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081B1 - Environment control Device for crop Cultivation - Google Patents
Environment control Device for crop Cultiv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7081B1 KR101677081B1 KR1020140110918A KR20140110918A KR101677081B1 KR 101677081 B1 KR101677081 B1 KR 101677081B1 KR 1020140110918 A KR1020140110918 A KR 1020140110918A KR 20140110918 A KR20140110918 A KR 20140110918A KR 101677081 B1 KR101677081 B1 KR 1016770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fixed
- moving
- backward
- cross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094 Vit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21 grap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60 sil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재배지에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고정단과,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우 한 쌍의 이동단을 갖추어 상기 재배지의 상부공간에 구비되는 조절막; 및 상기 이동단과 걸림구에 의해 걸림연결되고, 상기 고정단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와이어를 갖추고, 상기 와이어의 왕복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단에 대하여 상기 이동단을 근접시키거나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조절막이 접어지거나 펼쳐져 상기 재배지의 상부공간을 덮거나 개방하는 작동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vironment control device for growing crop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ing apparatus comprising: An adjustment film provided on an upper space of the cultivation land, having a pair of left and right fixed ends fixed to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frame part,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movable ends reciprocally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a wire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fixed end to be engaged by the moving end and the stopper, wherein the adjusting membrane is folded by bringing the moving end closer to or away from the fixed end by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wire, And covers or opens the upper space of the cultivation land.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햇빛과 비의 투과를 조절하면서, 눈,바람,서리 등의 피해를 막아서 작물의 생육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vironmental control device for growing crop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vironmental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crop growth by controlling sunlight and rain permeation while preventing damage to snow, wind, frost, .
통상적으로 식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서 온도, 수분, 광 등이 있으며, 이들 조건이 적정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식물이 제대로 자랄 수가 없다.Normally, there are temperature, moisture, light, and the like as conditions necessary for the growth of the plants. If these conditions are not within the proper range, the plants can not grow properly.
여러 식물 중 특히 인삼은 음지작물로서 생태환경이 다른 식물과 비교하여 특이하기 때문에 재배가 매우 까다로운 작물이다. Among the various plants, especially ginseng, is a silage crop, and its ecological environment is unique compared with other plants, and therefore it is a very difficult crop to grow.
이러한 인삼을 재배하기 위한 적정 환경은 평균기온이 연간 0.9~13.9℃ 이어야하고, 하절기에는 20~25℃를 유지하여야 하며 35℃ 가 넘으면 생리적 장해가 생기게 된다. The optimal environment for cultivating such ginseng should be 0.9 ~ 13.9 ℃ per year, 20 ~ 25 ℃ during summer, and physiological disorder when it exceeds 35 ℃.
강우량에 있어 연간 700 ~ 2,000㎜ 인 환경에서 1,100 ~ 1,300㎜ 가 적절하며, 강설량이 비교적 적은 곳이 좋으며, 일조량에 있어 인삼은 반양 반음을 좋아하는 반음지성 식물로서 직사광선은 좋지 않고, 광학적으로는 산란광이 좋으며, 옥외광선의 1/8 ~ 1/13 정도의 조도가 알맞다. For rainfall, 1,100 ~ 1,300㎜ is appropriate in an environment with an annual rainfall of 700 ~ 2,000㎜. It is better to have a relatively low snowfall. In the amount of sunshine, ginseng is a semi-ominous plant that likes half-tone sounds. Direct sunlight is not good, And the illumination of about 1/8 to 1/13 of the outdoor light is suitable.
지세는 평탄지 또는 북향이나 동북향의 완경사지로서 북쪽에 높은 산이나 방풍물이 없이 넓게 트인 곳이 적지이다. 토양의 경우 표토는 사양토 또는 식양토이고, 심토는 점토질이 다소 많은 식양토로서 토층의 구분이 명료한 곳으로 특히 배수가 잘되는 곳이 좋다. The topography is a mild slope or a mild slope toward the north or northeast, and there are few places in the north where there are no high mountains or rooms. In the case of soil, the topsoil is clayey or clayey soil, and the clayey soil is somewhat clayey clayey soils.
상기 인삼은 직사광선을 기피하므로 차광설비를 더하여 재배하게 되는데, 종래의 인삼 재배를 위한 차광막(망) 시설물을 간략히 살펴보면, 밭 두둑에 설치하는 프레임에 얹혀서 태양광의 직사광선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차광막(망)을 설치하게 된다. The conventional ginseng shade (net) facility for cultivating ginseng is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A shading film (net) is placed on a frame installed on a trowel to shield sunlight from direct sunlight. .
그러나 종래의 차광망은 폴리에틸렌 4중직(청색3중직+흑색1중직)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계절의 구별 없이 연중 동일한 비율로 차광하여 재배되고 있어, 봄가을과 아침에는 광 부족, 여름과 한낮에는 광 과다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light-shielding net is generally made of polyethylene four-ply yarn (blue triple yarn + black single yarn), the yarn is shaded at the same rate throughout the year without distinction of seasons. There was a problem of excessive light.
또한 기존의 차광망 시설에서는 빗물이 일부 투과되고, 특히 뒤편으로는 많은 빗물이 흘러 내려 인삼이 빗물에 노출되어 쉽게 병에 감염되며, 가뭄이 심한 봄철에는 빗물이 인삼에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서 가뭄이 심하게 타게 되며, 차광막(망)에 의하여 위쪽이 막혀 있으면 여름철에 통풍이 잘되지 않아서 저온 작물인 인삼은 고온피해는 물론 다습에 의한 병 발생 피해를 심하게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차광망 시설이 늦게 설치된 봄에는 늦서리의 피해도 받게 되고, 강한 바람에 의해 해가림 시설이 이동하거나 겨울철에 눈이 쌓여 해가림 시설이 붕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rainwater is partially permeated in the existing shading network facilities, and many rainwater flows on the backside, so that the ginseng is easily exposed to rainwater and is infected with the disease. In the spring when the drought is severe, rainwater is not sufficiently supplied to the ginseng, Ginseng, which is a low-temperature crop, has a problem that it is seriously affected by diseases caused by high humidity as well as high temperature because the upper part is clogged by a shielding film (net), and in the spring when the shading network facility is installed late, Damage was also received,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facilities were moved due to strong winds, snow was piled up in winter, and the facilities were collapsed.
또한, 인삼이나 고추, 포도 등의 비가림 재배 또는 비닐하우스 재배에서도 시설비의 과다, 여름철 통기 부족에 의한 고온, 다습 피해, 봄철의 급격한 기온 상승으로 인한 조기 생장에 따른 저온 피해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비가림 또는 비닐하우스 재배에서 재배자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In addition, problems such as excessive facility cost in the rainless cultivation of ginseng, red pepper, and grapes, and low temperature due to early growth due to rapid temperature rise in spring caused by insufficient ventilation in summer Growers are experiencing many difficulties in rain forest or vinyl house cultiv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풍이 가능하며, 일조량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광량을 조절하는 동시에 빗물 투과를 조절하고, 바람,서리,눈에 의해 작물이나 시설이 피해를 받지 않도록 조절막의 개폐를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ventilating,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so as to secure sufficient amount of sunshine, adjusting rainwater permeability, and preventing the crop or facility from being damaged by wind, frost, And to provide an environment control device for cultivating crops which can artificial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membrane.
재배지에 수직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직대; 상기 수직대에 양 단이 결합되어 전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가로대; 및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수직대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가로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로대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고정단; 상기 가로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 후방 왕복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우 한 쌍의 이동단; 및 상기 이동단과 상기 고정단 사이의 임의의 영역이 접히는 접이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접이단은 상기 가로대에 고정되어 상기 재배지 상부에 배치되는 사각부재의 조절막; 및 상기 이동단에 고정되되, 작동부에 의해 전 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와이어; 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에 고정된 이동단이 상기 고정단에 대해 근접하거나 이격됨으로써, 상기 조절막이 접어지거나 펼쳐져 상기 재배지의 상부공간을 덮거나 개방하는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지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작동부는 상기 와이어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가 권취된 제 1 권취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1 구동모터; 및 상기 와이어의 후방 단부와 후방 연결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작동으로 상기 와이어가 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와이어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부재; 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접이단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연결재가 상기 가로대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막이 가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접이단에 고정된 연결재와 연결되어 상기 접이단을 상기 가로대의 길이방향으로 전 후방 이동시켜 상기 와이어에 대한 상기 조절막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연결재와 연결되는 이동재; 상기 이동재를 전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재가 권취된 제 2 권취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2 구동모터; 및 상기 이동재의 후방 단부와 후방 연결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작동으로 상기 이동재가 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이동재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대는 상기 와이어가 안착되는 와이어 홈이 외부면에 형성된 롤러를 복수개 구비할 수 있다.A plurality of vertical bar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cultivation ground; A pair of right and left ram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vertical bar to extend forward and backward; And a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bars arranged forward and rearward; A pair of left and right fixed ends fixed to the cross ba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 bar; A pair of left and right movable ends provid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 bar; And an engaging portion in which an arbitrary region between the moving end and the fixed end is folded; Wherein the abutment is fixed to the cross bar and is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ultivation bed; And a wire fixed to the moving end, the wire being movable back and forth by an operating part; Wherein the movable end fixed to the wire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ing part is moved toward or away from the fixed end so that the adjustment membrane is folded or unfolded to cover or open the upper space of the plantation cultivation environment, / RTI >
In this case, the actua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winding axis around which the wire is wound to move forward or backwar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nd a first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wire and the rear linkage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move the wire backward when the wire is moved forward by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 ≪ / RTI >
A connecting member fixed to the abutting end may be fixed to the cross bar so that the adjusting film can be temporarily fixed.
And an opening / closing par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fixed to the connection end and moving the connection end back and for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piece to adjust an arrangement angle of the adjustment film with respect to the wire.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includes a moving member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A second driving motor that rotates the second winding axis around which the moving material is wound to move forward or backward to move the moving material forward or backward; And a second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moving member and the rear linkage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moving the moving member backward when the moving member is moved forward by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motor; . ≪ / RTI >
The connecting block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groove on which the wire is seat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작물 재배 시 시간대별 및 계절별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강우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작물재배시 최적의 생장 조건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time base and the season during cultivation of the crop, and to block the inflow of rainwater during rainfall, thereby providing an optimal growth condition in growing the crop.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의 제 1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의 제 2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vironment control apparatus for growing a cro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n environment control apparatus for growing a cro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FIG. 4 is a first operational state view of the apparatus for cultivating a cro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econd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n environment control apparatus for growing a cro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n environment control apparatus for growing a cro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nvironmental control device for growing a cro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100)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도 4 및 도 5의 제 1 또는 제 2 구동모터(135, 145)가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 제 1 또는 제 2 탄성부재(136, 146)가 위치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규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10), 조절막(120) 및 작동부(13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10)는 재배지의 상부공간에 조절막(120)을 설치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물로, 수직대(111)와 가로대(113) 및 연결대(112)를 포함한다.
수직대(111)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재배지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재배지에 고정되고, 타단이 연결대(112) 및 가로대(113)와 결합된다. 이 때, 복수의 수직대(111)는 일정간격을 두고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100)의 전방, 후방 및 중앙에 각각 구비된다.
이 때, 조절막(120)이 양 측부로 하방 경사지도록 설치되기 위하여 중앙에 설치되는 수직대(111)의 길이가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수직대(111)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는 강우시 또는 적설 시 경사지게 설치된 조절막(120)을 따라 눈 또는 빗물이 지면으로 흘러내려 조절막(120)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 때, 가로대(1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100)의 양 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100)의 전 후방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로대(113)는 일단이 지면에 고정되는 수직대(111)의 타단측에 수직대(111)와 직교하도록 결합된다.
이 때, 중앙에 설치되는 수직대(111)와 직교하도록 결합되는 가로대(113)는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100)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양 측부에 설치되는 수직대(111)와 직교하도록 결합되는 가로대(113) 중 상측에 위치한 제 1 가로대(113a)에는 조절막(120)의 고정단(121)이 연결재(125)에 의해 고정되고, 하측에 위치한 제 2 가로대(113b)에는 조절막(120)의 접이단(123)이 연결재(125)에 의해 고정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로대(113)는 걸림부재를 갖는 판재로 구비되어 상부측에 위치한 걸림부재에는 고정단(121)이 고정되고, 하부측에 위치한 걸림부재에는 연결단이 고정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연결대(112)는 프레임부(110)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하여 일 측면부의 수직대(111)와 타 측면부의 수직대(111)를 연결한다. 이 때, 연결대(112)는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100)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되, 양 측부에 설치된 수직대(111) 및 가로대(113)와 직교 결합된다. 이 때, 중앙에 위치한 수직대(111)와 양 측부에 위치한 수직대(111)를 연결하는 연결대(112)는 조절막(120)이 형성하는 경사각과 대응되는 경사각이 형성되고, 양 측부에 설치된 가로대(113)와는 직교하되, 양 측부에 설치된 수직대(111)와는 직교하지 않고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수직대(111)와 결합한다.
이 때, 경사각이 형성된 연결대(112)에는 와이어(131)에 인가되는 마찰력이 감소하도록 외주면을 따라 와이어(131)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롤러(114)가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 개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막(120)은 접이 가능한 사각부재로 이루어져 재배지의 상부공간에 구비되는 것으로, 재배지의 상부공간을 덮거나 개방한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조절막(120)이 V자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며, 조절막(120)의 고정단(121)이 제 1 가로대(113a)에 고정되고, 조절막(120)의 접이단(123)이 제 2 가로대(113b)에 고정된 상태이다. 도 2(b)는 이동단(122)이 동일한 조절막(120)의 고정단(121)에 접근하여 최종적으로 조절막(120)이 포개진 상태를 도시한다.
이 때, 조절막(120)은 사각형의 막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와이어(131)의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단(122), 가로대(113)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단(121) 및 조절막(120) 소정의 영역이 포개어지도록 이동단(122) 및 고정단(121) 사이에 접이단(1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절막(120)은 강우시 비가 투과되지 않도록 방수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조절막(120)의 이동단(122) 및 고정단(121)에는 와이어(131)가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단(122)은 와이어(131)의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걸림구(13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만, 고정단(121)의 경우 관통공이 반드시 형성되어 와이어(131)가 관통해야 할 것은 아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가 조절막(120)의 고정단(121)과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등 고정단(121)과 와이어(131)가 결합되지 않는다면 와이어(131)의 이동과 관계없이 고정단(121)의 위치가 일정할 수 있고, 관통공 없이도 발명의 실시가 가능하다. 반면 이동단(122)의 경우, 와이어(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단(122)의 양 측 와이어(131) 상에 형성된 걸림구(132)로 인해 와이어(131)의 이동시, 이동단(122)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2 를 참조하면, 고정단(121)은 가로대(113) 중 제 1 가로대(113a)와 고정단(121)에 고정되도록 배치된 연결재(12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조절막(120)에 형성된 고정단(121)은 가로대(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재(12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재(125)는 와이어 등의 선재가 일반적이나 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접이단(123)도 제 2 가로대(113b)에 고정될 수 있는데, 수직대(111)와 결합된 가로대(113) 중 하측에 위치한 제 2 가로대(113b)와 연결재(12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연결재(125)는 와이어 등의 선재가 일반적이나, 강재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연결재(125)는 접이단(123)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막(120)의 고정단(121) 및 접이단(123)이 연결재(125)에 의해 가로대(113)와 연결되므로 조절막(120)의 위치를 가고정 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관통공 및 걸림구(132)에 의해 이동단(122)과 고정되는 와이어(131)는 일단이 제 1 권취축(134)에 권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131)상에 이동단(122)이 형성된 조절막(120)의 양 측에 걸림구(132)가 형성되고, 이동단(122)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는 와이어(131)가 걸림구(132)에 의해 고정되며, 이 때, 와이어(131)는 전방측에 위치한 작동부(130)에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작동부(130)는 와이어(131)의 일단이 연결된 제 1 권취축(134), 제 1 권취축(134)과 연결된 제 1 구동모터(135) 및 와이어(131)의 타단과 후방측 연결대(112) 사이에 구비되는 제 1 탄성부재(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탄성부재(136)는 제 1 구동모터(135)가 와이어(131)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탄성에너지를 보존할 수 있으며, 제 1 구동모터(135)가 와이어(131)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후방으로 이동하는 와이어(131)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날씨변화에 따라 조절막(120)의 상태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날씨가 맑은 경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100)는 제 1 구동모터(135)가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구동모터(135)와 연결된 제 1 권취축(134)이 회전하고 제 1 권취축(134)에 권취된 와이어(131)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전방 이동되는 와이어(131)의 후방에 연결된 제 1 탄성부재(136)에 탄성에너지가 보존된다. 이 경우, 단지 와이어(131)가 관통되는 관통공만 형성된 고정단(121)은 와이어(131)의 이동과 상관없이 고정되지만, 와이어(131)가 관통되는 관통공에 와이어(131)와 이동단(122)을 결합하는 걸림구(132)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122)은 와이어(131)의 이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3 (b)와 같이 고정단(121)에 대하여 이동단(122)이 근접함으로써 조절막(120)이 접어져 포개진다. 이에 따라, 재배지의 상부공간을 개방하게 되며, 개방된 상부공간을 통해 통풍이 가능하며, 재배지에 일정량의 광이 조사될 수 있다.
반대로, 강우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100)는 제 1 구동모터(135)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구동모터(135)와 연결된 제 1 권취축(134)이 회전하고 제 1 권취축(134)에 권취된 와이어(131)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단지 와이어(131)가 관통되는 관통공만 형성되거나 와이어(131)와 결합되지 않은 고정단(121)은 와이어(131)의 이동과 상관없이 고정되지만, 와이어(131)가 관통되는 관통공에 와이어(131)와 이동단(122)을 결합하는 걸림구(132)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122)은 와이어(131)의 이동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3 (a)와 같이 와이어(131)의 이동에 의해 고정단(121)에 대하여 이동단(122)이 일정간격 이격됨으로써 조절막(120)이 대략 "V"자형을 이루게 펼쳐지면서 재배지의 상부공간을 덮는다.
이에 따라, 재배지의 상부공간을 통해 빗물이 작물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빗물에 의해 작물이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의 제 1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의 제 2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10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10)와 조절막(120) 및 작동부(130')를 포함하며, 조절막(120)은 제 1실시예에 개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써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100')의 프레임 부는 수직대(111), 연결대(112) 및 제 1 가로대(11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수직대(111) 및 연결대(112)는 제 1 실시예에 개시된 구성과 동일하다. 이 때,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100')의 양 측부에 설치된 제 1 가로대(113a)에는 조절막(120)의 고정단(121)이 연결재(12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조절막(120)의 접이단(123)이 제 2 가로대(113b)에 연결되지 않고 이동재(141)에 연결되는 점이 다르다.
이 때, 작동부(130')는 조절막(120)이 포개진 상태에서 접이단(123)에 연결된 연결재(125)와 연결되되, 접이단(123)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켜 조절막(120)의 배치각도를 조절하는 개폐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개폐부(140)는 와이어 등의 선재로 이루어지고 연결재(125)에 의해 접이단(123)과 연결되는 이동재(141), 이동재(141)의 일단이 권취되는 제 2 권취축(144), 이동재(141)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2 탄성부재(146) 및 제 2 권취축(144)과 연결되는 제 2 구동모터(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접이단(123)과 이동재(141)를 연결하는 연결재(125)는 이동재(14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이동재(14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동재(141)의 타단 및 후방에 배치된 연결대(112) 사이에 배치된 제 2 탄성부재(146)는 이동재(141)가 전방으로 이동시 탄성에너지를 보존하여 이동재(141)의 후방 이동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와 달리 개폐부(140)를 포함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100')는 제 2 구동모터(145)에 의해 이동재(141)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동재(141)의 이동에 의해 이동재(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배치된 연결재(125)가 전방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전방으로 이동하는 연결재(125)는 일단이 조절막(120)의 접이단(123)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므로 최종적으로 접이단(123)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100')가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모양의 지붕이 형성된다면, 이동재(141)의 전방이동 시, 접이단(123)은 이동재(141)의 길이방향으로 완벽하게 이동하지 않고 대각선 방향으로 비스듬히 이동할 수 있다. 즉, 환경조절장치(100')의 지붕 상부측에 위치한 조절막(120)은 양 측부에 위치한 조절막(120)에 비해 개폐되는 각도가 작을 것이다. 하지만 이동재(141)가 이동하기 전과 비교하여 더 많은 광을 조사하는 점은 동일하다.
도 7은 날씨변화에 따라 조절막(120)의 상태변화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강우시에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7(a)와 같이 와이어(131)의 이동에 의해 고정단(121)에 대하여 이동단(122)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조절막(120)이 펼쳐져 대략 "V"자형을 이루면서 재배지의 상부공간을 덮는다. 이를 통해, 재배지의 상부공간을 통해 빗물이 작물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빗물에 의해 작물이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일조량 클 때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7(b)와 같이 와이어(131)의 전방 이동에 의해 고정단(121)과 이동단(122)이 가까워지고 이에 조절막(120)이 접어져 포개진다. 이 때, 조절막(120)은 와이어(131)에 대하여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이를 통해, 재배지의 상부공간의 일부를 개방하게 되므로, 개방된 상부공간을 통해 통풍이 가능하며, 재배지에 적은 양의 광이 도달할 수 있다.
반면, 강우가 없고 일조량이 적은 경우에는 제 2 구동모터(145) 및 제 2 권취축(144)이 회전하여 이동재(141)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재(141)와 연결재(125)에 의해 연결된 접이단(123)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막(120)이 재배지의 상부공간을 더 개방하게 되므로 재배지에는 보다 많은 양의 광이 조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은 작물 재배 시 시간대별 및 계절별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강우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작물재배시 최적의 생장 조건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but may also include other elements.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n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vironment control apparatus for growing a cro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n environment control apparatus for growing a cro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to 3, the apparatus for cultivating an environment for growing a cro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As shown in FIG. 1, the
A plurality of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This is to prevent an excessive load from being applied to the regulating
1, the
At this time, th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Referring to FIG. 1, the connecting
At this time, a plurality of
As shown in FIG. 2, the
At this time, the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moving
2, the
The connecting
Therefore, since the fixing
1 and 2, one end of the
The
FIGS. 2 and 3 show state changes of the
In contrast, when th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ainwater from flowing into the crop pile through the upper space of the cultivation pile, thereby preventing the crop from being rotten by the rainwater.
FIG. 4 is a first operational state view of the apparatus for cultivating a cro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econd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n environment control apparatus for growing a cro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n environment control apparatus for growing a cro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nvironmental control device for growing a cro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7, the apparatus 100 'for cultivating a cro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e frame portion of the environmental control device 100 'for cultivating crop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At this time, the actuating part 13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The connecting
The moving
1, 4, and 5, if the triangular roof is formed on the environment-controlling device 100 'for cultivating crop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moving
FIG. 7 illustrates a state change of the
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sunshine is large, the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rainfall and the amount of sunshine is small, th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time and season during cultivation of crops and block the inflow of rainwater during rainfall, it has an effect of providing optimal growth conditions in cultivation of crop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100' :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 110 : 프레임부
111 : 수직대 112 : 연결대
113a : 제 1 가로대 113b : 제 2 가로대
114 : 롤러 120 : 조절막
121 : 고정단 122 : 이동단
123 : 접이단 125 : 연결재
130,130' : 작동부 131 : 와이어
132 : 걸림구 134 : 제 1 권취축
135 : 제 1 구동모터 136 : 제 1 탄성부재
140 : 개폐부 141 : 이동재
144 : 제 2 권취축 145 : 제 2 구동모터
146 : 제 2 탄성부재100, 100 ': environment control device for crop cultivation 110: frame part
111: vertical stand 112: connecting stand
113a:
114: roller 120: regulating membrane
121: fixed end 122: movable end
123: connection terminal 125: connector
130,130 ': Operation part 131: Wire
132: stopper 134: first winding shaft
135: first driving motor 136: first elastic member
140: opening and closing part 141:
144: second take-up shaft 145: second drive motor
146: second elastic member
Claims (9)
상기 가로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로대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고정단; 상기 가로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 후방 왕복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우 한 쌍의 이동단; 및 상기 이동단과 상기 고정단 사이의 임의의 영역이 접히는 접이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접이단은 상기 가로대에 고정되어 상기 재배지 상부에 배치되는 사각부재의 조절막; 및
상기 이동단에 고정되되, 작동부에 의해 전 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와이어; 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에 고정된 이동단이 상기 고정단에 대해 근접하거나 이격됨으로써, 상기 조절막이 접어지거나 펼쳐져 상기 재배지의 상부공간을 덮거나 개방하는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A plurality of vertical bar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cultivation ground; A pair of right and left ram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vertical bar to extend forward and backward; And a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bars arranged forward and rearward;
A pair of left and right fixed ends fixed to the cross ba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 bar; A pair of left and right movable ends provid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 bar; And an engaging portion in which an arbitrary region between the moving end and the fixed end is folded; Wherein the abutment is fixed to the cross bar and is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ultivation bed; And
A wire fixed to the moving end, the wire being movable back and forth by an operating part; Wherein the movable end fixed to the wire is moved toward or away from the fixed end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ing part so that the adjusting membrane is folded or unfolded to cover or open the upper space of the planting area.
상기 작동부는 상기 와이어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가 권취된 제 1 권취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1 구동모터; 및
상기 와이어의 후방 단부와 후방 연결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구동모터의 작동으로 상기 와이어가 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와이어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tuating unit comprises: a first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winding axis around which the wire is wound forward or backward to move the wire forward or backward; And
A first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wire and the rear linkage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move the wire backward when the wire is moved forward by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nvironment of the crop cultivation.
상기 접이단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연결재가 상기 가로대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막이 가고정되는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necting member fixed to the connecting end is fixed to the cross bar so that the adjusting membrane is fixed.
상기 접이단에 고정된 연결재와 연결되어 상기 접이단을 이동시켜 상기 와이어에 대한 상기 조절막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여, 작물에 조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The method of claim 3,
And an opening / closing uni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fixed to the connection end to move the connection end to adjust an arrangement angle of the control film with respect to the wire to control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to the crop.
상기 개폐부는 상기 연결재와 연결되는 이동재; 상기 이동재를 전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재가 권취된 제 2 권취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2 구동모터; 및
상기 이동재의 후방 단부와 후방 연결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작동으로 상기 이동재가 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이동재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includes a moving member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A second driving motor that rotates the second winding axis around which the moving material is wound to move forward or backward to move the moving material forward or backward; And
A second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moving member and the rear connecting member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moving the moving member backward when the moving member moves forward by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moto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nvironment of the crop cultivation.
상기 연결대는 상기 와이어가 안착되는 와이어 홈이 외부면에 형성된 롤러를 복수개 구비하는 작물재배용 환경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connection block includes a plurality of roller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groove on which the wire is sea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0918A KR101677081B1 (en) | 2014-08-25 | 2014-08-25 | Environment control Device for crop Cultiv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0918A KR101677081B1 (en) | 2014-08-25 | 2014-08-25 | Environment control Device for crop Cultiv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4284A KR20160024284A (en) | 2016-03-04 |
KR101677081B1 true KR101677081B1 (en) | 2016-11-17 |
Family
ID=55535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0918A Active KR101677081B1 (en) | 2014-08-25 | 2014-08-25 | Environment control Device for crop Cultiv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708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4909B1 (en) | 2022-03-17 | 2022-09-19 | 주식회사 디에이이엔지 | Opening/clos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rop cultiva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86932B (en) * | 2020-04-21 | 2021-11-26 | 罗冬香 | Straw curtain covering device for vegetable planting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99109A (en) | 2000-04-27 | 2001-10-30 | Lee Yongu-Kyuu | Apparatus for moving heat-insulation curtain of greenhouse |
JP2008263905A (en) * | 2007-04-24 | 2008-11-06 | National Institute Of Agrobiological Sciences | Short day equipment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82243B1 (en) * | 1996-02-29 | 1999-03-20 | 위계성 | No-post triple greenhouse |
KR20000024336A (en) * | 2000-02-09 | 2000-05-06 | 김범식 | Device for Opening and Shutting Curtain in Greenhouse |
KR200290953Y1 (en) | 2002-07-11 | 2002-10-04 | 김종석 | Structure of shading frame in Ginseng cultivation |
-
2014
- 2014-08-25 KR KR1020140110918A patent/KR10167708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99109A (en) | 2000-04-27 | 2001-10-30 | Lee Yongu-Kyuu | Apparatus for moving heat-insulation curtain of greenhouse |
JP2008263905A (en) * | 2007-04-24 | 2008-11-06 | National Institute Of Agrobiological Sciences | Short day equipmen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4909B1 (en) | 2022-03-17 | 2022-09-19 | 주식회사 디에이이엔지 | Opening/clos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rop cultiv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4284A (en) | 2016-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966934C (en) |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degree days for the cultivation of particular fruit bearing vines in unfavourable climatic regions | |
US20170145689A1 (en) | Pergola cover | |
AU2002342551B8 (en) | Weather protection device for the protection of special cultures sensitive to moisture | |
CN104106440A (en) | Kiwifruit tree planting method | |
US20110067298A1 (en) | System for protecting crops from the weather | |
KR101623563B1 (en) | Assembled convertible vinyl house | |
KR101524826B1 (en) | Blind Device for Ginseng Cultivation | |
KR101677081B1 (en) | Environment control Device for crop Cultivation | |
CN107047115B (en) | Vertical wall greening system | |
KR101385566B1 (en) | A house for ginseng planting | |
CN205727320U (en) | Fructus actinidiae chinensis plantation frame | |
CN204392972U (en) | A kind of shading type seedling raising greenhouse | |
KR100830904B1 (en) | Rainforest facilities for fruit growing | |
KR20200075240A (en) | Tunnel house type ginseng cultivation facility | |
KR101698326B1 (en) | Apparatus for controling net block of sunshine for ginseng and herbage | |
KR101207058B1 (en) | Blind type device for controlling rain or sunshine in crop cultivation | |
CN111183826B (en) | Double-layer film coverage type southern grape cultivation greenhouse | |
CN205337015U (en) | Big -arch shelter is planted to fruit vegetables in subtropical zone coastal area | |
JP5834352B2 (en) | Agricultural house | |
JP4523804B2 (en) | Greening device and building using the same | |
KR102496750B1 (en) | Double structure house for cultivating ginseng | |
JP5834351B2 (en) | Agricultural slope structure | |
KR101330085B1 (en) | Shutter Controlling Device for Ginseng Cultivation | |
JP5182862B2 (en) | Building-tilt building | |
JP2022126556A (en) | Agricultural greenhou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2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11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111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