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78684B1 -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 - Google Patents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684B1
KR101678684B1 KR1020150027917A KR20150027917A KR101678684B1 KR 101678684 B1 KR101678684 B1 KR 101678684B1 KR 1020150027917 A KR1020150027917 A KR 1020150027917A KR 20150027917 A KR20150027917 A KR 20150027917A KR 101678684 B1 KR101678684 B1 KR 101678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ing
slide
support frame
pattern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5578A (ko
Inventor
김태완
최인규
Original Assignee
유주티엔씨(주)
주식회사 미뉴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주티엔씨(주), 주식회사 미뉴타텍 filed Critical 유주티엔씨(주)
Priority to KR1020150027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684B1/ko
Publication of KR20160105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6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2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for lift-off proces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50Mask blanks not covered by G03F1/20 - G03F1/34; Prepar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422Non-crystalline insulating materials, e.g. glass,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428Structure
    • H01L21/0243Surfac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대량으로 생산되는 기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생산함으로써,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일정 높이의 박스형상의 외형을 갖춘 본체의 상측에 소정각도 회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터닝장치와;
상기 터닝장치의 상측방향과 소정거리 이격된 양단부가 상기 본체에 고정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터닝장치에 구비된 기판상에 패터닝될 부분에 레진을 도포하는 디스펜싱장치와;
상기 디스펜싱장치의 평면상 직각방향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레진이 도포된 기판 상측에 구비된 패턴 몰딩을 일측 방향으로 압축하며 패턴을 형성하는 패터닝장치와;
상기 패터닝장치의 평면상 직각방향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에 배치되며, 상기 패터닝장치에서 패턴 몰딩에 의해 형성된 패턴을 경화시키는 경화장치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에 의하면, 경화장치에 의한 빠른 경화로 인해 글래스 기판상에 형성된 패턴의 불량이 방지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었으며, 턴테이블에 의해 연속적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킨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THE GLASS CIRCUIT BOARD PATTERNING EQUIPMENT}
본 발명은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장치에서 레진도포와 압착패터닝, 레진경화를 일괄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기판상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해서는 여러가지가 알려져 오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 가)와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가)의 경우, 캐리어층(CR)과 패턴층(PT)으로 구성된 패터닝장치(PS)가 도시되어 있다.
패턴층을 형성하기 위해 롤러 엘리먼트(RE)가 사용되어 그의 외면상에 캐리어 층(CR)의 후면에 대해 하중(L) 방향으로 압박되는 연질층(SF)을 제공한다. 롤러 엘리먼트(RE)는 패턴층(PT)을 기판(CB)과 접촉하게 한다.
이와 같이, 캐리어층(CR)과 패턴층(PT)으로 이루어진 패터닝장치(PS)는 롤러 엘리먼트(RE)에 의해 접촉되기 전에 기판(CB)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롤러 엘리먼트(RE)의 반경보다 훨씬 큰 곡률 반경을 가지고 약간 휘어져 있으므로, 패턴 왜곡이 감소된다.
도 1 나)의 경우, 캐리어층(CR)의 후면상에 연질층(SF)을 제공하므로, 상기한 실시예와는 달리 롤러 엘리먼트(RE)에 연질층이 필요없으며, 패터닝되는 동안 연질층에 대해 압박되는 단단한 롤러 엘리먼트(RE)의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패터닝장치는 그 장치 특성상 패턴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단일 품목으로 패터닝하는 기판에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나, 대량생산되는 양산품의 기판에는 적용하기 어려워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79324호(발명의 명칭: 기판의 표면 상에 패턴을 프린팅하기 위한 스탬프, 등록일자: 2003년 3월 27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량으로 생산되는 기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생산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을 극대화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일정 높이의 박스형상의 외형을 갖춘 본체의 상측에 소정각도 회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터닝장치와;
상기 터닝장치의 상측방향과 소정거리 이격된 양단부가 상기 본체에 고정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터닝장치에 구비된 기판상에 패터닝될 부분에 레진을 도포하는 디스펜싱장치와;
상기 디스펜싱장치의 평면상 직각방향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레진이 도포된 기판 상측에 구비된 패턴 몰딩을 일측 방향으로 압축하며 패턴을 형성하는 패터닝장치와;
상기 패터닝장치의 평면상 직각방향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에 배치되며, 상기 패터닝장치에서 패턴 몰딩에 의해 형성된 패턴을 경화시키는 경화장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터닝장치는,
상기 본체 상측에 구비된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의 출력축과 중심부가 축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상면과 소정거리 떨어져 배치된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직각방향 방사상으로 배치된 작업테이블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터닝장치는,
상기 턴테이블의 테두리 하측방향에 구름(Rolling)운동이 용이하도록 구비된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업테이블은,
상기 턴테이블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관통공 상측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측 테두리에 설치되는 패킹부재와, 상기 고정판의 상측과 상기 패킹부재 내측에 구비되며, 그 상면에 기판과 패턴 몰딩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가이드가 각각 마련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판은,
에어유니트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펜싱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 일측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의 길이방향인 X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레일의 직각방향으로 일단이 설치되는 제 1이송장치와, 상기 제 1이송장치의 길이방향인 Y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제 1이송장치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2이송장치와, 상기 제 2이송장치의 길이방향인 Z축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기판상에 레진을 도포하도록 디스펜싱 노즐이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 2이송장치의 일측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3이송장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패터닝장치는,
상기 디스펜싱장치의 지지프레임 상부 일측 너비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 1이송장치와, 상기 제 1이송장치의 일측 하단에서 상, 하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제 2이송장치와, 상기 제 2이송장치 하측에 설치되는 밀착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경화장치는,
상기 작업테이블 상측에 구비된 패킹부재와 면접하는 하측면에 투명성 필름재가 구비되고, 평면상 중심에는 투시창이 형성된 진공판과, 상기 진공판의 상, 하 이동이 용이하도록 일측 수직방향에 구비되는 슬라이드장치로 이루어진 진공장치와;
상기 진공장치의 진공판 상측에서 유브이램프를 조사하는 유브이 조사장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장치는,
본체바닥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상측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슬라이드 실린더와, 상기 슬라이드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와 일단이 결합되어 상, 하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상기 진공판과 결합된 슬라이드 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브이조사장치는,
상기 유브이램프를 일단에서 지지하며, 타단에는 적어도 한 개소 이상 슬라이드 부시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시의 일측에 너트가 구비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부시와 축결합된 슬라이드 레일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일측에 상기 너트와 나사결합된 상, 하 조절용 나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에 의하면, 대량으로 생산되는 기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생산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공판 저면에 구비된 투명성 필름 특유의 신축성으로 기판과 패턴몰딩을 압축하여 경화불량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유브이 조사장치에 구비된 유브이램프를 상기한 투시창에 조사하여 패턴이 형성된 기판상의 레진을 빠르게 경화시킴으로써,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한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글래스 기판상에 형성된 패턴의 불량이 방지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장비에서 글래스 기판상에 패턴의 형성과 경화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자들로 부터 신뢰를 얻은 효과가 있다.
도 1의 가)와 나)는 종래의 패터닝방법을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의 터닝장치 평면과 일측면에서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의 디스펜싱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의 패터닝장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의 경화장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의 작용 효과를 보인 참고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10)(이하, "패터닝장치"라 칭한다)은 터닝장치(100)와 지지프레임(200)과 디스펜싱장치(300)와 패터닝장치(400)와 경화장치(500)로 대 별된다.
터닝장치(100)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일정 높이의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15)의 상측에 소정각도 회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구동장치(110)와 턴테이블(130)과 작업테이블(150)과 가이드롤러(170)로 이루어진다.
구동장치(110)는 기어드 모터(Geared Motor)(MT) 일체형 감속기(RD)로서, 기어드모터(MT)의 출력축(미도시)과 감속기의 입력축(미도시)이 축결합되며 감속기(RD)의 출력축(OS)은 상측 수직방향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측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구동장치(110)의 출력축(OS)과 턴테이블(130)의 중심이 축결합된다.
턴테이블(130)은 원반형으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작용에서 원활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한 본체(15)의 상면과 소정거리 떨어져 배치된다.
이와 같은, 턴테이블(130)의 각 90도 직각방향 방사상으로 작업테이블(150)이 구비되는데, 이 작업테이블(150)은 고정판(151)과 패킹부재(153)와 지지판(155)으로 이루어진다.
고정판(151)은 턴테이블(130) 테두리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관통공(131)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유니트(152)가 설치되어 있다.
패킹부재(153)는 단면이 "○"자형으로 형성된 오링(O-Ring)의 일종으로서 상기한 고정판(151)의 테두리부에 설치되어 상기한 에어유니트(152)의 작용에 의해 후술하는 경화장치(500)의 진공판(511)과 진공 형성이 용이하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형으로 형성된 패킹부재(153)는 일 실시예일 뿐 다른 단면형상의 패킹을 적용해도 본 발명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판(155)은 상기한 패킹부재(153) 내측에 구비되도록 고정판(151)의 상측에 설치되는 판재로서, 후술하는 작용에서 기판(CB)과 패턴 몰딩(PM)의 지지가 용이하도록 지지가이드(154)가 각각 마련된다.
또한, 상기한 턴테이블(130)의 테두리 하측방향에 가이드롤러(170)가 구비되는데, 이 가이드롤러(170)는 원반형으로 형성된 턴테이블(130)이 회동할 때, 테두리측 쳐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원활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름(Rolling)운동 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터닝장치(100)의 상측으로 지지프레임(200)이 구비되는데, 이 지지프레임(200)은 터닝장치(100)의 상측방향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15)에 양단이 수직방향으로 고정된다.
이 지지프레임(200)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디스펜싱장치(300)와 패터닝장치(40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지지판(201)이 설치되어 있다.
디스펜싱장치(3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지지프레임(200)의 일측, 다시 말해서, 지지프레임(2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한 지지판(155)의 상측에 구비된 기판(CB) 상의 패터닝될 부분에 레진을 도포하는 장치로서, 지지레일(310)과 제 1이송장치(330)와 제 2이송장치(350)와 제 3이송장치(370)로 이루어진다.
지지레일(310)은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상부 일측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것으로서, 케이스(311)의 일단에 모터(312)가 구비되며, 이 모터(312)의 출력축(미도시)과는 스크류(313)가 축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케이스(311)의 상측 중앙부 길이방향, 다시 말해서, 스크류(313)의 일측으로 개구부(315)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개구부(315)는 후술하는 제 1이송장치(330)의 연결부(330a)가 나사결합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상기한 스크류(313)는 보다 원활한 회전을 위해 볼 스크류(Ball Screw)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후술하는 제 1, 2이송장치(330)(350)에도 케이스와 모터, 스크류와 개구부의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나, 기능은 동일함으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1이송장치(330)는 상기한 지지레일(310)의 스크류(313)와 연결부(330a)가 나사결합됨에 따라 지지레일(310)의 길이방향인 X축을 따라 수평이동한다.
제 2이송장치(350)는 상기한 제 1이송장치(330)의 길이방향인 Y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 제 1이송장치(330)의 수직하는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데, 도시하지 않은 스크류와 제 3이송장치(370)의 결합부(미도시)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제 3이송장치(370)는 제 2이송장치(350)의 길이방향인 Z축(상, 하 수직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하측단에 상기한 기판(CB)상에 레진을 도포하도록 디스펜싱 노즐(370a)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장치(300)는 상기한 지지레일(310)과 제 1, 2이송장치(330)(350)의 구동에 의해 디스펜싱노즐(370a)이 구비된 제 3이송장치(370)를 X, Y, Z축 3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레진의 디스펜싱이 완료되면 그 기판(CB) 상측으로 패턴이 형성된 패턴몰딩(PM)을 구비시킨 다음, 패터닝장치(400)로 이동, 즉, 90도 직각방향으로 회동한다.
한편, 상기한 디스펜싱장치(300)의 평면상 직각방향으로 패터닝장치(400)가 구비되는데, 이 패터닝장치(400)는 상기한 디스펜싱장치(300)에서 레진이 도포된 기판(CB) 상측의 패턴몰딩(PM)에 압력을 가하여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터닝장치(400)는 가이드 프레임(410)과 제 1, 2이송구(430)(450)와 밀착부(470)로 이루어진다.
가이드프레임(410)은 상기한 지지프레임(200)의 상부 일측 너비방향, 다시 말해서, 디스펜싱장치(300)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된다.
이 가이드프레임(410)의 일측 수직방향 상측으로 제 1이송구(430)가 설치되는데, 이 제 1이송구(430)는 케이스(431)와 구동모터(433)와 스크류(434)와 엘엠레일(435)과 엘엠블럭(437)과 나사블럭(439)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43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이 개구된 상태로 이루어지며, 일단에는 구동모터(433)가 구비된다.
이 구동모터(433)의 출력축(미도시)은 스크류(434)의 단부와 축결합되어 있으며, 이 스크류(434)의 상, 하 양측으로 엘엠레일(435)과 엘엠블럭(437)이 구비된다.
한편, 스크류(434)는 나사블럭(439)과 나사결합되며, 이 나사블럭(439)은 상기한 엘엠블럭(437)과 블럭형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438)에 의해 연동하도록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제 1이송구(430)의 일측 수직방향으로 제 2이송구(450)가 구비되는데, 이 제 2이송구(450)는 연결브라켓(451)과 슬라이드 실린더(455)로 이루어진다.
연결브라켓(451)은 상기한 결합부재(438)와 장착되는 제 1수평부(451a)의 일단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수직부(451b)로 이루어진다.
이 수직부(451b)의 하단에 슬라이드 실린더(455)가 구비되는데, 이 슬라이드 실린더(455)는 일측에 구비된 밀착부(470)의 슬라이드 브라켓(471)과 결합되어 있다.
밀착부(470)는 상기한 제 2이송구(450)의 슬라이드 실린더(455)의 실린더 로드(미도시)와 결합된 슬라이드 브라켓(471)과,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471)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일체화된 롤러브라켓(473)의 양단과 힌지결합된 롤러(475)로 이루어진다.
이 밀착부(470)는 상기한 제 2이송구(450)의 슬라이드 실린더(455)의 전진행정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며 상기한 패턴몰딩(PM)을 압축하며 기판(CB)의 레진부위에 패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패턴이 형성되면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130)은 90도 직각방향으로 구비된 경화장치(500)의 하측으로 이동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화장치(500)는 상기한 패터닝장치(400)에서 패턴이 형성된 레진을 경화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서, 진공장치(510)와 유브이 조사장치(530)으로 이루어진다.
진공장치(510)는 상기한 작업테이블(150) 상측에 구비된 패킹부재(153)와 하측면 테두리가 면접하며, 그 중심에는 투시창(511b)이 마련된 진공판(511)이 구비되는데, 이 진공판의 하측면에는 투명성 필름(511a)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작용에서 진공상태가 이루어질 때, 기판(CB)과 패턴몰딩(PM)을 압축하여 경화불량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 진공판(511)의 상, 하 이동이 용이하도록 일측 수직방향에 슬라이드장치(513)가 구비된다.
슬라이드장치(513)는 본체바닥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판(513a)과, 상기 가이드판(513a)의 상측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슬라이드 실린더(513b)와, 상기 슬라이드 실린더(513b)의 실린더 로드(513ba)와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진공판(511)과 결합된 슬라이드 브라켓(513c)으로 이루어진다.
이 슬라이드 브라켓(513c)은 "ㄷ"자로 형성되여 상기한 진공판(5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한 슬라이드 브라켓(513c)의 후면에는 엘엠블럭(513ca)이 구비되는데, 이 엘엠블럭(513ca)은 상기한 가이드판(513a)에 구비된 엘엠레일(513aa)과 결합되어 안정적인 상, 하 수직운동이 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진공장치(510)의 일측에 유브이 조사장치(530)가 설치되는데, 이 유브이 조사장치(530)는 상기한 진공장치(510)의 진공판(511) 상측에서 패터닝공정에서 패턴이 형성된 기판(CB)의 신속한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유브이램프(531)를 조사한다.
유브이 조사장치(530)는 지지프레임(533)과 슬라이드 프레임(535)으로 이루어지는데, 지지프레임(533)은 유브이램프(531)를 일단에서 지지하며, 타단에는 적어도 한 개소 이상 슬라이드 부시(533a)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시의 일측에 너트(533b)가 구비된다.
슬라이드 프레임(535)은 상기 지지프레임(533)의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부시(533a)와 축결합된 슬라이드 레일(535a)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535a)의 일측에 상기 너트(533b)와 나사결합된 상, 하 조절용 나사(535b)를 포함한다.
계속해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10)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시한 바에 의하면, 작업자는 디스펜싱장치(300)에서 터닝장치(100)의 작업테이블(150) 상면에 기판(CB)을 셋팅하고, 디스펜싱장치(300)를 작동한다.
이 때, 디스펜싱장치(300)는 컨트롤러(미도시)에 입력된 프로그램대로 제 1, 2, 3이송장치(330)(350)(370)의 3차원적인 이동에 따라 패턴이 형성될 부위에 레진을 도포한다.
이와 같이, 기판(CB)상에 레진의 도포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기판(CB)의 상측면에 패턴몰딩(PM)을 안착시킨 다음, 터닝장치(100)의 턴테이블(130)을 직각방향으로 회동시켜 기판(CB)과 패턴몰딩(PM)이 구비된 작업테이블(150)을 패터닝장치(400)의 하측에 구비시킨다.
이 때, 패터닝장치(4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이송구(450)의 슬라이드 실린더(455)가 작동하여 그 하측에 구비된 밀착부(470)의 롤러(475)가 패턴몰딩(PM)의 일측에 구비된 다음, 제 1이송구(430)의 작동에 의해 밀착부(470), 즉, 롤러(475)가 패턴몰딩(PM)을 압축한 상태에서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기판(CB)에 도포된 레진상에 패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기판(CB)상에 패턴의 형성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턴테이블(130)을 직각방향으로 회동시켜, 경화장치(500)의 하측으로 작업테이블(150)을 이동시킨다.
이 때, 경화장치(500)는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장치(510)의 진공판(511)이 하측으로 이동하며, 작업테이블(150)의 패킹부재(153)를 압축하며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작업테이블(150)에 구비된 에어유니트(152)를 통해 상기한 진공판(511)과 작업테이블(150) 사이에 구비된 공기를 빼내며 진공상태로 접어든다.
이 때, 진공판(511) 저면에 구비된 투명성 필름(511a)이 구비된 투시창(511b)은 특유의 신축성으로 기판(CB)과 패턴몰딩(PM)을 압축하여 경화불량을 방지한다.
이 상태에서 유브이 조사장치(530)에 구비된 유브이램프(531)를 상기한 투시창에 조사하여 패턴이 형성된 기판(CB) 상의 레진을 빠르게 경화시킨다.
이에 따라, 글래스 기판(CB)상에 형성된 패턴의 불량이 방지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하나의 장비에서 글래스 기판(CB) 상에 패턴의 형성과 경화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자들로 부터 신뢰를 얻었다.
또한, 턴테이블에 의해 연속적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효율을 극대화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 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발명 청구범위의 기재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 100 :터닝장치
110 : 구동장치 130 : 턴테이블
150 : 작업테이블 151 : 고정판
153 : 패킹부재 154 : 지지가이드
155 : 지지판 170 : 가이드롤러
200 : 지지프레임 300 : 디스펜싱장치
310 : 지지레일 330,350,370 : 제 1, 2, 3이송장치
400 : 패터닝장치 410 : 가이드 프레임
430, 450 : 제 1, 2이송구 470 : 밀착부
500 : 경화장치 510 : 진공장치
511 : 진공판 513 : 슬라이드장치
530 : 유브이 조사장치

Claims (10)

  1. 작업이 가능하도록 일정 높이의 박스형상의 외형을 갖춘 본체의 상측에 소정 각도 회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터닝장치와;
    상기 터닝장치의 상측방향과 소정거리 이격된 양단부가 상기 본체에 고정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터닝장치에 구비된 기판상에 패터닝될 부분에 레진을 도포하는 디스펜싱장치와;
    상기 디스펜싱장치의 평면상 직각방향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레진이 도포된 기판 상측에 구비된 패턴 몰딩을 일측 방향으로 압축하며 패턴을 형성하는 패터닝장치와;
    상기 패터닝장치의 평면상 직각방향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에 배치되며, 상기 패터닝장치에서 패턴 몰딩에 의해 형성된 패턴을 경화시키는 경화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터닝장치는,
    상기 디스펜싱장치의 지지프레임 상부 일측 너비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 1이송장치와, 상기 제 1이송장치의 일측 하단에서 상, 하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제 2이송장치와, 상기 제 2이송장치 하측에 설치되는 밀착부로 이루어지는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장치는,
    상기 본체 상측에 구비된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의 출력축과 중심부가 축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상면과 소정거리 떨어져 배치된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직각방향 방사상으로 배치된 작업테이블로 이루어지는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장치는,
    상기 턴테이블의 테두리 하측방향에 구름(Rolling)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테이블은,
    상기 턴테이블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관통공 상측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측 테두리에 설치되는 패킹부재와, 상기 고정판의 상측과 상기 패킹부재 내측에 구비되며, 그 상면에 기판과 패턴 몰딩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가이드가 각각 마련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에어유니트가 더 설치되는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 일측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레일과, 상기 지지레일의 길이방향인 X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레일의 직각방향으로 일단이 설치되는 제 1이송장치와, 상기 제 1이송장치의 길이방향인 Y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제 1이송장치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2이송장치와, 상기 제 2이송장치의 길이방향인 Z축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기판상에 레진을 도포하도록 디스펜싱 노즐이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 2이송장치의 일측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3이송장치로 이루어지는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
  7. 삭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장치는,
    상기 작업테이블 상측에 구비된 패킹부재와 면접하는 하측면에 투명성 필름이 구비되고, 평면상 중심에는 투시창이 형성된 진공판과, 상기 진공판의 상, 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측 수직방향에 구비되는 슬라이드장치로 이루어진 진공장치와;
    상기 진공장치의 진공판 상측에서 유브이램프를 조사하는 유브이 조사장치로 이루어지는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장치는,
    본체바닥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상측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슬라이드 실린더와, 상기 슬라이드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와 일단이 결합되어 상, 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진공판과 결합된 슬라이드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브이조사장치는,
    상기 유브이램프를 일단에서 지지하며, 타단에는 적어도 한 개소 이상 슬라이드 부시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시의 일측에 너트가 구비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부시와 축결합된 슬라이드 레일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일측에 상기 너트와 나사결합된 상, 하 조절용 나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
KR1020150027917A 2015-02-27 2015-02-27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 Active KR101678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917A KR101678684B1 (ko) 2015-02-27 2015-02-27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917A KR101678684B1 (ko) 2015-02-27 2015-02-27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578A KR20160105578A (ko) 2016-09-07
KR101678684B1 true KR101678684B1 (ko) 2016-11-23

Family

ID=56949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917A Active KR101678684B1 (ko) 2015-02-27 2015-02-27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6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650B1 (ko) * 2021-12-01 2023-09-14 (주)디아이비 레진 진공코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진 코팅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4575A (ja) * 1995-01-27 1996-10-11 Sumitomo Bakelite Co Ltd 半導体封止方法
KR100706659B1 (ko) * 2005-05-24 2007-04-11 주식회사 케이엠티 피씨비 어셈블리의 절단장치
US7670530B2 (en) * 2006-01-20 2010-03-02 Molecular Imprints, Inc. Patterning substrates employing multiple chucks
KR101479939B1 (ko) * 2013-05-31 2015-01-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인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578A (ko)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5515B (zh) A semiconductor film making thick film coat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TWI701157B (zh) 曲面絲網印刷裝置、曲面絲網印刷方法、及具有印刷層之基材之製造方法
CN203991138U (zh) 液晶屏ogs 玻璃点胶刮胶机
KR101655530B1 (ko) 코팅 디바이스 및 코팅 방법
CN208646242U (zh) 一种贴合设备
KR101526068B1 (ko)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
KR101858246B1 (ko) 도포장치, 도포헤드 및 도포방법
JP5876544B2 (ja) パネル取り付け装置
CN113600411B (zh) 一种涂布设备
CN110843327A (zh) 纹理成型设备
CN101823356B (zh) 薄膜贴附机台、薄膜贴附方法以及固化膜层的制作方法
CN105289948A (zh) 涂敷方法、涂敷装置、制造方法及制造装置
KR101678684B1 (ko) 글래스 기판 패터닝장치
CN204659139U (zh) 一种贴合设备
CN204544595U (zh) 五辊涂布小车
US11958250B2 (en) Reclamation system for additive manufacturing
KR20150055369A (ko) 다이 커팅 프레스 머신 및 그에 의한 필름의 커팅 방법
CN206215466U (zh) 一种智能点胶设备
CN205130571U (zh) 一种玻璃拉丝覆膜装置
TWI489582B (zh) 多重校正定位機台
CN108008580B (zh) 基板加电装置及其设备
CN207941638U (zh) 一种聚酯树脂生产用喷淋装置
KR20160063448A (ko) 도포판에의 피막액 균일 도포장치
JP4412414B2 (ja) 複層ガラスパネルのグレージングガスケット成形方法及び装置
CN209903926U (zh) 一种拉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