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801B1 - One-touch opening and closing device drain - Google Patents
One-touch opening and closing device drai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9801B1 KR101669801B1 KR1020150095233A KR20150095233A KR101669801B1 KR 101669801 B1 KR101669801 B1 KR 101669801B1 KR 1020150095233 A KR1020150095233 A KR 1020150095233A KR 20150095233 A KR20150095233 A KR 20150095233A KR 101669801 B1 KR101669801 B1 KR 1016698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mferential surface
- insertion groove
- gear
- vortex generator
- protru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14—Stoppers for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 및 욕조 등의 배수구를 폐쇄하여 물을 받기 위한 배수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요구성요소의 가공 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주요구성요소를 조립제작하여 파손 또는 고장 시 사용자가 간단하게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하부에 체결되는 와류발생기로 인하여 물의 배수 시 와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배수속도가 빨라짐과 동시에 이물질이 침전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한편, 탄성부재를 테이퍼지게 제작되고, 와류발생기의 높이를 높여 배수구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고장이 적고 사용감 및 배수가 우수한 원터치 배수구 개폐장치에 관한 기술분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제 2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승하강 유도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부면에 제 1기어부가 형성되고, 상부 내측에 삽입홈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 제 3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삽입되는 상하 이동기어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 1기어부와 치합되는 제 2기어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제 2삽입홈이 형성되는 회전기어와 상기 제 2삽입홈에 삽입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좁게 테이퍼진 탄성부재와 외주면에 고무링이 끼워져 있고, 내주면에 상기 제 2나사산과 대응되게 제 1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 상부에 체결되는 물마개와 외주면에 돌기편이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부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 3나사산과 대응되게 제 4나사산이 형성되어 몸체 하부와 체결되는 와류발생기를 포함하여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 port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closing a drain port of a sink, bathtub or the like to receive wat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processing steps of major components, The user can simply maintain maintenance in the event of a failure, and a vortex is generated when the water is drained due to the vortex generator which is fastened to the lower part. Therefore, the drainage speed is increased and the foreign matter is prevented from being precipitated efficient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drain port opening / closing apparatus having a high height of a vortex generator and being stably installed in a drain port and having a small number of faults and excellent usability and drainage.
In order to realiz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gear portion is formed on a body having a second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 elevating and lowering guide groov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gear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meshed with the first gear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And a rubber ring is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and a first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screw thread, And a protruding piec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ing piece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extending to protrude upward, Is formed is implemented, including the vortex generator is fastened to the body lower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면대 및 욕조 등의 배수구를 폐쇄하여 물을 받기 위한 배수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요구성요소의 가공 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주요구성요소를 조립제작하여 파손 또는 고장 시 사용자가 간단하게 보수가 가능하며, 하부에 체결되는 와류발생기로 인하여 물의 배수 시 와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배수속도가 빨라짐과 동시에 이물질이 침전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한편, 탄성부재를 테이퍼지게 제작되고, 와류발생기의 높이를 높여 배수구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고장이 적고 사용감 및 배수가 우수한 원터치 배수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 port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closing a drain port of a sink, bathtub or the like to receive wat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processing steps of major components, In the event of a failure, the user can easily repair the vortex generator, and vortexes are generated when the water is drained due to the vortex generator which is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Thus, the drainage speed is increased and the foreign matter is prevented from being precipitated efficient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drain port opening / closing device having a large height of a vortex generator and being stably installed in a drain port, thus providing a small number of faults and excellent usability and drainage.
일반적으로 배수구 개폐장치는 레버를 이용하여 물마개로 배수구를 개폐하는 수동형 배수구 개폐장치와 물마개를 눌러 개폐하는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로 구분되어 설치되고 있다. 이때, 상기 레버형 배수구 개폐장치는 통상 수동 팝업이라고 지칭하며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는 자동팝업이라 지칭된다.Generally, the drainage opening / closing device is divided into a passive drainage opening / closing device for opening / closing a drainage opening by a lever using a lever, and a one-touch drainage opening / closing device for opening / At this time, the lever-type drain port opening / closing device is generally called a manual pop-up device and the one-touch type drain port opening / closing device is called an automatic pop-up device.
이러한 상기 자동팝업과 수동팝업은 각각의 장점과 단점이 있어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다르게 설치되고 있지만 최근 들어서는 자동팝업의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Although the automatic pop-up and the manual pop-up have differen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y are install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ser's tendency. However, in recent years, automatic pop-up has a high preference.
상기와 같이 선호도가 높은 자동 팝업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1997호로 개시되어 있고, 상기 종래기술은 세면대나 욕조에 담긴 물을 배수관으로 배수시키는 누름식 개폐구조의 배수밸브가 배수구 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배수밸브는 몸통에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 되며 스토퍼에 의해 승하강 높이를 선택하는 누름 부재로 구성되는 누름식 개폐 뭉치를 구비하여서 된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누름식 개폐 뭉치의 하단 결합부에 거름 부재를 결합고정한 배수트랩 본체의 상부결합부에 조립설치되는 배수밸브의 누름에 따라 누름부재가 몸통에서 승하강하며 수조내의 물을 배수관으로 배수 또는 단수하는 누름식 개폐 뭉치 구조와, 상기 거름 부재는, 배수용 가이드날개가 다수 상향입설된 하부설치 링의 내면결합부가 결합고정된 날개의 하면 외측단이 배수관의 원통형 내면 단턱부에 얹혀 안착되어 구현된다.The above-mentioned automatic pop-up having high preferenc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11997. In the related art, a drain valve of a push-type open / close structure for draining water contained in a sink or a bathtub into a drain pipe Wherein the drain valve is a resiliently supported spring on the body and a pushing member formed of a pushing member for selecting a lifting height by a stopper, the drain trap comprising: Closing structure for draining or separating the water in the water tank into and from the drain pipe as the pushing member is lifted up and down from the body in response to the pushing of the drain valve assembled to the upper engaging portion of the drain trap body to which the filtering member is fixedly coupled, In the member, the inner surface engaging portion of the lower installation ring, in which the plurality of the guide guide wings are installed upward, And the outer end thereof is mounted on the cylindrical inner surface stepped portion of the water pipe.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주요 구성요소의 재질이 금속으로 제작원가가 고가이며 제작과정이 복잡하여 예산이 과다하게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멈춤 링크가 하트형 가이드 홈에서 이탈하게 되면 작동이 정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terial of the main component is made of metal, the production cost is high,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budget is excessively consumed. When the stop link is detached from the heart- .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작동이 정지하게 되면 보수하고자 하여도 전문기술자가 아니면 분해 조립이 불가능하여 보수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고, 물 배수시 배수속도가 느려 이물질에 배수되지 못하고 세면대 하부에 침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f the operation is stopped as described above, even if it is intended to be repaired, it can not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unless it is a professional enginee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repair itself and the drainage speed is slow when water is drained, there was.
아울러,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6241호는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나사산(11')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승하강 유도홈(12')이 형성되는 몸체(10')와 상부면에 제 1기어부(21')가 형성되고 상부 내측에 삽입홈(23')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 제 3나사산(22')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에 삽입되는 상하 이동기어(20')와 상기 삽입홈(23')에 삽입되며 상기 제 1기어부(21')와 치합되는 제 2기어부(31')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 2삽입홈(32')이 형성되는 회전기어(30')와 상기 제 2삽입홈(32')에 삽입되는 탄성부재(40')와 외주면에 고무링(51')이 끼워져 있으며 내주면에 상기 제 2나사산(11')과 대응되게 제 1나사산(52')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0') 상부에 체결되는 물마개(50')와 외주면에 돌기편(61')이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제 3나사산(22')과 대응되게 제 4나사산(62')이 형성되어 몸체(10')하부와 체결되는 와류발생기(60')로 구현된다.As shown in FIG. 1, a second screw thread 1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crew thread 11 ' The first gear portion 2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insertion groove 23'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third gear portion 21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10' And a second gear 21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3' and engaged with the first gear portion 21 ', wherein the gear 22' is formed and inserted into the body 10 ' A rotary gear 30 'having an upper portion 31' formed with a second insertion groove 32 'and an elastic member 40'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32 ' A first thread 52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thread 11' to form a water stop 50 'which is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And the fourth thread 62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correspondence with the third thread 22'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 Vortex generator 60 '.
상기 등록특허는 주요구성요소의 가공 공정수를 줄이고, 제품의 재질을 플라스틱으로 변경하여 제작비용 및 원가를 절감하였으며, 주요구성요소의 파손 또는 고장으로 보수 소요 발생 시 사용자가 직접 간단하게 보수 가능한 한편, 와류발생기로 인하여 배수속도가 빨라짐과 동시에 이물질이 침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으나, 탄성부재(40')의 상부가 물마개(50')에 삽입되어 결합되었을 때, 물마개(50')에 형성된 삽입홈에 맞지 않아 탄성부재(40')가 헛돌며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와류발생기(60')의 높이가 낮아 배수구에 삽입되어 설치된 개폐장치가 흔들려 고장 및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 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The registered patent reduces the number of processing steps of major components and changes the material of the product to plastic,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cost. In case of maintenance or repair due to breakage or failure of major components, , The drainage speed is increased due to the vortex generator and the foreign matter is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settled. However, when the upper part of the elastic member 40 'is inserted into the water-stopper 50' The elastic member 40 'is not in the groove and the elastic member 40' is idle and a trouble occurs. The height of the vortex generator 60 'is low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is shaken, A problem has occurr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종래의 개폐장치의 제작원가 및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과 구성이 복잡하여 전문기술자만이 보수가능한 문제점과 물 배수시 배수속도가 느려 이물질이 배수되지 못하는 문제점 및 사용감이 저하되고 고장이 잦은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합성수지 재질 즉,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 주요구성요소의 가공 공정수를 줄이며 제작비용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간단하게 유지보수가능하며, 고장이 적고 사용감 및 배수가 우수한 원터치 배수구 개폐장치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drawbacks of the prior art, The problem of drainage of drainage due to the slow drainage of drainage, problems of feeling of use and frequent breakdown occur, and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is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is, made of plastic material, reducing the number of processing steps of major components,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ne-pot drainage opening / clos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costs, allowing a user to simply maintain maintenance, and having less trouble, and feeling and drainage.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수구 개폐장치는, 제 2나사산(11)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승하강 유도홈(12)이 형성되는 몸체(10);와 상부면에 제 1기어부(21)가 형성되고, 상부 내측에 삽입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 제 3나사산(22)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에 삽입되는 상하 이동기어(20);와 하부는 상기 삽입홈(23)에 삽입되고, 하부에 상기 제 1기어부(21)와 치합되는 제 2기어부(31)가 형성되며, 상부에 제 2삽입홈(32)이 형성되는 회전기어(30);와 상기 제 2삽입홈(32)에 삽입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좁게 테이퍼진 탄성부재(40);와 외주면에 고무링(51)이 끼워져 있고, 하부 내측에 제 3삽입홈(53)이 형성되며, 하부 내주면에 상기 제 2나사산(11)과 대응되게 제 1나사산(52)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40)의 상부가 상기 제 3삽입홈(53)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몸체(10) 상부에 체결되는 물마개(50);와 외주면에 돌기편(61)이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부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된 돌출부(63)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 3나사산(22)과 대응되게 제 4나사산(62)이 형성되어 몸체(10) 하부와 체결되는 와류발생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63)는 몸체(10)의 하부에 와류발생기(60)가 걸리지 않고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몸체(10)방향의 측면에 테이퍼면(6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one-touch drain port opening /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또한, 상기 승하강 유도홈(12)은, 상기 몸체(10) 내주면의 하부에 제 1돌출턱(1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부면은 경사면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1돌출턱(13)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4)로 상기 제 1돌출턱(13)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제 2돌출턱(15)이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ward and
또, 상기 상하 이동기어(20)는, 상기 제 2돌출턱(15)의 영향을 받지않고 상기 가이드레일(14)에 슬라이딩 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몸체(10)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하부 걸림턱(16)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제 1기어부(21)가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and lower moving
아울러, 상기 회전기어(30)는, 상기 상하 이동기어(20)가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레일(14)과 상기 제 2돌출턱(15)을 교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4)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수구 개폐장치에 의하면, 합성수지 재질 중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 주요 구성요소의 가공 공정수를 줄일 수 있어 제작비용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와 주요구성요소들이 간단하게 조립되어 사용자가 간단하게 유지보수가 가능한 효과 및 테이퍼진 탄성부재와 높이가 높은 와류발생기를 이용하여 고장이 적고 사용감 및 배수가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one-touch drain port opening /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made of plast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materi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rocessing steps of major components,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cost, , The user can easily maintain the effect, and the tapered elastic member and the high-height vortex generator can be used to obtain the excellent effect in feeling and drainage with fewer faults.
탄성부재가 제3삽입홈에서 유동되어 안정적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지 못해 헛돌며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배수구에 삽입되어 설치된 개폐장치가 흔들려 고장 및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 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elastic member flows in the third insertion groove and fails to exhibit the elastic force in a stable manner, resulting in malfunction and failure, and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is shaken, failing to smoothly drain the faults and water .
도 1은 종래의 원터치 배수구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몸체의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분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작동원리를 나타낸 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one-touch drain port opening / closing devic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 of the term appropriately in order to describe it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unless otherwise defined,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are omitted. The following drawing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도 1은 종래의 원터치 배수구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몸체의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작동원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princip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will be briefly described.
'유닛'이란 1회 수혈시의 적정량을 가리킨다.
'Unit' refers to the appropriate amount of one blood transfusion.
본 발명은 배수구를 폐쇄하여 물을 모아서 사용하고 배수구를 개방하여 물을 배수하는 과정에서 원터치로 배수구를 개폐하고 배수시 배수속도가 빨라져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와류가 발생하는 원터치 배수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drain port opening / closing apparatus that opens and closes a drain port by one-touch operation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water by using a closed drain port and discharging water by opening the drain port and vortexes are generated ,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배수구 개폐장치는 몸체(10), 상하 이동기어(20), 회전기어(30), 탄성부재(40), 물마개(50) 및 와류발생기(60)를 포함한다.2 to 5, a one-touch drain port opening /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몸체(10)는 제 2나사산(11)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승하강 유도홈(12)이 형성된다.In the
이때, 상기 승하강 유도홈(12)은 상기 몸체(10) 내주면의 하부에 제 1돌출턱(1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부면은 경사면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1돌출턱(13)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4)로 상기 제 1돌출턱(13)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제 2돌출턱(15)이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and-
상하 이동기어(20)는 상부면에 제 1기어부(21)가 형성되고, 상부 내측에 삽입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 제 3나사산(22)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에 삽입된다.The
이때, 상기 상하 이동기어(20)는 상기 제 2돌출턱(15)의 영향을 받지않고 상기 가이드레일(14)에 슬라이딩 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몸체(10)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하부 걸림턱(16)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제 1기어부(21)가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and-down moving
회전기어(30)는 하부는 상기 삽입홈(23)에 삽입되고, 하부에 상기 제 1기어부(21)와 치합되는 제 2기어부(31)가 형성되며, 상부에 제 2삽입홈(32)이 형성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이때, 상기 회전기어(30)는 상기 상하 이동기어(20)가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레일(14)과 상기 제 2돌출턱(15)을 교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4)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탄성부재(40)는 상기 제 2삽입홈(32)에 삽입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좁게 테이퍼진다.The
물마개(50)는 외주면에 고무링(51)이 끼워져 있고, 하부 내측에 제 3삽입홈(53)이 형성되며, 하부 내주면에 상기 제 2나사산(11)과 대응되게 제 1나사산(52)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40)의 상부가 상기 제 3삽입홈(53)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몸체(10) 상부에 체결된다.A
와류발생기(60)는 외주면에 돌기편(61)이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부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된 돌출부(63)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 3나사산(22)과 대응되게 제 4나사산(62)이 형성되어 몸체(10) 하부와 체결되되, 상기 돌출부(63)는 몸체(10)의 하부에 와류발생기(60)가 걸리지 않고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몸체(10)방향의 측면에 테이퍼면(64)을 구비한다.
The
상기 주요 구성요소에서 몸체(10)는 도면에서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제 2나사산(11)이 외주면 상부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승하강 유도홈(12)이 형성된다. 2 to 4,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 유도홈(12)은 상기 몸체(10) 내주면의 하부에 상부면이 경사면으로 구비되는 제 1돌출턱(1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돌출턱(13)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4)과 상기 제 1돌출턱(13)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제 2돌출턱(15)이 교호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rising and falling
상기 가이드레일(14)에는 상기 상하 이동기어(20)의 제 1기어부(21)가 슬라이딩 되어 상하로 이동한다.The
상기 제 1돌출턱(13)의 상부 경사면은 상기 제 2기어부(31)의 하부 경사면과 접하여 회전기어(30)를 회전시켜 가이드레일(14)로 회전기어(30)가 슬라이딩 삽입되게 하거나 제 2돌출턱(15)에 걸리게 한다.The upper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protruding
즉, 상기 회전기어(30)가 가이드레일(14)에 슬라이딩 삽입되면 물마개(50)가 개방되고, 제 2돌출턱(15)에 걸리면 물마개(50)가 폐쇄되게 된다.
That is, when the
상기 주요 구성요소에서 상하 이동기어(20)는 도면에서 도 2 내지 도 3 및 도 5와 같이 상부면에 제 1기어부(21)가 형성되고 상부 내측에 삽입홈(23)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 제 3나사산(22)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에 삽입된다.2 to 3 and 5, the
상기 이동기어(20)의 삽입홈(23)으로 회전기어(30)의 끼움돌기(33)가 삽입되어 제 1기어부(21)와 제 2기어부(31)가 치합된다.The
상기 상하 이동기어(20)는 회전기어(30)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가이드레일(14)에서 제 2돌출턱(15)으로 이동시키거나 제 2돌출턱(15)에서 가이드레일(14)로 이동시킨다.The up and down
또한, 제 2돌출턱(15)의 영향을 받지않고 가이드레일(14)에 슬라이딩 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하부 걸림턱(16)에 걸려 하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 1기어부(21)는 상부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제 3나사산(22)은 상기 와류발생기(6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4나사산(62)과 체결된다.
The
상기 주요 구성요소에서 회전기어(30)는 도면에서 도 2 내지 도 3 및 도 5와 같이 상기 상하 이동기어(20)의 제 1기어부(21)와 치합되는 제 2기어부(31)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 2삽입홈(32)이 형성된다.2 to 3 and 5, the
이때, 상기 제 2 삽입홈(32)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상기 제 2기어부(31)는 회전기어(3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 경사면이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제 1돌출턱(13)의 상부 경사면은 상기 제 2기어부(31)의 하부 경사면과 접하여 회전기어(30)를 회전시켜 가이드레일(14)로 회전기어(30)가 슬라이딩 삽입되게 하거나 제 2돌출턱(15)에 걸리게 한다.The upper inclined surface of the first protruding
또한, 상기 제 2기어부(31)의 내측 하부로 형성되는 끼움돌기(33)는 이동기어(20)의 삽입홈(23)에 삽입되어 설치된다.The
또한, 상기 제 2삽입홈(32)에는 탄성부재(40)가 삽입된다.
Further, an
상기 주요 구성요소에서 탄성부재(40)는 도면에서 도 3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제 2삽입홈(32)에 하부가 삽입되고, 상부는 물마개(50)의 하부에 형성된 제 3삽입홈(53)에 삽입된다.3 to 5, the lower portion of the
이때, 탄성부재(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좁게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써, 물마개(50)를 하부로 가압 시 탄성부재(40)가 안정적으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40)의 상부는 상기 물마개(50)의 제 3 삽입홈(53)에 끼움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탄성부재(40)의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다시 말해, 탄성부재(40)의 형상이 상부에서 하부로 좁게 테이퍼져 있고, 상부는 물마개(50)의 하부에 형성된 제 3삽입홈(53)에 삽입되며, 하부는 회전기어(30)의 제2삽입홈(32)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다.In other words, the shape of the
즉, 종래의 탄성부재(40')는 동일한 외주를 갖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제작되어 물마개(50)의 하부에 형성된 제3삽입홈에 상부가 삽입되고, 물마개(50)를 가압시 제 3삽입홈(53)의 크기가 탄성부재(40')의 외주연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탄성부재(40')가 안정적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지 못하여 헛도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고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물마개(50)의 제 3삽입홈(53)의 크기를 탄성부재(40')의 외주연 크기와 동일하게 제작하여도 탄성부재(40')가 외측으로 휘며 안정적으로 압축되지 못하여 고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물마개(50)의 하부에 형성된 제 3삽입홈(53)의 크기를 줄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That is, the conventional elastic member 4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the sam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upper part is inserted into the third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결론적으로, 탄성부재가 제 3삽입홈(53)에서 유동되어 안정적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지 못해 헛돌며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배수구에 삽입되어 설치된 개폐장치가 흔들려 고장 및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 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부재(40)의 하부는 제 2삽입홈(32)에 삽입되고, 상부는 물마개(50)의 하부에 형성된 제 3삽입홈(53)에 삽입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좁게 테이퍼진 특징을 갖음으로써, 스프링이 상부와 하부에 끼움결합되어 흔들림을 방지하고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astic member flows in the
상기 주요 구성요소에서 물마개는(50)는 도면에서 도 2내지 도 3 및 도 5와 같이 외주면에 고무링(51)이 끼워져 있고, 하부에 탄성부재(40)의 상부가 삽입되는 제3삽입홈(53)이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제 2나사산(11)과 대응되게 제 1나사산(52)이 형성되어 몸체(10) 상부에 체결된다.2 to 3 and 5, the
즉 몸체(10) 내부에 상기 상하 이동기어(20)가 삽입되고 상기 상하 이동기어(20)의 제 1 삽입부에 회전기어(30)의 끼움돌기(33)가 삽입되고 상기 회전기어(30)의 제 2삽입홈(32)에 탄성부재(40)가 삽입되고 상기 몸체(10)의 제 2나사산(11)과 상기 물마개(50)의 내주면에 상기 제 2나사산(11)과 대응하게 형성된 제 1나사산(52)이 상호 체결되며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That is, the up-and-down moving
상기 주요 구성요소에서 와류발생기는(60)는 도면에서 도 2내지 도 3 및 도 5와 같이 외주면에 돌기편(61)이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도, 상부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되고, 내주면에 제 3나사산(22)과 대응되게 제 4나사산(62)이 형성되어 몸체(10)하부와 체결된다.2 to 3 and 5, the
상기 돌기편(61)은 그 형태는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를 두어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또한, 상기 와류발생기(60)는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종래의 와류발생기(60')에 비해 원터치 배수구 개폐장치가 배수구의 내측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addition, the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의 배수구는 이미 배수구 개폐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그 크기가 규격화되어 있어 종래의 와류발생기(60')가 장착된 개폐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개폐장치의 하부가 배수구의 내측면에 작동에 따라 접하게 되는 면적이 적어 개폐장치가 심하게 유동되기 때문에 잦은 고장이 발생하게 되나,In detail, when a conventional drainage port is provided with a drainage opening / closing device so that the size of the drainage opening / closing device can be set to be standardized and a conventional opening / closing device equipped with the vortex generator 60 'is installed, the lower part of the opening /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heavily flowed due to the small area contacted by the operation, frequent failure occurs. However,
본 발명의 와류발생기(60)는 상부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된 돌출부(63)에 의해 배수구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는 면적이 증가되기 때문에 원터치 배수구 개폐장치가 적게 유동되어 고장 발생률을 줄일 수 있고, 상기 돌출부(63)는 내측면 즉, 몸체(10)방향의 측면에 테이퍼면(64)을 구비하여 몸체(10)의 하부에 와류발생기(60)가 걸리지 않고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또한, 와류발생기(60)는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편(61)의 상부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된 돌출부(63)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63)는 몸체(10)방향의 측면에 테이퍼면(64)을 구비하고 있다. The
종래의 와류발생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편은 테이퍼면을 구비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규격화된 배수구에서 와류발생기가 유동됨으로써 잦은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돌출부(63) 및 테이퍼면(6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돌기편(61)에 돌출부(63)를 형성하는 것은 단지 돌출부(63)만을 형성하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돌출부(63)를 형성하였을 때 와류발생기(60)에 의해 이물질이 걸려 배수구가 막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부(63)를 형성하여 몸체(10)의 외측으로 배수되는 이물질이 돌출부(63)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배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protrusion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ventional vortex generator are not provided with protrusions having tapered surfaces, so that the vortex generators flow from the standardized drain port, thereby causing frequent failures. To solve this problem, (64). It is not difficult to form only the projecting
즉, 하부방향으로 돌출부(63)를 형성하면 와류발생기(60)에 의해 와류가 발생한 물과 이물질이 하부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63)에 걸려 배수구가 막힐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쉽게 면적만을 늘리기 위해 돌출부(63)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돌출부(63) 및 테이퍼면(64)을 형성하여 와류발생기(60)에 의해 와류가 발생한 물과 이물질이 하부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63)에 걸려 배수구가 막힐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That is, if the
또한, 돌출부(63)는 몸체(10)에 의해 와류발생기(60)의 작동뿐만 아니라, 이물질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몸체(10)방향의 측면에 테이퍼면(64)을 구비하고 있다.The protruding
아울러, 상기 와류발생기(60)는 배수트랩의 내주면에 형성된 턱(100)에 걸려 세면대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결론적으로, 와류발생기(60)는 외주면에 돌기편(61)이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부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된 돌출부(63)가 형성되고, 돌출부(63)는 몸체(10)의 하부에 와류발생기(60)가 걸리지 않고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몸체(10)방향의 측면에 테이퍼면(64)을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로 인해, 배수구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는 면적이 증가되기 때문에 원터치 배수구 개폐장치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어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고장발생을 줄이고,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 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The
또한, 돌기편(61)에 돌출부(63)를 형성하는 것은 단지 돌출부(63)만을 형성하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돌출부(63)를 형성하였을 때 와류발생기(60)에 의해 이물질이 걸려 배수구가 막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이에 본 출원인은 하부방향이 아닌 상부방향으로 돌출부(63)를 형성하여 몸체(10)의 외측으로 배수되는 이물질이 돌출부(63)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배수될 수 있도록 하였다.It is not difficult to form the
즉, 하부방향으로 돌출부(63)를 형성하면 와류발생기(60)에 의해 와류가 발생한 물과 이물질이 하부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63)에 걸려 배수구가 막힐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That is, if the
아울러, 돌출부(63)는 몸체(10)에 의해 와류발생기(60)의 작동뿐만 아니라, 이물질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몸체(10)방향의 측면에 테이퍼면(64)을 구비하고 있다.
The protruding
상기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의 작동원리는 도면에서 도 6과 같이 물마개(50)로 배수트랩의 상부를 폐쇄하여 물을 모아 사용한 후 물마개(50)를 개방해 물을 배수하는 경우 상기 물마개(50)를 누르면 물마개와 몸체(10)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몸체(10)의 가이드레일(14)에 슬라이딩 되어 삽입된 상하 이동기어(20)는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6, when the upper part of the drain trap is closed by the
따라서 상기 상하 이동기어(20)는 상기 제 2돌출턱(15)에 걸려있는 회전기어(30)를 상부로 이동시킨다.Therefore, the up-and-down moving
이때 누르고 있던 물마개(50)를 놓게 되면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기어(30)와 상하 이동기어(20)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중이던 회전기어(30)의 하부 경사면과 대응되게 형성된 상기 제 1돌출턱(13)의 상부 경사면에 상기 하부 경사면이 미끄러지며 회전기어(3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4)에 슬라이딩되어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The
상기 가이드레일(14)에 슬라이딩 된 회전기어(30)는 상기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이동기어(20)를 하부로 이동시키게 되고 따라서 몸체(10)와 물마개(5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어 배수구를 개방하게 된다.The
상기와 같이 개방된 물마개(50)를 폐쇄하는 작동원리는 도 6과 같이 물마개(50)를 누르면 물마개(50)와 몸체(10)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몸체(10)의 가이드레일(14)에 슬라이딩 되어 삽입된 상하 이동기어(20)는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The operation of closing the opened water-
따라서 상기 상하 이동기어(20)는 상기 가이드레일(14)에 슬라이딩 되어 있던 회전기어(30)를 상부로 이동시킨다.Accordingly, the up-and-down moving
이때 누르고 있던 물마개(50)를 놓게 되면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기어(30)와 상하 이동기어(20)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중이던 회전기어(30)의 하부 경사면과 대응되게 형성된 상기 제 1돌출턱(13)의 상부 경사면에 상기 하부 경사면이 미끄러지며 회전기어(3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 2돌출턱(15)에 걸려 고정된다.The
따라서 몸체(10)와 물마개(50)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어 배수구는 폐쇄되게 된다.Therefore, the
상기와 같이 원터치로 배수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본 발명은 제품의 주요구성요소와 가공 공정수가 줄어들어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port by one-touch as described above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reducing the number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product and the number of processing steps.
또한, 제품의 원자재가 금속에서 플라스틱으로 변경되어 원가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raw material of the product is changed from metal to plastic, so that the cost reduction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주요구성요소의 파손 또는 고장으로 보수 소요 발생시 사용자가 직접 간단하게 보수가 가능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maintenance is required due to breakage or breakdown of major components, the user can directly repair it, and the effect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can be obtained.
또한, 하부에 체결되는 와류발생기로 인하여 배수시 와류가 발생하게 되어 물의 배수속도가 빨라지고 이물질이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urther, due to the vortex generator fastened to the lower part, vortex is generated at the time of drainage, so that the drainage speed of the water is increased and the foreign matter is prevented from being settled.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몸체 11 : 제 2나사산
12 : 승하강 유도홈 13 : 제 1돌출턱
14 : 가이드레일 15 : 제 2돌출턱
16 : 하부 걸림턱 20 : 상하 이동기어
21 : 제 1기어부 22 : 제 3나사산
23 : 삽입홈 30 : 회전기어
31 : 제 2기어부 32 : 제 2삽입홈
33 : 끼움돌기 40 : 탄성부재
50 : 물마개 51 : 고무링
52 : 제 1나사산 53 : 제 3삽입홈
60 : 와류발생기 61 : 돌기편
62 : 제 4나사산 63 : 돌출부
64 : 테이퍼면 100 : 턱10: Body 11: Second thread
12: ascending / descending guide groove 13: first projecting jaw
14: guide rail 15: second protruding jaw
16: lower engaging jaw 20: up-and-down shifting gear
21: first gear portion 22: third thread
23: insertion groove 30: rotary gear
31: second gear portion 32: second insertion groove
33: fitting projection 40: elastic member
50: water closure 51: rubber ring
52: first thread 53: third insertion groove
60: vortex generator 61: projection
62: fourth thread 63: protrusion
64: tapered surface 100: chin
Claims (4)
상부면에 제 1기어부(21)가 형성되고, 상부 내측에 삽입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2돌출턱(15)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가이드레일(14)에 슬라이딩 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몸체(10)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하부 걸림턱(16)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제 1기어부(21)가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하부 외주면에 제 3나사산(22)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에 삽입되는 상하 이동기어(20);와
상기 상하 이동기어(20)가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레일(14)과 상기 제 2돌출턱(15)을 교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4)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삽입홈(23)에 삽입되고, 하부에 상기 제 1기어부(21)와 치합되는 제 2기어부(31)가 형성되며, 상부에 제 2삽입홈(32)이 형성되는 회전기어(30);와
상기 제 2삽입홈(32)에 삽입되고, 후술되는 물마개(50)를 하부로 가압 시 안정적으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좁게 테이퍼진 탄성부재(40);와
외주면에 고무링(51)이 끼워져 있고, 하부 내측에 제 3삽입홈(53)이 형성되며, 하부 내주면에 상기 제 2나사산(11)과 대응되게 제 1나사산(52)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40)의 상부가 상기 제 3삽입홈(53)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몸체(10) 상부에 체결되는 물마개(50);와
외주면에 돌기편(61)이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부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된 돌출부(63)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 3나사산(22)과 대응되게 제 4나사산(62)이 형성되어 몸체(10) 하부와 체결되는 와류발생기(60);를 포함하되,
상기 승하강 유도홈(12)은 상기 몸체(10)내주면의 하부에 제 1돌출턱(1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부면은 경사면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1돌출턱(13)사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4)로 상기 제 1돌출턱(13)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제 2돌출턱(15)이 교호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배수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삽입홈(53)은 끼움결합된 상기 탄성부재(40)가 상기 제3삽입홈(53)에서 유동 되어 안정적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지 못해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마개(5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63)는 몸체(10)의 하부에 와류발생기(60)가 걸리지 않으며, 상기 와류발생기(60)에 의해 이물질이 걸려 배수구가 막히지 않고,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돌기편(61)의 상부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와류발생기(60)에 의해 와류가 발생한 물과 이물질이 하부방향으로 형성된 돌출부(63)에 걸려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될 수 있도록, 몸체(10)방향의 측면에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형태의 테이퍼면(6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배수구 개폐장치.A body 10 in which a second screw thread 11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n elevating and lowering induction groove 12 is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The first gear portion 2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insertion groove 23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ortion so as to slide on the guide rail 14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second protruding jaws 15, The first gear portion 21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so that the lower engaging protuberance 16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can be engaged with the third gear portion 22, A vertical moving gear 20 inserted into the body 10;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14 is formed so that the up-and-down gear 20 moves up and down and the guide rail 14 and the second protrusion 15 are alternately moved, And a second gear portion 31 that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portion 21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second insertion groove 32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30);
An elastic member 40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32 and tapering narrowly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as to stably exert an elastic force when the waterproof plug 50 is pressed downward;
A rubber ring 51 is fit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third insertion groove 53 is formed on the lower inner side and a first thread 52 is formed on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thread 11, (50)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dy (10) in a state where the upper part of the member (40) is inserted into the third insertion groove (53);
A protrusion 63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inclin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extended to protrude upward and a fourth thread 62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third thread 22 And a vortex generator (6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The upward and downward guide grooves 12 ar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with first protrusions 13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upper surface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Wherein the guide rail (14) is alternately formed with a second protruding protrusion (15)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 (13)
The third insertion groove 53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stopper 50 to prevent the elastic member 40, which is engaged with the third insertion groove 53, from flowing in the third insertion groove 53 and failing to exhibit a stable elastic force, Respectively,
The protruding portion 63 is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61 so that the vortex generator 60 is not caugh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and the foreign material is caught by the vortex generator 60,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not shown)
The water vapor is generat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10 so that water and foreign matter generated by the vortex generator 60 can be caught by the protrusion 63 formed in the downward direction, Further comprising a tapered surface (6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5233A KR101669801B1 (en) | 2015-07-03 | 2015-07-03 | One-touch opening and closing device drai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5233A KR101669801B1 (en) | 2015-07-03 | 2015-07-03 | One-touch opening and closing device drai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69801B1 true KR101669801B1 (en) | 2016-10-27 |
Family
ID=57247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5233A Expired - Fee Related KR101669801B1 (en) | 2015-07-03 | 2015-07-03 | One-touch opening and closing device drai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980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8854B1 (en) * | 2017-07-25 | 2018-03-14 | 허철 | One-touch drai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clogging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76166U (en) * | 1987-03-31 | 1988-11-15 | ||
JPH0540376U (en) * | 1991-10-31 | 1993-06-01 | 松下電工株式会社 | Bathroom vanity |
KR100926423B1 (en) * | 2009-08-17 | 2009-11-12 | 삼흥워터링(주) | Pop-up valve switchgear of wash basin |
KR20110011997A (en) | 2009-07-29 | 2011-02-09 | 최동황 | Drainage trap for push and open structure |
KR101406261B1 (en) | 2014-03-17 | 2014-06-12 | 채효덕 | One-touch opening and closing device drain |
-
2015
- 2015-07-03 KR KR1020150095233A patent/KR10166980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76166U (en) * | 1987-03-31 | 1988-11-15 | ||
JPH0540376U (en) * | 1991-10-31 | 1993-06-01 | 松下電工株式会社 | Bathroom vanity |
KR20110011997A (en) | 2009-07-29 | 2011-02-09 | 최동황 | Drainage trap for push and open structure |
KR100926423B1 (en) * | 2009-08-17 | 2009-11-12 | 삼흥워터링(주) | Pop-up valve switchgear of wash basin |
KR101406261B1 (en) | 2014-03-17 | 2014-06-12 | 채효덕 | One-touch opening and closing device drai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8854B1 (en) * | 2017-07-25 | 2018-03-14 | 허철 | One-touch drain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clogg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04762B2 (en) | Drain closure device | |
JP2016204895A (en) | Drain piping | |
CN105951947A (en) | Anti-blocking sink pipe device | |
KR101669801B1 (en) | One-touch opening and closing device drain | |
KR101406261B1 (en) | One-touch opening and closing device drain | |
GB2425583A (en) | Plug | |
KR101241107B1 (en) | A pop-up type opening/closing device for washstand | |
CN207739336U (en) | A kind of outlet device structure and the Wash Units using the outlet device | |
US2321176A (en) | Waste and overflow fitting | |
KR101558093B1 (en) | One-touch opening and closing device drain | |
CN208685726U (en) | Drainer with automatic overflow | |
KR20090076882A (en) | Push retractable valve | |
CN209066553U (en) | A kind of outlet device and sink with deodorant function | |
KR20190000664U (en) | Check valve | |
KR20160081050A (en) | I type drain trap with float ball and sink unit with the same | |
KR200472123Y1 (en) | Hook assembly of one-touch draining for washstand | |
CN111305360B (en) | Bathroom floor drain for medical epidemic prevention | |
CN207230687U (en) | Safety drain device on cooking fume control equipment | |
KR101666971B1 (en) | Pop up type on-off cover for sink | |
KR200472254Y1 (en) | Bad Smell Preventer | |
CN208472400U (en) | A kind of water-conservation washing machine discharge water installations and washing machine | |
KR101130162B1 (en) | a drying drain of sink | |
KR200423762Y1 (en) | Ball tap for toilet bowl with connector | |
CN202831128U (en) | Floor drain | |
CN206582374U (en) | A kind of mechanical tap of self-clos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7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0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