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1828B1 - 라이타 점화세트 - Google Patents

라이타 점화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828B1
KR101681828B1 KR1020150062448A KR20150062448A KR101681828B1 KR 101681828 B1 KR101681828 B1 KR 101681828B1 KR 1020150062448 A KR1020150062448 A KR 1020150062448A KR 20150062448 A KR20150062448 A KR 20150062448A KR 101681828 B1 KR101681828 B1 KR 101681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element
spring
hammer
spark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0559A (ko
Inventor
김병한
Original Assignee
김병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한 filed Critical 김병한
Priority to KR1020150062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828B1/ko
Publication of KR20160130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82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23Q3/002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using piezoelectric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23Q3/01Hand-held lighters, e.g. for cigaret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를 발생하기 위한 압전 소자와, 압전소자의 상부 외측을 둘러싸는 둥근 형상으로 내부의 압전소자를 보호하면서 통전할 수 있는 금속재질로 제작된 압전 캡과, 압전 캡과 합성수지재질로 일체로 성형 제작되어 내부에 압전소자가 장착되도록 설계 제작된 압전 소자 케이스와, 압전 소자 케이스에 위치하여 점화시 전기를 발생하는 압전소자와, 압전 소자 케이스와 결합되며 충격 스프링이 내부 장착되는 하부 외측 케이스와, 충격 스프링과 결합되어 점화 시 압전 소자에 충격을 주는 해머와, 점화 시 누름 버튼으로 압력을 가하여 압전소자에 충격을 주어 스파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충격 스프링과, 해머의 상부에 위치하며 점화 후 원위치 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 및 스파크 유도를 위한 점화용 스프링으로 구성된 조립 및 구조가 간단한 라이타의 점화장치 및 점화세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라이타 점화세트{Ignition set of lighter}
본 발명은 전기를 발생하기 위한 압전 소자와, 압전소자의 상부 외측을 둘러싸는 둥근 형상으로 내부의 압전소자를 보호하면서 통전할 수 있는 금속재질로 제작된 압전 캡과, 압전 캡과 합성수지재질로 일체로 성형 제작되어 내부에 압전소자가 장착되도록 설계 제작된 압전 소자 케이스와, 압전 소자 케이스에 위치하여 점화시 전기를 발생하는 압전소자와, 압전 소자 케이스와 결합되며 충격 스프링이 내부 장착되는 하부 외측 케이스와, 충격 스프링과 결합되어 점화 시 압전 소자에 충격을 주는 해머와, 점화 시 누름 버튼으로 압력을 가하여 압전소자에 충격을 주어 스파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충격 스프링과, 해머의 상부에 위치하며 점화 후 원위치 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 및 스파크 유도를 위한 점화용 스프링으로 구성된 조립 및 구조가 간단한 라이타의 점화장치 및 점화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라이타에 사용되는 압전소자를 이용한 점화장치의 경우에는 소형의 라이타를 원하는 소비자의 요구와는 달리 다소 크고 조립 제작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라이타의 점화장치는 압전소자가 하부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압전소자 양단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스파크를 생성하기 위하여 일정 길이를 가진 신호선을 이용하여 라이타의 가스 분출 위치까지 끌어와 고정시키는 기술적 구성으로 조립 시간과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17910호에 개시된 기술적 구성은 점화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비교적 큰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2762호에 라이타에 채용되는 압전점화기구에 대한 기술적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여 조립시간이 오래 걸리고 설치공간이 비교적 큰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압전소자를 이용한 점화장치에도 압력에 의하여 전기를 생성하기 위하여 점화 시 순간적으로 압전소자에 충격을 가하고 복귀하는 기술적 구성은 널리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에도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으로 채용하고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은 생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압전소자를 타격하는 해머를 위로 밀어올려 압전소자에 충격을 주어 전기를 발생하는 충격 스프링이 장착되는 하부의 외측케이스와, 압전소자, 해머, 복귀 스프링 및 스파크용 금속핀이 위치하는 상부 소자 케이스가 서로 체결되어 결합하되, 하부 외측 케이스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체결되는 전자 라이타의 점화기구를 제공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라이타의 점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하부의 외측케이스가 상부 소자 케이스 속으로 누름 버튼을 누를 때마다 상하 운동을 하도록 체결 제작되어 있으며,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고, 부품을 지지하는 케이스의 형상 및 크기를 최소ㆍ최적화함으로써 제작의 균일성과 부품의 균일성을 높이고 설치공간을 감소시킨 라이타의 점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압전소자 부분을 상부를 이동시키고, 압전 캡과 체결되는 누름 버튼에는 점화용 스프링이 삽입 체결되어, 압전소자의 양단에서 유기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스파크용 금속핀을 상부 소자 케이스의 중간 부분에 고정시켜 성형 제작하여 제품의 균일성을 높이고 라이타의 점화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는데 있다.
본 발명 과제의 해결 수단은 전기를 발생하기 위한 압전 소자와, 압전소자의 상부 외측을 둘러싸는 둥근 형상으로 내부의 압전소자를 보호하면서 통전할 수 있는 금속재질로 제작된 압전 캡과, 압전 캡, 압전소자 및 스파크용 금속핀과 합성수지재질로 일체로 성형 제작된 압전 소자 케이스와, 압전 소자 케이스에 위치하여 점화시 전기를 발생하는 압전소자와, 압전 소자 케이스와 결합되며, 충격 스프링이 내부 장착되는 하부 외측 케이스와, 충격 스프링과 결합되어 점화 시 압전 소자에 충격을 주는 해머와, 점화시 해머에 압력을 가하여 압전소자에 충격을 주어 스파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충격 스프링과, 해머의 상부에 위치하며 점화 후 원위치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 및 스파크용 스프링1, 2로 구성된 조립 및 구조가 간단한 라이타의 점화장치 및 점화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은 라이타의 상단에 위치하는 통상의 누름 버튼의 하부에 압전 캡이 위치하며, 누름 버튼의 중앙에는 금속재질의 가느다란 스파크용 제1 스프링이 삽입 체결되어 있으며, 금속재질의 스파크용 제1 스프링은 누름버튼을 누르는 힘에 의하여 아래로 이동함과 동시에 압전소자에서 발생된 전기에 의하여 가스 노즐에 위치하는 가느다란 스파크용 제2 스프링과 용이하게 스파크를 발생시켜 노즐을 통해 분출되는 가스에 의하여 점화하도록 구성된 조립 및 구조가 간단한 라이타의 점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충격스프링과 복귀스프링은 압전소자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해머를 사이에 두고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며, 하부에 위치하는 충격 스프링은 누름 버튼을 누르고 놓는 순간 충격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압전소자에 충격을 주어 전기를 발생시켜 점화를 유도하고, 상부에 위치하는 복귀스프링은 충격 스프링의 탄성으로 압전소자에 충격을 준 후, 해머와 누름 버튼을 원위치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이 위치하도록 구성된 조립 및 구조가 간단한 라이타의 점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충격스프링은 하부 외측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복귀스프링은 해머에 형성된 걸림 돌출부와 압전 소자의 하부에 형성된 볼록부에 삽입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압전 소자 케이스의 주앙 부분에는 압전 소자에서 발생하는 전기로 스파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스파크용 금속핀이 설치되며, 누름 버튼을 누르면 상기 하부 외측 케이스는 충격 스프링에 의하여 압전 소자 케이스의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조립 및 구조가 간단한 점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압전소자를 타격하는 해머를 위로 밀어올려 압전소자에 충격을 주어 전기를 발생하는 충격 스프링이 장착되는 하부의 외측케이스와, 압전소자, 해머, 복귀 스프링 및 스파크용 금속핀이 위치하는 상부 소자 케이스가 서로 체결되어 결합하되, 하부 외측 케이스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체결되는 전자 라이타의 점화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의 외측케이스가 상부 소자 케이스 속으로 누름 버튼을 누를 때마다 상하 운동을 하도록 체결 제작되어 있으며,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고, 부품을 지지하는 케이스의 형상 및 크기를 최소ㆍ최적화함으로써 제작의 균일성과 부품의 균일성을 높이고 설치공간을 감소시키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압전소자 부분을 상부를 이동시키고, 압전소자의 양단에서 유기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스파크용 금속 핀을 상부 소자 케이스의 중간 부분에 고정시켜 성형 제작하여 제품의 균일성을 높이고 점화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점화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타의 점화장치 및 점화세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타의 점화장치 및 점화세트의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점화시 해머의 걸림 돌출부의 이동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타의 점화장치와 스파크용 제1 및 제2 스프링이 체결 조립된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타의 점화장치는 라이타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누름 버튼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금속재질로 제작된 압전 캡과, 압전소자에서 발생하는 전기로 가스 노즐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점화를 위한 스파크를 발생하기 위한 스파크용 금속핀과 및 전기를 발생하는 압전 소자를 외측에 합성수지재질로 일체로 성형 제작하되, 외측에 위치하는 압전 소자 케이스에는 해머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 돌출부가 위치하는 걸림홈과 충격 스프링에 의하여 설정된 압력을 받을 경우에 해머가 상부로 설정된 거리만큼 순간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걸림 돌출부의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머를 기준으로 상부에는 복귀 스프링이 위치하고, 하부에는 충격 스프링이 위치하며, 충격 스프링은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외측 케이스 내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외측 케이스는 상기 압전 소자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는 구조이고, 일정 길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전기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누름버튼에 의하여 해머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전기를 발생하는 구조나 원리는 종래의 전자 라이타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구조 또는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살펴본다.
<실시 예>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은 라이타의 점화장치 및 점화세트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타의 점화장치 및 점화세트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타의 점화장치 및 점화세트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점화시 해머의 걸림 돌출부의 이동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화장치의 상부는 압전캡, 압전소자 및 스파크용 금속핀이 합성수지재질로 금형틀에 의하여 성형 제작되며, 이하 성형 제작된 외측부분을 '압전 소자 케이스(도2의 13)'라 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압전캡(도2의 15)은 압전 소자 케이스(도2의 13)와 결합되어 압전소자 상부 외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화장치(도2의 11)의 하부는 하부 외측 케이스(도2의 14)에 의하여 충격 스프링(도2의 22)을 내장하도록 성형 제작된다.
하부 외측 케이스(도2의 14)는 상기 압전 소자 케이스(도2의 13) 내부로 삽입 체결되도록 제작되며, 체결 시 점화를 위하여 누름 버튼(도3의 33)을 누를 경우에 설정된 압력을 초과할 때 해머가 충격 스프링(도2의 22)의 탄성에 의하여 압전소자(도2의 16)에 충격을 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타 점화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타의 점화장치(도2의 11)는 라이타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누름 버튼을 눌러서 압전소자(도2의 16)에 충격을 가할 때, 압전소자(도2의 16)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이용하여 가스에 불을 붙이는 장치이며, 점화를 위하여 압전소자(도2의 16) 양단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스파크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타의 점화세트는 압전소자(도2의 16) 부분과 누름버튼(도3의 33)을 체결하는 구조로 설계 변경하고, 누름 버튼에는 압전 캡과 접촉하여 스파크를 발생하도록 스파크용 제1 스프링(도3의 33)이 위치하고, 노즐에도 스파크용 제2 스프링(도3의 31)이 위치한다. 스파크용 제1 및 제2 스프링(도3의 31, 32)의 직경은 0.5㎜ 내지 2.5㎜ 사이가 바람직하며,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누름버튼(도3의 33)에는 스파크용 제1 스프링(도3의 32)을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 홈(구멍, 미도시)이 형성되어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파크용 제1 스프링(도3의 32)은 압전소자(도2의 16)의 상부에 위치하는 압전 캡(도2의15)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압전소자(도2의16)의 하부에는 금속재질의 금속핀(도2의12)이 스파크용 제2 스프링(도3의 31)을 향하여 외부로 다소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금속핀(도2의12)은 압전 소자 케이스(도2의13)의 중간부분의 합성수지재질로부터 0.5㎜ 내지 3㎜ 정도 돌출된다.
스파크용 제1 스프링(도3의 32)은 누름버튼이 하강할 때 함께 하강하여 가스 노즐 상에 위치하는 스파크용 제2 스프링(도3의 31)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져 전기에 의한 스파크가 용이하게 발생하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상기 스파크용 제1 및 제2 스프링(도3의 31, 32)은 모두 금속재질로 제작되어 압전소자(도2의 16)에 의하여 발생된 전기에 의한 스파크가 용이하게 발생되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압전소자(도2의 16)에서 발생되는 전기에 의한 스파크는 스파크용 제1 및 제2 스프링(도3의 31, 32)과 스파크용 금속핀(도2의 12)사이에서 발생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상하 좌우는 모두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이는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점화장치(도2의 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압전 소자(도2의 16)를 포함하는 전기 생성 부품과 관련된 구성들은 스파크용 금속핀, 압전 캡과 압전 소자 케이스를 견고한 합성수지재질로 일체형으로 성형 제작된다.
합성수지재질로 일체형으로 성형 제작된 압전 소자 케이스(도2의 13)의 하부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제작되고, 내부에는 압전 소자에 충격을 주기 위한 해머(도2의 19)와, 해머(도2의 19)와 압전소자(도2의 16)사이에 위치하여 전기 발생을 위하여 압전 소자(도2의 16)에 충격을 준 후 해머(도2의 19)를 탄성으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귀 스프링(도2의 18)이 위치한다.
점화장치의 하부는 압전 소자 케이스(도2의 13)의 하부와 체결되는 충격스프링(도2의 22)이 위치하는 하부의 외측 케이스(도2의 14)이며, 외측 케이스 역시 합성수지재질로 일체형으로 성형 제작된다.
하부의 외측 케이스(도2의 14)는 압전 소자 케이스(도2의 13)의 하부로 삽입 체결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설계 제작되어 있다.
하부의 외측 케이스(도2의 14) 내부에는 둥근 형상의 충격 스프링(도2의 22)이 위치하며, 충격 스프링(도2의 22)이 점화를 위하여 수축 및 팽창 시에도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정사각형 형상으로 충격스프링(도2의 22)의 직경에 맞추어서 제작된다.
상기 압전 소자 케이스(도2의 13)의 하부에는 해머(도2의 19)가 체결되고, 해머(도2의 19)의 상부에는 복귀 스프링(도2의 18)이 위치하며, 이 역시 복귀 스프링(도2의 18)의 직경에 맞추어서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여 복귀 스프링(도2의 18)이 점화를 위하여 수축 및 팽창 시에도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해머(도2의 19)는 압전소자에 충격을 주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해머(도2의 19) 하부는 충격 스프링(도2의 22)이 삽입 체결되는 충격 스프링 체결부(도2의 21)를 가지고, 중간 부분에는 두 개의 걸림 돌출부(도2의 20)가 형성되어 있다. 양팔을 벌린 형상의 걸림 돌출부(도2의 20)는 직경이 0.5㎜ 내지 2㎜이고, 길이가 0.7㎜ 내지 2.5㎜사이가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 돌출부(도2의 20)는 압전 소자 케이스(도2의 13) 하부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걸림홈(도4의 41)에 체결되어 점화시 누름버튼(도3의 33)을 누를 경우에 충격스프링(도2의 22)의 압력에 의하여 걸림 돌출부(도2의 20)가 걸림홈(도4의 41)을 이탈하여 순간적으로 상부로 이동통로(도4의 42)를 따라 이동하면서 압전소자(도2의 16)에 충격을 가하고 복귀스프링(도2의 18)에 의하여 다시 걸림홈(도4의 41)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동통로(도4의 42)는 상부로 2㎜ 내지 7㎜ 형성되고, 폭은 걸림 돌출부의 직경을 고려하여 마찰을 심하지 않도록 조금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파크용 제1 스프링(도3의 32)은 누름버튼(도3의 33)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소정 길이의 구멍을 관통하여 삽입 체결되어 압전 캡(도2의 15)의 상부와 맞닿아 점화시 노즐에 위치하는 스파크용 제2 스프링(도3의 31)과 금속핀(도2의 12)사이에서 스파크를 발생시킨다.
금속핀(도2의 12)은 압전 소자 케이스(도2의 13)의 내부에 위치하는 압전소자 하부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전 소자 케이스의 중간부분을 관통하여 합성수지재질로부터 0.5㎜ 내지 5㎜ 정도 돌출되도록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점화장치의 크기는 압전 소자 케이스와 하부 외측 케이스가 결합된 상하 길이가 32㎜ 내지 38 ㎜이고, 압전 소자 케이스의 걸림홈이 형성된 면의 폭은 4㎜ 내지 7㎜ 사이이고, 걸림 홈이 형성되지 아니한 면의 최대폭은 5㎜ 내지 9㎜사이이다.
하부 외측 케이스의 폭은 3㎜ 내지 5㎜사이이다.
상기 기재된 수치는 라이타의 크기와 형상 변화에 따라 벗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타의 점화세트는 앞서 설명한 점화장치, 스파크용 제1 및 제2 스프링으로 스파크를 생성하여 가스 라이타의 점화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을 의미하며, 이러한 기술적 구성 역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전기를 발생하기 위한 압전 소자와, 압전소자의 상부 외측을 둘러싸는 둥근 형상으로 내부의 압전소자를 보호하면서 통전할 수 있는 금속재질로 제작된 압전 캡과, 압전 캡과 합성수지재질로 일체로 성형 제작되어 내부에 압전소자가 장착되도록 설계 제작된 압전 소자 케이스와, 압전 소자 케이스에 위치하여 점화시 전기를 발생하는 압전소자와, 압전 소자 케이스와 결합되며 충격 스프링이 내부 장착되는 하부 외측 케이스와, 충격 스프링과 결합되어 점화 시 압전 소자에 충격을 주는 해머와, 점화 시 누름 버튼으로 압력을 가하여 압전소자에 충격을 주어 스파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충격 스프링과, 해머의 상부에 위치하며 점화 후 원위치 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 및 스파크 유도를 위한 점화용 스프링으로 구성된 조립 및 구조가 간단한 라이타의 점화장치 및 점화세트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11; 점화장치 12; 스파크용 금속 핀
13; 압전 소자 케이스 14; 하부 외측 케이스
15; 압전 캡 16; 압전 소자
18;복귀 스프링
19; 헤머 20; 걸림 돌출부
21; 충격 스프링 삽입부 22; 충격 스프링
24; 체결부(압전소자 케이스와 체결)
31; 스파크용 제2 스프링
32; 스파크용 제1 스프링 33; 누름 버튼
41; 걸림홈 42; 이동통로
43; 복귀경로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라이타의 점화세트에 있어서,
    압전소자 케이스와 결합되어 압전소자 상부 외측에 위치하며, 누름 버튼 하부 내측에 체결되어 스파크용 제1 스프링과 접촉하는 압전 캡;
    압전 캡 및 압전소자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점화시 전기를 발생하는 압전소자;
    압전소자에 충격을 주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해머;
    해머의 상부와 압전소자사이에 위치하여 스프링의 탄성으로 해머를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도2의 18);
    해머의 하부에 위치하여 점화시 해머를 스프링의 탄성으로 순간적으로 밀어올려 압전소자에 충격을 가하여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충격스프링;
    상기 압전소자 하부와 연결되어 점화시 스파크 발생을 유도하기 위한 스파크용 금속 핀;
    누름 버튼에 위치하며, 상기 압전 캡의 상부와 맞닿아 스파크용 제2 스프링과 스파크를 생성하는 스파크용 제1 스프링; 및
    노즐에 위치하는 금속 재질의 스파크용 제2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압전소자, 스파크용 금속핀, 압전 캡 및 압전 소자 케이스를 일체형으로 제작하되,
    상기 압전소자 케이스(도2의 13)의 하부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제작되고, 내부에는 압전소자에 충격을 주기 위한 해머(도2의 19) 및 전기 발생을 위하여 압전소자(도2의 16)에 충격을 준 후 복귀하는 복귀 스프링(도2의 18)이 위치하며,
    상기 압전소자 케이스(도2의 13)의 하부와 체결되는 하부의 외측 케이스(도2의 14) 내부에는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해 압전소자에 충격을 주기 위해 해머(도2의 19)의 하부에 형성된 충격 스프링 체결부(도2의 21)에 충격스프링(도2의 22)이 체결되고,
    하부의 외측 케이스(도2의 14)는 압전소자 케이스(도2의 13) 하부의 내부로 삽입 체결되고, 충격스프링을 내부에 수용하며, 충격 스프링(도2의 22)이 탄성에 의하여 수축 및 팽창 시에도 변형되지 않도록 정사각형 형상으로 충격스프링(도2의 22)의 직경에 맞추어서 제작되며,
    압전소자 케이스(도2의 13) 하부의 서로 마주하는 양 면에는 걸림홈(도4의 4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도4의 41)에는 상기 해머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두 개의 걸림 돌출부(도2의 20)가 체결되며,
    스파크용 제1 스프링(도3의 32)은 누름 버튼 하강 시 누름 버튼과 함께 하강하여 스파크용 제2 스프링(도3의 31)에 근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파크용 제1 및 제2 스프링은 직경이 0.5㎜ 내지 2.5㎜ 사이이고, 도전성을 가진 금속 재질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타 점화세트.
  5. 삭제
  6. 삭제
KR1020150062448A 2015-05-04 2015-05-04 라이타 점화세트 Expired - Fee Related KR101681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448A KR101681828B1 (ko) 2015-05-04 2015-05-04 라이타 점화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448A KR101681828B1 (ko) 2015-05-04 2015-05-04 라이타 점화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559A KR20160130559A (ko) 2016-11-14
KR101681828B1 true KR101681828B1 (ko) 2016-12-02

Family

ID=5752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448A Expired - Fee Related KR101681828B1 (ko) 2015-05-04 2015-05-04 라이타 점화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82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69068B (en) * 1984-11-16 1989-04-12 Tdk Corp Piezoelectric gas-lighter
US6077070A (en) * 1997-09-02 2000-06-20 Bic Corporation Child resistant ligh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559A (ko) 2016-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3788B2 (ja) 高レベルの操作困難性を伴う圧電ライター
JP6873857B2 (ja) 並列回路を有する電気回路遮断装置
CN106992098B (zh) 挡弧式拍合式继电器
JPH0370914A (ja) ガスライターの圧電機構
US4315180A (en) High voltage piezoelectric generating device with lengthened spark time
KR101681828B1 (ko) 라이타 점화세트
KR20010031721A (ko)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한 피에조전기점화기구
EP3555528B1 (en) Flame producing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flame producing assembly
CN216902710U (zh) 具有烟火式激发装置的开关电器
JP6706190B2 (ja) ガス発生器
CN216902709U (zh) 具有烟火式激发装置的开关电器
JPH04281111A (ja) ガス状燃料を消費する器具用電子点火装置
US4153852A (en) Compact piezoelectric lighter for gas fixtures
CN201193830Y (zh) 点火装置的压电陶瓷总成
CN203869089U (zh) 一种电弧点烟器
US7397170B2 (en) Piezoelectric mechanism for generating discharge voltage
CN221505821U (zh) 用于烟花点火的击发装置
CN201096359Y (zh) 电子点火装置的压电陶瓷总成
JP3066986U (ja) 点火器用安全装置
CN210518262U (zh) 一种按压发声的磁性按键开关
KR200217911Y1 (ko) 라이터의 점화장치
CN201096361Y (zh) 点火装置的压电陶瓷总成
CN117848166A (zh) 用于烟花点火的击发装置
KR200386710Y1 (ko) 시거잭이 구비된 핸드폰 배터리
JP4009347B2 (ja) 高電圧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0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4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0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5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10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0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5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