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187B1 - Ocarina can play a variety of volume - Google Patents
Ocarina can play a variety of volu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4187B1 KR101684187B1 KR1020150158538A KR20150158538A KR101684187B1 KR 101684187 B1 KR101684187 B1 KR 101684187B1 KR 1020150158538 A KR1020150158538 A KR 1020150158538A KR 20150158538 A KR20150158538 A KR 20150158538A KR 101684187 B1 KR101684187 B1 KR 1016841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diameter
- ocarina
- holes
- intermediate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10000002105 tongu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2—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 G10D7/04—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of the type wherein an air current is directed against a ramp edge with Helmholtz resonators, e.g. ocarin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오카리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옥타브(음량)를 구현할 수 있는 오카리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취구부(11)와, 상기 취구부(11)에 구비되는 상,하부취구공(12,12')과, 상기 취구부(11) 외측에 소리배출구(13)를 구비하는 중간부재(10) 및 상기 중간부재(10) 상부에 부착되게 고정되고 상부취구공(12)과 연통되는 제1음정부(21) 및 다수의 대직경운지구멍(22)을 구비하는 상부부재(20) 및
상기 중간부재(10) 하부에 부착되게 고정되고 하부취구공(12')과 연통되는 제2음정부(31) 및 다수의 조율구멍(32)과 소리배출구(33)를 구비하는 하부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재(20)에 기립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울림관(40)을 구비하되, 상기 울림관(40)의 상단부에 있는 소직경운지구멍(41)이 대직경운지구멍(22)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소직경운지구멍(41)이 제2음정부(31)와 연통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carina which can realize various octaves (volumes)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ocarina shap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mediate member having a blowing portion 11 and upper and lower blow holes 12 and 12 'provided in the blowing portion 11 and a sound exhausting opening 13 outside the blowing portion 11, An upper member 20 fixedly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intermediate member 10 and having a first sound generating part 21 and a plurality of large diameter fingering holes 22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striking hole 12, And
A second shade portion 31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10 and communicated with the lower shore hole 12 'and a lower member 30 having a plurality of shore holes 32 and a sound outlet 33 Wherein the small diameter fingertip hole (41) at the upper end of the ring tube (40) has a large diameter fingertip hole (41) 22, and the small-diameter fingering hole 41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hingling portion 31. [0031] As shown in FIG.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카리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더욱 다양한 옥타브의 연주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오카리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오카리나는 악기는 통상 흙으로 구워 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오카리나가 제작되고 있다.In general, ocarina is usually made by grinding the instrument, but recently, ocarina has been made using various materials.
그리고 오카리나의 연주방법은 취구로 공기를 불어 넣어 내부의 울림관에서 울리는 소리가 소리배출구로 배출되면서 맑은 음색을 갖는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And the way of playing ocarinas is to blow air into the tongue, to make a sound with a clear tone as the sound from the inner sound pipe is discharged to the sound outlet.
그러나 종래 사용되는 오카리나는 하나의 울림관을 갖게 형성되어 그 음역이 넓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ly used ocarina has a disadvantage that it has a single sound tube and its transliteration is not wide.
따라서, 종래에는 다양한 음역을 연주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크기의 울림관이 구비된 여러 개의 오카리나를 연주자 앞에 구비하여 연주자가 원하는 음량을 가진 오카리나를 적시에 선택하여 연주하는 방식으로 연주가 이루어지는 관계로 연주에 끈김이 발생되거나 오카리나 선택을 잘못하여 원하지 않는 음을 연주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conventionally, in order to play various ranges, a plurality of ocarina having a plurality of resonance tubes having various sizes are provided in front of the player, so that the player can select the ocarina having a desired volume at a timely manner, There is a problem that a wrong sound is generated due to a wrong selection of ocarina.
또한, 종래에는 하나의 울림관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해진 울림관 사이즈에서 낼 수 있는 고음 영역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since only one sounding tube is used in the past, there is a limit to the high sounding range that can be obtained from a predetermined sounding tube size.
띠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은 오카리나가 개시되었으나, 상기 선행기술과 같은 방법으로는 손가락길이가 한정되어 있어 연주자가 다양한 운지구멍을 선택 하여 연주하기에는 연주에 한계가 있는 실정에 있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ocarina has been disclosed as described in the patent documents of the prior art. However, in the same method as the prior art, since the finger length is limited, the player selects various fingertip holes There is a limit to the performance of playing.
본 발명은 기존의 오카리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옥타브(음량)를 구현할 수 있는 오카리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carina which can realize various octaves (volumes)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ocarina shape.
본 발명은, 취구부와, 상기 취구부에 구비되는 상,하부취구공과, 상기 취구부 외측에 소리배출구를 구비하는 중간부재와, 상기 중간부재 상부에 부착되게 고정되고 상부취구공과 연통되는 제1음정부 및 다수의 대직경운지구멍을 구비하는 상부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 하부에 부착되게 고정되고 하부취구공과 연통되는 제2음정부 및 다수의 조율구멍과 소리배출구를 구비하는 하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재에 기립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울림관을 구비하되, 상기 울림관 상단부에 있는 소직경운지구멍이 대직경운지구멍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소직경운지구멍이 제2음정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blowing portion; an upper and lower blowing holes provided in the blowing portion; an intermediate member having a sound outlet at the outside of the blowing portion; a first member fixed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And an upper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large-diameter fingering holes and a second member fixedly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and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wrist hole, and a lower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tune holes and a sound outlet, Wherein the small diameter fingering hole at the upper end of the resonating tube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large-diameter fingering hole, and the small diameter fingering hole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tinging portion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used.
상기 취구부의 상,하부취구공 중간에 분리감지돌기가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And the separation detecting protrusions are protrud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and lower tuyere balls of the tuyere.
상기 중간부재의 취구부 일측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단턱부에 상,하부부재의 일측단부 각각 걸림되어 부착되게 하되, 상기 하부부재의 일측단부에는 하부취구공 및 제2음정부와 직결되게 연통되는 바람유도공을 구비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end of the lower member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member ar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member, And a wind inducing hole formed in the wind guide.
본 발명은 예전의 오카리나 형상을 벗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상,하부취구공과 제1,2음정부 및 소리배출구를 각각 구비할 뿐만 아니라 대직경운지구멍 내측에 또 다른 소직경운지구멍이 구비되어 하나의 손가락으로 대,소직경운지구멍을 동시에 운지하거나 번갈아가며 운지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옥타브(음량)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not only an upper, a lower, a first and a second mouth, and a sound outlet but also a small-diameter fingertip inside the large-diameter fingertip hole in a state of not leaving an old ocarina shape, And the small-diameter fingering holes can be simultaneously fingered or alternately fingered, so that various octaves (volumes) can be realized.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오카리나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부부재의 분리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실시된 오카리나의 전체 종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카리나의 평면을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카리나의 저면을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오카리나의 다른 실시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cari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the lowe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overal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ocari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plane view of an ocari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ocari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cari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나의 취구부(11)와, 상기 취구부(11)에 각각 구비되는 상,하부취구공(12,12') 및 상기 취구부(11) 외측에 소리배출구(13)를 갖는 중간부재(10)를 구비한다.1 to 4,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ingle blow-off
상기 취구부(11)의 상,하부취구공(12,12') 중간에는 혀로 감지할 수 있는 분리감지돌기(14)가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중간부재(20)에는 다수의 울림관(40)을 구비하되, 상기 울림관(40)의 상단부에 있는 소직경운지구멍(41)이 이후에 다시 설명되는 상부부재(20)의 대직경운지구멍(22) 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된다.The
그리고 본 발명은 중간부재(10) 상부에 부착되게 고정되고 상부취구공(12)과 연통되는 제1음정부(21) 및 다수의 대직경운지구멍(22)을 구비하는 상부부재(20)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또한, 상기 중간부재(10) 하부에 부착되게 고정되고 하부취구공(12')과 연통되는 제2음정부(31) 및 다수의 조율구멍(32)과 소리배출구(33)를 구비하는 하부부재(30)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A
본 발명은 중간부재(10)의 취구부(11) 일측의 상하부에 결합단턱부(15,15')를 각각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결합단턱부(15,15')에는 상,하부부재(20,30)의 일측단부(24,34)가 각각 걸림되게 하여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따라서, 하부부재(30)의 일측단부(34)에는 하부취구공(12') 및 제2음정부(31)와 직결되게 연통되는 바람유도공(35)을 구비함으로써 하부취구공(12')으로 주입되는 바람이 바람유도공(35)을 통해 제2음정부(31)로 주입된다.Therefore, the one
또한, 중간부재(10) 상하부에 상,하부부재(20,30)가 각각 부착되게 고정되면 중간부재(20)에 기립 된 다수의 울림관(40)의 상단부에 있는 소직경운지구멍(41)이 대직경운지구멍(22) 중심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소직경운지구멍(41)이 제2음정부(31)와 연통 되는 상태가 된다.When the upper and
따라서, 본 발명은 취구부(11)에서 상,하부취구공(12,12') 모두에 바람이 주입되게 하거나 또는 혀로 분리감지돌기(14)를 감지하여 상,하부취구공(12,12') 중에 어느 하나에 바람이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upper and
또한, 본 발명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직경운지구멍(22) 내측으로 소직경운지구멍(41)이 있게 되므로 하나의 손가락으로 대직경운지구멍(22)과 소직경운지구멍(41)을 동시에 개폐되게 하거나 또는 소직경운지구멍(41)만을 개폐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오카리나가 직경이 각각 다른 운지구멍이 예전에 비해 2배 더 구비하는 상태가 되므로 예전보다는 더욱 다양한 옥타브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4, since the small-
본 발명에서 소리배출구(13) 및 조율구멍(32)은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작용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예전의 오카리나 형상을 벗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상,하부취구공(12,12')과 제1,2음정부(21,31) 및 소리배출구(13,33)를 각각 구비할 뿐만 아니라 대직경운지구멍(22) 내측에 또 다른 소직경운지구멍(41)이 구비되어 하나의 손가락으로 대,소직경운지구멍(22,41)을 동시에 운지 하거나 또는 번갈아가며 운지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옥타브(음량)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형의 오카리나에도 실시 가능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upper and
그러므로 본 발명은 도면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반드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and described embodiments,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self-evident to be.
10:중간부재 11:취구부
12,12':상,하부취구공 13,33:소리배출구
14:분리감지돌기 15,15':결합단턱부
20:상부부재 21:제1음정부
22:대직경운지구멍 24,34:일측단부
30:하부부재 31:제2음정부
32:조율구멍 35:바람유도공
40:울림관 41:소직경운지구멍10: intermediate member 11:
12, 12 ': Upper and
14:
20: upper member 21:
22: large-
30: lower member 31: second sound government
32: Tuning hole 35: Wind guide
40: Ringing tube 41: Small diameter fingertip
Claims (3)
상기 중간부재(10) 상부에 부착되게 고정되고 상부취구공(12)과 연통되는 제1음정부(21) 및 다수의 대직경운지구멍(22)을 구비하는 상부부재(20)와;
상기 중간부재(10) 하부에 부착되게 고정되고 하부취구공(12')과 연통되는 제2음정부(31) 및 다수의 조율구멍(32)과 소리배출구(33)를 구비하는 하부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재(10)에 기립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울림관(40)을 구비하되, 상기 울림관(40)의 상단부에 있는 소직경운지구멍(41)이 대직경운지구멍(22)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소직경운지구멍(41)이 제2음정부(31)와 연통되도록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옥타브의 연주가 가능한 오카리나.
An intermediate member 10 having a mouthpiece 11 and upper and lower mouth holes 12 and 12 'provided in the mouthpiece 11 and a sound outlet 13 outside the mouthpiece 11, Wow;
An upper member 20 fixed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10 and having a first sounding portion 21 and a plurality of large diameter fingering holes 22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staking hole 12;
A second soundproofing portion 31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10 and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sounding hole 12 'and a lower member 30 having a plurality of sounding holes 32 and sound outlets 33 );
Diameter fingertip hole 41 at the upper end of the ringing tube 4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large-diameter fingertip hole 22, and a plurality of ringing tubes 40 rising from the intermediate member 10, , And the small diameter fingering hole (41) is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tone portion (31).
The ocarina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etachment detection protrusion (14) is protruded in the middl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ongues (12, 12 ') of the tongue (11).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one end (24, 24) of the upper and lower members (20, 30) is attached to a coupling step jaw (15, 15 ') provided at each of upper and lower parts of one side of the spool part (11) And a wind guiding hole 35 is formed in one end portion 34 of the lower member 30 so as to be directly engaged with the lower mouth hole 12 ' Ocarina that can play various octav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8538A KR101684187B1 (en) | 2015-11-12 | 2015-11-12 | Ocarina can play a variety of volu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8538A KR101684187B1 (en) | 2015-11-12 | 2015-11-12 | Ocarina can play a variety of volu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84187B1 true KR101684187B1 (en) | 2016-12-20 |
Family
ID=57734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8538A Expired - Fee Related KR101684187B1 (en) | 2015-11-12 | 2015-11-12 | Ocarina can play a variety of volu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418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0693B1 (en) * | 2019-04-24 | 2019-11-29 | 이상진 | Ocarina with having dual sound ho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4913B1 (en) | 2006-09-15 | 2006-12-06 | 김민수 | ocarina |
KR20070111908A (en) | 2006-05-19 | 2007-11-22 | 이일용 | Double Catch Ocarina |
WO2011096661A2 (en) * | 2010-02-04 | 2011-08-11 | Lee Sang Zin | Ocarina |
KR101509352B1 (en) * | 2013-12-02 | 2015-04-07 | 이상진 | Additional modular inflatable plastic ocarina |
-
2015
- 2015-11-12 KR KR1020150158538A patent/KR10168418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111908A (en) | 2006-05-19 | 2007-11-22 | 이일용 | Double Catch Ocarina |
KR100654913B1 (en) | 2006-09-15 | 2006-12-06 | 김민수 | ocarina |
WO2011096661A2 (en) * | 2010-02-04 | 2011-08-11 | Lee Sang Zin | Ocarina |
KR101509352B1 (en) * | 2013-12-02 | 2015-04-07 | 이상진 | Additional modular inflatable plastic ocarina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0693B1 (en) * | 2019-04-24 | 2019-11-29 | 이상진 | Ocarina with having dual sound hole |
WO2020218761A1 (en) * | 2019-04-24 | 2020-10-29 | 이상진 | Ocarina having dual sound ho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13959B2 (en) | Reed for mouthpiece of wind instrument | |
WO2017057088A1 (en) | Wind instrument | |
KR101684187B1 (en) | Ocarina can play a variety of volume | |
US8664499B2 (en) | Nose pipe instrument capable of modulating the tone thereof | |
CN103810989A (en) | Electronic wind instrument | |
KR101535003B1 (en) | Ocarina with sound amplifying means | |
CN102779506B (en) | Trumpet mute | |
CN101887716B (en) | Cucurbit flute | |
KR200483190Y1 (en) | Recorder ring | |
CN104934019A (en) | Mouthpiece reinforcement tube with variable diameter | |
KR100849581B1 (en) | ocarina | |
CN104167199B (en) | A kind of saxophone and its blowpipe, main body tube | |
CN203895099U (en) | Q-shaped flute | |
JP5848967B2 (en) | Multi-tube ocarina | |
KR101974981B1 (en) | Wind instrument kit | |
US9613601B1 (en) | Minawi straw | |
CN203179500U (en) | Integrated one-section type Irish flute | |
KR102081000B1 (en) | Ocarina | |
CN204632320U (en) | A kind of telescopic tuning suona horn number | |
KR20120121600A (en) | Wind instrument | |
CN106251839A (en) | A kind of inner cone tubular type wind instrument | |
US2214314A (en) | Musical instrument | |
WO2021090344A1 (en) | Saxophone having extended sound extension | |
TWI537935B (en) | Adjustable diameter of the mouthpiece reinforcement tube | |
US11127382B1 (en) | Tone-alt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usical wind instrum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