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73768B1 -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 - Google Patents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768B1
KR101673768B1 KR1020150065111A KR20150065111A KR101673768B1 KR 101673768 B1 KR101673768 B1 KR 101673768B1 KR 1020150065111 A KR1020150065111 A KR 1020150065111A KR 20150065111 A KR20150065111 A KR 20150065111A KR 101673768 B1 KR101673768 B1 KR 101673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ata signal
sensor
flooding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면갑
Original Assignee
김면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면갑 filed Critical 김면갑
Priority to KR1020150065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7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센서와 경광등을 함께 설치하여 침수에 의한 피해를 방지함은 관리자가 침수상황에 맞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체크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에 의해 주변에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것과 함께 관리자에게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침수지역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경광등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침수가 발생하면 각 물탱크실(고가수조, 저수조, 배수탱크 등)을 포함하는 시설물 및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 등을 포함하는 침수 주요 지역에 설치된 경광등의 신호로 관리자가 신속한 대처를 통한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짐으로써 뿐만 아니라 기존 및 신축상황실을 통한 건물제어관리 수신화면을 통한 통합 감시를 통해 현재 침수되 있는 상황을 관제에 의한 신속한 대책을 강구하여 안전한 관리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Immersion detection alarms and alarm systems}
본 발명은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침수 시설물에 센서와 경광등을 함께 설치하여 침수에 의한 피해를 방지함은 물론 관리자가 침수상황에 맞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산업화, 공업화 등으로 인한 이산화탄소와 같은 공해물질의 배출량 증가 및 산림 파괴 등으로 기온이 상승하는 지구 온난화 현상과 엘니뇨 현상 등으로 인한 급격한 환경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국지적인 장소에 기습적인 폭우가 발생되는 기상이변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기상이변을 감시하는 현재의 기상예보 시스템은 기상위성을 통한 광범위한 지역에 대해 예보가 이루어지는 반면, 국지적인 장소에 대해서는 상세 기상정보가 전달되지 못하고 있어 현실적으로 그 대비책이 무방비 상태로 남고 있다.
예컨대, 특정 지역에서 늦은 시간에 취침을 하고 있을 때 기상 이변에 따라 폭우 등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 관리사무소는 중앙 통제기관으로부터 1차적인 기상 통보를 받고 이를 다시 전달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 내에 발생되는 폭우 등에는 전혀 대비를 할 수 없었다. 그리고 상기 중앙 통제기관은 대부분 현재시간의 기상 정보만을 제공하며, 그 기상정보 또한 포괄적인 지역에 대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장소에서 발생 될 수 있는 국지적인 기상이변에 대해 실제적인 재해 예방에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즉, 종래의 경보 체계에 있어서는 먼저, 재해에 관련된 정보 수집기관(예를 들면, 국토관리청, 기상청, 홍수통제소, 한국전력공사, 수자원공사, 가스안전공사, 기타 공공 또는 사설 관측소)에서 정보를 수집한다. 수집한 정보는 재해 경보 발령기관(예를 들면, 중앙재해대책본부 및 지방자치단체 재해 대책본부)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재해 경보 발령기관은 수집된 정보를 종합하여 판단하고 필요한 경우 재해경보를 발령한다. 이때, 종래의 경보 시스템은 공중전화망(PSTN)을 이용하여 보도기관 즉, 방송이나 신문 등의 언론기관에 통보한다. 언론기관 예를 들면 방송국은 이러한 경보를 라디오나TV를 통해 주민에게 전달한다. 또한, 재해 경보는 전화망을 통해 재해에 대한 직접적인 재해에 대해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수방대책기관 예를 들면 소방서, 긴급구조대, 민방공통제소, 경찰서, 적십자사, 건설안전관리본부 등의 유관기관으로 전달된다. 수방대책기관에서는 직접 재해지역에 나와 주민에게 재해경보를 전달한다. 한편, 단위 지역의 수방단(예를 들면 동 수방단)으로도 재해 경보가 전달된다. 동 수방단은 마을의 방송, 사이렌 또는 주민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재해 경보를 전달한다. 결국, 주민들은 방송과 사이렌 또는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전화 걸기에 의해 재해 경보를 전달받게 된다.
따라서, 직접 전화를 걸어야 하므로 재해 경보의 전달에 한계가 있다. 신속성도 결여된다. 또한, 공중파에 의한 경보 신호 전달이 불가능한 지역이거나 TV수신기가 없는 가정, 발령 당시에 무선 전화만 통화가 가능한 사람들에게는 재해경보가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재해 경보의 전달 여부가 불확실하고, 재해로 인해 인명 등의 피해가 커질 수 있다.
또한, 건물 내의 물탱크실의 장비고장으로 인한 물 넘침이 발생하여 기계실 및 물탱크실 내의 침수가 발생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침수예상지역에 침수경보장치를 설치하고 있으나, 종래의 침수경보장치의 경우 침수감지센서+예경보장치+통신장치+설치구조물이 일체화되어있어 협소한 장소에는 설치가 불가하며, 감지센서만 별도로 설치하는 등의 다양한 구성이 불가하여 시스템 구성이 단순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기에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3903호(2013.12.26. 공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하에 설치하는 물탱크실 및 주요 장소에 센서와 경광등을 함께 설치하여 침수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수가 발생하면 각 물탱크실(고가수조, 저수조, 배수탱크 등) 및 침수 주요장소에 설치된 경광등의 신호로 주위의 관리운영자가 신속한 대처를 통한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침수에 따른 신속한 대책을 강구하여 안전한 관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침수 감지 경보장치는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체크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에 의해 주변에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것과 함께 관리자에게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침수지역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경광등;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센서와 상기 경광등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경광등은 지역 또는 시설물에 경광등이 부착될 수 있도록 베이스패널을 형성하고,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경고를 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분석하는 컨트롤러를 구성하며, 상기 컨트롤러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경고를 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에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침수 감지 경보시스템은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체크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에 의해 주변에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것과 함께 관리자에게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침수지역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경광등과; 상기 경광등에서 인가되는 데이터를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송수신장치와; 상기 송수신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한 데이터 신호를 관리자에게 송신하는 메인컨트롤러와; 상기 메인컨트롤러에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 의해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상황에 대처하는 관리센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는지를 파악하는 센서부와; 센서부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수신 및 수신한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고, 경광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를 받아 관리자가 침수 지역 또는 침수 시설물을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송수신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센서등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기동, 정지, 메뉴, 확인 및 업, 다운, 레프트, 라이트를 포함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이 형성된 일측에 현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침수가 발생하면 각 물탱크실(고가수조, 저수조, 배수탱크 등)을 포함하는 시설물 및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 등을 포함하는 침수 주요 지역에 설치된 경광등의 신호로 관리자가 신속한 대처를 통한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짐으로써 뿐만 아니라 기존 및 신축상황실을 통한 건물제어관리 수신화면을 통한 통합 감시를 통해 현재 침수되 있는 상황을 관제에 의한 신속한 대책을 강구하여 안전한 관리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침수 감지 경보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경보기의 컨트롤러부의 구성은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침수 감지 경보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메인컨트롤러를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침구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침수 감지 경보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경보기의 컨트롤러부의 구성은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체크하는 센서(100)와, 상기 센서(10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에 의해 주변에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것과 함께 관리자에게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침수지역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경광등(20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센서(10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센서의 설치는 통상의 볼트, 피스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100)에서 체크하여 인가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경광등(200)으로 인가할 수 있도록 센서(100)와 경광등(200)의 사이에는 연결선을 설치한다.
상기 경광등(200)은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부착할 수 있도록 베이스패널(210)을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패널(210)의 상부에는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경고를 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100)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분석하는 컨트롤러부(220)를 설치하며, 상기 컨트롤러부(22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경고를 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램프(2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컨트롤러부(220)는 사용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21)와; 센서(10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수신 및 수신한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고, 경광등(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222)과; 상기 마이컴(222)의 제어를 받아 관리자가 침수 지역 또는 침수 시설물을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송수신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22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이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에 의한 침수 감지 경보장치는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많은 양의 물이 유입되면 설치한 센서(100)에서 이를 감지한다.
상기 센서(100)에서 감지하여 상기 경광등(200)의 컨트롤러부(220)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고,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통해 컨트롤러부(220)에서는 센서(100)가 설치된 지역 또는 시설물에 많은 양의 물이 유입되어 침수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 베이스패널(210)의 상부에 설치한 램프(230)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한다.
상기 램프(230)의 구동에 의해 현재 센서(100)가 설치된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주변에 알려 침수에 따른 대처를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의한 침수 감지 경보기의 작용을 도 3에 도시한 침수 감지 경보 시스템을 통해 관리자에게 알리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침수 감지 경보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침수 감지 경보시스템은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체크하는 센서(100)와, 상기 센서(10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에 의해 주변에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것과 함께 관리자에게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침수지역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경광등(200)과, 상기 경광등(200)에서 인가되는 데이터를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송수신장치(300)와, 상기 송수신장치(3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한 데이터 신호를 관리자에게 송신하는 메인컨트롤러(400)와, 상기 메인컨트롤러(400)에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 의해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상황에 대처하는 관리센터(5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경광등(200)은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경광등을 부착할 수 있도록 베이스패널(210)이 구성되고,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경고를 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100)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감지하며, 분석하는 컨트롤러부(220)를 상기 베이스패널(210)의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컨트롤러부(22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경고를 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패널 상부에 배터리를 포함하는 램프(230)를 설치하며, 상기 램프(230)가 설치된 베이스패널의 상부에 결합되는 등커버(240)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부(220)는 상용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을 전원부에서 공급하고, 센서(10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수신 및 수신한 신호의 송신을 제어 및 경광등(200)의 구동을 마이컴(222)에서 제어하며, 상기 마이컴(222)의 제어를 받아 관리자가 침수 지역 또는 침수 시설물을 파악할 수 있도록 송수신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223)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컨트롤러(400)는 모든 데이터(아날로그 입력값, 아날로그 출력값, 디지털입력 상태, 디지털 출력 상태)의 표시 및 설정(시스템설정, 아날로그 입력설정, 아날로그 출력설정, 디지털입력설정, 디지털출력설정, 내부메모리 설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존로직이 내장되며, 필요한 로직 번호를 설정하여 모든 기능을 콘트롤한다.
상기 메인컨트롤러(400)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복수의 버튼(410)을 구성한다. 상기 버튼(410)은 기동버튼, 정지버튼, 메뉴버튼, 확인버튼, 업(Up)버튼, 다운(Down)버튼, 레프트버튼(L), 라이트버튼(R)으로 구성한다.
상기 버튼(4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 데이터의 이동, 설정 등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버튼(410)이 설치된 일측에는 현재 상태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411)가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11)의 상부에는 메인컨트롤러(400)의 전원 상태 및 통신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원표시등(412)과 통신상태표시등(413)을 설치한다.
상기 케이스 전면 하단부에는 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전원연결단자(414)를 설치하고, 상기 전원연결단자(414) 일측에는 메인컨트롤러(400)에 프로그램(개발 소스 프로그램, 그래픽자료, 운전 데이터 등)을 설치하거나 또는 내부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도록 데이터입력포트(415)를 설치하고, 상위 메인컨트롤러(400)에서 감시 및 제어하거나, 모듈 간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통신라인을 연결하는 통신용포트(416)를 설치하며, 상기 통신용포트(416)는 RS-232C포트, RS-485C포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RS-232C포트는 상위 유니트에서 감시 및 제어를 하기 위한 것이고, RS-485C포트는 모듈간 통신시 연결하는 단자이다.
상기 RS-485C포트는 채널 1번은 메인 유니트 간 통신시 연결하는 단자이며, 채널 2번은 하위 I/O 모듈간 통신시 연결하는 단자이다.
상기 통신용포트(416) 일측에는 외부연결포트(417)를 설치하고, 상기 외부연결포트(417)는 휴대용 노트북 또는 테블릿PC와 연결하여 메인컨트롤러(400) 내 모든 데이터를 시험할 때 사용하는 랜포트로 구성하며, 상기 메인컨트롤러(400) 내에는 상기 랜포트와 연결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상기 외부연결포트(417) 일측에는 메인컨트롤러(40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유니트상태표시등(418)을 설치하고, 상기 유니트상태표시등(418)은 전원 인입 후 메인컨트롤러의 정상 동장 상태를 나타내며, 로직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확인 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경광등(200)을 설치하고, 설치한 경광등과 센서(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침수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광등(200)에는 충전식 배터리를 설치하거나 또는 통상의 상용 전원을 인가받아 센서(100), 램프(230), 컨트롤러부(220)에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센서(100)와 경광등(200)을 설치한 상태에서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면, 센서(100)에서 체크하여 이를 경광등(200)으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고, 인가된 데이터 신호는 컨트롤러부(220)의 마이컴(222)에 제어를 받아 송신부(223)를 통해 센서에서 체크 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장치(300)로 인가한다.
상기 송수신장치(300)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는 메인컨트롤러(400)로 인가하여 현재 어느 지역의 어느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였는지 관리센터(500)로 제공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신호를 변환한다.
상기 송수신장치(300)는 변환한 데이터 신호를 관리센터(500)로 인가하여 현재 어느 지역에서 침수가 발생하였는지 또는 어느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함과 동시에 침수가 발생한 지역 또는 시설물에 대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고가수조, 저수조, 배수탱크를 포함하는 물탱크실에 침수가 발생하거나 또는 밸브의 고장으로 인하여 고가수조, 저수조, 배수탱크에서 물이 넘치는 경우, 이를 센서(100)에서 체크하고, 동시에 경광등(200)에서 경보를 알림과 동시에 데이터신호를 송신하여 송수신장치(300), 메인컨트롤러(400)를 거쳐 관리센터(500)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므로 관리센터(500)에서는 이를 확인하여 그에 따른 상황에 맞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것과 같이 침수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물이 저장되거나 또는 물이 이동하는 지역에 설치하여 누수의 상황 또한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센서 200: 경광등
210: 베이스패널 220: 컨트롤러부
221: 전원부 222: 마이컴
223: 송신부 230: 램프
240: 등커버 300: 송수신장치
400: 메인컨트롤러 410: 버튼
411: 디스플레이부 412: 전원표시등
413: 통신상태표시등 414: 전원연결단자
415: 데이터입력포트 416: 통신용포트
417: 외부연결포트 418: 유니트상태표시등
500: 관리센터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침수 감지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체크하는 센서(100)와; 상기 센서(10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에 의해 주변에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경고함과 함께 관리자에게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침수지역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경광등(200)과; 상기 경광등(200)에서 인가되는 데이터를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는 송수신장치(300)와; 상기 송수신장치(3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한 데이터 신호를 관리자에게 송신하는 메인컨트롤러(400)와; 상기 메인컨트롤러(400)에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 의해 지역 또는 시설물에 침수가 발생하였는지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상황에 대처하는 관리센터(50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컨트롤러(400)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센서(100), 경광등(200), 송수신장치(300)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기동, 정지, 메뉴, 확인 및 업(Up), 다운(Down), 레프트(L), 라이트(R)를 포함하는 버튼(410)와; 상기 버튼(410)이 형성된 일측에 현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11);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메인컨트롤러에 데이터를 설치하거나 내부 고장을 진단할 수 있도록 데이터입력포트가 구비되고, 그 메인컨트롤러의 상기 데이터의 시험 구동시 사용되는 외부연결포트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컨트롤러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상태표시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감지 경보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광등(200)은
    주차장, 보일러실, 변전실을 포함하는 지역 또는 시설물에 경광등이 부착될 수 있도록 베이스패널(210)을 형성하고,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경고를 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100)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분석하는 컨트롤러부(220)를 구성하며,
    상기 컨트롤러부(22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빛을 발생시켜 침수가 발생하였다는 경고를 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패널(210)의 상부에는 배터리를 갖는 램프(23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감지 경보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220)는
    상용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21)와;
    센서(10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수신 및 수신한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고, 경광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222)과;
    상기 마이컴(222)의 제어를 받아 관리자가 침수 지역 또는 침수 시설물을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송수신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2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감지 경보시스템.
  8. 삭제
KR1020150065111A 2015-05-11 2015-05-11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 Active KR101673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111A KR101673768B1 (ko) 2015-05-11 2015-05-11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111A KR101673768B1 (ko) 2015-05-11 2015-05-11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768B1 true KR101673768B1 (ko) 2016-11-07

Family

ID=5752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111A Active KR101673768B1 (ko) 2015-05-11 2015-05-11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7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872B1 (ko) * 2017-09-26 2018-05-28 덕산메카시스 주식회사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
WO2020096082A1 (ko) * 2018-11-06 2020-05-14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도심 침수심 측정을 위한 연석
KR20200077325A (ko) 2018-12-20 2020-06-30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간편 설치형 내수침수 감지시스템
KR20200077326A (ko) 2018-12-20 2020-06-30 (주)아이오티솔루션 볼라드형 내수침수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464A (ko) * 2010-06-15 2011-12-21 오희재 도로 침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146085B1 (ko) * 2011-11-03 2012-05-11 (주)정한전자시스템 침수 경보장치
KR20130125456A (ko) * 2012-05-09 2013-11-19 현대해상화재보험 주식회사 도로 침수 감지 장치를 이용한 도로 침수 안내 시스템
KR101343903B1 (ko) 2013-06-20 2013-12-26 경기도 광주시 감지센서가 내장된 이동형 침수 경보장치 및 그 침수경보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침수감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464A (ko) * 2010-06-15 2011-12-21 오희재 도로 침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146085B1 (ko) * 2011-11-03 2012-05-11 (주)정한전자시스템 침수 경보장치
KR20130125456A (ko) * 2012-05-09 2013-11-19 현대해상화재보험 주식회사 도로 침수 감지 장치를 이용한 도로 침수 안내 시스템
KR101343903B1 (ko) 2013-06-20 2013-12-26 경기도 광주시 감지센서가 내장된 이동형 침수 경보장치 및 그 침수경보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침수감지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872B1 (ko) * 2017-09-26 2018-05-28 덕산메카시스 주식회사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
WO2020096082A1 (ko) * 2018-11-06 2020-05-14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도심 침수심 측정을 위한 연석
US11187568B2 (en) 2018-11-06 2021-11-30 The Republic Of Korea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Curb for measuring flood depth in urban area
KR20200077325A (ko) 2018-12-20 2020-06-30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간편 설치형 내수침수 감지시스템
KR20200077326A (ko) 2018-12-20 2020-06-30 (주)아이오티솔루션 볼라드형 내수침수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25731A1 (en) Monitoring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Satellite Modules
KR100806255B1 (ko) 상수도시설용 통합관리시스템
CN110679201A (zh) 具有公用事业控制单元的地震事件响应警报和公用事业控制系统
US20040203568A1 (en) Computerized warning system interface and method
KR101673768B1 (ko)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
CN102542717A (zh) 一种防火安全警示自救系统与方法
CN106297154A (zh) 一种智能消防维保监控系统
KR102234285B1 (ko)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KR101895213B1 (ko) 태양광 무선비상 호출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US9458608B1 (en) Automatic water shut-off and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220092B1 (ko) 화재탐지기 관리 장치
CN212076076U (zh) 一种可检测轿厢进水的电梯系统
CN112820082A (zh) 一种基于物联网的人防警报器监管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522796B1 (ko) 태양광 자가 충전식 지진감지 및 응급구조요청 초고속 무선통신 시스템
KR200394969Y1 (ko) 침수 자동 경보장치
CN216852161U (zh) 供水泵房监控管理系统
KR20070081473A (ko) 경보메시지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1758100B1 (ko) 그린에너지를 이용한 원클릭 물관리 자동화시스템
JP2010020376A (ja) 遠隔監視故障時通報代行システム
CN201936416U (zh) 一种防火安全警示自救系统
KR101190113B1 (ko) 옥내 경보장치
KR200449583Y1 (ko) 공동구의 신호를 아이피 기반신호로 전송하는 현장컨트롤러를 구비한 공동구 관리시스템
KR200423964Y1 (ko) 서버통신기능이 있는 소방차 방재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JP2017040094A (ja) 門扉操作装置、門扉監視装置、門扉操作方法及び門扉監視方法
KR20200136628A (ko) 무선 화재 감지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