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148B1 - Wet cylone deodorizer - Google Patents
Wet cylone deodoriz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5148B1 KR101675148B1 KR1020160034277A KR20160034277A KR101675148B1 KR 101675148 B1 KR101675148 B1 KR 101675148B1 KR 1020160034277 A KR1020160034277 A KR 1020160034277A KR 20160034277 A KR20160034277 A KR 20160034277A KR 101675148 B1 KR101675148 B1 KR 1016751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emical liquid
- pipe
- gas
- tank
- chemic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claims 1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5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42 industrial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01 ovidu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45 respiratory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316 severe headach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entrifugal for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습식 사이클론 탈취장치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쓰레기소각장이나 하수처리장과 같이 악취와 분진을 발생시키는 각종 산업현장에서 분진이 내포된 오염된 기체를 흡입하여 분진은 별도로 포집하고, 약액과의 접촉효율을 높여 오염된 기체의 탈취력은 높인 습식 사이클론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cyclone deodoriz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wet cyclone deodorizing device which sucks contaminated gas containing dust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such as a waste incinerator or a sewage disposal plant that generates odors and dust, separately collecting dus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t cyclone deodorizing device in which the deodorizing power of contaminated gas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contact efficiency.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악취는 기관지나 호흡기 계통의 건강을 악화시키고 극심한 두통과 불쾌감을 유발하며, 2차적으로 대기를 오염시켜 자연을 훼손시키므로, 축산폐수, 산업폐수, 음식물 및 생활쓰레기, 오수처리장 등과 같이 악취와 분진을 많이 발생시키는 곳에서는 악취와 분진을 별도의 처리장치를 거쳐서 악취가 제거된 상태로 배출하도록 법으로 규제하고 있다.In general, fine dust and odor generated in the industrial field deteriorate the health of the engine and the respiratory system, cause severe headache and discomfort, and secondarily pollute the atmosphere by damaging the nature. Therefore, the livestock wastewater, industrial wastewater, In places where many odors and dust are generated, such as garbage, sewage disposal plants, etc., it is regulated by law that odor and dust should be discharged through a separate treatment device with the odor removed.
현재 사용되고 있는 오염된 기체 처리기술로는 크게 약액이나 활성탄을 활용한 흡착법이나 약액을 활용한 습식 세정법이 가장 많이 쓰이고 있으나, 현장의 특수성에 따라 오존 산화법, 토양 미생물 처리법, 활성 슬러지법, 바이오 필터 등의 생물학적 탈취방법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Most of the contaminated gas treatment technologies currently used are adsorption methods using chemical or activated carbon or wet cleaning methods using chemical liquids. However, ozone oxidation, soil microbial treatment, activated sludge method, biofilter Has also been developed and used.
이러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1343474호에서 바이오필터와 정수 수초를 이용한 하수처리시설의 악취 저감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침사지(10)에 저장되어 있는 하수(11)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하여 이를 바이오필터(30)로 유입시키는 송풍팬(20)과, 악취 유입관(21)을 통해 유입되는 악취를 바이오필터(30)에 의해 저감시키는 하수처리시설의 악취 저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필터(30)는, 본체(31)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악취 유입관(21)을 통해 유입되는 악취를 본체의 상부로 토출시키는 제1 다공판(32a)과, 상기 제1 다공판(32a)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굵은 자갈층(33)과, 상기 제1 다공판(32a)과 굵은 자갈층(33) 사이에 구비되어 굵은 자갈층(33)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 다공판(32b)과, 상기 굵은 자갈층(33)의 상부에 구비되는 세라믹 담체층(34)과, 상기 세라믹 담체층(34)의 상부에 구비되는 잔 자갈층(35)과, 상기 잔 자갈층(35)의 상부에 구비되는 모래층(36)과, 상기 모래층(36)에 식재되는 정수 수초(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바이오필터 방식과 정수 수초를 이용한 자연정화방식을 결합함으로써 악취제거 미생물과 정수 수초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저비용으로 악취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This prior ar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43474, which relates to a malodor reduction apparatus for a sewage treatment facility using a biofilter and an aquatic plant aquarium, A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989563호에서 악취 유발 성분을 함유한 가스를 약품을 용해시킨 세정수와 강제로 접촉시켜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제거 또는 변형시켜 악취 유발 성분을 제거하는 탈취탑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악취 가스를 세정하여 청정 가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악취 가스가 통과되는 일 이상의 폴링층, 상기 폴링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폴링층에서 상기 악취 가스 내의 악취 유발 성분과 반응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세정수를 분사하는 일 이상의 노즐 및 상기 악취 유발 성분과 반응한 상기 세정수 및 슬러지가 수용되는 수용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폴링층 및 상기 노즐은 교대로 배치되는 탈취탑에 있어서, 상기 일 이상의 노즐 중 최상단 노즐의 위에 설치되고, 폭 방향으로 지그재그의 형태 굴곡되는 다수의 굴곡 지점을 포함하고,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필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 유닛의 일 말단이, 상기 말단에 가장 근접한 굴곡 지점에서 상기 필터 유닛이 굴곡된 방향으로 이 회 굴곡되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기수분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nother prior ar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89563, in which a gas containing an odor-inducing component is forcibly brought into contact with a cleansing water dissolving a drug to remove or modify the substance causing the odor to remove the odor- In order to clean the odor ga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and generate clean gas, at least one polling layer through which the odor gas passes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olling layer, And at least one nozzle which reacts with the malodor generating component in the malodorous gas to spray the washing water to remove the malodor and a receiving tank in which the washing water and the sludge reacted with the malodor generating component are contained, Wherein the plurality of nozzles are arranged on the uppermost nozzle of the one or more nozzles, Wherein the filte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ilter units including a plurality of bending points bent in a zigzag shape and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one end of the filter unit is bent at a bending point closest to the end, And formed in the form of a hook in a curved manner.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습식 탈취장치는 탑구조를 형성되어 내부에 약액을 분사하는 스프레이를 통해 악취를 중화시키는 구조이므로 약액과 접촉되지 않는 가스가 배출될 여지가 많아 충분한 탈취력을 제공하기 어렵고, 세정탑으로 내입되는 기체에 먼지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경우 먼지를 효과적으로 분리 포집할 수 있는 수단이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wet deodorizing apparatus has a structure in which a tower structure is formed and the malodor is neutralized through spraying the chemical liquid into the inside thereof, there is a lot of room for discharging gas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the chemical liqui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 means for effectively separating and collecting dust when the gas entering the interior contains much dust.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탈취효과를 위해 세정탑 중간부에 가스를 유도하는 유도관을 다수 설치하고 유도관의 유입부에 스프레이를 집중시켜 기액접촉 효율을 월등히 높인 습식 사이클론 탈취장치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해결하는 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develop a new technology. In order to achieve a more effective deodorizing effect, a plurality of induction tubes for inducing gas are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cleaning tower, Liquid contact efficiency of the wet cyclone deodor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markably improved.
또한 기액접촉 과정 전에 가스 속 분진과 먼지를 별도로 포집할 수 있고 서로다른 약액을 사용하여 탈취력을 높일 수 있는 습식 사이클론 탈취장치를 제공함을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t cyclone deodorizing device capable of separately collecting dust and dust in the gas before the gas-liquid contact process and increasing the deodorizing power by using different chemical liquids.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참작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ther unspecifi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considered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asily deduced from the effects thereof.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습식 사이클론 탈취장치를 구성하되, 상부 접선방향으로 형성된 투입구와 하부에 먼지배출구와 내측 중심부에 상승하는 가스를 안내하는 내부관을 갖는 사이클론 포집기와, 상기 포집기의 내부관 상측으로 낙수되는 약액이 포집되는 집수조 및 집수조 중심에 연통되어 약액을 배출시키는 드레인관과, 상기 집수조의 저면에 형성되어 내부관을 타고 유입되는 가스를 상부로 확산시키는 벤트와, 벤트 상측으로 균일하게 배열 형성되어 가스의 이동경로를 제한하는 유도관 및 유도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유도구와, 상기 유도관 하부에 위치하여 약액을 분무시키는 하부노즐 및 하부노즐로 약액을 공급하는 하부약액공급관과, 상기 유도관의 상부가 관통되며 유도관을 통해 유입된 가스가 유도구를 거쳐 약액과 폭기가 이루어지는 폭기조와, 일단이 폭기조 상부에 관통되어 하방의 집수조까지 연장되어 넘치는 약액을 집수조로 배출시키는 낙수관과, 상기 폭기조 상부에 위치하고, 가스 내의 악취유발성분과 반응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약액을 분사하는 상부노즐 및 상부노즐로 약액을 공급하는 상부약액공급관과, 상부약액공급관 상측에 위치하여 배기구로 배출되는 가스의 잔여악취성분을 흡수하는 폴링층과, 상기 드레인관을 통해 배출된 약액을 저수하는 약액탱크 및 저수된 약액을 상,하부약액공급관으로 이송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et cyclone deodorizing apparatus comprising a cyclone collector having an inlet formed in an upper tangential direction, a dust outlet at a lower portion and an inner tube guiding a gas rising in an inner central portion, A drai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center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and discharging the chemical solution, a drain pip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and diffusing the gas flowing in the inner pipe upward, An induction tube which is uniformly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vent so as to restrict the movement path of the gas and an induction tu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duction tube and a lower nozzle and a lower nozzle for spraying the chemical solution, A lower drug solution supply pipe through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induction tube is inserted, An aeration tank through which a chemical solution and aeration are made via a sludge oiling device and a drainage pipe for discharging a chemical solution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aeration tank to the bottom sludge tank and discharges the overflowed chemical solution to the sump tank; An upper chemical liquid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chemical liquid to the upper nozzle and an upper nozzle for spraying the chemical liquid for removing odors, a polling layer for absorbing residual odor components of the gas discharged from the upper chemical liquid supply pipe, And a pump for transferring the stored chemical liquid to the upper and lower chemical liquid supply pipes.
또한 상기 유도관의 내측에는 돌출핀을 형성하여 가스와 약액의 접촉면적을 더 넓힌 것을 또 다른 해결수단으로 한다.Another solution is to form a projecting pin on the inside of the induction pipe to wide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gas and the chemical liquid.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사이클론 포집기를 통해 탈취전에 먼지를 먼저 수집함으로써 약액의 오염을 줄이고 탈취장치의 사용수명을 늘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crete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dust can be collected before deodorization through the cyclone collector, thereby reducing contamination of the chemical solution and extending the service life of the deodorizing device.
유도관의 유입부에 스프레이를 집중시켜 기액접촉 효율을 월등히 높여 탈취효과를 높일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concentrate the spray on the inflow portion of the induction pipe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gas-liquid contact efficiency, thereby enhancing the deodorizing effect.
또한 악취를 유발하는 발생원이 다른 경우 탈취탑을 2단 구성하여 이종의 약액을 적용하여 탈취력을 높일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In addition, when the source causing the odor is different, the deodorizing tower can be configured in two stages, and the deodorizing power can be increased by applying a different chemical solution.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습식 사이클론 탈취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정단면도
도 2는 도1의 평면도
도 3은 습식 사이클론 탈취장치에서 탈취탑의 평단면도
도 4는 탈취탑 내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습식 사이클론 탈취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단면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et cyclone deodoriz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lan view of Fig. 1
3 is a plan view of the deodorization tower in the wet cyclone deodorizer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the deodorizing tower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4
6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et cyclone deodorization apparatus
Fig. 7 is a plan view of Fig. 6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습식 사이클론 탈취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2는 습식 사이클론 탈취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습식 사이클론 탈취장치에서 탈취탑의 평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설진(屑塵)을 내포한 오염된 기체를 외부 송풍기(100)를 통해 유입되면 먼저 설진을 별도로 포집하고 오염된 기체는 정화시키는 습식 사이클론 탈취장치(1)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사이클론 포집기(10)와 탈취탑(20)으로 대분될 수 있다.2 is a plan view of a wet cyclone deodorization apparatus. FIG. 3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 deodorization tower in a wet cyclone deodorization apparatus, and FIG. 3 is a plan view of a wet cyclone deodo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cyclone deodorizing apparatus (1) for collecting seashells separately and purifying polluted gases when the polluted gas containing dusts generated in various industrial sites is introduced through the external blower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먼저 사이클론 포집기(10)는 오염된 기체를 세정하기 전 가스에 내포되어 탈취장치(1)로 유입된 먼지나 티끌을 분리하여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 원뿔대를 뒤집어 놓은 형태의 몸체(11) 상부에 접선방향으로 개구된 투입구(12)를 형성하고 본체의 하부에는 배출관고 연결하여 포집된 설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설진배출구(13)를 형성하며, 몸체(11) 중심부에는 가스를 상부로 안내하기 위한 내부관(14)을 구비하고 있다. First, the
따라서 외부 송풍기(100)를 통해 투입구(12)로 들어온 설진을 내포한 기류는 사이클론 내부를 선회하면서 내려가 크고 무거운 입자들은 원심력에 의해 몸체(11) 내벽을 따라 침강하며, 가벼운 미세분진을 일부 포함한 오염된 기체는 송풍기에 의해 지속적으로 밀려들어오는 풍압에 의해 상승하여 내부관(14) 상부로 이동한다. Therefore, the airflow containing the tears coming into the
사이클론 포집기(10)를 거친 오염된 기체는 본격적으로 상기 내부관(14) 상측에 연결 구성되는 탈취탑(20)으로 유입되어 다단계의 기액접촉 과정을 거쳐 깨끗한 기체로 정화되어 배출되며, 이를 위해 약액(L)을 수집 보관하는 약액탱크(40)와 탱크내의 약액(L)을 탈취탑(20) 내부로 이송하는 펌프(4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탈취탑(20)의 외부에 설치하여 배관연결 하거나 탈취탑과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The contaminated gas passing through the
먼저 탈취탑(20)의 하부에는 낙수되는 약액(L)이 포집되는 집수조(21)를 마련하되 집수조(21)의 저면으로 포집기의 내부관(14)을 타고 유입되는 가스를 탈취탑(20)의 하부 전체로 확산시키는 벤트(24)를 다수 형성한다. The bottom of the
집수조(21) 중심에는 약액(L)을 집수하는 약액탱크(40)와 연결되어 약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관(22)을 형성하며, 집수조(21)의 바닥면은 약액(L)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드레인관(22)쪽으로 구배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집수조(21)와 약액탱크(40)를 연결하는 드레인관(22)의 중간에는 수위조절기(23)를 설치하여 집수조로 모인 약액(L)의 수위를 제어하도록 한다. 이는 집수조(21) 내의 약액이 과다할 경우 상기 벤트(24)를 통해 사이클론 포집기(10)로 약액이 역류하게 되며, 반대일 경우 탈취효율이 떨어지므로 약액탱크(40)로 배출되는 약액을 일정한 수위를 갖도록 순환시키기 위함이다. A
상기 수위조절기(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작동에 의해 디스크를 승하강시켜 수위조절기(23) 내의 유로의 크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집수조(21) 내부에 별도로 레벨스위치를 설치하고 이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벤트(24)의 상측으로는 도 4에 도시된 확대사시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균일하게 배열 형성된 유도관(25)을 형성하여 벤트(24)를 통해 확산된 오염된 기체를 유도관(25)을 통해서만 상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스의 이동경로를 한정한다. As shown in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FIG. 4, a uniformly arranged
동시에 유도관(25)의 하측 중심부에는 펌프(41)에 의해 하부약액공급관(27)으로 이송된 약액(L)을 미립자로 분무시키는 노즐을 구비하게 되면 유도관에 의해 한정된 유로를 통과하는 오염기체에 약액(L)의 분무를 집중시킴으로써 오염된 기체와 약액사이의 점착력을 높이게 되어 보다 우수한 탈취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At the same time, when a nozzle for spraying the chemical liquid L transferred to the lower chemical
노즐을 통해 확산 악액의 분무 사거리를 고려하여 유도관(25)의 형태는 하광상협의 나팔관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립자를이 보다 효율적으로 오염된 기체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한 유도관(25)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유로 내부로 다수의 돌출핀(25a)을 형성할 수도 있다. The shape of the
이로써 유도관 하측에서 상부로 분무되는 약액(L)이 돌출핀(25a)을 타고 아래로 흐르게 되고 유도관(25)을 따라 상승하는 가스가 돌출핀(25a)에 의해 속도가 제한되므로 약액(L)과의 접촉시간과 접촉면적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This causes the chemical liquid L spray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induction pipe to flow downward through the projecting
유도관(25)으로 유입된 가스는 유도관의 상측 일부가 관통 형성된 폭기조(29)에 채워진 약액(L)과 폭기되어 사이클론 포집기(10)로 걸러지지 않은 가벼운 분진과 미세먼지들을 거른다. 이를 위해 유도관(25)의 상단부에는 가스를 폭기조(29)로 유인하기 위한 반구 형상의 유도구(26)가 결합되어 가스를 약액속으로 침투시키도록 한다. The gas introduced into the
폭기조(29)에 담긴 약액(L)의 수위는 유도관의 상단부보다는 낮고 유도구(26)의 하단부보다는 높아야 폭기가 이루어지는데, 그 사이에서 수위를 유지하기 위해 낙수관(30)의 일단부를 폭기조(29) 상부에서 유도관(25)의 상단부보다는 낮고 유도구(26)의 하단부보다는 높은 위치에 관통 설치하고 낙수관(30)의 상단부로 넘치는 약액은 하방의 집수조(21)로 유도되도록 낙수관(30) 하단부를 집수조까지 연장시킨다. The liquid level of the chemical liquid L contained in the
상기 폭기조(29) 상부에는 도 3의 평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취탑(20)의 전체 단면적에 걸쳐 사각지대 없이 균일하게 약액(L)이 살포될 수 있도록 상부약액 공급관을 배열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상부노즐(32)을 설치하여 폭기되어 올라오는 악취가스에 재차 기액접촉 되도록 하며, 상부약액공급관(31) 상층부에는 배기구(34)로 배출되기 전 최종적으로 가스의 잔여악취성분을 흡수하는 폴링층(33)을 더 마련한다. As shown in the plan sectional view of FIG. 3, upper chemical liquid supply pipes are arrang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도 6은 습식 사이클론 탈취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평면도로, 악취를 유발하는 발생원의 성분이 복합적인 경우 그에 효율적으로 반응하는 이종의 약액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폴링층(33) 상부로 벤트(24)가 형성된 집수조(21), 하부노즐(28)이 형성된 하부약액공급관(27), 유도관(25), 폭기조(29), 상부노즐(32)이 구비된 상부약액공급관(31), 폴링층(33)으로 구성되는 탈취탑(20)을 2단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FIG. 6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et cyclone deodorization apparatus, and FIG. 7 is a plan view of FIG. 6, in which a heterogeneous chemical solution which reacts efficiently when the components of the source causing the odor are complex As shown in the figure, the
이 때 상부에 형성되는 두 번째 탈취탑에는 이종의 제2약액(L')을 공급하는 제2펌프(41')와 약액을 수집, 보관하는 제2약액탱크(40')를 더 구비하여 제2약액(L')의 순환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second deodorization tower formed on the upper part further includes a second pump 41 'for supplying a second chemical liquid L' of different kind and a second chemical liquid tank 40 'for collecting and storing the chemical liquid, 2 The chemical liquid (L ') circulates smoothly.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습식 사이클론 탈취장치(1)의 작용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et cyclone deodorizing
송풍기(100)에 의해 강제 먼지와 분진이 포함된 오염된 기체가 유입되면 먼저 입자가 크고 무거운 설진들은 사이클론 포집기(10)를 거치면서 아래로 수집되고 미세 분진과 함께 오염기체는 내부관(14)을 타고 벤트(24)를 거쳐 탈취탑(20) 내부로 고르게 확산 유입된다.When the contaminated gas containing the forced dust and dust is introduced by the
탈취 전 설진을 우선 제거하는 것은 먼지가 탈취탑(20) 안에서 각종 구성부재들에 엉겨 붙어 그 기능성을 떨어뜨리고 약액(L)을 오염시키며 고장을 일으킬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To remove the pre-deodorization grease first is to minimize the possibility that dust adheres to various constituent members in the
유입된 가스는 유도관(25)을 거쳐 승강하는데, 이 때 유도관 하측에서 하부노즐(28)을 통해 약액(L)을 집중 분무함으로써 기액접촉 밀도를 높여 탈취효율을 높이고, 폭기조(29)에 채워진 약액(L)과 폭기되어 재차 기액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잔류 미세먼지는 약액(L)에 침지되어 가스와 분리된다. The introduced gas is raised and lowered via the
폭기조(29)를 거친 가스는 상부노즐(32)에서 분무하는 약액과 마지막으로 기액접촉 반응을 하고 최종적으로 폴링층(33)을 통과하여 배기구(34)에는 매우 깨끗하게 세정된 가스만 배출이 이루어진다. The gas passing through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탈취장치(1)는 설진은 사이클론 포집기(10)와 폭기조(29)를 거쳐 제거되며, 오염된 기체는 탈취탑(20) 안에서 3단계의 기액접촉 과정을 통해 약액(L)과 반응하여 탈취가 이루어지므로 탈취장치(1)의 내구성과 탈취효과를 함께 증대시킨 장점을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following claims and the scope of protection from these techniques to equivalent technical means should be acknowledged.
1:탈취장치 100:송풍기
10:사이클론 포집기
11:몸체 12:투입구 13:설진배출구 14:내부관
20:탈취탑
21:집수조 22:드레인관 23:수위조절기 24:벤트
25:유도관 25a:돌출핀 26:유도구
27:하부약액공급관 28:하부노즐
29:폭기조 30:낙수관
31:상부약액공급관 32:상부노즐
33:폴링층 34:배기구
40:약액탱크 41:펌프
40':제2약액탱크 41':제2펌프
L:약액 L':제2약액1: deodorizing device 100: blower
10: Cyclone collector
11: body 12: inlet 13: septic outlet 14: internal tube
20: Deodorizing tower
21: water collecting tank 22: drain pipe 23: water level regulator 24: vent
25: guide
27: Lower chemical liquid supply pipe 28: Lower nozzle
29: Aeration tank 30: Drainage pipe
31: upper chemical liquid supply pipe 32: upper nozzle
33: polling layer 34: exhaust port
40: chemical liquid tank 41: pump
40 ': second chemical liquid tank 41': second pump
L: chemical solution L ': second chemical solution
Claims (3)
상기 포집기의 내부관(14) 상측으로 낙수되는 약액(L)이 포집되는 집수조(21) 및 집수조 중심에 연통되어 약액(L)을 배출시키는 드레인관(22);
상기 집수조(21)의 저면에 형성되어 내부관(14)을 타고 유입되는 가스를 상부로 확산시키는 벤트(24);
벤트(24) 상측으로 균일하게 배열 형성되어 가스의 이동경로를 제한하는 유도관(25) 및 유도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유도구(26);
상기 유도관(25) 하부에 위치하여 약액(L)을 분무시키는 하부노즐(28) 및 하부노즐(28)로 약액(L)을 공급하는 하부약액공급관(27);
상기 유도관(25)의 상부가 관통되며 유도관(25)을 통해 유입된 가스가 유도구(26)를 거쳐 약액(L)과 폭기가 이루어지는 폭기조(29);
일단이 폭기조(29) 상부에 관통되어 하방의 집수조(21)까지 연장되어 넘치는 약액을 집수조(21)로 배출시키는 낙수관(30);
상기 폭기조(29) 상부에 위치하고, 가스 내의 악취유발성분과 반응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약액(L)을 분사하는 상부노즐(32) 및 상부노즐로 약액을 공급하는 상부약액공급관(31);
상부약액공급관(31) 상측에 위치하여 배기구(34)로 배출되는 가스의 잔여악취성분을 흡수하는 폴링층(33);
상기 드레인관(22)을 통해 배출된 약액(L)을 저수하는 약액탱크(40) 및 저수된 약액을 상,하부약액공급관(27)(31)으로 이송시키는 펌프(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사이클론 탈취장치.
A cyclone collector (10) having an inlet (12)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tangential line, a lower discharge outlet (13) and an inner tube (14) for guiding the gas rising in the inner center portion;
A water collecting tank 21 for collecting the chemical liquid L dropp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pipe 14 of the collecting device and a drain pipe 22 communicating with the center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and discharging the chemical liquid L;
A vent (24) form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21) to diffuse the gas flowing on the inner pipe (14) upward;
An induction pipe 25 uniformly arranged above the vent 24 to limit the movement path of the gas, and a hydraulic tool 26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duction pipe;
A lower chemical liquid supply pipe 27 located below the induction pipe 25 for supplying the chemical liquid L to the lower nozzle 28 and the lower nozzle 28 for spraying the chemical liquid L;
An aeration tank 29 through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induction pipe 25 penetrates and in which the gas L introduced through the induction pipe 25 flows through the oil tool 26 and aeration;
A drainage pipe (30) which is once passe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aeration tank (29) and extends to the lower collecting tank (21) to discharge the overflowing chemical into the collecting tank (21);
An upper nozzle 32 located above the aeration tank 29 for spraying a chemical liquid L which reacts with a malodor generating component in the gas to remove odor and an upper chemical liquid supply pipe 31 for supplying a chemical solution to the upper nozzle;
A polling layer 33 located above the upper chemical liquid supply pipe 31 to absorb residual odor components of the gas exhausted to the exhaust port 34;
A chemical liquid tank 40 for storing the chemical liquid L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ipe 22 and a pump 41 for transferring the stored chemical liquid to the upper and lower chemical liquid supply pipes 27 and 31 Characterized in that the wet cyclone deodorizing device
상기 드레인관(22)의 중간에는 수위조절기(23)를 더 형성하여 약액(L)의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사이클론 탈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water level controller (23) is further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drain pipe (22)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of the chemical liquid (L).
상기 유도관(25)의 내측에는 돌출핀(25a)을 형성하여 오염가스와 약액(L)의 접촉시간과 접촉면적을 더 넓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사이클론 탈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projecting pin (25a)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guide pipe (25) to widen the contact time and contact area between the pollutant gas and the chemical liquid (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4277A KR101675148B1 (en) | 2016-03-22 | 2016-03-22 | Wet cylone deodoriz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4277A KR101675148B1 (en) | 2016-03-22 | 2016-03-22 | Wet cylone deodoriz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75148B1 true KR101675148B1 (en) | 2016-11-11 |
Family
ID=5752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4277A Active KR101675148B1 (en) | 2016-03-22 | 2016-03-22 | Wet cylone deodoriz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5148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4738B1 (en) * | 2019-09-06 | 2019-12-11 | 고성득 | Dust collecting device |
KR102259581B1 (en) * | 2021-02-19 | 2021-06-01 | 박길태 | Swirl flow type deodorizer |
KR102302958B1 (en) | 2021-04-26 | 2021-09-16 | 대영이엔지 주식회사 | Deodorizing apparatus based on single tower multi cyclone |
CN115121100A (en) * | 2022-07-29 | 2022-09-30 | 赞宇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gas-phase sulfonation production tail gas atomization absorption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method |
KR102715067B1 (en) * | 2024-04-26 | 2024-10-11 | 주식회사 원케이 | Contaminated gas purification device with water trap unit installed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40082A (en) * | 2005-05-04 | 2008-11-20 | デーウー・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 Wet air purifier |
KR100878923B1 (en) * | 2007-08-03 | 2009-01-15 | 양우봉 | Wet air filter |
KR100989563B1 (en) | 2010-08-26 | 2010-10-25 | 주식회사 케이디 | Deodorizing tower and method of deodorization |
KR101343474B1 (en) | 2013-09-03 | 2013-12-19 | 주식회사 두현이엔씨 | Malodor reduction apparatus in sewage treatment facility using biofilter with purification waterweed |
JP2014502558A (en) * | 2010-12-10 | 2014-02-03 | アルストム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 Wet scrubber and method for purifying process gas |
-
2016
- 2016-03-22 KR KR1020160034277A patent/KR10167514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40082A (en) * | 2005-05-04 | 2008-11-20 | デーウー・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 Wet air purifier |
KR100878923B1 (en) * | 2007-08-03 | 2009-01-15 | 양우봉 | Wet air filter |
KR100989563B1 (en) | 2010-08-26 | 2010-10-25 | 주식회사 케이디 | Deodorizing tower and method of deodorization |
JP2014502558A (en) * | 2010-12-10 | 2014-02-03 | アルストム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 Wet scrubber and method for purifying process gas |
KR101343474B1 (en) | 2013-09-03 | 2013-12-19 | 주식회사 두현이엔씨 | Malodor reduction apparatus in sewage treatment facility using biofilter with purification waterweed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4738B1 (en) * | 2019-09-06 | 2019-12-11 | 고성득 | Dust collecting device |
KR102259581B1 (en) * | 2021-02-19 | 2021-06-01 | 박길태 | Swirl flow type deodorizer |
KR102302958B1 (en) | 2021-04-26 | 2021-09-16 | 대영이엔지 주식회사 | Deodorizing apparatus based on single tower multi cyclone |
CN115121100A (en) * | 2022-07-29 | 2022-09-30 | 赞宇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gas-phase sulfonation production tail gas atomization absorption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method |
KR102715067B1 (en) * | 2024-04-26 | 2024-10-11 | 주식회사 원케이 | Contaminated gas purification device with water trap unit installe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5148B1 (en) | Wet cylone deodorizer | |
JP5514742B2 (en) | Flushing dust removal and purification equipment for polluted gases | |
KR102022476B1 (en) | Apparatus for dust and water-soluble odor removal and method thereof | |
JP5106982B2 (en) | Odor treatment method, malodor treatment system and breeding system | |
KR102093121B1 (en) | Chemical liquid cleaning deodorizer with wet dust removal function in incoming odor gas | |
KR102069379B1 (en) | Device for Deodorizing Polluted Air | |
KR20080042919A (en) | Water treatment unit | |
KR20150107346A (en) | A air cleaner | |
KR101055592B1 (en) | Water Wall Rotary Air Purifier | |
JP2008542008A (en) | Modular water treatment unit | |
KR100972664B1 (en) | A polluted air purifier | |
KR102461921B1 (en) | Bubble plate and liquid-only multi-stage deodorization tower device for the treatment of odorous substances | |
KR20180131723A (en) | Pollution gas scrubber | |
JP2012125720A (en) | Deodorizing device | |
KR102188763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odor | |
KR101557121B1 (en) | High-efficiency liquid deodorizing device | |
JP4632939B2 (en) | Water purification device, water purification method, purification device for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and purification system for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 |
KR101611538B1 (en) | A Scrubber for Collecting Contaminator from Gas with Swirl Generating Structure | |
KR102174694B1 (en) | A gas purifier with self-purifying function | |
KR100936462B1 (en) | Offensive odor treatment system using micro bubble | |
KR20170115421A (en) | Micro-bubbling Diffraction Scrubber | |
JPS6269033A (en) | Gaseous dust removal and sterilization equipment | |
KR102215310B1 (en) | iron-kylate deodorizer for removing high-concentration hydrogen sulfide | |
CN107673556A (en) | A kind of modularization sewage-treatment plant | |
KR102547023B1 (en) | Apparatus for purifying and deodorizing 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04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