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70327B1 - 리튬 이온 배터리용 제어된 비가역 용량 손실을 갖는 복합체 캐소드 물질 - Google Patents

리튬 이온 배터리용 제어된 비가역 용량 손실을 갖는 복합체 캐소드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327B1
KR101670327B1 KR1020157005892A KR20157005892A KR101670327B1 KR 101670327 B1 KR101670327 B1 KR 101670327B1 KR 1020157005892 A KR1020157005892 A KR 1020157005892A KR 20157005892 A KR20157005892 A KR 20157005892A KR 101670327 B1 KR101670327 B1 KR 101670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mn
cathode
delete delete
electrochemical cell
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5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1078A (ko
Inventor
지후이 양
얀 우
용 양
시후이 왕
Original Assignee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041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32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for non-aqueous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4Composites as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3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for non-aqueous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전기화학적 셀의 캐소드용 복합체 물질. 상기 복합체 물질은 Li[M1 - xLix]O2 또는 yLi2MnO3ㆍ(1-y)LiMO2 (M = Ni, Co, Mn, 0<x<0.5, 0<y<1), 및 LiMn1 .5Ti0 .5O4 및 LiMn1.5Ni0.5O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합체 물질을 포함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이 제공된다. 상기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은 비가역 용량 손실을 제어하며 우수한 사이클 안정성을 유지한다.

Description

리튬 이온 배터리용 제어된 비가역 용량 손실을 갖는 복합체 캐소드 물질{COMPOSITE CATHODE MATERIALS WITH CONTROLLED IRREVERSIBLE CAPACITY LOSS FOR LITHIUM ION BATTERIES}
본 발명의 개시는 리튬 이온 배터리용 캐소드 물질에 관련된다.
이 부분은 반드시 종래기술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개시에 관련된 배경기술의 정보를 제공한다.
1990년에 제1 상업적 리튬 이온(Li-이온) 배터리의 개발 이래, Li-이온 배터리는 전세계의 연구자들에 의해 널리 연구되었다. 경량, 고에너지 밀도, 및 긴 수명 주기(cycle life)의 이점으로 인해, 리튬 이온 배터리는 휴대폰, 랩탑 컴퓨터 등에서 널리 이용되었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및 풀 전기 자동차의 이용에 있어서, 보다 높은 에너지 밀도 및 출력 역량, 보다 긴 사이클링 및 칼렌더 수명(calendar life) 및 보다 나은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Li-이온 배터리가 필요로 된다.
최근 수년간, 이의 높은 비용량 때문에, Li[M1 - xLix]O2 또는 Li2MnO3ㆍLiMO2 (M = Ni, Co, Mn)로 나타낼 수 있는 리튬-풍부, 금속 산화물 캐소드 물질에 대해 관심이 높았다. 예를 들어, Li[Li0 .2Mn0 .54Ni0 .13Co0 .13]O2는 실온에서 18mA/g 로 4.8V 내지 2.0V 사이로 사이클될 경우 250mAh/g 만큼의 초기방전용량을 전할 수 있다. 이런 일련의 물질에 있어서, 리튬은 전이금속 이온을 부분적으로 대체하고 초격자 오더링(super lattice ordering) 즉 "Li2MnO3-유사 영역(Li2MnO3-like regions)"을 형성한다. 파우더 X-선 회절(XRD), 고해상도 투과 전자현미경(HRTEM) 및 매직각-스피닝 핵자기공명(MAS NMR)은 이들 리튬-풍부 물질의 전이금속층에서 LiMn6 양이온 오더링을 보여주었고, 이는 Li2MnO3의 특징적 원자 배치이다. Li2MnO3는 4.5V 내지 3.0V 사이에서 전기화학적으로 비활성이고, 캐소드 구조를 유지함으로써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의 LiMO2 성분을 안정화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산소의 방출(Li2O의 네트 손실)에 수반되는 리튬 추출에 의해 방전 역량을 향상시켜 높은 포텐셜(potential)로 MnO2를 형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LiMn2O4는 8a 사면체 부위에 리튬 이온을 가지며 16c 팔면체 부위를 비워두는 스피넬 구조를 가진다. LiMn2O4는 4V에서 식당(per formula) 8a 사면체 부위로부터 1 유닛의 Li을 층간탈리(de-intercalate)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V에서 추가 유닛의 Li을 16c 팔면체 부위로 층간삽입할 수 있어, 그 결과는 296mAh/g 의 이론적 용량이다. 그러나, 얀-텔러 뒤틀림으로 인해 3V 영역에서 LiMn2O4의 사이클 안정성은 나쁘다.
산소 손실은 고방전 역량으로 이어지나, 리튬-풍부 물질은 비바람직한 거대 비가역 용량손실(ICL)로 어려움을 겪으며, 이는 4.8V로 충전시 제1 사이클에서 약 40mAh/g 내지 약 100mAh/g 일 수 있다. ICL을 감소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이 있었다. 예를 들어, 산 처리는 캐소드 물질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그러나, 이는 반대로 캐소드의 레이트 특성(rate capability) 및 사이클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최근 수년간, 복합체 캐소드가 개발되었다. 이들 복합체는 리튬-풍부 물질과 리튬 삽입 호스트(insertion host)의 블렌드이다. 이들 복합체에서, 리튬 삽입 호스트는 제1 충전 후 레이어드된 격자 내로 다시 삽입될 수 없는 리튬 이온을 수용하도록 작용한다. 리튬-풍부 물질과 리튬 삽입 호스트를 블렌딩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ICL은 감소되었지만, 복합체 물질은 사이클링 동안 일부 용량 페이드 현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복합체 캐소드를 향상시킬 필요가 남아있다.
이 부분은 본 발명의 개시의 일반적인 요약을 제공하며, 이의 전체 범위 또는 이의 특징의 전부에 관한 포괄적 개시는 아니다.
다양한 구현 예로, 전기화학적 셀의 캐소드용 복합체 물질이 개시된다. 복합체 물질은 Li[M1 - xLix]O2 또는 yLi2MnO3ㆍ(1-y)LiMO2 (M = Ni, Co, Mn, 0<x<0.5, 0<y<1) 중 어느 하나, 및 LiMn1 .5Ti0 .5O4 및 LiMn1 .5Ni0 .5O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히 유용한 프리스틴(pristine) 물질은 Li[Li0 .2Mn0 .54Ni0 .13Co0 .13]O2 이며, 이는 약 100 ㎚ 내지 약 300 ㎚ 의 입자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LiMn1 .5Ti0 .5O4는 약 1 ㎛ 내지 약 2 ㎛ 의 입자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LiMn1 .5Ti0 .5O4 입자는 스피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프리스틴, 비복합체 물질에 비해 Li-이온 배터리의 비가역 용량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LiMn1 .5Ti0 .5O4 및 LiMn1 .5Ni0 .5O4 중 적어도 하나는 Li[M1 - xLix]O2 또는 yLi2MnO3ㆍ(1-y)LiMO2 와 다양한 몰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LiMn1 .5Ti0 .5O4 및 LiMn1.5Ni0.5O4 중 적어도 하나와 Li[Li0 .2Mn0 .54Ni0 .13Co0 .13]O2가 함께 혼합되는 경우, 입자는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다른 구현 예에서,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은 캐소드,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배치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캐소드는 다양한 몰 비율로, Li[M1-xLix]O2 또는 yLi2MnO3ㆍ(1-y)LiMO2 (M = Ni, Co, Mn, 0<x<0.5, 0<y<1)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스피넬 LiMn1 .5Ni0 .5O4 및/또는 LiMn1 .5Ti0 .5O4 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비제한적 구현에서,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은 약 190mAh/g 내지 약 255mAh/g의 제1 방전용량, 약 -100mAh/g 내지 약 75mAh/g의 제1 비가역 용량손실, 및 약 40 사이클 후 초기 방전 용량의 약 80% 내지 약 95% 용량 유지율의 특징을 더 가질 수 있다.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은 각각 두 번째 및 스무 번째 사이클 후, 약 75% 내지 약 95% 의 제1 쿨롱 효율 및 약 6.5 Ω 내지 약 11.5 Ω 의 전하 이동 저항값(charge transfer resistance value)의 특징을 더 가질 수 있다.
적용가능한 추가 영역은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요약 부분의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만 의도되며 본 발명의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 나타낸 도면은 모든 가능한 실행이 아니라 단지 선택된 구현 예의 설명적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도 1은 대표적 리튬 이온 전기화학적 셀의 개략도를 나타내며;
도 2는 Li[Li0 .2Mn0 .54Ni0 .13Co0 .13]O2, LiMn1 .5Ti0 .5O4, 및 Li[Li0.2Mn0.54Ni0.13Co0.13]O2-LiMn1.5Ti0.5O4 복합체 전극의 초기 충전-방전 프로파일을 보여주는 그래프를 나타내며;
도 3은 Li[Li0 .2Mn0 .54Ni0 .13Co0 .13]O2, LiMn1 .5Ti0 .5O4, 및 Li[Li0.2Mn0.54Ni0.13Co0.13]O2-LiMn1.5Ti0.5O4 복합체 전극의 제2 충전-방전 프로파일을 보여주는 그래프를 나타내며;
도 4는 Li[Li0 .2Mn0 .54Ni0 .13Co0 .13]O2, LiMn1 .5Ti0 .5O4, 및 Li[Li0.2Mn0.54Ni0.13Co0.13]O2-LiMn1.5Ti0.5O4 복합체 전극의 수명 주기 성능을 보여주는 그래프를 나타내며;
도 5는 프리스틴 Li[Li0 .2Mn0 .54Ni0 .13Co0 .13]O2, 프리스틴 LiMn1 .5Ti0 .5O4, 및 1:3 LiMn1.5Ti0.5O4 : Li[Li0 .2Mn0 .54Ni0 .13Co0 .13]O2 복합체 전극에 대한 사이클 수의 함수로서 전하 이동 저항값을 나타낸다.
예시적 구현 예가 동반된 도면을 참조로 이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하기 설명은 단순히 본성을 설명하는 것이며 절대로 본 발명의 개시, 이의 적용 또는 용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 이용된 구절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비배타적 논리적 "또는"을 이용하는, 논리적 (A 또는 B)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방법 내의 단계는 본 발명의 개시의 원리를 바꾸지 않으면서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범위의 개시는 전체 범위 내에서 세분된 범위 및 모든 범위의 개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폭넓은 교시는 다양한 형태로 시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가 특정 실시예를 포함하는 반면, 도면, 상세한 설명 및 뒤따른 청구항을 숙고함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에게 다른 변형은 자명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개시의 진정한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기술은 전기화학적 셀의 캐소드용 복합체 조성물을 고려한다. 이러한 복합체 조성물은 배터리, 특히 Li-이온 배터리에 이용될 수 있다. 배터리는, 자동차 및 운송 적용용 연료 셀을 포함하여, 제1차 및 제2차 배터리가 이용되는 다양한 적용처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시의 캐소드 복합체 조성물은 전형적인 Li-이온 배터리에 비해 증가된 물질 활용, 향상된 캐소드 사이클 능력, 증가된 에너지 밀도 및 감소된 비가역 용량 손실을 갖는 배터리를 제공한다.
Li-이온 배터리용 캐소드 복합체 조성물은 Li[M1 - xLix]O2 또는 yLi2MnO3ㆍ(1-y)LiMO2 (M = Ni, Co, Mn, 0<x<0.5, 0<y<1) 중 어느 하나, 및 LiMn1 .5Ti0 .5O4 및 LiMn1.5Ni0.5O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구현에서, Li[M1 - xLix]O2는 Li[Li0.2Mn0.54Ni0.13Co0.13]O2 이다. 프리스틴 Li[Li0 .2Mn0 .54Ni0 .13Co0 .13]O2 입자는 공침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Li[Li0 .2Mn0 .54Ni0 .13Co0 .13]O2 입자는 약 100 ㎚ 내지 약 300 ㎚ 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프리스틴 스피넬 LiMn1 .5Ti0 .5O4 입자 및 프리스틴 LiMn1.5Ni0.5O4는 공기 중 고체상(solid-state) 반응으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리스틴 LiMn1 .5Ti0 .5O4 는 졸-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LiMn1 .5Ti0 .5O4 입자는 약 1 ㎛ 내지 약 2 ㎛ 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캐소드 복합체 조성물은 Li[M1 - xLix]O2 또는 yLi2MnO3ㆍ(1-y)LiMO2, 및 LiMn1 .5Ti0 .5O4 및 LiMn1 .5Ni0 .5O4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기계적으로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Li[M1 - xLix]O2 또는 yLi2MnO3ㆍ(1-y)LiMO2, 및 LiMn1 .5Ti0 .5O4 및 LiMn1 .5Ni0 .5O4 중 적어도 하나는 복합체 조성물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은 Li[M1 - xLix]O2 또는 yLi2MnO3ㆍ(1-y)LiMO2 (M = Ni, Co, Mn, 0<x<0.5, 0<y<1) 중 어느 하나와, LiMn1 .5Ti0 .5O4 및 LiMn1 .5Ni0 .5O4 중 적어도 하나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캐소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캐소드는 Li[Li0.2Mn0.54Ni0.13Co0.13]O2와, 스피넬 LiMn1 .5Ti0 .5O4 및 스피넬 LiMn1 .5Ni0 .5O4 중 적어도 하나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캐소드를 제조하기 위해, 프리스틴 LiMn1 .5Ti0 .5O4 및/또는 LiMn1 .5Ni0 .5O4 는 다른 몰 비율로 Li[Li0 .2Mn0 .54Ni0 .13Co0 .13]O2와 기계적으로 혼합되어, 균일하게 분포된 LiMn1 .5Ti0 .5O4 및/또는 LiMn1 .5Ni0 .5O4 및 Li[Li0 .2Mn0 .54Ni0 .13Co0 .13]O2를 갖는 복합체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iMn1 .5Ti0 .5O4 : Li[Li0.2Mn0.54Ni0.13Co0.13]O2 몰 비율은 약 1:1, 약 1:2, 또는 약 1:3일 수 있다. 이후, 약 80% 복합체 조성물, 약 10% 아세틸렌 블랙 및 약 10% 바인더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Al 집전 포일(current collector foil) 상에 코팅함으로써 캐소드는 제조된다. 바인더는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체(SBR),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단량체(EPDM)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일 수 있다. 혼합물의 코팅은 Al 집전 포일 약 3 ㎎/㎠ 내지 약 7 ㎎/㎠ 상으로 혼합물을 코팅함으로써 Al 집전 포일에 적용되어, 코팅된 캐소드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코팅된 캐소드를 형성하기 위해, 코팅은 약 4 ㎎/㎠ 내지 약 6 ㎎/㎠, 최대 약 12 ㎎/㎠, 바람직하다면 그 이상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코팅은 약 4 ㎎/㎠ 내지 약 6 ㎎/㎠ 일 수 있다. 코팅된 캐소드는 약 1시간 동안 약 120℃ 에서 건조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약 20 ㎛ 의 평균 두께 및 실질적으로 균일한 분포의 LiMn1.5Ti0.5O4 : Li[Li0 .2Mn0 .54Ni0 .13Co0 .13]O2 를 포함하는 코팅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기술은 숫자 10으로 도 1에 표시된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을 고려한다. Li-이온 전기화학적 셀(10)은 양극(positive electrode) 또는 캐소드(12), 음극(negative electrode) 또는 애노드(14) 및 상기 캐소드(12)와 애노드(14) 사이에 배치된 세퍼레이터(16)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용어 "애노드(anode)" 및 "캐소드(cathode)"는 Li-이온 전기화학적 셀(10)의 방전 또는 작동에서 각각의 전극을 설명하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의 교시에 따른 완전한 배터리 또는 셀은 단자, 케이싱 및 설명되지 않지만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성분을 또한 포함할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캐소드(12)는 다양한 몰 비율로, Li[M1 - xLix]O2 또는 yLi2MnO3ㆍ(1-y)LiMO2 (M = Ni, Co, Mn, 0<x<0.5, 0<y<1) 중 어느 하나와, LiMn1 .5Ti0 .5O4 및 LiMn1 .5Ni0 .5O4 중 적어도 하나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캐소드(12)는 다양한 몰 비율로 LiMn1.5Ti0.5O4 및 Li[Li0 .2Mn0 .54Ni0 .13Co0 .13]O2 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LiMn1.5Ti0.5O4:Li[Li0.2Mn0.54Ni0.13Co0.13]O2 몰 비율은 1:1, 1:2, 또는 1:3일 수 있다. 다양한 구현 예에서, LiMn1 .5Ti0 .5O4는 스피넬 구조를 가진다. 또 다른 구현 예에서, LiMn1.5Ti0.5O4 및 Li[Li0 .2Mn0 .54Ni0 .13Co0 .13]O2 는 캐소드(12) 내에서 균일하게 분포된다. 또한, 캐소드(12)는 Al 집전 포일, 다른 전도성 물질, 예컨대 아세틸렌 블랙, 카본 블랙 및 그래파이트, 바인더 및 집전장치(18)를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14)는 구리 포일 상에 코팅된 그래파이트 또는 그래핀 및 집전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리 포일은 롤링되거나 전기증착될 수 있다. 일부 구현 예에서, 애노드(14)는 금속성 리튬 포일이다. 또 다른 구현 예에서, 애노드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예시로서, 조밀 리튬 금속, 리튬 합금, 예컨대 리튬 실리콘 및 리튬 주석 합금, 또는 바람직하게는 리튬 함유 다공성 복합체 전극, 및 집전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16)는 캐소드(12)와 애노드(14) 사이에 물리적 및 전기적 장벽으로서 역할하여, 캐소드(12) 및 애노드(14)는 Li-이온 전기화학적 셀(10) 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세퍼레이터(16)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른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16)는 마이크로다공성일 수 있으며, 유기 및/또는 무기 첨가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시의 전해질 매체는 액체, 고체, 또는 겔일 수 있는 것으로 구상된다. 다양한 구현에서, 전해질 매체는 매트릭스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안에는 하나 이상의 Li-이온 전해질이 병합된다. Li-이온 전해질은 임의의 Li-이온 전해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Li-이온 전해질일 수 있다. Li-이온 전해질의 비제한적인 예는 LiPF6, LiBF4, LiClO4 및 폴리옥시에틸렌(POE)을 포함한다. 예시적 전해질은 수성일 수 있거나 용매 시스템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안에 용해된 염과 함께 비수성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는 에틸 카보네이트(EC),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첨가제는 상기 전해질과 함께 이용되어,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해질 매체에 병합되는 경우 Li-이온 전해질은 바람직하게는 전해질 매체에 적절한 수준의 전도성을 부여하는 양으로 제공된다. 바람직한 구현 예에서, 전해질은 1:1 비율의 EC 및 DMC에 용해된 1.0 M LiPF6이다.
본 발명의 개시의 물질 및 방법이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다.
실시예
공침법으로, Li[Li0 .2Mn0 .54Ni0 .13Co0 .13]O2의 전구체인 M(OH)2 (M=Ni, Mn, Co)를 합성한다. 화학량론적 양의 니켈 설페이트, 코발트 설페이트 및 망간 설페이트를 탈이온수에 용해한다. 과량의 수산화 나트륨을 첨가하여 혼합된 수산화물을 얻는다. 상기 혼합된 수산화물을 증류수로 완전히 세척함으로써 혼합된 수산화물로부터 과잉 Na 이온을 제거한다. 약 24시간 동안 상기 세척된 혼합된 수산화물을 건조시킨 후, 혼합된 수산화물을 수산화리튬과 블렌드한 다음, 분쇄하고 펠렛화한다. 약 3시간 동안 약 900 ℃ 에서 펠렛을 소결하여, 최종물인 프리스틴 Li[Li0.2Mn0.54Ni0.13Co0.13]O2 물질을 얻는다.
스피넬 LiMn1 .5Ti0 .5O4 는 공기 중에서 고체상 반응으로 제조한다. 화학량론적 양의 Li2CO3, TiO2 및 Mn2CO3를 약 5시간 동안 분쇄기에서 균질성으로 분쇄하여, 균질 파우더를 형성한다. 상기 균질 파우더를 펠렛화하고 약 20시간 동안 약 800 ℃ 에서 공기 중에서 소결하여, 카보네이트를 분해한다.
1:1, 1:2, 또는 1:3 몰 비율로 LiMn1 .5Ti0 .5O4 및 Li[Li0 .2Mn0 .54Ni0 .13Co0 .13]O2 를 기계적으로 혼합함으로써 활물질(active material)을 제조한다. 프리스틴 LiMn1.5Ti0.5O4 및 Li[Li0 .2Mn0 .54Ni0 .13Co0 .13]O2 또한 활물질이다.
80% 활물질, 10% 아세틸렌 블랙, 및 10% PVDF 바인더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Al 집전 포일 상에 코팅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약 120 ℃ 에서 가열함으로써 Li-이온 캐소드를 제조한다. 그 결과는, 약 20 ㎛ 의 두께를 갖는, 약 4 ㎎/㎠ 내지 약 6 ㎎/㎠ 의 전극 코팅이다. 약 40 kV 및 약 30 mA 에서 작동되는 Panalytical X'Pert (Philips, The Netherlands) 장치로 Cu Kα 방사선을 이용하여 Li-이온 캐소드의 X-선 회절(XRD) 패턴을 측정한다. 6°/min로 약 10° 내지 약 80°의 2θ 범위에서 데이터를 수집한다. 주사전자현미경(SEM) 실험은 HITACHI S-4800으로 수행한다.
전기화학적 측정은 CR2025 코인-타입 셀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은 Li-이온 캐소드, 금속성 리튬 포일을 포함하는 애노드, 세퍼레이터로서 Cellgard® 2300 (Celgard, LLC, Charlotte, NC) 및 1:1 비율의 에틸 카보네이트(EC) 및 디메틸 카보네이트(DMC)에 용해된 1M LiPF6 와 조립된다.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은 아르곤-주입 Labmaster 100 글로브 박스 (Mbraun Glovebox Technology, Garching, Germany)에 조립된다.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은 실온에서 Land CT2001A (Wuhan Jinnuo Electronics, Ltd., Wuhan, China) 배터리 테스터에서 20 mA/g, 약 2.0 V 내지 약 4.8 V (vs. Li/Li+)로 정전류적으로 사이클된다. VersaSTAT MC Multichannel Potentiostat/Galvanostat (Princeton Applied Research, Oak Ridge, TN) 분석기로 약 10 mV 의 혼란 진폭과 함께 약 0.01 Hz 내지 약 100,000 Hz 의 진동수 및 4.3 V 의 충전된 상태에서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의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분광법(EIS)을 시험한다.
XRD 패턴은 약 21° 내지 약 25°(2θ)에서 저강도 오더링 피크로, 리튬-풍부 물질은 초격자 오더링 특징을 가짐을 입증하며, 이는 리튬 및 전이금속 이온 전이금속 층의 오더링에서 비롯된 것이다. 잔여 피크는 R-3m symmetry로 인덱스될 수 있다. LiMn1 .5Ti0 .5O4의 XRD 패턴은, 구조에서 Mn 이온에 대해 Ti-부분적으로-치환됨의 존재를 나타내는, 명백한 불순물 상(impurity phase)없이 모든 상(reflection)이 큐빅 스피넬 Fd-3m 스페이스 그룹으로 인덱스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복합체 물질의 모든 XRD 피크는 LiMn1 .5Ti0 .5O4 및 Li[Li0 .2Mn0 .54Ni0 .13Co0 .13]O2 를 함께 기계적으로 혼합한 결과로서의 2개 프리스틴 물질에 대응된다.
SEM 이미지는 프리스틴 LiMn1 .5Ti0 .5O4 및 프리스틴 Li[Li0 .2Mn0 .54Ni0 .13Co0 .13]O2 및 LiMn1 .5Ti0 .5O4:Li[Li0 .2Mn0 .54Ni0 .13Co0 .13]O2 복합체 물질을 보여준다. 프리스틴 LiMn1.5Ti0.5O4는 약 1 ㎛ 내지 약 2 ㎛ 의 입자크기분포를 갖는 잘-결정화된 8면체 입자로 구성된다. 프리스틴 Li[Li0 .2Mn0 .54Ni0 .13Co0 .13]O2는 약 100 ㎚ 내지 약 300 ㎚ 입자로 구성된다. 기계적으로 혼합된 복합체 물질은 바이모달 크기 분포를 갖는 입자들로 이루어진다. 보다 큰 입자는 약 1 ㎛ 내지 약 2 ㎛ 이고 보다 작은 입자는 약 200 ㎚ 이다. 다른 복합체 물질에 대응되는 Co의 EDS 맵은 균일한 Co 분포를 드러낸다.
도 2는 약 20 mA/g 의 레이트(rate)로 약 2.0 V 내지 약 4.8 V 의 전압 범위에서 프리스틴 LiMn1 .5Ti0 .5O4 및 프리스틴 Li[Li0 .2Mn0 .54Ni0 .13Co0 .13]O2 캐소드 및 LiMn1.5Ti0.5O4:Li[Li0.2Mn0.54Ni0.13Co0.13]O2 복합체 캐소드를 갖는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의 초기 충전-방전 프로파일을 묘사하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그래프(30)는 mAh/g 으로 특정 용량을 나타내는 x축(32) 및 V로 전압을 나타내는 y축(34)을 가진다. 하기 표 1은 충전-방전 용량 값을 보여준다. 도 2의 그래프(30)는 약 4.5 V 에서 플래토(plateau)(36)를 보여준다. 플래토(36)는 산소 방출에 수반되는 Li 추출에 기인한 MnO2 인공물로 예상된다. 추출된 Li는 리튬-풍부 물질 내로 다시 완전히 삽입될 수 없으며, 이는 74 mAh/g 의 큰 ICL 값으로 이어진다. 복합체 캐소드에서 LiMn1.5Ti0.5O4의 양의 증가에 따라, 초기 사이클의 ICL 값은 감소한다. 이의 16c 자리가 비어있는 리튬 부족 스피넬 LiMn1 .5Ti0 .5O4는 제1 방전 동안, 레이어드된 Li[Li0.2Mn0.54Ni0.13Co0.13]O2 내로 다시 삽입될 수 없는 리튬 이온의 삽입을 위한 호스트로서 역할한다. 복합체 전극의 제1 방전 프로파일에서 약 2.5 V 내지 약 3.0 V 의 전압 변동(voltage fluctuation)(38)이 있다. 전압 변동(38)은 레이어드된 Li[Li0.2Mn0.54Ni0.13Co0.13]O2 및 스피넬 LiMn1 .5Ti0 .5O4 의 다른 체적 팽창/수축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체적 변화 동안 생성된 크랙 내로 전해질이 분산된 후, 리튬은 보다 균일하게 층간삽입/층간탈리(intercalate/de-intercalate)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도 3에 나타난 제2 충전-방전 프로파일이 어떠한 진동(vibration)도 나타내지 않는 이유이다. 1:1, 1:2 및 1:3의 LiMn1.5Ti0.5O4:Li[Li0.2Mn0.54Ni0.13Co0.13]O2 복합체 캐소드를 갖는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은 각각 -37 mAh/g, -1 mAh/g 및 -17 mAh/g 의 초기 용량 손실을 가진다.
Figure 112015022107642-pct00001

도 4는 약 2.0 V 내지 약 4.8 V 의 전압 범위에 대하여 약 20 mA/g 에서, 프리스틴 LiMn1 .5Ti0 .5O4 및 프리스틴 Li[Li0 .2Mn0 .54Ni0 .13Co0 .13]O2 캐소드 및 LiMn1.5Ti0.5O4:Li[Li0.2Mn0.54Ni0.13Co0.13]O2 복합체 캐소드를 갖는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의 수명 주기 성능을 입증하는 그래프(40)를 보여준다. 상기 그래프(40)는 사이클 수를 나타내는 x-축(42) 및 mAh/g로 구체적 용량을 나타내는 y-축(44)을 가진다. 용량 유지율은 표 1에 나열된다. 프리스틴 Li[Li0 .2Mn0 .54Ni0 .13Co0 .13]O2 캐소드를 갖는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에 대하여, 초기 방전 용량은 251 mAh/g이고, 용량 유지율은 40 사이클 후 77% 이다. 스피넬 LiMn1 .5Ti0 .5O4 캐소드를 갖는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의 초기 방전 용량은 196 mAh/g이고, 용량 유지율은 40 사이클 후 81% 이다. 1:3 LiMn1 .5Ti0 .5O4:Li[Li0 .2Mn0 .54Ni0 .13Co0 .13]O2 복합체 캐소드를 갖는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에 관한 220 mAh/g의 초기 방전 용량은 프리스틴 Li[Li0.2Mn0.54Ni0.13Co0.13]O2 캐소드를 갖는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에 관한 것보다 작지만, 사이클 안정성은 더 좋다. 실제로, 복합체 전극을 갖는 모든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의 사이클 안정성은 프리스틴 Li[Li0 .2Mn0 .54Ni0 .13Co0 .13]O2 캐소드를 갖는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의 사이클 안정성보다 높다. 1:3 LiMn1.5Ti0.5O4:Li[Li0.2Mn0.54Ni0.13Co0.13]O2 복합체 캐소드를 갖는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은 40 사이클 후 90% 의 용량 유지율을 가지며, 이는 프리스틴 Li[Li0.2Mn0.54Ni0.13Co0.13]O2 캐소드를 갖는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의 25 사이클 후 용량 유지율보다 나은 것이다.
도 5는 사이클 수를 나타내는 x-축(52) 및 옴으로 전하 이동 저항(Rct)을 나타내는 y-축(54)을 갖는 그래프(50)를 보여준다. 프리스틴 Li[Li0.2Mn0.54Ni0.13Co0.13]O2 캐소드를 갖는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에 대하여, 두 번째 사이클 후 Rct 값은 61.5 Ω이며, 스무 번째 사이클 후 Rct 값은 108.8 Ω 으로 급격히 상승한다. Rct 값의 급격한 증가는 복합체 캐소드의 이용으로 저지된다. 1:3 LiMn1.5Ti0.5O4:Li[Li0.2Mn0.54Ni0.13Co0.13]O2 복합체 캐소드를 갖는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에 대하여, Rct 값은 두 번째 및 스무 번째 사이클 후 각각 6.8 Ω 및 11.4 Ω 이다. 또한, 복합체 캐소드는 프리스틴 Li[Li0 .2Mn0 .54Ni0 .13Co0 .13]O2 캐소드보다 훨씬 낮은 총 임피던스를 가지며, 이는 더 나은 가역성 및 사이클 능력으로 이어진다.
상술한 구현 예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이는 완전한 것 또는 본 개시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특정 구현 예의 개별 요소 또는 특징은 일반적으로 특정 구현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적용되는 경우 교환가능하며 선택된 구현 예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것이 여러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본 개시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모든 이러한 변형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Li[Li0.2Mn0.54Ni0.13Co0.13]O2; 및
    LiMn1.5Ti0.5O4를 포함하고,
    Li[Li0.2Mn0.54Ni0.13Co0.13]O2는 100 ㎚ 내지 300 ㎚ 의 입자 크기를 가지며 LiMn1.5Ti0.5O4는 1 ㎛ 내지 2 ㎛ 의 입자 크기를 갖는, 리튬 이온 배터리용 캐소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LiMn1.5Ti0.5O4는 스피넬 구조를 포함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Li[Li0.2Mn0.54Ni0.13Co0.13]O2의 입자 및 LiMn1.5Ti0.5O4의 입자는 조성물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LiMn1.5Ti0.5O4 및 Li[Li0.2Mn0.54Ni0.13Co0.13]O2는 1:1 내지 1:3의 몰 비율 범위로 제공되는, 조성물.
  7. 캐소드,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배치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캐소드는 Li[Li0.2Mn0.54Ni0.13Co0.13]O2와 LiMn1.5Ti0.5O4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LiMn1.5Ti0.5O4는 스피넬 구조를 포함하며, Li[Li0.2Mn0.54Ni0.13Co0.13]O2는 100 ㎚ 내지 300 ㎚ 의 입자 크기를 가지며 LiMn1.5Ti0.5O4는 1 ㎛ 내지 2 ㎛ 의 입자 크기를 가지며, LiMn1.5Ti0.5O4:Li[Li0.2Mn0.54Ni0.13Co0.13]O2의 몰 비율은 1:3이며,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은 20 mAh/g 미만의 제1 비가역 용량 손실을 갖는, Li-이온 전기화학적 셀.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Li-이온 전기화학적 셀은,
    40 사이클 후 초기 방전 용량의 80% 내지 95% 의 용량 유지율;
    75% 내지 95% 의 제1 쿨롱 효율;
    두 번째 및 스무 번째 사이클 후 각각 6.8 Ω 및 11.4 Ω 인 전하 이동 저항값; 및
    190 mAh/g 내지 255 mAh/g 의 제1 방전 용량, 중 하나 이상을 갖는, Li-이온 전기화학적 셀.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57005892A 2012-08-08 2012-08-08 리튬 이온 배터리용 제어된 비가역 용량 손실을 갖는 복합체 캐소드 물질 Expired - Fee Related KR101670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2/079820 WO2014022986A1 (en) 2012-08-08 2012-08-08 Composite cathode materials with controlled irreversible capacity loss for lithium ion batter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078A KR20150041078A (ko) 2015-04-15
KR101670327B1 true KR101670327B1 (ko) 2016-10-31

Family

ID=50067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892A Expired - Fee Related KR101670327B1 (ko) 2012-08-08 2012-08-08 리튬 이온 배터리용 제어된 비가역 용량 손실을 갖는 복합체 캐소드 물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86906B2 (ko)
KR (1) KR101670327B1 (ko)
CN (1) CN104641495A (ko)
DE (1) DE112012006684B4 (ko)
WO (1) WO20140229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2986A1 (en) 2012-08-08 2014-02-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mposite cathode materials with controlled irreversible capacity loss for lithium ion batteries
US9059451B2 (en) 2012-10-18 2015-06-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atings for lithium titanate to suppress gas generation in lithium-ion batteri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e thereof
US9034519B2 (en) 2013-01-18 2015-05-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Ultrathin surface coating on negative electrodes to prevent transition metal deposition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e thereof
US10062898B2 (en) 2013-07-10 2018-08-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urface coating method and method for improving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an electrode for a lithium based battery
US9531004B2 (en) 2013-12-23 2016-12-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ultifunctional hybrid coatings for electrodes made by atomic layer deposition techniques
US9564639B2 (en) 2014-02-12 2017-02-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igh performance silicon electrodes having improved interfacial adhesion between binder and silicon
JP6308307B2 (ja) * 2014-11-18 2018-04-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20160172710A1 (en) 2014-12-10 2016-06-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Electrolyte and negative electrode structure
US10312501B2 (en) 2014-12-10 2019-06-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olyte and negative electrode structure
US10326142B2 (en) 2015-09-15 2019-06-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ositive electrode including discrete aluminum oxide nanomaterials and method for forming aluminum oxide nanomaterials
CN105742622A (zh) * 2016-03-27 2016-07-06 华南理工大学 一种橄榄石型结构LiMPO4表面修饰层状富锂锰基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US10396360B2 (en) 2016-05-20 2019-08-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olymerization process for forming polymeric ultrathin conformal coatings on electrode materials
US10164245B2 (en) 2016-09-19 2018-12-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igh performance silicon electrodes having improved interfacial adhesion between binder, silicon and conductive particles
JP7131056B2 (ja) * 2017-04-28 2022-09-06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
US11228037B2 (en) 2018-07-12 2022-01-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igh-performance electrodes with a polymer network having electroactive materials chemically attached thereto
US10868307B2 (en) 2018-07-12 2020-12-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igh-performance electrodes employing semi-crystalline binders
CN111864197B (zh) * 2019-04-30 2022-08-23 孚能科技(赣州)股份有限公司 用于锂离子电池阴极的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锂离子电池阴极、锂离子电池
CN114597348B (zh) 2020-12-02 2024-06-11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通过轧制制得电极的制造方法
US11799083B2 (en) 2021-08-26 2023-10-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ithiation additive for a positive electrode
CN116666616A (zh) * 2022-02-21 2023-08-29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无钴层状氧化物正极材料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8607B2 (en) 2003-06-25 2006-03-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Cathode material for lithium battery
KR100895354B1 (ko) * 2004-09-03 2009-04-29 유시카고 아곤, 엘엘씨 리튬 배터리를 위한 망간 옥사이드 복합 전극
US8080340B2 (en) 2004-09-03 2011-12-20 Uchicago Argonne, Llc Manganese oxide composite electrodes for lithium batteries
JP2006228704A (ja) * 2005-01-18 2006-08-31 Nissan Motor Co Ltd 二次電池用電極及びこれを用いた非水電解液二次電池
WO2008039806A2 (en) 2006-09-25 2008-04-03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Surface and bulk modified high capacity layered oxide cathodes with low irreversible capacity loss
US20080261115A1 (en) * 2007-03-08 2008-10-23 Motoharu Saito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positive electrode
JP2011034943A (ja) * 2009-03-16 2011-02-17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
CN102044697A (zh) 2009-10-13 2011-05-04 法拉赛斯能源公司 锂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
US8148455B2 (en) 2009-11-20 2012-04-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ybrid two- and three-component host-guest nanocomposit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568930B2 (en) 2009-12-18 2013-10-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ithium ion battery
US8785054B2 (en) 2009-12-18 2014-07-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ithium ion battery
KR101190185B1 (ko) * 2010-02-24 2012-10-15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용량의 양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JPWO2011114641A1 (ja) * 2010-03-15 2013-06-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これを含む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02479947B (zh) * 2010-11-30 2015-11-2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以及一种锂离子电池
US9023520B2 (en) 2011-01-12 2015-05-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ithium ion battery
US9362560B2 (en) 2011-03-08 2016-06-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ilicate cathode for use in lithium ion batteries
US8663840B2 (en) 2011-04-12 2014-03-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capsulated sulfur cathode for lithium ion battery
WO2014022986A1 (en) 2012-08-08 2014-02-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mposite cathode materials with controlled irreversible capacity loss for lithium ion batteri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LECTROCHIMICA ACTA 133, PP. 100-1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2006684B4 (de) 2023-03-09
US20150303453A1 (en) 2015-10-22
KR20150041078A (ko) 2015-04-15
DE112012006684T5 (de) 2015-04-16
WO2014022986A1 (en) 2014-02-13
US9786906B2 (en) 2017-10-10
CN104641495A (zh) 2015-05-20
WO2014022986A8 (en)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327B1 (ko) 리튬 이온 배터리용 제어된 비가역 용량 손실을 갖는 복합체 캐소드 물질
Wang et al. Synthesize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Mg-doped Li-rich layered Li [Li0. 2Ni0. 2Mn0. 6] O2 cathode material
Shi et al. Structure an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CaF2 coated LiMn1/3Ni1/3Co1/3O2 cathode material for Li-ion batteries
US7935270B2 (en) Cathode active material and lithium battery using the same
KR101395478B1 (ko) 비수계 전해질 2차 전지용 정극 활물질과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정극 활물질을 이용한 비수계 전해질 2차 전지
EP2541654B1 (en) High-capacity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Zhang et al. Improv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LiNi 0.8 Co 0.1 Mn 0.1 O 2 cathode materials via incorporation of rubidium cations into the original Li sites
JP6201277B2 (ja)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とその製造方法
JP5512056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51716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合剤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Yuan et al. Surfactant-assisted hydrothermal synthesis of V2O5 coated LiNi1/3Co1/3Mn1/3O2 with ideal electrochemical performance
KR20120089845A (ko) 높은 비용량과 우수한 사이클링을 갖는 층-층 리튬-리치 복합 금속 산화물
WO2013151209A1 (ko) 리튬 이온 커패시터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a
EP2203948A2 (e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e methods therefore
JP2004253174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
KR101382502B1 (ko) 전지용 활물질 및 전지
WO2011129066A1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20123460A (ja) プレドープ材、プレドープ材を含む正極、並びに、その正極を備え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製造方法、及び、金属酸化物の製造方法
Mi et al. Effect of iron doping on LiNi0. 35Co0. 30Mn0. 35O2
Han et al. The effects of copper and titanium co-substitution on LiNi0. 6Co0. 15Mn0. 25O2 for lithium ion batteries
Xu et al. Understanding the electrochemical superiority of 0.6 Li [Li1/3Mn2/3] O2-0.4 Li [Ni1/3Co1/3Mn1/3] O2 nanofibers as cath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ies
WO2016103571A1 (ja) リチウムコバルト系複合酸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化学デバイス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CN102224622B (zh) 高电流密度下具有改善的循环性能的电池的阴极材料
CN104823310A (zh) 正极活性物质、锂电池以及正极活性物质的制造方法
TWI822958B (zh) 鋰離子二次電池用正極活性物質之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3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