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933B1 - Bridge using the socket membe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ridge using the socket membe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2933B1 KR101672933B1 KR1020150175033A KR20150175033A KR101672933B1 KR 101672933 B1 KR101672933 B1 KR 101672933B1 KR 1020150175033 A KR1020150175033 A KR 1020150175033A KR 20150175033 A KR20150175033 A KR 20150175033A KR 101672933 B1 KR101672933 B1 KR 1016729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coupled
- bridge
- socket member
- pi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목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교량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vil engineering field,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idge structu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하천 및 강을 횡단하는 연속교량(다 경간이 연속적으로 결합된 교량)은 우천(집중호우)시 수면이 상승하고, 수량이 증대되어 떠내려 오는 부유물질에 의해 연속교량의 교각부에 손상이 발생한다.Continuous bridges crossing rivers and rivers (bridges with multiple bridges continuously connected) increase the water level during rainy weather (heavy rainfall) and cause damage to the bridges of the continuous bridges due to the floating substances that increase in water yield .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속교량의 설계시 경간의 길이를 늘려 교각 개수를 줄여 부유물질에 의한 교각부 손상을 줄이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length of the span is increased to reduce the number of bridge piers in the design of the continuous bridge to reduce the damage of the piers due to the suspended material.
사고 예방을 위해 지하차도에 적용되는 연속교량과 도로를 횡단하는 연속교량에도 교각 개수를 줄이는 설계가 진행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the design of reducing the number of bridge piers is underway for continuous bridges that are applied to underground roads and continuous bridges that cross roads.
그러나 경간의 길이가 길어지면 연속교량의 교각부(내부지점)에 부모멘트가 증가되고 이로 인해 거더의 형고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if the length of the span becomes lo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vation of the girder i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the momentum at the bridge portion (internal point) of the continuous bridge.
거더의 형고가 높아지면 공사비가 증가하고, 거더를 운반 설치하기 위한 장비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다.
If the height of the girder increases, the construction cost increases, and the equipment for carrying and installing the girder becomes larg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소켓부재를 이용하여 연속교량의 부모멘트를 최소화하는 교량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idge structure for minimizing the moment of a continuous bridge using a socket memb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ridge structure.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교각(100); 상기 교각(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소켓부재(200); 상기 소켓부재(200)를 관통하여 거치되는 거더(300); 상기 거더(300)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교대(400); 상기 소켓부재(200)의 상부와 상기 소켓부재(200)에 삽입되지 않은 상기 거더(30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 바닥판(500);을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상기 소켓부재(200)는 상기 교각(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받침부(220); 상기 거더(300)의 측면과 상면을 둘러 감싸는 구조로 상기 받침부(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부(2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받침부(220)는 상기 교각(100)의 상부에 끼움결합 되도록 상기 받침부(220)의 하면에 결합되는 결합부(210); 상기 결합부(210)의 외측면과 상기 받침부(220)의 하면에 결합된 리브(2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교각(100)은 강관구조이고, 상기 받침부(220)는 상기 교각(100)의 상부에 용접결합되며, 상기 교각(100)의 외측면과 상기 받침부(220)의 하면에 결합되는 리브(2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덮개부(240)는 상기 거더(300)의 측면과 상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부(241); 상기 본체부(241)의 하부 좌우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받침부(220)의 상면에 결합되는 돌부(24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본체부(241)의 좌우측면 중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가로보(310)와 결합되는 가로보체결부(243)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가로보체결부(243)는 상기 본체부(241)의 측면 중앙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로보(310)의 복부와 결합판(244)에 의해 볼트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ross beam fastening
상기 거더(300)는 강재거더이고, 상기 받침부(220)의 상면에는 가이드볼트(221)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220)에 거치되는 상기 거더(300)의 하부플랜지에는 상기 거더(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볼트(221)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교대(400)는 상기 거더(300)를 상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거더(300)의 하면에 설치되는 교대받침부(410); 상기 교대받침부(410)의 외측에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거더(300)를 내측방향으로 지지하는 벽부(4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교대받침부(410)의 상면과 상기 거더(300)의 하면 사이에는 슬라이딩패드(411)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A
상기 거더(300)는 강재거더이고, 상기 슬라이딩패드(411)의 상면에는 슬라이딩볼트(412)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패드(411)에 거치 되는 상기 거더(300)의 하부플랜지에는 상기 거더(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볼트(412)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상기 벽부(420)의 내측면에는 신축재(421)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n
상기 벽부(420)에는 상기 거더(300) 상면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벽부(42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커버플레이트(422)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본 발명의 교량구조물 제작방법은 상기 교각(100)을 설치하는 교각설치단계(S100); 상기 교대(400)를 설치하는 교대단계(S200); 상기 교각(100)에 상기 받침부(220)를 결합하는 받침부결합단계(S300); 상기 받침부(220)에 상기 거더(300)를 거치하는 거더설치단계(S400); 상기 거더(300)의 측면과 상면을 감싸도록 상기 덮개부(240)를 결합하는 덮개부결합단계(S500);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500)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S600);를 포함한다.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installing a bridge pillar (S100) for installing the bridge pier (100); A step (S200) of installing the shift (400); (S300) for coupling the support part (220) to the bridge pier (100); A girder installation step (S400) of mounting the girder (300) on the support part (220); (S500) of joining the lid part (240) to cover the side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300); And a concrete casting step (S600) for casting the concrete to form the concrete bottom plate (500).
본 발명의 소켓부재를 이용하여 연속교량을 시공하면 거더의 형고를 높이지 않으면서 연속교량의 경간을 확대할 수 있고, 교각부(지점부)의 부모멘트를 최소화할 수 있다.When the continuous bridge is constructed using the socke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n of the continuous bridge can be enlarged without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girder, and the moment of the bridge portion (fulcrum portion) can be minimized.
또한 거더의 자중이 가볍기 때문에 운반과 설치가 용이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eight of the girder is light, it is easy to carry and install, an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구조물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구조물 평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소켓부재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소켓부재에 거더가 설치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소켓부재에 가로보가 설치된 단면도.
도 9 또는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소케부재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소켓부재에 거더가 설치된 단면도.
도 12 또는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바닥판이 타설된 교량구조물 사시도.
도 15는 연속교에 의한 모멘트도(참고도)
도 16은 본원발명에 의한 모멘트도(참고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6 are sectional views of the socket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cket memb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girder is installed.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cket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rossbar is provided;
9 or 10 is a sectional view of a soak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irder provided on a socket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or 13 is an alternate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idge structure in which a concrete bottom plate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view showing a moment diagram (reference diagram)
16 is a view showing a moment diagram (reference diagram)
본 발명에 따른 공장제작형 소켓부재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제작방법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 bridge structure using a factory-made socke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ridge structure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after are merely reference numerals for distinguishing between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fined by terms such as first, second, no.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term " coupled " is used not only in the case of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contact relation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but also means that other constituent elem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Use them as a concept to cover each contact.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장제작형 소켓부재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제작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bridge structure using a factory-made socke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ridge structure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교량구조물은 교각(100); 교각(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소켓부재(200); 소켓부재(200)를 관통하여 거치되는 거더(300); 거더(300)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교대(400); 소켓부재(200)의 상부와 소켓부재(200)에 삽입되지 않은 거더(30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 바닥판(500);을 포함한다.The bridg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연속 라멘교는 교각과 거더, 교대와 거더가 일체화 되어 고정지점(거더의 신축거동이 불가능한 지점)으로 시공된다. The continuous ramen bridge is constructed as a fixed point (the point wher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girder is not possible) as the bridge pier, girder, alternation and girder are integrated.
연속 라멘교는 경간 중앙부에 발생하는 정모멘트와 교각부(지점부)에 발생하는 부모멘트가 크게 발생한다.(도 15. 참고)In the case of continuous rayman bridge, the moment generated at the center part of the span and the moment generated at the bridge part (the focal point) are large.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소켓부재를 사용할 경우, 소켓부재에 삽입된 거더는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 이후 소켓부재 내부에서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가동이 가능하다.However, when the socke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girder inserted into the socket member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inside the socket member after the bottom plate concrete is poured.
즉, 소켓부재는 교각에 거치된 거더를 힌지구조(힌지지점)로 지지하기 때문에 경간부에 발생하는 정모멘트와 교각부에 발생하는 부모멘트를 최소화할 수 있다.(도 16 참고)
In other words, since the socket member supports the girder that is mounted on the pier at the hinge structure (hinge poin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moment generated at the slope portion and the moment generated at the pier portion (see FIG. 16).
소켓부재(200)는 교각(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받침부(220); 거더(300)의 측면과 상면을 둘러 감싸는 구조로 받침부(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부(2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 경우, 거더는 덮개부 내부에 설치되어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교각에 결합되는 거더는 힌지구조로 지지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girder is installed inside the lid and can fl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the girder coupled to the pier is supported by the hinge structure.
받침부(220)는 교각(100)의 상부에 끼움 결합 되도록 받침부(220)의 하면에 결합되는 결합부(210); 결합부(210)의 외측면과 받침부(220)의 하면에 결합된 리브(2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ceiving
이 경우, 소켓부재는 결합부에 의해 교각 상부에 끼워지는 구조로 결합되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하다.
In this case, since the socket member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pier by the coupling portion, the socket member is easy to install.
교각(100)은 강관구조이고, 받침부(220)는 교각(100)의 상부에 용접결합되며, 교각(100)의 외측면과 받침부(220)의 하면에 결합되는 리브(2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 경우, 강관구조의 교각에는 용접으로 교각 상부와 받침부 하면을 결합하여 받침부를 형성한다.
In this case, welded joints are formed at the piers of the steel pipe structure by combining the upper part of the piers and the lower part of the piers.
덮개부(240)는 거더(300)의 측면과 상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부(241); 본체부(241)의 하부 좌우측으로 돌출되어 받침부(220)의 상면에 결합되는 돌부(24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 경우, 거더 설치 후 설치된 거더에 덮개부를 씌우고, 받침부의 상면과 돌부를 볼트 또는 용접 결합하기 때문에 덮개부의 설치가 용이하다.In this case, the lid portion is placed on the girder installed after the girder is installed, and the cover portion is easily installed because the upper surface and the projection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are bolted or welded.
또한 덮개부 설치로 거더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Al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duction of the girder by installing the lid part.
본체부(241)의 좌우측면 중 일측면 또는 양 측면에는 가로보(310)와 결합되는 가로보체결부(243)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cross securing
이 경우, 이 경우 본체부에 가로보를 체결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교량구조물을 확보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a cross beam is fastened to the main body in this case, a stable bridge structure can be secured.
가로보체결부(243)는 본체부(241)의 측면 중앙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가로보(310)의 복부와 결합판(244)에 의해 볼트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ross
이 경우, 가로보의 결합이 볼트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합공정이 용이하다.
In this case, the joining process is easy since the joining of the cross beams is performed by the bolts.
거더(300)는 강재거더이고, 받침부(220)의 상면에는 가이드볼트(221)가 형성되며, 받침부(220)에 거치되는 거더(300)의 하부플랜지에는 거더(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어 가이드볼트(221)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이 경우, 거더는 가이드볼트에 결합되기 때문에 거더 설치 직후 거더는 전도되지 않고 받침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girder is coupled to the guide bolt, the girder is st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without being conducted immediately after the girder is installed.
교대(400)는 거더(300)를 상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거더(300)의 하면에 설치되는 교대받침부(410); 교대받침부(410)의 외측에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거더(300)를 내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벽부(4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 경우, 교대는 공장에서 PC(Precast Concrete)로 제작될 수 있고, 현장으로 반입되어 바로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hift can be made at the factory as a PC (Precast Concrete), brought into the field and installed immediately.
본 발명에 의한 교대는 기존 교대에 비하여 규모가 작은 교대로서, 설치와 운반이 용이하다.
The sh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ll shift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shift, and is easy to install and transport.
교대받침부(410)의 상면과 거더(300)의 하면 사이에는 슬라이딩패드(411)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A sliding
이 경우, 온도에 의한 신축거동시 거더는 슬라이딩패드에 의해 하면이 손상되지 않는다.
In this case, the lower surface of the girder is not damaged by the sliding pad in the case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due to the temperature.
거더(300)는 강재거더이고, 슬라이딩패드(411)의 상면에는 슬라이딩볼트(412)가 형성되고, 슬라이딩패드(411)에 거치 되는 거더(300)의 하부플랜지에는 거더(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어 슬라이딩볼트(412)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liding
이 경우, 거더는 교대 설치 후 슬라이딩볼트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전도가 방지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girders are fixed by the sliding bolts after the alternate installation, the conduction is prevented.
벽부(420)의 내측면에는 신축재(421)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n
이 경우, 신축재는 거더의 신축가동에 대한 공간을 확보하고, 거더의 신축가동시 거더단부의 손상을 방지한다.
In this case, the stretchable material secures a space for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girder, and prevents the end of the girder from being damaged when the girder is stretched or shrunk.
벽부(420)에는 거더(300) 상면의 일부를 덮도록 벽부(42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커버플레이트(422)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이 경우,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시 교대와 바닥판을 일체화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bottom plate concrete is poured, the alternation and the bottom plate can be integrated.
본 발명에 의한 교량구조물 제작방법은 교각(100)을 설치하는 교각설치단계(S100); 교대(400)를 설치하는 교대단계(S200); 교각(100)에 받침부(220)를 결합하는 받침부결합단계(S300); 받침부(220)에 거더(300)를 거치하는 거더설치단계(S400); 거더(300)의 측면과 상면을 감싸도록 덮개부(240)를 결합하는 덮개부결합단계(S500);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바닥판(500)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S600);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installing a bridge pier (S100) for installing a bridge pier (100); An alternating step (S200) of installing an alternation (400); (S300) of joining a pedestal part (220) to a bridge pier (100); A girder installation step (S400) of placing the girder (300) on the support part (220); (S500) of joining the lid part (240) to cover the side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300); And a concrete pouring step (S600) for pouring the concrete to form the concrete bottom plate (500).
이 경우, 교각 설치 후 받침부의 결합공정이 용이하고, 거더 설치단계 이후 덮개부결합단계를 실시하기 때문에 별도의 거더전도방지공 없이 거더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joining process of the support portion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pier is easy and the lid portion joining step is performed after the girder installation step,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irder from being turned over without a separate girder turning prevention hole.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교각 200 : 소켓부재
210 : 결합부 220 : 받침부
221 : 가이드볼트 230 : 리브
240 : 덮개부 241 : 본체부
242 : 돌부 243 : 가로보체결부
244 : 결합판 300 : 거더
310 : 가로보 400 : 교대
410 : 교대받침부 411 : 슬라이딩패드
412 : 슬라이딩패드 420 : 벽부
421 : 신축재 422 : 커버플레이트100: Pier angle 200: Socket member
210: engaging portion 220:
221: Guide bolt 230: Rib
240: lid part 241:
242: projecting portion 243:
244: joint plate 300: girder
310: Crossbar 400: Shift
410: Alternate bearing 411: Sliding pad
412: Sliding pad 420: Wall part
421: Elastic member 422: Cover plate
Claims (14)
상기 교각(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소켓부재(200);
상기 소켓부재(200)를 관통하여 거치되는 거더(300);
상기 거더(300)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교대(400);
상기 소켓부재(200)의 상부와 상기 소켓부재(200)에 삽입되지 않은 상기 거더(30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 바닥판(500);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부재(200)는
상기 교각(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받침부(220); 및
상기 거더(300)의 측면과 상면을 둘러 감싸는 구조로 상기 받침부(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거더(300)는 강재거더이고,
상기 받침부(220)의 상면에는 가이드볼트(221)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220)에 거치되는 상기 거더(300)의 하부플랜지에는 상기 거더(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볼트(22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
A bridge 100;
A socket member 20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ridge 100;
A girder 300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socket member 200;
An alternation 400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girder 300;
And a concrete bottom plate 500 inserted to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ocket member 20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girder 300 not inserted into the socket member 200,
The socket member (200)
A pedestal 22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ridge 100; And
And a lid part 24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part 220 so as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300,
The girder 300 is a steel girder,
A guide bolt 22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220,
Wherein a long hol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300) and is coupled to the guide bolt (221) on a lower flange of the girder (300) which is fixed to the support part (220).
상기 받침부(220)는
상기 교각(100)의 상부에 끼움결합 되도록 상기 받침부(220)의 하면에 결합되는 결합부(210);
상기 결합부(210)의 외측면과 상기 받침부(220)의 하면에 결합된 리브(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unit 220 includes:
An engaging portion 210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220 to be fit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ier 100;
And a rib (230)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210) and a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220).
상기 교각(100)은 강관구조이고,
상기 받침부(220)는 상기 교각(100)의 상부에 용접결합되며,
상기 교각(100)의 외측면과 상기 받침부(220)의 하면에 결합되는 리브(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idge pier 100 has a steel pipe structure,
The receiving portion 220 is wel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100,
And a rib (230)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bridge pier (100) and a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220).
상기 덮개부(240)는
상기 거더(300)의 측면과 상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부(241);
상기 본체부(241)의 하부 좌우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받침부(220)의 상면에 결합되는 돌부(2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d portion 240
A body portion 241 form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300;
And a protrusion (242) protruded to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part (241) a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220).
상기 본체부(241)의 좌우측면 중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가로보(310)와 결합되는 가로보체결부(24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cross beam fastening part (243) coupled to the beam (310) is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part (241).
상기 가로보체결부(243)는
상기 본체부(241)의 측면 중앙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로보(310)의 복부와 결합판(244)에 의해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ross bar fastening portion 243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enter of a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41), and is bolted to the abdomen of the beam (310) by a coupling plate (244).
상기 교대(400)는
상기 거더(300)를 상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거더(300)의 하면에 설치되는 교대받침부(410);
상기 교대받침부(410)의 외측에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거더(300)를 내측방향으로 지지하는 벽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lternating (400)
An alternate support unit 410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girder 300 to support the girder 300 in an upward direction;
And a wall part (420) protruded upward from the outside of the shift support part (410) to support the girder (300) in an inward direction.
상기 교대받침부(410)의 상면과 상기 거더(300)의 하면 사이에는 슬라이딩패드(4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sliding pad (411)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hift support part (4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girder (300).
상기 거더(300)는 강재거더이고,
상기 슬라이딩패드(411)의 상면에는 슬라이딩볼트(412)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패드(411)에 거치 되는 상기 거더(300)의 하부플랜지에는 상기 거더(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볼트(41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girder 300 is a steel girder,
A sliding bolt 412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pad 411,
Wherein a slit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300) and is coupled to the sliding bolt (412) on a lower flange of the girder (300) that is fixed to the sliding pad (411).
상기 벽부(420)의 내측면에는 신축재(42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n elastic material (421)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part (420).
상기 벽부(420)에는 상기 거더(300) 상면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벽부(42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커버플레이트(422)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cover plate (422) protruding inward of the wall part (420) is coupled to the wall part (420) so as to cover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300).
상기 교각(100)을 설치하는 교각설치단계(S100);
상기 교대(400)를 설치하는 교대단계(S200);
상기 교각(100)에 상기 받침부(220)를 결합하는 받침부결합단계(S300);
상기 받침부(220)에 상기 거더(300)를 거치하는 거더설치단계(S400);
상기 거더(300)의 측면과 상면을 감싸도록 상기 덮개부(240)를 결합하는 덮개부결합단계(S500);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500)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구조물 제작방법.13.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ridge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7, and 13,
A pier installation step (S100) for installing the pier 100;
A step (S200) of installing the shift (400);
(S300) for coupling the support part (220) to the bridge pier (100);
A girder installation step (S400) of mounting the girder (300) on the support part (220);
(S500) of joining the lid part (240) to cover the side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300);
And a concrete pouring step (S600) of placing the concrete to form the concrete bottom plate (5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5033A KR101672933B1 (en) | 2015-12-09 | 2015-12-09 | Bridge using the socket membe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5033A KR101672933B1 (en) | 2015-12-09 | 2015-12-09 | Bridge using the socket membe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72933B1 true KR101672933B1 (en) | 2016-11-04 |
Family
ID=5753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5033A Active KR101672933B1 (en) | 2015-12-09 | 2015-12-09 | Bridge using the socket membe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2933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1107B1 (en) * | 2017-05-30 | 2018-02-21 | 정창현 | Temporary bridge structure |
CN109826090A (en) * | 2019-04-01 | 2019-05-31 |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Assembled fragment bent cap and attaching method thereof |
KR102209709B1 (en) * | 2020-06-05 | 2021-01-29 | 포엠 주식회사 | Prefabricated bridge with pocket type cop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491293B1 (en) * | 2022-02-18 | 2023-01-26 | 주식회사 파크조경 | deck-coupled post-type footbridge with pile reinforcement cap and anti-loosening bolt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06209A (en) * | 2001-01-11 | 2002-07-26 | Nkk Corp | Bridge with upper and lower integrated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1243777B1 (en) * | 2012-10-22 | 2013-03-25 | 박영호 | Rahmen bridge using composite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and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1452178B1 (en) * | 2014-05-20 | 2014-10-22 | 주식회사 에이스이엔씨 | Semi-integral abutment bridge using precast parapet and the construction therefor |
KR101560253B1 (en) * | 2015-03-19 | 2015-10-14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Precast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ile and precast coping |
-
2015
- 2015-12-09 KR KR1020150175033A patent/KR10167293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06209A (en) * | 2001-01-11 | 2002-07-26 | Nkk Corp | Bridge with upper and lower integrated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1243777B1 (en) * | 2012-10-22 | 2013-03-25 | 박영호 | Rahmen bridge using composite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and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KR101452178B1 (en) * | 2014-05-20 | 2014-10-22 | 주식회사 에이스이엔씨 | Semi-integral abutment bridge using precast parapet and the construction therefor |
KR101560253B1 (en) * | 2015-03-19 | 2015-10-14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Precast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ile and precast coping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1107B1 (en) * | 2017-05-30 | 2018-02-21 | 정창현 | Temporary bridge structure |
CN109826090A (en) * | 2019-04-01 | 2019-05-31 |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Assembled fragment bent cap and attaching method thereof |
CN109826090B (en) * | 2019-04-01 | 2024-03-12 |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Assembled type segmented bent cap and connecting method thereof |
KR102209709B1 (en) * | 2020-06-05 | 2021-01-29 | 포엠 주식회사 | Prefabricated bridge with pocket type cop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491293B1 (en) * | 2022-02-18 | 2023-01-26 | 주식회사 파크조경 | deck-coupled post-type footbridge with pile reinforcement cap and anti-loosening bolt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2933B1 (en) | Bridge using the socket membe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090098762A (en) | Interchangeable Landfill Leakage Device of Bridge | |
KR102067254B1 (en) | Negative moment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girder and cross bea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
KR100845088B1 (en) | Steel bridge exterior material installation structure | |
KR101083303B1 (en) | Prefabricated footpaths for bridges or retaining walls | |
KR101127923B1 (en) | Pylon of cable-stayed bridge having composite combin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5902468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buried joint structure, buried joint structure and buried joint construction bracket assembly | |
KR101503394B1 (en) | Method of replacing a damaged rail in an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 apparatus for a bridge | |
KR101829791B1 (en) |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2018053432A (en) | Lateral type simple drainage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 |
JP2009209591A (en) | Subsidence prevention measures for floor system | |
KR101654657B1 (en) | Through bridge using lateral beams and slab segment and the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
KR101937366B1 (en) | A Precast structure for underground tunnel | |
KR100792434B1 (en) | Installation method by bridge inspection | |
KR101447722B1 (en) | Composite rahmen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704291B1 (en) | Aassembled precast girder for bridge | |
JPH10147942A (en) | Structure for cofferdam construction | |
JP2004183433A (en) | Box girder brid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526126B1 (en) | Footbridge with prefabricated module and method thereof | |
RU60669U1 (en) | ADJUSTABLE SUPPORT FOR MOUNTING AND WELDING OF THE OVERLAND MAIN PIPELINE | |
KR102347089B1 (en) | Steel-concrete composite rahme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124348B1 (en) | Extension sidewalk for slope | |
CN110886195B (en) | Shock insulation structure suitable for bridge abutment rigid frame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977193B1 (en) | Arch-Truss type Aqueduct | |
KR101559064B1 (en) | Expansion joint device and execution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2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3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