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323B1 - Input signal confirmation system of elevato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nput signal confirmation system of elevato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5323B1 KR101675323B1 KR1020140183002A KR20140183002A KR101675323B1 KR 101675323 B1 KR101675323 B1 KR 101675323B1 KR 1020140183002 A KR1020140183002 A KR 1020140183002A KR 20140183002 A KR20140183002 A KR 20140183002A KR 101675323 B1 KR101675323 B1 KR 1016753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 signal
- input
- control panel
- check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입력신호 확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승강기의 입력신호 점검 시 엘리베이터 제어반에 신호확인용 단말장치를 연결하고 승강기 내의 부저나 램프, 또는 스마트폰을 매개로 스위치의 입력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점검자 한 명이 승강기 입력신호의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입력신호 확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신호 확인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통해 점검을 위한 해당 승강기를 점검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에 입력신호 확인작업을 위한 신호확인용 단말기를 연결하고,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신호 테스트 모드를 활성화(ON)하는 단계와; 신호확인용 단말기의 입력선택버튼을 통해 테스트하고자 하는 스위치나 센서를 선택하는 단계와; 신호확인용 단말기의 확인선택버튼을 통해 확인방법을 선택하는 단계와; 점검자가 승강기의 센서나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그에 따른 버튼 입력의 온.오프 상태가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기 측으로 전송된 후 선택된 확인수단인 승강기의 부저나 램프, 또는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진 확인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신호 테스트 모드가 오프(OFF)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선택된 버튼 입력의 조작에 따른 신호확인 작업이 종료되는 단계;의 과정으로 제어가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checking an input signal of an elevato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input signal checking system and an elevator control method thereof, So that one inspector can check an elevator input signal,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input signal check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put signal checking system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witching an elevator to an inspection state through an elevator control panel; Connecting a signal check terminal for checking an input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panel and activating a signal test mode of the elevator control panel; Selecting a switch or a sensor to be tested through an input selection button of the signal check terminal; Selecting an identification method through an identification selection button of the terminal for signal identification; The checker is operated by the sensor or the switch of the elevator, the on / off state of the button input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checking terminal side, and then the confirmation means comprising the buzzer or the lamp of the elevator or the smart phone ; And the signal check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lected button input is terminated as the signal test mode of the elevator control panel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입력신호 확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기의 입력신호 점검 시 한 명의 점검자가 승강기 내의 부저나 램프, 또는 휴대한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스위치의 입력 및 신호 확인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입력신호 확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put signal of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checking an input signal of an elevator when an inspector checks an input signal of the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put signal of an elevator in which signal confirm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일반적으로, 주거용도 및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되어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돕게 된다. Generally, elevators are installed in various kinds of high-rise buildings such as residential and commercial roads to assist the passengers looking for the buil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즉, 해당 건물의 각 층에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구비됨과 아울러 건물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승강로가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로를 따라 상ㆍ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 승강장으로부터 탑승하는 승객을 버튼입력에 따른 목적층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That is, each floor of the building is equipped with an elevator platform, and a vertical passageway is formed inside the building. As the elevator car moves up and down along the hoistway, passengers boarding the platform are guided to the destination floor .
한편,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해당 승강기의 스위치나 센서 등의 고장 발생 시에나 또는 주기적인 점검 시에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에 신호확인용 단말장치를 연결한 후 점검자가 승강기 내의 스위치나 센서 등을 작동시켜 그 상태를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장치를 통해 확인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levator apparatus,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switch or the sensor of the elevator, or when the elevator apparatus periodically checks, the terminal for signal confirmation is connected to the elevator control panel, and the inspector operates a switch or sensor in the elevator, It is confirmed through the confirmation terminal device.
이때,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입력신호를 확인하는데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에 연결된 신호확인용 단말장치를 사용하게 되므로, 승강기의 스위치나 센서 작동에 따른 온.오프 신호의 확인 시 점검자가 스위치나 센서의 작동을 위해 엘리베이터 제어반으로부터 벗어나거나,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장치의 케이블 길이를 초과하는 거리에 위치한 경우에는 반드시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만 점검이 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At this time, in order to check the input signal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the signal check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elevator control panel is used. Therefore, when checking the on / off signal according to the switch or sensor operation of the elevator, When the terminal is located at a distance exceeding the cable length of the signal check terminal device, the terminal can not be inspected unless it is required to be assisted by another pers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승강기의 입력신호 점검 시 엘리베이터 제어반에 신호확인용 단말장치를 연결하고 승강기 내의 부저나 램프, 또는 스마트폰을 매개로 스위치의 입력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점검자 한 명이 승강기 입력신호의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입력신호 확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gnal checking terminal device for connecting a signal checking terminal to an elevator control panel when inspecting an input signal of an elevator, So that the inspectors can check the input signals of the elevator, so that the elevator input signal can be check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신호 확인 시스템은, 기계실에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에 연결되어 해당 승강기의 스위치나 센서의 입력여부를 확인하도록 이루어지되, 확인하고자 하는 스위치나 센서 선택을 위한 입력선택버튼 및 확인방법의 선택을 위한 확인선택버튼이 구비된 신호확인용 단말기 및;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기의 확인선택버튼 조작에 따라 선택된 해당 방법으로 선택된 해당 버튼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확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input signal checking system comprising: an elevator control panel provided in a machine room; The elevator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elevator control panel to check whether a switch or a sensor of the elevator is inputted. The signal check terminal includes an input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a switch or a sensor to be checked, And; And a confirmation unit for displaying the on / off status of the corresponding button selected by the corresponding method sel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confirmation selection button of the signal check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확인수단은, 승강기에 구비된 램프나 부저, 또는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소정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통해 버튼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hecking means is configured by a lamp, a buzzer provided in the elevator, or a smart phone displaying on / off status of a butt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ignal check terminal while driv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신호 확인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통해 점검을 위한 해당 승강기를 점검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에 입력신호 확인작업을 위한 신호확인용 단말기를 연결하고,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신호 테스트 모드를 활성화(ON)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기의 입력선택버튼을 통해 테스트하고자 하는 스위치나 센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기의 확인선택버튼을 통해 확인방법을 선택하는 단계와; 점검자가 승강기의 센서나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그에 따른 버튼 입력의 온.오프 상태가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기 측으로 전송된 후 선택된 확인수단인 승강기의 부저나 램프, 또는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진 확인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신호 테스트 모드가 오프(OFF)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선택된 버튼 입력의 조작에 따른 신호확인 작업이 종료되는 단계의 과정을 거쳐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put signal checking system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witching an elevator to an inspection state through an elevator control panel; Connecting a signal check terminal for checking an input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panel and activating a signal test mode of the elevator control panel; Selecting a switch or a sensor to be tested through an input selection button of the signal check terminal; Selecting an authentication method through an authentication selection button of the signal check terminal; The checker is operated by the sensor or the switch of the elevator, the on / off state of the button input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checking terminal side, and then the confirmation means comprising the buzzer or the lamp of the elevator or the smart phone ; And the signal check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lected button input is terminated as the signal test mode of the elevator control panel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기의 입력선택버튼 및 확인선택버튼을 조작한 이후에는 기설정된 테스트 소요시간에 대한 타임아웃 카운트가 초기화되고, 신호 테스트 모드의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타임아웃 카운트에 도달하게 되면, 선택된 버튼 입력의 조작에 따른 신호확인 작업이 종료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fter operating the input selection button and the confirmation selection button of the signal check terminal, a timeout count for a predetermined test time is initialized, and when the timeout count is reached in the active state of the signal test mode , And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the signal check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lected button input is terminated.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기의 입력신호 점검 시 엘리베이터 제어반에 신호확인용 단말장치를 연결하고 승강기 내의 부저나 램프, 또는 스마트폰을 매개로 스위치의 입력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점검인원 한 명만으로도 승강기의 모든 스위치의 신호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이를 통해 해당 업무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terminal for signal confirmation can be connected to an elevator control panel at the time of checking an input signal of the elevator, and the input state of the switch can be checked via a buzzer, a lamp or a smart phone in the elevator,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ignal operation state of all the switches of the elevator with only one person in charg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corresponding tas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신호 확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신호 확인 시스템이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nput signal checking system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n input signal checking system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신호 확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신호 확인 시스템이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nput signal checking system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n input signal checking system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신호 확인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제어반(10)에 신호확인용 단말장치(20)를 연결하고 승강기(30) 내의 부저(34)나 램프(32), 또는 스마트폰(40)을 매개로 스위치나 센서 등의 입력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점검작업을 한 명이 점검자가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The input signal checking system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ignal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신호 확인 시스템은,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는 해당 건물의 기계실에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10)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1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면서 승강기(30) 스위치나 센서의 입력신호를 확인하는 신호확인용 단말기(20) 및,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기(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신호의 확인상태를 출력시키는 승강기(30) 램프(32)나 부저(34), 또는 스마트폰(40) 등으로 이루어지는 확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an input signal checking system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기(20)를 통한 소정 점검작업의 수행 시, 작업자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10)을 조작하여 점검을 위한 해당 승강기(30)를 점검상태로 전환하고, 신호 테스트 모드를 온.오프 시키도록 이루어진다.The operator operates the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10)에 연결되어 해당 승강기(30)의 스위치나 센서의 입력여부를 확인하도록 제공되는 신호확인용 단말기(20)는 점검 확인을 위한 승강기의 스위치나 센서를 선택하여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선택버튼 및, 점검 시 승강기의 스위치나 센서의 온.오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선택하여 입력시키기 위한 확인선택버튼이 포함되어 구성된다.A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기(20)는 확인선택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10)을 매개로 상기 승강기(30)의 램프(32)나 부저(34)를 동작시키거나, 통신부(도시안됨)를 매개로 점검자의 스마트폰(40)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기(20)의 통신부와 스마트폰(40) 상호 간의 통신에는 이동통신사의 망이나 Wi-Fi, 또는 블루투스 등을 포함한 다양한 무선통신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스마트폰(40)에는 입력신호의 확인을 위한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어 구성된다.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s network, Wi-Fi, or Bluetooth may be applied to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그리고, 점검 시 해당 승강기(30)의 스위치나 센서 등의 온.오프 상태를 출력시키는 확인수단으로서, 승강기(30)의 부저(34)나 램프(32)로는 카 내의 탑승인원 초과 시 음성신호를 출력시키는 부저 및 카 내의 인디케이터 등이 적용될 수 있게 된다.
The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신호 확인 시스템이 제어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input signal checking system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신호 확인 시스템을 통해 승강기(30)의 스위치나 센서 등의 입력신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 승강기(30)의 제어를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반(10)을 조작하여 승강기(30)를 점검상태로 전환한다.In order to check an input signal of a switch or a sensor of the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10)에는 입력신호 확인작업을 위해 신호확인용 단말기(20)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10)의 신호 테스트 모드를 활성화(ON) 시킨다(S 1).The signal test mode of the
그 후,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기(20)의 입력선택버튼을 매개로 테스트하고자 하는 승강기(30)의 스위치나 센서 등을 선택함과 아울러(S 2),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기(20)의 확인선택버튼을 매개로 그 입력상태를 출력시키는 확인수단을 승강기(30) 램프(32)나 부저(34), 또는 스마트폰(40) 등으로 선택하여 입력한다(S 3). Thereafter, a switch or a sensor of the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기(20)를 통한 테스트 신호 및 확인방법이 선택된 후, 상기 신호확인 단말기(20)는 점검자가 기설정한 테스트 소요시간에 대한 타임아웃 카운트가 초기화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S 4). After the test signal and the confirmation method are selected through the
한편, 점검자가 점검을 위한 승강기(30)의 센서나 스위치를 조작하여 입력을 행하게 되면(S 5), 그에 따른 버튼 입력의 온.오프 상태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10)을 거쳐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기(20) 측으로 전송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 후 그 상태에 따른 확인결과는 선택된 확인수단인 해당 카 내의 부저(34)나 램프(32), 또는 점검자가 휴대한 스마트폰(40)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S 6).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spector operates the sensor or the switch of the
또, 상기 승강기(30)의 스위치나 센서에 대한 입력신호의 점검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10)의 신호 테스트 모드가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거나(S 1-1), 또는 상기 타임아웃 카운트가 기설정된 시간에 도래하게 되면(S 4-1), 선택된 버튼 입력의 조작에 따른 신호확인 작업이 종료되면서(S 7),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입력신호 확인 시스템에 대한 일련의 제어과정이 종료되게 된다. The signal test mode of the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엘리베이터 제어반, 20: 신호확인용 단말기,
30: 승강기, 32: 램프,
34: 부저, 40: 스마트폰.10: elevator control panel, 20: signal check terminal,
30: elevator, 32: lamp,
34: buzzer, 40: smartphone.
Claims (4)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에 연결되어 해당 승강기의 스위치나 센서의 입력여부를 확인하도록 이루어지되, 확인하고자 하는 스위치나 센서 선택을 위한 입력선택버튼 및 확인방법의 선택을 위한 확인선택버튼이 구비된 신호확인용 단말기 및;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기의 확인선택버튼 조작에 따라 선택된 해당 방법으로 선택된 해당 버튼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확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확인수단은,
승강기에 구비된 램프나 부저, 그리고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소정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통해 버튼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입력신호 확인 시스템.An elevator control panel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The elevator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elevator control panel to check whether a switch or a sensor of the elevator is inputted. The signal check terminal includes an input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a switch or a sensor to be checked, And;
And a confirmation unit for indicating on / off status of a corresponding button selected by the selected method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confirmation selection button of the signal check terminal,
Wherein,
A lamp, a buzzer, and a smart phone for displaying on / off status of the butt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ignal check terminal while driv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에 입력신호 확인작업을 위한 신호확인용 단말기를 연결하고,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신호 테스트 모드를 활성화(ON)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기의 입력선택버튼을 통해 테스트하고자 하는 스위치나 센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기의 확인선택버튼을 통해 확인방법을 선택하는 단계와;
점검자가 승강기의 센서나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그에 따른 버튼 입력의 온.오프 상태가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기 측으로 전송된 후 선택된 확인수단인 승강기의 부저나 램프, 그리고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진 확인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신호 테스트 모드가 오프(OFF)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선택된 버튼 입력의 조작에 따른 신호확인 작업이 종료되는 단계의 과정을 거쳐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입력신호 확인 시스템의 제어방법.Switching the elevator for inspection through the elevator control panel to a check state;
Connecting a signal check terminal for checking an input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panel and activating a signal test mode of the elevator control panel;
Selecting a switch or a sensor to be tested through an input selection button of the signal check terminal;
Selecting an authentication method through an authentication selection button of the signal check terminal;
A checker of the elevator, a lamp of the elevator which is the confirmation means selected after the on / off state of the button in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nsor or the switch of the elevator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checking terminal side, ;
And the signal check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lected button input is terminated as the signal test mode of the elevator control panel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Method of controlling the system.
상기 신호확인용 단말기의 입력선택버튼 및 확인선택버튼을 조작한 이후에는 기설정된 테스트 소요시간에 대한 타임아웃 카운트가 초기화되고, 신호 테스트 모드의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타임아웃 카운트에 도달하게 되면, 선택된 버튼 입력의 조작에 따른 신호확인 작업이 종료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입력신호 확인 시스템의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3,
After the input selection button and the confirmation selection button of the signal check terminal are operated, a timeout count for the predetermined test time is initialized. When the timeout count is reached in the active state of the signal test mode, Wherein the control is performed so as to end the signal check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3002A KR101675323B1 (en) | 2014-12-18 | 2014-12-18 | Input signal confirmation system of elevato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3002A KR101675323B1 (en) | 2014-12-18 | 2014-12-18 | Input signal confirmation system of elevato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4136A KR20160074136A (en) | 2016-06-28 |
KR101675323B1 true KR101675323B1 (en) | 2016-11-11 |
Family
ID=5636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83002A Active KR101675323B1 (en) | 2014-12-18 | 2014-12-18 | Input signal confirmation system of elevato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5323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35474A (en) * | 2002-05-15 | 2003-11-25 | Toshiba Elevator Co Ltd | Elevator system |
JP2007070053A (en) * | 2005-09-07 | 2007-03-22 | Toshiba Elevator Co Ltd | Remotely monitoring terminal device |
JP2012201504A (en) * | 2011-03-28 | 2012-10-22 | Toshiba Elevator Co Ltd | Simulative confirmation system for elevator function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75905A (en) | 1997-04-03 | 1998-11-16 | 이종수 | How to check fault of elevator distributed controller |
-
2014
- 2014-12-18 KR KR1020140183002A patent/KR10167532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35474A (en) * | 2002-05-15 | 2003-11-25 | Toshiba Elevator Co Ltd | Elevator system |
JP2007070053A (en) * | 2005-09-07 | 2007-03-22 | Toshiba Elevator Co Ltd | Remotely monitoring terminal device |
JP2012201504A (en) * | 2011-03-28 | 2012-10-22 | Toshiba Elevator Co Ltd | Simulative confirmation system for elevator fun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4136A (en) | 2016-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63428B1 (en) | Linked operation system between elevator and self-driving car | |
KR20120085805A (en) | Method for remotely diagnosing an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 |
KR20070104271A (en) | Setting method of adding floors of plural operating units of elevator equipment | |
CN105565094A (en) | Method and system for entering and exiting elevator automatically | |
WO2018066051A1 (en) | Elevator control device | |
WO2017208715A1 (en) | Elevator monitoring device and communication confirmation method | |
KR20190134479A (en) |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position | |
CN108861918A (en) | Elevator examination device | |
JP2015044673A (en) | Elevator maintenance-inspection device | |
KR101675323B1 (en) | Input signal confirmation system of elevato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
AU2020376494B2 (en) | Mobile control unit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lift installation | |
KR20130087254A (en) | Elevator controlling system apparatus | |
JP5937984B2 (en) | Elevator monitoring system | |
WO2015198459A1 (en) | Remote monitoring assistance device | |
CN105293229A (en) | Lif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50103466A (en) | System for controlling cable install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6285844B2 (en) | Elevator maintenance operation device | |
JP4557524B2 (en) | Elevator control device | |
KR20200074203A (en) | Elevator system | |
JP6477996B1 (en) | Display control device with function to update display of elevator inspection information | |
JP6594221B2 (en) | Elevator signal transmission control device and elevator signal transmission control method | |
JP2005280888A (en) | Elevator control device | |
KR20200132477A (en) | Control system of elev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693508B1 (en) | Method for testing main contact of elevator | |
KR20120077181A (en) |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