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71859B1 - A lift device of vehicles - Google Patents

A lift device of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859B1
KR101671859B1 KR1020140156277A KR20140156277A KR101671859B1 KR 101671859 B1 KR101671859 B1 KR 101671859B1 KR 1020140156277 A KR1020140156277 A KR 1020140156277A KR 20140156277 A KR20140156277 A KR 20140156277A KR 101671859 B1 KR101671859 B1 KR 101671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edestal
cylinder
rotation
piston r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2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6187A (en
Inventor
최경숙
Original Assignee
최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숙 filed Critical 최경숙
Priority to KR1020140156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859B1/en
Priority to PCT/KR2015/012133 priority patent/WO2016076632A1/en
Publication of KR20160056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1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85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압에 의해 승강력을 제공하는 실린더와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는 승강부를 지면에 매립키시고, 지면에는 상기 승강부의 피스톤로드에 고정된 받침부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통행하는 행인들이 충돌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동선에 간섭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 또는 대상물을 일정높이 상승시켜 작업을 수행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부(110); 및 상단에 차량 또는 대상물이 안착되어, 상기 승강부(110)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차량 또는 대상물을 승강시키는 받침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110)는 작업동선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지면에 매립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실린더(112)와; 상기 실린더(112)의 내측에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높이 승강하며, 상단에 상기 받침부(120)가 고정되는 피스톤로드(114); 및 상기 실린더(112)에 승강력을 제공하여 상기 피스톤로드(114)가 일정높이 승강되도록 하는 압력펌프(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ular lif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t device for a vehicle, in which a lift and a piston including a cylinder and a piston rod are lifted by hydraulic pressure, and a ground is fixed to the piston rod of the lift So as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caused by a collision or the like in advance by a worker or a passerby who travels, and to minimize worker's interference with a work line,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To this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lift apparatus for performing a work by raising a vehicle or an object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lift apparatus comprising: a lift section (110) And a pedestal portion (120) on which a vehicle or an object is seated and lifts and raises the vehicle or the object while being lifted by a lifting force provided by the lifting portion (110); A cylinder 112 embedded in the groun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work line to improve work efficiency, and not to protrude outward; A piston rod 114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ylinder 112 an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112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piston 112; And a pressure pump 116 for increasing and decreasing the piston rod 114 to a predetermined height by providing a predetermined force to the cylinder 112.

Description

차량용 리프트장치{A lift device of vehicles}A lift device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에 의해 승강력을 제공하는 실린더와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는 승강부를 지면에 매립시키고, 지면에는 상기 승강부의 피스톤로드에 고정된 받침부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통행하는 행인들이 충돌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동선에 간섭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ular lif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ular lift device that includes a cylinder and a piston rod, which are lifted by hydraulic press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ift apparatus for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caused by a collision or the like from occurring by a worker or a passerby who travels and minimizing a portion interfered with a work line to improve work efficiency.

일반적으로, 차량용 리프트 장치는 유압실린더와 같은 리프팅 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일정높이로 들어올린 후 그 밑에서 차량의 정비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이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lift device for a vehicle is a device configured to lift a vehicle to a certain height using a lifting means such as a hydraulic cylinder, and to perform maintenance work on the vehicle thereunder.

상기 차량용 리프트장치는 기둥의 개수에 따라 2주식과 4주식으로 구분되고, 상기 기둥의 형태에 따른 기둥형과 대문형이 있으며, 차체를 들어올리는 아암의 형태에 따라 X자 형이 있다.The vehicle lift device is divided into two stocks and four stock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pillars, and the pillars are of the column type and the gate ty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illars, and there is an X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rm lifting the vehicle body.

상기한 2주식은 기둥(또는 포스트)이 2개인 형태이고, 4주식은 기둥이 4개인 것이며, 기둥형은 기둥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형태이고, 대문형은 기둥과 기둥사이에 크로스 빔을 연결한 형태이다.The above two stocks are in the form of two pillars (or posts), the four pillars are four pillars, the pillar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nd the upper pillars are cross beams It is a connected form.

상기한 2주식 대문형 리프트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2개의 포스트(10)가 지면에 직립설치되며, 상기 포스트(10)의 상부에 크로스 빔(30)이 상기 포스트(10)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된다.1 and 2, two posts 10 are installed upright on the ground at regular intervals, and a cross beam 30 (see FIG. 1)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ost 10, Are installed to connect the posts 10 to each other.

상기 각 포스트(10)는 서로 마주보는 쪽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1)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10)의 내부에서 하방에 위치한 유압실린더(13)의 로드(13a)에 고정부재(P)로 캐리(12)를 연결하여 포스트(10)의 가이드홈(11)을 통해 승강되게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승,하강되도록 설치된다.Each of the posts 10 has a guide groove 11 formed in a lengthwise direction on a side facing each other and is fixed to a rod 13a of a hydraulic cylinder 13 located below the post 10 by a fixing member P And is lifted and lowered through the guide groove 11 of the post 10 while being held in a state of being lifted and lowered.

상기 캐리(12)에는 차체(도시하지 않음)를 들어올릴 수 있는 지지아암(14)이 연결되어 캐리(12)에 의하여 승,하강되도록 설치하고, 지지아암(14)은 수평으로 접혀지거나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A support arm 14 capable of lifting a vehicle body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carry 12 so as to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carry 12, and the support arm 14 is folded horizontally, As shown in FIG.

그리고, 한쪽의 캐리(12)가 승강될 때 다른 쪽 캐리(12)도 동시에 작동하도록 2개의 캐리(12)는 서로 와이어(W)로 연결되는데, 상기 와이어(W)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크로스빔(30)의 양쪽에 설치한 상부 가이드롤러(R1)에 걸어지면서 한 측에는 내부 캐리(12)의 상부 측에 연결되고 다른 측은 포스트(10)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 가이드롤러(R2)를 거쳐 내부 캐리(12)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The two carriers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re W so that when one carrier 12 is moved up and down, the other carrier 12 is simultaneously operated. In order to guide the wire W,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arry 12 while the other side of which is hooked on the upper guide roller R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roller 30 and the lower guide roller R2 located below the lower side of the post 10, (Not shown).

따라서, 양측의 유압실린더가 동시에 작동될 때 캐리의 상부에 연결한 와이어는 위로 오르게 되고, 반대측의 캐리는 하단에 위치한 하부 가이드롤러(R2)를 거쳐 캐리(12)의 하방에 연결되어 있어 캐리(12)가 상승시 와이어를 당기어 주게 됨에 따라 한 측에서 풀어진 만큼 당기어주어 와이어는 항시 적정의 텐션을 유지하며 잡아주는 상태가 된다.Therefore, when the hydraulic cylinders of both sides are simultaneously operated, the wir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rry is raised and the carry on the opposite side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rry 12 via the lower guide roller R2 located at the lower end, 12) is lifted up on the rising side of the wire, the wire is always pulled as far as it is loosened on one side, and the wire is held in a state of holding the appropriate tension at all times.

또한, 유압실린더(13)의 오일누유 등으로 상승되어 있는 캐리(12)가 주저앉을 수도 있는데, 이때 캐리(12) 아래쪽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가 큰 부상을 입을 수도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한쪽의 포스트(10)에는 래칫기구(L)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arry 12 raised by the oil leakage of the hydraulic cylinder 13 may collapse, and the operator working under the carry 12 may suffer a serious injury. In order to prevent such a safety accident, a ratchet mechanism (L) is provided on one of the posts (10).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2주식 대문형 리프트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차량의 중간 양쪽에 지지아암(14)이 위치되도록 차량을 전진시키고 지지아암(14)을 회전시키고 신축시키면서 위치를 조절한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dual stock gate lif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First, the vehicle is advanced so that the support arms 14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and the position is adjusted while rotating and stretching the support arms 14.

그 다음 유압실린더(13)를 작동시켜 캐리(12)가 상승되며, 이와 동시에 캐리(12)에 고정된 지지아암(14)도 상승되면서 차량을 소정높이로 들어올린다.Then, the hydraulic cylinder 13 is operated to raise the carry 12, and at the same time, the support arm 14 fixed to the carry 12 is lifted to raise the vehicle to a predetermined height.

이때, 상하부 가이드롤러(R1)(R2)에 의해서 와이어(W)가 텐션을 유지하여 양쪽의 캐리(12)를 지지하면서 동시에 작동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wire W is kept tensioned by the upper and lower guide rollers R1 and R2 so as to support both the carry 12 and operate simultaneously.

종래와 같이, 2주식 또는 4주식 리프트장치는 지면에서 일정높이 세워지는 기둥(또는 포스트)에 의해 작업자의 이동동선에 제약을 받게 되고, 부주의에 의해 충돌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작업공간이 축소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다.As in the prior art, the two-stock or four-stock lifting device is restricted by the moving movement line of the worker by the column (or the post) which is rais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and safety accident such as collision can be caused by carelessnes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e is reduced.

또한, 종래의 리프트장치는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외부환경에 의해 쉽게 노후화되고, 이로 인해 사용연한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the conventional lifting device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a whole, so that the lifting device is easily aged du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which shortens the service life.

특히, 세차장 또는 광택회사 등에서는 물 또는 화학약품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된 리프트장치들이 쉽게 부식되는 노후화의 진행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는 사용의 제한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Particular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 of water or chemicals in a car wash or a luster company has a limitation in use that the lifting devices exposed to the outside can not be used due to aging, which is easily corroded.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5-1970호(1995.03.23. 공고)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5-1970 (issued on March 23, 1995) 대한민국 특허 제331702호(2002.03.25. 등록)Korean Patent No. 331702 (registered on March 25, 20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12254호(2004.02.11.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4-12254 (published Feb. 11, 200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에 의해 승강력을 제공하는 실린더와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는 승강부를 지면에 매립키시고, 지면에는 상기 승강부의 피스톤로드에 고정된 받침부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통행하는 행인들이 충돌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동선에 간섭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ylinder head for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lift apparatus for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caused by a collision or the like in advance by a worker or a passerby who travels and minimizing a portion interfered with a work line to improve work efficiency There 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또는 대상물을 일정높이 상승시켜 작업을 수행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부; 및 상단에 차량 또는 대상물이 안착되어, 상기 승강부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차량 또는 대상물을 승강시키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작업동선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지면에 매립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높이 승강하며, 상단에 상기 받침부가 고정되는 피스톤로드; 및 상기 실린더에 승강력을 제공하여 상기 피스톤로드가 일정높이 승강되도록 하는 압력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ft apparatus for a vehicle, which lifts a vehicle or an object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elevator comprising: And a pedestal portion in which a vehicle or an object is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A cylinder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a ground surfac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work line to improve work efficiency, and not to project outward; A piston rod which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ylinder and which is raised and lower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and on which the support portion is fixed; And a pressure pump that increases the piston rod by a predetermined height by providing a force to the cylinder.

본 발명에 있어서, 받침부는,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단에 고정되는 중앙받침대와; 상기 중앙받침대에 복수로 구성되어 차량 또는 대상물의 크기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위치를 가변시켜 차량 또는 대상물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복수의 회동받침대; 및 상기 중앙받침대와 회동받침대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회동받침대를 일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ring portion may include: a center bearing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piston rod; A plurality of swivel pedestals formed on the center pedestal for vary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or the objec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vehicle or the purpose of use, thereby stably holding the vehicle or the object; And a pivot shaft formed between the center pedestal and the pivotal pedestal for supporting the pivotal pedestal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본 발명에 있어서, 중앙받침대는, 상기 회동받침대가 결합되는 회동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구역에는 상기 중앙받침대에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서 내측으로 일정깊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받침대가 안정적으로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pedestal includes a pivoting area to which the pivotal pedestal is couple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pedestal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n insertion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wardly from the protruding portion and guiding the rotation support to rotate stably at a predetermined angle.

본 발명에 있어서, 회동구역에는, 상기 회동받침대의 일정각도 회전하는 것을 단속하여, 상기 복수의 회동받침대가 'H'형 또는 'X'형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section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section for interrupting rotation of the rotation support at a predetermined angle to convert the plurality of rotation support sections into an 'H' shape or an 'X' shape .

본 발명에 있어서, 회동받침대는, 일단에 구성되고, 상기 회동축에 의해 상기 중앙받침대에 결합되어 일정각도 회전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끝단에 돌출되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안정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안내받도록 하는 회동돌기; 및 타단에 구성되어 보조기구가 안정적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안착홈;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base includes a turning portion which is formed at one end and is coupled to the center pedestal by the rotating shaft and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A rota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rotation unit and guided so as to be rotated stably when the rotation unit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And a seating groove formed at the other end and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or supporting the auxiliary mechanism so that the auxiliary mechanism can be stably mounted and detached.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압에 의해 승강력을 제공하는 실린더와 피스톤로드를 포함하는 승강부를 지면에 매립키시고, 지면에는 상기 승강부의 피스톤로드에 고정된 받침부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통행하는 행인들이 충돌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portion including the cylinder and the piston rod that provide the lifting force by the hydraulic pressure is embedded on the ground, and only the supporting portion fixed to the piston rod of the elevating portion is projected on the ground, There is an effect that passengers passing by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due to a collision or the like in advance.

또한, 승강부가 지면에 매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작동시키면 승강부의 일부만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외부환경에 의해 쉽게 노후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연한을 증폭시키는 효과가 있다.Further, when the elevating portion is kept in the state of being embedded in the ground and is operated, only a part of the elevating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the elevating portion from being easily ag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amplifying the use life.

또한, 물 또는 화학약품을 사용하는 세차장이나 광택회사 등에서도 사용이 가능함으로써, 차량용 리프트장치의 광범위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can be used in a car wash or a glossy company using water or chemical agents, it is possible to make a wide use of a vehicle lift apparatus possible.

또한, 세차장 또는 광택회사 등에서 리트프장치를 사용하여 차량에 대한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의 세차 또는 광택이 가능함으로써, 종래에서는 비교할 수 없는 세차 또는 광택서비스의 제공으로 소비자들의 신뢰성 확보에 의한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wash or polish the upper part as well as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by using a ripping device in a car wash or a glossing company, thereby enhancing the product competitiveness by securing the reliability of consumers by providing an unparalleled washing or luster service .

또한, 종래는 기둥(또는 포스트)이 세워진 상태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동선이 간섭되었지만, 본 발명은 차량을 리프팅한 상태에서도 작업자의 이동동선을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신속한 작업과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the operation line of the worker is interfered due to the state where the column (or the post) is erected.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line of the worker even in the lifting state of the vehicl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또한, 받침부에 차량 또는 대상물을 탑재한 상태에서 일정높이 상승시킨 상태에서도 상기 차량을 작업자가 밀면 상기 받침부가 고정된 피스톤로드가 실린더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작업자가 제자리에서 차량 또는 대상물 전체에 대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Further, when the worker pushes the vehicle even when the vehicle or object is mounted on the pedestal portion, the piston rod to which the pedestal portion is fixed rotates about the cylinder, so that the worker can move the vehicle or the entire objec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work and improve the work efficiency.

도 1은 종래의 2주식 리프트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유압실린더와 내부 캐리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프트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의 평면도로서,
4a는 'H'형이고, 4b는 'X'형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에 발판을 결합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에 보조발판을 결합한 상태의 평면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wo-stock lift apparatus;
2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hydraulic cylinder and an inner carry are engaged.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n 'H' type, and 4b is an 'X' type.
5 is a plan view of the pedestal of FIG.
6 is a plan view of a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auxiliary footrest is engag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e conventional one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차량용 리프트장치(100)는 지면에 매립되고 승,하강력을 제공하는 승강부(110) 및 상기 승강부(110)의 상단에 구성되어 차량을 받침하는 받침부(120)로 구성된다.The vehicle lift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ift portion 110 that is embedded in the ground and provides lifting and lowering force and a support portion 12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ift portion 110 to support the vehicle .

상기 승강부(110)는 지면에 일정깊이 매립되는 실린더(112)와, 상기 실린더(112)의 내측에 구성되어 승강하는 피스톤로드(114), 및 상기 실린더(112)에 승강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피스톤로드(114)가 일정높이 승강되도록 하는 압력펌프(116)로 구성된다.The lifting unit 110 includes a cylinder 112 embedded in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depth, a piston rod 114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ylinder 112, And a pressure pump 116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piston rod 114 to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실린더(112)는 상단부가 지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112)에는 상기 압력펌프(116)에서 제공되는 유체압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로드(114)가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유압의 입구와 출구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112)는 하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cylinder 112 is preferably embedded so that its upper end does not protrude from the ground. In addition, the cylinder 112 has an inlet and an outlet for oil pressure so that the piston rod 114 can be smoothly lifted and lowered by fluid pressure provided by the pressure pump 116. It is preferable that the cylinder 112 is composed of one cylinder.

이 경우, 상기 실린더(112)의 외주에는 지면에 구성된 흙 또는 콘크리트에 의해 노후화의 방지 및 입구와 출구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112 is constituted of a housing for preventing aging and protecting the entrance and the exit by soil or concrete formed on the ground.

상기 피스톤로드(114)는 상기 실린더(112)의 내측에 구성되고, 상단에 받침부(120)가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112)로 제공되는 유체압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받침부(120)를 일정높이 승강시킨다.The piston rod 114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ylinder 112 and the support part 120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ylinder part 112. The piston rod 114 is lifted by the fluid pressure supplied to the cylinder 112, Elevate it to a certain height.

또한, 상기 피스톤로드(114)는 상기 실린더(112)를 기준으로 길이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상기 실린더(112)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piston rod 114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otate about the cylinder 112 while being lif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112.

상기 압력펌프(116)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실린더(112)에 유압을 제공하여 상기 피스톤로드(114)가 승강되도록 한다.The pressure pump 116 provides hydraulic pressure to the cylinder 112 in accordance with a user's operation so that the piston rod 114 can be moved up and down.

이 경우, 상기 압력펌프(116)는 지면에 매립시켜 작업공간이 확보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면에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목적에 따라 설치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e pump 116 is embedded in the ground to secure a working space.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can be configured to be exposed on the ground,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상기 받침부(120)는 상기 승강부(110)의 끝단에 구성되고, 상단에 차량이 위치되어, 상기 승강부(110)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상기 차량을 일정높이 승강시킨다.The pedestal part 120 is formed at an end of the elevating part 110 and a vehicle is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elevating part 110. The elevating part 110 elevates and lowers the vehicle at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받침부(120)는 상기 피스톤로드(114)의 상단에 고정되는 중앙받침대(122)와, 상기 중앙받침대(122)에 구성되어 차량을 받침하는 받침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회동받침대(124), 및 상기 중앙받침대(122)와 회동받침대(124)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회동받침대(124)가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회동축(126)으로 구성된다.The pedestal 120 includes a center pedestal 122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piston rod 114 and a plurality of pedestals 124 provided on the center pedestal 122 to provide a pedestal supporting the vehicle. And a pivot 126 formed between the center pedestal 122 and the pivotal pedestal 124 to support the pivotal pedestal 124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중앙받침대(122)는 상기 피스톤로드(114)의 끝단에 다수의 볼트로 구성되는 체결수단으로 체결 고정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피스톤로드(114)의 끝단에 상기 중앙받침대(122)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The center pedestal 122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piston rod 114 by fastening means formed of a plurality of bolts.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eans can be used to stably fix the center pedestal 122 at the end of the piston rod 114.

또한, 상기 중앙받침대(122)에는 상기 회동받침대(124)가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회동구역(1222)이 구성된다. 상기 회동구역(12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받침대(122)의 모서리 부분 즉, 4개소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enter pedestal 122 is formed with a rotation section 1222 for supporting the rotation support 124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ivoting area 1222 is formed with four corners, that is, four corners of the center pedestal 122.

상기 회동구역(1222)은 상기 중앙받침대(122)에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돌출부(1224)와, 상기 돌출부(1224)에서 내측으로 일정깊이 삽입되어 상기 회동받침대(124)의 일부가 삽입되어 일정각도 회전을 안내하도록 하는 삽입홈(1226)으로 구성된다.The rotation section 1222 includes a protrusion 1224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center pedestal 122 and a protrusion 1224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1224 at a predetermined depth inward to insert a part of the protrusion 1224, As shown in FIG.

상기 돌출부(1224)는 상기 회동축(126)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받침대(124)가 일정각도 회전이 용이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protrusion 1224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such that the rotation support 124 may rotate around the rotation axis 126 at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상기 삽입홈(1226)도 상기 돌출부(1224)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ertion groove 1226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protrusion 1224.

또한, 상기 회동구역(1222)에는 상기 회동받침대(124)가 일정각도 회전할 때 회전각도를 제한시키도록 상기 돌출부(1224)의 양단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연장부는 제1연장부(1228)과 제2연장부(1229)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ivoting portion 1222 is formed with an extension portion that extends linearly at both ends of the protrusion 1224 so as to limit a rotation angle when the rotation support 124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is case, the extension portion is composed of a first extension portion 1228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1229.

즉, 상기 제1연장부(1228)는 상기 회동축(126)을 중심으로 회동받침대(124)를 회전시켰을 때, 전체적으로 'H'형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돌출부(1224)의 내측에 형성된다.That is,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228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protrusion 1224 so as to be formed in an 'H' shape as a whole when the rotation support base 124 is rotated around the rotation axis 126.

또한, 상기 제2연장부(1229)는 상기 회동축(126)을 중심으로 회동받침대(124)를 회전시켰을 때, 전체적으로 'X'형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돌출부(1224)의 외측에 형성된다.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229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protrusion 1224 so that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229 is formed in an 'X' shape as a whole when the rotation support base 124 is rotated around the rotation axis 126.

상기 회동받침대(124)는 상기 중앙받침대(122)의 복수의 회동구역(1222) 각각에 구성되어 회동축(126)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함으로써, 차량의 크기 또는 기타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위치각도를 변환시켜 받침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The rotation support base 124 is provided at each of the plurality of rotation areas 1222 of the center support 122 and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rotation axis 126 to adjust the position angle To provide a supporting force.

상기 회동받침대(124)는 일단에 상기 회동구역(1222)에 위치되어 상기 회동구역(1222)의 안내에 따라 일정각도 회전하는 회동부(1242) 및 타단에 구성되어 보조기구가 안정적으로 착탈되도록 안내하는 안착홈(1244)이 형성된다.The rotary support 124 includes a rotary part 1242 which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rotary part 1222 and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ccordance with the guide of the rotary part 1222 and a guide part Is formed.

상기 회동부(1242)에는 상기 회동구역(1222)의 삽입홈(1226)에 삽입되어 일정각도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를 받는 회동돌기(1243)가 구성된다.The rotation unit 1242 is formed with a rotation protrusion 1243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26 of the rotation unit 1222 and is guided so that rota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is stably performed.

이 경우, 상기 회동부(1242)는 상기 회동구역(1222)의 돌출부(1224)와 동일 또는 유사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출부(1224)를 따라 안정적으로 일정각도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rotation unit 1242 is form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the protrusion 1224 of the rotation unit 1222, so that the rotation unit 1242 can be rotated at a constant angle along the protrusion 1224.

또한, 상기 안착홈(1244)은 끝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깊이를 가지는 홈으로 형성되어, 보조기구의 일측이 상기 안착홈(124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보조기구가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In addition, the seating groove 1244 is formed as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end to the inside, and one side of the auxiliary mechanism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1244, thereby stably holding the auxiliary mechanism.

상기 보조기구는, 상기 복수의 회동받침대(124)를 'H'형으로 형성할 때 양단 각각에 삽입시켜 차량의 중앙 하부가 받침되도록 하는 일자형의 발판(128) 및 'X'형으로 형성할 때 각각에 삽입시켜 차량의 하부에 구성된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하는 보조발판(129)을 의미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받침대(122) 양단 각각에 구성된 상기 회동받침대(124)를 회동축(126)을 중심으로 나란해지도록 회전시킨 후 상기 회동받침대(124) 양단 각각에 발판(128)을 결합한다. 이때, 상기 회동받침대(124)의 끝단에 형성된 안착홈(1244)에 상기 발판(128)에 구성된 핀이 안착됨으로써, 상기 발판(128)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The auxiliary mechanism includes: a straight pedestal 128 which is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rotary pedestals 124 when the plurality of rotary pedestals 124 are formed into the 'H' shape so that the lower center of the vehicle is supported; And an auxiliary footrest 129 for supporting the fram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5, the rotatable pedestal 124 formed at each of both ends of the center pedestal 122 is rotated to be parallel to the rotational axis 126, and then the pedal 124 is pivoted on both ends of the rotatable pedestal 124, (128). At this time, the pin formed on the footplate 128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244 formed at the end of the rotation support bracket 124, so that the footplate 128 stably remains fixed.

물론, 상기 보조기구는 사용목적 또는 사용자의 경험에 의해 각기 원하는 것을 취사선택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조기구는 발판(128) 또는 보조발판(129)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회동받침대(124)에 착탈시켜 차량 또는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보조기구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차량 또는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받침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Needless to say, the auxiliary device can be individu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r the user's experience. In addition, the auxiliary mechanism is not limited to the foot plate 128 or the auxiliary foot plate 129, and an auxiliary mechanism having various structures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vehicle or the object, Either a vehicle or a means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the object can be used.

경우에 따라서, 상기 보조기구를 장착하지 않고, 상기 회동받침대(124)로만 차량 또는 대상물을 받침할 수도 있다.In some cases, the vehicle or the object may be supported only by the rotation support pedestal 124 without installing the auxiliary mechanism.

한편, 상기 회동받침대(124)의 회동부(1242)에는 회동축(126)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다.Meanwhile,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126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rotation unit 1242 of the rotation support base 124.

상기 회동축(126)은 상기 중앙받침대(122)와 회동받침대(124)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회동받침대(124)가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회동축(126)은 핀 또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회동받침대(124)가 용이하게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The pivot shaft 126 is formed between the center pedestal 122 and the pivotal pedestal 124 to center the pivotal pedestal 124 so that the pivotal pedestal 124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pivot shaft 126 may be a pin or a fastening unit composed of a bolt and a nut. Any means may be used to support the pivot bracket 124 so that the pivot bracket 124 can be easily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리프트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use state of the above-described vehicle lift apparatus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지면에 승강부(110)의 실린더(112)가 매립된 상태를 유지한다.First, the cylinder 112 of the elevation part 110 is buried in the ground.

그리고, 차량 또는 대상물(이후, 차량을 기준으로 설명함)의 크기에 따라 받침부(120)의 회동받침대(124)의 위치를 결정한다. 예컨대, 대,중형승용차나 트럭과 같이 차폭이 큰 것은 'H'형으로 하면서 끝단에 일자형의 발판(128)을 결합시키고, 소형승용차와 같이 차폭이 작은 것은 'X'형으로 하면서 각각의 끝단에 보조발판(129)를 결합시켜 사용한다. 또는 오토바이와 같은 경우에는 별도의 보조기구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The position of the rotation support 124 of the support portion 12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vehicle or the o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ehicle). For example, a large-sized passenger car or a truck may have a large width of 'H' while a straight pedestal 128 may be connected to the end thereof. In the case of a small passenger car, And the auxiliary footrest 129 is used in combination. Or in the case of a motorcycle, a separate auxiliary mechanism may be used in combination.

이어서, 상기 회동받침대(124)에 보조기구의 결합이 완료되면(경우에 따라서 생략가능하다), 차량을 상기 회동받침대(124)에 안정적으로 받침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다.Subsequently, when the coupling of the auxiliary mechanism to the rotation support base 124 is completed (possibly omitted in some cases), the vehicle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vehicle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rotation support base 124. [

이후, 압력펌프(116)에서 제공되는 상승력이 상기 실린더(112)로 제공되면, 상기 실린더(112)에 구성된 피스톤로드(114)가 일정높이 상승한다.Thereafter, when the upward force provided by the pressure pump 116 is provided to the cylinder 112, the piston rod 114 constituting the cylinder 112 is raised to a certain height.

이에 따라, 상승된 차량의 세척, 광택 또는 정비와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Thereby performing operations such as cleaning, lustering or maintenance of the elevated vehicle.

이 경우, 상기 피스톤로드(114)는 실린더(112)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세척, 광택 또는 정비작업 중 승강된 상태의 차량을 제자리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제자리에서 승강된 차량에 대하여 각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piston rod 114 is configured to rotate relative to the cylinder 112,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elevated vehicle in place during cleaning, polishing, or maintenance work.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on the vehicle that has been raised and lowered in place.

또한, 차량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압력펌프(116)에서 하강력이 제공되고, 이를 통해 상기 피스톤로드(114)는 하강하여, 차량을 지면에 내려놓는다. 이때, 상기 피스톤로드(114)는 실린더(112)를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차량의 최초 진입위치와 무관하게 원하는 위치로 차량의 진행방향을 결정하여 내려놓게 된다.Further, when work on the vehicle is completed, a lowering force is provided by the pressure pump 116, whereby the piston rod 114 is lowered to place the vehicle on the ground. At this time, the piston rod 114 is rotated around the cylinder 112, so that the user or the operator determine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o a desired position regardless of the initial entry position of the vehicle and then sets the traveling direction.

그러므로, 상기 차량용 리프트장치(100)는 지면에 승강부(110)가 매립된 상태를 유지하여, 지면에는 받침부(120)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통행하는 행인들이 충돌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vehicle lift apparatus 100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elevation portion 110 is embedded in the ground, and only the support portion 120 is protruded from the ground. Thus, the safety of the worker or passers- The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종래는 기둥(또는 포스트)이 세워진 상태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동선이 간섭되었지만, 본 발명은 차량을 리프팅한 상태에서도 작업자의 이동동선을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신속한 작업과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킨다.
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the operation line of the worker is interfered due to the state where the column (or the post) is erected.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line of the worker even in the lifting state of the vehicle, Improves efficiency.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차량용 리프트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vehicle lift apparatu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0: 리프트장치 110: 승강부
112: 실린더 114: 피스톤로드
116: 압력펌프 120: 받침부
122: 중앙받침대 1222: 회동구역
1224: 돌출부 1226: 삽입홈
1228: 제1연장부 1229: 제2연장부
124: 회동받침대 1242: 회동부
1244: 회동돌기 1246: 안착홈
126: 회동축 128: 발판
129: 보조발판
100: Lift device 110:
112: cylinder 114: piston rod
116: pressure pump 120:
122: center base 1222:
1224: protrusion 1226: insertion groove
1228: first extension part 1229: second extension part
124: Rotating pedestal 1242:
1244: rotation protrusion 1246: seat groove
126: Pivot axis 128: Scaffold
129: Auxiliary footrest

Claims (5)

차량 또는 대상물을 일정높이 상승시켜 작업을 수행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부(110); 및
상단에 차량 또는 대상물이 안착되어, 상기 승강부(110)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차량 또는 대상물을 승강시키는 받침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110)는, 작업동선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지면에 매립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하나의 실린더(112)와;
상기 실린더(112)의 내측에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높이 승강하며, 상단에 상기 받침부(120)가 고정되는 피스톤로드(114); 및
상기 실린더(112)에 승강력을 제공하여 상기 피스톤로드(114)가 일정높이 승강되도록 하는 압력펌프(116)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120)는, 상기 피스톤로드(114)의 상단에 고정되는 중앙받침대(122)와;
상기 중앙받침대(122)에 복수로 구성되어 차량 또는 대상물의 크기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위치를 가변시켜 차량 또는 대상물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는 복수의 회동받침대(124); 및
상기 중앙받침대(122)와 회동받침대(124)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회동받침대(124)를 일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동축(126)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받침대(122)는, 상기 회동받침대(124)가 결합되는 회동구역(1222)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구역(1222)에는 상기 중앙받침대(122)에서 일정높이 돌출되는 돌출부(1224); 및
상기 돌출부(1224)에서 내측으로 일정깊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받침대(124)가 안정적으로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삽입홈(1226)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구역(1222)에는, 상기 회동받침대(124)의 일정각도 회전하는 것을 단속하여, 상기 복수의 회동받침대(124)가 'H'형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받침대(124)는, 일단에 구성되고, 상기 회동축(126)에 의해 상기 중앙받침대(122)에 결합되어 일정각도 회전하는 회동부(1242)와;
상기 회동부(1242)의 끝단에 돌출되어 상기 회동축(126)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안정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안내받도록 하는 회동돌기(1243); 및
타단에 구성되어 보조기구가 안정적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안착홈(1244)을 포함하여;
상기 중앙받침대(122)의 양단 각각에 구성된 회동받침대(124)를 회동축(126)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나란해지도록 한 후 상기 회동받침대(124)의 안착홈(1244)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발판(128)을 통해 차량의 리프팅이 원활해지도록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프트장치.
1. A vehicle lift apparatus for performing a work by raising a vehicle or an object at a predetermined height,
A lifting unit 110 for providing lifting force; And
And a pedestal portion (120) for raising or lowering the vehicle or the object while being lifted by a lifting force provided by the lifting portion (110), wherein the vehicle or the object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The elevator 110 includes a cylinder 112, which is embedded in the groun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work line and is not projected to the outside so as to improve work efficiency;
A piston rod 114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ylinder 112 and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er 112 and having the receiving portion 120 fixed to an upper end thereof; And
And a pressure pump (116) for providing a lift to the cylinder (112) to elevate the piston rod (114)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pedestal portion 120 includes a center pedestal 122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piston rod 114;
A plurality of swivel pedestals 124 formed in the center pedestal 122 for vary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or the object according to the size or purpose of use of the vehicle to allow the vehicle or the object to be stably stowed; And
And a pivot 126 formed between the center pedestal 122 and the pivotal pedestal 124 to support the pivotal pedestal 124 to rotate the pivotal pedestal 124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center pedestal 122 includes a pivoting area 1222 to which the pivoting pedestal 124 is coupled;
A protrusion 1224 protruding from the center pedestal 122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nd an insertion groove 1226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wardly from the protrusion 1224 to guide the rotation support 124 to rotate at a stable angle.
The rotation section 1222 includes an extension section for interrupting rotation of the rotation support section 124 by a predetermined angle to convert the plurality of rotation support sections 124 into an 'H' shape,
The rotary support 124 includes a rotary part 1242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coupled to the center pedestal 122 by the rotary shaft 126 and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 rotation protrusion 1243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rotation part 1242 and adapted to be guided to rotate stably when the rotation part 126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126; And
And a seating groove (1244) formed at the other end and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or supporting the auxiliary mechanism so that the auxiliary mechanism can be stably installed and removed;
The rotation support bracket 124 formed at both ends of the center bracket 122 is rotated around the rotation shaft 126 and is stably supported by the mounting groove 1244 of the rotation support bracket 124 A configuration to smooth the lifting of the vehicle through the footrest 128;
And a lift mechanism for a vehic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56277A 2014-11-11 2014-11-11 A lift device of vehicles Expired - Fee Related KR1016718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277A KR101671859B1 (en) 2014-11-11 2014-11-11 A lift device of vehicles
PCT/KR2015/012133 WO2016076632A1 (en) 2014-11-11 2015-11-11 Cylinder-embedded vehicle lif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277A KR101671859B1 (en) 2014-11-11 2014-11-11 A lift device of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187A KR20160056187A (en) 2016-05-19
KR101671859B1 true KR101671859B1 (en) 2016-11-03

Family

ID=5595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277A Expired - Fee Related KR101671859B1 (en) 2014-11-11 2014-11-11 A lift device of vehicle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71859B1 (en)
WO (1) WO2016076632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8608A (en) 2019-04-08 2020-10-16 황성일 Automobile lift with a cylinder part embedded in the ground
KR20220077718A (en) 2020-12-02 2022-06-09 배영식 An apparatus for lifting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632Y2 (en) * 1991-05-30 1995-07-12 杉安工業株式会社 Vehicle maintenance lift
JP2527306Y2 (en) * 1991-08-15 1997-02-26 株式会社イヤサカ Vehicle maintenance equipment
KR960011264B1 (en) 1993-06-22 1996-08-21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Contact hole type confirmation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KR970002445Y1 (en) * 1993-09-28 1997-03-24 이만호 Extension arm support device of folding lift
KR950017537A (en) * 1993-12-10 1995-07-20 전성원 Turning device
JP2538490Y2 (en) * 1993-12-28 1997-06-18 杉安工業株式会社 Recessed vehicle maintenance lift
JP2747555B2 (en) * 1994-05-13 1998-05-06 杉安工業株式会社 Vehicle maintenance lift
KR100331702B1 (en) 1999-05-17 2002-04-09 이승균 Lifter for exchanging oil
KR20040012254A (en) 2002-08-02 2004-02-11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Lift provided with two supporting arms for car maintenance
JP4279547B2 (en) * 2002-12-26 2009-06-17 株式会社スギヤス Vehicle maintenance lif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8608A (en) 2019-04-08 2020-10-16 황성일 Automobile lift with a cylinder part embedded in the ground
KR20220077718A (en) 2020-12-02 2022-06-09 배영식 An apparatus for lifting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187A (en) 2016-05-19
WO2016076632A1 (en)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9520B2 (en) Tunnel ceiling surface cleaning equipment
KR101317334B1 (en) Self-Turn Arounding Automotive Car
CN101982395A (en) Portable two post automobile lift
KR101671859B1 (en) A lift device of vehicles
JP2010105805A (en) Method for repairing existing elevator, and elevator apparatus
KR20150062539A (en) Winch for construction material
KR102340469B1 (en) Non-motorized Lift Apparatus
JP5973216B2 (en) Lifting cart
KR101063308B1 (en) Lifting and lowering light tower with fall prevention structure for lifting frame
KR100387566B1 (en) Lift-apparatus for automobile
CN216129274U (en) Automobile overhaul device
CN105692411A (en) Elevator layout structure without machine room
JP3968362B2 (en) Tunnel repair work vehicle
KR20100077072A (en) Street lamp
CN115726399A (en) Municipal administration pipe shaft overhauls device
JP4316514B2 (en) Working device in mechanical parking device and its working method
KR20110019806A (en) Mobile Elevated Ladder Truck
JP5305344B2 (en) Hoisting machine installation device
KR102750004B1 (en) Spindle replacement device for edger roll
CN208898460U (en) Folding type operation equipment for clean room
KR20130000823U (en) Apparatus for high place working
JP3214624U (en) Car-mounted road inspection work machine
JP2002226187A (en) Lift for servicing vehicle
CA2168316C (en) Lifting and swivelling device,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JP4536560B2 (en) Pole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0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