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71712B1 - 평판 유리용 다중 위치 강성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평판 유리용 다중 위치 강성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712B1
KR101671712B1 KR1020150043908A KR20150043908A KR101671712B1 KR 101671712 B1 KR101671712 B1 KR 101671712B1 KR 1020150043908 A KR1020150043908 A KR 1020150043908A KR 20150043908 A KR20150043908 A KR 20150043908A KR 101671712 B1 KR101671712 B1 KR 101671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cell
flat glass
coupled
lower side
elev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6379A (ko
Inventor
심태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앙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앙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앙정밀
Priority to KR1020150043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712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7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28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 G01L5/0038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applying a pushing for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12Constant speed te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9Compress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Crack, flaws, fracture or rup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 상에서 X축과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평판 유리의 강도 측정을 다중 포인트에서 측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각각의 테스트 지점에서 개별적으로 시험조건을 가변할 수 있으며, 나사 조임위치에 따라 프로브단자의 센터라인이 변경되더라도 센터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평판 유리용 다중 위치 강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면이 평평한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 상에 고정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테이블 상에서 정해진 궤적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평판 유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갖는 시험대와; 상기 테이블 상에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시험기 본체를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횡방향 이동수단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시험기 본체를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종방향 이동수단과; 상기 종,횡방향 이동수단에 의해 테이블 상에서 종,횡방향 이동되는 측정몸체와, 상기 측정몸체에 마련된 승강수단을 매개로 승강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 승강동작되고 하측에 로드셀이 조인트 결합되는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블록의 하측에 조인트 연결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의 하측에 조인트 결합되고 하측 단부에 프로브단자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프로브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부하 압력을 로드셀에 전달하기 위한 로드셀 하우징을 갖는 시험기 본체;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평판 유리용 다중 위치 강성 시험장치{Multi-position stiffness test apparatus of flat glass}
본 발명은 평판 유리용 다중 위치 강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블 상에서 X축과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평판 유리의 강도 측정을 다중 포인트에서 측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각각의 테스트 지점에서 개별적으로 시험조건을 가변할 수 있으며, 나사 조임위치에 따라 프로브단자의 센터라인이 변경되더라도 센터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다중 위치강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유리 또는 유리판 혹은 유리 기판은 디스플레이 패널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사용되는 평판 유리는 소정의 두께로 가공된 후 다른 부품과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CD 디스플레이 패널 제작시 패널 조립 전 또는 패널 조립 후에 얇은 두께로 슬리밍(slimming)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평판 유리는 얇은 두께이면서 특정 강도 이상의 강도(또는 파괴 강도)를 필요로 한다.
특히, LCD 디스플레이 장치가 휴대성이나 이동성이 높은 평판 유리에 사용되는 경우,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충격이나 압력,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떨어뜨림 등에 의해 파손될 조건이나 환경에 자주 노출될 수 있다.
LCD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에 사용되는 평판 유리의 강도가 평판 유리의 신뢰도나 내구성 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립 전 또는 조립 후의 평판 유리의 내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평판 유리의 강도를 측정하게 된다.
평판 유리의 강도 측정을 위해, 평판 유리를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2개의 부재가 1조로 구성된 일자형 지지대 위에 올려놓는다.
이어서, 끝부분이 둥근 니들(niddle)을 이용하여 아래 방향으로 움직여서 평판 유리에 접촉한 상태에서 힘을 가한다.
니들이 가한 힘에 의해, 평판 유리가 휘어지고 평판 유리가 파괴될 때까지 힘은 계속 가해진다. 이 경우, 평판 유리의 파괴시까지 니들이 가해준 힘(또는 응력)으로부터 평판 유리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종래 평판 유리의 파괴 강도 측정 기술은 단순히 일정한 속도로 측정용 니들을 하강시켜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각각의 평판 유리의 특성, 규격에 따라 측정용 니들의 하강 속력이 달라야 함에도 일정한 하강 속력으로 파괴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평판 유리의 품질 신뢰도 확보에 문제가 있었다.
파괴강도 측정 대상 평판 유리의 특성에 따라서 측정용 니들의 하강 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기존 평판 유리의 강도 측정장치의 일 예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1333697호 "평판 유리 강도 측정장치"(공개일자 : 2011.12.1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스텝모터, 상기 스텝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펄스파를 출력하는 스텝모터 제어부, 상기 스텝모터 제어부로부터 상기 펄스파를 입력받고 상기 스텝모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스텝모터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고, 파괴 강도 측정 대상 평판 유리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되 단위 시간당 상기 펄스파의 수(PPS)에 따라 하강 속력이 비례하고 상기 유리에 힘을 가해 상기 유리를 파괴하는 측정용 니들로 구성된 것이다.
종래 평판 디스플레이의 강도 검사 장치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058803호 "평판 디스플레이 셀의 강도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셀의 보강 실링 방법"(공개일자 : 2012.06.08)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평판 디스플레이 셀의 일측 평면에 접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셀을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로드셀, 상기 로드셀을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셀을 가압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로드셀 구동기, 및 상기 로드셀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셀에 가해진 하중을 계산하고 상기 로드셀 구동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로드셀에 의해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셀에 가해지는 하중이 미리 설정한 기준값에 도달한 것으로 계산되면,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셀을 양품으로 판단하고, 상기 로드셀이 평판 디스플레이 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로드셀 구동기를 제어하는 것이다.
그런데, 기존 평판 강도 검사장치는 정해진 위치에서만 강도 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평판의 부위별로 시험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평판의 사이즈 치수가 가변될 경우에는 시험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평판 강도 검사장치는 로드셀의 조립과정에서 조립 위치에 따라 센터 위치가 달라질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정확한 시험 데이터를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1333697호 "평판 유리 강도 측정장치"(공개일자 : 2011.12.14)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058803호 "평판 디스플레이 셀의 강도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셀의 보강 실링 방법"(공개일자 : 2012.06.08)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X축과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평판 유리의 강도 측정을 다중 포인트에서 측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각각의 테스트 지점에서 개별적으로 시험조건을 가변할 수 있으며, 나사 조임위치에 따라 프로브단자의 센터라인이 변경되더라도 센터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평판 유리용 다중 위치 강성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판 유리의 사이즈 치수에 관계없이 측정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평판 유리용 다중 위치 강성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이 평평한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 상에 고정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테이블 상에서 정해진 궤적의 레일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평판 유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갖는 시험대와; 상기 테이블 상에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시험기 본체를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횡방향 이동수단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시험기 본체를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종방향 이동수단과; 상기 종,횡방향 이동수단에 의해 테이블 상에서 종,횡방향 이동되는 측정몸체와, 상기 측정몸체에 마련된 승강수단을 매개로 승강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 승강동작되고 하측에 로드셀이 조인트 결합되는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블록의 하측에 조인트 연결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의 하측에 조인트 결합되고 하측 단부에 프로브단자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프로브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부하 압력을 로드셀에 전달하기 위한 로드셀 하우징을 갖는 시험기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측정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승강모터와, 상기 승강모터의 모터축 단부에 마련되어 모터축의 회전과 연동 회전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에 벨트로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에 연결되어 종동풀리와 연동되고 상기 승강블록에 승강력을 제공하도록 축 결합되는 승강스크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드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브단자가 결합되는 하측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더 구비된다.
삭제
상기 로드셀 하우징과 상기 로드셀의 조인트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로드셀 하우징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정부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로드셀의 하부가 끼워지도록 수평방향으로 제1진입구가 형성되는 상부 브라켓부와, 상기 상부 브라켓부의 하측에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로드셀 하우징의 상부가 끼워지도록 제2진입구가 형성되는 하부 브라켓부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은 종방향 및 횡방향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시험기 본체를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다중 위치에서 평판 유리의 강성을 시험할 수 있으므로, 부위별 강도 시험 및 개별적 시험 조건을 가변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둘째, 본 발명은 평판 유리의 사이즈 치수에 가변되도록 지지부재를 이동시켜 평판 유리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범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셋째, 본 발명은 로드셀 하우징의 나사 조임위치에 따라 프로브단자의 센터라인이 변경되더라도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센터위치를 간편하게 표시할 수 있으며, 조정부재를 이용하여 로드셀 하우징의 센터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유리용 다중 위치 강성 시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시험기 본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시험기 본체의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조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조정부재가 로드셀 하우징과 로드셀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유리용 다중 위치 강성 시험장치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면이 평평한 테이블(110)과, 상기 테이블(110) 상에 고정되는 받침부재(120)와, 상기 테이블(110) 상에서 정해진 궤적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평판 유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30)를 갖는 시험대(100)와; 상기 테이블(110) 상에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프레임(200)과; 상기 프레임(200)에 지지되어 시험기 본체(500)를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횡방향 이동수단과; 상기 프레임(200)에 지지되어 시험기 본체(500)를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종방향 이동수단과; 상기 종,횡방향 이동수단에 의해 테이블(110) 상에서 종,횡방향 이동되는 측정몸체(510)와, 상기 측정몸체(510)에 마련된 승강수단(560)을 매개로 승강모터(562)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 승강동작되고 하측에 로드셀(530)이 조인트 결합되는 승강블록(520)과, 상기 승강블록(520)의 하측에 조인트 연결되는 로드셀(530)과, 상기 로드셀(530)의 하측에 조인트 결합되고 하측 단부에 프로브단자(55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프로브단자(550)를 통해 전달되는 부하 압력을 로드셀(530)에 전달하기 위한 로드셀 하우징(540)을 갖는 시험기 본체(50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테이블(110)은 상측면에 지지부재(130)가 정해진 궤도에 따라 이동되도록 격자 형태의 레일홈(115)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받침부재(120)는 테이블(11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받침부재(120)는 테이블(110)의 상면에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평판 유리의 테두리 일부가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측면에 간격 표시를 위한 눈금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재(130)는 하부가 테이블(110)의 상측에 형성된 격자형태의 레일홈(115)을 따라 X,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각각 마련됨으로써, 평판 유리의 사이즈 치수에 관계없이 지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프레임(200)은 테이블(110)의 상측의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마련되고 종방향 이동수단이 각각 설치되는 제1,2지지프레임(210,220)과, 상기 제1,2지지프레임(210,220)의 상측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횡방향 이동수단이 설치되는 제3지지프레임(230)으로 구성된다.
종방향 이동수단은 제1,2지지프레임(210,220)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제1,2구동모터(310,320)와, 상기 제1,2구동모터(310,320)의 모터축과 연동회전되고 제3지지프레임(230)의 하부에 나사 결합방식으로 축 결합되어 상기 제3지지프레임(230)에 전,후 이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2이송샤프트(315,325)를 구비한다.
횡방향 이동수단은 제3지지프레임(230)에 설치되고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제3구동모터(330)와, 상기 제3구동모터(330)의 모터축과 연동 회전되고 시험기 본체(500)와 나사 결합방식으로 축 결합되어 상기 시험기 본체(500)에 좌,우 이동력을 제공하는 제3이송샤프트(335)로 구성된다.
제3지지프레임(230)은 제1,2지지프레임(210,220)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가이드레일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시험기 본체(500)는 제3지지프레임(230)의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가이드레일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시험기 본체(500)는 도 4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횡방향 이동수단에 의해 테이블(110) 상에서 종,횡방향 이동되는 측정몸체(510)와, 상기 측정몸체(510)에 마련된 승강수단(560)을 매개로 승강모터(562)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 승강동작되고 하측에 로드셀(530)이 조인트 결합되는 승강블록(520)과, 상기 승강블록(520)의 하측에 조인트 연결되는 로드셀(530)과, 상기 로드셀(530)의 하측에 조인트 결합되고 하측 단부에 프로브단자(55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프로브단자(550)를 통해 전달되는 부하 압력을 로드셀(530)에 전달하기 위한 로드셀 하우징(540)으로 구성된다.
측정몸체(510)는 제3이송샤프트(335)에 축 결합되어 제3지지프레임(230)의 전면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로드셀 하우징(540)은 하부에 프로브단자(550)가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고, 하부에 수평으로 고정핀(552)이 진입됨에 따라 스크류 결합되어 프로브단자(550)의 상부를 접촉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승강수단(560)은 상기 측정몸체(5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승강모터(562)와, 상기 승강모터(562)의 모터축 단부에 마련되어 모터축의 회전과 연동 회전되는 구동풀리(564)와, 상기 구동풀리(564)에 벨트로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종동풀리(566)와, 상기 종동풀리(566)에 연결되어 종동풀리(566)와 연동되고 상기 승강블록(520)에 승강력을 제공하도록 축 결합되는 승강스크류(568)로 구성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승강블록(520)은 승강스크류(568)에 관통되도록 축 결합되어 나선 결합되고, 측정몸체(510)의 길이방향으로 봉형태로 마련된 가이드봉에 승강블록(520)이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승강블록(520)의 나선 회전이 제한되면서 승강동작이 가이드된다.
승강블록(520)의 승강동작을 가이드하는 구조는 가이드봉이 아닌 레일 형태의 가이드축에 요철 결합되어 승강블록(520)의 수직 승강동작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
또한, 로드셀 하우징(540)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브단자(550)가 결합되는 하측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600)가 더 구비된다.
레이저 다이오드(600)는 로드셀 하우징(540)의 내부에 내장되도록 결합되어 프로브단자(550)가 분리된 후에 하측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로드셀 하우징(540)의 센터 위치를 테이블(110) 상에 표시하게 된다.
즉, 레이저 다이오드(600)는 로드셀 하우징(540)이 나사 조임을 이용한 체결 고정방식으로 로드셀(530)의 하부에 조인트 결합됨에 따라, 나사의 조임위치에 따라 로드셀 하우징(540)의 센터위치가 변경되므로, 센터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600)의 위치가 틀어지게 되어 레이저의 조사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센터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레이저 포인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셀 하우징(540)과 상기 로드셀(530)의 조인트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로드셀 하우징(540)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정부재(70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정부재(700)는 상기 로드셀(530)의 하부가 끼워지도록 수평방향으로 제1진입구(712)가 형성되는 상부 브라켓부(710)와, 상기 상부 브라켓부(710)의 하측에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로드셀 하우징(540)의 상부가 끼워지도록 제2진입구(722)가 형성되는 하부 브라켓부(720)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 브라켓부(710)는 로드셀 하우징(540)의 조인트부(542)가 결합되는 로드셀(530)의 하단 바에 수평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측면에서 볼 때 "ㄷ"자 형태로 구성되고, 조인트부(542)의 헤드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하 및 좌,우 양측으로 이격되게 분리된 4개의 결합편(711)으로 구성된다.
하부 브라켓부(720)는 상측에서 일측과 상,하측이 개구되고 서로 마주보는 양측과 전면이 일체로 절곡된 브라켓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LCD 등과 같은 평판 유리를 테이블(110) 상에 안착시키기 전에, 평판 유리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부재(130)를 레일홈(115)의 궤적을 따라 이동시켜 평판 유리의 테두리 하측에 받침부재(120)와 지지부재(130)를 배치시킨다.
이때, 받침부재(120)는 테이블(110) 상에 고정되어 있는 반면에, 지지부재(130)를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로 밀거나 당기면, 지지부재(130)가 테이블(110)의 레일홈(115)에 슬라이딩되면서 X,Y 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평판 유리의 사이즈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평판 유리의 사이즈 치수에 따라 지지부재(130)를 종,횡방향 이동시켜 지지부재(130)와 받침부재(120)가 평판 유리의 하측을 지지함으로써, 평판 유리의 사이즈 치수 변동시에도 지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본 발명은 종방향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제1,2지지프레임(210,220)에 안착되어 있는 제3지지프레임(23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2구동모터(310,320)에 전원을 인가시켜 제1,2이송샤프트(315,325)를 회전시키면, 제1,2이송샤프트(315,325)에 축결합된 제3지지프레임(230)이 테이블(110)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시험기 본체(500)가 탑재된 제3지지프레임(230)의 전,후 이동이 완료됨에 따라, 시험기 본체(500)의 Y축 방향 이동이 완료된다.
이어서, 제3구동모터(330)에 전원을 인가시켜 제3이송샤프트(335)를 회전시키면, 제3이송샤프트(335)에 축 결합된 시험기 본체(500)가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즉, 종방향 이동수단과 횡방향 이동수단은 시험기 본체(500)를 측정하고자 하는 평판 유리 부위의 상측에 위치시키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동작 순서에 관계없이 X,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종방향 이동수단과 횡방향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시험기 본체(500)를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에, 승강모터(562)에 전원을 인가시켜 구동풀리(564)를 회전시키면, 구동풀리(564)와 벨트 연결된 종동풀리(566)가 회전되면서 승강스크류(568)를 회전시키게 된다.
승강스크류(568)의 회전시 나사 결합방식으로 축 결합된 승강블록(520)이 상,하 승강동작되고, 승강블록(520)의 하강동작시 로드셀(530)과 로드셀 하우징(540) 및 프로브단자(550)를 하강시키게 되고, 프로브 단자(550)를 평판 유리의 측정지점에 접촉시켜 파괴되기 전까지 하중을 부여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프로브단자(550)를 통해 전달되는 부하 하중을 로드셀(530)에서 측정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한 시험기 본체(500)는 종방향 이동수단과 횡방향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원하는 측정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평판 유리의 중앙 부위 뿐만 아니라, 테두리부위와 근접된 부위에도 강성 시험을 할 수 있게 되어 다중 위치에서 강성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로드셀 하우징(540)은 로드셀(530)의 하부에 조인트 결합되어 있으므로, 로드셀 하우징(540)의 조임 동작시 센터위치가 변경되더라도 프로브단자(550)를 로드셀 하우징(54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레이저 다이오드(600)를 조작하여 하측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로드셀 하우징(540)의 센터 위치를 테이블(11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은 레이저 다이오드(600)가 수직 선상으로 조사되도록 로드셀 하우징(540)의 정확한 위치를 조절하여 로드셀 하우징(540)의 센터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조정부재(700)는 상부 브라켓부(71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진입구(712)를 통해 로드셀(530)이 진입되도록 로드셀(530)의 하부에 끼움 결합시키면, 조인트부의 헤드부가 좌,우측으로 이격된 결합편(711)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서 하부 브라켓부(720)의 제2진입구(722)를 통해 로드셀 하우징(540)의 조인트부가 끼워지게 된다.
이로 인해, 로드셀 하우징(540)의 조인트부가 하부 브라켓부(720)의 제2진입구(722) 내에서 구속되면서, 로드셀 하우징(540)의 조인트부를 정위치에 용이하게 고정시켜 로드셀 하우징(540)의 센터 위치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방향 및 횡방향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시험기 본체(500)를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다중 위치에서 평판 유리의 강성을 시험할 수 있으므로, 부위별 강도 시험 및 개별적 시험 조건을 가변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평판 유리의 사이즈 치수에 가변되도록 지지부재(130)를 이동시켜 평판 유리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범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로드셀 하우징(540)의 나사 조임위치에 따라 프로브단자(550)의 센터라인이 변경되더라도 레이저 다이오드(600)를 이용하여 센터위치를 간편하게 표시할 수 있으며, 조정부재(700)를 이용하여 로드셀 하우징(540)의 센터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100 : 시험대 110 : 테이블
115 : 레일홈 120 : 받침부재
130 : 지지부재 200 : 프레임
210 : 제1지지프레임 220 : 제2지지프레임
230 : 제3지지프레임 310 : 제1구동모터
315 : 제1이송샤프트 320 : 제2구동모터
325 : 제2이송샤프트 330 : 제3구동모터
335 : 제3이송샤프트 500 : 시험기 본체
510 : 측정몸체 520 : 승강블록
530 : 로드셀 540 : 로드셀 하우징
542 : 조인트부 550 : 프로브단자
552 : 고정핀 600 : 레이저 다이오드
700 : 조정부재 710 : 상부 브라켓부
711 : 결합편 712 : 제1진입구
720 : 하부 브라켓부 722 : 제2진입구

Claims (4)

  1. 상면이 평평한 테이블(110)과, 상기 테이블(110) 상에 고정되는 받침부재(120)와, 상기 테이블(110) 상에서 정해진 궤적의 레일홈(115)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평판 유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30)를 갖는 시험대(100)와;
    상기 테이블(110) 상에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프레임(200)과;
    상기 프레임(200)에 지지되어 시험기 본체(500)를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횡방향 이동수단과;
    상기 프레임(200)에 지지되어 시험기 본체(500)를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종방향 이동수단과;
    상기 종,횡방향 이동수단에 의해 테이블(110) 상에서 종,횡방향 이동되는 측정몸체(510)와, 상기 측정몸체(510)에 마련된 승강수단(560)을 매개로 승강모터(562)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 승강동작되고 하측에 로드셀(530)이 조인트 결합되는 승강블록(520)과, 상기 승강블록(520)의 하측에 조인트 연결되는 로드셀(530)과, 상기 로드셀(530)의 하측에 조인트 결합되고 하측 단부에 프로브단자(55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프로브단자(550)를 통해 전달되는 부하 압력을 로드셀(530)에 전달하기 위한 로드셀 하우징(540)을 갖는 시험기 본체(500);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수단(560)은 상기 측정몸체(5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승강모터(562)와,
    상기 승강모터(562)의 모터축 단부에 마련되어 모터축의 회전과 연동 회전되는 구동풀리(564)와,
    상기 구동풀리(564)에 벨트로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종동풀리(566)와,
    상기 종동풀리(566)에 연결되어 종동풀리(566)와 연동되고 상기 승강블록(520)에 승강력을 제공하도록 축 결합되는 승강스크류(56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용 다중 위치 강성 시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 하우징(54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브단자(550)가 결합되는 하측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6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용 다중 위치 강성 시험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 하우징(540)과 상기 로드셀(530)의 조인트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로드셀 하우징(540)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정부재(70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조정부재(700)는 상기 로드셀(530)의 하부가 끼워지도록 수평방향으로 제1진입구(712)가 형성되는 상부 브라켓부(710)와,
    상기 상부 브라켓부(710)의 하측에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로드셀 하우징(540)의 상부가 끼워지도록 제2진입구(722)가 형성되는 하부 브라켓부(7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유리용 다중 위치 강성 시험장치.
KR1020150043908A 2015-03-30 2015-03-30 평판 유리용 다중 위치 강성 시험장치 Active KR101671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908A KR101671712B1 (ko) 2015-03-30 2015-03-30 평판 유리용 다중 위치 강성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908A KR101671712B1 (ko) 2015-03-30 2015-03-30 평판 유리용 다중 위치 강성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379A KR20160116379A (ko) 2016-10-10
KR101671712B1 true KR101671712B1 (ko) 2016-11-02

Family

ID=57146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908A Active KR101671712B1 (ko) 2015-03-30 2015-03-30 평판 유리용 다중 위치 강성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7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99021A (zh) * 2020-09-03 2020-11-27 南京航空航天大学 动压径向气体轴承箔片静力学性能测试装置及测试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7113B (zh) * 2018-02-09 2024-06-04 西南交通大学 一种用于边坡防护结构中圆环构件的试验设备
CN108279226A (zh) * 2018-02-09 2018-07-13 广东中科奥辉科技有限公司 全自动荧光相关光谱仪检测样品台
CN109499901B (zh) * 2018-12-31 2024-02-20 江阴新基电子设备有限公司 高端封装qfn托盘式单颗半自动测试设备三轴移动装置
CN109668803B (zh) * 2019-01-25 2024-05-24 无锡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用具有防护结构的挡风玻璃刚度检测装置
KR102213026B1 (ko) * 2019-06-05 2021-02-08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박막의 기계 및 전기 물성 고속 측정 시스템
CN112945777A (zh) * 2021-03-10 2021-06-11 辽宁忠旺集团有限公司 一种铝合金型材硬度在线自动检测系统及方法
CN118961397B (zh) * 2024-07-30 2025-03-14 江苏艾菲特环保材料有限公司 一种玻璃幕墙检测装置
CN119880627A (zh) * 2025-03-28 2025-04-25 宿州竹梦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玻璃盖板压力测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664B1 (ko) * 1998-05-15 2001-06-01 박종섭 스택패키지및그제조방법
KR100338899B1 (ko) * 1999-04-01 2002-05-30 김헌영 유리판재의 정적 및 동적 강도 평가시스템
KR20110132655A (ko) * 2010-06-03 2011-12-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평판 유리의 강도 측정 장치용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평판 유리 강도 측정 장치
KR20110133697A (ko) 2010-06-07 2011-12-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평판 유리 강도 측정 장치
JP2012007993A (ja) * 2010-06-24 2012-01-12 Asahi Glass Co Ltd 板状透明体の欠陥検査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767567B1 (ko) 2010-11-30 2017-08-14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평판 디스플레이 셀의 보강 실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99021A (zh) * 2020-09-03 2020-11-27 南京航空航天大学 动压径向气体轴承箔片静力学性能测试装置及测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379A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712B1 (ko) 평판 유리용 다중 위치 강성 시험장치
CN108225938B (zh) 一种弯折测试装置及弯折测试方法
TWI546531B (zh) 拉拔力測試機構及拉拔力測試方法
KR101670762B1 (ko) 휴대용 시험장치
CN103962418B (zh) 整形装置
EP2910892B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compression panels
KR101256306B1 (ko) 프로브 카드의 평행 조정 기구 및 검사 장치
CN109029922B (zh) 一种显示面板压接装置
KR20130097668A (ko) 프로브 장치 및 프로브 카드의 평행 조정 기구
CN108152144B (zh) 施力检测设备及施力测试方法
CN111426943A (zh) Tft产品测试装置
KR102329854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
KR101995416B1 (ko) 점용접 비파괴 검사기의 탐촉자 가압 기구
CN101886997A (zh) 一种单焊球冲击测试仪
KR101998510B1 (ko) 연삭부를 갖는 경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도 측정 방법
KR20100008974A (ko) 피 측정물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마모량측정방법
CN109142039B (zh) 拉压力测试装置
CN113547455B (zh) 一种用于磨床的线下测量机构
CN106932272B (zh) 水浴单纤维强力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CN216955497U (zh) 钢筋测试装置
KR102390357B1 (ko) 유리 기판 왜곡 측정 방법 및 유리 기판 왜곡 측정 장치
CN211206018U (zh) 一种拉力试验机的样品定位调整装置
CN105651438A (zh) 一种继电器反力特性测试装置
KR200479321Y1 (ko) 대형길이 측정장치
TW201231941A (en) Device for testing lumin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3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2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3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0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