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689B1 - Blood collection device - Google Patents
Blood collec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4689B1 KR101684689B1 KR1020160071233A KR20160071233A KR101684689B1 KR 101684689 B1 KR101684689 B1 KR 101684689B1 KR 1020160071233 A KR1020160071233 A KR 1020160071233A KR 20160071233 A KR20160071233 A KR 20160071233A KR 101684689 B1 KR101684689 B1 KR 1016846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od
- main body
- sampling device
- receiving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61B5/1405—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 A61B5/1411—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by percutaneous method, e.g. by lanc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 채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혈액을 채취하는 방법으로 주입부에 의해 빠른 혈액 채취 및 래피드 진단키트에 직접 접촉으로 혈액을 빠르게 분석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가격으로 진단키트에 적용될 수 있고, 다수개의 관통홀을 통해 다양한 볼륨으로(같은 구조로 5ul, 10ul, 15ul, 20ul 등) 사용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 포인트를 이용하여 본체부를 탈거한 뒤, 탈거한 본체부를 버퍼 튜브에 넣고 삼투압 원리에 의해 버퍼에 희석시켜 분석하고, 피펫부의 사용으로 수용부에 수용된 혈액의 분주가 가능하기에 다용도의 혈액 채취가 이루어지기에 사용이 편리하고, 다양한 방식에 의해 혈액 채취 및 분주가 가능하여 다양한 진단키트에 사용할 수 있어 실용성 및 효율성이 좋은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od sampl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ood sampling device, which can rapidly analyze blood by direct injection into a rapid blood collection and rapid diagnostic kit by an injection part, and is applied to a diagnostic kit at an economical price (5ul, 10ul, 15ul, 20ul or the like in the same structure)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the main body is detached using a break point, and then the detached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buffer tube, And the blood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part can be dispensed by the use of the pipette part. Therefore, it is convenient to use the blood collecting device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a lot of blood, and it is possible to collect and dispense blood by various methods, It can be used in kits, and is characterized by good practicality and efficiency.
Description
본 발명은 혈액 채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혈액을 채취하는 방법으로 주입부에 의해 빠른 혈액 채취 및 래피드 진단키트에 직접 접촉으로 혈액을 빠르게 분석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가격으로 진단키트에 적용될 수 있고, 다수개의 관통홀을 통해 다양한 볼륨으로(같은 구조로 5ul, 10ul, 15ul, 20ul 등) 사용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 포인트를 이용하여 본체부를 탈거한 뒤, 탈거한 본체부를 버퍼 튜브에 넣고 삼투압 원리에 의해 버퍼에 희석시켜 분석하고, 피펫부의 사용으로 수용부에 수용된 혈액의 분주가 가능하기에 다용도의 혈액 채취가 이루어지기에 사용이 편리하고, 다양한 방식에 의해 혈액 채취 및 분주가 가능하여 다양한 진단키트에 사용할 수 있어 실용성 및 효율성이 좋은 혈액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od sampl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ood sampling device, which can rapidly analyze blood by direct injection into a rapid blood collection and rapid diagnostic kit by an injection part, and is applied to a diagnostic kit at an economical price (5ul, 10ul, 15ul, 20ul or the like in the same structure)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the main body is detached using a break point, and then the detached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buffer tube, And the blood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part can be dispensed by the use of the pipette part. Therefore, it is convenient to use the blood collecting device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a lot of blood, and it is possible to collect and dispense blood by various method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od sampling device which can be used in a kit and is excellent in practicality and efficiency.
다양한 화학약품과 생물학적 기질을 검출하는데 주사를 찌르지 않고 체액을 채취하는 방법이 최근 관심을 끌고있다. 이 기술은 분석기법이 발달되었기 때문에 가능하고, 또한 주사기로 얻어지고 생리적 및/또는 병리학적으로 관심이 되는 혈액에 포함된 여러 성분(병원체, 생물제제, 대사물질, 약품 등)과 혈액제제 역시 소변, 땀, 눈물, 심낭액, 복막액, 늑막액, 뇌척수액, 위액, 호흡분비액, 정액, 활액, 구토액, 궤양배액, 복수, 타액, 양수 등의 체액이나 기질이나 분비액에 포함되어 있고 이들 체액은 좀더 쉽게 낮은 위험도로 구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또, 혈액이나 혈액제제를 사용할 때에도, 여러 관심성분의 레벨을 측정하는데 필요한 혈액양은 여러 사람에게서 채취한 혈액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량이다.Recently, a method of collecting body fluids without injecting an injection to detect various chemicals and biological substrates has attracted attention. This technique is possible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analytical techniques,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various components (pathogens, biologics, metabolites, drugs, etc.) and blood preparations contained in blood that are obtained with a syringe and are of physiological and / It is contained in body fluids such as sweat, tears, pericardial fluid, peritoneal fluid, pleural fluid, cerebrospinal fluid, stomach fluid, respiratory fluid, semen, synovial fluid, vomit fluid, ulcer drainage, ascites, saliva, This is possible because it is easier to obtain at low risk. Also, when using blood or blood products, the amount of blood needed to measure levels of various components of interest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blood collected from many people.
또, 몇가지 생리학적 관심성분을 시험하는데는 타액이나 소변 샘플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리화나 복용 여부를 시험하는데는 타액이나 소변 샘플로 충분하다. 마리화나는 복용 후 최대 40일간 소변에서 검출되지만, 타액은 그 증거가 48시간만 존재하므로, 최근의 복용 여부를 검출하는데는 소변보다 타액 샘플이 훨씬 바람직하다.In addition, saliva or urine samples may be advantageous for testing several physiological components of interest. For example, saliva or urine samples are sufficient to test if you are taking marijuana. Although marijuana is detected in the urine for up to 40 days after taking it, saliva samples are much more desirable than urine for detecting recent doses, since the evidence is only present for 48 hours.
체액의 채취와 시험은 통상 아래 4단계로 이루어진다: 1) 샘플 수거; 2) 수거된 물질에서 샘플 추출; 3) 샘플을 반응제와 반응; 4) 생리학적이나 병리학적인 활성성분의 검출 및/또는 측정. 과거에는 주사기 없이 체액을 채취하는데 액체를 흡수하는 면봉이나, 흡수지나 흡수패드 등의 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들 채취기구를 모아 용기에 담은 다음, 기계적 교반으로 (또는 교반 없이) 확산현상을 이용해 적당한 용매에 샘플을 추출했다. 확산을 이용치 않는 샘플 추출은 속도가 아주 느려 수분이 걸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과정을 교반으로 촉진하면, 면이나 종이섬유와 같은 불순물이 샘플과 함께 추출액에 포함되므로, 이들 불순물을 위의 3단계의 반응 이전에 제거해야만 했다.Sampling and testing of body fluids typically consists of four steps: 1) collection of samples; 2) sample extraction from the collected material; 3) reacting the sample with the reactant; 4) Detection and / or measurement of physiologically or pathologically active components. In the past, it was common to use a swab or a device such as an absorbent or absorbent pad to absorb fluid to collect body fluids without a syringe. These harvesting devices were collected and placed in a container, and samples were then extracted in a suitable solvent using diffusion phenomenon by mechanical agitation (or without agitation). Sample extraction that does not use diffusion is very slow and takes a few minutes. If this process is promoted by agitation, impurities such as cotton or paper fibers are included in the extract along with the sample, and these impurities must be removed prior to the above three-step reaction.
이때, 상기 샘플을 추출(채취)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스포이드 등을 이용한다.At this time, a syringe or the like is generally used to extract (collect) the sample.
그러나 스포이드의 경우, 수용부로 시료 흡입시에 과다량이 흡입될 수 있고, 수용된 용액의 분주량을 미세 조절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포이드의 용액 수용을 위한 모세관 구조의 소정 높이에 구멍을 뚫어, 수용 용액의 양을 조절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스포이드는 반응 영역에서 시료를 빨아들이는 힘에 비해 모세관의 압력이 높기 때문에 반응 영역으로 용액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중도에 중단되는 현상이 문제가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a syringe, an excessive amount can be suck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when the sample is sucked, and it is difficult to finely control the dispensing amount of the received solu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hol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capillary structure for receiving the solution of the droplet so as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aqueous solution. However, since the capillary pressure of the syringe is higher than that of the sample in the reaction zo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olution is not introduced into the reaction region or is interrupted.
또한, 일반적인 상기 진단 및 혈액 분석장치에는 피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 와 이를 저장하기 위한 혈액 챔버(blood chamber)가 있지만, 피의 주입을 위해 상처부위를 상기 주입구에 묻히는 경우 대부분의 피가 주입구 주변에 만 묻어 피의 손실이 매우 크게 되는 문제가 있다.In general, the diagnostic and blood analysis apparatus includes an injection port for injecting blood and a blood chamber for storing the injection port. However, when a wound is buried in the injection port for injecting blood, most of the blood is injected only around the injection po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ss of blooming becomes very large.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혈액을 채취하는 방법으로 주입부에 의해 빠른 혈액 채취 및 래피드 진단키트에 직접 접촉으로 혈액을 빠르게 분석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가격으로 진단키트에 적용될 수 있고, 다수개의 관통홀을 통해 다양한 볼륨으로(같은 구조로 5ul, 10ul, 15ul, 20ul 등) 사용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 포인트를 이용하여 본체부를 탈거한 뒤, 탈거한 본체부를 버퍼 튜브에 넣고 삼투압 원리에 의해 버퍼에 희석시켜 분석하고, 피펫부의 사용으로 수용부에 수용된 혈액의 분주가 가능하기에 다용도의 혈액 채취가 이루어지기에 사용이 편리하고, 다양한 방식에 의해 혈액 채취 및 분주가 가능하여 다양한 진단키트에 사용할 수 있어 실용성 및 효율성이 좋은 혈액 채취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possible to rapidly analyze blood by rapid blood collection and direct contact with the rapid diagnostic kit by the injection part by the method of collecting blood, and it can be applied to the diagnostic kit at an economical price, After removing the main body part using a break point, the removed main body part is inserted into a buffer tube, diluted in a buffer by the osmotic principle, and analyzed by using a pipette part. It is convenient to use the blood collecting device for collecting the blood in a versatile manner because it can dispense the blood contained in the blood collecting part and can be used for various diagnostic kits because blood can be collected and dispensed by various methods,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혈액 채취 장치에 있어서,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ood sampling device,
본체부와;A body portion;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부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모세관(capillary) 기능에 의해 혈액을 수용하는 수용부와;A receiving portion formed inside the body portion and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o receive blood by a capillary function;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수용부와 연통되고, 혈액을 표면장력에 의해 채취하여 수용부 측으로 흡수하도록 일측이 확관된 주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And an injection unit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unit and having one side expanded so as to collect blood by surface tension and absorb the blood to the receiving unit side.
또한, 본 발명은 혈액 채취 장치에 있어서,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ood sampling device,
본체부와;A body portion;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부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모세관(capillary) 기능에 의해 혈액을 수용하는 수용부와;A receiving portion formed inside the body portion and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to receive blood by a capillary function;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수용부와 연통되고, 혈액을 표면장력에 의해 채취하여 수용부 측으로 흡수하도록 일측이 확관된 주입부와;An injection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and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part, one side of which is expanded to collect blood by surface tension and absorb the blood to the receiving part side;
상기 본체부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내부 압력에 의해 혈액을 수용부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수용부의 혈액을 주입부를 통해 배출시키는 피펫(pipet)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And a pipetting portion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portion to introduce blood into the receiving portion by internal pressure or to discharge the blood of the receiving portion through the injection portion. will be.
또한, 본 발명의 본체부는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어 외주연에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와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됨으로써, 관통홀의 간격마다 혈액의 채취량이 조절되며, 상기 관통홀은 수용부와 직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bod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at its outer periphery, and a plurality of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amount of blood to be collected is adjusted at intervals of the holes, and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receiv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피펫부는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부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내부 압력이 관통홀을 통해 수용부에 전달되어 혈액이 유입 또는 분주(奔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Further, the pipett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portion having the through-hole, and the internal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portion through the through-hole to allow the blood to flow in or out .
또한, 본 발명의 본체부의 외부에는 수용부에 혈액을 채취한 상태에서 본체부를 탈거하기 위해 브레이크 포인트(break point)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a break point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move the body part while collecting blood in the receiving part.
또한, 본 발명의 브레이크 포인트는 본체부의 외부에 홈 형태로 형성되되, 본체부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본체부의 외주연 둘레보다 작아서 본체부를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Further, the break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groove on the outside of the body, and is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so as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so that the body can be easily removed. .
또한, 본 발명의 혈액 채취 장치에 의해 채취된 혈액은 래피드 진단키트에서 분주하여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Further, the blood sampled by the blood samp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agnosed by being divided in the rapid diagnostic kit.
또한, 본 발명의 본체부의 타측에는 일체형으로 손잡이부가 돌출 형성되어 혈액 채취 장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is protruding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blood sampling device can be easily used.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혈액 채취 장치는 혈액을 채취하는 방법으로 주입부에 의해 빠른 혈액 채취 및 래피드 진단키트에 직접 접촉으로 혈액을 빠르게 분석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가격으로 진단키트에 적용될 수 있고, 다수개의 관통홀을 통해 다양한 볼륨으로(같은 구조로 5ul, 10ul, 15ul, 20ul 등) 사용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 포인트를 이용하여 본체부를 탈거한 뒤, 탈거한 본체부를 버퍼 튜브에 넣고 삼투압 원리에 의해 버퍼에 희석시켜 분석하고, 피펫부의 사용으로 수용부에 수용된 혈액의 분주가 가능하기에 다용도의 혈액 채취가 이루어지기에 사용이 편리하고, 다양한 방식에 의해 혈액 채취 및 분주가 가능하여 다양한 진단키트에 사용할 수 있어 실용성 및 효율성이 좋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lood samp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llecting blood, which enables quick analysis of blood by direct injection into a rapid blood collection and rapid diagnostic kit by an injection unit and is applied to a diagnostic kit at an economical price (5ul, 10ul, 15ul, 20ul or the like in the same structure)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the main body is detached using a break point, and then the detached main body is inserted into the buffer tube, And the blood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part can be dispensed by the use of the pipette part. Therefore, it is convenient to use the blood collecting device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a lot of blood, and it is possible to collect and dispense blood by various methods, It can be used in a kit, and practicality and efficiency are goo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액 채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펫부가 이동한 혈액 채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펫부가 탈거된 혈액 채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액 채취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od sam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od sampling device in which a pipette unit mo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lood sampling device in which a pipette part is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lood sam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part A of Fig.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characteristics can be more clearly described by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Before describing in detail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construction and the arrangement of components show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will be.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and carried out in other embodiments and carried out in various way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device or element orientation (e.g., "front," "back," "up," "down," "top," "bottom, Expressions and predicates used herein for terms such as "left," " right, "" lateral," and the like are used merely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at the element has to have a particular orientation. Also, terms such as " first "and" second "are used herein for the purpose of the description and the appended claims, and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or imply their relative importance or purpose.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액 채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펫부가 이동한 혈액 채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펫부가 탈거된 혈액 채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액 채취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od sam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lood sampling device in which a pipette section mo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lood sam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part A of FIG.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혈액 채취 장치(50)는 래피드(rapid) 진단키트에 혈액을 분주하여 진단받도록 본체부(10)와, 수용부(20)와, 주입부(30)와, 피펫(pipet)부(40)로 구성된다.1 to 5, the
상기 본체부(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어 외주연에 본체부(1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20)와 연통되는 한 쌍의 관통홀(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은 수용부(20)와 직각으로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11)은 한 쌍이 아닌 본체부(10)의 일면에만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같은 수평선상에 다수개의 관통홀(11)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1 to 5, the
여기서, 상기 동일선상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홀(11)은 본체부(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른 한 쌍의 관통홀(11)이 더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의 간격마다 혈액의 채취량이 조절된다. 즉, 상기 관통홀(11)의 간격마다 수용부(20)에 채워지는 혈액의 채취량(5ul, 10ul, 15ul, 20ul)을 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부(20)에 채워지는 혈액이 수용부(20)의 용량보다 더 유입되면 관통홀(11)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The pair of through
그리고, 상기 본체부(10)는 일측 끝단부에 주입부(3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측 끝단부에는 일체형으로 손잡이부(12)가 돌출 형성되어 혈액 채취 장치의 사용이 편리하게 한다.The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외부에는 수용부(20)에 혈액을 채취한 상태에서 본체부(10)를 탈거하기 위한 브레이크 포인트(break point,13)가 더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 포인트(13)는 본체부(10)의 외부에 홈 형태로 형성되되, 본체부(10)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홈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부(10)의 외주연 둘레보다 홈 내의 둘레가 작아서 본체부(10)를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A
여기서, 상기 탈거한 본체부(10)는 버퍼(buffer)가 담긴 튜브(미도시)에 넣고, 삼투압의 원리에 의해 수용부(20)에 들어있는 혈액이 버퍼로 빠져 나와서 버퍼와 희석되는 것이다. 이렇게 혈액이 희석된 버퍼를 진단키트에 분주하여 분석하는 것이다.Here, the removed
상기 수용부(2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내부에 형성되는데,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주입부(30)가 형성된 일측)에서부터 본체부(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형성되어 모세관(capillary) 기능에 의해 혈액이 수용되는 원리이다.4 to 5, the
여기서, 상기 수용부(20)는 규격에 맞게 형성되어 관통홀(11)과 연통되고, 상기 관통홀(11) 간격마다 5ul의 혈액이 수용될 수 있게 규격화되어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수용부(20)는 총 15ul의 혈액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된다.Here, the
상기 주입부(3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수용부(20)와 연통되고, 상기 주입부(30)는 혈액을 표면장력에 의해 채취할 수 있는데, 상기 주입부(30)의 채취량은 약 5ul 정도한다. 이때, 상기 주입부의 내부면은 표면장력이 발생하도록 곡선으로 형성된다.1 to 5, the
여기서, 상기 주입부(30)는 inverted cup 형태 즉, 등변사다리꼴 형태 또는 컵을 거꾸로 뒤집은 형태로 일측이 확관되어 혈액을 표면장력에 의해 채취하는 동시에 수용부(20) 측으로 이동시킨다.In this case, the
상기 피펫(pipet)부(40)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외부의 압력에 의해 몸체를 압박하여 피펫부(40) 내에 밀어내는 압력이 발생하고, 압박한 몸체에 압박을 풀면 피펫부(40) 내에 당기는 압력이 발생한다.The pipetting
여기서, 상기 피펫부(40)의 압력에 의해 혈액을 수용부(20)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수용부(20)의 혈액을 주입부(30)를 통해 배출시킨다. 즉, 상기 피펫부(40)는 관통홀(11)이 형성된 본체부(1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피펫부(40)의 내부 압력이 관통홀(11)을 통해 수용부(20)에 전달되고, 그로 인해 혈액이 수용부(20)에 유입 또는 분주(奔注)되는 것이다.Here, the blood is introduced into the
이렇듯, 상기 피펫부(40)는 몸체를 압박하여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도록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피펫부(40) 자체가 탄력적으로 구동되고, 내부에 일정크기의 중공부가 형성되어 외부 압박에 의해 중공부 내에 압력이 발생하는 것이다.The
그리고, 상기 피펫부(40)는 본체부(10)의 외주연에 형성되되, 본체부(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본체부(10)의 관통홀(11)을 다 덮거나 일부를 덮어서 내부 압력을 관통홀(11)에 임의대로 전달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수용부(20)에 혈액을 원하는 용량만큼 채울 수 있는 것이다.The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기술한 혈액 채취 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해 기술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method of the blood sampling device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혈액 채취 장치의 작동방법은 우선, (제 1실시예)로써, 주입부(30)를 채취할 혈액에 접촉하면 주입부(30)의 표면장력에 의해 약 5ul 정도의 혈액이 흡착되고, 그 상태에서 수용부(20)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용부(20) 내에 유입된다.The method of operation of the blood samp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blood of about 5 ul is adsorbed by the surface tension of the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수용부(20)에 원하는 양의 혈액을 채취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혈액 채취 장치(50)를 통해 약 25ul의 혈액을 채취할 수 있다. 즉, 수용부(20)에 20ul정도 수용되고, 주입부(30)에 5ul가 채취되는 것이다.A desired amount of blood can be collected in the
이렇게, 채취된 혈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본체부(10)의 브레이크 포인트(13) 부위를 절단하여 혈액이 채워진 본체부(10)를 탈거하고, 상기 탈거된 본체부(10)는 버퍼(buffer)가 채워진 용기나 튜브 내에 넣는데, 이때, 삼투압의 원리에 의해 본체부(10)의 혈액이 버퍼에 빠져 나와서 버퍼와 희석된다.In order to discharge the collected blood to the outside, the
그런 다음, 희석된 버퍼를 래피드 진단키트에 분주하여 혈액을 진단, 분석하는 것이다.The diluted buffer is then dispensed into a rapid diagnostic kit to diagnose and analyze the blood.
(제 2실시예)로써, (Second embodiment)
피펫부(40)의 외부를 압박한 상태에서 채취할 혈액에 주입부(30)를 접촉한 뒤, 피펫부(40)에 가한 압박을 해체하면 피펫부(40) 내부에 당기는 압력이 발생하면서 주입부(30)를 통해 혈액이 빨려들어와 수용부(20)에 채워진다.When the pressure to be applied to the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수용부(20)에 원하는 용량만큼 흡입하여 채취하는데, 수용부(20)에 혈액을 원하는 용량에 맞춰 채취하기 위해 피펫부(40)를 이동시킨다. 즉, 상기 피펫부(40)의 위치에 따라 혈액의 채취 용량이 달라지는데, 상기 피펫부(40)는 관통홀(11)의 위치에 따라 관통홀(11)에 가해지는 압력이 달라서 혈액의 흡입되는 용량이 달라지는 것이다. The
예를 들어 본체부(10)에 관통홀(11)이 앞쪽과 뒷쪽에 각각 형성되어 있을 시, 피펫부(40)가 뒷쪽의 관통홀(11)에 위치하여 작동하면 뒷쪽 관통홀(11)과 연통된 수용부(20)까지 혈액이 채워지고, 반대로 피펫부(40)가 앞쪽 관통홀(11)에 위치하여 작동하면 앞쪽 관통홀(11)과 연통된 수용부(20)까지 혈액이 채워지는 방식으로 용량을 달리해서 채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through
여기서, 상기 피펫부(40)에 의해 수용부(20)에 채워지는 혈액 중 과도하게 유입된 혈액은 관통홀(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수용부(20)에 정량의 혈액만 채취된다.Here, the blood that is excessively introduced into the
그런 다음, 래피드 진단키트에 수용부(20)의 혈액을 분주하는데, 이때, 피펫부(40)의 외부를 압박하여 피펫부(40) 내부에 밀어내는 압력이 발생하고, 그 압력이 관통홀(11)을 통해 수용부(20)에 전달되어 수용부(20)의 혈액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At this time, pressure is applied to push the outside of the
10 : 본체부 11 : 관통홀
12 : 손잡이부 13 : 브레이크 포인트
20 : 수용부 30 : 주입부
40 : 피펫부 50 : 혈액 채취 장치10: main body part 11: through hole
12: Handle portion 13: Break point
20: accommodating portion 30: injecting portion
40: pipette part 50: blood collecting device
Claims (8)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서부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모세관(capillary) 기능에 의해 혈액을 수용하는 수용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수용부(20)와 연통되고, 혈액을 표면장력에 의해 채취하여 수용부(20) 측으로 흡수하도록 일측이 확관된 주입부(30)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10)는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어 외주연에 본체부(1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20)와 연통되는 관통홀(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은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됨으로써, 관통홀(11)의 간격마다 혈액의 채취량이 조절되며, 상기 관통홀(11)은 수용부(20)와 직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채취 장치.
In a blood sampling device,
A main body 10;
A receiving part 20 formed in the body part 10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one side of the body part 10 to receive blood by a capillary function;
And an injection part 30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10 and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part 20 and having one side expanded so as to collect blood by surface tension and absorb the blood to the accommodation part 20 side Respectively,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through hole 11 communicating with a receiving portion 20 formed in the main body 10 at its outer periphery. And the through holes (11) are 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receiving portion (20). The blood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ough holes (11) Device.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서부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모세관(capillary) 기능에 의해 혈액을 수용하는 수용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수용부(20)와 연통되고, 혈액을 표면장력에 의해 채취하여 수용부(20) 측으로 흡수하도록 일측이 확관된 주입부(30)와;
상기 본체부(1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내부 압력에 의해 혈액을 수용부(20)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수용부(20)의 혈액을 주입부를 통해 배출시키는 피펫(pipet)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10)는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어 외주연에 본체부(1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20)와 연통되는 관통홀(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은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됨으로써, 관통홀(11)의 간격마다 혈액의 채취량이 조절되며, 상기 관통홀(11)은 수용부(20)와 직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채취 장치.
In a blood sampling device,
A main body 10;
A receiving part 20 formed in the body part 10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one side of the body part 10 to receive blood by a capillary function;
An injection part 30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10 and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part 20 and having one side expanded to take blood by surface tension and absorb the blood to the receiving part 20 side;
A pipetting part 40 form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part 10 to introduce blood into the accommodation part 20 by internal pressure or to discharge the blood of the accommodation part 20 through the injection part, ; ≪ / RTI >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through hole 11 communicating with a receiving portion 20 formed in the main body 10 at its outer periphery. And the through holes (11) are 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receiving portion (20). The blood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Device.
상기 피펫부(40)는 관통홀(11)이 형성된 본체부(1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내부 압력이 관통홀(11)을 통해 수용부(20)에 전달되어 혈액이 유입 또는 분주(奔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채취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ipette portion 4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portion 10 having the through hole 11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portion 20 through the through hole 11, (Note).
상기 본체부(10)의 외부에는 수용부(20)에 혈액을 채취한 상태에서 본체부(10)를 탈거하기 위한 브레이크 포인트(break point,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채취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break point (13) for removing the main body (10)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art (10) while collecting blood in the receiving part (20).
상기 브레이크 포인트(13)는 본체부(10)의 외부에 홈 형태로 형성되되, 본체부(10)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0)의 외주연 둘레보다 작아서 본체부(10)를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채취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reak point 13 is formed in a groove on the outside of the body 10 and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10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10, Wherein the blood collection device is detachable.
상기 혈액 채취 장치(50)에 의해 채취된 혈액은 래피드 진단키트에서 분주하여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채취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lood sampled by the blood sampling device (50) is diagnosed by frequency in the rapid diagnostic kit.
상기 본체부(10)의 타측에는 일체형으로 손잡이부(12)가 돌출 형성되어 혈액 채취 장치(50)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채취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handle (12)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blood sampling device (50) can be easily us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1233A KR101684689B1 (en) | 2016-06-08 | 2016-06-08 | Blood collec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1233A KR101684689B1 (en) | 2016-06-08 | 2016-06-08 | Blood collect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84689B1 true KR101684689B1 (en) | 2016-12-08 |
Family
ID=57576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1233A Active KR101684689B1 (en) | 2016-06-08 | 2016-06-08 | Blood collec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4689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1717A (en) * | 2017-11-28 | 2019-06-05 | 에임바이오 주식회사 | Non-penetrating type blood collection device |
KR20200055351A (en) * | 2018-11-13 | 2020-05-21 | 에임 주식회사 | Blood collection device adaptive to size of capillary tube |
WO2020138746A1 (en) * | 2018-12-27 | 2020-07-02 | 백계승 | Sample collection tool for animal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17281A (en) * | 2003-06-03 | 2005-01-20 | Enomoto Co Ltd | Disposable pipette and micro blood sampler |
KR20100130121A (en) | 2009-06-02 | 2010-12-10 | 주식회사 인포피아 | Sampler |
KR20130054573A (en) | 2011-11-17 | 2013-05-27 | (주)미코바이오메드 | Cuvette |
KR20160041981A (en) * | 2013-09-05 | 2016-04-18 | 가부시키가이샤 미야비 | Body Fluid Collector, Body Fluid Container, and Body Fluid Collection Device |
-
2016
- 2016-06-08 KR KR1020160071233A patent/KR10168468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17281A (en) * | 2003-06-03 | 2005-01-20 | Enomoto Co Ltd | Disposable pipette and micro blood sampler |
KR20100130121A (en) | 2009-06-02 | 2010-12-10 | 주식회사 인포피아 | Sampler |
KR20130054573A (en) | 2011-11-17 | 2013-05-27 | (주)미코바이오메드 | Cuvette |
KR20160041981A (en) * | 2013-09-05 | 2016-04-18 | 가부시키가이샤 미야비 | Body Fluid Collector, Body Fluid Container, and Body Fluid Collection Devic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1717A (en) * | 2017-11-28 | 2019-06-05 | 에임바이오 주식회사 | Non-penetrating type blood collection device |
KR102059956B1 (en) | 2017-11-28 | 2019-12-27 | 에임 주식회사 | Non-penetrating type blood collection device |
KR20200055351A (en) * | 2018-11-13 | 2020-05-21 | 에임 주식회사 | Blood collection device adaptive to size of capillary tube |
KR102223629B1 (en) | 2018-11-13 | 2021-03-05 | 에임 주식회사 | Blood collection device adaptive to size of capillary tube |
WO2020138746A1 (en) * | 2018-12-27 | 2020-07-02 | 백계승 | Sample collection tool for animal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36654B1 (en) | Specimen collecting, processing and analytical assembly | |
US5268148A (en) | Saliva sampling device and sample adequacy system | |
EP1963855B1 (en) |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nalytes in fluid samples | |
EP3116464B1 (en) | Devices for bodily fluid sample collection | |
US8846333B2 (en) | Method and device for visual detection of hemolysis | |
WO2018188458A1 (en) | Sample collector, and sample collection and detection device and method | |
EP2408377B1 (en) | Oral fluid collection device | |
DK2788755T3 (en) | HEMOLYSE DETECTION DEVICE | |
JP2003139780A (en) | Liquid specimen collecting system | |
KR101684689B1 (en) | Blood collection device | |
KR102123499B1 (en) | Blood collection devices, including blood collection devices and blood receivers | |
CN1727868A (en) | Sampling means and system for testing a sample liquid | |
US2007005636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ampling a fluid | |
JP4158094B2 (en) | Urine sample collection and storage equipment | |
KR101995790B1 (en) | Integrated sampling and dispensing device with severing means and method of sampling and dispensing | |
KR20190132835A (en) | Kit for detecting bacteria | |
CN210774761U (en) | Disposable inspection device | |
WO2013021274A1 (en) | Device for taking, preparing and transferring fecal samples, and corresponding method | |
US20160114317A1 (en) | Device and system for sampling and analyzing a liquid specimen | |
WO2021262061A1 (en) | Collection device for bodily fluid samples | |
WO2020004590A1 (en) | Sample collection device and sample preparation device | |
JP4609252B2 (en) | Sample collection liquid container | |
NL2033568B1 (en) | Flow assay device for collecting a blood sample | |
US20240042449A1 (en) | Test device, test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est device for carrying out a test directed to the detection of an organic structure | |
JP4158095B2 (en) | Urine sample collection and storage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6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