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68373B1 -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및 이를 이용한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및 이를 이용한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373B1
KR101668373B1 KR1020150081517A KR20150081517A KR101668373B1 KR 101668373 B1 KR101668373 B1 KR 101668373B1 KR 1020150081517 A KR1020150081517 A KR 1020150081517A KR 20150081517 A KR20150081517 A KR 20150081517A KR 101668373 B1 KR101668373 B1 KR 101668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shape memory
memory alloy
alloy wire
wea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생
박찬희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1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373B1/ko
Priority to PCT/KR2016/005933 priority patent/WO201620010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3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4Stents retaining their form, i.e. not being deformable, after placement in the predetermined pl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및 이를 이용한 치료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는, 제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격자형 구조로 엮어 형성되는 원통형 망사 형태의 제1 스텐트; 및 상기 제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보다 높은 온도에서 원 형상으로 복원되는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상기 제1 스텐트에 나선형 구조로 엮어 형성되는 제2 스텐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및 이를 이용한 치료 장치{RE-EXPANSIBLE STENT AND TREATMENT APPARATUS USING IT}
본 발명은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및 이를 이용한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텐트 삽입 후에 인체 내의 내강이 재협착된 경우, 스텐트를 다시 팽창시켜 재협착으로 인해 좁아진 통로를 확장시킬 수 있는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및 이를 이용한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 내의 내강들은 협착으로 인해 기능이 저하되거나 심하면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맥 경화에 의해 혈액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식도암으로 식도가 좁아지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협착으로 좁아진 내강을 확장시키고, 협착의 진행을 방지하기 위한 기구로 스텐트(stent)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텐트는 다양한 구조의 것들이 알려져 있으며, 와이어를 특정한 방법으로 감아서 둘레를 따라 피크부와 밸리부를 갖도록 형성한 원통 형상의 와이어 구조체가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스텐트의 일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텐트(1)는 지그(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는데, 일례로 지그는 원통형 본체 원주상의 등각 위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소정 간격으로 핀을 결합하며, 와이어(2)를 각 핀에 걸어 절곡하는 형태로 교차되게 엮어 중공식 원통형 스텐트(1)를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중공식 원통형 스텐트(1)는 스텐트 삽입 장치를 원하는 위치까지 삽입하고, 상기 스텐트 삽입 장치 내부에 있는 스텐트(1)를 인출시켜 원하는 병변 부위에 설치한다. 병변 부위에 스텐트(1)가 삽입 설치되어 협착된 병변 부위를 외측으로 밀어 내강의 통로를 확장시키게 된다.
그러나, 스텐트(1)를 삽입하여 설치하더라도 종양 등은 다시 증식하여 인체의 내강이 재협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텐트(1)를 재시술해야 하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1-0057514호 (2011.06.0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3-0106115호 (2013.09.27.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5-0051646호 (2015.05.13.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텐트 삽입 후에 인체 내의 내강이 재협착된 경우, 스텐트를 다시 팽창시켜 재협착으로 인해 좁아진 통로를 확장시킬 수 있는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및 이를 이용한 치료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는, 제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격자형 구조로 엮어 형성되는 원통형 망사 형태의 제1 스텐트; 및 상기 제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보다 높은 온도에서 원 형상으로 복원되는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상기 제1 스텐트에 나선형 구조로 엮어 형성되는 제2 스텐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36~38℃에서 원 형상으로 복원되는 니티놀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39~45℃에서 원 형상으로 복원되는 니티놀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는, 형상기억의 온도가 생체 온도인 제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격자형 구조로 엮어 형성되는 원통형 망사 형태의 제1 스텐트; 및 형상기억의 온도가 상기 생체 온도보다 높은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상기 제1 스텐트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엮어 형성되는 제2 스텐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스텐트는, 상기 제1 스텐트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엮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텐트는, 서로의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텐트는, 인접된 스텐트 간의 이격 거리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스텐트는, 형상기억의 온도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를 이용한 치료 장치는, 상술한 여러 실시예에 따른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중 어느 하나의 스텐트; 및 상기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에 전자기장을 가해 상기 스텐트를 재팽창시키는 전자기장 발생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텐트 삽입 후에 인체 내의 내강이 재협착된 경우, 스텐트를 다시 팽창시켜 재협착으로 인해 좁아진 통로를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텐트의 일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를 이용한 치료 장치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10)는 제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격자형 구조로 엮어 형성되는 원통형 망사 형태의 제1 스텐트(11) 및 상기 제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보다 높은 온도에서 원 형상으로 복원되는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상기 제1 스텐트(11)에 나선형 구조로 엮어 형성되는 제2 스텐트(12)를 포함한다. 제1 스텐트(11) 위에 제2 스텐트(12)가 엮이며, 제2 스텐트(12)의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형상 기억 온도가 제1 스텐트(11)의 제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보다 높아 제2 스텐트(12)에 열을 가하면 제2 스텐트(12)의 원 형상 복원에 의해 제1 스텐트(11)까지 팽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제1 스텐트(11)는 제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격자형 구조로 엮어 형성되며, 중공을 가진 원통형 망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스텐트(11)의 제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36~38℃에서 원 형상으로 복원되는 니티놀(nitinol)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티놀(nitinol) 형상기억합금은 니켈(Ni)과 티타늄(Ti)을 섞은 합금으로써, 변형되어도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제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가 36~38℃에서 원 형상으로 복원되는 니티놀(nitinol) 형상기억합금이므로, 인체의 내강 내에서 원 형상을 유지하려는 성질을 가지게 된다. 제1 스텐트(11)를 형성하는 과정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상의 지그를 이용하여 내부에 중공을 구비한 원통형의 구조체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2 스텐트(12)는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제1 스텐트(11)에 나선형(spiral) 구조로 엮어 형성된다. 즉, 제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격자형 구조로 엮어 제1 스텐트(11)를 만든 후, 상기 제1 스텐트(11)의 위에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나선형 구조로 엮어 상기 제1 스텐트(11)를 제2 스텐트(12)가 둘러싸는 형태로 만들게 된다. 제2 스텐트(12)를 형성하는 과정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상의 지그를 이용하여 제2 스텐트(12)를 제1 스텐트(11) 위에 둘러싸게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나선형 구조로 엮는다. 격자형 구조의 제1 스텐트(11)에 나선형 구조의 제2 스텐트(12)를 엮을 수 있어 하나의 지그만으로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10)를 만들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스텐트(12)의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39~45℃에서 원 형상으로 복원되는 니티놀(nitinol)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형상기억 온도가 39~45℃이고, 제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형상기억 온도가 36~38℃이므로,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10)에 열을 가하여 온도를 39~45℃ 정도로 상승시키면, 제2 스텐트(12)가 재팽창하게 된다. 또한, 제2 스텐트(12)의 재팽창에 따라 제1 스텐트(11)도 제2 스텐트(12)와 같이 팽창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20)는 형상기억의 온도가 생체 온도인 제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격자형 구조로 엮어 형성되는 원통형 망사 형태의 제1 스텐트(21) 및 형상기억의 온도가 상기 생체 온도보다 높은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상기 제1 스텐트(21)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엮어 형성되는 제2 스텐트(22)를 포함한다. 제1 스텐트(21) 위에 제2 스텐트(22)가 길이 방향으로 엮이며, 제2 스텐트(22)의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형상 기억 온도가 제1 스텐트(21)의 제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보다 높아 제2 스텐트(22)에 열을 가하면 제2 스텐트(22)의 원 형상 복원에 의해 제1 스텐트(21)까지 팽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제1 스텐트(21)는 제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격자형 구조로 엮어 형성되며, 중공을 가진 원통형 망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스텐트(21)의 제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생체 온도, 예를 들어 36~38℃ 정도에서 원 형상으로 복원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지그를 이용하여 내부에 중공을 구비한 원통형의 망사 구조체인 제1 스텐트(21)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2 스텐트(22)는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제1 스텐트(21)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엮어 형성된다. 격자형 구조의 제1 스텐트(21)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제2 스텐트(22)를 엮을 수 있고, 생체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형상기억을 갖는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가열하면 제2 스텐트(22)가 원 형상으로 복원되고, 같이 제1 스텐트(21)가 팽창하므로, 따라서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10)를 만들 수 있다. 이때, 길이 방향으로 제2 스텐트(22)를 제1 스텐트(21)에 엮을 때, 직선형뿐만 아니라, 구불구불한 곡선형으로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엮을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제2 스텐트(22)는 제1 스텐트(21)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엮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스텐트(22)가 제1 스텐트(21)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엮이게 되므로, 제2 스텐트(22)가 제1 스텐트(21)의 단면을 둘러싸는 것이 아니라, 제2 스텐트(22)가 제1 스텐트(21)의 단면을 일부만 둘러싸게 된다. 그러므로, 제2 스텐트(22)의 원 형상 복원 시, 제1 스텐트(21)를 끌어당기는 힘을 제2 스텐트(22)의 개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텐트(22)는 서로의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 제2 스텐트(22)가 제1 스텐트(21)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엮일 때, 제2 스텐트(22)를 이루는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제1 스텐트(21)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엮을 수 있다.
또한, 제2 스텐트(22)는 인접된 스텐트 간의 이격 거리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2 스텐트(22)가 제1 스텐트(21)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엮일 때, 제2 스텐트(22)를 이루는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간의 이격 거리를 다르게 하여 제1 스텐트(21)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엮을 수 있다. 제2 스텐트(22)가 제1 스텐트(21)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엮일 때, 제2 스텐트(22)를 이루는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각각의 형상기억 온도를 다르게 하여 제1 스텐트(21)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엮을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텐트(22)는 형상기억의 온도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텐트(22)를 이루는 각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형상기억 온도를 39, 40, 41, 42, 43, 44, 45℃ 등으로 하고, 상기 각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제1 스텐트(21)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엮으면, 가열되는 시간에 따라 각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가 순차적으로 원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렇게 제2 스텐트(22)의 각각의 길이, 이격 거리, 형상기억의 온도 등을 다르게 함으로써,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20)의 팽창 복원력을 내강의 크기, 모양 등에 따라 적절히 설계할 수 있다.
도 7은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를 이용한 치료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를 이용한 치료 장치는 상술한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10, 20) 및 제2 스텐트(12, 22)의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에 전자기장을 가해 상기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10, 20)를 재팽창시키는 전자기장 발생기(5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화 기관(5) 내에 종양(7)이 발생한 경우, 스텐트(10)를 삽입하여 기관(5)의 통로를 확보하게 되나, 상기 종양(7)이 다시 증식하게 되면 기관(5)의 재협착이 발생한다. 이때, 스텐트(10)에 전자기장(M)을 가하여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가열할 수 있고, 온도가 제2 스텐트(12, 22)의 형상기억 온도에 도달하면 제2 스텐트(12, 22)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된다. 그리고, 제2 스텐트(12, 22)가 엮인 제1 스텐트(11, 21)도 같이 팽창함으로써, 스텐트(10, 20)가 종양(7)을 밀어내게 된다.
그러므로, 종양(7) 등이 다시 증식하여 기관(5)이 재협착되더라도, 스텐트(10, 20)를 재시술하지 않고,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에 열을 가하여 간단하게 스텐트(10, 20)를 재팽창시킴으로써, 좁혀진 통로를 확대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20: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11, 21: 제1 스텐트 12, 22: 제2 스텐트
50: 전자기장 발생기

Claims (9)

  1. 제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격자형 구조로 엮어 형성되는 원통형 망사 형태의 제1 스텐트; 및
    상기 제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보다 높은 온도에서 원 형상으로 복원되는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상기 제1 스텐트에 나선형 구조로 엮어 형성되는 제2 스텐트를 포함하는,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36~38℃에서 원 형상으로 복원되는 니티놀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39~45℃에서 원 형상으로 복원되는 니티놀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4. 형상기억의 온도가 생체 온도인 제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격자형 구조로 엮어 형성되는 원통형 망사 형태의 제1 스텐트; 및
    형상기억의 온도가 상기 생체 온도보다 높은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상기 제1 스텐트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엮어 형성되는 제2 스텐트를 포함하는,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텐트는,
    상기 제1 스텐트의 외주면에 복수개가 엮어 형성되는,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텐트는,
    서로의 길이가 상이한,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텐트는,
    인접된 스텐트 간의 이격 거리가 서로 상이한,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텐트는,
    형상기억의 온도가 서로 상이한,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텐트; 및
    상기 제2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에 전자기장을 가해 상기 스텐트를 재팽창시키는 전자기장 발생기를 포함하는,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를 이용한 치료 장치.
KR1020150081517A 2015-06-09 2015-06-09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및 이를 이용한 치료 장치 Active KR101668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517A KR101668373B1 (ko) 2015-06-09 2015-06-09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및 이를 이용한 치료 장치
PCT/KR2016/005933 WO2016200103A1 (ko) 2015-06-09 2016-06-03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및 이를 이용한 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517A KR101668373B1 (ko) 2015-06-09 2015-06-09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및 이를 이용한 치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373B1 true KR101668373B1 (ko) 2016-10-21

Family

ID=57257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517A Active KR101668373B1 (ko) 2015-06-09 2015-06-09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및 이를 이용한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8373B1 (ko)
WO (1) WO2016200103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430A (ko) * 2018-08-28 2020-03-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텐트 시술장치
KR20220048999A (ko) * 2019-07-16 2022-04-20 마이크로벤션, 인코포레이티드 형상 특성이 개선된 의료 장비
WO2023120890A1 (ko) * 2021-12-24 2023-06-2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형상기억 와이어 편조형 재팽창 스텐트
WO2023128148A1 (ko) * 2021-12-31 2023-07-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
KR20230140838A (ko) 2022-03-30 2023-10-1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혈류감응형 혈관 외부 스텐트
KR20240045524A (ko) 2022-09-30 2024-04-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열수축 재팽창스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02015011376B1 (pt) 2015-05-18 2023-04-04 Murilo Pundek Rocha Brônquio artificial implantável
FR3093913B1 (fr) * 2019-03-18 2023-10-20 Mdb Texinov Endoprothèse vasculaire
USD902407S1 (en) 2019-11-19 2020-11-17 Pulmair Medical, Inc. Implantable artificial bronchus
CN111904657A (zh) * 2020-09-21 2020-11-10 宜宾市第一人民医院 一种防i型内漏支架装置
USD954953S1 (en) 2020-11-03 2022-06-14 Pulmair Medical, Inc. Implantable artificial bronchus
USD1014758S1 (en) 2023-04-19 2024-02-13 Pulmair Medical, Inc. Implantable artificial bronchu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899A (ko) * 1998-12-28 2000-07-15 김서곤 내강 확장용 스텐트와 그 제조방법
US20100082093A1 (en) * 2004-01-22 2010-04-01 Scimed Life Systems, Inc. Medical Devices
KR20110057514A (ko) 2009-11-24 2011-06-01 김진태 이중구조의 피막형 스텐트 및 이 스텐트의 설치방법
US20130197623A1 (en) * 2011-08-04 2013-08-01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Non-woven helical wire stent
KR20130106115A (ko) 2012-03-19 2013-09-27 주식회사 엠아이텍 플렉서블 스텐트
KR20140140077A (ko) * 2012-03-16 2014-12-08 마이크로벤션, 인코포레이티드 스텐트 및 스텐트 전달 장치
KR20150051646A (ko) 2013-11-05 2015-05-13 주식회사 비씨엠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형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미끄럼 방지형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090A (ko) * 2009-12-07 2011-06-15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899A (ko) * 1998-12-28 2000-07-15 김서곤 내강 확장용 스텐트와 그 제조방법
US20100082093A1 (en) * 2004-01-22 2010-04-01 Scimed Life Systems, Inc. Medical Devices
KR20110057514A (ko) 2009-11-24 2011-06-01 김진태 이중구조의 피막형 스텐트 및 이 스텐트의 설치방법
US20130197623A1 (en) * 2011-08-04 2013-08-01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Non-woven helical wire stent
KR20140140077A (ko) * 2012-03-16 2014-12-08 마이크로벤션, 인코포레이티드 스텐트 및 스텐트 전달 장치
KR20130106115A (ko) 2012-03-19 2013-09-27 주식회사 엠아이텍 플렉서블 스텐트
KR20150051646A (ko) 2013-11-05 2015-05-13 주식회사 비씨엠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형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미끄럼 방지형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430A (ko) * 2018-08-28 2020-03-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텐트 시술장치
KR102138632B1 (ko) * 2018-08-28 2020-07-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텐트 시술장치
KR20220048999A (ko) * 2019-07-16 2022-04-20 마이크로벤션, 인코포레이티드 형상 특성이 개선된 의료 장비
KR102765435B1 (ko) 2019-07-16 2025-02-13 마이크로벤션, 인코포레이티드 전이온도에 따른 형상 특성을 갖는 의료용 삽입물
WO2023120890A1 (ko) * 2021-12-24 2023-06-2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형상기억 와이어 편조형 재팽창 스텐트
KR20230097621A (ko) * 2021-12-24 2023-07-0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형상기억 와이어 편조형 재팽창 스텐트
KR102612046B1 (ko) * 2021-12-24 2023-12-0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형상기억 와이어 편조형 재팽창 스텐트
WO2023128148A1 (ko) * 2021-12-31 2023-07-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
KR20230103109A (ko) * 2021-12-31 2023-07-0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
KR102612056B1 (ko) * 2021-12-31 2023-12-0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
KR20230140838A (ko) 2022-03-30 2023-10-1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혈류감응형 혈관 외부 스텐트
KR20240045524A (ko) 2022-09-30 2024-04-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열수축 재팽창스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0103A1 (ko)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373B1 (ko) 재팽창이 가능한 스텐트 및 이를 이용한 치료 장치
JP3708923B2 (ja) 形状記憶合金を用いた可変状態保持型拡張機構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拡張機構製造機
US5354309A (en) Apparatus for widening a stenosis in a body cavity
JP3717931B2 (ja) 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6547818B1 (en) Selectively thinned coiled-sheet stent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EP1871292B1 (en) Flexible stent
JP5036116B2 (ja) 血管内ステント
JP2006506201A (ja) メッシュ状構造を有した医療用インプラント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の製造方法によって得られたインプラント
JP6153011B2 (ja) 滑り止めステントの製造方法
KR20180026807A (ko) 관내 디바이스
JP2018526115A (ja) 拡張可能な脈管ステント
JP6081948B2 (ja) 柔軟性ステント
JP6617994B2 (ja) 端部の抵抗力が強化された医療用ステン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ステント
KR20170012975A (ko) 미끄럼 방지 기능이 향상된 스텐트
KR20220052796A (ko) 혈전 제거용 스텐트
KR101602400B1 (ko) 스텐트 제조 방법
US20150250579A1 (en) Polymer stent with tunable axial and radial flexibility
KR102133818B1 (ko) 미끄럼 방지용 스텐트
US20170172767A1 (en) Stents for placement in an anatomical passageway and methods
US10258488B2 (en) Stent
KR102612046B1 (ko) 형상기억 와이어 편조형 재팽창 스텐트
EP3369399B1 (en) Method of forming a bend of a predetermined bend angle in a shape memory alloy wire and method of making a self-expanding stent
JP2011160915A (ja) 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5179561A1 (en) Polymer stent with tunable axial and radial flexibility
KR100406255B1 (ko) 스텐트및그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