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4773B1 - 파쇄날이 구비된 복토기 - Google Patents

파쇄날이 구비된 복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773B1
KR101684773B1 KR1020150040577A KR20150040577A KR101684773B1 KR 101684773 B1 KR101684773 B1 KR 101684773B1 KR 1020150040577 A KR1020150040577 A KR 1020150040577A KR 20150040577 A KR20150040577 A KR 20150040577A KR 101684773 B1 KR101684773 B1 KR 101684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hredding blade
shredding
plow
body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4300A (ko
Inventor
백인권
Original Assignee
백인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인권 filed Critical 백인권
Priority to KR1020150040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773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7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18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both rotating and non-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20Tools;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3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special additional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쇄날이 구비된 복토기에 관한 것으로서, 밭두둑과 고랑을 형성시키는 작업 시 밭두둑 부위의 흙이 보다 부드러운 상태를 이룸과 함께 흙의 고른 영양공급이 이루어져 작물의 생장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후단부에 트랙터와 연결을 위한 연결링크(11)가 구비된 본체프레임(10)과;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양측에서 쟁기날 지지대(21)에 의해 연결 구비되어 밭두둑을 형성시키는 쟁기날(20)과;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상부에서 구동실린더(40)의 구동에 의해 회동축(31)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회동이 이루어지는 회동프레임(30)과; 상기 회동프레임(30)에 파쇄날 지지대(51)에 의해 연결 구성된 파쇄날(5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쇄날이 구비된 복토기{PLOUGH EQUIPMENT HAVING CRUSH EDGE}
본 발명은 복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밭에 두둑을 형성하기 위해 트랙터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복토기의 구조 변경을 통해 복토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쟁기날 사이에 추가적으로 파쇄날이 구비된 복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토기는 흙을 적정한 높이로 퍼 올려 두둑(이랑) 및 밭고랑을 형성하기 위한 농기구이다.
즉, 인삼 등의 작물재배를 위해서 흙을 적정한 높이로 퍼 올려 두둑을 형성하는 작업을 복토 작업이라 하는데, 인삼씨나 어린 묘삼을 인삼밭에 심기 전에 인삼의 씨앗이나 묘삼의 생육이 활발해지도록 하기 위하여 인삼밭을 갈고 흙을 부드럽게 하여 두둑을 높게 형성하고 물빠짐이 잘 되게 하여야 한다.
따라서, 근래에는 트랙터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양측에 쟁기날이 구성되어져 있는 휴립복토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일 예로 특허등록 제1023293호에서는 밭두둑의 형성위치를 유압실린더로 조절이 가능한 복토기에 관련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복토기는 단순히 밭두둑과 고랑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밭두둑 하부의 흙은 단단한 상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작물씨를 심었을 때 땅속으로의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됨으로 뿌리의 생장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밭두둑을 형성함과 함께 형성되는 밭두둑 하부의 흙이 적절한 깊이로 파쇄되어질 수 있는 복토기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작물이 경작되는 흙의 고른 영양공급과 뿌리의 생장이 가능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복토기는, 후단부에 트랙터와 연결을 위한 연결링크가 구비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에서 쟁기날 지지대에 의해 연결 구비되어 밭두둑을 형성시키는 쟁기날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서 구동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회동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회동이 이루어지는 회동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에 파쇄날 지지대에 의해 연결 구성된 파쇄날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복토기는, 양측 쟁기날의 중단부에 굳은땅을 파쇄시키기 위한 파쇄날이 구비됨으로서 밭두둑 부위의 흙이 보다 부드러운 상태를 이룸과 함께 흙의 고른 영양공급이 이루어져 작물의 생장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이러한 파쇄날은 구동실린더에 의해 승강 구동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위치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토기 정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 복토기의 측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 복토기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복토기 평면 구조도.
도 5는 도 2의 A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파쇄날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복토기의 파쇄날 구동부 단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 복토기의 파쇄날 상승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쇄날 장착부 상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쇄날 장착부 분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응용 예에 따른 파쇄날 장착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응용 예에 따른 부품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토기 구조를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살펴보면, 본체프레임(10)의 후단부에는 트랙터와 연결을 위한 연결링크(11)가 구비되고, 본체프레임(10)의 양측에는 쟁기날 지지대(21)에 의해 연결 구비되어 밭두둑을 형성시키는 쟁기날(20)이 대칭형태로 구성되며, 본체프레임(10)의 상부에는 구동실린더(40)의 구동에 의해 회동축(31)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회동이 이루어지는 회동프레임(30)이 구성되고, 상기 회동프레임(30)에는 중단에서 파쇄날 지지대(51)에 의해 연결 구성된 2개의 파쇄날(50)이 구성된다.
특히, 파쇄날 지지대(51)는 도 1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쟁기날 지지대(21)보다 길이(D)가 길게 구성됨으로, 구동실린더(40)의 구동시 파쇄날(50)이 쟁기날(20)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되어지게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파쇄날(50)은 교체가 가능하도록, 도 5 및 도 6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파쇄날 일측에는 체결볼트(52)의 체결을 위한 볼트공(50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50a)과 대응되는 파쇄날 지지대(51)에는 체결공(51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2는 양측 쟁기날(20) 상호간의 폭을 가변 조절하기 위한 가변 실린더로서, 이러한 폭 조절이 가능한 구조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또한, 이해가 용이하도록 도 1 내지 도 4에서 파쇄날(50)의 구동에 관련된 부분은 해칭으로 표현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복토기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복토기는 3점 연결형태의 트랙터 연결링크(11)를 트랙터에 연결한 상태에서 작업현장으로 이동하여 인삼밭 등의 농경지에 밭두둑 및 밭고랑을 형성시켜주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에는 복토기가 지나감에 따라 농경지의 흙이 쟁기날(20)에 의해 모아지게 됨으로 쟁기날(20)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폭으로 밭두둑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밭고랑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특히, 이러한 밭두둑 형성과정에서 회동프레임(30)에 결합된 파쇄날(50)이 쟁기날(20) 사이에서 밭두둑이 형성될 부위의 흙을 일정 깊이까지 미리 파쇄시킴으로서 밭두둑 형성부위의 흙이 보다 부드러워질 수 있게 된다.
즉, 구동실린더(40) 동작에 의해 회동프레임(30)이 회동축(31)을 중심으로 하강되어지게 되면, 파쇄날 지지대(51)의 하단부에 결합된 파쇄날(50)이 양측 쟁기날(20) 보다 낮은 위치까지 하강되어지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복토기의 전진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쟁기날(20)에 의해 밭두둑이 형성되기 직전에 밭두둑 형성부위의 일정 깊이까지 파쇄날(50)에 의한 흙 파쇄가 이루어진 후, 쟁기날(20)에 의한 밭두둑이 형성되어지게 됨으로 해당 부위에서 작물이 경작되는 흙의 고른 영양공급과 뿌리의 생장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복토기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파쇄날(50)의 높이를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구동실린더(40)를 구동시켜서 회동프레임(30)을 상승 시킴으로서 파쇄날(50)의 높이를 승강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 과정에서 지반에 암석으로 인해 파쇄날(50)이 파손되거나 변형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체결볼트(52)를 분리시켜서 파쇄날(50)의 교체가 가능하게 됨으로서 복토기의 유지.관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한편,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쇄날(50) 설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파쇄날(50) 내부에는 탄성스프링(54)이 구성되고, 파쇄날(50) 내벽면에는 테프론층(55)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50a)은 일정 길이의 장공 형상을 이룸으로서 파쇄날(50)이 일정 범위 내에서 유동 가능한 구조를 이루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게 되면, 밭두둑 형성을 위한 전진 과정에서 땅속에 있는 암석 등의 물체와 부딪쳤을 때 파쇄날(50)이 뒤로 밀리면서 탄성스프링(54)을 통한 충격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파쇄날(50) 내벽면에 윤활성 재질의 테프론층(55)이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파쇄날(50)의 전,후진 유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과정에서 땅속 이물질과의 접촉 충격으로 인한 파쇄날(50)의 파손현상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의 응용예로서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파쇄날(50) 내부에 추가적으로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재질의 완충패드(53)가 탄성스프링(54)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됨으로, 파쇄날(50)이 완충패드(53) 및 탄성스프링(54)에 의하여 2중으로 탄성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즉, 완충패드(53)에는 탄성스프링(54)이 삽입 지지되어질 수 있는 스프링 가이드홈(53a)이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충격 발생시 탄성스프링(54)의 안정적인 탄성 지지력이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되며, 더욱 강한 충격력이 전달되어지게 되면 완충패드(53)의 탄성력이 더해짐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완충효과가 나타내어질 수 있게 된다.
10 : 본체프레임 11 : 연결링크
20 : 쟁기날 21 : 쟁기날 지지대
30 : 회동프레임 31 : 회동축
40 : 구동실린더 41 : 실린더 로드
50 : 파쇄날 50a: 볼트공
51 : 파쇄날 지지대 51a: 체결공
52 : 체결볼트

Claims (5)

  1. 후단부에 트랙터와 연결을 위한 연결링크(11)가 구비된 본체프레임(10)과,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양측에서 쟁기날 지지대(21)에 의해 연결 구비되어 밭두둑을 형성시키는 쟁기날(20)과,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상부에서 구동실린더(40)의 구동에 의해 회동축(31)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회동이 이루어지는 회동프레임(30)과, 상기 쟁기날(20) 사이에 위치되어지는 파쇄날(50)로 구성되는 복토기에 있어서,
    상기 파쇄날(50)은 회동프레임(30)에 연결된 파쇄날 지지대(51)의 하단부에 구성되고;
    상기 파쇄날(50)은 교체가 가능하도록 파쇄날 일측에는 체결볼트(54)의 체결을 위한 볼트공(50a)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50a)과 대응되는 파쇄날 지지대(51)에는 체결공(51a)이 형성되고;
    상기 파쇄날(50) 내부에는 탄성스프링(54)이 구성되며;
    파쇄날(50) 내벽면에는 테프론층(55)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50a)은 일정 길이(L)의 장공 형상을 이룸으로서 파쇄날(50)이 일정 범위 내에서 유동 가능한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날이 구비된 복토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쇄날 지지대(51)의 길이(D)는 쟁기날 지지대(21)의 길이(d)보다 길게 구성됨으로, 구동실린더(40)의 구동시 파쇄날(50)이 하강하여 쟁기날(20)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되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날이 구비된 복토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쇄날(50) 내부에는 탄성재질의 완충패드(53)가 탄성스프링(54)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완충패드(53)에는 탄성스프링(54)이 삽입 지지되어질 수 있는 스프링 가이드홈(53a)이 형성됨으로, 파쇄날(50)이 2중으로 탄성지지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날이 구비된 복토기.
KR1020150040577A 2015-03-24 2015-03-24 파쇄날이 구비된 복토기 Active KR101684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577A KR101684773B1 (ko) 2015-03-24 2015-03-24 파쇄날이 구비된 복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577A KR101684773B1 (ko) 2015-03-24 2015-03-24 파쇄날이 구비된 복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300A KR20160114300A (ko) 2016-10-05
KR101684773B1 true KR101684773B1 (ko) 2016-12-09

Family

ID=5715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577A Active KR101684773B1 (ko) 2015-03-24 2015-03-24 파쇄날이 구비된 복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7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5114A (ko) 2022-01-26 2023-08-02 주식회사 불스 농기계 연결 복토기용 제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2687A (zh) * 2019-12-10 2020-04-10 李国强 多功能水旱田犁翻拔搂灭茬合垄振压超平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344Y1 (ko) * 2002-03-30 2002-07-02 경 호 김 진동형 심토파쇄기
KR101404237B1 (ko) * 2013-01-08 2014-06-05 백남준 위치 가변형 휴립 복토 정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344Y1 (ko) * 2002-03-30 2002-07-02 경 호 김 진동형 심토파쇄기
KR101404237B1 (ko) * 2013-01-08 2014-06-05 백남준 위치 가변형 휴립 복토 정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5114A (ko) 2022-01-26 2023-08-02 주식회사 불스 농기계 연결 복토기용 제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300A (ko)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70571B (zh) 一种多功能的驱动式甘蔗中耕培土机
CN204031742U (zh) 具有立体耕整效果的深松精整联合作业机
US4267783A (en) Seed bed pr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023360B1 (ko) 트랙터 부착형 휴립 복토 정지기
JP2013039086A5 (ko)
JP2013039086A (ja) ゴボウ播種成型機
CN105638001B (zh) 一种旋转式甘蔗破垄松蔸机
CN108934397A (zh) 微型大蒜收获机
KR101684773B1 (ko) 파쇄날이 구비된 복토기
CN106508147A (zh) 链耕机
KR200469752Y1 (ko) 커터가 장착된 쟁기
KR100601585B1 (ko) 양파 수확기
CN105766103A (zh) 全膜微垄覆膜覆土机
KR101023322B1 (ko) 트랙터 부착형 복토 정지기
CN201479560U (zh) 松土播种联合作业机
KR101023293B1 (ko) 트랙터 부착형 복토기
RU2384989C1 (ru)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семенного ложа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CN102771210B (zh) 往复铲式耕整机
CN205961731U (zh) 免耕播种机及其破茬碎土装置
CN110149813B (zh) 一种农耕用可调纵深的摆动变距翻土机构及使用方法
KR101007344B1 (ko) 못자리 정지기
CN112314076A (zh) 一种用于山区丘陵作物种植的旋耕装置
CN208128776U (zh) 一种微型翻耕机
CN216795646U (zh) 一种农作物根茎掘取机构及其组合
CN213187118U (zh) 一种悬挂式深耕铧式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