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77348B1 - Apparatus for checking damage wire of looper ca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hecking damage wire of looper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348B1
KR101677348B1 KR1020140187302A KR20140187302A KR101677348B1 KR 101677348 B1 KR101677348 B1 KR 101677348B1 KR 1020140187302 A KR1020140187302 A KR 1020140187302A KR 20140187302 A KR20140187302 A KR 20140187302A KR 101677348 B1 KR101677348 B1 KR 101677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s
contact
wire
roller
condu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3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77513A (en
Inventor
최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7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348B1/en
Publication of KR20160077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5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348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1/00Guiding, conveying, or accumulating easily-flexible work, e.g. wire, sheet metal bands, in loops or curves; Loop lif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9/00Devices for temporarily accumulating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8Detecting presence of flaws or irregular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퍼카를 견인하는 와이어의 손상 여부를 검출하는 루퍼카 와이어 손상 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루퍼카에 연결된 와이어; 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복수의 롤러; 및 와이어의 직경 감소에 따른 롤러의 이동시, 롤러 간의 접촉 유무에 따라 롤러 간의 간극이 허용제한치에 도달했는지 인식하는 인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etecting a damage of a wire pulling a looper car.
To this end, the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onnected to a looper; A plurality of rollers provided movab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with a wire therebetween; And recognizing means for recognizing whether or not the gap between the rollers has reached the allowable limit valu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tact between the rollers when the rollers are moved according to the reduction in diameter of the wire.

Description

루퍼카 와이어 손상 검지장치{APPARATUS FOR CHECKING DAMAGE WIRE OF LOOPER CAR}[0001] APPARATUS FOR CHECKING DAMAGE WIRE OF LOOPER CAR [0002]

본 발명은 루퍼카를 견인하는 와이어의 손상 여부를 검출하는 루퍼카 와이어 손상 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etecting a damage of a wire pulling a looper car.

제철소의 냉연공장에는 도 1과 같이, 스트립의 표면을 세척하는 초기 공정인 산세라인(100)과, 연속적인 스트립 압연작업을 위한 용접라인(101)과, 스트립 제조 폭에 맞추어 스트립 양끝을 절단하는 트리밍라인 및 압연라인(102) 등과 같은 각각의 독립적인 공정을 거치면서 스트립을 제조한다.As shown in Fig. 1, the cold rolling mill of a steelworks is provided with a pickling line 100 as an initial step of cleaning the surface of the strip, a welding line 101 for continuous strip rolling, The strips are fabricated through respective independent processes such as trimming lines and rolling lines 102, and the like.

이 같은 각 라인 사이에는 예상치 못한 트러블에 대비함과 동시에 인접하는 전,후 공정간의 작업을 공정 진행속도에 맞추어 원활하고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필요량의 스트립을 저장하는 루퍼(LOOPER)설비(110)가 갖추어져 있다.
Between each of these lines, a looper facility 110 for storing unneeded troubles and storing a necessary amount of strips so as to smoothly and continuously perform the work between the adjacent front and rear processes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 progress speed, .

도 2는 상기한 루퍼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레일(111)을 따라 왕복 주행되는 루퍼카(112)가 구비되고, 루퍼카(112)에 마련된 루퍼롤(미도시)에는 스트립(113)이 감겨진 형태로 걸려진다. 그리고, 레일(111)의 측부에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와이어드럼(114)이 구비되고, 상기 루퍼카(112)와 와이어드럼(114) 사이에는 와이어(115)가 연결되어 와이어드럼의 회전 구동에 의해 루퍼카가 레일을 따라 주행될 수 있다.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bove-described louper system. The louper car 112 is reciprocated along the rail 111, and a strip 113 is attached to the louper roll (not shown) Is caught in a wrapped form. A wire drum 114 rotatably driven by a driving motor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ail 111. A wire 115 is connected between the looper 112 and the wire drum 114 The looper car can be driven along the rails by rotational drive of the wire drums.

그러나, 상기한 루퍼설비에서 와이어를 구성하는 소선의 절단 및 와이어드럼에서의 타이밍벨트 등의 이상상황 발생시,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롤의 센터링 불량이 발생하여 와이어가 가이드롤을 이탈하게 되고, 이에 와이어의 마모가 급속히 진행된다. 특히, 이 같은 와이어의 급속한 마모 상황이 발생되더라도 와이어드럼에 감겨진 와이어의 정밀한 육안 점검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an abnormal situation such as a cutting of a wire constituting a wire and an abnormal situation such as a timing belt in a wire drum occurs in the looper equipment, a centering failure of the guide roll for guiding the wire occurs, The abrasion of the abrasive particles proceeds rapidly. Particularl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precisely visually check the wire wound around the wire drum even if such a wire wears rapidly.

또한,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롤의 설치 개소가 많은 경우, 와이어의 꺾임이 많아지게 되는바, 와이어 소선 변형으로 와이어의 수명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특히 압연작업 중 와이어 단선 및 파단에 의한 충격으로 루퍼카에 감겨진 스트립이 파단되거나, 루퍼카의 전복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도 있다.
In addition, when many guide rolls for guiding the wire are installed, the number of wire tends to increase, and the life of the wire is remarkably reduced due to deformation of the wire wire. Especially, during the rolling operation,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the strip wound on the pucker may break or cause a rollover accident.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n admission that the prior ar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KRKR 10-2003-002818310-2003-0028183 A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루퍼카를 견인하는 와이어의 손상 여부를 검출하는 루퍼카 와이어 손상 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for detecting a damage to a wire that pulls a looper ca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루퍼카에 연결된 와이어; 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복수의 롤러; 및 와이어의 직경 감소에 따른 롤러의 이동시, 롤러 간의 접촉 유무에 따라 롤러 간의 간극이 허용제한치에 도달했는지 인식하는 인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ollers provided movab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with a wire therebetween; And recognizing means for recognizing whether or not the gap between the rollers has reached the allowable limit valu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tact between the rollers when the rollers are moved according to the reduction in diameter of the wire.

롤러의 중심에 결합되어 롤러가 상대 회전되도록 하는 중심축; 롤러의 이동방향을 따라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에 중심축이 결합되어 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중심축을 가이드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A center shaft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roller so that the roller is relatively rotated; And a support plate that forms a slot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ller and guides a center axis that is coupled to the slot and moves along the slot.

복수의 롤러가 횡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고; 지지플레이트가 롤러의 상방 및 하방에 각각 마련되어, 중심축의 양단이 상방 및 하방의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rollers arranged horizontally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support plates are provided above and below the rollers, respectively, so that both ends of the center shaft can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slot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lates.

상기 장공은 어느 한쪽 중심축에 대응하도록 형성하거나, 양쪽 중심축에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long holes may b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either of the central axes, or may b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both central axes.

복수의 롤러가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a force for constantly moving the plurality of rollers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pproach each other.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일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may be a spring.

상기 인식수단은, 각 롤러가 서로에 대해 접촉시, 이를 인식하여 롤러 간의 간극이 허용제한치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The recognition means recognizes when the roll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recognizes that the gap between the rollers has reached the allowable limit value.

상기 인식수단은, 각 롤러에 마련된 도체부; 각 도체부에 연결된 전원부; 도체부 간의 접촉시, 접촉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롤러 간의 접촉을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recognizing means comprises: a conductor provided in each roller; A power supply unit connected to each conductor unit;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in response to the contact when the contac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conductor portion and recognizing contact between the rollers.

상기 인식수단은, 복수의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마련된 터치센서; 터치센서에 상대 롤러가 접촉시, 접촉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롤러 간의 접촉을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recognizing means comprises: a touch sensor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rollers;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when the counter roller contacts the touch sensor and recognizing the contact between the rollers.

상기 도체부 또는 터치센서는 롤러 사이에서 최소 간격을 이루는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The conductor portion or the touch sensor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a minimum gap is provided between the rollers.

상기 제어부는 롤러 간의 접촉시, 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contact information when the contact is made between the rollers.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와이어의 손상 및 마모시, 롤러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통해 와이어의 손상 및 마모 정도를 검지함으로써, 와이어의 파단이 발생하기 이 전에 와이어의 한계 마모량이 도래했음을 예측하게 되고, 이에 와이어의 단선 및 파단에 의한 스트립의 파단 문제와, 루퍼카의 전복사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cting the degree of damage and wear of the wire through the contact between the rollers when the wire is damaged or wor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re from reaching the limit wear amount of the wire Thus,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a problem of breakage of the strip due to disconnection and breakage of the wire, and a risk of overturning of the loop car.

도 1은 스트립 제조를 위한 냉연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루퍼설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손상 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롤러들이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손상 검지장치에서 인식수단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손상 검지장치에서 인식수단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cold rolling facility for the manufacture of strips;
Figure 2 shows a looper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wire damag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roll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state of FIG. 3;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recognition means in a wire damag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recognition means in the wire damag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루퍼카 와이어 손상 검지장치는, 와이어(10)와, 복수의 롤러(20) 및 인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apparatus for detecting damage of a looper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ire (10), a plurality of rollers (20) and a recognizing means.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와이어(10)는 루퍼카와 와이어드럼(미도시) 사이에 연결된 것으로, 와이어드럼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와이어(10)가 귄취될 수 있고, 이에 루퍼카는 와이어(10)에 의해서 그 하단의 레일을 따라 구름 이동될 수 있다.
3, the wire 10 is connected between a looper car and a wire drum (not shown), and the wire drum is rotationally driven by a driving motor so that the wire 10 can be swept So that the ruler can be rolled along the lower rail by the wire 10.

롤러(20)는, 상기 와이어(10)를 사이에 두고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것으로, 양측 롤러(20)가 서로에 대해 마주하는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rollers 20 are provided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ollers 20 are moved toward or away from each other with the wire 1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rollers 20 can be provided with the rollers 20 facing each other.

예컨대, 양측 롤러(20) 사이의 공간으로 와이어(10)가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에 상기 와이어(10)는 상기 롤러(20)들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는바, 각 롤러(20)는 와이어(10)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되어, 와이어(10)의 움직임이 원활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wire 10 may be provided so as to pas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rollers 20, at which time the wire 10 is mov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rollers 20, 20 are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wire 1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wire 10 smoothly.

롤러(20)의 이동이 가능한 구조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롤러(20)의 중심에는 중심축(22)이 결합되어, 상기 중심축(22)을 축으로 하여 롤러(20)가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롤러(20)의 내부에는 중심축(22)과의 사이에 베어링이 마련되어, 상기 베어링에 의해 롤러(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a structure in which the roller 20 can move is that a center shaft 22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roller 20 so that the roller 20 is rotated about the center shaft 22 . For example, the roller 20 is provided with a bearing between the center shaft 22 and the roller 20 so that the roller 20 can be rotated by the bearing.

그리고, 상기 중심축(22)의 양 단부는 이와 대응되는 부분에 마련된 지지플레이트(3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지지플레이트(30)에는 롤러(20)가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장공(32)이 형성되고, 특히 상기한 장공(32)에 중심축(22)이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장공(32)을 따라 중심축(22)이 가이드 이동되는바, 롤러(20)가 장공(3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Both end portions of the center shaft 22 can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support plates 30 provided at corresponding portions. At this time, a slot 32 is formed in the support plate 30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ller 20 is moved. In particular, the center shaft 22 is inserted into the slot 32, The roller 20 can be moved along the elongated hole 32 as the center shaft 22 is guided along the guide shaft 32. [

또한, 상기한 복수의 롤러(20)는 횡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상기 롤러(20)가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플레이트(30)는 롤러(20)의 상방 및 하방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중심축(22)의 상단은 상방의 지지플레이트(30)에 형성된 장공(32)에 결합되고, 중심축(22)의 하단은 하방의 지지플레이트(30)에 형성된 장공(32)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중심축(22)의 상단 및 하단이 상방의 지지플레이트(30) 및 하방의 지지플레이트(30)에 형성된 장공(32)에 의해 가이드되는바, 롤러(20)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rollers 20 described above may be horizontally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roller 20 may be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support plate 30 is provided above and below the roller 2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entral shaft 22 is coupled to the elongated hole 32 formed in the upper support plate 30,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late 22 can be coupled to the elongated hole 32 formed in the lower support plate 30.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enter shaft 22 are guided by the upper support plate 30 and the elongated holes 32 formed in the lower support plate 30 so that the roller 2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이때에, 상기 장공(32)은 어느 한쪽 중심축(22)에 대응하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양쪽 중심축(22)에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ng holes 3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either one of the central axes 22, or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wo central axes 22, respectively.

예컨대, 각 롤러(20)가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이동이 가능한 구조이면 충분할 것이므로, 장공(32) 형성의 일 예시로서 일측 롤러(20)의 중심축(22) 또는 타측 롤러(20)의 중심축(22)이 끼워지는 지지플레이트(30)의 양측 부분 중에서 어느 한쪽 중심축(22)이 끼워지는 지지플레이트(30)에만 장공(32)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the rollers 20 can move toward or away from each other may suffice. Therefore, as an example of the formation of the slot 32, the central axis 22 of the one roller 20 or the roller 20 The elongated hole 32 can be formed only in the support plate 30 in which the center shaft 22 of any one of the two side portions of the support plate 30 on which the center shaft 22 of the main shaft 22 is inserted.

이 경우, 어느 한쪽 롤러(20)만이 이동되어 양측 롤러(20) 간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only one of the rollers 20 is moved and the gap between the rollers 20 can be narrowed or widened.

또한, 상기한 장공(32) 형성의 다른 예시로서, 일측 롤러(20)의 중심축(22) 및 타측 롤러(20)의 중심축(22)이 끼워지는 지지플레이트(30)의 양측 부분 모두에 장공(32)을 형성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formation of the elongated hole 32 described above, both the center shaft 22 of the one roller 20 and the center shaft 22 of the other roller 20 are fitt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30 The long hole 32 can be formed.

이 경우에는 양 쪽 롤러(20)가 모두 이동되어 양측 롤러(20) 간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both rollers 20 are all mov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rollers 20 can be narrowed or widened.

아울러, 본 발명은 복수의 롤러(20)가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제공하도록 하는 탄성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40) for providing a force for constantly moving the plurality of rollers (20)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pproach each other.

도 3을 참조하면, 예컨대 상기 탄성부재(40)는 스프링일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 스프링의 일단이 일측의 중심축(22)에 걸려지고, 스프링의 타단이 타측의 중심축(22)에 걸려짐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각 중심축(22)에 결합된 롤러(20)를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시 이동시킬 수 있다.
3,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40 may be a spring. In this case, one end of the spring is caught by the center shaft 22 on one 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spring is caught by the center shaft 22 on the other side The rollers 20 coupled to the respective central axes 22 can be always mov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s.

특히, 인식수단은, 와이어(10)의 소손 및 마모 등과 같은 이유로 와이어(10)의 폭 또는 직경이 감소하는 경우 롤러(20)가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 롤러(20) 간의 간극이 허용제한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 및 인식할 수 있다.
Particularly, when the width of the wire 10 or the diameter of the wire 10 is decreased due to the burnout and abrasion of the wire 10 or the like, the recognition means moves the gap between the rollers 20 It is possible to judge and recognize whether or not the allowable limit value has been reached.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와이어(10)의 직경이 감소되는 경우, 도 4와 같이 롤러(20)가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는 방향이 이동되면서, 롤러(20) 간의 간극이 좁아지게 되고, 이를 인식수단에 의해 인식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diameter of the wire 10 is reduc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llers 20 approach each other is shifted as shown in Fig. 4, the gap between the rollers 20 becomes narrow, As shown in FIG.

따라서, 롤러(20) 간의 간극에 따라, 와이어(10)의 손상 및 마모 정도를 검지하게 됨으로써, 와이어(10)의 파단이 발생하기 이 전에 와이어(10)의 한계 마모량이 도래했음을 예측할 수 있게 되는바, 와이어(10)의 단선 및 파단에 의한 스트립의 파단 문제와, 루퍼카의 전복사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by detecting the degree of damage and abrasion of the wire 10 along the gap between the rollers 20, it is possible to predict that the limit wear amount of the wire 10 has arrived before the breakage of the wire 10 occur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of breakage of the strip caused by disconnection or breakage of the bar and wire 10 and the risk of rollover of rollover.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인식수단은, 각 롤러(20)가 서로에 대해 접촉시, 이를 인식하여 롤러(20) 간의 간극이 허용제한치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means can be configured so that when the rollers 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recognition means recognizes that the gap between the rollers 20 has reached the allowable limit.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인식수단을 실시하기 위한 제1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체부(50)와, 전원부(52) 및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recognition means may include a conductor unit 50, a power source unit 52, and a control unit 70.

예컨대, 각 롤러(20)에 도체부(5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도체부(50)는 양 롤러(20) 사이에서 최소 간격을 이루는 부분에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 롤러(20)의 상단 및/또는 하단 테두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each roller 20 may be provided with a conductor portion 50. At this time, the conductor portion 50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having a minimum gap between the both rollers 20, and may have a shape to cover the upper and / or lower edges of the roller 20.

그리고, 상기한 각 도체부(50)에는 전원부(52)가 연결되어, 각 도체부(50)의 접촉시 전원부(52)와 함께 전기적인 폐회로를 이루어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52 is connected to each of the conductor units 50 so that current can flow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52 when the respective conductor units 5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에, 상기 제어부(70)에서는 상기 도체부(50) 간의 접촉시, 접촉에 따른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입력받아 롤러(20) 간의 접촉을 인식할 수 있고, 상기한 롤러(20) 간의 접촉시 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여 작업자에게 와이어(10)의 손상 여부를 알릴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 can recognize the contact between the rollers 20 by receiving the change of the electrical signal due to the contact when the conductor units 5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operator can be notified whether the wire 10 is damaged.

즉, 각 도체부(50)가 서로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인데, 롤러(20)의 이동에 따라 각 도체부(50)가 서로 접촉되면, 전기적 폐회로를 이루면서 폐회로에 전류가 흐르면서 전압이 생성된다. 이에,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에 따른 신호가 제어부(70)에 입력되면, 와이어(10)의 한계 마모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루퍼카 와이어(10)의 손상 여부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conductor portions 5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current does not flow. When the conductor portions 5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s the roller 20 moves, current flows through the closed circuit A voltage is generated. Accordingly, when a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ge in current or voltage is input to the controller 70, it is determined that the limit wear amount of the wire 10 has been reached, and whether the wire 10 is damaged is recognized.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인식수단을 실시하기 위한 제2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면, 터치센서(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recognition means may include a touch sensor 60 and a control unit 70.

예컨대, 복수의 롤러(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터치센서(6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터치센서(60)는 양 롤러(20) 사이에서 최소 간격을 이루는 부분에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 롤러(20)의 상단 및/또는 하단 테두리 부분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센서(60)는 접촉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으면 충분하므로 양쪽 롤러(20) 중 어느 한 쪽에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ouch sensor 60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ollers 20. At this time, the touch sensor 60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having a minimum gap between the rollers 20, and may have a shape to cover the upper and / or lower edges of the rollers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touch sensor 60 is installed on only one of the rollers 20 because it is enough to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by contact.

이에, 상기 제어부(70)에서는 터치센서(60)에 상대 롤러(20)가 접촉시, 접촉에 따른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입력받아 롤러(20) 간의 접촉을 인식할 수 있고, 상기한 롤러(20) 간의 접촉시 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여 작업자에게 와이어(10)의 손상 여부를 알릴 수 있다. The control unit 70 can recognize the contact between the rollers 20 when the counter roller 20 contacts the touch sensor 60 and receives the change of the electrical signal due to the contact. So that the operator can be informed whether the wire 10 is damaged or not.

여기서, 상기 제어부(70)에는 전원부(62)가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70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62.

즉, 롤러(20)의 이동에 따라 터치센서(60)에 상대편 롤러(20)가 접촉되면, 터치센서(60)의 물리적 접촉신호가 전기적 신호로 변화하여 제어부(70)에 입력된다. 이 경우, 와이어(10)의 한계 마모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루퍼카 와이어(10)의 손상 여부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counter roller 20 contacts the touch sensor 6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roller 20, the physical contact signal of the touch sensor 60 changes to an electrical signal and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70. In this case, it is judged that the limit wear amount of the wire 10 has been reached, and whether or not the looper wire 10 is damaged is recognized.

그리고, 상기한 인식수단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 모두에서, 상기 제어부(70)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 자동 공정제어장치) 및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접촉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PLC에 입력되면, HMI에 의해 이를 모니터링하여 와이어(10)의 손상여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In both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recognition means, the control unit 70 may include a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and an HMI (Human Machine Interface) When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is input to the PLC, it is monitored by the HMI to control whether the wire 10 is damaged or not.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

10 : 와이어 20 : 롤러
22 : 중심축 30 : 지지플레이트
32 : 장공 40 : 탄성부재
50 : 도체부 52 : 전원부
60 : 터치센서 62 : 전원부
70 : 제어부
10: wire 20: roller
22: center shaft 30: support plate
32: elongated hole 40: elastic member
50: conductor section 52: power source section
60: touch sensor 62:
70:

Claims (11)

루퍼카에 연결된 와이어;
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복수의 롤러; 및
와이어의 직경 감소에 따른 롤러의 이동시, 롤러 간의 접촉 유무에 따라 롤러 간의 간극이 허용제한치에 도달했는지 인식하는 인식수단;을 포함하는 루퍼카 와이어 손상 검지장치.
Wire connected to lupus;
A plurality of rollers provided movab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with a wire therebetween; And
And recognizing means for recognizing whether the gap between the rollers has reached the allowable limit valu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tact between the rollers when the rollers are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reduction in the diameter of the wire.
청구항 1에 있어서,
롤러의 중심에 결합되어 롤러가 상대 회전되도록 하는 중심축;
롤러의 이동방향을 따라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에 중심축이 결합되어 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중심축을 가이드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퍼카 와이어 손상 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enter shaft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roller so that the roller is relatively rotated;
And a support plate which forms a slot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ller and which guides a center shaft which is coupled to the slot and moves along the slot.
청구항 2에 있어서,
복수의 롤러가 횡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고;
지지플레이트가 롤러의 상방 및 하방에 각각 마련되어, 중심축의 양단이 상방 및 하방의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퍼카 와이어 손상 검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plurality of rollers arranged horizontally in the lateral direction;
Wherein the support plate is provided above and below the roller and both ends of the center shaft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elongated hole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late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공은 어느 한쪽 중심축에 대응하도록 형성하거나, 양쪽 중심축에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퍼카 와이어 손상 검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longated holes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either one of the central axes, or are formed to correspond to both of the central axes.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롤러가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퍼카 와이어 손상 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 force for constantly moving the plurality of roller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ollers are closer to each oth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퍼카 와이어 손상 검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a spr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은, 각 롤러가 서로에 대해 접촉시, 이를 인식하여 롤러 간의 간극이 허용제한치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퍼카 와이어 손상 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ognition means recognizes the rollers when they contact each other and recognizes that the gap between the rollers has reached the allowable limit valu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은,
각 롤러에 마련된 도체부;
각 도체부에 연결된 전원부;
도체부 간의 접촉시, 접촉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롤러 간의 접촉을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퍼카 와이어 손상 검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conductor provided on each roller;
A power supply unit connected to each conductor unit;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in response to the contact when the conductor unit is in contact with the rollers and recognizing contact between the roller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은,
복수의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마련된 터치센서;
터치센서에 상대 롤러가 접촉시, 접촉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롤러 간의 접촉을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퍼카 와이어 손상 검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touch senso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rollers;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when the counter roller contacts the touch sensor and recognizing contact between the rollers.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도체부 또는 터치센서는 롤러 사이에서 최소 간격을 이루는 부분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퍼카 와이어 손상 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Wherein the conductor portion or the touch sensor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a minimum gap is provided between the rollers.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롤러 간의 접촉시, 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퍼카 와이어 손상 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contact information when the contact is made between the rollers.
KR1020140187302A 2014-12-23 2014-12-23 Apparatus for checking damage wire of looper car Expired - Fee Related KR1016773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302A KR101677348B1 (en) 2014-12-23 2014-12-23 Apparatus for checking damage wire of looper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302A KR101677348B1 (en) 2014-12-23 2014-12-23 Apparatus for checking damage wire of looper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513A KR20160077513A (en) 2016-07-04
KR101677348B1 true KR101677348B1 (en) 2016-11-18

Family

ID=5650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302A Expired - Fee Related KR101677348B1 (en) 2014-12-23 2014-12-23 Apparatus for checking damage wire of looper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3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3881A (en) * 2020-12-25 2021-04-09 盐城浩楠电子有限公司 Connecting wire material feeding un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189B1 (en) * 2010-12-13 2012-11-30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sensing damage of rooper system rope and method for sensing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676Y1 (en) * 1993-10-09 1997-07-01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Wire rope damage detection device
KR100749533B1 (en) 2001-09-27 2007-08-16 주식회사 포스코 Loopercar Wire Support Device for Horizontal Looper Equip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189B1 (en) * 2010-12-13 2012-11-30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sensing damage of rooper system rope and method for sensing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513A (en)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2291B2 (en) Conveyor belt wear monitoring system
CN104071522A (en) Automatic correction system for belt conveying
KR101677348B1 (en) Apparatus for checking damage wire of looper car
EP1595838B1 (en) Method and device for temporarily storing linear body
KR20090034437A (en) Strip Bending Repair Device Online
KR101490633B1 (en) Looper
KR101353664B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wire
KR101726072B1 (en) Apparatus for guiding strip
KR101259319B1 (en) Strip guide apparatus
KR101207189B1 (en) Apparatus for sensing damage of rooper system rope and method for sensing using the same
KR102139174B1 (en) Wire rod progress condition detection system and wire rod manufacturing facility having the same
KR101202055B1 (en) Detecting Device for Wire Cord Exposed from Belt of Tire
US8960515B2 (en) Web guiding apparatus
KR101024585B1 (en) Wire rod roughing mill safety device
KR101697671B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roll
KR101504440B1 (en) Recovering apparatus for paper
KR101424480B1 (en) Measuring device for slab
KR101493851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strip
CN209035163U (en) A kind of guiding device for scrap reel
KR101220561B1 (en) Cutting and Lifting Device for Bar
KR101732979B1 (en) Apparatus for braking strip
JP6326537B1 (en) Horizontal looper
KR20240123084A (en) Transfer apparatus for coil
KR101060895B1 (en) Opener device of steel plate continuous line
KR20160077323A (en) Apparatus for measuring size of material and Rolling system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