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76313B1 - 유기 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313B1
KR101676313B1 KR1020100051442A KR20100051442A KR101676313B1 KR 101676313 B1 KR101676313 B1 KR 101676313B1 KR 1020100051442 A KR1020100051442 A KR 1020100051442A KR 20100051442 A KR20100051442 A KR 20100051442A KR 101676313 B1 KR101676313 B1 KR 101676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substrate
linear polariz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807A (ko
Inventor
권오준
이관희
송승용
최영서
전진환
정선영
류지훈
주영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313B1/ko
Priority to US13/040,157 priority patent/US8508121B2/en
Publication of KR20110131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807A/ko
Priority to US13/964,002 priority patent/US8729793B2/en
Priority to US14/262,549 priority patent/US9324970B2/en
Priority to US15/075,040 priority patent/US992921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313B1/ko
Priority to US15/893,526 priority patent/US10249693B2/en
Priority to US16/277,867 priority patent/US10971563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9/00Tenebrescent materials, i.e. materials for which the range of wavelengths for energy absorption is changed as a result of excitation by some form of energy
    • C09K9/02Organic tenebr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광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원편광이 구현되도록 하기 위하여,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어 화상을 구현하는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위치하는 밀봉부재와, 상기 기판, 유기 발광 소자, 및 밀봉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면들 중 일 면에 성막된 위상 지연층과, 상기 기판, 유기 발광 소자, 밀봉부재, 및 위상 지연층에 의해 형성되는 면들 중의 다른 일 면에 성막되고, 상기 위상 지연층으로부터 상기 화상이 구현되는 방향에 가깝게 위치하며, 포토 크로믹 물질을 포함하는 선형 편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외부광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원편광을 구현할 수 있는 유기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장치는 햇빛과 같이 외광이 있는 환경에서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해 원편광판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유기 발광 장치는 액정 표시장치와는 달리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필수 구성요소로서 편광판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광의 반사를 막기 위해서 원편광판을 사용되는 데, 이 원편광판을 사용함으로 인해 발광 휘도가 최소 50% 이상 손실된다.
특히, 실내에 있거나 어두울 때와 같이 외부광에 의한 반사가 시인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곳에서는 원편광판에 의한 시인성 개선의 효과보다는 휘도 저하의 문제가 더 크게 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광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원편광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는 유기 발광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어 화상을 구현하는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위치하는 밀봉부재와, 상기 기판, 유기 발광 소자, 및 밀봉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면들 중 일 면에 성막된 위상 지연층과, 상기 기판, 유기 발광 소자, 밀봉부재, 및 위상 지연층에 의해 형성되는 면들 중의 다른 일 면에 성막되고, 상기 위상 지연층으로부터 상기 화상이 구현되는 방향에 가깝게 위치하며, 포토 크로믹 물질을 포함하는 선형 편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기판 상에 성막되고, 상기 위상 지연층은 상기 선형 편광층 상에 성막되며,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위상 지연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위상 지연층은 상기 기판 상에 성막되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위상 지연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위상 지연층이 성막된 반대면에 성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위상 지연층 및 선형 편광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유기 발광소자가 위치하는 면의 반대 면에 순차로 성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위상 지연층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성막되고,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위상 지연층 상에 성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위치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상 지연층은 상기 보호막 상에 성막되며,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위상 지연층 상에 성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위치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상 지연층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보호막 사이에 성막되며,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보호막 상에 성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기판과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사이에 개재된 반사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상 지연층은 상기 반사막과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사이에 성막되며,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성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밀봉부재가 투명 기판이고, 상기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밀봉부재의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향한 면의 반대면에 순차로 성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밀봉부재가 투명 기판이고, 상기 위상 지연층은 상기 밀봉부재의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향한 면에 성막되며,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밀봉부재의 상기 위상 지연층이 형성된 반대면에 성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밀봉부재가 투명 기판이고,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밀봉부재의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향한 면에 성막되며, 상기 위상 지연층은 상기 선형 편광층의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향한 면에 성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위상 지연층은 1/4파장층 또는 1/2파장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포토 크로믹 물질로 구비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와이어 그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형 편광층을 구성하는 와이어 그리드가 외광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색 또는 투명이 됨으로써, 태양광 하에서는 외광의 반사를 막아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고, 실내 또는 어두울 때에는 휘도가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접착층이 없이 직접 성막할 수 있으므로, 유기 발광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1의 선형 편광층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장치의 또 다른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장치의 서로 다른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구동 방식의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장치의 서로 다른 예들을 도시한 단면도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 구동 방식의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투명한 소재로 구비된 기판(1)과, 이 기판(1) 상에 순차로 형성된 선형 편광층(2), 위상 지연층(3), 유기 발광 소자(5)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5)의 상부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유기 발광 소자(5)를 외부로부터 밀봉시키는 글라스, 박막 부재, 메탈 캡 등의 밀봉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1)은 S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투명한 글라스재의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기판(1)의 상면에는 기판의 평활성과 불순원소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하여 버퍼층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버퍼층은 SiO2 및/또는 SiNx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기판(1)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한 플라스틱재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기판(1)의 상면에 선형 편광층(2)이 성막되고, 이 선형 편광층(2) 상에 위상지연층(3)을 성막한다. 그리고, 위상지연층(3) 상에 유기 발광 소자(5)를 형성한다. 선형 편광층(2), 위상지연층(3)의 적층 순서는 외광의 입사 방향에 가깝도록 선형 편광층(2)을 배치시키고, 그 안쪽에 위상지연층(3)을 배치시킨다. 선형 편광층(2)과 위상지연층(3)의 사이에는 다른 광투과성 층이 개재되어도 무방하다.
유기 발광 소자(5)는 서로 대향된 제 1 전극층(51)과 제2전극층(53)을 구비하고, 이 사이에 개재된 발광층(52)을 구비한다.
상기 제1전극층(51)은 투명 소재의 전도성 물질로 형성할 수 있는 데, ITO, IZO, In2O3, 및 ZnO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포토 리소그래피법에 의해 소정의 패턴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층(51)의 패턴은 수동 구동형(Passive Matrix type: PM)의 경우에는 서로 소정 간격 떨어진 스트라이프 상의 라인들로 형성될 수 있고, 능동 구동형(Active Matrix type: AM)의 경우에는 화소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능동 구동형의 경우에는 또한, 이 제 1 전극층(51) 하부의 기판(1)에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TFT(Thin Film Transistor)층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전극층(51)은 이 TFT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수동 구동형 및 능동 구동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렇게 투명전극으로 구비된 제 1 전극층(51)은 도시되지 않은 외부 단자에 연결되어 애노드(anode)전극으로서 작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층(51)의 상부로는 제 2 전극층(53)이 위치되는 데, 이 제 2 전극층(53)은 반사형 전극이 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은, 및/또는 칼슘 등으로 형성되고, 도시되지 않은 외부 제 2 전극단자에 연결되어 캐소오드(cathode)전극으로서 작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층(53)은 수동 구동형의 경우에는 제 1 전극층(51)의 패턴에 직교하는 스트라이프 상의 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고, 능동 구동형의 경우에는 화소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능동 구동형의 경우에는 화상이 구현되는 액티브 영역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실시예는 후술한다.
상기와 같은 제 1 전극층(51)과 제 2 전극층(53)은 그 극성이 서로 반대가 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전극층(51)과 제 2 전극층(53)의 사이에 개재된 발광층(52)은 제 1 전극층(51)과 제 2 전극층(53)의 전기적 구동에 의해 발광한다. 상기 발광층(52)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52)이 저분자 유기물로 형성된 저분자 유기층인 경우에는 유기 발광층(EML)을 중심으로 제 1 전극층(51)의 방향으로 홀 수송층 및 홀 주입층 등이 적층되고, 제 2 전극층(53)의 방향으로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등이 적층된다. 물론, 이들 홀 주입층, 홀 수송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외에도 다양한 층들이 필요에 따라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한편, 고분자 유기물로 형성된 고분자 유기층의 경우에는 유기 발광층을 중심으로 제 1 전극층(51)의 방향으로 홀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만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홀 수송층은 폴리에틸렌 디히드록시티오펜 (PEDOT: poly-(2,4)-ethylene-dihydroxy thiophene)이나, 폴리아닐린(PANI: polyaniline) 등을 사용하여 잉크젯 프린팅이나 스핀 코팅의 방법에 의해 상기 제 1 전극층(51)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분자 유기 발광층은 PPV, Soluble PPV's, Cyano-PPV,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잉크젯 프린팅이나 스핀 코팅 또는 레이저를 이용한 열전사방식 등의 통상의 방법으로 컬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소자(5)의 발광층(52)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기판(1)의 방향으로 방출되고, 사용자는 도 1의 아랫 방향, 즉, 기판(1)의 하측 외부에서 화상을 관찰하게 된다. 이러한 배면 발광형 구조에서, 태양광과 같은 외광이 기판(1)을 통해 유입되어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선형 편광층(2) 및 위상지연층(3)이 원편광층을 형성해 외광의 반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상지연층(3)은 1/4 파장층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1)의 하측 외부에서 입사되는 외광은 선형 편광층(2)의 흡수축에 따른 방향의 성분이 흡수되고, 투과축에 따른 방향의 성분이 투과된다. 이 투과축에 따른 방향의 성분은 위상지연층(3)을 지나면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원평광으로 변환된 후, 유기 발광 소자(5)의 제2전극층(53)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될 때에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편광은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편광이 되고, 위상지연층(3)을 지나면서 처음의 투과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직선 편광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이 직선 편광은 선형 편광층(2)의 흡수축에 의해 흡수되어 기판(1)의 하측 외부로 나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외광 반사가 최소화되고, 콘트라스트가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 편광층(2)과 위상지연층(3)은 기판(1) 상에 성막되는 것이므로, 그 사이에 접착층이 없어 두께가 전체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발광층(52)으로부터의 화상이 접착층을 투과하는 일이 없게 되므로, 휘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선형 편광층(2)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선형 편광층(2)은 상기 기판(1) 상에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와이어 그리드(21)들을 형성한다. 각 와이어 그리드(21)의 폭은 수십 nm 정도로 할 수 있으며, 주기는 수십 내지 수백 nm 정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이 와이어 그리드(21)들은 포토크로믹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한다.
상기 포토크로믹 물질로는 나프토피란계 화합물, 스피로옥사딘계 화합물 또는 스피로피란계 화합물 등이 있는 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피로피란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1',3',3'-트리메틸스피로(2H-1-벤조피란-2,2'-인돌린), 1',3',3'-트리메틸스피로-8-니트로(2H-1-벤조피란-2,2'-인돌린), 1',3',3'-트리메틸-6-히드록시스피로(2H-l-벤조피란-2,2'-인돌린), 1',3',3'-트리메틸스피로-8-메톡시(2H-1-벤조피란-2,2'-인돌린), 5'-클로르-1',3',3'-트리메틸-6-니트로스피로(2H-1-벤조피란-2,2'-인돌린), 6,8-디브로모-1',3',3'-트리메틸스피로(2H-1-벤조피란-2,2'-인돌린), 6,8-디브로모-1',3',3'-트리메틸스피로(2H-1-벤조피란-2,2'-인돌린), 8-에톡시-1',3',3’,4’,7'-펜타메틸스피로(2H-1-벤조피란-2,2'-인돌린), 5'-클로르-1',3',3'-트리메틸스피로-6,8-디니트로(2H-1-벤조피란-2,2'-인돌린), 3,3,1-디페닐-3H-나프토-(2,1-13)피란, 1,3,3-트리페닐스피로 [인돌린-2,3'-(3H)-나프토(2,1-b)피란], l-(2,3,4,5,6-펜타메틸벤질)-3,3-디메틸스피로[인돌린-2,3'-(3H)-나프토(2,1-b)피란],1-(2-메톡시-5-니트로벤질)-3,3-디메틸스피로 [인돌린-2,3'-나프토(2,1-b)피란], 1-(2-니트로벤질)-3,3-디메틸스피로 [인돌린-2,3'-나프토(2,1-b)피란], 1-(2-나프틸메틸)-3,3-디메틸스피로 [인돌린-2,3'-나프토(2,1-b)피란], 1,3,3-트리메틸-6'-니트로-스피로 [2H-1-벤조피란-2,2'-(2H)-인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피로옥사딘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l,3,3-트리메틸스피로 [인돌리노-2,3'-(3H)나프토(2,1-b)(1,4)옥사딘], 5-메톡시-1,3,3-트리메틸스피로 [인돌리노-2,3'-(3H)나프토(2,1-b)(1,4)옥사딘], 5-클로르-1,3,3-트리메틸스피로 [인돌리노-2,3'-(3H)나프토(2,l-b)(1,4)옥사딘],4,7-디에톡시-1,3,3-트리메틸스피로 [인돌리노-2,3'-(3H)나프토(2,1-b)(1,4)옥사딘],5-클로르-1-부틸-3,3-디메틸스피로 [인돌리노-2,3'-(3H)나프토(2,1-b)(1,4)옥사딘],l,3,3,5-테트라메틸-9'-에톡시스피로 [인돌리노-2,3'-(3H)나프토(2,1-b)(l,4)옥사딘], 1-벤질-3,3-디메틸스피로 [인돌린-2,3'-(3H)나프토(2,1-b)(1,4)옥사딘], l-(4-메톡시벤질)-3,3-디메틸스피로 [인돌린-2,3'-(3H)나프토(2,1-b)(1,4)옥사딘], 1-(2-메틸벤질)-3,3-디메틸스피로 [인돌린-2,3'-(3H)나프토(2,l-b)(l,4)옥사딘], 1-(3,5-디메틸벤질)-3,3-디메틸스피로 [인돌린-2,3'-(3H)나프토(2,1-b)(1,4)옥사딘], 1-(4-클로로벤질)-3,3-디메틸스피로 [인돌린-2,3'-(3H)나프토(2,1-b)(l,4)옥사딘], 1-(4-브로모벤질)-3,3-디메틸스피로 [인돌린-2,3'-(3H)나프토(2,1-b)(1,4)옥사딘],1-(2-플루오로벤질)-3,3-디메틸스피로 [인돌린-2,3'-(3H)나프토(2,1-b)(1,4)옥사딘], 1,3,5,6-테트라메틸-3-에틸스피로 [인돌린-2,3'-(3H)피리드(3,2-f)(1,4)벤조옥사딘], l,3,3,5,6-펜타메틸스피로 [인돌린-2,3'-(3H)피리드(3,2-f)(1,4)-벤조옥사딘], 6'-(2,3-디히드로-1H-인돌-1-일)-l,3-디히드로-3,3-디메틸-1-프로필-스피로 [2H-인돌-2,3'-(3H)나프토(2,1-b)(1,4)옥사딘], 6'-(2,3-디히드로-lH-인돌-1-일)-1,3-디히드로-3,3-디메틸-1-(2-메틸프로필)-스피로 [2H-인돌-2,3'-(3H)나프토(2,1-b)(1,4)옥사딘],1,3,3-트리메틸-1-6'-(2,3-디히드로-lH-인돌-1-일)스피로 [2H-인돌-2,3'-(3H)나프토(2,1-b)(l,4)옥사딘], l,3,3-트리메틸-6'-(1-피페리딜)스피로 [2H-인돌-2,3'-(3H)나프토(2,1-b)(1,4)옥사딘], 1,3,3-트리메틸-6'-(1-피페리딜)-6-(트리플루오로메틸)스피로 [2H-인돌-2,3'-(3H)나프토(2,1-b)(1,4)옥사딘], 1,3,3,5,6-펜타메틸-스피로 [2H-인돌-2,3'-(3H)나프토(2,1-b)(1,4)옥사딘]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나프토피란계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3,3-디페닐-3H-나프토(2,1-b)피란, 2,2-디페닐-2H-나프토(1,2-b)피란,3-(2-플루오로페닐)-3-(4-메톡시페닐)-3H-나프토(2,1-b)피란, 3-(2-메틸-4-메톡시페닐)-3-(4-에톡시페닐)-3H-나프토(2,1-b)피란, 3-(2-푸릴)-3-(2-플루오로페닐)-3H-나프토(2,l-b)피란, 3-(2-티에닐)-3-(2-플루오로-4-메톡시페닐)-3H-나프토(2,1-b)피란, 3-[2-(1-메틸피롤릴)]-3-(2-메틸-4-메톡시페닐)-3H-나프토(2,l-b)피란, 스피로 [비시클로(3.3.1)노난-9,3'-3H-나프토(2,1-b)피란], 스피로[비시클로(3.3.1)노난-9-2'-3H-나프토(2,1-b)피란], 4-[4-[6-(4-모르포르닐)-3-페닐-3H-나프토(2,1-b)피란-3-일]페닐]-모르폴린, 4-[3-(4-메톡시페닐)-3-페닐-3H-나프토(2,1-b)피란-6-일]-모르폴린, 4-[3,3-비스(4-메톡시페닐)-3H-나프토(2,l-b)피란-6-일]-모르폴린,4-[3-페닐-3-[4-(1-피페리딜)페닐]-3H-나프토(2.l-b)피란-6-일]-모르폴린, 2,2-디페닐-2H-나프토(2,1-b)피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포토크로믹 물질은 야간 또는 실내광 하에서와 같이 자외선량이 적거나 휘도가 약한 외부광에 대해서는 투명 상태를 유지하다가 태양광과 같이 자외선량이 많거나 휘도가 강한 외부광에 대해서는 변색하여 불투명해지는 특성을 갖는 물질을 말한다. 또한 이러한 투명 및 불투명의 전환이 가역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물질을 말한다.
상기 와이어 그리드(21)는 상기 포토크로믹 물질을 색소로서 함유한 수지로 상기 기판(1) 상에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그리드(21)는 도 2에서와 같이 반드시 단일층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포토크로믹 물질을 포함하는 층을 전후로 투명 물질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그리드(21)는 상기 포토크로믹 물질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태양광 하에서는 변색이 일어나고, 실내광 하에서나 야간에는 투명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와이어 그리드(21)들로 형성된 선형 편광층(2) 상으로, 도 1에서와 같은 위상지연층(3)을 형성한다.
상기 위상지연층(3)으로서의 기능을 갖기 위해서는 복굴절 특성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위상지연층(3)으로, 복굴절 특성을 갖는 물질 및 복굴절 특성을 갖지 않은 물질에 인위적으로 복굴절 특성을 부여한 물질 모두 적용 가능하다.
복굴절 특성을 갖지 않은 물질에 인위적으로 복굴절 특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편광성(polarisibility)이 큰 알카리 금속 산화물을 그 결정이 기울어진 방향으로 성장하도록 함으로써 인위적으로 복굴절 특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있다. 이 때, 상기 알카리 금속 산화물은 CaO 또는 BaO로 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에서 선형 편광층(2)까지 형성된 기판(1)을 그 표면이 수직한 방향에 대해 일정 정도의 각도(θ)를 갖게 한 상태에서 위 물질을 증착함으로써 경사 결정 성장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각도(θ)는 대략 50도 내지는 80도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이 때, θ가 50도 이하의 각도로 경사 성막을 시도하면, 경사 방향으로의 성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위상지연효과를 얻을 수 있기 위해서는 상기 θ가 대략 80도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θ가 80도를 넘게 되면 위상 지연 효과가 경미해질 여지가 있다.
경사 증착된 CaO 또는 BaO의 위상지연층(3)은 그 두께에 따라 1/4파장층 또는 1/2 파장층이 될 수 있다.
CaO로 위상지연층(3)을 형성할 경우, 2 내지 5㎛로 성막할 경우 1/4파장층으로 사용할 수 있고, 4 내지 10㎛로 성막할 경우 1/2 파장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위상지연층(3)을 1/4파장층과 1/2파장층을 복합하여 적용할 경우 오른 원편광과 왼 원편광을 자유로 설정할 수 있고, 선평광되는 각도의 설정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CaO 또는 BaO로 위상지연층(3)을 형성할 경우 수분 흡수 특성으로 인하여 유기 발광 장치에 사용할 경우 수분 흡습층으로서의 기능을 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결정성장방향이 선형 편광층(2)의 면에 경사지도록 증착될 경우, 위상지연층(3)은 미세한 주상의 칼럼(column)들이 선형 편광층(2)의 표면에 경사되어 있는 형태로 복수개 배열되어 있게 된다.
상기 선형 편광층(2) 및 위상지연층(3)은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성막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선형 편광층(2) 및 위상지연층(3)은 이하 설명될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그대로 적용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장치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기판(1)의 외측을 향한 일 면에 선형 편광층(2)이 성막되고, 타면에 위상지연층(3)이 성막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위상지연층(3) 상에 유기 발광 소자(5)가 형성된다. 각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실외 태양광 하에서 선형 편광층(2)을 구성하는 포토크로믹 물질이 변색하여 선형 편광 특성을 나타내게 되면, 기판(1)의 외측으로부터 입사된 외광은 선형 편광층(2)을 통과하면서 투과축에 평행한 직선 편광이 되고, 기판(1)을 거쳐 위상지연층(3)을 통과하면서 일방향 회전 원편광이 되며, 제2전극층(53)에서 반사된 후, 타방향 회전 원편광이 된다. 이 타방향 회전 원편광이 위상지연층(3)을 재통과하면서 투과축에 직교하는 직선 편광으로 되고, 이 직선 편광은 선형 편광층(2)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기판(1)의 아래쪽 외부에서는 반사된 외광을 볼 수 없게 된다.
또한 실내에서는 선형 편광층(2)이 투명하게 되어 작동을 하지 않게 됨으로써 원편광의 기능을 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발광되는 화상의 휘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장치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기판(1)의 외측을 향한 일 면에 위상지연층(3) 및 선형 편광층(2)이 순차로 성막되고, 기판(1)의 타면에 유기 발광 소자(5)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각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외광의 반사가 차단되어 콘트라스트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은 기판(1)의 방향으로 화상이 구현되는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장치의 예이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발광층(52)으로부터 발산되는 화상이 기판(1)의 방향이 아닌, 기판(1)의 반대 방향을 향해 구현되는 전면 발광형 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기판(1) 상에 반사막(54)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반사막(54) 상에 유기 발광 소자(5)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유기 발광 소자(5)의 상부로는 유기 발광 소자(5)를 밀봉하는 밀봉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기판(1)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투명한 글라스 기판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투명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기판(1)으로는 글라스 외에 플라스틱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금속재도 사용할 수 있다. 기판(1)으로서, 금속을 사용할 경우에는 금속 표면에 절연막을 형성한다.
기판(1)의 일면에 형성된 반사막(54)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반사막(54) 상에 제1전극층(51)을 일함수가 높은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전극층(51)은 애노우드의 기능을 하는 데, 만일 제1전극층(51)이 캐소오드의 기능을 한다면, 상기 제1전극층(51)을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해, 반사막을 겸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전극층(51)이 애노우드의 기능을 하는 예를 기본으로 설명한다.
제2전극층(53)은 투과형 전극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일함수가 작은 Li, Ca, LiF/Ca, LiF/Al, Al, Mg, Ag 등의 금속으로 반투과막이 되도록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금속 반투과막 상에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도전체를 형성해 두께가 얇음에 따른 고저항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
제1전극층(51)과 제2전극층(53)의 사이에 개재되는 발광층(52)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제2전극층(53) 상면에 위상지연층(3) 및 선형 편광층(2)을 순차로 성막한다.
이에 따라, 화상이 구현되는 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외광, 즉, 도 5에서 볼 때에 상측으로부터 입사되는 외광은 선형 편광층(2) 및 위상지연층(3)을 순차로 통과한 후, 유기 발광 소자(5)의 각 층 또는 반사막(54) 표면에서 반사되어 나갈 때에, 최종 위상지연층(3)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그 원리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위상지연층(3) 및 선형 편광층(2)은 도 6과 같이, 제2전극층(53) 상면에 보호층(6)을 형성한 후에, 이 보호층(6)의 상면에 성막할 수도 있다.
상기 보호층(6)은 위상지연층(3)의 성막 공정으로 인해 제2전극층(5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투명한 무기물 또는 유기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기물로는 메탈 옥사이드(metal oxide), 메탈 나이트라이드(metal nitride), 메탈 카바이드(metal carbide), 메탈 옥시나이트라이드(metal oxynitride) 및 이들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메탈 옥사이드로는 실리콘 옥사이드,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인듐 옥사이드(Indium Oxide), 틴 옥사이드(Tin Oxide),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및 이들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메탈 나이트라이드로는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uminium nitride),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licon nitride) 및 이들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메탈 카바이드로는 실리콘 카바이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메탈 옥시나이트라이드로는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무기물로는 이 밖에도 실리콘이 사용될 수도 있고, 실리콘 및 메탈 각각의 세라믹 유도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DLC(diamond-like carbon) 등도 사용 가능하다.
유기물로는 오가닉 폴리머(organic polymer), 인오가닉 폴리머(inorganic polymer), 오가노메탈릭 폴리머(organometallic polymer), 및 하이브리드 오가닉/인오가닉 폴리머(hybrid organic/inorganic polymer)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아크릴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보호막(6)은 위상지연층(3)과 선형 편광층(2)의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선형 편광층(2)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장치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6에 따른 예에서 선형 편광층(2) 상에 박형 필름 타입의 밀봉부재(7)를 더 형성한 것이다.
이 박형 필름 타입의 밀봉부재(7)는 외부의 수분 및 산소 등으로부터 유기 발광 소자(5)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무기물층(71)과 유기물층(72)을 적어도 한 층 이상 포함하며, 무기물층(71)과 유기물층(72)이 교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외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무기물층(71)은 메탈 옥사이드(metal oxide), 메탈 나이트라이드(metal nitride), 메탈 카바이드(metal carbide), 메탈 옥시나이트라이드(metal oxynitride) 및 이들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메탈 옥사이드로는 실리콘 옥사이드,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인듐 옥사이드(Indium Oxide), 틴 옥사이드(Tin Oxide),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및 이들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메탈 나이트라이드로는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uminium nitride),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licon nitride) 및 이들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메탈 카바이드로는 실리콘 카바이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메탈 옥시나이트라이드로는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무기물로는 이 밖에도 실리콘이 사용될 수도 있고, 실리콘 및 메탈 각각의 세라믹 유도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DLC(diamond-like carbon) 등도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무기물층(71)은 증착에 의해 성막될 수 있는 데, 이렇게 무기물층(71)을 증착할 경우에는 무기물층(71)에 구비되어 있는 공극이 그대로 자라나게 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극이 같은 위치에서 계속하여 성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기물층(71) 외에 별도로 유기물층(72)을 더 구비토록 한다. 이 유기물층(72)은 오가닉 폴리머(organic polymer), 인오가닉 폴리머(inorganic polymer), 오가노메탈릭 폴리머(organometallic polymer), 및 하이브리드 오가닉/인오가닉 폴리머(hybrid organic/inorganic polymer)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선형 편광층(2) 상에 무기물층(71), 유기물층(72), 및 무기물층(71)이 순차로 적층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물층(72), 무기물층(71), 및 유기물층(72)이 순차로 적층된 구조로 하여도 무방하고, 이들 층들이 복수 층 적층되어도 무방하다. 이렇게 박형 필름 타입의 밀봉부재(7)는 반드시 도 7에 따른 실시예에만 적용될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다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인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장치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위상지연층(3)과 선형 편광층(2)이 반사막(54)과 유기 발광 소자(5)의 사이에 성막된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도 화살표 방향 외측에서 유입된 외광은 선형 편광층(2)을 통과하면서 투과축에 평행한 직선 편광이 되고, 위상지연층(3)층 통과하면서 일방향 회전 원편광이 되며, 반사막(54)에서 반사된 후, 타방향 회전 원편광이 된다. 이 타방향 회전 원편광이 위상지연층(3)을 재통과하면서 투과축에 직교하는 직선 편광으로 되고, 이 직선 편광은 선형 편광층(2)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외부에서는 반사된 외광을 볼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예에서 비록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반사막(54) 상면에 위상지연층(3)을 성막한 후, 이 위상지연층(3) 상에 유기 발광 소자(5)를 형성하고, 이 유기 발광 소자(5) 상에 선형 편광층(2)을 성막하여도 무방하다.
도 9는 밀봉부재(7)로서 투명 기판을 사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투명 기판으로는 글라스 기판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부재(7)의 상면, 즉, 외측을 향한 면에 순차로 위상지연층(3) 및 선형 편광층(2)을 성막한다.
도 10은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밀봉부재(7)인 투명 기판의 유기 발광 소자(5)를 향한 면에 위상지연층(3)이 성막되고, 밀봉부재(7)의 타면에 선형 편광층(2)이 성막된 것이다. 그리고, 도 11은 밀봉부재(7)인 투명 기판의 유기 발광 소자(5)를 향한 면에 선형 편광층(2) 및 위상지연층(3)이 순차로 성막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예들에 있어서도, 선형 편광층(2)이 외광을 향해 배치되고, 그 내측에 위상지연층(3)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외광의 반사를 차단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비록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밀봉부재(7)와 유기 발광소자(5)의 사이에는 불활성 가스가 충진될 수 있으며, 유기물 또는 무기물이 더 형성되어 유기 발광소자(5)의 밀봉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능동 구동형(Active Matrix type: AM) 배면 발광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12에 따르면, 기판(1)의 상면에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각 화소별로 적어도 하나씩 구비되는 데, 유기 발광 소자(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판(1) 상에 버퍼층(31)이 형성되고, 버퍼층(31) 상에 소정 패턴의 반도체 활성층(32)이 구비된다. 상기 활성층(32)의 상부에는 SiO2, SiNx 등으로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33)이 구비되고, 게이트 절연막(33) 상부의 소정 영역에는 게이트 전극(34)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34)은 TFT 온/오프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라인(미도시)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34)의 상부로는 층간 절연막(35)이 형성되고, 컨택 홀을 통해 소스/드레인 전극(36)이 각각 활성층(32)의 소스/드레인 영역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TFT는 패시베이션층으로 덮여 보호되는 데, 도 12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이 패시베이션층으로서, 선형 편광층(2) 및 위상지연층(3)이 순차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위상지연층(3) 상부에는 애노우드 전극이 되는 제 1 전극층(51)이 형성되고, 이를 덮도록 절연물로 화소정의막(Pixel Define Layer: 56)이 형성된다. 이 화소정의막(56)에 소정의 개구를 형성한 후, 이 개구로 한정된 영역 내에 발광층(52)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체 화소들을 모두 덮도록 제2전극층(5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능동구동형 구조에 있어서도, TFT 상부로 선형 편광층(2) 및 위상지연층(3)이 순차로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도 12에서 볼 때에 기판(1)의 하부 방향으로부터 유입된 외광의 반사를 이 선형 편광층(2)과 위상지연층(3)이 차단할 수 있게 된다.
TFT 상부로는 도 13과 같이 별도의 패시베이션층(18)이 유기물 및/또는 무기물에 의해 형성되고, 그 위로 선형 편광층(2) 및 위상지연층(3)이 순차로 성막될 수 있다.
이러한 AM 구동방식의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형 편광층(2) 및 위상지연층(3)은, 선형 편광층(2)이 외광을 향한 방향에 배치되고 위상지연층(3)이 유기 발광 소자(5)를 향한 방향에 배치되는 한, 기판(1), 박막 트랜지스터(TFT) 및 유기 발광 소자(5)에 의해 이루어지는 어떠한 면에 성막되어도 무방하다. 즉,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1, 도 3, 도 4와 같이, 기판(1)의 일 면 및/또는 타면에 위상지연층(3), 선형 편광층(2)을 성막한 후에, 그 위로 박막 트랜지스터(TFT), 유기 발광 소자(5)를 형성할 수도 있고, 위상지연층(3) 및/또는 선형 편광층(2)을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각 층으로 형성되는 계면 사이에 배치시킬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으로, 능동 구동(Active Matrix type: AM)방식의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14에 따르면, 기판(1)의 상면에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각 화소별로 적어도 하나씩 구비되는 데, 유기 발광 소자(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구조에 대한 것은 전술한 도 2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따르면,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덮도록 패시베이션막(38)이 형성되어 있고, 이 패시베이션막(38) 상에 반사막(54)이 형성된다. 그리고, 반사막(54) 상에 애노우드 전극이 되는 제 1 전극층(51)이 형성되고, 이를 덮도록 절연물로 화소정의막(56)이 형성된다. 이 화소정의막(56)에 소정의 개구를 형성한 후, 이 개구로 한정된 영역 내에 발광층(52)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체 화소들을 모두 덮도록 제2전극층(53)이 형성된다.
도 14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1에 따른 실시예와 같이, 밀봉부재(7)인 기판의 유기 발광 소자(5)를 향한 면에 순차로 선형 편광층(2) 및 위상지연층(3)을 성막하였다. 따라서 도 14에서 볼 때, 밀봉부재(7)의 위쪽에서 입사되는 외광의 반사를 이 선형 편광층(2)과 위상지연층(3)이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능동 구동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도 도 5 내지 도 10과 같은 구조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드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기판 2: 선형 편광층
3: 위상 지연층 5: 유기 발광 소자
6: 보호층 7: 밀봉 부재
51: 제 1 전극층 52: 발광층
53: 제 2 전극층 54: 반사막
71: 무기물층 72: 유기물층

Claims (13)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어 화상을 구현하는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위치하는 밀봉부재;
    상기 기판, 유기 발광 소자, 및 밀봉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면들 중 일 면에 성막된 위상 지연층; 및
    상기 기판, 유기 발광 소자, 밀봉부재, 및 위상 지연층에 의해 형성되는 면들 중의 다른 일 면에 성막되고, 상기 위상 지연층으로부터 상기 화상이 구현되는 방향에 가깝게 위치하며, 포토 크로믹 물질로 구비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와이어 그리드를 포함하는 선형 편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그리드는 상기 포토 크로믹 물질을 포함하는 층과 투명 물질층이 적층된 구조인 유기 발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기판 상에 성막되고, 상기 위상 지연층은 상기 선형 편광층 상에 성막되며,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위상 지연층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지연층은 상기 기판 상에 성막되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위상 지연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위상 지연층이 성막된 반대면에 성막된 유기 발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지연층 및 선형 편광층은 상기 기판의 상기 유기 발광소자가 위치하는 면의 반대 면에 순차로 성막된 유기 발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지연층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성막되고,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위상 지연층 상에 성막된 유기 발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위치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상 지연층은 상기 보호막 상에 성막되며,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위상 지연층 상에 성막된 유기 발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위치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상 지연층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보호막 사이에 성막되며,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보호막 상에 성막된 유기 발광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사이에 개재된 반사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상 지연층은 상기 반사막과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사이에 성막되며,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성막된 유기 발광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가 투명 기판이고, 상기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밀봉부재의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향한 면의 반대면에 순차로 성막된 유기 발광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가 투명 기판이고, 상기 위상 지연층은 상기 밀봉부재의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향한 면에 성막되며,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밀봉부재의 상기 위상 지연층이 형성된 반대면에 성막된 유기 발광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가 투명 기판이고,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밀봉부재의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향한 면에 성막되며, 상기 위상 지연층은 상기 선형 편광층의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향한 면에 성막된 유기 발광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지연층은 1/4파장층 또는 1/2파장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장치.
  13. 삭제
KR1020100051442A 2010-05-31 2010-05-31 유기 발광 장치 Active KR101676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442A KR101676313B1 (ko) 2010-05-31 2010-05-31 유기 발광 장치
US13/040,157 US8508121B2 (en) 2010-05-31 2011-03-03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3/964,002 US8729793B2 (en) 2010-05-31 2013-08-09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4/262,549 US9324970B2 (en) 2010-05-31 2014-04-25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5/075,040 US9929219B2 (en) 2010-05-31 2016-03-18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5/893,526 US10249693B2 (en) 2010-05-31 2018-02-09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6/277,867 US10971563B2 (en) 2010-05-31 2019-02-15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442A KR101676313B1 (ko) 2010-05-31 2010-05-31 유기 발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807A KR20110131807A (ko) 2011-12-07
KR101676313B1 true KR101676313B1 (ko) 2016-11-16

Family

ID=4502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442A Active KR101676313B1 (ko) 2010-05-31 2010-05-31 유기 발광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6) US8508121B2 (ko)
KR (1) KR1016763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062B1 (ko) 2011-03-04 2018-06-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79233B1 (ko) * 2012-07-27 2019-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와이어 그리드 편광 구조물, 와이어 그리드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와이어 그리드 편광 구조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28053B1 (ko) * 2012-12-12 2019-10-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20160141556A1 (en) * 2013-06-27 2016-05-19 Konica Minolta, Inc. Surface emitting device and smart device
KR102104972B1 (ko) * 2013-07-31 2020-05-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EP3089551B1 (en) * 2013-12-26 2020-04-15 Zeon Corporation Sealing film,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organic semiconductor device
KR20150101010A (ko) * 2014-02-24 2015-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20160053001A (ko) 2014-10-30 2016-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기판, 투명 표시 장치 및 투명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6170271A (ja) * 2015-03-12 2016-09-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シート、及び表示装置
KR20170050729A (ko) * 2015-10-30 2017-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5702705A (zh) * 2016-04-05 2016-06-2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US10725336B2 (en) * 2016-05-20 2020-07-28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722454B1 (ko) * 2016-12-30 2024-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구조물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866455B2 (en) 2017-10-19 2020-12-15 Ppg Industries Ohio, Inc. Display devices including photochromic-dichroic compounds and dichroic compounds
CN107845738A (zh) * 2017-11-01 2018-03-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oled显示器及其制作方法
KR102420523B1 (ko) * 2017-12-29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767105B (zh) * 2018-07-27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及显示装置
CN111146356B (zh) * 2019-12-20 2023-07-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20220078794A (ko) * 2020-12-03 2022-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20132719A (ko) * 2021-03-23 2022-10-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2485A (ja) * 2006-11-09 2008-05-29 Nitto Denko Corp 偏光子、偏光板、円偏光フィルタ、画像表示装置、及び偏光子の製造方法
KR100852115B1 (ko) 2007-03-07 2008-08-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1008B1 (en) * 1991-11-27 2003-12-30 Reveo, Inc. Electro-optical glazing structures having scattering and transparent modes of operation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JPH0954212A (ja) * 1995-08-11 1997-02-25 Sharp Corp 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表示素子
US6574044B1 (en) 1999-10-25 2003-06-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arizer constructions and display devices exhibiting unique color effects
TW534869B (en) 2000-06-09 2003-06-01 Mitsubishi Gas Chemical Co Synthetic resin laminate having both polarization characteristic and photochromism characteristic, and molded article obtained therefrom
EP1394595B1 (en) 2001-06-01 2013-05-01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lastic molded product having photochromic characteristics and/or polarizing characteristics
US7256921B2 (en) 2003-07-01 2007-08-14 Transitions Optical, Inc. Polarizing, photochromic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0730114B1 (ko) * 2004-04-19 2007-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KR100700013B1 (ko) * 2004-11-26 2007-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38066B1 (ko) 2006-07-14 2008-06-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KR100931371B1 (ko) 2007-11-06 2009-12-1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반도체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0367A (ko) * 2007-11-15 2009-05-20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광대역 반사형 광학필터 필름및 이의 제조방법
US7940457B2 (en) * 2008-05-30 2011-05-1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Energy-efficient optoelectronic smart window
US8472115B2 (en) * 2008-12-08 2013-06-25 Konica Minolta Opto, Inc. Anistropic dye layer, coordination polymer for anistropic dye layer and polarization element, and polarization control film, polarization control element, multi-layer polarization control element, ellipse polarization plate, light emission el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larization properties employing the anistropic dye layer
KR20110051612A (ko) * 2009-11-10 2011-05-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00363B1 (ko) * 2012-01-16 2018-09-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US20130222882A1 (en) * 2012-02-27 2013-08-29 Fujifilm Corporation Polymer dispersant for image display particles, image display particles, dispersion liquid for image display particles, display medium, and display device
JP6494751B2 (ja) * 2015-09-03 2019-04-0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ヘッドマウント式ディスプレ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2485A (ja) * 2006-11-09 2008-05-29 Nitto Denko Corp 偏光子、偏光板、円偏光フィルタ、画像表示装置、及び偏光子の製造方法
KR100852115B1 (ko) 2007-03-07 2008-08-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20320A1 (en) 2013-12-05
US20190181193A1 (en) 2019-06-13
US8508121B2 (en) 2013-08-13
US8729793B2 (en) 2014-05-20
US20180166513A1 (en) 2018-06-14
KR20110131807A (ko) 2011-12-07
US20160204170A1 (en) 2016-07-14
US10971563B2 (en) 2021-04-06
US20110291552A1 (en) 2011-12-01
US9929219B2 (en) 2018-03-27
US10249693B2 (en) 2019-04-02
US20140231780A1 (en) 2014-08-21
US9324970B2 (en) 201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313B1 (ko) 유기 발광 장치
KR101372851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38066B1 (ko) 유기 발광 장치
US7772768B2 (en) Polarizer and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852115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2975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7985113B2 (en) Retardation layer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TWI582980B (zh) 有機發光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KR2016013007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058112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8241B1 (ko) 편광자 및 그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
US20150243933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0829756B1 (ko) 편광자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894065B1 (ko) 편광자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863908B1 (ko) 편광자 및 그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7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3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5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