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0920B1 -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망 접속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망 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920B1
KR101680920B1 KR1020120027121A KR20120027121A KR101680920B1 KR 101680920 B1 KR101680920 B1 KR 101680920B1 KR 1020120027121 A KR1020120027121 A KR 1020120027121A KR 20120027121 A KR20120027121 A KR 20120027121A KR 101680920 B1 KR101680920 B1 KR 101680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etting value
access network
address
data ser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5032A (ko
Inventor
최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027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920B1/ko
Publication of KR20130105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92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망 접속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망에 접속 가능하며, 접속된 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접속 가능한 각각의 망으로부터 IP(Internet Protocol)주소를 할당받아 저장하는 IP저장부; 각각의 데이터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하여 저장하는 설정값저장부; 실행하고자 하는 데이터서비스를 선택하는 서비스선택부; 서비스선택부를 통해 데이터서비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데이터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망 설정값을 판단하는 접속망판단부; 및 접속망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접속망 설정값에 대응하여 IP저장부로부터 IP주소를 선택하며, 선택된 IP주소를 해당 망으로 전달하여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망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망 접속방법{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망 접속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망에 접속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실행하고자 하는 데이터서비스의 특성 또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망을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데이터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망 접속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EV-DO(Evolution-Data Optimized),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3세대 이동통신기술뿐만 아니라,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세대 이동통신기술,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등과 같은 무선인터넷 기술 등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단순한 음성통화 서비스 이외에도 동영상 송수신 및 재생, 파일전송, 온라인게임 컨텐츠 실행 등의 다양한 데이터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데이터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3세대 이동통신망 또는 4세대 이동통신망에 접속하거나, 무선인터넷 망에 접속하여야만 한다.
일반적인 무선통신 단말기는 각각의 데이터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접속망 설정값을 디폴트(default) 값으로 저장하며, 그에 따라 실행되는 데이터서비스를 서비스 망에 접속시킨다.
그런데, 각각의 서비스 망에 따른 데이터서비스의 실행속도, 과금 등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데이터서비스의 이용에 대하여 고객의 불만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복수의 망에 접속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실행하고자 하는 데이터서비스의 특성 또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망을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데이터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망 접속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망에 접속 가능하며, 접속된 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접속 가능한 각각의 망으로부터 IP(Internet Protocol)주소를 할당받아 저장하는 IP저장부; 각각의 데이터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통화서비스를 포함하는 제1데이터서비스는 LTE(Long Term Evolution) 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제1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하고, 파일전송 서비스를 포함하는 제2데이터서비스는 와이파이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제2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하며, 채팅을 포함하는 제3데이터서비스는 LTE 망 또는 와이파이망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망을 선택하여 접속하도록 제3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하여 저장하는 설정값저장부; 실행하고자 하는 데이터서비스를 선택하는 서비스선택부; 서비스선택부를 통해 데이터서비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데이터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망 설정값을 판단하는 접속망판단부; 접속망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접속망 설정값에 대응하여 IP저장부로부터 IP주소를 선택하며, 선택된 IP주소를 해당 망으로 전달하여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망연결부; 및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망 설정값을 입력받는 설정값입력부;를 포함하며, 설정값저장부는 저장된 각각의 데이터서비스의 접속망 설정값에 대하여 변경값이 입력된 경우, 대응하는 접속망 설정값을 입력된 변경값으로 대체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전술한 무선통신 단말기는, 서비스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서비스의 접속망 설정값이 제3 접속망 설정값으로 지정된 경우, 일정범위 이내의 접속 가능한 망을 조회하는 망조회부; 및 망조회부에 의해 조회된 망에 대한 각각의 상태를 비교하는 망비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망연결부는 망비교부에 의해 비교된 결과에 따라 상태가 가장 좋은 망을 선택하며, 선택된 망에 따라 IP주소의 선택을 전환한다.
전술한 무선통신 단말기는, 무선인터넷망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망변경판단부; 무선인터넷망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새로 접속된 무선인터넷망으로부터 새로운 IP주소를 할당받는 IP주소할당부; 및 IP주소할당부를 통해 할당받은 새로운 IP주소로 기 저장된 무선인터넷망의 IP주소를 갱신하는 IP갱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망 접속방법은, 복수의 망에 접속 가능하며 접속된 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망 접속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데이터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통화서비스를 포함하는 제1데이터서비스는 LTE 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제1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하고, 파일전송 서비스를 포함하는 제2데이터서비스는 와이파이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제2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하며, 채팅을 포함하는 제3데이터서비스는 LTE 망 또는 와이파이망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망을 선택하여 접속하도록 제3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망 설정값의 변경값을 입력받는 단계; 접속 가능한 각각의 망으로부터 IP주소를 할당받아 IP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실행하고자 하는 데이터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 데이터서비스 선택단계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망 설정값을 판단하는 단계; 접속망판단단계에 의해 판단된 접속망 설정값에 대응하여 IP저장부로부터 IP주소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IP주소를 대응하는 망으로 전달하여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접속망 설정값 저장단계는 저장된 각각의 데이터서비스의 접속망 설정값에 대하여 변경값이 입력된 경우, 대응하는 접속망 설정값을 변경값으로 대체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전술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망 접속방법은, 데이터서비스선택단계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서비스의 접속망 설정값이 제3 접속망 설정값으로 지정된 경우, 일정범위 이내의 접속 가능한 망을 조회하는 단계; 망조회단계에 의해 조회된 망에 대한 각각의 상태를 비교하는 단계; 및 망비교단계에 의해 비교된 결과에 따라 상태가 가장 좋은 망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P주소 선택단계는 망 선택단계에 의해 선택된 망에 따라 IP주소의 선택을 전환한다.
전술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망 접속방법은, 접속 가능한 망 중 무선인터넷망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무선인터넷망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새로 접속된 무선인터넷망으로부터 새로운 IP주소를 할당받는 단계; 및 할당받은 새로운 IP주소로 기 저장된 무선인터넷망의 IP주소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망에 접속이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실행하고자 하는 데이터서비스의 특성 또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망을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최적의 데이터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주변의 망의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히 망을 전환하여 데이터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됨으로써, 무선통신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만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무선통신 단말기에 의한 망 접속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망 접속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망 접속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무선통신 단말기(100)는 EV-DO(Evolution-Data Optimized),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3세대 이동통신망이나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세대 이동통신망뿐만 아니라,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등과 같은 무선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으며, 접속된 망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데이터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EV-DO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무선데이터 통신기술로서, 각 사용자의 데이터 레이트(rate)와 전체 시스템 데이터 레이트 모두를 극대화하기 위해 시간분할 다중접속(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은 물론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을 포함한 다중화 기술을 이용한다. EV-DO는 CDMA2000 계열 규격의 일부분으로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2)에서 표준화하였고, 특히 이전에 CDMA 네트워크를 구축한 세계 여러 곳의 이동전화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채택되었다.
WCDMA는 UMTS라는 이름으로 3GPP에서 표준화되었다. WCDMA는 보다 빠른 속도와 2G GSM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시분할 다중접속보다 많은 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해 직접 시퀀스 코드분할 다중접속 신호처리방법을 이용하는 광대역 스프레드-스펙트럼 이동식 무선 인터페이스이다.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을 모태로 한 3세대 통신규약이기 때문에 비슷한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들도 존재하고, 이름만 다를 뿐 내부적으로는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는 부분들(예를 들면, NodeB - RNC와 BTS - BSC 간의 관계 등)도 많다.
LTE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보다 12배 이상 빠른 고속 무선데이터 패킷 통신 규격을 가르키는 말로서, 채널 대역폭은 1.25 ~ 20 MHz이며, 20 MHz 대역폭을 기준으로 하향링크의 최대 전송속도는 100 Mbps, 상향링크의 최대 전송속도는 50 Mbps이다. 무선 다중접속 및 다중화 방식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고속 패킷데이터 전송방식은 MIMO(Mulitple Input Multiple Output)를 기반으로 한다.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로서, IEEE 802.11 무선통신 표준에 입각한 제품임을 표시하는 일종의 상표명이다. 와이파이의 주된 목적은 정보를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고, 주변장치와 공존하여 호환성을 높이며,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 매체, 스트림에 무선접근을 사용하여 복잡함을 보이지 않게 하는 것이다. 와이파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접속할 수 있는 지점인 액세스포인트(AP: Access Point)가 필요하다.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는 무선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를 의미한다. 와이브로의 특징은 휴대폰, 스마트폰의 3G 통신망처럼 언제 어디서나 이동하면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론적으로 최대 전송속도는 10 Mbps, 최대 전송거리는 1 km이며, 시속 120 km/h로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와이브로의 평균적인 속도는 100 Mbps급 초고속 인터넷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스마프폰 등의 3G 통신망보다는 빠르다.
와이맥스(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휴대 인터넷의 기술표준을 목표로 하는 미국 인텔 사가 개발한 IEEE 802.16d 규격의 무선통신 기술이다. 전속속도는 빠르지만 사용반경이 좁다는 와이파이의 단점을 보완한 기술로, 이론적으로 장애물이 없는 지역에서는 전송거리가 약 45 km에 달한다. 전송속도는 최대 75 Mbps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약 5 ~ 10 Mbps정도이다. 다만, 와이브로와는 달리 한 기지국에서 다른 기지국으로 이동할 때 지속적인 네트워크 연결을 보장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100)는, IP저장부(102), 설정값저장부(104), 서비스선택부(106), 접속망판단부(108), 망연결부(110), 설정값입력부(112), 망조회부(114), 망비교부(116), 망변경판단부(118), IP주소할당부(120) 및 IP갱신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IP저장부(102)는 주변의 접속 가능한 망으로부터 IP(Internet Protocol)주소를 할당받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 단말기(100)가 LTE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며, 주변에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망이 존재한다면, IP저장부(102)는 LTE망 및 와이파이망으로부터 각각 IP주소를 할당받아 저장한다.
설정값저장부(104)는 각각의 데이터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하여 저장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동영상 송수신 서비스, 채팅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데이터 다운로드 서비스 등의 데이터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데, 설정값 저장부(104)는 실행 가능한 각각의 데이터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하여 저장한다. 이때, 설정값저장부(104)는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의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데이터서비스의 경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제조시에 디폴트 값으로 설정하여 설정값저장부(104)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의해 확장되는 데이터서비스의 경우, 설정값저장부(104)는 해당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업자에 의해 설정된 접속망 설정값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설정값저장부(104)는 특정 데이터서비스에 대한 접속망 설정값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토콜을 판단하고, 판단된 프로토콜에 따라 대응되는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데이터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토콜이 RTP(Real Time Protocol) 프로토콜인지 또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인지를 판단하며, 판단된 결과에 따라 접속망 설정값을 자동으로 지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설정값저장부(104)는 각각의 데이터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데이터서비스와 EV-DP, WCDMA와 같은 3세대 이동통신망 또는 LTE와 같은 4세대 이동통신망의 접속을 지정하는 접속망 설정값, 와이파이, 와이브로, 와이맥스 등과 같은 무선인터넷망의 접속을 지정하는 접속망 설정값, 및 접속 가능한 이동통신망과 무선인터넷망의 상태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따라 최적의 망을 선택하여 접속하도록 지정하는 접속망 설정값 중 어느 하나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설정값저장부(104)는 주변에 접속 가능한 무선인터넷 망이 복수인 경우, 각각의 무선인터넷 망의 상태를 비교하여 최적의 망을 선택하는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할 수도 있다.
서비스선택부(106)는 실행하고자 하는 데이터서비스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다른 무선통신 단말기 또는 웹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선택부(106)는 해당 동영상 파일을 지정하고 목적지를 설정한 후, 동영상 파일 전송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접속망판단부(108)는 서비스선택부(106)를 통해 데이터서비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데이터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망 설정값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선택부(106)에 의해 동영상 파일 전송서비스가 선택되면, 접속망판단부(108)는 설정값저장부(104)를 검색하여 선택된 동영상 파일 전송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망 설정값을 판단한다.
망연결부(110)는 접속망판단부(108)에 의해 판단된 접속망설정값에 대응하여 IP저장부(102)로부터 IP주소를 선택하며, 선택된 IP주소를 해당 망으로 전송하여 무선통신을 연결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선택부(106)에 의해 동영상 파일 전송서비스가 선택되었으며 해당 동영상 파일 전송서비스에 대하여 와이파이망으로의 접속을 지정하는 접속망 설정값이 설정되었으면, 망연결부(110)는 IP저장부(102)로부터 와이파이망에 대응하는 IP주소를 선택하며, 선택된 IP주소를 해당 와이파이망으로 전달하여 무선통신을 연결한다.
설정값입력부(112)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망 설정값을 입력받는다. 즉, 설정값입력부(112)는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제조시 또는 데이터서비스 제공업자에 의해 디폴트(default) 값으로 지정되어 설정값저장부(104)에 저장된 각각의 데이터서비스의 접속망 설정값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해당 데이터서비스에 대한 접속망 설정값의 변경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설정값입력부(112)는 접속망 설정값이 지정되지 않은 데이터서비스에 대하여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화면상에 접속망 설정값의 지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접속망 설정값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망조회부(114)는 서비스선택부(106)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서비스의 접속망 설정값이 망의 상태에 따른 접속망의 선택을 지정하는 설정값인 경우, 일정범위 이내의 접속 가능한 망을 조회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선택부(106)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서비스의 접속망 설정값이 LTE망과 무선인터넷망 중에서 상태가 좋은 망을 선택할 것을 지정하는 설정값인 경우, 망조회부(114)는 주변의 일정범위 이내에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망, 와이브로망, 와이맥스망 등을 조회할 수 있다.
망비교부(116)는 망조회부(114)에 의해 조회된 망에 대한 각각의 상태를 비교한다. 즉, 전술한 예의 경우, 망비교부(116)는 망조회부(114)에 의해 조회된 각각의 무선인터넷망의 상태를 LTE망의 상태와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망비교부(116)는 데이터업로드 속도, 데이터다운로드 속도 등을 망 상태 비교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망변경판단부(118)는 무선인터넷망의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망변경판단부(118)는 주변의 접속 가능한 무선인터넷망이 와이파이망에서 와이브로 망으로 변경되었는지, 또는 주변의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망이 그대로 유지되더라도 액세스포인트(AP: Access Point)가 변경되었는지 등의 여부를 판단한다.
IP주소할당부(120)는 망변경판단부(118)에 의해 무선인터넷망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새로 접속된 무선인터넷망으로부터 새로운 IP주소를 할당받는다.
IP갱신부(122)는 IP주소할당부(120)를 통해 할당받은 새로운 IP주소로 IP저장부(102)에 기 저장된 무선인터넷망의 IP주소를 갱신한다. 즉, IP갱신부(122)는 IP주소할당부(120)를 통해 할당받은 새로운 IP주소를 IP저장부(102)에 저장하며, 기 저장된 이전의 무선인터넷망의 IP주소는 삭제한다.
도 2는 도 1의 무선통신 단말기에 의한 망 접속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무선통신 단말기(100)는 LTE망(200)과 와이파이망(300)에 접속이 가능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서비스의 특성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설정값저장부(104)는 영상통화 서비스와 같은 제1데이터서비스는 항상 LTE망(200)을 통해 접속하도록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하여 저장하며, 다운로드 서비스와 같은 제2데이터서비스는 항상 와이파이망(300)을 통해 접속하도록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하여 저장하고, 채팅과 같은 제3데이터서비스는 LTE망(200) 또는 와이파이망(300)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망을 선택하여 접속하도록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데이터서비스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접속망 설정값을 매칭시켰을 뿐으로서, 데이터서비스에 대한 접속망 설정값은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제조시에 지정되거나, 해당 데이터서비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작성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지정 또는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서비스에 이용되는 프로토콜에 따라 설정값저장부(104)가 접속망 설정값을 자동으로 지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IP저장부(102)는 LTE망(200)으로부터 할당받은 IP주소와, 주변의 와이파이망(300)으로부터 할당받은 IP주소를 저장한다.
사용자가 서비스선택부(106)를 통해 제1데이터서비스를 선택하면 접속망판단부(108)는 설정값저장부(104)를 검색하여 제1데이터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망 설정값을 판단하며, 망연결부(110)는 판단된 접속망 설정값에 기초하여 IP저장부(102)로부터 LTE망(200)에 대응하는 IP주소를 선택하여 LTE망(200)의 eNodeB 또는 HeNB(210)에 전송한다. LTE망(200)으로 전송된 IP주소는 S-GW(Serving Gateway)(220) 및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230)를 거쳐 서비스망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MME(Mobile Mobility Entity)(240)는 eNodeB/HeNB(210)와 S-GW(220) 사이의 신호제어를 담당하고 무선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인입되는 데이터를 어느 곳으로 라우팅할지를 결정하며,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250)는 LTE망(200)에서의 정책을 결정 및 관리하고, H-AAA(260)는 가입자에 대한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인증(Authentication), 권한검증(Authorization), 과금(Accounting) 기능을 체계적으로 제공한다.
사용자가 서비스선택부(106)를 통해 제2데이터서비스를 선택하면 접속망판단부(108)는 설정값저장부(104)를 검색하여 제2데이터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망 설정값을 판단하며, 망연결부(110)는 판단된 접속망 설정값에 기초하여 IP저장부(102)로부터 와이파이망(300)에 대응하는 IP주소를 선택하여 와이파이망(300)의 AP(Access Point)(310)에 전송한다. 와이파이망(300)으로 전송된 IP주소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320)를 통해 서비스망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AAA(330, 350)는 AP(310)를 통해 접속되는 가입자에 대한 인증, 권한검증, 과금 기능을 수행하거나, PDIF/ePDG(340)를 거쳐 ISP(320)와 통신하면서 가입자에 대한 인증, 권한검증, 과금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서비스선택부(106)를 통해 제3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한 경우, 망비교부(116)는 LTE망(200)과 와이파이망(300)의 상태를 비교하며, 망연결부(110)는 망비교부(116)에 의해 비교된 결과에 따라 LTE망(200)과 와이파이망(300)의 연결을 전환하면서 무선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망 접속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설정값입력부(112)는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데이터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접속망 설정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S302).
설정값저장부(104)는 각각의 데이터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하여 저장한다(S304). 이때, 설정값저장부(104)는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의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데이터서비스의 경우,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제조시에 접속망 설정값을 디폴트 값으로 설정하여 설정값저장부(104)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의해 확장되는 데이터서비스의 경우, 설정값저장부(104)는 해당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업자에 의해 설정된 접속망 설정값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IP저장부(102)는 주변의 접속 가능한 망으로부터 IP(Internet Protocol)주소를 할당받아 저장한다(S306).
한편, 망변경판단부(118)는 무선인터넷망의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S308). 예를 들어, 망변경판단부(118)는 주변의 접속 가능한 무선인터넷망이 와이파이망에서 와이브로 망으로 변경되었는지, 또는 주변의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망이 그대로 유지되더라도 액세스포인트(AP: Access Point)가 변경되었는지 등의 여부를 판단한다.
IP주소할당부(120)는 망변경판단부(118)에 의해 무선인터넷망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새로 접속된 무선인터넷망으로부터 새로운 IP주소를 할당받는다(S310).
IP갱신부(122)는 IP주소할당부(120)를 통해 할당받은 새로운 IP주소로 IP저장부(102)에 기 저장된 무선인터넷망의 IP주소를 갱신한다(S312).
서비스선택부(106)는 실행하고자 하는 데이터서비스를 선택한다(S314). 예를 들어,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다른 무선통신 단말기 또는 웹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선택부(106)는 해당 동영상 파일을 지정하고 목적지를 설정한 후, 동영상 파일 전송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접속망판단부(108)는 서비스선택부(106)를 통해 데이터서비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데이터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망 설정값을 판단한다(S316).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선택부(106)에 의해 동영상 파일 전송서비스가 선택되면, 접속망판단부(108)는 설정값저장부(104)를 검색하여 선택된 동영상 파일 전송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망 설정값을 판단한다.
망조회부(114)는 서비스선택부(106)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서비스의 접속망 설정값이 망의 상태에 따른 접속망의 선택을 지정하는 설정값인 경우(S318), 일정범위 이내의 접속 가능한 망을 조회한다(S320). 예를 들어, 서비스선택부(106)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서비스의 접속망 설정값이 LTE망과 무선인터넷망 중에서 상태가 좋은 망을 선택할 것을 지정하는 설정값인 경우, 망조회부(114)는 주변의 일정범위 이내에 접속 가능한 와이파이망, 와이브로망, 와이맥스망 등을 조회할 수 있다.
망비교부(116)는 망조회부(114)에 의해 조회된 망에 대한 각각의 상태를 비교한다(S322). 즉, 전술한 예의 경우, 망비교부(116)는 망조회부(114)에 의해 조회된 각각의 무선인터넷망의 상태를 LTE망의 상태와 비교할 수 있다.
망연결부(110)는 망비교부(116)에 의해 비교된 결과에 기초하여 최적의 망을 선택하며(S324), 선택된 망에 따라 IP저장부(102)로부터 대응하는 IP주소를 선택한다(S326). 이때, 망연결부(110)는 망의 상태에 따라 IP주소의 선택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망연결부(110)는 접속망판단부(108)에 의해 판단된 접속망설정값에 대응하여 IP저장부(102)로부터 IP주소를 선택할 수도 있다. 망연결부(110)는 이와 같이 선택된 IP주소를 해당 망으로 전송하여 무선통신을 연결한다(S328).
100: 무선통신 단말기
102: IP저장부 104: 설정값저장부
106: 서비스선택부 108: 접속망판단부
110: 망연결부 112: 설정값입력부
114: 망조회부 116: 망비교부
118: 망변경판단부 120: IP주소할당부
122: IP갱신부

Claims (10)

  1. 복수의 망에 접속 가능하며, 접속된 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접속 가능한 각각의 망으로부터 IP(Internet Protocol)주소를 할당받아 저장하는 IP저장부;
    각각의 데이터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통화서비스를 포함하는 제1데이터서비스는 LTE(Long Term Evolution) 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제1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하고, 파일전송 서비스를 포함하는 제2데이터서비스는 와이파이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제2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하여 저장하는 설정값저장부;
    실행하고자 하는 데이터서비스를 선택하는 서비스선택부;
    상기 서비스선택부를 통해 데이터서비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데이터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망 설정값을 판단하는 접속망판단부;
    상기 접속망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접속망 설정값에 대응하여 상기 IP저장부로부터 IP주소를 선택하며, 선택된 IP주소를 해당 망으로 전달하여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망연결부; 및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서비스에 대한 접속망 설정값의 변경값을 입력받는 설정값입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값저장부는 저장된 각각의 데이터서비스의 접속망 설정값에 대하여 변경값이 입력된 경우, 대응하는 접속망 설정값을 입력된 상기 변경값으로 대체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저장부는,
    채팅을 포함하는 제3데이터서비스는 LTE 망 또는 와이파이망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망을 선택하여 접속하도록 제3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서비스의 접속망 설정값이 상기 제3 접속망 설정값으로 지정된 경우, 일정범위 이내의 접속 가능한 망을 조회하는 망조회부; 및
    상기 망조회부에 의해 조회된 망에 대한 각각의 상태를 비교하는 망비교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망연결부는 상기 망비교부에 의해 비교된 결과에 따라 상태가 가장 좋은 망을 선택하며, 선택된 망에 따라 IP주소의 선택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파이망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망변경판단부;
    상기 와이파이망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새로 접속된 와이파이망으로부터 새로운 IP주소를 할당받는 IP주소할당부; 및
    상기 IP주소할당부를 통해 할당받은 새로운 IP주소로 기 저장된 상기 와이파이망의 IP주소를 갱신하는 IP갱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6. 복수의 망에 접속 가능하며 접속된 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망 접속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데이터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통화서비스를 포함하는 제1데이터서비스는 LTE 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제1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하고, 파일전송 서비스를 포함하는 제2데이터서비스는 와이파이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제2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망 설정값의 변경값을 입력받는 단계;
    접속 가능한 각각의 망으로부터 IP주소를 할당받아 IP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실행하고자 하는 데이터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서비스 선택단계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망 설정값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접속망판단단계에 의해 판단된 접속망 설정값에 대응하여 상기 IP저장부로부터 IP주소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IP주소를 대응하는 망으로 전달하여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망 설정값 저장단계는 저장된 각각의 데이터서비스의 접속망 설정값에 대하여 변경값이 입력된 경우, 대응하는 접속망 설정값을 입력된 상기 변경값으로 대체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망 접속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망 설정값 저장단계는,
    채팅을 포함하는 제3데이터서비스는 LTE 망 또는 와이파이망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망을 선택하여 접속하도록 제3 접속망 설정값을 지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망 접속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서비스선택단계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서비스의 접속망 설정값이 상기 제3 접속망 설정값으로 지정된 경우, 일정범위 이내의 접속 가능한 망을 조회하는 단계;
    조회된 일정범위 이내의 접속 가능한 망에 대한 각각의 상태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된 결과에 따라 상태가 가장 좋은 망을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IP주소 선택단계는 상기 망 선택단계에 의해 선택된 망에 따라 IP주소의 선택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망 접속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접속 가능한 망 중 상기 와이파이망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와이파이망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새로 접속된 와이파이망으로부터 새로운 IP주소를 할당받는 단계; 및
    할당받은 상기 새로운 IP주소로 기 저장된 상기 와이파이망의 IP주소를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망 접속방법.
KR1020120027121A 2012-03-16 2012-03-16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망 접속방법 Active KR101680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121A KR101680920B1 (ko) 2012-03-16 2012-03-16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망 접속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121A KR101680920B1 (ko) 2012-03-16 2012-03-16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망 접속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032A KR20130105032A (ko) 2013-09-25
KR101680920B1 true KR101680920B1 (ko) 2016-11-29

Family

ID=49453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121A Active KR101680920B1 (ko) 2012-03-16 2012-03-16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망 접속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9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032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36538B2 (ja) ルート選択ポリシーの取得方法、ルート選択ポリシーの要求方法、ルート選択ポリシールールの実行方法、装置、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274211B2 (ja) 無線通信端末、通信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配信サーバ
US98138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echnology selection
US974993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s
EP302161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protocol flow mobility in a network environment
US117657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low latency services via an evolved packet core network
US10798629B2 (en) VoWifi call process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system, and mobile terminal
JP6314971B2 (ja) 移動端末、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配信サーバ
EP2244424A1 (en) A method for selecting a 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server on a non-roaming scene
CN104584630B (zh) 根据访问服务的服务质量对通讯网络中的漫游管理的方法和装置
WO2015148013A1 (en) Use of an oma management object to support application-specific congestion control in mobile networks
CN102655665B (zh) 业务流移动的方法与系统
CN101730192A (zh) 接入网策略信息的发送方法、装置及交互系统
JP5871784B2 (ja) ネットワーク選択システム及び方法
CN101400189A (zh) 一种接入核心网节点的方法、系统、基站和管理节点
WO201403819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control method, program and distribution server
JP6212302B2 (ja) 複数の無線ベアラにアクセスする方法及び装置
CN104541552A (zh) 根据话费使用情况对通讯网络中漫游的管理
KR101680920B1 (ko)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망 접속방법
CN103856924A (zh) 一种pcc策略实现的方法和装置
WO2014067587A1 (en) Transmission of an andsf managed object tailored to ue capabilities
KR101502137B1 (ko) 사업자 간 망 부하 분산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신호 처리 장치
KR101783319B1 (ko) 동적 pcc 프로비저닝 제어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832932B1 (ko) 홈 가입자 관리 장치 및 가입자 정보 관리 방법
KR101746718B1 (ko) 디폴트 rat-type 정보를 가지는 패킷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이동통신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9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3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