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3293B1 - 경구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경구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293B1
KR101683293B1 KR1020100058912A KR20100058912A KR101683293B1 KR 101683293 B1 KR101683293 B1 KR 101683293B1 KR 1020100058912 A KR1020100058912 A KR 1020100058912A KR 20100058912 A KR20100058912 A KR 20100058912A KR 101683293 B1 KR101683293 B1 KR 101683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ibuprofen
grapefruit
flavor
or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900A (ko
Inventor
유지 니이쿠라
켄시 토쿠모토
키요타카 아오키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1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29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부프로펜 유래의 불쾌한 맛이 마스킹되고, 인후 자극이 없고, 복용성이 양호한 경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부프로펜, 스크랄로스, 및 그레이프후루츠 향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의약 제제로 한다.

Description

경구용 조성물{COMPOSITION FOR ORAL USE}
본 발명은, 이부프로펜의 불쾌한 맛(쓴맛)이 억제되고, 또한 인후 자극이 없는, 복용성이 양호한 경구 제제에 관한 것이다.
약물 중에는 불쾌한 맛을 갖는 것이 많으며, 이들을 함유하는 경구 제제로 하는 경우, 약물 유래의 불쾌한 맛을 마스킹하는 검토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물을 이용하지 않고 복용하는 정제(구강내 붕괴정, 트로치 등)나, 입상제, 액제, 젤리제 등은, 환자가 약물의 불쾌한 맛을 느끼기 쉬운 제제이기 때문에, 마스킹은 중요한 과제가 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감미제나 향료를 첨가하는 마스킹 기술 등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감미제나 향료에 의해서는 충분히 불쾌한 맛을 마스킹할 수가 없거나, 향료 유래의 쓴맛이 생기거나, 감미제의 감미의 뒷맛에 의한 복용성의 저하가 생기는 등,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약물 중에서도, 이부프로펜은 쓴맛 외에 삼킬 때에 찌르는 것 같은 인후 자극이 있으며 복용감이 나쁘다. 특히 액제 등과 같은 것보다도 유효 성분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고형 제제(정제, 입상제), 젤리제는, 인후 자극을 강하게 느끼기 때문에 해결이 요망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1-106639
본 발명은, 이부프로펜 유래의 불쾌한 맛이 마스킹되고, 복용성이 양호한 경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부프로펜 유래의 인후 자극이 저감된, 복용성이 양호한 경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검토하여 이부프로펜에, 감미제로서 스크랄로스를 선택하고, 향료로서 그레이프후루츠 향료를 선택하여 조합시킴에 의해, 이부프로펜을 함유한 경우에도, 쓴맛 마스킹 효과에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인후 자극이 저감되고, 게다가 감미제의 감미의 뒷맛이 없으며, 복용성에 우수한 경구 제제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1> 이부프로펜, 스크랄로스 및 그레이프후루츠 향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의약 조성물 ;
<2> 스크랄로스/그레이프후루츠 향료(질량비)=1/0.01 내지 1/1(=100 내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경구용 의약 조성물 ;
<3> 이부프로펜/스크랄로스(질량비)=1/0.01 내지 1/0.5(=100 내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경구용 의약 조성물 ;
<4> 이부프로펜의 함유량이 제제 중 5 내지 80질량%, 스크랄로스의 함유량이 제제 중 0.01 내지 10질량%, 그레이프후루츠 향료의 함유량이 제제 중 0.01 내지 2질량%인, <1> 내지 <3>에 기재된 경구용 의약 조성물 ;
<5> 또한, 당알코올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4>에 기재된 경구용 의약 조성물 ;
<6> <1> 내지 <5>에 기재된 경구용 의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제, 구강내 붕괴정, 또는 트로치제 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이부프로펜의 불쾌한 맛이나 인후 자극이 충분히 억제된 경구용 의약 조성물을 얻을 수 있고, 특히, 씹어먹는 정, 구강내 붕괴정 또는 트로치제 등의 물 없이 복용하는 정제, 또는 입상제의 성분으로서 유용하다.
(1) 이부프로펜
이부프로펜은 공지의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이고, 해열 진통약이나 감기약의 유효 성분으로서 배합되어 있는 약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부프로펜은, 경구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라면 특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분말, 조립물의 어느 형태라도 좋다.
이부프로펜의 배합량은, 마스킹의 점에서 말하면, 경구용 조성물 중 6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하이다. 약효의 관점에서, 5질량% 이상, 특히 10질량% 이상의 배합량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는 이부프로펜의 사용에 있어서는, 이부프로펜의 배합량이 많을수록 인후 자극의 과제가 현저하다.
(2) 스크랄로스
본 발명의 경구용 의약 조성물에 사용된 감미제는, 스크랄로스를 필수로 한다. 스크랄로스는, 아세술팜칼륨이나 아스파르테임, 스테비아, 사카린 등과 마찬가지로, 경구 의약품에도 배합 가능한 공지의 감미제이고, 시판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크랄로스의 함유량은, 경구 조성물 중, 0.01 내지 1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6질량%이다. 0.01질량% 이하에서는 쓴맛 마스킹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10질량%보다 많아지면, 고감미도 감미제의 쓴맛이 생기거나, 감미의 뒷맛 느낌이 강하고 복용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부프로펜/스크랄로스(질량비)=1/0.01 내지 1/0.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5 내지 1/0.5이다. 상기 범위에서, 이부프로펜의 인후 자극 억제 효과에 특히 우수하다.
(3) 그레이프후루츠 향료
본 발명의 경구용 조성물은, 향료로서 그레이프후루츠 향료를 함유한다. 그레이프후루츠 향료를 사용함에 의해, 약물의 쓴맛을 마스킹하는 효과가 높고, 게다가 상기 고감미도 감미제의 감미의 뒷맛이 억제된, 복용감에 우수한 경구 제제로 할 수 있다. 그레이프후루츠 향료는 d-리모넨을 주성분(60 내지 99.9질량%)으로 하는 그레이프후루츠와 같은 향기를 갖는 감귤계 향료로서 알려져 있고, 그레이프후루츠 특유의 쓴맛 성분으로서 누트카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리모넨을 많이 포함하는 그레이프후루츠 향료와 고감미도 감미제와의 병용에 의해, 약물의 불쾌한 맛을 효과적으로 마스킹함과 함께, 상기 쓴맛 성분이, 고감미도 감미제(특히 스크랄로스)의 감미의 뒷맛을 억제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리모넨의 함유량은, 그레이프후루츠 향료 중, 20 내지 99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내지 97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누트카톤의 함유량은, 그레이프후루츠 향료 중, 0.0001 내지 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1 내지 2.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그레이프후루츠 향료는, 상기 d-리모넨 및 누트카톤을 동시에 함유하고, 각각 상기한 알맞은 함유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그레이프후루츠 향료는, 천연 향료 소재, 합성 향료 소재를 적절히 조정하여 처방할 수 있다. 천연 향료 소재로서는, 화이트 그레이프후루츠, 레드 그레이프후루츠, 핑크 그레이프후루츠 등을 들 수 있고,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 관용의 수증기 증류, 또는 압착법 등의 방법으로 얻어지는 정유, 과피유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합성 향료 소재로서는, 상기 리모넨, 누트카톤 외에, 나린긴, 알코올류, 알데히드류, 에스테르류, 에테르류, 케톤류 등, 그레이프후루츠에 포함되는 각종 휘발성 향료 성분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향료는 액상의 향료를 그대로, 또는 담지 입자에 담지시킨 향료 입자로서 배합하여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향료 입자를 사용한다.
담지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덱스트린, 아라비아검, 전분, 환원 팔라티노스 등을 들 수 있고, 아라비아검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담지 입자에는, 적어도, d-리모넨을 아라비아검에 대해 1 내지 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0질량%, 누트카톤을 아라비아검에 대해 0.000005 내지 0.2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05 내지 0.1질량%가 되도록, 각각 담지시켜서 향료 입자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그레이프후루츠 향료의 함유량은, 경구용 조성물 중 , 0.01 내지 2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질량%이다. 0.01질량% 이하에서는 쓴맛 마스킹이나 고감미도 감미제의 감미의 뒷맛 억제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2질량% 이상에서는, 그레이프후루츠 유래의 쓴맛이 강해지기 때문에, 복용성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스크랄로스/그레이프후루츠 향료(질량비)=1/0.001 내지 1/1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 내지 1/1(=100 내지 1)(특히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1/0.5)이다. 상기 범위에서, 이부프로펜의 인후 자극 억제 효과에 특히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부프로펜과, 스크랄로스와, 그레이프후루츠 향료의 질량비(이부프로펜/스크랄로스/그레이프후루츠 향료)는, 1/0.01/0.00001 내지 1/0.5/5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5/0.0005 내지 1/0.5/0.5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5/0.005 내지 1/0.5/0.25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1/0.01 내지 1/0.5/0.05이다.
(4) 다른 성분
본 발명의 경구용 의약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경구용 의약에 사용 가능한 각종 약물, 첨가제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약물로서는, 상기 이외의 해열진통제, 항히스타민제, 진해거담제, 제산제, 비타민류, 미네랄류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에텐자미드, 나프록센, 디클로페낙나트륨, 피록시캄, 아줄렌, 인도메타신, 살리실산, 케토프로펜, 질산 이소소르바이드, 인산 디히드로코데인, 에페드린 및 그 염, 염산 페닐프로판올아민, 말레인산 클로르페니라민, 테오필린, (무수)카페인, 세팔렉신, 술프이속사졸, 미네랄, 티아민, 아스코르빈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의약의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부형제, 붕괴제, 결합제, 스크랄로스 이외의 감미제, 안료, 그레이프후루츠 향료 이외의 향료, 활택제 등을 들 수 있다.
부형제로서는, 유당 등의 당, 소르비톨, 만니톨, 말티톨,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등의 당알코올, 콘스타치 등의 전분, 이산화 규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당알코올을 사용하면 본 발명의 효과가 더욱 양호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당알코올은 에리스리톨이다.
붕괴제로서는, 크로스카르멜로스, 크로스포비돈, 저 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결정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결합제로서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α화 전분 등을 들 수 있다.
스크랄로스 이외의 감미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술팜칼륨, 토마틴, 아스파르테임, 스테비아 등을 본원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안료로서는, 산화 아연, 이산화 티탄, 경구용 의약에 배합 가능한 각종 유색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그레이프후루츠 향료 이외의 임의의 향료는, 그레이프후루츠 향미와의 궁합이 좋은 향료를, 본원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료로서는, 페퍼민트, 스페아민트, 박하 등의 민트계 향료, 멘톨, 카르본 등을 들 수 있다.
활택제로서는,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5) 제형,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경구용 의약 조성물은, 정제, 입상제 등의 고형 제제, 액제, 젤리제 등으로 할 수가 있지만, 고형 제제가 바람직하다. 정제로서는, 츄어블정, 구강내 붕괴정, 구강내 용해정, 트로치제 등, 물 없이 복용하는 제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상제로서는, 의약의 분야에서 잘 알려진, 산제, 세립제, 과립제 등을 들 수 있다.
각 제제의 제조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상제는, 각 성분을 혼합하고 얻을 수 있고, 필요에 응하여 조립 입자를 사용하여도 좋다. 정제의 경우는, 각 성분(필요에 응하여 관용의 조립 입자를 사용하여도 좋다)을 혼합하고, 타정기로 타정하는 등, 공지의 방법을 적용하여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경구용 조성물을,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시험예 1>
표 1에 기재된 처방으로 각 성분을 칭량하고, 각 성분을 균일 분산하도록 교반 혼합하고, 전량 1000㎎의 경구용 제제(입상제)를 조제하였다.
상기 경구용 제제의 불쾌한 맛의 유무와 감미제의 감미의 뒷맛의 유무를, 훈련된 프레이버 기술자에 의해,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인후 자극의 유무
◎ : 인후 자극을 느끼지 않는다.
○ : 인후 자극을 약간 느낀다.
△ : 인후 자극을 강하게 느낀다.
× : 인후 자극을 매우 강하게 느낀다.
불쾌한 맛의 유무
◎ 불쾌한 맛을 느끼지 않는다.
○ 불쾌한 맛을 약간 느낀다.
△ 불쾌한 맛을 약간 강하게 느낀다.
× 불쾌한 맛을 강하게 느낀다.
감미의 뒷맛의 유무
◎ 감미의 뒷맛을 느끼지 않는다.
○ 감미의 뒷맛을 약간 느낀다.
△ 감미의 뒷맛을 약간 강하게 느낀다.
× 감미의 뒷맛을 강하게 느낀다.
샘플 No 1-1 1-2
이부프로펜 12 12
스크랄로스 1.2 1.2
그레이프후르츠 향료입자(*1) 0.4 0
부형제(결정셀룰로오스:D-만니톨:유당=1:2:2) 잔부 잔부
100 100
인후자극
불쾌한 맛의 유무
감미의 뒷맛의 유무 ×
(*1) 상품명「분말향료 SY-1521」 시오노고료 주식회사제
「분말향료 SY-1521」 그레이프후루츠 향료(리모넨 84.0질량%, 누트카톤 0.245질량% 함유) 25질량% AI
<시험예 2>
표 2에 기재한 처방의 정제를 제조하고, 불쾌한 맛의 유무와 감미제의 감미의 뒷맛의 유무를 시험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샘플 No 2-1 2-2 2-3
이부프로펜 65 65 65
아세토아미노펜 65 65 65
카페인 40 40 40
아릴이소프로필아세틸요소 30 30 30
스크랄로스 3.4
아세술팜칼륨 10.2
그레이프후루츠 향료입자 (*1) 1.12 1.12 1.12
유당 잔부 잔부 잔부
에리스리톨 15 15 15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35 35 35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6 6 6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 1 1
계(mg/정) 280 280 280
인후자극 × ×
불쾌한 맛의 유무 ×
감미의 뒷맛 유무
(*1) 상품명「분말향료 SY-1521」 시오노고료 주식회사제
「분말향료 SY-1521」 그레이프후루츠 향료(리모넨 84.0질량%, 누트카톤 0.245질량% 함유) 25질량% AI
<시험예 3>
표 3, 4에 기재한 처방의 입상제를 제조하고, 불쾌한 맛의 유무와 감미의 뒷맛의 유무를, 시험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샘플 No 3-1 3-2
이부프로펜 150 150
무수카페인 25 25
d1-염산메틸에페드린 20 20
인산 디히드로코데인 7 7
말레인산 클로르페니라민 2.5 2.5
비타민B1 7 7
비타민C 170 170
스크랄로스 12
아세술팜칼륨 36
그레이프후루츠 향료입자 (*1) 4 4
유당 잔부 잔부
만니톨 130 130
에리스리톨 170 170
결정 셀룰로오스 150 150
이산화 규소 10 10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70 70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0 50
계(mg/포) 1000 1000
인후자극 ×
불쾌한 맛의 유무
감미의 뒷맛 유무
(*1) 상품명「분말향료 SY-1521」 시오노고료 주식회사제
「분말향료 SY-1521」 그레이프후루츠 향료(리모넨 84.0질량%, 누트카톤 0.245질량% 함유) 25질량% AI
Figure 112010039911143-pat00001

Claims (7)

  1. 이부프로펜, 스크랄로스 및 그레이프후루츠 향료를 함유하는 경구용 의약 조성물로서, 상기 스크랄로스와 상기 그레이프후루츠 향료의 질량비(스크랄로스/그레이프후루츠 향료)가, 1/0.01 내지 1/0.5이고, 또한, 상기 이부프로펜과 상기 스크랄로스의 질량비(이부프로펜/스크랄로스)가, 1/0.01 내지 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의약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부프로펜과, 상기 스크랄로스와, 상기 그레이프후루츠 향료와의 질량비(이부프로펜/스크랄로스/그레이프후루츠 향료)가 1/0.1/0.01 내지 1/0.5/0.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의약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부프로펜의 함유량이 조성물 중 5 내지 80질량%, 상기 스크랄로스의 함유량이 조성물 중 0.01 내지 10질량%, 상기 그레이프후루츠 향료의 함유량이 조성물 중 0.01 내지 2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의약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또한, 당알코올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의약 조성물.
  7. 제 1항에 기재된 경구용 의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제, 구강내 붕괴정 또는 트로치제.
KR1020100058912A 2009-06-29 2010-06-22 경구용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1683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53729 2009-06-29
JP2009153729 2009-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900A KR20110001900A (ko) 2011-01-06
KR101683293B1 true KR101683293B1 (ko) 2016-12-06

Family

ID=4361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912A Expired - Fee Related KR101683293B1 (ko) 2009-06-29 2010-06-22 경구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577168B2 (ko)
KR (1) KR1016832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1644B2 (ja) * 2012-11-09 2017-11-01 大正製薬株式会社 経口用組成物
RU2675231C2 (ru) * 2013-08-08 2018-12-18 Орахэлс Корп. Снижение рефлюкса во время сна посредством стимуляции слюны с помощью прилипающих пастилок
HUE063849T2 (hu) 2015-12-28 2024-02-28 Ssp Co Ltd Japan Tömörített gyógyszerészeti készítmény
JP7214331B2 (ja) * 2016-12-28 2023-01-30 小林製薬株式会社 医薬組成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6639A (ja) 1999-10-04 2001-04-17 Taisho Pharmaceut Co Ltd 経口用組成物
JP2005530822A (ja) 2002-06-17 2005-10-13 ターロ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ユーエスエ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イブプロフェン懸濁液
JP2006124289A (ja) 2004-10-27 2006-05-18 Kowa Co 新規な口腔内溶解用固形製剤
WO2008037555A1 (de) * 2006-09-26 2008-04-03 Losan Pharma Gmbh Ibuprofen-brausezuberξitung mit hoher lösungsgeschwindigkeit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4288A (ja) * 2004-10-27 2006-05-18 Kowa Co 新規口腔内溶解用固形製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6639A (ja) 1999-10-04 2001-04-17 Taisho Pharmaceut Co Ltd 経口用組成物
JP2005530822A (ja) 2002-06-17 2005-10-13 ターロ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ユーエスエ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イブプロフェン懸濁液
JP2006124289A (ja) 2004-10-27 2006-05-18 Kowa Co 新規な口腔内溶解用固形製剤
WO2008037555A1 (de) * 2006-09-26 2008-04-03 Losan Pharma Gmbh Ibuprofen-brausezuberξitung mit hoher lösungsgeschwindigkeit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900A (ko) 2011-01-06
JP5577168B2 (ja) 2014-08-20
JP2011026310A (ja)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84570C2 (ru) Препараты для орального введения
CN100455287C (zh) 配方
AU715367B2 (en) Oral formulations of S(+)-ibuprofen
Renu et al. Chewable tablets: a comprehensive review
US20110014132A1 (en) Solid effervescent mixture for the oral absorption
KR101551506B1 (ko) 레바미피드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KR20090113777A (ko) 불쾌한 맛을 은폐한 경구 조성물
US5958445A (en) Oral Formulations of S(+)-etodolac
WO2002002080A1 (en) Rapid-melt semi-solid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same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2018385B1 (ko) 구강내 붕괴정 및 그 제조 방법
KR101400064B1 (ko) 건식 직타 속붕괴성 정제
JP5158318B2 (ja) 口腔内崩壊錠
JP2010270019A (ja) 固形内服薬組成物
WO2012029913A1 (ja) 経口剤
JP2000212094A (ja) 口腔用製剤
EP3836897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guaifenesin and eriodictyol
KR101683293B1 (ko) 경구용 조성물
JP5337430B2 (ja) 口腔内速崩壊錠
US20210022998A1 (en) Bilayer Adhering Lozenge Effective To Mask Undesirable Flavor
JP2004269513A (ja) 固形製剤
EP1017363B1 (en) Taste masking for unpalatable formulations
KR101352689B1 (ko) 불연속상과 연속상으로 이루어지는 응집단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그래뉼 제형
KR102047503B1 (ko) 경도 및 청량감이 우수한 구강 붕해정
VARSHNEY et al. Fast dissolving tablet: An Opportunity for treatment of Epilepsy.
RU2842242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в виде жевательной таблетки диосмина или флавоноидной фрак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2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6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0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