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68482B1 - 광학 터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학 터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482B1
KR101668482B1 KR1020090108251A KR20090108251A KR101668482B1 KR 101668482 B1 KR101668482 B1 KR 101668482B1 KR 1020090108251 A KR1020090108251 A KR 1020090108251A KR 20090108251 A KR20090108251 A KR 20090108251A KR 101668482 B1 KR101668482 B1 KR 101668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axis
lens
emitting diode
infrared r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601A (ko
Inventor
이용훈
손석우
황웅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8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482B1/ko
Publication of KR20110051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48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터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광학 터치 시스템은 적외선을 출사하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적외선을 반사시키고, 상기 적외선의 입사각과 반사각이 동일한 재귀 반사판과;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재귀 반사판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적외선을 상기 재귀 반사판 상에 조사시키는 렌즈와; 상기 재귀 반사판에서 반사된 적외선만 통과시키는 적외선 통과 필터(IR pass filter)와; 상기 적외선 통과 필터에서 통과된 적외선을 집광시키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에서 집광된 적외선이 입사되며, 상기 렌즈와 상기 재귀 반사판 사이에서 터치된 영역을 감지하는 리니어 센서(Linear sensor)를 포함한다.
터치, 광, 렌즈, 적외선, 센서, 반사판

Description

광학 터치 시스템 { Optical touch system }
본 발명은 광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광학 터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에는 크게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광학 방식, 초음파 방식, 전자기(Electromagnetic) 방식, 벡터힘(Vector Force) 방식 등이 있는데 각 방식마다 각기 장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들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저항막 방식은 두 개의 기판 사이의 투명도전막이 접촉되어 동작하는 방식으로 현재까지 나온 터치스크린 방식 중에 가장 손쉽게 구현이 가능하고 성능이 뛰어나지만, 기계적 및 환경적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초음파 방식 역시 광센서방식과 비슷하게 음파발생 소자와 음파인식 소자 사이의 음파 경로가 차단될 때 위치를 판별하는 방식으로 공장의 소음 또는 노이즈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전자기 방식은 패러데이 법칙의 자석과 기전력 발생 원리를 이용한 방식으로 써, 각기 위치별로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판단하여 좌표를 계산한다. 코일에 교류의 신호를 인가해야 하므로 특수 전용펜을 필요로 한다.
정전용량 방식은 센서전극과 손가락 사이에 정전용량 변화에 따라 흐르는 미세한 전류를 감지하여 위치를 판별하는 방식으로 노이즈 신호에 취약한 단점이 있으나, 환경적 신뢰성에 강하고 상부 베리어층(Barrier Layer)을 변경함에 따라 기계적 신뢰성도 자유롭게 바꿀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광학방식은 원리적으로 터치 인식을 위한 필름(Film)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투과율은 100%이다. 또한 다른 방식의 터치패널을 부착시 나타나는 반사 및 휘도의 저하, 표시의 번짐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에서 투과율과 휘도의 유지는 품질의 중요한 인자가 되는바, 이러한 고품질의 디스플레이 구성에 적합하다.
또한 광학방식 터치패널은 좌표의 검출방식이 빛을 막는 방식이기 때문에, 물리적 접촉 및 전기적 접촉에 의한 검출이 아니므로 센서에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이에 따라 신뢰성이 높아 공장 감시나 각종 자동화기기 및 금융 단말기 등에 이용되며, 필름이나 ITO보호막 등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처나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커서 오작동 등의 에러 가능성이 낮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광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외선을 출사하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적외선을 반사시키고, 상기 적외선의 입사각과 반사각이 동일한 재귀 반사판과;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재귀 반사판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적외선을 상기 재귀 반사판 상에 조사시키는 조사렌즈와;
상기 재귀 반사판에서 반사된 적외선만 통과시키는 적외선 통과 필터(IR pass filter)와;
상기 적외선 통과 필터에서 통과된 적외선을 집광시키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에서 집광된 적외선이 입사되며, 상기 조사렌즈와 상기 재귀 반사판 사이에서 터치된 영역을 감지하는 리니어 센서(Linear sensor)를 포함한 광학 터치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전단에 있는 조사렌즈를 수직 방향으로 적외선을 집광시키고 수평 방향으로 적외선을 퍼트리도록 구성함으로써,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적외선이 재귀 반사판의 반사면의 모든 영역에 도달되는 광도를 증가시켜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터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 터치 시스템은 적외선을 출사하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와;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에서 출사된 적외선을 반사시키고, 상기 적외선의 입사각과 반사각이 동일한 재귀 반사판(120)과;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와 재귀 반사판(12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에서 출사된 적외선을 상기 재귀 반사판(120) 상에 조사시키는 조사렌즈(110)와; 상기 재귀 반사판(120)에서 반사된 적외선만 통과시키는 적외선 통과 필터(IR pass filter)(130)와; 상기 적외선 통과 필터(130)에서 통과된 적외선을 집광시키는 대물렌즈(140)와; 상기 대물렌즈(140)에서 집광된 적외선이 입사되며, 상기 조사렌즈(110)와 상기 재귀 반사판(120) 사이에서 터치된 영역을 감지하는 리니어 센서(Linear sensor)(150)를 포함한다.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에서 출사된 적외선은 상기 재귀 반사판(120)에서 반사되어 상기 리니어 센서(150)로 입사된다.
이때,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와 상기 재귀 반사판(120) 사이의 소정 영역에 사람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stylus) 펜이 위치되면, 상기 적외선은 상기 사람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중간에서 차단되어 상기 리니어 센서(150)에서 검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리니어 센서(150)는 상기 사람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이 위치된 좌표를 검출하여 터치(Touch)된 영역을 광학적으로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런 좌표 검출은 후술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와 상기 재귀 반사판(120) 사이의 하부에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위치되며, 상기 사용자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표시되는 이미지의 특정 영역을 터치하게 되면, 상기 리니어 센서(150)에서 검출된 좌표에 해당되는 구동신호가 발생되어 화면 변경, 음량 조절, 화면 이동, 화면 확대 및 축소 등이 포함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c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전자 종이 표시 패널 중 하나로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광학 터치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에서 출사된 적외선은 상기 조사렌즈(110)를 통하여 상기 재귀 반사판(120)에서 반사된다.
이때, 상기 조사렌즈(110)를 투과한 적외선이 상기 재귀 반사판(120)에 결상(結像)되도록 상기 조사렌즈(110)는 설계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사렌즈(110)를 통한 적외선은 상기 재귀 반사판(120)의 반사면 형상과 거의 일치되어야 광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재귀 반사판(120)에서 반사된 적외선은 상기 적외선 통과 필터(130)에서 통과되고 상기 대물렌즈(140)에서 집광되어 상기 리니어 센서(150)로 입사되어 터치된 영역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터치 시스템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광학 터치 시스템(160)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전면부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 표시되는 이미지를 보다가 사용자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특정 영역을 손(250)의 손가락으로 터치하게 되면, 상기 광학 터치 시스템(160)이 구동하게 되어, 상기 터치된 특정 영역의 좌표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광학 터치 시스템(160)은 광학 모듈 형태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 조사렌즈(110), 재귀 반사판(120), 적외선 통과 필터(130), 대물렌즈(140), 리니어 센서(150)를 일체로 형성하여 단일 광학 모듈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 조사렌즈(110), 적외선 통과 필터(130), 대물렌즈(140)와 리니어 센서(150)는 상기 단일 광학 모듈의 제 1 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재귀 반사판(120)은 상기 제 1 영역과 대향되는 제 2 영역(상기 제 1 영역의 반대편에 위치된 영역)에 위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 조사렌즈(110), 적외선 통과 필터(130), 대물렌즈(140)와 리니어 센서(150)를 하나의 광학 모듈로 구현하고, 상기 재귀 반사판(120)을 다른 광학 모듈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터치 시스템에서 터치된 특정 영역의 좌표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광학 터치 시스템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조사렌즈, 적외선 통과 필터, 대물렌즈와 리니어 센서로 구성되는 광학 모듈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2개 또는 3의 모서리 각각의 인접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제 1과 2 광학 모듈(161a,161b)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2개의 모서리 각각의 인접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소정 영역(250)이 터치된 경우, 터치된 영역(250)은 적외선이 차단되어 상기 제 1과 2 광학 모듈(161a,161b) 각각의 리니어 센서에는 검정 스팟(Spot)이 맺히게 된다.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상기 제 1과 2 광학 모듈(161a,161b)의 리니어 센서(150a,150b)에는 제 1 내지 n 센싱 픽셀(Sensing pixel)들(151,152,153,154,15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터치된 영역(250)을 표시하는 검정 스팟(251)이 상기 제 1 내지 n 센싱 픽셀들(151,152,153,154,155) 중 하나의 센싱 픽셀에 맺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과 2 광학 모듈(161a,161b)의 리니어 센서(150a,150b)는 상기 터치된 영역(250)으로부터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검정 스팟(251)이 맺힌 상기 제 1 광학 모듈(161a)의 리니어 센서(150a)의 센싱 픽셀과 상기 제 2 광학 모듈(161b)의 리니어 센서(150b)의 센싱 픽셀들은 다를 가능성이 높다.
예컨대, 도 4a와 같이, 상기 제 1 광학 모듈(161a)의 리니어 센서(150a)에는 제 2 센싱 픽셀(152)에 상기 검정 스팟(251)이 맺히게 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광학 모듈(161b)의 리니어 센서(150b)에는 제 4 센싱 픽셀(154)에 상기 검정 스팟(251)이 맺히게 된다.
한편, 도 3과 같이,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가로 방향을 x방향으로 정의하고, 세로 방향을 y방향으로 정의하면, 상기 터치된 영역(250)에서 상기 제 1 광학 모듈(161a)의 리니어 센서(150a)까지 연결선(S1)과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가로 방향이 이루는 제 1 각(θ1), 상기 터치된 영역(250)에서 상기 제 2 광학 모듈(161b)의 리니어 센서(150b)까지 연결선(S2)과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가로 방향이 이루는 제 2 각(θ2) 및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가로 방향의 길이를 알면, 상기 터치된 영역(250)의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된 영역(25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 1 각(θ1) 및 제 2 각(θ2)이 변화되고, 이에 대응되어 상기 리니어 센서(150a,150b)의 제 1 내지 n 센싱 픽셀들(151,152,153,154,155)은 세분화되어 있다.
즉, 상기 리니어 센서(150a,150b)의 제 1 내지 n 센싱 픽셀들(151,152,153,154,155) 각각은 상기 변화된 제 1 각(θ1) 및 제 2 각(θ2)에 대응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과 2 광학 모듈(161a,161b)의 리니어 센서(150a,150b)의 상기 제 1 내지 n 센싱 픽셀들(151,152,153,154,155) 중 하나의 센싱 픽셀에 검정 스팟이 맺히면 상기 제 1 각(θ1) 및 제 2 각(θ2)을 알 수 있으므로, 상기 터치된 영역(250)의 좌표(x,y)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소정 영역(250)이 터치되면, 전술된 방법 또는 다른 방법으로 터치된 영역(250)의 좌표(x,y)를 실시간 추출할 수 있는 좌표 추출 연산부가 광학 터치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터치 시스템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전단의 조사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조사렌즈(110)의 길이방향을 x축, 입사면으로부터 출사면을 향하는 방향을 y축, 상기 x축 및 y축과 수직한 방향을 z축이라고 할 때,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전단에 있는 조사렌즈(110)는 yz 평면의 연장방향으로 정의되는 수직 방향으로 적외선을 집광시키고 xy 평면의 연장방향으로 정의되는 수평 방향으로 적외선을 퍼트리도록 가공되어 있으며, 이러한 조사렌즈(100)에 의해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된 적외선이 재귀 반사판의 반사면의 모든 영역에 도달되는 광도를 증가시켜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조사렌즈(110)는 수평 방사각(θ1)이 90° ~ 98°이고, 수직 방사각(θ2)이 1°~ 3°로 가공될 수 있다. 조사렌즈(110)의 길이방향을 x축, 입사면으로부터 출사면을 향하는 방향을 y축, 상기 x축 및 y축과 수직한 방향을 z축이라고 할 때, xy 평면상에서 수평 방사각(θ1)이 정의되고, yz 평면상에서 수직 방사각(θ2)이 정의된다.
즉, 상기 조사렌즈(110)의 수평 방사각이 90°보다 작으면, 수평 방향으로 상기 재귀 반사판의 반사면에는 적외선이 도달되지 않은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또, 상기 조사렌즈(110)의 수평 방사각이 98°보다 크면, 상기 조사렌즈(110)를 통한 적외선이 수평 방향으로 상기 재귀 반사판의 반사면을 벗어나 조사된 영역이 커지게 된다.
이때, 상기 조사렌즈(110)의 수평 방사각을 90°~ 98°로 설계하는 것은 광학 터치 시스템의 조립 공차를 감안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사렌즈(110)의 수직 방사각이 1°보다 작으면, 수직 방향으로 상기 재귀 반사판의 반사면에는 적외선이 도달되지 않은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 조사렌즈(110)의 수직 방사각이 3°보다 크면, 상기 조사렌즈(110)를 통한 적외선이 수직 방향으로 상기 재귀 반사판의 반사면을 벗어나 조사된 영역이 커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재귀 반사판의 크기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크기, 조사렌즈(110), 재귀 반사판 및 리니어 센서의 크기 및 광학적인 매칭 등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들이 고려하여 설계되지만, 상기 재귀 반사판의 높이는 수 ㎜로 크기가 작은 편이기에 1°~ 3°로 설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사렌즈(110)는 직사각형 형상(도 5의 L2>L1)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사렌즈(110)의 광출사면(110a)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조사렌즈(110)의 광출사면(110a)은 상기 조사렌즈(110)의 광출사면(110a)에 접해있는 일면(110b)에서 그 일면(110b)의 반대면(110c)까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도 5 및 도 6의 'O'는 광축이다.
도 7a는 비교예에 따라 전단에 조사렌즈가 없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되는 적외선의 광 특성 그래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전단의 조사렌즈를 통한 적외선의 광 특성 그래프이다.
즉, 도 7b의 'A3'가 도 7a의 'A1'보다 광이 집광되어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조사렌즈는 비교예보다 수직 방사각이 상당히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7b의 'B3'가 도 7a의 'B1'보다 광이 퍼져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조사렌즈는 비교예보다 수평방향으로 적외선을 퍼트릴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터치 시스템의 광학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광학 터치 시스템의 광학 모듈은 제 1과 2 관통홀(171,172)이 구비되어 있는 커버 몰드(170)의 제 1 관통홀(171)에 적외선 통과 필터(130) 및 대물렌즈(14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 2 관통홀(172)에 조사렌즈(11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조사렌즈(110)와 광 정렬되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 및 상기 대물렌즈(140)에 광 정렬되는 리니어 센서(150)가 가이드부(190)에 실장되어 있고; 관통홀(181) 및 단차부(182)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80)의 상기 관통홀(181)에 상기 대물렌즈(140)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단차부(182)에 상기 가이드부(190)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 및 리니어 센서(150)는 FPC(191)와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적외선 통과 필터(130), 대물렌즈(140), 조사렌즈(110),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100) 및 리니어 센서(150)를 하나의 광학 모듈로 일체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터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터치 시스템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터치 시스템에서 터치된 특정 영역의 좌표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와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터치 시스템의 리니어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터치 시스템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전단의 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터치 시스템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전단의 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전단에 렌즈가 있는 광 특성 및 렌즈가 없는 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터치 시스템의 광학 모듈의 분해 사시도

Claims (9)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고, 제1 및 제2관통홀이 형성된 커버 몰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상기 제1가이드부의 일면에 실장되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상기 제2관통홀에 장착되고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사되는 적외선이 입사하여 출사되는 조사렌즈;
    상기 조사렌즈로부터 출사된 적외선을 반사시키는 재귀 반사판;
    상기 제1관통홀에 장착되고, 상기 재귀 반사판에서 반사된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적외선 통과 필터;
    상기 적외선 통과 필터로부터 통과된 적외선을 집광시키는 대물렌즈; 및
    상기 제2가이드부의 상면에 실장되고, 상기 대물렌즈에서 집광된 적외선이 입사되며, 상기 조사렌즈와 상기 재귀 반사판 사이에서 터치된 영역을 감지하는 리니어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 터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사렌즈는,
    적외선이 입사하는 입사면이 직사각형상이고, 적외선이 출사하는 출사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기둥형상이며,
    길이방향을 x축, 입사면으로부터 출사면을 향하는 방향을 y축, 상기 x축 및 y축과 수직한 방향을 z축이라고 할 때,
    yz 평면의 연장방향으로 정의되는 수직 방향으로 적외선을 집광시키고 xy 평면의 연장방향으로 정의되는 수평 방향으로 적외선을 퍼트리도록 가공되어 있는 광학 터치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사렌즈는,
    적외선이 입사하는 입사면이 직사각형상이고, 적외선이 출사하는 출사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기둥형상이고,
    길이방향을 x축, 입사면으로부터 출사면을 향하는 방향을 y축, 상기 x축 및 y축과 수직한 방향을 z축이라고 할 때,
    xy 평면상에서 정의되는 수평 방사각이 90° ~ 98°이고, yz 평면상에서 정의되는 수직 방사각이 1°~ 3°인 광학 터치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재귀 반사판 사이의 하부에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위치된 광학 터치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c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전자 종이 표시 패널 중 하나인 광학 터치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정 영역이 터치되면, 터치된 영역의 좌표를 실시간 추출할 수 있는 좌표 추출 연산부가 포함된 광학 터치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조사렌즈, 적외선 통과 필터, 대물렌즈와 리니어 센서는 하나의 광학 모듈로 구현된 광학 터치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조사렌즈는 광축이 일치하고,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리니어 센서는 광축이 일치하는 광학 터치 시스템.
KR1020090108251A 2009-11-10 2009-11-10 광학 터치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668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251A KR101668482B1 (ko) 2009-11-10 2009-11-10 광학 터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251A KR101668482B1 (ko) 2009-11-10 2009-11-10 광학 터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601A KR20110051601A (ko) 2011-05-18
KR101668482B1 true KR101668482B1 (ko) 2016-10-21

Family

ID=4436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251A Expired - Fee Related KR101668482B1 (ko) 2009-11-10 2009-11-10 광학 터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2950A (zh) 2019-06-26 2019-10-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红外传感模组、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6019A (ja) * 2004-03-26 2005-10-06 Canon Inc 光学式座標入力装置
JP2007293915A (ja) * 2007-07-30 2007-11-08 Fujitsu Ltd 光走査型タッチパネ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6019A (ja) * 2004-03-26 2005-10-06 Canon Inc 光学式座標入力装置
JP2007293915A (ja) * 2007-07-30 2007-11-08 Fujitsu Ltd 光走査型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601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511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를 구비한 광학 터치 스크린
US8963887B2 (en) Optical touch screen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1210702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광학 터치 스크린
US8659578B2 (en) Optical sensing unit,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706778B1 (ko) 광학 터치 스크린
CN105022533A (zh) 显示模块
KR101150018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광학 터치 스크린
US9342185B2 (en) Optical touch screen
KR101668482B1 (ko) 광학 터치 시스템
KR101598634B1 (ko) 광학 터치 시스템
KR101612152B1 (ko) 광학 터치 스크린
KR100868824B1 (ko) 광학방식 터치스크린
KR101760513B1 (ko) 광학 터치 스크린의 조립 방법
KR101784517B1 (ko) 광학 터치 스크린 및 그의 조립 방법
KR101209314B1 (ko) 광학 터치 스크린의 구동 방법
KR101612151B1 (ko) 광학 터치 스크린 및 그의 조립 방법
KR101727321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광학 터치 스크린
KR20120071142A (ko) 광학 센싱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10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