velocity. The removal of oil in the water emulsion state is carried out on the outer wall of a polymer filter (sorbent) having a hydrophobic property in a laminar flow state of a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elastic trapper hollow, and a polymer filter I) Make droplets on top. The hydrophobic nature of the oil and the hydrophobic nature of the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sorbent) are more lipophilic than water. Polymer filter (sorbent) The oil adsorbed on the outer wall is characterized by the water splitting which is merged into the droplet state and the oil fraction is increas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olymer filter (collector) by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with water. However, since it is necessary to discharge the particulate matter through the backwashing process within 48 hours after the end of rainfall in the initial excellent filtration treatment, the desorbed water is discharged by desorbing the droplet state oil adhered to the backwash water together with the desorbed water.

이하에서,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시험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시험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시험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est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test examples are for furthe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test examples. The following test examples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시험예 1: 유수분리성능 및 고형물제거성능 평가Test Example 1: Oil separation performance and solids removal performance evaluation

본 발명의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F1)에 대한 유수분리성능 및 고형물제거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별도의 lab scale 여과장치를 제작하였다. 이 여과장치에 본 발명의 고분자 필터(F1)를 충진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인공 초기우수는 자동차 폐엔진오일과 도로노면에서 수거한 먼지를 아래의 표와 같이 1000㎛, 180㎛, 100㎛, 45㎛ 입경 체로 분리한 뒤 1000㎛~180㎛는 15%, 180㎛~100㎛는 25%, 100㎛~45㎛는 15%, 45㎛이하는 45%의 비율로 혼합하여 조제하여 미국토목학회의 NJDEP/NJCAT TARP로 알려진 TARP 프로토콜의 입경 분포별 인공시료 조건에 가깝도록 만들어 24시간 건조기에서 건조하고 수돗물에 혼합하여 고형물농도 600mg/L, N-H 농도 100mg/L 농도의 인공초기우수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water separation performance and the solids removal performance of the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F1)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b scale filtration apparatus was manufactured. The filtration apparatus was filled with the polymer filter (F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table below, the artificial early storm used in the experiment was separated into 1000 μm, 180 μm, 100 μm, and 45 μm particle sizes as shown in the table below, 15% for 1000 μm to 180 μm, The artificial sample conditions of the TARP protocol of the TARP protocol known as NJDEP / NJCAT TARP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were prepared by mixing 25% of 180 탆 to 100 탆, 15% of 100 탆 to 45 탆 and 45% of 45 탆 or less , Dried in a dryer for 24 hours, and mixed with tap water to prepare an artificial early storm having a solid concentration of 600 mg / L and a NH concentration of 100 mg / L

상기 인공초기우수(폐수)는 정량펌프(Masterflex Pump)를 이용하여 체류시간을 변화하며 처리조로 유입하였다. 유입부와 유출부에서 채취한 시료의 n-Hexane 추출물질 및 SS(Suspended solids)는 수질오염공정시험법과 표준공정시험법(Standard Methods)에 따라 분석하고 하기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The artificial initial stormwater (wastewater) was flowed into the treatment tank by changing the residence time using a metering pump (Masterflex Pump). The n-hexane extract and SS (Suspended solids) of the samples taken from the inlet and outlet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Water Pollution Process Test and Standard Method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또한, 비교예로서 도 5에 도시된 필터는 종래에 먼저 공개된 원통형의 부유 고분자 필터로서, 종래에 먼저 공개된 원통형의 부유 고분자 필터를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In addition, as a comparative example, the filter shown in Fig. 5 is a cylindrical floating polymer filter that has been disclosed in the prior art, and the test i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above using a cylindrical floating polymer filter that has been disclosed in the past,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성분ingredient 유입량
(㎥/h)
inflow
(M3 / h)
실시예(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Example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비교예(원통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Comparative Example (Cylindrical Floating Polymer Filter)
인공유입수
(mg/L)
Artificial influent
(mg / L)
유출수
(mg/L)
Effluent
(mg / L)
처리효율
(%)
Treatment efficiency
(%)
유입수
(mg/L)
Influent
(mg / L)
유출수
(mg/L)
Effluent
(mg / L)
처리효율
(%)
Treatment efficiency
(%)
n-Hexane
추출물
n-Hexane
extract
0.10.1 100100 10.110.1 89.989.9 84.5 484.5 4 4.7 4.7 94.494.4
0.20.2 100100 6.96.9 93.193.1 102.9 102.9 5.3 5.3 94.894.8 0.30.3 100100 5.25.2 94.894.8 81.5 81.5 5.9 5.9 92.892.8 0.60.6 100100 3.43.4 96.696.6 86.786.7 12.5 12.5 85.685.6 0.90.9 100100 2.52.5 97.597.5 86.286.2 26.2 26.2 69.669.6 부유성 고
형물
Floating
Shape
0.10.1 600600 48.848.8 91.891.8 1082 1082 52.3 52.3 95.295.2
0.20.2 600600 36.436.4 93.993.9 1250 1250 73.5 73.5 94.194.1 0.30.3 600600 32.532.5 94.694.6 1320 1320 103.2 103.2 92.292.2 0.60.6 600600 29.229.2 95.195.1 1530 1530 135.7 135.7 91.191.1 0.90.9 600600 23.723.7 96.096.0 1450 1450 194.8 194.8 86.686.6

상기 표 1의 시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인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F1)는 비교예인 원통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와 비교하여 매우 우수한 여과효과를 제공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From the test results shown in Table 1,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F1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y excellent filtration effect as compared with the cylindrical floating polymer filter of the comparative example.

따라서, 본 발명의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는 초기 우수에 포함된 탁질입자와 포집자(필터)간 물리적 유체 기전인 침전(sedimentation), 관성력(inertial force)에 의한 부착(관성충돌), 차단(interception), 확산(diffusion) 현상이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초기 우수 내에 포함된 다양한 입경별 고형물과 유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sedimentation, inertia force, inertia force, and interception of the physical fluid mechanism between the contaminant particles contained in the initial rainfall and the collector (filter) ) And diffusion can be effectively induced, so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solid matter and oil fractions of various particle diameters contained in the initial rainwater.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침투도랑을 통해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의 저감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ocess of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included in the rainwater through the infiltration tr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투도랑을 통해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처리할 경우에는, 먼저, 침전조(1)로 우수가 유입되면, 유입된 우수는 침전조(1)에 채워지면서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의 침수 고형물이 하부로 침수된다. 그리고, 침전조(1)에 유입되는 우수는 수직 여과수단(2)을 구성하는 박스 여과부(F)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면서 다수의 고분자 필터(F1)들과 접촉하는 과정을 통해, 우수에 포함된 탁질입자와 고분자 필터(F1)들간 물리적 유체 기전인 침전, 관성력에 의한 부착(관성충돌), 차단, 확산 현상이 효과적으로 유도됨으로써, 우수 내에 포함된 다양한 입경별 고형물과 유분이 1차적으로 제거된다. As shown in FIGS. 1 to 4, when the non-point pollutants contained in the rainwater are removed through the infiltration d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when the rainwater flows into the precipitation tank 1, As the sedimentation tank 1 is filled, submerged solids of the non-point pollutants contained in the storm are submerged. The stormwater introduced into the settling tank 1 passes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box filtration portion F constituting the vertical filtration means 2 and contacts the plurality of polymer filters F1, (Inertial collision), blockage and diffusion phenomena induced by sedimentation, inertial force, physical fluid mechanism between the contained particulate and polymer filter (F1) are effectively induced, whereby solid matter and oil of various particle sizes included in the rainfall are primarily removed do.

다음 상기 수직 여과수단(2)의 박스 여과부(F)에서 정화된 상등수는 침전조(1)의 우수 배출구(13)를 통과하여 수평 여과수단(4)의 상부로 유입된다. The supernatant purified in the box filtration section F of the vertical filtration means 2 flows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iltration means 4 through the fine discharge port 13 of the sedimentation tank 1.

다음 수평 여과수단(4)의 상부로 유입된 우수는 잔자갈층(47), 상부 투수시트(46), 적층 자갈층(45), 둘레 자갈층(44)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이 여과된 후, 수평 여과수단(4)을 구성하는 박스 여과부(F)에 유입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우수가 박스 여과부(F)의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하면서 다수의 고분자 필터(F1)들과 접촉하는 과정을 통해, 우수에 포함된 탁질입자와 고분자 필터(F1)들간 물리적 유체 기전인 침전, 관성력에 의한 부착(관성충돌), 차단, 확산 현상이 효과적으로 유도됨으로써, 우수 내에 포함된 다양한 입경별 고형물과 유분이 2차적으로 제거된다.The rainwater that has flow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iltration means 4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gravel layer 47, the upper water permeable sheet 46, the gravel layer 45 and the gravel layer 44 in order, And then flows into the box filtration section F constituting the horizontal filtration means 4 and is mov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As a result of the process of contacting the plurality of polymer filters F1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box filtration portion F as described above, the physical fluid mechanism between the pollutant particles contained in the polymer and the polymer filter F1 (Inertial collision), blockage, and diffusion phenomenon are effectively induced, whereby solids and oil fractions of various particle diameters contained in the rainbow are secondarily removed.

다음 상기 수평 여과수단(4)을 구성하는 박스 여과부(F)를 통해 2차적으로 여과된 우수는 최종적으로 모래층(41)을 통과하면서 제차 여과된 다음, 지중에 침투되는 것이다. Next, the rainwater that has been secondly filtered through the box filtration unit F constituting the horizontal filtration means 4 is finally filtered through the sand layer 41, and is then permeated into the ground.

따라서, 본 발명은 침전조(1)로 유입된 우수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다수의 고분자 필터(F1)들과 접촉시켜 우수를 여과시키고 여과된 상등수만을 수평 여과수단(4)으로 공급함에 따라, 침전조(1)로 유입된 우수와 고분자 필터(F1)들의 접촉 시간을 길게 하여 침전조(1)에서 수평 여과수단(4)으로 공급되는 우수의 여과 효과를 향상시킴으로써,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의 저감 효과를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mwater introduced into the settling tank 1 is moved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polymer filters F1 to filter the stormwater, and only the filtered water is supplied to the horizontal filtration unit 4, The time of contact between the stormwater introduced into the sedimentation tank 1 and the polymer filter F1 is prolonged to improve the filtration effect of stormwater supplied from the sedimentation tank 1 to the horizontal filtration means 4,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abatement effect.

또한 본 발명은 우수의 유입량이 적을 경우에도 침전조(1)에서 우수가 수평 여과수단(4)의 일측 상부로 유입됨에 따라, 유입된 우수를 자갈층과 박스 여과부(F) 및 모래층(41)을 함께 통과되게 됨으로써, 우수의 유입량이 적을 경우에도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의 저감 효과를 향상시키는 유용한 발명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inflow amount of stormwater is small, the stormwater is introduced into one side of the horizontal filtration means 4 in the settling tank 1, and the inflow stormwater is introduced into the gravel layer, the box filtration portion F and the sand layer 41 It is a useful invention for improving the effect of reducing the nonpoint pollutants included in the rainfall even when the inflow amount of rainwater is small.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침전조
11 : 그레이팅
12 : 유입부
13 : 우수 배출구
2 : 수직 여과수단
21 : 케이스
211 : 전방 수직판, 212 : 후방 수직판,
213 : 일측 수직판, 214 : 우수 유입홀
3 : 지중 함몰부
31 : 배수부
4 : 수평 여과수단
41 : 모래층
42 : 하부 투수시트
43 : 커버 투수시트
44 : 둘레 자갈층
45 : 적층 자갈층
46 : 상부 투수시트
47 : 잔자갈층
F : 박스 여과부
F1 : 고분자 필터
B : 매트릭스박스
B1 : 하부 다공판, B2 : 측 다공판, B3 : 전방 다공판,
B4 : 후방 다공판, B5 : 상부 다공판, H : 물 통과홀
T1 : T형 홈, T2 : T형 돌출부, J1 : 탭홀, J2 : 조립홀,
J3 : 고정볼트
1: settling tank
11: Grating
12:
13: Outlet outlet
2: vertical filtration means
21: Case
211: a front vertical plate, 212: a rear vertical plate,
213: one-side vertical plate, 214: fine inflow hole
3: Underground depression
31:
4: Horizontal filtration means
41: sand layer
42: Lower permeable sheet
43: Covering pitch sheet
44: Perimeter gravel
45: laminated gravel layer
46: Upper permeable sheet
47:
F: box filtration section
F1: Polymer filter
B: Matrix box
B1: Lower perforated plate, B2: Perforated plate, B3: Front perforated plate,
B4: rear porous plate, B5: upper porous plate, H: water passage hole
T1: T-shaped groove, T2: T-shaped protrusion, J1: Tapped hole, J2: Assembly hole,
J3: Fixing bolt

Claims (16)

상부가 노출되게 지중에 매설되고, 상부에는 그레이팅(11)이 구비되며 일측의 상부에는 유입부(12)가 연결되고 타측의 상부에는 우수 배출구(13)가 형성되는 침전조(1)와; 상기 침전조(1)의 내부 타측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12)로 유입된 우수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다수의 고분자 필터(F1)들과 접촉시켜 우수를 여과시키고 여과된 상등수만을 상기 우수 배출구(13)로 배출시키는 수직 여과수단(2)과; 상기 침전조(1)의 타측인 지중에 지중 파기를 통해 좌우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타측의 상부에는 우수를 배출하는 배수부(31)가 연결되어 있는 지중 함몰부(3)와; 상기 지중 함몰부(3)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 배출구(13)를 통해 일측의 상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재차 여과시켜 지중 함몰부(3)의 하부의 지중으로 침투시키는 수평 여과수단(4);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여과수단(4)은 상기 지중 함몰부(3)의 하부에 채워지는 모래층(41)과, 상기 모래층(41)의 상부에 적층되는 하부 투수시트(42)와, 상기 하부 투수시트(42)의 상부에 둘레 이격공간을 두고 설치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는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을 고분자 필터(F1)들을 통해 여과시켜 하부로 배출시키는 박스 여과부(F)와, 상기 박스 여과부(F)의 상부와 둘레를 감싸는 커버 투수시트(43)와, 상기 둘레 이격공간에 채워지는 둘레 자갈층(44)과, 상기 둘레 자갈층(44)과 박스 여과부(F)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층 자갈층(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
A sedimentation tank 1 in which an upper part is buried in the ground to be exposed, a grating 11 is provided in an upper part, an inlet 12 is connected to an upper part of the grill, and a storm drain 13 is formed in an upper part of the grill 11; And is provided perpendicularly to the other side of the sedimentation tank 1 to move the storm introduced into the inlet 12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to contact the plurality of polymer filters F1 to filter the storm water, Vertical filtration means (2) for discharging to the storm drain (13); An underground depression (3) formed in the ground on the other side of the settling tank (1) so as to be depres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grounded on the other side, and a drainage unit (31) Horizontal filtration means 4 installed inside the under-ground depression 3 for re-filtering the storm that flows into the upper portion of one side through the storm drain 13 and penetrating into the underground of the under-depression 3, &Lt; / RTI &gt;
The horizontal filtration means 4 includes a sand layer 41 fi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underground depression 3, a lower permeable sheet 42 laminated on the sand layer 41, , A box filtration part (F) which is installed with a peripheral spacing space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nd discharges the non-point pollutant contained in the storm, which is mov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through the polymer filters (F1) A cover gauze sheet 43 surrounding the top and periphery of the perimeter gaps F and a perimeter gravel layer 44 filled in the perimeter space; And a gravel layer (45). The natural penetration ditch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여과수단(2)은
상기 침전조(1)의 타측벽에 상기 우수 배출구(13)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우수를 내부의 하부에서 유입받아 상부로 이동시키고 내부의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21)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는 우수에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을 고분자 필터(F1)들을 통해 여과시켜 상기 우수 배출구(13)로 배출시키는 박스 여과부(F);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rtical filtration means (2)
A case 21 which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wall of the settling tank 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torm drain 13 and flows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portion of the sedimentation tank 1,
A box filtration part F provided inside the case 21 to filter the non-point pollutants contained in the rainwater which is transported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through the polymer filters F1 and discharge the same to the rain water discharge port 13;
Characterized in that the natural penetration ditch for the reduction of non-point pollu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1)는
상기 침전조(1)의 타측벽에 형성된 우수 배출구(13)의 전,후방에 일측으로 돌출되게 고정되고 각각의 하단은 상기 침전조(1)의 하면에 밀착 고정되는 전,후방 수직판(211)(212)과,
상기 전,후방 수직판(211)(212)의 일측 단부를 일체로 서로 연결하고 하부에는 우수 유입홀(214)이 형성되는 일측 수직판(21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ase (21)
The front and rear vertical plates 211 are fix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outflow outlet 13 formed on the other side wall of the settling tank 1 so as to protrude to one side and the lower ends thereof are tightly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ttling tank 1 212,
One side plate 213,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ront and rear vertical plates 211 and 212 and has a bottom inflow hole 214 formed therein,
Characterized in that the natural penetration ditch for the reduction of non-point pollu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여과수단(4)은
상기 적층 자갈층(45)의 상부 적층되는 상부 투수시트(46)와,
상기 상부 투수시트의 상부에 적층되는 잔자갈층(47),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filtration means (4)
An upper permeable sheet 46 stacked on top of the laminated gravel layer 45,
A pinhole layer (47) lamin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water permeable shee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natural penetration ditch for the reduction of non-point pollu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여과부(F)는
내부에 고분자 필터(F1)들이 채워지는 다수의 매트릭스박스(B)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ox filtration section F
And a plurality of matrix boxes (B) filled with polymer filters (F1) therei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박스(B)는
상부 양측에 종방향으로 T형 홈(T1)이 형성되고 다수의 물 통과홀(H)이 형성된 하부 다공판(B1)과;
하부와 상부 및 전,후방에 T형 돌출부(T2)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다공판(B1)의 양측 T형 홈(T1)에 하부의 T형 돌출부(T2)가 슬라이드식으로 각각 삽입되며, 각각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H)이 형성된 측 다공판(B2)과;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의 양측에 T형 홈(T1)이 형성되고, 각각의 내측면 양측에 형성된 T형 홈(T1)이 양쪽의 측 다공판(B2)의 전방에 위치된 T형 돌출부(T2)와 후방에 위치된 T형 돌출부(T2)에 슬라이딩식으로 각각 삽입되며, 각각에는 다수의 물 통과홀(H)이 형성된 전,후방 다공판(B3)(B4)과;
하부 양측에 종방향으로 T형 홈(T1)이 형성되고, 양쪽의 상기 측 다공판(B2)의 T형 돌출부(T2)에 양측의 T형 홈(T1)이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며, 다수의 물 통과홀(H)이 형성된 상부 다공판(B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atrix box (B)
A lower perforated plate B1 in which T-shaped grooves T1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and a plurality of water passage holes H are formed;
And a lower T-shaped protrusion T2 is inserted into both T-shaped grooves T1 of the lower perforated plate B1 in a sliding manner, A side perforated plate B2 on which a plurality of water through holes H are formed;
T-shaped grooves T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facing each other and T-shaped grooves T1 form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each of the T-shaped grooves T1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side perforated plate B2 (B3) and (B4), respectively, which are slidably inserted into the T-shaped protruding portion (T2) positioned at the rear side and each having a plurality of water passage holes (H);
A T-shaped groove T1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lower sides thereof, and both T-shaped grooves T1 are slidably inserted into T-shaped projecting portions T2 of both side porous plates B2, An upper perforated plate B5 having a water passage hole H formed therein;
Characterized in that the natural penetration ditch for the reduction of non-point pollu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다공판(B3)의 상부에는 하나의 탭홀(J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다공판(B5)에는 상기 탭홀(J1)과 상응되는 위치에 조립홀(J2)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홀(J2)과 탭홀(J1)에는 고정볼트(J3)가 관통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
8. The method of claim 7,
One tab hole J1 is formed on the front perforated plate B3,
An assembly hole J2 is formed in the upper perforated plate B5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ap hole J1,
Wherein a fixing bolt (J3) is fastened to the assembly hole (J2) and the tap hole (J1) through a natural penetration groove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1) 내부에 구비되는 박스 여과부(F)는 상기 매트릭스박스(B)들이 수직으로 적층 조합되어 수직으로 긴 직육면체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투수시트(42)의 상부에 설치되는 박스 여과부(F)는 상기 매트릭스박스(B)들을 전,후,좌,우로 연속되게 조합시켜 좌우로 긴 수평의 직육면체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The box filtration part F provided in the case 21 is formed by vertically stacking the matrix boxes B in the form of a vertically long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box filtration part F provided on the lower water-permeable sheet 4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hich is horizontally long horizontally by continuously combining the matrix boxes B in front, back, left, Natural penetration ditch for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필터(F1)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필름 띠가 나선형으로 말려서 형성된 원뿔형상의 부유 고분자 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olymer filter (F1)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film strip is constituted by a conical floating polymer filter formed by spirally winding, and a natural penetration ditch for the reduction of non-point pollu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뿔형상의 필터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띠가 나선형으로 4~10회 말려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
11. The method of claim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ical filter is manufactured by winding a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band spiral four to ten tim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뿔형상의 필터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띠가 일부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게 말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ical filter is a natural penetration ditch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characterized by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bands partially overlapping or non-overlapping.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띠가 중첩되지 않게 말린 형태인 경우, 원뿔형상 필터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이 나선형의 트인 공간에 의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inner space of the conical filter and the outer space are communicated by a helical space when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band is in a dry form so as not to overlap.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띠는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일단부와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타단부를 가지며,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일단부로부터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타단부를 향하여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band having one end relatively wide in width and the other end having a relatively narrow width, and a taper having a width gradually narrower from the one end having a relatively wide width toward the other end having a relatively narrow width Type penetration ditch for the reduction of non-point pollu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띠는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일단부와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타단부를 가지며,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일단부로부터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타단부를 향하여 두께가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형태인 것을 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band has one end which is relatively thick in thickness and the other end which is relatively thin in thickness and which gradually decreases in thickness from one end of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toward the other end which is relatively thin in thickness A natural penetration ditch for the reduction of non-point pollu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뿔형상의 필터는 좌우, 상하, 내외측으로의 탄성변형을 하며, 변형 복원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자연형 침투도랑.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ical filter is elastically deformed to left and right, up and down, and inside and outside, and has a deformation restoring force.
KR1020160058409A 2016-05-12 2016-05-12 Natural type nonpoint pollution decrease infiltration trench Active KR1016871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409A KR101687180B1 (en) 2016-05-12 2016-05-12 Natural type nonpoint pollution decrease infiltration tren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409A KR101687180B1 (en) 2016-05-12 2016-05-12 Natural type nonpoint pollution decrease infiltration tren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7180B1 true KR101687180B1 (en) 2016-12-16

Family

ID=57735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409A Active KR101687180B1 (en) 2016-05-12 2016-05-12 Natural type nonpoint pollution decrease infiltration tren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18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845A (en) * 2018-08-17 2018-12-18 西南交通大学 A kind of sponge urban road biology stranded bel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4687U (en) * 1991-12-20 1993-07-23 前田工繊株式会社 Drain with rainwater infiltration box
KR101080636B1 (en) * 2008-12-15 2011-11-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for decrea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4687U (en) * 1991-12-20 1993-07-23 前田工繊株式会社 Drain with rainwater infiltration box
KR101080636B1 (en) * 2008-12-15 2011-11-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for decreas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845A (en) * 2018-08-17 2018-12-18 西南交通大学 A kind of sponge urban road biology stranded bel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2864B1 (en) Filter for removing sediment from water
US8658044B2 (en) Stormwater filt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0904177B1 (en)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the first rainwater containing non-point source
US20020117435A1 (en) Filtering system for runoff water
KR102140016B1 (en) First flush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treatment apparatus
KR100779513B1 (en) Initial excellent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KR200417011Y1 (en) Internal Settling Tank of Boiling Source Treatment System
US20100294729A1 (en) Filter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a filter
KR20150114224A (en) infiltration institution of rainwater in rainwater treatment
KR101334884B1 (en) An apparatus for decreasing non-point source pollutant
KR101547484B1 (en) System for treatment of polluted water from non-point source using Swirl device and porous filters
KR20090033680A (en) Stormwater Treatment System and Stormwater Treatment Method
KR100814790B1 (en) Filtration channel for reducing nonpoint pollutants
KR101353280B1 (en) Modular infiltration trench combined with filter cartridges
KR101851938B1 (en) Treatment apparatus of initial stormwater
KR100605267B1 (en) Storm water treatment device
KR101687180B1 (en) Natural type nonpoint pollution decrease infiltration trench
KR101195091B1 (en) Non-point Source Control Facility
KR101384490B1 (en) Auto storm treatment
JP4618737B2 (en) Road surface wastewater treatment tank
KR100964596B1 (en) Rainwater purifying apparatus using multistory filter media
KR100799651B1 (en) Overflow and stormwate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JP2006028844A (en) Road-surface wastewater treatment tank
KR20170063126A (en) Reducing apparatu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AU2006220392B2 (en) System for feeding a liquid fluid through a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