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2186B1 - 웨어러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186B1
KR101682186B1 KR1020150113343A KR20150113343A KR101682186B1 KR 101682186 B1 KR101682186 B1 KR 101682186B1 KR 1020150113343 A KR1020150113343 A KR 1020150113343A KR 20150113343 A KR20150113343 A KR 20150113343A KR 101682186 B1 KR101682186 B1 KR 101682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bound
user
sensor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희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에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에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에스랩
Priority to KR1020150113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1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가 구비된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센서부, 저장부, 통신부 및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가 탈착되는 장착부, 인체의 손목 또는 발목에 결속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가 결속된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따라 상기 본체가 결속된 위치에 따라 상기 센서부에 포하된 다수의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목과 발목에 결속시키기 위한 스트랩을 별도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이동시켜 결속할 수 있으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정확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인체에 결속되어 사용자에 필요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동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음성이나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과 함께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이다. 이러한 이동단말기는 최근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용 컴퓨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발전하여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장치로 구현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함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안경이나 시계, 의복과 같이 인체에 착용할 수 있는 컴퓨터를 의미한다. 그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언제 어디서나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착용이 편리하고 안전한 특성 등이 요구된다.
최근에 출시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주로 스마트 와치와 같이, 시계의 형태로 출시되고 있지만, 손목에 착용하는 형태로 주로 출시되고 있다. 그 외에도 머리나 발목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출시되는 경우도 있는데, 착용하는 위치에 따라 사용하는 기능이 서로 다르다. 즉, 손목에 착용하는 밴드형의 경우, 심박수, 혈압, 피부온도 측정, 자외선 지수,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발목에 착용하는 경우, 걸음 수, 달리 거리, 사이클링 등의 활동량을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손목이나 발목 중 어디에 결속되었는지에 따라 측정되는 정보의 정확성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손목에 결속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계단을 오르거나 사이클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상체 움직임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활동량을 측정할 수 없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발목에 결속된 경우 대체로 옷 등에 가려지기 때문에 자외선 양을 측정하거나 온도/습도의 측정이 정확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66253(2015.06.1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하나는, 신체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되는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고, 사용이 편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가 구비된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센서부, 저장부, 통신부 및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가 탈착되는 장착부, 인체의 손목 또는 발목에 결속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가 결속된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따라 상기 본체가 결속된 위치에 따라 상기 센서부에 포함된 다수의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이로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가 결속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심박수, 혈압, 피부온도, 자외선 지수, 온/습도 및 활동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결속 위치에 따라 상기 센서부에 포함된 다수의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손목에 결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활동량, 심박수, 혈압 및 피부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와 자외선 지수 및 온/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발목에 결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활동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모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수면상태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본체를 수면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는 근접센서 또는/및 피부온도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센서 또는/및 피부온도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가 사용자에게 결속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본체가 사용자에게 결속되어 있을 때만 상기 본체를 수면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장치는 전송된 정보를 시각화 또는 다이어리 형식으로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목과 발목에 결속시키기 위한 스트랩을 별도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이동시켜 결속할 수 있으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정확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웨어러브 디바이스의 결속위치를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손목과 발목 중 어느 곳에 결속되었는지를 측정할 수 있어, 편리하게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이로센서에서 손목 또는 발목에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장착된 것을 측정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라이프 로그를 시각화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본체(110), 제1 스트랩(120a) 및 제2 스트랩(120b)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의 각종 동작을 위한 센서들이 설치되며, 다수의 전자부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체(110)는, 하우징(110a), 센서부(111), 저장부(113), 전원부(115), 제어부(CR), 통신부(117), 제1 단자부(1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a)은 본체(110)의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로 제1 단자부(119) 및 각종 센서 등이 노출될 수 있다.
센서부(111)는 각종 센서들을 포함하고, 자이로센서, 위치센서, 가속도센서, 근접센서, 온도센서, 조도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센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센서부(111)에서 각종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정보는 저장부(113)나 통신부(117)로 전송되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의 제어를 위한 정보로 이용되거나 통신부(117)를 통해 외부 장치(일례로, 스마트폰 등)로 전송될 수 있다.
저장부(113)는 센서부(111)에서 측정된 정보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저장부(113)는 플래시 메모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전원부(115)는 본체(1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며, 배터리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는 외부의 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는 충전용 전지가 이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1회용 전지가 이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CR)는 센서부(111)에서 측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본체(11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센서부(111)에 포함된 각종 센서들의 동작을 활성화시키거나 중지시킬 수 있다.
통신부(117)는 센서부(111)에서 측정된 정보를 스마트폰이나 서버 등의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통신부(117)는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802.xx 등의 통신이나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외에도 통신부(117)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제1 단자부(119)는 하우징(110a)의 외부에 노출되며, 노출된 제1 단자부(119)를 통해 제1 및 제2 스트랩(120a, 120b)으로 센서부(111)에서 측정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또는 외부 전원과 접속되어 전원부(115)에 외부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제1 스트랩(120a) 및 제2 스트랩(120b)은 각각 본체(110)가 장착될 수 장착부(125a, 125b)와 인체에 결속시키기 위한 밴드부(127a, 127b)를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1) 및 제2 단자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125a, 125b)는 본체(110)가 장착될 수 있도록 밴드부(127a, 127b)에 형성되며, 밴드부(127a, 127b)에서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의 형태로 밴드부(127a, 127b)에 형성될 수도 있다.
밴드부(127a, 127b)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를 인체에 결속시키기 위해 구비되며, 제1 스트랩(120a)의 밴드부(127a)와 제2 스트랩(120b)의 밴드부(127b)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트랩(120a)의 밴드부(127a)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를 인체의 손목에 결속시키기 위한 것이고, 제2 스트랩(120b)의 밴드부(127b)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를 인체의 발목에 결속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제1 스트랩(120a)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장착부(125a)에 본체(110)가 장착되면서 본체(110)의 제1 단자부(119)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 단자부(123)가 장착부(125a)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단자부(123)는 본체(110)에서 정보 등이 전송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본체(110)에서 전송된 정보는 밴드부(127a)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스트랩(120a, 120b)에 각각 또는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스트랩(120a, 120b)이 아닌 본체(1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스트랩(120a, 120b)에 디스플레이부(121)가 형성됨에 따라 본체(110)와 제1 및 제2 스트랩(120a, 120b)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인체의 손목과 발목은 굵기와 형상이 다르다. 그에 따라 제2 스트랩(120b)의 밴드부(127b) 길이가 제1 스트랩(120a)의 밴드부(127a)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손목과 발목의 움직임도 서로 다르기 때문에 그 움직임에 따른 차이도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하나의 본체(110)와 두 개의 스트랩을 이용하여 손목이나 발목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0)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손목과 발목의 위치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정보의 정확성이 차이가 있기 때문에 손목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0)가 결속되었을 때와 발목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0)가 결속되었을 때 센서부(111)가 측정하는 정보는 차이가 있을 필요가 있다.
즉, 만일, 웨어러블 디바이스(10)가 결속된 위치에 상관없이 모든 정보를 측정하면 결속위치 차이에 따른 측정 값 차이로 인해 사용자는 어떤 정보가 정확한 정보인지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런 부정확한 정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측정하는 것은 초소형 장치인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불필요한 전력을 낭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가 결속된 위치에 따라 센서부(111)에 포함된 다수의 센서 중 필요한 센서만 활성화하여 해당 센서들에서 측정된 정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어부(CR)는 센서부(111)에서 1차로 측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가 결속된 위치를 파악한다. 이때, 1차로 측정된 정보는, 후술할 것이나, 자이로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웨어러블 디바이스(10)의 결속 위치가 파악되면, 제어부(CR)는 손목 또는 발목 중 어느 곳에 결속되었는지에 따라 센서부(111)에 포함된 다수의 센서들 중 일부를 활성화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부(CR)는 본체(110)가 손목에 결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활동량, 심박수, 혈압 및 피부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와 자외선 지수 및 온/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CR)는 본체(110)가 발목에 결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활동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손목 또는 발목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0)가 장착되었을 때 자이로센서에서 측정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가 손목에 착용되었을 때 자이로센서에서 측정된 값과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가 발목에 착용되었을 때 자이로센서에서 측정된 값에 분명한 차이가 있다. 그에 따라 자이로센서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제어부(CR)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가 결속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111)에는 모션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모션센서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수면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CR)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의 움직임이 10분 이상 없으면 사용자가 수면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를 수면모드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면모드 상태에서 5분이상 지속적인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부(CR)는 수면모드를 종료한다.
이때,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움직임이 10분 이상 없더라도, 센서부(111)에 포함된 근접센서와 피부온도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가 신체에 결속되어 있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CR)는 근접센서나 피부온도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가 인체에 결속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인체에 결속되지 않은 경우에는 수면모드가 활성화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측정된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와 연동된 스마트폰에만 전송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연동된 스마트폰으로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에서만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스마트폰을 통해 웹서버로 해당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브랜드와 상관없이 표준화된 웹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측정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추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0)나 스마트폰을 다른 제품으로 교체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축적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모니터링된 정보는 걸음수, 심박수, 소모 칼로리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웹서버를 통해 과거 축적된 데이터들을 다양한 시간 단위로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측정된 각종 정보가 웹서버로 전송되면 웹서버에서 전송된 각종 정보를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시각화 및 감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와 연동된 웹서버는 전송된 정보 중 현재 위치 등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됨에 따른 위치정보를 지도에 매핑하여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형태의 라이프 로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통화 및 SMS 사용에 따라 제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셜 릴레이션(social relation)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데이터를 일기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스마트 다이어리 서비스도 제공될 수 있다. 스마트 다이어리는 사용자가 자신이 24시간동안 이동한 거리, 이동 방식, 소모 칼로리, 시간에 따른 온/습도, 피부온도, 자외선 지수,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심박수 등을 자동으로 일기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누적을 통한 사용자의 모든 생활을 다이어리화할 수 있고, 이를 웹서버를 통해 시각화된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모션센서 등에서 측정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운전, 걷기, 앉기, 게임하기 등을 추론할 수 있으며, SNS나 게임 등의 기록 관리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 사회활동이나 개인적 관심사 등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전화나 SMS 사용 기록 관리를 통해 사용자의 소셜 그룹 관리가 가능하고, 웹서버 사용 기록 관리를 통해 개인환경이나 관심주제 변화 등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다이어리를 통한 예시 문장은 다음과 같다.
예시)
- 2015년 7월 1일
당신은 06:35분에 기상을 하였으며, 10분(08:00~08:10) 동안 A길의 a건물부터 b건물까지 걸어서 이동했고 50분(08:10~09:00)동안 운전하여 이동 했다
?(중략)
당신은 총 51분 동안 음악 감상 Application을 이용했고 22분 동안 게임 Application을 이용 하였다.
?(중략)
당신은 12:00에 수면을 시작하였다. 하루 총 활동량은 9000/150 걸음(평균 심박 수 : 70)/달리기(평균 심박 수 : 90), 활동에 의한 총 소모 칼로리는 1000칼로리이다.
여기서, 밑줄친 부분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에서 측정된 정보이며, 다른 부분은 스마트 다이어리를 통해 구조화된 문장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본체 110a: 하우징
111: 센서부 113: 저장부
115: 전원부 117: 통신부
119: 제1 단자부 120a: 제1 스트랩
120b: 제2 스트랩 121: 디스플레이부
123: 제2 단자부 125a, 125b: 장착부
127a, 127b: 밴드부 CR: 제어부

Claims (9)

  1.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가 구비된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센서부, 저장부, 통신부 및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가 탈착되는 장착부, 인체의 손목 또는 발목에 결속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가 결속된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에 따라 상기 본체가 결속된 위치에 따라 상기 센서부에 포함된 다수의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모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수면상태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본체를 수면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센서부는 근접센서 또는/및 피부온도 측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센서 또는/및 피부온도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가 사용자에게 결속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본체가 사용자에게 결속되어 있을 때만 상기 본체를 수면모드로 전환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이로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가 결속된 위치를 판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심박수, 혈압, 피부온도, 자외선 지수, 온/습도 및 활동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결속 위치에 따라 상기 센서부에 포함된 다수의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활성화시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손목에 결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혈압 및 피부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와 자외선 지수 및 온/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가 발목에 결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활동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전송된 정보를 시각화 또는 다이어리 형식으로 가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0150113343A 2015-08-11 2015-08-11 웨어러블 디바이스 Active KR101682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343A KR101682186B1 (ko) 2015-08-11 2015-08-11 웨어러블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343A KR101682186B1 (ko) 2015-08-11 2015-08-11 웨어러블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186B1 true KR101682186B1 (ko) 2016-12-02

Family

ID=5757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343A Active KR101682186B1 (ko) 2015-08-11 2015-08-11 웨어러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1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976B1 (ko) 2016-12-05 2017-12-11 박재홍 웨어러블 제어 장치
KR20190037031A (ko) * 2017-09-28 2019-04-05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융복합 센서기반 듀얼 모드 웨어러블 디바이스 동작방법
WO2021169636A1 (zh) * 2020-02-27 2021-09-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穿戴设备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KR20230136346A (ko) * 2022-03-18 2023-09-26 권도형 웨어러블형 유해 환경 감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8341A (ko) * 2010-12-31 2012-07-10 주식회사 맥스포 휴대용 신체 모니터링 시스템
KR20150029452A (ko) * 2013-09-10 2015-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66253A (ko) 2013-12-06 201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와치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8341A (ko) * 2010-12-31 2012-07-10 주식회사 맥스포 휴대용 신체 모니터링 시스템
KR20150029452A (ko) * 2013-09-10 2015-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66253A (ko) 2013-12-06 201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와치 및 제어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976B1 (ko) 2016-12-05 2017-12-11 박재홍 웨어러블 제어 장치
WO2018105903A1 (ko) * 2016-12-05 2018-06-14 박재홍 웨어러블 컨트롤러
KR20190037031A (ko) * 2017-09-28 2019-04-05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융복합 센서기반 듀얼 모드 웨어러블 디바이스 동작방법
KR102034350B1 (ko) * 2017-09-28 2019-11-08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융복합 센서기반 듀얼 모드 웨어러블 디바이스 동작방법
WO2021169636A1 (zh) * 2020-02-27 2021-09-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穿戴设备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KR20230136346A (ko) * 2022-03-18 2023-09-26 권도형 웨어러블형 유해 환경 감지장치
KR102743171B1 (ko) * 2022-03-18 2024-12-16 권도형 웨어러블형 유해 환경 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02341B2 (en) Portable monitoring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CN106462665B (zh) 可穿戴电子设备以及估计生活方式度量的方法
KR101763151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의 센서 제어 방법
CN110060755B (zh) 具有运动功能的可佩戴装置组件
KR10168218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US10413218B2 (en) Wristband-type arm movement determination device and wristband-type activity tracker
WO2012078718A1 (en)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system
JP2016533256A (ja) フィットネスモニター
KR20130111569A (ko) 운동 기능을 가지는 착용가능한 장치 조립체
ITBO20100310A1 (it) Sistema per monitorare l'attivita' fisica di un utente, supporto portatile di monitoraggio e metodo di monitoraggio.
JP2009148338A (ja) 携帯機器、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WO2015041302A1 (ja) 活動量計、活動量計測装置、携帯端末、情報共有支援装置、活動量計測装置、情報共有システム、活動支援装置、及び、活動支援システム
KR101369552B1 (ko) 스트레치 센서가 내장된 기능성 의류
CN104063272A (zh) 便携终端、便携终端的数据管理方法
JP6365031B2 (ja) 活動量測定装置、活動量の測定方法、活動量の測定プログラム
CN104516844B (zh) 为显示设备产生实时活动数据更新的方法、系统和设备
KR20160003014U (ko) 체온 측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체온 측정 시스템
KR101179997B1 (ko) 휴대용 신체 모니터링 시스템
CN203369894U (zh) 一种远程生命体征测量装置及系统
KR102034350B1 (ko) 멀티 융복합 센서기반 듀얼 모드 웨어러블 디바이스 동작방법
TW201617020A (zh) 活動量計及事件資訊記錄系統
CN113884101B (zh) 一种可穿戴设备的计步方法、可穿戴设备及介质
CN104000330A (zh) 一种智能腰带
US20180021658A1 (en) Exercise information measurement apparatus, exercise management method, and exercise management program
KR102054586B1 (ko) 미세먼지센서를 포함하는 멀티 융복합 센서기반 듀얼 모드 웨어러블 디바이스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