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5133B1 - 용접기용 토치 - Google Patents

용접기용 토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133B1
KR101685133B1 KR1020150085234A KR20150085234A KR101685133B1 KR 101685133 B1 KR101685133 B1 KR 101685133B1 KR 1020150085234 A KR1020150085234 A KR 1020150085234A KR 20150085234 A KR20150085234 A KR 20150085234A KR 101685133 B1 KR101685133 B1 KR 101685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tip
gas
welding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규수
Original Assignee
연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규수 filed Critical 연규수
Priority to KR1020150085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13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38Torches, e.g. for brazing or heating
    • F23D14/40Torches, e.g. for brazing or heating for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2Nozzles for torches; for blow-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78Cooling burne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o₂, MAG 및 MIG 용접에 사용되는 용접기용 토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접팁에 가스 분출구가 형성되어 가스 회로가 변경되고, 그로 인해 열 발생이 줄어드는 용접팁이 적용된 용접기용 토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접기용 토치{Torch for Welding machine}
본 발명은 Co₂, MAG 및 MIG 용접에 사용되는 용접기용 토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접팁에 가스 분출구가 형성되어 가스 회로가 변경되고, 그로 인해 열 발생이 줄어드는 용접팁이 적용된 용접기용 토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를 이용하는 아크용접은, 와이어와 용접 제품(모재)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이산화탄소, 아르곤, 헬륨 같은 가스를 공급하고, 이와 동시에 와이어(솔리드·플릭스코오드)를 일정속도로 송급하면서 와이어와 모재의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를 이용하여 용접을 행하는 것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5539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접토치는, 노즐, 절연체, 용접팁, 가스확산기 및 몸체로 구성되어 있다.
용접시 사용되는 가스는 가스통에서 토오치 몸체의 내부를 통해 공급되고, 가스가 가스확산기의 내부에서 가스토출구를 통하여 분사되면 노즐의 내부에서 용접부로 분사된다.
이러한 종래의 용접 토치는 가스디퓨져에서 가스(Co₂, 알곤, 헬륨)를 공급해 용접부 주위의 산소를 차단시키면서 용접이 이루어졌다.
이때, 가스디퓨져의 가스 분출구들이 서로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부 중에 분출가스(Co₂)가 공급되지 않는 사각지대가 생겼다. 따라서, 용접된 비드면에 탄소홀이 생겼고, 와이어와 모재간에 융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분출가스(Co₂,헬륨, 알곤)의 소비가 많아서 비생산적이였다.
이때, 분출가스가 산소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해주지 못 해 용접면이 매끄럽지도 정교하지도 않았다.
또한, 분출가스가 용접부에서 먼 곳으로부터 분출되었기 때문에, 용접 모재에 비드가 형성될 때 와이어와 모재간에 융착이 빠르거나 강하게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가스디퓨져의 길이가 일정하고, 가스 분출구들이 서로 일정하게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분출가스 소비량을 조절할 수 없었다.
또한, 가스디퓨져를 통해 가스가 배출되었기 때문에 용접시 발생되는 스패터와 이물질이 용접팁의 내부에 유입됐다.
용접팁에 고열이 발생되어 용접팁의 내마모성이 저하됐고, 용접팁에 스패터가 융착됐다. 따라서 용접팁 끝단이 파손됐기 때문에 용접팁을 오래 쓰지 못했다.
용접시 고열이 발생되는 용접팁에 스패터와 와이어가 함께 강하게 융착됐다. 그로 인해 와이어 송출이 원활하지 못 했으며, 용접팁에 융착된 스패터가 쉽게 제거되지 않아 작업능률이 저하됐다.
용접팁이 냉각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용접팁의 재질인 동이 본연의 성질을 잃게 됐는데, 이때 용접팁이 와이어선에 의해 마모되어 용접팁의 내구성이 저하됐다.
용접팁의 고열이 가스디퓨져 및 토치에 전달되기 때문에, 가스디퓨져 및 토치의 주재료를 값비싼 동이나 황동으로 해야했다. 따라서 용접 토치가 무겁고, 무거운 용접 토치를 사용하는 작업자의 피로감이 쉽게 증가되어 생산능률이 저하됐다.
가스 노즐은 가스 분출구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용접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데, 가스 분출구가 가스디퓨져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 노즐의 길이가 길게 제작돼야 했다. 또한, 가스디퓨져의 길이가 길어지면 가스 노즐의 길이도 길어져야 해서 불합리했다.
이러한 종래의 용접 토치는 가스 노즐과 가스디퓨져가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좁고 깊은 공간의 용접이 용이하지 않았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5539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팁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가 팁에 발생된 열을 식히거나 팁의 열 발생을 방지하여 팁의 내마모성 및 내구성이 증가되는 용접기용 토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접기용 토치는, 길이방향으로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팁과, 상기 팁과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관과, 상기 관과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제3관통공이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관과 연결되는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와 연결되어 상기 팁과 이격된 채 상기 팁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도록 위치되는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제2관통공과 연통되고,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제3관통공과 연통되고, 상기 제1관통공의 일측은 상기 팁의 외부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팁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팁의 외부의 공간이 연통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용접기용 토치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제1관통공의 중심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용접기용 토치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제1구멍과, 상기 제1구멍보다 상기 팁의 일측에 가까운 제2구멍을 포함하되,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1구멍의 중심축과 상기 제2구멍의 중심축은 서로 나란하지 않고, 상기 제1구멍과 상기 제2구멍은 각각이 상기 제1관통공의 중심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접기용 토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팁에서 가스(co2, 알곤, 헬륨)가 공급되고, 이때 공급된 가스가 팁에 발생된 열을 냉각시키므로 가스에 의해 팁의 열 발생이 차단된다.
팁에 구멍을 형성시켜 팁 내부의 가스 압력을 높게 하고, 이때 분출되는 가스를 구멍의 크기로 조절한다. 이로 인해 용접시 발생되는 스패터와 이물질이 팁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팁의 일측 및 일단측이 가스에 의해 냉각되어 미열이 되므로, 스패터가 팁에 융착 되지 못하고 와이어선이 팁에 붙지 않아서 와이어 송출이 원활해진다. 이때, 팁에 융착되는 스패터도 극소수이지만, 스패터가 팁에 융착되더라도 손쉽게 제거가 가능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팁에 발생되는 열이 가스에 의해 미열이 되기 때문에 관에 고열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관의 소재를 알루미늄(AL)으로 하면 원가가 절감 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의 무게가 동이나 황동의 ½이기 때문에 용접기용 토치가 가벼워져 작업자의 피로감이 줄어들고, 생산 능률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용접기용 토치는 가스에 의해 팁의 열 발생이 냉각되므로 팁의 내마모성도 향상된다.
또한, 팁의 재질인 동이 본연의 성질을 잃지 않아 와이어선에 의한 팁의 마모가 줄어들고, 그로 인해 팁의 내구성이 월등히 향상된다.
용접 모재에 비드가 형성될 때, 가스가 용접부와 가까운 거리에서 분출되므로 와이어와 모재가 빠르고 강하게 융착되고, 용접부에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가스가 완벽하게 차단하므로 매끄럽고 정교한 용접면이 형성된다. 또한, 많은 양의 가스(Co₂,헬륨, 알곤)를 절약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용접기용 토치는 팁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의 길이방향 길이를 종래의 ½로 줄여도 종래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따라서, 노즐의 길이를 줄이면 용접기용 토치의 무게가 줄어들고 원가가 절감된다.
노즐의 길이방향 길이가 종래보다 짧게 형성되므로 관의 길이만 작업조건에 알맞게 제작하면, 도8의 본 발명의 용접기용 토치와 같이 좁고 깊은 공간의 용접이 용이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용 토치의 단면도.
도2는 도1 중 팁의 단면도.
도3은 도1 중 팁의 또 다른 단면도.
도4는 도1 중 팁의 정면도.
도5는 도1 중 관의 단면도.
도6은 도1 중 절연체의 단면도.
도7은 도1 중 노즐의 단면도.
도8은 좁고 깊은 곳의 용접이 용이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용 토치의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용 토치 중 팁의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용 토치 중 팁의 정면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용 토치(100)의 단면도이고, 도2는 도1 중 팁(200)의 단면도이고, 도3은 도1 중 팁(200)의 또 다른 단면도이고, 도4는 도1 중 팁(200)의 정면도이고, 도5는 도1 중 관(300)의 단면도이고, 도6은 도1 중 절연체(400)의 단면도이고, 도7은 도1 중 노즐(500)의 단면도이고, 도8은 좁고 깊은 곳의 용접이 용이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용 토치(100')의 단면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용 토치(100) 중 팁(200')의 단면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용 토치(100) 중 팁(200'')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용 토치(100)는, 길이방향(L)으로 제1관통공(280)이 형성되는 팁(200)과, 팁(200)과 연결되며 길이방향(L)으로 제2관통공(360)이 형성되는 관(300)과, 관(300)과 연결되며 길이방향(L)으로 제3관통공(620)이 형성되는 바디(600)와, 관(300)과 연결되는 절연체(400)와, 절연체(400)와 연결되어 팁(200)과 이격된 채 팁(20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도록 위치되는 노즐(500)을 포함한다.
제1관통공(280)은 제2관통공(360)과 연통되고, 제2관통공(360)은 제3관통공(620)과 연통되고, 제1관통공(280)의 일단측(A)은 팁(200)의 외부 공간과 연통된다.
팁(200)은 본체(205)와, 관(300)과 연결되는 관결합부(270)와, 본체(205)와 관결합부(27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260)를 포함한다.
본체(205)는 제1본체(210), 제1본체(210)의 타단측(B)과 닿는 제2본체(230)와, 제2본체(230)의 타단측(B)과 닿는 제3본체(250)를 포함한다.
제2본체(230)의 직경은 제1본체(210) 일측(211)의 직경보다 크다.
제3본체(250)의 직경은 제2본체(230)의 직경보다 크다.
도1 내지 도3을 기준으로, 제1본체(210)는 일측(211)에서 제2본체(230)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진다. 이때 제1본체(210)는 일측(211)부터 제2본체(230)와 닿는 부분까지 곡선 혹은 직선형상으로 연장된다.
제2본체(230)는 직경이 일정하게 형성된다.
제2본체(230)와 제3본체(250)가 이어지는 부분은 테이퍼(251)가 지는 형태를 가진다.
관결합부(270)의 외주면에는 체결 볼트부인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산은 7mm의 탭으로 형성시킨다.
가스 송출관인 제1관통공(280)은 팁(200)의 중앙에 형성된다.
제1관통공(280)에 의해 와이어 송출이 원활해진다.
제1관통공(280)은 와이어가 용접기용 토치(100)의 외부 공간으로 공급되게 하는 통로인 제1통로(281)와, 와이어와 가스가 통과되는 통로인 제3통로(283)와, 제1통로(281)와 제3통로(283)를 연결하는 제2통로(282)를 포함한다.
제1통로(281)는 길이방향(L)과 평행한 직선의 단면을 갖는 내주면(281a)에 둘러싸인 공간이다.
제2통로(282)는 곡선 혹은 직선 형상의 단면을 가진 내주면(282a)에 둘러싸인 공간이다.
제3통로(283)는 길이방향(L)과 평행한 직선의 단면을 갖는 내주면(283a)에 둘러싸인 공간이다.
제1통로(281)는 팁(200)의 일측(211)에서 타단측(B) 방향의 10~15mm 위치에 형성된다. 즉 제1통로(281)는 제1본체(210) 내에 위치된다. 이때 관통공인 제1통로(281)는 직경이 0.6~2.0mm로, 그 크기는 와이어선의 크기에 따라 제작된다.
도1 내지 도3을 기준으로, 제3통로(283)의 내주면(283a)은 관결합부(270)의 타측(271)부터 일단측(A)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어 제1통로(281) 내주면(281a)의 타단측(B)과 직선 혹은 곡선 형상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3통로(283)의 내주면(283a)과 제1통로(281) 내주면(281a)을 연결하는 제2통로(282)의 내주면(282a)은 제1통로(281) 내주면(281a)의 타단측(B)에서 제3통로(283)의 내주면(283a) 일단측(A)까지 서서히 직경이 증가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제3통로(283)의 직경은 제1통로(28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제3통로(283)의 직경은 3.5mm로 형성되어 와이어와 가스 모두 원활하게 송출 혹은 공급 될 수 있다.
이러한 팁(200)의 일측(211)에서 타단측(B)방향의 10~15mm 위치에는 가스 분출구인 구멍(220)이 형성된다.
구멍(220)은 제1관통공(280)과 팁(200)의 외부의 공간이 연통 되도록 형성된다.
구멍(220)은 제1관통공(280)의 중심축(C)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때 구멍(220)의 직경은 사용되는 전압과 전류에 따라 사용되는 와이어선의 크기에 따라 0.6~2.0mm로 한다.
구멍(220)은 제1구멍(221)과, 제1구멍(221)보다 팁(200)의 일측(211)에 가까운 제2구멍(223)을 포함한다.
제1구멍(221)과 제2구멍(223)은 상.하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가스 분출 각도를 다르게 하여 사각지대가 없도록 한다. 즉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제1구멍(221)의 중심축(C1)과 제2구멍(223)의 중심축(C2)은 서로 나란하지 않게 형성된다.
또한, 제1구멍(221)과 제2구멍(223)은 각각이 제1관통공(280)의 중심축(C)에 대해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관(300)은 본체(310)와, 바디결합부(350)와, 본체(310)와 바디결합부(35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340)와, 제2관통공(360)을 포함한다.
본체(310)는 제1본체(315)와, 타측(320b)이 제1본체(315)의 일단측(A)과 닿는 제2본체(320)를 포함한다.
제1본체(315)의 외경은 제2본체(32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본체(320)는 절연체결합부(321)와, 테이퍼(323)와, 팁결합부(325)와, 팁걸림부(327)를 포함한다.
테이퍼(323)는 본체(3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테이퍼(323)는 절연체결합부(321)와 제2본체(320)의 일측(320a) 사이에 형성된다.
절연체결합부(321)와, 팁결합부(325)는 나사산이다.
제2관통공(360)은 관(300)의 내주면(362)에 둘러싸인 공간이다.
관(300)은 본체(310)의 타단측(B)에 닿는 커버(330)를 더 포함한다.
커버(330)는 바디(600)의 일단측(A)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역할을 한다.
도1와 도5를 기준으로, 커버(330)는 본체(310)의 타단측(B)에 닿으면서 길이방향(L)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일측(331), 일측(331)과 연결되며 길이방향(L)에 평행한 외주면(333), 외주면(333)에 연결되며 길이방향(L)에 수직인 타측(335)을 포함한다. 타측(335)은 연결부(340)의 일단측(A)에 닿는다.
바디결합부(35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관 형상의 절연체(400)는 본체(430)와, 노즐결합부(410)를 포함한다.
노즐결합부(410)는 본체(430)의 일측(431)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노즐결합부(4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본체(430)는 본체(430)의 내주면을 둘러싸면서 형성되는 제1걸림부(433)와 관결합부(437)를 포함한다.
관결합부(437)는 나사산이다.
도1 또는 도6을 기준으로 제1걸림부(433)의 단면은 직각의 형상을 갖는다.
관결합부(437)의 일단측(A)은 제1걸림부(433)의 타단측(B)과 닿는다.
본체(430)의 일측(431)과 본체(430)의 외주면이 연결되는 부분은 테이퍼(432)가 진 형태를 갖는다.
관 형상의 노즐(500)은 타단측(B) 내주면 일부에 나사산인 절연체결합부(510)가 형성된다.
노즐(500)의 타측(511)과 노즐(500)의 외주면이 연결되는 부분은 테이퍼(512)가 진 형태를 갖는다.
일부분이 곡선으로 구부러진 관 형상의 바디(600)는 제3관통공(620)과 체결 볼트부인 관결합부(610)를 포함한다.
제3관통공(620)은 바디(600)의 내주면(622)에 둘러싸인 공간이다.
관결합부(610)는 바디(600)의 내주면(622) 일단측(A)에 형성된다. 관결합부(610)는 나사산이다. 나사산은 7mm의 탭으로 형성시킨다.
바디(600)의 외면, 즉 외주면은 고무(R)로 코팅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300)의 길이방향(L) 길이는 도1과 도5처럼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300)의 길이방향(L) 길이를 더욱 길게 형성시키면 좁고 깊은 공간에서의 용접이 용이해진다.
이하에서는 도9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용 토치(100)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의 구멍(220a)은 제1실시예의 구멍(220)과 다르게 형성된다.
구멍(220a)은 팁(200')의 일측(211)에서 타단측(B)방향의 10~15mm 위치에 형성된다.
구멍(220a)은 제1구멍(221a)과, 제1구멍(221a)보다 팁(200')의 일측(211)에 가깝게 형성되는 제2구멍(223a)을 포함한다.
제1구멍(221a)의 중심축과 제2구멍(223a)의 중심축은 길이방향(L)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가스의 회로(G)에 따라 공급된 가스가 구멍(220a)에서 90도 이상으로 꺾이지 않으면서 팁(200')의 외부 공간으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 외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용접기용 토치(100)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도10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용접기용 토치(100)를 설명한다.
제3실시예의 팁(200'')에 형성된 구멍(220b)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구멍(220,220a)들과 다르게 형성된다.
제2구멍(223b)은 제1구멍(221b)이 반 시계 혹은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된 것처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구멍(221b)과 제2구멍(223b)이 서로 평행하지 않고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구멍(221b)과 제2구멍(223b)이 이와 같이 형성되면 가스가 나선형 혹은 소용돌이 형상으로 용접부에 공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 외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용접기용 토치(100)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용접기용 토치(100)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처럼 관(300)을 고무로 둘러싸지 않고 사용하여도 괜찮지만, 외주면 전체를 고무로 둘러싸게 해 관(30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용접기용 토치(100)의 구조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팁(200)의 관결합부(270)와 관(300)의 팁결합부(325)를 결합시키면, 관결합부(270)의 타측(271)은 팁걸림부(327)에 닿게 되고, 팁(200) 제3본체(250)의 타측(253)은 관(300)의 일측(320a)에 닿게 된다.
이후 관(300)의 바디결합부(350)와 바디(600)의 관결합부(610)를 결합시키면, 커버(330)의 타측(335)은 바디(600)의 일단측(A)을 덮게 된다. 이때 커버(330)의 외경은 고무(R)에 둘러싸였을 때의 바디(600), 즉 고무(R)를 포함한 바디(60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시킨다.
이후 관(300)의 절연체결합부(321)와 절연체(400)의 관결합부(437)를 결합시키면, 절연체(400)의 제1걸림부(433)는 관(300)의 테이퍼(323)와 마주보게 된다.
이후 절연체(400)의 노즐결합부(410)와 노즐(500)의 절연체결합부(510)를 결합시키면, 노즐(500)의 타측(511)과 절연체(400) 일측(431)이 닿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조로 결합된 용접기용 토치(100)는, 바디(600)와 제3관통공(620)을 통해 공급된 가스와 와이어가 관(300)의 제2관통공(360)을 지나 팁(200)의 제1관통공(280)에 공급된다. 이때 제1관통공(280)으로 공급된 가스는 팁(200)의 구멍(220)을 통해 배출되고, 팁(200)의 외주면과 노즐(500)의 내주면으로 둘러 싸인 공간으로 이동된다. 가스는 회로(G)처럼 계속해서 공급되면서 팁(200)의 일측(211)과 일정 간격 이격된 용접부와 용접부 근처에 공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접기용 토치(100)는 가스 회로(G)가 종래와 다르게 형성된다. 즉 팁(200)에서 가스(co2, 알곤, 헬륨)가 공급되고, 이때 공급된 가스가 팁에 발생된 열을 냉각시키므로 가스에 의해 팁(200)의 열 발생이 차단된다.
팁(200)에 구멍(220)을 형성시켜 팁(200) 내부의 가스 압력을 높게 하고, 이때 분출되는 가스를 구멍(220)의 크기로 조절한다. 이로 인해 용접시 발생되는 스패터와 이물질이 팁(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팁(200)의 일측(211) 및 일단측(A)이 가스에 의해 냉각되어 미열이 되므로, 스패터가 팁(200)에 융착 되지 못하고 와이어선이 팁(200)에 붙지 않아서 와이어 송출이 원활해진다. 이때, 팁(200)에 융착되는 스패터도 극소수이지만, 스패터가 팁(200)에 융착되더라도 손쉽게 제거가 가능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팁(200)에 발생되는 열이 가스에 의해 미열이 되기 때문에 관(300)에 고열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관(300)의 소재를 종래와 동일하게 동이나 황동으로 할 수도 있지만, 알루미늄(AL)으로 하면 원가가 절감 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의 무게가 동이나 황동 무게의 ½이기 때문에 용접기용 토치(100)가 종래보다 가벼워져 작업자의 피로감이 줄어들고, 생산 능률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용접기용 토치(100)는 가스에 의해 팁(200)의 열 발생이 냉각되므로 팁(200)의 내마모성도 향상된다.
또한, 팁(200)의 재질인 동이 본연의 성질을 잃지 않아 와이어선에 의한 팁(200)의 마모가 줄어들고, 그로 인해 종래에 사용되던 팁(200)보다 내구성이 월등히 향상된다.
용접 모재에 비드가 형성될 때, 가스가 용접부와 가까운 거리에서 분출되므로 와이어와 모재가 빠르고 강하게 융착되고, 용접부에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가스가 완벽하게 차단하므로 매끄럽고 정교한 용접면이 형성된다. 또한, 많은 양의 가스(Co₂,헬륨, 알곤)를 절약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용접기용 토치(100)는 팁(200)에 구멍(22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500)의 길이방향(L) 길이를 종래의 ½로 줄여도 종래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따라서, 노즐(500)의 길이를 줄이면 용접기용 토치(100)의 무게가 줄어들고 원가가 절감된다.
노즐(500)의 길이방향(L) 길이가 종래보다 짧게 형성되므로 관(300)의 길이방향(L) 길이만 작업조건에 알맞게 제작하면, 도8의 본 발명의 용접기용 토치(100')와 같이 좁고 깊은 공간의 용접이 용이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용접기용 토치 200 : 팁(제1실시예)
200' : 팁(제2실시예) 200'' : 팁(제3실시예)
205 : 본체 210 : 제1본체
211 : 일측 220 : 구멍
220a : 구멍(제2실시예) 220b : 구멍(제3실시예)
221 : 제1구멍 221a : 제1구멍(제2실시예)
221b : 제1구멍(제3실시예) 223 : 제2구멍
223a : 제2구멍(제2실시예) 223b : 제2구멍(제3실시예)
230 : 제2본체 250 : 제3본체
251 : 테이퍼 253 : 타측
260 : 연결부 270 : 관결합부
271 : 타측 280 : 제1관통공
281 : 제1통로 281a : 내주면
282 : 제2통로 282a : 내주면
283 : 제3통로 283a : 내주면
300 : 관
310 : 본체 315 : 제1본체
320 : 제2본체 320a : 일측
320b : 타측 321 : 절연체결합부
323 : 테이퍼 325 : 팁결합부
327 : 팁걸림부 330 : 커버
331 : 일측 333 : 외주면
335 : 타측 340 : 연결부
350 : 바디결합부 360 : 제2관통공
362 : 내주면 400 : 절연체
410 : 노즐결합부 430 : 본체
431 : 일측 432 : 테이퍼
433 : 제1걸림부 437 : 관결합부
500 : 노즐 510 : 절연체결합부
511 : 타측 512 : 테이퍼
600 : 바디 610 : 관결합부
620 : 제3관통공 622 : 내주면
A : 일단측 B : 타단측
C : 제1관통공의 중심축 C1 : 제1구멍의 중심축
C2 : 제2구멍의 중심축 G : 가스 회로
L : 길이방향 R : 고무

Claims (3)

  1. 길이방향으로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팁;
    상기 팁과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관;
    상기 관과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제3관통공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관과 연결되는 절연체;
    상기 절연체와 연결되어 상기 팁과 이격된 채 상기 팁을 둘러싸는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제2관통공과 연통되고,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제3관
    통공과 연통되고, 상기 제1관통공의 일측은 상기 팁의 외부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팁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팁의 외부의 공간이 연
    통 되며,
    상기 제1관통공은 이산화탄소, 헬륨, 아르곤 중 하나의 가스와 와이어가 통과되는 제3통로와, 상기 제3통로와 연결되며 직경이 상기 제3통로의 직경보다 작은 제1통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통로를 통과해 토치의 외부 공간으로 공급되고,
    상기 가스는 상기 구멍으로 배출되어 서로 이격된 상기 팁과 상기 노즐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이동해 용접부와 용접부 근처에 공급되어 용접부에 유입되는 산소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용 토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제1관통공의 중심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용 토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제1구멍과, 상기 제1구멍보다 상기 팁의 일측에 가까운 제2구멍을 포함하되,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1구멍의 중심축과 상기 제2구멍의 중심축은 서로 나란하지 않고,
    상기 제1구멍과 상기 제2구멍은 각각이 상기 제1관통공의 중심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용 토치.
KR1020150085234A 2015-06-16 2015-06-16 용접기용 토치 Active KR101685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234A KR101685133B1 (ko) 2015-06-16 2015-06-16 용접기용 토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234A KR101685133B1 (ko) 2015-06-16 2015-06-16 용접기용 토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5133B1 true KR101685133B1 (ko) 2016-12-12

Family

ID=5757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234A Active KR101685133B1 (ko) 2015-06-16 2015-06-16 용접기용 토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1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872B1 (ko) 2017-11-02 2019-01-07 박노수 부탄가스 토치
WO2019204889A1 (pt) * 2018-04-25 2019-10-31 Sumig Soluções Para Solda E Corte Ltda. Disposição introduzida em tocha de solda robotizada com regulagem do ponto central da ferrament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1830U (ko) * 1974-12-03 1976-06-07
KR200355396Y1 (ko) 2004-04-16 2004-07-06 강문호 전기아크 용접기용 용접토오치
KR200423793Y1 (ko) * 2006-05-30 2006-08-10 손동주 용접 토치용 컨택트 팁
KR101341872B1 (ko) * 2013-05-03 2013-12-17 양춘자 방열면적이 극대화된 디퓨져를 갖는 가스용접 토오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1830U (ko) * 1974-12-03 1976-06-07
KR200355396Y1 (ko) 2004-04-16 2004-07-06 강문호 전기아크 용접기용 용접토오치
KR200423793Y1 (ko) * 2006-05-30 2006-08-10 손동주 용접 토치용 컨택트 팁
KR101341872B1 (ko) * 2013-05-03 2013-12-17 양춘자 방열면적이 극대화된 디퓨져를 갖는 가스용접 토오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872B1 (ko) 2017-11-02 2019-01-07 박노수 부탄가스 토치
WO2019204889A1 (pt) * 2018-04-25 2019-10-31 Sumig Soluções Para Solda E Corte Ltda. Disposição introduzida em tocha de solda robotizada com regulagem do ponto central da ferramen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7959B2 (en) Nozzle insert for an arc welding apparatus
US20090107958A1 (en) Torch and Contact Tip for Gas Metal Arc Welding
KR101497460B1 (ko) 가스 용접토치용 컨택트 팁
KR102443992B1 (ko) 스폿 용접용의 협착 노즐이 있는 tig 용접 토치 및 이것에 사용되는 전극용 노즐
US10610948B2 (en) Two-piece nozzle assembly for an arc welding apparatus
US10155280B2 (en) End assembly for welding device
US3007032A (en) Universal arc welding torch
KR101685133B1 (ko) 용접기용 토치
CN107249802A (zh) 焊炬以及使用焊炬的装置
US20090071942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welding with electrical stickout
JP5441156B2 (ja) インサートチップ,プラズマトーチおよびプラズマ加工装置
CN211102075U (zh) 一种焊枪
US11458560B2 (en) End assembly for welding device
KR101837372B1 (ko) 용접토치용 디퓨저
JP5472931B2 (ja) プラズマ溶接装置
JP6084890B2 (ja) 消耗電極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トーチ
KR101754919B1 (ko) 용접 토치용 노즐
CN209886874U (zh) 双钨极堆焊使用快速更换工具
JP5959160B2 (ja) プラズマ溶接トーチ
KR200277014Y1 (ko) Tig 용접 토치의 콜렛
JP2016163903A (ja) 狭開先用トーチノズルおよび溶接方法
EP3917289A1 (en) Consumables for cutting torches
CN110773851A (zh) 一种焊枪
KR101624836B1 (ko) 와이어 용융속도 향상을 위한 가스 디퓨저
KR101698192B1 (ko) 통합 아크용접 토치의 용접관로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