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70493B1 -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493B1
KR101670493B1 KR1020160070260A KR20160070260A KR101670493B1 KR 101670493 B1 KR101670493 B1 KR 101670493B1 KR 1020160070260 A KR1020160070260 A KR 1020160070260A KR 20160070260 A KR20160070260 A KR 20160070260A KR 101670493 B1 KR101670493 B1 KR 101670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tube
moving
cam
conten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림프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림프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림프라텍
Priority to KR1020160070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49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65D83/0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7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fluent contents by means of a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는, 버튼 본체(110), 토출 개방 누름부(120), 고정 밸브관(130) 그리고 토출관(150)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본체(110)의 상부에 토출 개방 누름부(120)가 위치하며, 토출 개방 누름부(120)의 아래에 고정 밸브관(130)과 토출관(150)이 위치한다. 토출 개방 누름부(120)의 가압에 의해 토출관(150)이 이동되면서 고정 밸브관(130)에 의해 닫혀 있던 토출관(150)이 열리면서 용기(100)의 내부에서 펌핑된 액상의 내용물이 토출된다.

Description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VALVE OF CASE PUMP}
본 발명은 액상의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의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 내부에 있는 내용물을 적절히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상의 내용물이 저장되어 있는 용기는 내용물을 조금씩 사용할 수 있도록 펌프가 상부에 구성된 것이 있다. 이러한 용기에는 화장을 위한 화장액처럼 필요에 따라 조금씩 사용할 수 있는 내용물이 저장된다.
용기의 상부에는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펌프가 구성되는데, 펌프는 버튼을 누르면 외부로 노출된 토출구를 통해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버튼에는 용기의 내부를 가압하여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는 피스톤이 연결되며, 피스톤은 실린더와 같은 내부 펌핑 관에서 이동하여 용기의 내부를 가압 혹은 흡입하게 되며, 용기의 내용물은 가압 혹은 흡입에 의해 외부로 토출된다.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구는 버튼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후,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토출구의 내부에는 버튼에 의해 토출구를 여닫을 수 있는 밸브가 구성된다.
이러한 토출구의 밸브에 의해 개폐 구조는, 내용물의 토출 후에 토출구를 닫아 토출구를 통한 내용물의 산폐와 내용물에 의한 토출구의 오염을 방지하는 기술이다.
밸브 차단에 의한 토출구의 내용물 누출 및 오염 방지 기술은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일예로 버튼과 토출구의 내부에 있는 밸브가 버튼의 가압 시에 이동하여 토출구를 개방하는 링크식이 있다.
이러한 링크식 밸브 차단 기술은 버튼과 버튼의 의해 지렛대 식으로 밸브를 여닫는 링크, 그리고 링크와 연결되어 토출구를 구성하는 토출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밸브체 등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링크식의 액상 토출과 관련된 용기의 펌프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와 조립이 까다로워서 생산 비용 측면에서도 불리하다.
또한 버튼에 의해 링크와 같은 밸브를 움직이는 구조가 잘 고장 났으며, 내용물이 점성을 갖는 경우에는 토출구를 여닫는 밸브가 토출관에서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물과 같은 정도의 점성을 갖는 액체의 경우에는, 토출구에서 방울 형상으로 토출되지 않고 분무되어 사용하기 편리한 액상을 얻기 어려운 점들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7699 호 (2011.05.23) 등록실용신안 제20-0467636 호 (2013.06.1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용기의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내용물의 토출 후에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되어 내용물의 산폐와 토출구의 오염이 방지되며,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과 조립이 단순하여 생산 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며, 토출구를 여닫는 밸브가 토출관 내부에서 원활하게 움직이는 내구성을 확보하며, 내용물을 물방울과 같은 형상으로 토출할 수 있는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는, 용기의 상부에 위치하며, 펌핑된 내용물이 이동하는 상하 방향의 상하 통로가 있으며, 상기 상하 통로에 교차하게 연결되는 토출구가 마련된 버튼 본체; 상기 버튼 본체의 상부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치되며, 상기 토출구의 내부로 상하 이동되는 가압 캠을 갖는 버튼부; 상기 토출구와 상기 상하 통로를 연결하도록 상기 버튼 본체에 위치 고정되며, 상기 상하 통로까지 펌핑된 내용물을 상기 토출구 측으로 안내하는 내부 통로를 가지며, 상기 내부 통로의 내용물을 유출하는 유출공이 마련되며, 환형의 실링 부재를 구비하는 고정 밸브관; 및 상기 토출구의 외측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실링 부재가 밀착되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토출 통로가 마련되며, 상기 토출 통로의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밸브관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구가 있으며, 상기 버튼부의 가압 캠과 접촉되어 상기 토출구의 외부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토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의 가압 캠이 상기 토출관을 상기 고정 밸브관에 대해 상대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토출관의 개폐구가 개방되어 상기 내용물이 토출된다.
상기 버튼부의 가압 캠은 하단부에 경사 형상의 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토출관은 상기 경사부에 접촉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경사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경사부가 있으며, 상기 토출구의 내벽부에 접촉되어 이동 가능한 이동 헤드; 및 상기 이동 헤드에 연결되며 상기 버튼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이동 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헤드는, 토출 헤드 본체; 상기 토출 헤드 본체에 연결되는 경사부재; 및 상기 경사부재의 저면부를 따라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토출 헤드 본체로부터 상기 경사부재를 이격시켜 연결하는 경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경사리브를 따라 경사진 안내 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가압 캠의 하단에는 상기 안내 홈부에 위치하며, 상기 안내 홈부를 따리 이동하도록 캠 안내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가압 캠은 상기 캠 안내부재에 의해 상기 이동 헤드의 안내 홈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 캠과 상기 이동 헤드는 상기 캠 안내부재가 상기 안내 홈부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호 연동되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버튼 본체의 토출구에는 상기 이동 관부가 상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 링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 링과 상기 이동 헤드 사이에는 상기 이동 헤드의 이동을 지지하는 복귀 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밸브관의 실링 부재는, 상기 이동 관부에 접촉되도록 구경이 확대되는 확경부를 가지며, 상기 확경부는 상기 이동 관부의 내벽부까지 점차 얇아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의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내용물의 토출 후에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되어 내용물의 산폐와 토출구의 오염이 방지되며,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과 조립이 단순하여 생산 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며, 토출구를 여닫는 밸브가 토출관 내부에서 원활하게 움직이는 내구성을 확보하며, 내용물을 물방울과 같은 형상으로 토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가 용기에 설치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의 입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버튼부이다.
도 7은 도 5의 고정 밸브관이다.
도 8은 도 5의 토출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조립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도면의 방향과 위치는 XYZ 직교 좌표계를 상정하여 설명하며, 상하좌우는 XY좌표 평면계와 일치하며, 전후좌우는 YZ좌표의 평면계와 일치하는 것으로 상정한다. 실시예들의 도면에서 하부 요소들이 설명되지 않은 각각의 유닛, 모듈, 부, 부재는 각기 부여된 기능을 갖기 위한 통상적인 하부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하며, 도면에 도시된 하부 요소들에 제한하진 않는다. 도시되었으나 통상적으로 설명이 생략된 구성 요소들은 실시예들에 포함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특별히 정의된 용어를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한자, 국어 혹은 영어의 사전적인 의미 혹은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부합하는 속성을 가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포함한다, 구성된다, 또는 구비한다"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가질 수 있음을, "고정 및 구속된다"는 이동과 움직임이 제한됨을, "회전 및 힌지"는 대상 객체의 일부 혹은 전부가 회전하여 이동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가 용기에 설치된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는, 버튼 본체(110), 버튼부(120), 고정 밸브관(130) 그리고 토출관(150)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본체(110)의 상부에 버튼부(120)가 위치하며, 버튼부(120)의 아래에 고정 밸브관(130)과 토출관(150)이 위치한다.
이러한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는, 버튼부(120)의 가압에 의해 토출관(150)이 이동되면서 고정 밸브관(130)에 의해 닫혀 있던 토출관(150)이 열리고, 용기(100)의 내부에서 펌핑된 액상의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버튼 본체(110)는 용기(100)의 내용물을 펌핑하는 액체 펌프(101)를 작동시킬 있도록 액체 펌프(101)에 연결될 수 있다.
액체 펌프(101)는 용기(100)의 상부에서 용기(100)의 내부에 있는 액체를 흡입하여 토출관(150) 측으로 보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버튼 본체(110)와 액체 펌프(101) 그리고 용기(100)의 조립 및 구체적인 요소들에 대해서는 후술토록 한다.
버튼 본체(110)는 용기(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펌핑된 내용물이 이동하는 상하 방향의 상하 통로(111)가 있으며, 상하 통로(111)에 교차하게 연결되는 토출구(115)가 마련된 것이다. 버튼 본체(110)는 액체 펌프(101)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버튼 본체(110)에는 고정 밸브관(130)에 대해 토출관(150)을 이동시켜 토출관(150)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버튼부(120)가 위치한다. 버튼부(120)는 버튼 본체(110)의 상부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치되며, 토출구(115)의 내부로 상하 이동되는 가압 캠(122)을 갖는 것이다. 버튼 본체(110)에는 토출구(115) 측으로 가압 캠(122)의 상하 이동을 위한 상하 안내로(116)가 마련된다.
가압 캠(122)은 토출관(150)에 접촉되어 토출관(150)을 버튼 본체(110)의 외측으로 밀어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된 것이다. 가압 캠(122)의 대응하여 토출관(150)에는 상호 대응하는 형상이 마련된다.
고정 밸브관(130)은 버튼 본체(110)의 측벽부에서 중심부 측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고정 밸브관(130)은 토출구(115)와 상하 통로(111)를 연결하도록 버튼 본체(110)에 위치 고정되며, 상하 통로(111)까지 펌핑된 내용물을 토출구(115) 측으로 안내하는 내부 통로를 가지며, 내부 통로의 내용물을 외부로 유출하는 유출공(131)이 마련되며, 외벽부에 환형의 실링 부재(136)를 구비한다.
고정 밸브관(130)은 토출관(150)에 대해 상대 이동되지만, 실질적으로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고정 밸브관(130)이 토출관(150)에 대해 이동될 때 고정 밸브관(130)에 의해 막혀 있던 토출관(150)의 단부가 개방된다. 고정 밸브관(130)의 단부는 막혀 있는 구조로서, 토출관(150)의 단부에 있는 개폐구(152)를 개폐할 수 있다.
용기(100)의 내용물은 고정 밸브관(130)을 통해 이동되어 고정 밸브관(130)을 모두 채운 후에, 액체 펌프(101)에 의한 유동 압력에 의해 유출공(131)을 통해 유출되어 고정 밸브관(130)과 토출관(150) 사이의 환형 공간을 채우게 된다.
그리고 고정 밸브관(130)에 대해 토출관(150)이 상대 이동될 때, 토출관(150)의 단부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이때 토출관(150)은 버튼 본체(110)의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이동되며, 내용물의 토출 후에 제자리로 복귀될 수 있다.
토출관(150)은 토출구(115)의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실링 부재(136)가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토출 통로(151)가 마련되며, 토출 통로(151)의 내벽부에 실링 부재(136)가 밀착되어 상대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토출관(150)은 토출 통로(151)의 단부에 마련되며 고정 밸브관(130)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구(152)가 있으며, 버튼부(120)의 가압 캠(122)과 접촉되어 토출구(115)의 외부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토출관(150)에는 가압 캠(122)에 상응하는 경사부(157)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관(150)은 버튼부(120)의 가압에 의해 토출구(115)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서, 고정 밸브관(130)이 내부의 토출 통로(151)에 끼워지게 되며, 토출 통로(151)에서 고정 밸브관(13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토출관(150)은 버튼 본체(110)의 외부로 이동됨에 따라 단부가 개방되며, 단부에서는 액상의 내용물이 토출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는, 버튼부(120)의 가압에 의해 가압 캠(122)이 토출관(150)을 고정 밸브관(130)에 대해 이동시킴에 따라 토출관(150)의 단부에 있는 개폐구(152)가 개방되어 내용물이 정량씩 토출될 수 있다.
이때 내용물은 버튼부(120)의 가압에 따른 액체 펌프(101)의 흡입량에 상응한 것으로서, 버튼부(120)의 가압에 의해 상하 통로(111)를 통해 고정 밸브관(130)으로 유동되며, 고정 밸브관(130)의 유출공(131)을 통해 고정 밸브관(130)과 토출관(150) 사이로 유동되어 실링 부재(136)에 의해 토출관(150)을 따라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의 입체도이며, 도 5는 도 4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버튼부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버튼부(120)의 가압 캠(122)은 하단부에 경사 형상의 경사부(125)를 구비할 수 있다. 버튼부(120)의 경사부(125)는, 토출관(150)의 경사부(147)를 가압하여 버튼 본체(110)의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버튼부(120)의 경사부(125)는 좌측 상부에서 우측 하부로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버튼부(120)는 개폐 스프링(127)에 의해 지지된다.
도 7은 도 5의 토출관이다. 도 7을 더 참조하여 토출관에 대해 설명한다.
토출관(150)은 이동 헤드(155)와 이동 관부(158)로 구성된다. 이동 헤드(155)는 경사부(125)에 접촉되어 이동되도록 경사부(125)에 대응하는 형상의 경사부(125)가 있으며 토출구(115)의 내벽부에 접촉되어 이동 가능한 것이다.
이동 관부(158)는 이동 헤드(155)에 연결되며 버튼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파이프 형상이다. 이동 헤드(155)는 토출 통로(151)의 내벽부에 접촉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동 관부(158)는 고정 밸브관(130)으로부터 유출된 내용물의 토출을 위한 관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버튼 본체(110)의 토출구(115)에는 이동 관부(158)가 상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 링(156)이 마련되며, 상하 통로(111)와 토출구(115) 사이에는 고정 밸브관(130)이 끼워져 위치 고정되는 격벽(117)이 있을 수 있다. 즉 버튼 본체(110)의 토출구(115) 측 입구에 고정 링(156)이 위치함으로써 이동 관부(158)는 이동 중에 방향성이 달라지지 않으면서, 곧바로 이동될 수 있다.
고정 링(156)과 이동 헤드(155) 사이에는, 이동 헤드(155)의 이동을 지지하는 복귀 스프링(159)이 배치될 수 있다. 복귀 스프링(159)은 토출관(150)의 이동 헤드(155)와 고정 링(156) 사이에 위치하며, 토출관(150)이 열려 내용물이 토출된 후 이동 헤드(155)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토출관(150)을 원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버튼 본체(110)의 토출구(115)의 단부 측에는 이동 관부(158)의 단부 위치를 제한하면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고정 링(156)이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고정 밸브관이다. 도 8을 더 참조하여 고정 밸브관의 상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고정 밸브관(130)의 실링 부재(136)는, 이동 관부(158)에 그 중앙부가 연결되며 양쪽으로 구경이 확대되는 확경부(143)를 가질 수 있다.
실링 부재(136)는 토출관(150)의 내벽부에 밀착되어 이동되는 것으로서, 고정 밸브관(130)으로부터 내용물이 유출되어 토출관(150)과 고정 밸브관(130) 사이의 환형 공간을 채우도록 토출관(150)의 내부 일측을 차단함으로써 고정 밸브관(130)과 토출관(150) 사이에 내압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내압이 형성된 상태에서 버튼부(120)의 가압에 의해 고정 밸브관(130)이 이동됨에 따라 개폐구(152)가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가 있는 액체 펌프(101)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용기(100)의 상부에는 액체 펌프(101)의 펌프 하우징(160)이 결합된다. 펌프 하우징(160)에는 펌핑을 위한 펌핑 실린더(170)가 위치하며, 펌핑 실린더(170)에는 펌핑을 위한 펌핑 피스톤(175)이 위치한다.
펌핑 피스톤(175)에는 펌핑 실린더(170)의 내벽부에 밀착되는 환형 펌핑부재(177)가 위치한다. 펌프 하우징(160)의 하단에는 펌핑 피스톤(175)의 흡입 시에 개방되며, 그 반대인 펌프 하우징(160) 측으로 흡입된 내용물을 가압 시에는 닫히는 체크 밸브(180)가 위치한다.
펌핑 피스톤(175)은 펌프 하우징(16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면서 흡입된 내용물을 가압할 수 있으며, 내용물은 펌핑 피스톤(175)의 내부 통로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며, 펌핑 피스톤(175)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버튼 본체(110)의 상하 통로(111)를 따라 상부로 유동되어 고정 밸브관(130)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펌핑 피스톤(175)은 버튼부(120)의 작용하는 가압력에 따라 버튼 본체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며, 펌프 하우징(160)의 상부에서 버튼 본체(110)의 하부를 지지하는 펌핑 스프링(190)에 의해 하상 방향인 반대로 이동될 수 있다.
펌핑 피스톤(175)은 상하로 이동되면서 펌핑 실린더(170) 내의 내용물을 가압하여 위로 올릴 수 있으며, 반대로 하상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체크 밸브(180)를 열고 용기(100)에 있는 내용물을 펌핑 실린더(170) 측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9와 도 1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는, 버튼부의 가압 캠이 토출관의 경사부와 연결되어 연동되도록 구성되고, 고정 밸브관의 실링부재가 한쪽에있는 차이점이 있을 뿐, 상기한 바의 구성 요소들과 거의 대동 소이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하기에서는 차이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한 요소들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이동 헤드(155)는, 토출 헤드 본체(154), 경사면을 제공하면서 이동 헤드(155)에 연결되는 경사부재(153), 그리고 경사부재(153)의 저면부를 따라 경사지게 배치되며, 헤드본체로부터 경사부재(153)를 이격시켜 연결하는 경사리브(254)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사부재(153)의 하부에는 경사리브(254)를 따라 경사진 안내 홈부(253)가 마련되며, 가압 캠(122)의 하단에는 안내 홈부(253)에 위치하며, 안내 홈부(253)를 따리 이동하도록 캠 안내부재(126)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 캠(122)은 캠 안내부재(126)에 의해 이동 헤드(155)의 안내 홈부(253)에 연결되며, 가압 캠(122)과 이동 헤드(155)는 캠 안내부재(126)가 안내 홈부(253)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호 연동되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는, 가압 캠(122)의 캠 안내부재(126)가 안내 홈부(253)에 위치하여 안내 홈부(253)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가압 캠(122)이 이동 헤드(155)의 경사부재(153)를 가압하도록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캠 안내부재(126)는 안내 홈부(253)의 경사로를 따라 토출 헤드 본체(154)의 단부 아래쪽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동 헤드(155)와 연결된 이동 관부(158)는 고정 링(156)을 따라 버튼 본체(110)의 외부 측으로 더욱 돌출되며, 이동 관부의 개폐구(152)는 개방된다. 이에 따라 토출관(150)의 유출구를 통해 유동된 내용물을 이동 관부(158)의 개폐구(152)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버튼부(120)는 버튼부(120)를 지지하는 개폐 스프링(127)에 의해 상방으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가압 캠(122)이 상부로 이동되며, 가압 캠(122)과 연결된 캠 안내부재(126)는 안내 홈부(253)를 따라 토출 헤드 본체(154)의 위쪽으로 이동된다.
캠 안내부재(126)가 이동 헤드(155)의 경사부재(153) 측에 있는 안내 홈부(253)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동 헤드(155)는 내용물이 토출되기 전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즉 이동 헤드(155)는 가압 캠(122)의 캠 안내부재(126)와 연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이동 헤드(155)와 고정 링(156) 사이의 복귀 스프링(15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하여 이동 헤드(155)의 복귀를 도울 수 있으나,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이동 헤드(155)는 캠 안내부재(126)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압 캠(122)을 위쪽으로 복귀시키는 개폐 스프링(127)에 의해서 충분히 복귀될 수 있다.
한편 고정 밸브관(130)의 실링 부재(136)는, 토출관(150)에 하나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동 관부(158)에 접촉되도록 구경이 확대되는 확경부(143)를 가질 수 있다. 확경부(143)는 이동 관부(158)의 내벽부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이동 관부(158)의 내벽부까지 점차 얇아지게 구성될 수 있다.
확경부(143)는 내용물의 토출 방향 측으로 확경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고정 밸브관(130)의 유출공(131)을 통해 유출된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이동 관부(158)의 내벽부 측으로 더욱 밀착될 수 있다.
또한 확경부(143)는 이동 관부(158)가 버튼 본체(110)의 외부로 더욱 돌출될 때는 이동 관부(158)의 내벽부가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용기 101: 액체 펌프
110: 버튼 본체 111: 상하 통로
115: 토출구 116: 안내 벽부
117: 격벽 120: 토출 개방 누름부
122: 가압 캠 125: 경사부
126: 캠 안내부재
127: 개폐 스프링 130: 고정 밸브관
131: 유출공 136: 실링 부재
143: 확경부 150: 토출관
151: 토출 통로 152: 개폐구
153: 경사부재 154: 토출 헤드 본체
155: 이동 헤드 156: 고정 링
157: 경사부 158: 이동 관부
159: 복귀 스프링 160: 펌프 하우징
170: 펌핑 실린더 175: 펌핑 피스톤
177: 환형 펌핑부재 180: 체크밸브
190: 펌핑 스프링 253: 안내 홈부
254: 경사리브

Claims (5)

  1. 용기의 상부에 위치하며, 펌핑된 내용물이 이동하는 상하 방향의 상하 통로가 있으며, 상기 상하 통로에 교차하게 연결되는 토출구가 마련된 버튼 본체;
    상기 버튼 본체의 상부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치되며, 상기 토출구의 내부로 상하 이동되는 가압 캠을 갖는 토출 개방 누름부;
    상기 토출구와 상기 상하 통로를 연결하도록 상기 버튼 본체에 위치 고정되며, 상기 상하 통로까지 펌핑된 내용물을 상기 토출구 측으로 안내하는 내부 통로를 가지며, 상기 내부 통로의 내용물을 유출하는 유출공이 마련되며, 환형의 실링 부재를 구비하는 고정 밸브관; 및
    상기 토출구의 외측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실링 부재가 밀착되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토출 통로가 마련되며, 상기 토출 통로의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밸브관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구가 있으며, 상기 토출 개방 누름부의 가압 캠과 접촉되어 상기 토출구의 외부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토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토출 개방 누름부의 가압 캠이 상기 토출관을 상기 고정 밸브관에 대해 상대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토출관의 개폐구가 개방되어 상기 내용물이 토출되며,
    상기 토출 개방 누름부의 가압 캠은 하단부에 경사 형상의 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토출관은 상기 경사부에 접촉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경사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경사부가 있으며, 상기 토출구의 내벽부에 접촉되어 이동 가능한 이동 헤드; 및
    상기 이동 헤드에 연결되며 상기 버튼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이동 관부를 포함하는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헤드는,
    토출 헤드 본체;
    상기 토출 헤드 본체에 연결되는 경사부재; 및
    상기 경사부재의 저면부를 따라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토출 헤드 본체로부터 상기 경사부재를 이격시켜 연결하는 경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경사리브를 따라 경사진 안내 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가압 캠의 하단에는 상기 안내 홈부에 위치하며, 상기 안내 홈부를 따리 이동하도록 캠 안내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가압 캠은 상기 캠 안내부재에 의해 상기 이동 헤드의 안내 홈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 캠과 상기 이동 헤드는 상기 캠 안내부재가 상기 안내 홈부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호 연동되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본체의 토출구에는 상기 이동 관부가 상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 링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 링과 상기 이동 헤드 사이에는 상기 이동 헤드의 이동을 지지하는 복귀 스프링이 배치되는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밸브관의 실링 부재는, 상기 이동 관부에 접촉되도록 구경이 확대되는 확경부를 가지며, 상기 확경부는 상기 이동 관부의 내벽부까지 점차 얇아지게 마련되는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
KR1020160070260A 2016-06-07 2016-06-07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 Active KR101670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260A KR101670493B1 (ko) 2016-06-07 2016-06-07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260A KR101670493B1 (ko) 2016-06-07 2016-06-07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493B1 true KR101670493B1 (ko) 2016-10-28

Family

ID=5724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260A Active KR101670493B1 (ko) 2016-06-07 2016-06-07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4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1310A (ko) * 2004-09-17 2006-05-19 셍-고벵 칼마 인코퍼레이티드 탄성중합체 배출 밸브를 구비한 디스펜서
KR20090123736A (ko) * 2008-06-12 2009-12-02 (주)톨리코리아 화장품용기의 노즐개폐장치
KR20130001155U (ko) * 2011-08-11 2013-02-20 펌텍코리아 (주) 점성 유체 배출 펌프 구조체
KR101604779B1 (ko) * 2014-09-15 2016-03-18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1310A (ko) * 2004-09-17 2006-05-19 셍-고벵 칼마 인코퍼레이티드 탄성중합체 배출 밸브를 구비한 디스펜서
KR20090123736A (ko) * 2008-06-12 2009-12-02 (주)톨리코리아 화장품용기의 노즐개폐장치
KR20130001155U (ko) * 2011-08-11 2013-02-20 펌텍코리아 (주) 점성 유체 배출 펌프 구조체
KR200467636Y1 (ko) 2011-08-11 2013-07-02 펌텍코리아 (주) 점성 유체 배출 펌프 구조체
KR101604779B1 (ko) * 2014-09-15 2016-03-18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91185A1 (en) Dispenser Container
KR102161238B1 (ko) 거품 분배기
US6371337B2 (en) Dispensing member having an outlet valve formed by a differential piston
US20170273437A1 (en) Pump-type compact container
KR20080015392A (ko) 용기로부터 유체를 분배하는 도우징 헤드
KR102338575B1 (ko) 펌프형 화장품 용기
JPS6251150B2 (ko)
JP2008055333A (ja) 押下げヘッド
KR102517074B1 (ko) 에어리스 펌프형 화장품 용기
JP6121308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2019135172A (ja) 流体容器
KR102573274B1 (ko) 튜브리스 토출 용기
KR101565769B1 (ko) 토출부고정형 용기
KR101310246B1 (ko) 노즐 출몰형 화장품 용기
JP3836312B2 (ja) 液体噴出ポンプ
KR101670493B1 (ko) 용기 펌프의 밸브 장치
KR101355655B1 (ko) 잔존물 제거를 위한 공기분출형 화장품 용기
KR101271151B1 (ko) 노즐개폐형 화장품 용기
KR102535161B1 (ko) 펌프형 화장품 용기
JP5283159B2 (ja) ポンプの押下ヘッド
JP5630814B2 (ja) 吐出容器
JP5574370B2 (ja) 正倒立噴出可能な液体噴出器
JP3735608B2 (ja) 流体を定量射出する指操作式噴霧ポンプ
KR102625263B1 (ko) 펌프형 샴푸용기
JP2007229596A (ja) ポンプの押下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