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477B1 - Functional insole - Google Patents
Functional inso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2477B1 KR101672477B1 KR1020160028617A KR20160028617A KR101672477B1 KR 101672477 B1 KR101672477 B1 KR 101672477B1 KR 1020160028617 A KR1020160028617 A KR 1020160028617A KR 20160028617 A KR20160028617 A KR 20160028617A KR 101672477 B1 KR101672477 B1 KR 1016724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nctional insole
- toe
- foot
- force
- functio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8
- 210000004394 hip joint Anatomy 0.000 claims 1
- 210000003371 toe Anatomy 0.000 description 55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48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192 sprin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744 fore-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29 knee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90 viscoelast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TVEXGJYMHHTVKP-UHFFFAOYSA-N 6-oxabicyclo[3.2.1]oct-3-en-7-one Chemical compound C1C2C(=O)OC1C=CC2 TVEXGJYMHHTVK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0820 Joint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84 anatom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44 articulatio talocrural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86 athl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59 ear midd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85 hard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78 metatarsophalangeal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9 sus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747 swallow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i.e. the joint between the first metatarsal and first phalang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toes, i.e. the phalang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8—Adapting the inner sole or the side of the upper of the shoe to the sole of the fo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인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화자의 신체가 전방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발의 힘에 반력을 제공하여 전방 상부 이동력을 향상시켜 주는 기능성 인솔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inso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al insole that provides a reaction force to a foot force of a body of a wearer to move in an anterior-posterior direction, thereby improving an anterior-posterior movement force.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능성 인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화자의 신체가 전방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발의 힘에 반력을 제공하여 전방 상부 이동력을 향상시켜 주는 기능성 인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inso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al insole that provides a reaction force to a foot force of a body of a wearer to move in an anterior-posterior direction, thereby improving an anterior-posterior movement force.
바쁜 일상에서도 정기적인 운동을 하고자 하는 현대인들이 많을 것이다. 요즘 공원에서 가벼운 운동복 차림과 함께 편한 운동화를 신고 산책을 하거나 런닝을 하는 사람들을 흔히 보게 된다. 이때 신체에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몸을 지탱하고 지면과 직접 접하게 되는 신발은 몸을 이동하기 위한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된다.There will be many modern people who want to exercise regularly in busy everyday life. Nowadays, people often wear a light sportswear in the park and walk or run in comfortable sneakers. At this time, the bottom of the body to support the body and directly touch the ground shoe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moving the body.
신발의 주요기능은 신었을 때의 편안함(comfort)과 스포츠 활동에 맞는 기능성(functionality)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main functions of the shoe can be classified into comfortable comfort and functionality suitable for sports activities.
런닝화 등의 일반적인 운동화는 점탄성 소재(Viscoelastic material)를 중창(midsole)으로 사용한다. 러닝에서 신발의 뒷꿈치가 바닥에 닿았을 때 힘이 신체에 전달되게 된다. Common sports shoes such as running shoes use viscoelastic material as the midsole. In running,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body when the heel of the shoe touches the floor.
보행에서는 체중에 1.2배의 힘이 신체에 전달되고, 러닝 시에는 속도가 빨라질 수록 3-4배 이상의 힘이 전달된다. 이때 뒷꿈치가 바닥에 닿게 되면 신발의 바닥에 변형(deformation)이 발생한다. 변형(deformation)은 중창에 외부의 부하가 가해지면서 발생하고 부하가 없어지면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오게 된다. 중창은 부하가 전달되는 동안 충격 흡수(shock absorption)의 기능과 함께 에너지의 손실(energy loss)이 발생하게 된다. In walking, a force of 1.2 times the body weight is transmitted to the body, and as the speed increases, the force is transmitted 3-4 times more. When the heel touches the floor, deformation occurs at the bottom of the shoe. Deformation occurs when an external load is applied to the middle, and when the load is removed, it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In the middle, energy loss occurs together with the function of shock absorption during load transfer.
그렇다면 너무 푹신한 쿠션을 가진 런닝화의 경우 이러한 에너지의 손실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다. 신체가 이동하면서 신발에 전달되는 에너지를 중창의 점탄성 소재에서 신체가 앞으로 나아갈 때 에너지를 다시 돌려주어야 하는데 이를 에너지의 반환(energy return)이라 한다. 몸에 부하가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러닝의 경우 너무 쿠션이 좋으면 운동을 지속하게 되면 에너지가 손실이 높아서 쉽게 피로를 느낄 것이다. For a running shoe with too soft cushion, this energy loss would be relatively high. As the body moves, energy transferred to the shoe must be returned to the body when the body moves forward in the viscoelastic material of the midsole, which is called energy return. If the cushion is good enough to keep the load on the body constantly, if you continue exercising, you will feel fatigue easily because of the high energy loss.
한편, 실제로 워킹화에 비해 마라톤화의 경우 중창이 더 딱딱한 경우를 알 수 있다. 아직까지 런닝에서 발이 지면에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충격력(impact force)이 관절 상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지 않다고 알려져 있고 오히려 어느 정도의 지속적인 충격이 건강한 뼈를 유지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marathoniz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middle is harder than the walking.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general impact force caused by the contact of the foot to the ground in running is not closely related to the joint injury, but rather, some sustained impacts are reported to be effective in maintaining healthy bones.
스포츠 종목마다 신체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 신발이 가진 역할은 중요하다. 가령, 잔디 축구경기장에서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하고 공을 빠르고 정확하게 다루기 위해 축구화의 바닥에 클리트(cleat)가 부착되어 있다. 날씨 조건이나 잔디의 종류에 따라서도 클리트의 수와 높이가 다르다. The role of shoes is important to make the best use of body functions in sports events. For example, in a grass soccer field, a cleat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occer shoe to prevent slippage and to handle the ball quickly and accurately. The number and height of the cleats differ depending on the weather conditions and the type of grass.
또한 축구선수의 포지션에 따라서 움직임이 다르기 때문에 이에 적합한 클리트의 모양 등이 고려된다. 주요 축구화 제작 A, N브랜드의 경우 새로운 축구화 클리트 디자인을 위해 로봇을 이용한 마찰력 실험과 실제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운동역학적 실험을 통해서 최고의 경기력을 발휘하기 위한 축구화를 개발한다.Also, since the movement vari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occer player, the shape of the cleat suitable for this is considered. In the case of major soccer shoes production A and N brands, we develop a soccer shoe to show the best performance by using a robot for a new soccer cleat design and a kinematic experiment for actual soccer players.
100M 스프린팅과 같은 육상 종목에서 힘차게 앞으로 몸을 차고 나가거나 농구 경기에서 리바운드에서 공을 가로채기 위해 높은 점프가 요구 되어진다. 신발이 이러한 종목의 특성을 만족시켜주어야 한다. 그러나 발은 여러 조그만 뼈로 구성된 다분절 시스템으로 다른 하지 관절에 비해서 움직임을 이해하기 어렵다. 역학적으로 발의 중족지절관절 (metatarsophalangeal joint: MTP joint)을 중심으로 전족이 굴곡(flexion)되면서 에너지가 손실된다고 알려졌다. 이러한 손실되는 에너지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 A사의 스포츠 브랜드를 중심으로 탄소섬유(carbon fiber) 소재를 판(plate)형태로 인솔(insole) 밑에 삽입하여 스프린팅용 신발과 농구화에 적용하게 되었다. A high jump is required to kick the ball forward in athletic events, such as 100M sprinting, or to intercept the ball in a rebound in a basketball game. Shoes should satisfy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items. However, the foot is a multi-segmented system composed of several small bone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understand movements compared to other joints. It is known that the energy is lost as the whole body flexion around the metatarsophalangeal joint (MTP joint) mechanically. In order to minimize the loss of energy, the carbon fiber material was inserted under the insole in the form of a plate around the sports brand of the company A and applied to the shoes and the basketball shoes for the sprinting.
제자리 높이 뛰기 시 일반중창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잘 구부러지지 않는 단단한 탄소섬유 중창한 경우 파워의 손실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00m 스프린팅에서는 2%와 제자리 점프 높이에서는 2.5% (약 2cm)의 기능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이렇듯 인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이해하고 신발을 개발한다면 최고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It can be seen that the loss of power is sharply reduced in the case of a hard carbon fiber core which does not bend well when compared to a case where a normal midsole is used for a straight jump. In the case of 100m sprinting, the improvement of the function of 2% and 2.5% (about 2cm) at the jumping height was shown. If you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and develop shoes, you will be able to perform the best function.
근래에는 과도한 발목의 회내 (pronation)을 줄여주어 움직임을 통제하거나 무릎관절에 발생하는 관절의 부하를 적게 발생시키는 런닝화들이 소개되었다. 이러한 여러 노력에도 불구하고 신발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규명하기는 쉽지 않을 실정이다. 그러한 이유는 신발 개발자가 인체의 복잡한 해부학적 특징을 고려하면서도 움직임과의 복합적인 연관관계를 이해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인체가 가지고 있는 역학적인 특징을 잘 활용한다면 편안하면서도 스포츠가 요구하는 기능에 맞는 좋은 신발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years, running shoes have been introduced which reduce the pronation of excessive ankles to control movement, or cause less joint load on the knee joints. Despite these efforts, it is not easy to scientifically identify the effects of shoes. This is because shoe developers need to understand the complex anatomy of the human body, but also to understand the complex associations with motion. If you take advantage of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your body, you will be able to make good shoes that are comfortable and fit the functions required by the sport.
한국등록특허 [10-0932565]에서는 신발 중창 및 이를 구비한 스포츠용 신발이 개시되어 있다.
Korean Patent No. 10-0932565 discloses a shoe midsole and a sports shoe having the same.
그러나, 달리기, 제자리멀리뛰기 등의 기록향상을 위한 기능성 인솔은 전무한 실정이다.
However, there are no functional insoles for improving the running, running, and long jump.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화자의 신체가 전방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발의 힘에 반력을 제공하여 전방 상부 이동력을 향상시켜 주는 기능성 인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nctional insole for providing a reaction force to a foot .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은 신발 내부에 깔아 사용되는 기능성 인솔(1000)에 있어서, 기능성 인솔 본체의 발볼과 발꿈치 사이에 대응하는 면에 돌출 형성된 발볼지지부(100);를 포함하되, 착화자가 중족지관절을 굽힐 때, 상기 지지부(100)가 발볼과 중족부 사이의 지면과 떨어진 일정 부위의 지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인솔 본체 상면에 위치한 착화자의 신체가 전방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에 반력을 제공하여 전방 상부 이동력을 향상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또한, 상기 발볼지지부(100)는 상기 기능성 인솔 본체의 후방으로 갈수록 돌출된 높이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다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되, 후방으로 향한 쐐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 상기 발볼지지부(100)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발볼지지부(100)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 상기 발볼지지부(100)는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발볼지지부(100)는 기능성 인솔 본체보다 탄성계수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또, 상기 발볼지지부(100)는 가장 많이 튀어나온 높이가 2~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기능성 인솔 본체의 발가락과 발볼 사이에 대응하는 면에 돌출 형성된 발가락지지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발가락지지부(200)가 발가락과 발볼 사이의 지면과 떨어진 일정 부위의 지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인솔 본체 상면에 위치한 착화자의 신체가 전방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발가락의 힘에 반력을 제공하여 전방 상부 이동력을 향상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e support
또, 상기 발가락지지부(200)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또한, 상기 발가락지지부(200)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또, 상기 발가락지지부(200)는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아울러, 상기 기능성 인솔은 바닥에 일정 패턴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unctional insole is characterized in that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on the botto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에 의하면, 신발 깔창에 발볼지지부를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착화자의 신체가 전방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발의 힘에 반력을 제공하여 전방 상부 이동력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unctional inso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 support portion is protruded in the shoe insole, so that the body of the wearer provides a reaction force to the force of the foot to move in the front upper direction, It is effective.
또한, 발볼지지부를 후방으로 향한 쐐기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전방으로의 움직임이 많은 운동의 기록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by forming the tennis ball support portion in a wedge shape facing rearward,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cording of a motion having a large forward movement.
또, 발볼지지부를 상측으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착화자의 착용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ootball support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which has an effect of enhancing the comfort of the wearer.
또한, 발볼지지부를 하측으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신발과 밀착시킴과 동시에 발볼지지부를 돌출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by forming the football support portion to protrude downwar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ootball support portion can be protruded and form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hoe.
또, 발볼지지부를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착화자의 신체가 전방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에 대한 반력을 최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football support portion to protrude upward and downwar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eaction force against the force of the body of the igniter to move forward in the upward direction can be maximized.
또, 상기 발볼지지부(100)는 일부 또는 전체가 다공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발볼지지부(100)는 일부 또는 전체에 슬릿 또는 일정 형상의 패턴으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또한, 신발 깔창에 발가락지지부를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착화자의 신체가 전방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발의 힘에 반력을 제공하여 전방 상부 이동력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Further, by forming the toes in the shoe insole to protrude, the body of the wearer provides a reaction force to the force of the foot to move in the front upper direction, thereby improving the forward upper movement force.
또, 발가락지지부를 상측으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착화자의 착용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Further, by forming the toe support portion to protrude upward, there is an effect of enhancing the comfort of the wearer.
또한, 발가락지지부를 하측으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신발과 밀착시킴과 동시에 발가락지지부를 돌출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by forming the toe support portion to protrude downwar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oe support portion can be protruded and form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hoe.
또, 발가락지지부를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착화자의 신체가 전방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에 대한 반력을 최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toe support portion to protrude upward and downwar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eaction force against the force of the body of the igniter to move in the forward upper direction can be maximized.
아울러,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바닥에 일정 패턴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신발 바닥과의 마찰력을 높임과 동시에 기능성 인솔의 무게를 줄여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bottom of the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bottom of the shoe can be increas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functional inso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발가락이 닿는 부분과 발볼이 닿는 부분 및 발볼지지부가 형성되는 부위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2는 도 1의 기능성 인솔에 발볼지지부가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모양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3은 발뒤꿈치 들림기 때 도 2의 기능성 인솔이 구부러지는 형상과, 발이 지면 측을 미는 힘에 대한 반력이 작용하는 개념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에 발볼지지부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모양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에 발볼지지부가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모양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발볼지지부가 다공성으로 형성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발볼지지부에 슬릿이 형성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발가락이 닿는 부분, 발볼이 닿는 부분, 발가락지지부가 형성되는 부위 및 발볼지지부가 형성되는 부위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에 발가락지부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모양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에 발가락지부가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모양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에 발가락지부가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모양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바닥면에 일정 패턴의 홈이 형성된 모양을 보여주는 예시도.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portion where a toe contact portion of a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rtion where a football and a football supporting portion are formed.
FIG.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ot support portion is protruded downward in the functional insole of FIG. 1. FIG.
Fig. 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shape in which the functional insole of Fig. 2 is bent when the heel is lifted, and the reaction force against the force pushing the ground side.
FIG. 4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oe support portion of the functional insole is protruded upw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oe support portion is protruded upward and downward from a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foot support portion of a functional insole is formed into a porous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lit is formed in a foot support portion of a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toe contact portion, the football contact portion, the toe support portion, and the foot support portion are formed.
FIG. 9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a toe part protrudes upward from a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a toe part protrudes downward in a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a toe part protrudes upward and downward from a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a predetermined pattern of grooves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a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comprises" or "having ", etc. is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 of the term appropriately in order to describe it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unless otherwise defined,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are omitted. The following drawing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발가락이 닿는 부분과 발볼이 닿는 부분 및 발볼지지부가 형성되는 부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기능성 인솔에 발볼지지부가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모양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3은 발뒤꿈치 들림기 때 도 2의 기능성 인솔이 구부러지는 형상과, 발이 지면 측을 미는 힘에 대한 반력이 작용하는 개념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에 발볼지지부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모양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에 발볼지지부가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모양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발볼지지부가 다공성으로 형성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발볼지지부에 슬릿이 형성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발가락이 닿는 부분, 발볼이 닿는 부분, 발가락지지부가 형성되는 부위 및 발볼지지부가 형성되는 부위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에 발가락지부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모양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에 발가락지부가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모양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에 발가락지부가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모양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바닥면에 일정 패턴의 홈이 형성된 모양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toe touches the football, and a portion where the football support is form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unctional insole of FIG. Fig. 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the functional insole of Fig. 2 flexes when the heel is lifted and a reaction force acting on the force of the foot pushing the ground side. Fig. 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shape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ootball supporting part is protruded upwardly and downwardly from a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ball support portion of the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to a porous structure FIG. 7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lit is formed in a foot support portion of a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the functional insole, FIG. 9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a toe part protrudes upward from a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a toe part is protruded upward from a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a toe part protrudes downward in a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formed shape of a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n illustration showing a shape in which a groove of a turn is formed.
걷기 달리기 멀리뛰기 등의 운동 시 운동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발뒤꿈치가 들리는 발뒤꿈치 들림기와 발가락이 들리는 발가락 들림기이다.Walking Running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mobility during exercise, such as long jump, is the heel lifter and the toe lifter that can hear the heel.
발뒤꿈치 들림기(Heel Off Phase)는 지면에 닿아 있던 발뒤꿈치를 지면에서 들은 시점을 말한다. 발은 몸을 앞으로 나아가게 하기위해 지렛대 역할을 해야 하는데, 이때 발이 바깥쪽으로 돌아감으로써, 즉 회외전(Supination) 함으로써, 지렛대 역할을 한다. 이 회외전은 관절과 뼈가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발을 견고하게 하고 추진준비를 하게 한다.The Heel Off Phase refers to the time when the heel, which was touching the ground, was heard on the ground. The foot must act as a leverage to move the body forward, by acting as a leverage by turning the foot outward, ie by supination. This swallowing allows the joints and bones to be firmly fixed, making their feet firm and ready for propulsion.
발가락 들림기(Propulsion, Toe Off Phase)는, 기준하지가 지면에 닿아 있는 입각기의 마지막 단계로서 원활한 유각기로의 진행을 위해 풋 클리어런스(foot clearance)가 일어나는데, 무릎관절이 굴곡하고 발목관절이 저굴한다. 발가락 들림기는 발가락이 지면을 밀치고 전진을 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The propulsion (Toe Off Phase) is the last stage of the stance phase where the reference foot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Foot clearance occurs for smooth advancement. The knee joint is bent and the ankle joint I will. The toe lifter means that the toe pushes the ground and moves forward.
도 1의 A는 발가락이 닿는 부분을 표시한 것이고, B는 발볼이 닿는 부분을 표시한 것이며, 빗금으로 표시된 부분은 발볼지지부(100)가 형성되는 부위를 보여준다.In FIG. 1, A indicates a portion touching the toe, B indicates a portion touching the football, and a hatched portion indicates a portion where the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은 신발 내부에 깔아 사용되는 기능성 인솔(1000)에 있어서, 기능성 인솔 본체의 발볼(중족지관절)과 발꿈치 사이에 대응하는 면에 돌출 형성된 발볼지지부(100)를 포함하되, 착화자가 중족지관절을 굽힐 때, 상기 지지부(100)가 발볼과 중족부 사이의 지면과 떨어진 일정 부위의 지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인솔 본체 상면에 위치한 착화자의 신체가 전방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에 반력을 제공하여 전방 상부 이동력을 향상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o 5, the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인체가 지면에 힘을 가하면 그 힘에 대한 반작용력이 생기는데 이를 지면 반력 또는 지면의 반작용력이라 한다.When the human body applies force to the ground, the reaction force against the force is generated, which is called the reaction force of the reaction force or the ground.
즉, 지면이 선수를 밀어올리는 반작용력의 크기는 인체가 지면을 밀어내는 힘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That is, the magnitude of the reaction force that the ground pushes the athlete is determined by the magnitude of the force that the human body pushes the ground.
가령, 운동능력이 동일한 사람으로 가정하고 제자리 멀리뛰기를 할 때의 발바닥과 인솔과의 작용하는 힘에대하여 살펴보면, For example, if we look at the forces acting on the soles and soles of athletes when they are in the same position,
일반적으로 평평한 인솔을 사용할 경우, In general, when using a flat insole,
발가락과 발볼의 앞부분이 지면을 박차고 오르는 힘을 지면 측으로 전달한다. 또한, 발가락과 발볼의 앞부분이 지면과의 마찰력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The forefoot and the forefoot of the football sprang up from the ground to the ground. Also, the toe and the front of the ball are affected by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ground.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을 사용할 경우, However, when using the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발가락과 발볼의 앞부분 뿐 아니라 발볼지지부(100)가 지면 측을 지지해주면서 발볼의 뒷부분까지 지면을 박차고 오르는 힘을 지면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Not only the toe and the front part of the ball, but also the supporting force of the
더군다나, 발볼의 뒷부분이 발볼지지부(100)가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면서, 발볼의 뒷부분은 운동하려는 방향(전방 상부)으로 온전한 힘을 전달(발볼 뒷부분이 발볼지지부(100)에 전달하는 힘의 방향과 발볼 뒷부분과 발볼지지부(100)가 닿은 면이 수직에 가까움)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back portion of the ball is supported in an inclined state, the back portion of the ball will transmit a full force in the direction of motion (front upper portion) (direction of the force transmitting the back portion of the ball to the
또한, 발가락과 발볼의 앞부분 뿐 아니라 발볼의 뒷부분까지 지면과의 마찰력에 의한 영향(지면에 힘을 전달하는 발바닥의 면적이 일반적인 인솔보다 크기 때문에)을 받는다.In addition, the influence of the friction between the ground and the toe and the back of the ball as well as the front of the ball (the area of the sole that transmits force to the ground is larger than that of a common insole).
다시 말해, 일반적으로 평평한 인솔을 사용할 경우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을 사용할 경우, 제자리 멀리뛰기의 기록향상에 도움을 준다. 또한, 발볼지지부(100)의 탄성력도 제자리 멀리뛰기의 기록향상에 도움을 준다.In other words, when a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comparison with a case in which a flat insole is generally used, it helps improve the record of the long jump in the in-situ. In addition, the elastic force of the
이와 같이, 전방 상부 이동력을 향상시켜 주기 위해, 기능성 인솔 본체에 발볼지지부(100)를 돌출 형성(도 2 참조)한다.In this way, the
즉, 발뒤꿈치 들림기 때, 발볼 후방 측에서 발볼을 지지하여, 착화자의 신체가 전방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도 3의 아래쪽 화살표 방향 참조)에 반력(도 3의 위쪽 화살표 방향 참조)을 제공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heel is lifted, the kickball is supported on the back of the kickball to provide a reaction force (see the upward arrow in Fig. 3) to the force (see the downward arrow in Fig. 3)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이 도움을 줄 수 있는 운동으로는 단거리 달리기(전력질주), 제자리멀리뛰기 등의 기록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The exercises that the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elp can improve the records such as the short running (sprinting), the long jump, and the lik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상기 발볼지지부(100)는 상기 기능성 인솔 본체의 후방으로 갈수록 돌출된 높이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다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되, 후방으로 향한 쐐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2, the
도면상에는 발볼지지부(100)가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형상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전방으로의 움직임이 많은 운동에 적합하도록 상기 발볼지지부(100)가 상기 기능성 인솔 본체의 후방 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는 것이 전방으로의 움직임이 큰 운동(달리기, 멀리뛰기 등)에 적합하다.
Although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상기 발볼지지부(100)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착화자의 착용감을 높이기 위해, 상기 발볼지지부(100)를 기능성 인솔 본체 하측으로 돌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는 발바닥에 직접 닿는 부분을 가능하면 평탄하게 하여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상기 발볼지지부(100)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신발과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발볼지지부(100)를 기능성 인솔 본체 상측으로 돌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는 신발에 직접 닿는 부분을 가능하면 평탄하게 하여 신발 깔창이 신발에 밀착되어 뜨는 부분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상기 발볼지지부(100)는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착화자의 신체가 전방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에 반력을 제공하여 전방 상부 이동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발볼지지부(100)를 기능성 인솔 본체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 형성시킬 수 있다. 돌출된 전체 높이를 최대화 하여 착화자의 신체가 전방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에 대한 반력을 최대화시키기 위함이다.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발볼지지부(100)는 일부 또는 전체가 다공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이는, 발볼지지부(100)의 일부 또는 전체가 다공성으로 형성됨으로써, 발뒤꿈치 들림기 때 발볼지지부(100) 측이 기능성 인솔 본체보다 많은 변형이 생기도록 하여, 신발의 착용감을 높이고, 발볼지지부(100) 측의 인솔 본체가 자연스럽게 구부러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because a part or the whole of the
이때, 발과 접촉하는 부분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하는 것이 착용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further enhance the feeling of wearing by relatively weakening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oo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발볼지지부(100)는 일부 또는 전체에 슬릿 또는 일정 형상의 패턴으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foot supports 100 of the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grooves formed in a slit or a predetermined pattern on a part or the whole.
이 역시, 발볼지지부(100)의 일부 또는 전체가 슬릿(원기둥 홈, 다각기둥 홈, 좁은 틈 등)이 다수 형성됨으로써, 발뒤꿈치 들림기 때 발볼지지부(100) 측이 기능성 인솔 본체보다 많은 변형이 생기도록 하여, 신발의 착용감을 높이고, 발볼지지부(100) 측의 인솔 본체가 자연스럽게 구부러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 plurality of slits (a cylindrical groove, a polygonal columnar groove, a narrow gap, etc.) are formed in a part or the whole of the
이때, 발과 접촉하는 부분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하는 것이 착용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further enhance the feeling of wearing by relatively weakening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oo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상기 발볼지지부(100)는 기능성 인솔 본체보다 탄성계수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이는, 기능성 인솔 본체가 자연스럽게 구부러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to make the functional insole body naturally bend.
즉, 상기 발볼지지부(100)의 탄성계수가 높으면 발뒤꿈치 들림기 때 발볼지지부(100) 측의 변형이 적게 생기고, 그로 인해 발과 기능성 인솔 본체에 공간이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착화자가 신발이 벗겨지는 이질적인 느낌 등 착용감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발볼지지부(100)의 탄성계수를 기능성 인솔 본체보다 작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if the elastic coefficient of the
상기에서 발볼지지부(100)가 다공성, 슬릿형성 또는 기능성 인솔 본체보다 탄성계수 작은 예를 들었으나, 이후 설명될 발가락지지부(200) 역시, 다공성, 슬릿형성 또는 기능성 인솔 본체보다 탄성계수 작도록 실시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상기 발볼지지부(100)는 가장 많이 튀어나온 높이가 2~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시험 예 1) 돌출된 높이에 따른 제자리멀리뛰기 기록 시험(Test Example 1) In-situ long jump recording test according to the projected height
상기 발볼지지부(100)의 가장 많이 튀어나온 높이가 0~12mm 까지 2mm 단위로 높여가며, 신발 바닥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을 깔게 하고, 체육대학교 학생 20명이 3 회씩 실시한 제자리멀리뛰기 기록을 측정하여 평균한 결과, 상기 발볼지지부(100)의 가장 많이 튀어나온 높이가 0mm인 경우 257.3mm, 2mm인 경우 259.2mm, 4mm인 경우 263.4mm, 6mm인 경우 266.5mm, 8mm인 경우 268.6mm, 10mm인 경우 269.9mm, 12mm인 경우 270.1mm의 기록이 측정되었다.The most protruding height of the
상기 발볼지지부(100)의 가장 많이 튀어나온 높이를 2mm 높였을 경우, 평균 1.9cm의 기록이 향상되었고, 4mm 높였을 경우, 평균 6.1cm의 기록이 향상되었고, 6mm 높였을 경우, 평균 9.2cm의 기록이 향상되었고, 8mm 높였을 경우, 평균 11.3cm의 기록이 향상되었고, 10mm 높였을 경우, 평균 12.6cm의 기록이 향상되었고, 12mm 높였을 경우, 평균 12.8cm의 기록이 향상되었다.In the case of increasing the maximum protruding height of the
즉, 상기 발볼지지부(100)의 가장 많이 튀어나온 높이를 높일수록 기록이 향상되고 있으나, 상승되는 폭은 상기 발볼지지부(100)의 가장 많이 튀어나온 높이를 4mm를 넘어가면서 점점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That is, although the recording is improved as the height of the
이는, 상기 발볼지지부(100)의 가장 많이 튀어나온 높이를 무한정 높인다고 기록이 더욱 향상되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발볼지지부(100)의 가장 많이 튀어나온 높이를 4mm 높였을 경우 기록 상승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means that the highest protrusion height of the
이때, 상기 발볼지지부(100)의 가장 많이 튀어나온 높이를 12mm 높였을 경우, 제자리멀리뛰기를 하면서 신발이 벗겨지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여 운동화를 단단하게 조여 매고 기록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것으로 상기 발볼지지부(100)의 가장 많이 튀어나온 높이를 12mm 이상 높이는 것은 오히려 기록 측정에 방해될 가능성이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highest protruding height of the
(시험 예 2) 돌출된 높이에 따른 관능검사(Test Example 2) Sensory test according to height of protrusion
상기 발볼지지부(100)의 가장 많이 튀어나온 높이가 0~12mm 까지 2mm 단위로 높여가며, 신발 바닥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을 깔게 하고, 체육대학교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상기 발볼지지부(100)의 가장 많이 튀어나온 높이가 0mm 보다 불편하지 않으면 '1'에 표시를 하게하고, 매우 불편하면 5를 체크하게 하는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불편함의 정도를 표시하게 한 합계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The most protruding height of the
즉, 상기 발볼지지부(100)의 가장 많이 튀어나온 높이가 4mm 까지는 착용자가 크게 불편을 느끼지 않았으나, 상기 발볼지지부(100)의 가장 많이 튀어나온 높이를 12mm로 하였을 때 불편함을 호소하는 착용자가 급격하게 늘어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lthough the wearer did not feel a great inconvenience until the maximum protruding height of the
상기 시험 예 1과 시험 예 2를 바탕으로 상기 발볼지지부(100)의 가장 많이 튀어나온 높이를 12mm 이상 높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으로 짐작된다.It is presumed that it is not preferable to increase the maximum protruding height of the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은 기능성 인솔 본체의 발가락(중족지관절)과 발볼 사이에 대응하는 면에 돌출 형성된 발가락지지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발가락지지부(200)가 (발볼 후방 측) 발가락과 발볼 사이의 지면과 떨어진 일정 부위의 지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인솔 본체 상면에 위치한 착화자의 신체가 전방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발가락의 힘에 반력을 제공하여 전방 상부 이동력을 향상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8 to 11, the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발뒤꿈치 들림기 이후 발가락 들림기 직전에도 손실되는 에너지를 최소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기능성 인솔 본체에 발가락지지부(200)를 돌출 형성(도 2 참조)할 수 있다.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energy lost even before the toe lifter after the heel lifter. To this end, the
즉, 발가락 들림기 직전에, 발가락 후방 측에서 가락을 지지하여, 착화자의 신체가 전방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에 반력을 제공 할 수 있다.
That is, just before the toe lifter, the back of the toes supports the tongue, so that the body of the wearer can provide a reaction force to the force to move in the anterior-upper direc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상기 발가락지지부(200)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착화자의 착용감을 높이기 위해, 상기 발가락지지부(200)를 기능성 인솔 본체 하측으로 돌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는 발바닥에 직접 닿는 부분을 가능하면 평탄하게 하여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Th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상기 발가락지지부(200)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10, the
신발과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발가락지지부(200)를 기능성 인솔 본체 상측으로 돌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는 신발에 직접 닿는 부분을 가능하면 평탄하게 하여 신발 깔창이 신발에 밀착되어 뜨는 부분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상기 발가락지지부(200)는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11, the
착화자의 신체가 전방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에 반력을 제공하여 전방 상부 이동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발가락지지부(200)를 기능성 인솔 본체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 형성시킬 수 있다. 돌출된 전체 높이를 최대화 하여 착화자의 신체가 전방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에 대한 반력을 최대화시키기 위함이다.
The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은 바닥에 일정 패턴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edetermined pattern of grooves is formed on the bottom.
신발 안쪽에 딱 맞는 인솔을 깔더라도 운동 시 신발과 인솔에 마찰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신발과 인솔을 접착제로 부착하는 경우가 많다.Even if you are wearing the right insole on the inside of the shoe, you may get some friction in your shoes and insole. To prevent this, shoes and insole are often attached with an adhesive.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은 기록 측정을 위해서만 신발 안쪽에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제로 붙이지 않고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으로 짐작된다.However, since the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orn only inside the shoe for recording measurement, it is estimated that many people use the functional insole without using the adhesive.
따라서, 신발과 인솔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인솔의 바닥면에 일정 패턴의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이로 인해 기능성 인솔의 무게를 줄여주고 제작 비용 역시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shoe and the insole are not slipped.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o form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unctional in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functional insole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가락이 위치하는 방향의 상측과 발꿈치가 위치하는 방향의 하측의 영역을 구분하여, 상측이 하측에 비해 조밀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지면을 누르는 압력을 많이 받는 발볼 측의 바닥을 조밀하게 형성하여 마찰력을 높이고, 상대적으로 지면을 누르는 압력을 적게 받는 발아치(발바닥의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 측의 바닥을 엉성하게 형성하여 인솔의 무게를 줄여주고 제작 비용 역시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2, the upper si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e is located and the lower si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el is located are distinguished, and the upper side is denser than the lower side. This is because the bottom of the football which is pressed relatively to the ground is formed densely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and the floor of the foot arch (recessed portion of the sole) side is formed to have a loose shape There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insole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 신발 깔창에 발가락이 닿는 영역
B: 신발 깔창에 발볼이 닿는 영역
100: 발볼지지부
200: 발가락지지부
1000: 기능성 인솔A: Toe area in shoe insole
B: Area in which the footwear reaches the shoe insole
100: volleyball support
200: Toe Branch
1000: Functional Insoles
Claims (14)
기능성 인솔 본체의 발볼과 발꿈치 사이에 대응하는 면 중 일부분이 돌출 형성되되, 발뒤꿈치 들림기 때 발볼 후방측에서 발볼을 지지하도록 발볼 후방에 대응하는 면에 돌출 형성된 발볼지지부(100);
를 포함하되,
착화자가 중족지관절을 굽힐 때, 상기 발볼지지부(100)가 발볼과 중족부 사이의 지면과 떨어진 일정 부위의 지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인솔 본체 상면에 위치한 착화자의 신체가 전방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에 반력을 제공하여 전방 상부 이동력을 향상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볼지지부(100)는
상기 기능성 인솔 본체의 후방으로 갈수록 돌출된 높이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다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되, 후방으로 향한 쐐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발볼지지부(100)는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되되, 상부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슬릿 형상의 패턴으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볼지지부(100)는
가장 많이 튀어나온 높이가 2~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능성 인솔은
신발과 접하는 하측 면에 일정 패턴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인솔.
1. A functional insole (1000) used in a shoe,
A foot support 100 protruding from a surface of the functional insole main body corresponding to between the foot and the heel and protruding from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ack of the foot so as to support the foot from the back side of the foot when the heel is lifted;
, ≪ / RTI &
When the wearer bends the hip joint, the football support 100 supports the ground surface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ground between the football and the midsole, so that the body of the wearer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unctional insole body moves toward the front upper direction And provides a reaction force to the force to improve the forward movement force of the front,
The footrest support 100 includes:
The height of the functional insole body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rear of the functional insole main body, and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rear of the functional insole main body,
The footrest support 100 includes:
And a groove is formed in a slit-like pattern on a part or the whole of the upper surface,
The footrest support 100 includes:
And the height of the most protruding portion is 2 to 10 mm.
The functional insole
Wherein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hoe.
상기 발볼지지부(100)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인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otrest support 100 includes: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layer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상기 발볼지지부(100)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인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otrest support 100 includes:
Wherein the functional insole is protruded upward.
상기 발볼지지부(100)는
일부 또는 전체가 다공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인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otrest support 100 includes: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or the whole is made porous.
상기 발볼지지부(100)는
기능성 인솔 본체보다 탄성계수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인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otrest support 100 include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functional insole body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unctional insole body.
기능성 인솔 본체의 발가락과 발볼 사이에 대응하는 면에 돌출 형성된 발가락지지부(200);
를 포함하되,
상기 발가락지지부(200)가 발가락과 발볼 사이의 지면과 떨어진 일정 부위의 지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인솔 본체 상면에 위치한 착화자의 신체가 전방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발가락의 힘에 반력을 제공하여 전방 상부 이동력을 향상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인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oe support portion 200 protruding from a surface of the functional insole main body corresponding to between the toe and the football;
, ≪ / RTI &
The toe support part 200 supports the ground surface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ground between the toe and the ball so that the body of the wearer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unctional insole body provides a reaction force to the force of the toe moving in the anterior- And the movement force is improved.
상기 발가락지지부(200)는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인솔.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toe support portion 2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layer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상기 발가락지지부(200)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인솔.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toe support portion 200
Wherein the functional insole is protruded upward.
상기 발가락지지부(200)는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인솔.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toe support portion 200
Wherein the functional insole is protruded upward and downward.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8617A KR101672477B1 (en) | 2016-03-10 | 2016-03-10 | Functional insole |
PCT/KR2017/001756 WO2017155220A1 (en) | 2016-03-10 | 2017-02-17 | Functional inso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unctional inso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8617A KR101672477B1 (en) | 2016-03-10 | 2016-03-10 | Functional inso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72477B1 true KR101672477B1 (en) | 2016-11-03 |
Family
ID=5757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8617A Expired - Fee Related KR101672477B1 (en) | 2016-03-10 | 2016-03-10 | Functional inso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247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55220A1 (en) * | 2016-03-10 | 2017-09-14 | 박경우 | Functional inso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unctional insol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00526A (en) * | 1993-09-14 | 1995-03-28 | Sessa; Raymond V. | Footwear sole with bulbous protrusions and pneumatic ventilation |
KR200333132Y1 (en) * | 2003-06-16 | 2003-11-14 | 엠에스메디텍 | A orthopedic shoe for metatarsalgia |
KR100796160B1 (en) * | 2007-10-24 | 2008-01-21 | 박재형 | Functional insole for high-heeled shoes |
KR100932565B1 (en) | 2009-05-29 | 2009-12-17 | 박문환 | Shoe midsole and sports shoes having the same |
KR20150042924A (en) * | 2013-10-14 | 2015-04-22 | 박인식 | Mesopodium and Of metatarsal and to distribute the pressure of Midsole and Shoes this fulfill |
-
2016
- 2016-03-10 KR KR1020160028617A patent/KR10167247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00526A (en) * | 1993-09-14 | 1995-03-28 | Sessa; Raymond V. | Footwear sole with bulbous protrusions and pneumatic ventilation |
KR200333132Y1 (en) * | 2003-06-16 | 2003-11-14 | 엠에스메디텍 | A orthopedic shoe for metatarsalgia |
KR100796160B1 (en) * | 2007-10-24 | 2008-01-21 | 박재형 | Functional insole for high-heeled shoes |
KR100932565B1 (en) | 2009-05-29 | 2009-12-17 | 박문환 | Shoe midsole and sports shoes having the same |
KR20150042924A (en) * | 2013-10-14 | 2015-04-22 | 박인식 | Mesopodium and Of metatarsal and to distribute the pressure of Midsole and Shoes this fulfill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55220A1 (en) * | 2016-03-10 | 2017-09-14 | 박경우 | Functional inso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unctional inso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94706A (en) | Heelless athletic shoe | |
US9961959B2 (en) | Sole structure with traction elements | |
US8732981B2 (en) | Eccentric toe-off cam lever | |
EP3222161A1 (en) | Improved heelless athletic shoe | |
US20020144430A1 (en) | Energy return sole for footwear | |
KR20070049648A (en) | Insole and Footwear System Having It | |
JPH07298903A (en) | Bottom of shoes | |
JPH1085005A (en) | Cushioning mechanism of shoe | |
US20190069631A1 (en) | Impacting absorbing structures in footwear | |
WO2013023163A1 (en) | Sole assembly and footwear comprising a sole assembly | |
KR101773939B1 (en) | Soles of shoes | |
US20030029060A1 (en) | Cleat | |
US20130061496A1 (en) | Footwear support structures | |
KR20180095182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insole | |
KR101672477B1 (en) | Functional insole | |
CN221690227U (en) | Force line guide piece, midsole and shoe | |
KR100932565B1 (en) | Shoe midsole and sports shoes having the same | |
US6321468B1 (en) | Footwear outsole having arcuate inner-structure | |
KR101957213B1 (en) | Functional insole using elastic force | |
US20200260818A1 (en) | Shoe outsole | |
JP3224134U (en) | footwear | |
KR101263614B1 (en) | Shoes | |
TW202031164A (en) | Insole structure with decompression | |
CN218790852U (en) | Flat foot prevention insole | |
CN222466188U (en) | Sole and badminton shoe capable of improving stability and ground pedaling feedba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4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7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