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161B1 - Trap apparatus - Google Patents
Trap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8161B1 KR101668161B1 KR1020140168998A KR20140168998A KR101668161B1 KR 101668161 B1 KR101668161 B1 KR 101668161B1 KR 1020140168998 A KR1020140168998 A KR 1020140168998A KR 20140168998 A KR20140168998 A KR 20140168998A KR 101668161 B1 KR101668161 B1 KR 1016681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actuating
- main body
- support
- oper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04—Collecting-traps with tipping platform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01M23/18—Box traps with pivoted closure flap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01M23/22—Box traps with dropping cov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포획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포획장치는: 포획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상부로 오르도록 구비되는 오름판과,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작동판 및 작동판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vention relating to a trapping apparatus is disclosed. The disclosed capturing apparatus includes: a body formed with a capturing space; an ascending plate provided to climb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an actuating plat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to selectively open and an actuating portion operable to selectively open the actuating plate .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붉은귀거북을 포획하는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pp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pping apparatus for trapping a red-eared turtle which disturbs an ecosystem.
연구 또는 생태계의 보존을 목적으로 하여 야생 동물을 포획하는 일이 번번하다.Capturing wildlife for the purpose of research or conservation of ecosystems.
특히, 거북의 경우 근자에 외래종인 붉은귀거북 등이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즉, 붉은귀거북은 잡식성의 반수생 민물붉은귀거북으로 남생이와 사는 곳이 겹쳐 토착종인 남생이를 밀어내고 자리잡아 남생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될 정도로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또한, 토종 붕어등도 가리지 않는 식성에 수중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있다.In particular, turtle species such as red ewe turtles, which are exotic species in recent times, are threatening ecosystems. In other words, red-eared turtle is an omnivorous half-life freshwater red-eared tortoise, where the soul and the place where the soul overlaps, pushing out the native species, and the population is rapidly decreasing so that the soul is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In addition, aquatic ecosystems are disturbed by irregularities such as native carp.
이러한 붉은귀거북은 통상적으로 물가에서 자생하면서 수중과 육지를 오가며 생활을 하며, 주로 호수, 습지, 저수지, 유속이 느린 곳에서 서식하고, 수중에서도 장시간 활동을 할 수 있으나, 일정시간이 지나면 수면으로 올라와 호흡을 한 후 다시 수중으로 잠수를 하며, 일광욕을 하는 습성을 지니고 있다.These red-eared turtles usually live in the water, living in the water and land, and live in lakes, wetlands, reservoirs, slow-flow areas, and can work for a long time in the water. It has a habit of going up and diving again after breathing and sunbathing.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42075호 (공고일 : 2012.05.07, 발명의 명칭 : 민물붉은귀거북 생포용 덧 ) 가 있다.
A related prior art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142075 (public announcement date: 2012.05.07, title of invention: freshwater red tortoise turtle shoots).
본 발명의 목적은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붉은귀거북을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고, 단순한 구조를 통해 제작이 용이하며, 붉은귀거북의 습성을 이용하여 포획이 가능한 상태에서 작동부가 작동될 수 있어 포획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asily capture a red-eared turtle which disturbs an ecosystem, and to easily manufacture the red-eared turtle by a simple structure, And to provide a captur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aptured image.
본 발명에 따른 포획장치는: 포획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로 오르도록 구비되는 오름판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작동판 및 상기 작동판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in which a catching space is formed; a rising plate provided to rise to the top of the main body; an operating plate selectively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an actuating part for actuating the actuator.
또한, 상기 작동판은 상기 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operation plate is formed as a pair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작동판은 각각 상기 본체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개방되며, 작동판복원부재에 의해 최초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each of the operating plates is hinged to the main body,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and is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operating plate restoring member.
또한, 상기 작동판복원부재는 상기 작동판의 외측단에 형성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plate restoration member may include a weight formed at an outer end of the operation plate.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하중에 의해 회동되는 발판과, 상기 작동판을 상기 본체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발판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기 지지부의 지지를 해제하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ng portion may include a foot plat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rotated by a load,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operation plate from the main body, and an interlocking portion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foot plate to release support of the support portion .
또한, 상기 발판은 발판복원부재에 의해 최초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ootrest is restored to its initial position by the footrest restoring member.
또한, 상기 발판은 상기 오름판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oot plate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scending plate.
또한, 상기 연동부는 상기 발판과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부재 및 상기 와이어부재를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linkage portion includes a wire member connecting the foot plate and the support portion, and a guide member guiding the wire member.
본 발명에 따른 포획장치는 본 발명의 목적은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붉은귀거북의 습성을 이용하여 포획할 수 있고, 특히 붉은귀거북이 작동판에 도달한 상태에서 작동판이 작동될 수 있어 포획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capt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apturing using the habit of a red-eared turtle which disturbs an ecosystem, and in particular, the operation plate can be operated in a state where the red-eared turtle has reached the operation plate, .
또한, 본 발명은 발판의 회동에 의해 작동판이 연동되는 구조에 의해 별도의 작동수단을 구비하지 않아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작동판과 발판이 구조적 특징에 의해 최초위치로 복원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포획작동이 가능한 효과를 지닌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ion plate is interlocked by the rotation of the foot plate,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because no separate operation means is provided, and since the operation plate and the foot plate can be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structural feature, This has a possible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의 작동판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의 발판 작동에 의한 작동판의 직동을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pp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trap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5 is a view showing operation plate operation of the trap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late by the foot operation of the ca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획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tra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의 작동판 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의 발판 작동에 의한 작동판의 직동을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pp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a trapp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plate operation of the trap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late by the footrest operation of the tra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100)는 본체(110), 오름판(120), 작동판(130) 및 작동부(140)를 포함한다.1 to 6, the captur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100)는 호수, 습지, 저수지 등 유속이 느린 곳에서 서식하며,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붉은귀거북을 포획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포획장치(100)는 붉은귀거북이 비타민 D₃합성, 소화촉진, 체온조절, 면역체계활성화, 살균 및 휴식을 위한 일광욕이 필수적인 습성을 이용하여 붉은귀거북을 포획한다.The capturing
본체(110)는 포획공간(112)이 구비된다. 즉,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붉은귀거북을 포획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The
오름판(120)은 본체(110)의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붉은귀거북이 본체(110)의 상부로 오를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이는 붉은귀거북이 일광욕을 위해 바위나 물 위의 지형지물에 오르는 습성을 이용하여 붉은귀거북을 포획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작동판(130)은 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방된다. 이러한 작동판(130)은 도 4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하부로 회동되어 양측으로 벌어지므로 붉은귀거북을 포획공간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The
작동판(130)은 각각 본체(110)에 작동판힌지축(132)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작동부(140)의 작동에 의해 개방되며, 작동판복원부재(135)에 의해 최초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The
작동판복원부재(135)는 작동판(130)의 외측단에 형성되는 무게추로 이루어진다. 즉, 작동판(130)의 외측은 본체(11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작동판(130)의 외측단에 작동판복원부재(135)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는 작동판(130)을 작동판복원부재(135)의 무게에 의해 피벗운동하게 하므로써, 작동판(130)이 본체(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최초위치로 복원할 수 있다. 이때, 작동판복원부재(135)는 작동판(130)의 외측단 저면에 형성된다.The operation
작동부(140)는 작동판(130)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작동시킨다. 이러한 작동부(140)는 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하중에 의해 회동되는 발판(150)과, 작동판(130)을 본체(110)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160) 및 발판(150)의 회동에 연동되어 지지부(160)의 지지를 해제하는 연동부(170)를 포함한다.The actuating
발판(150)은 본체(110)에 발판경첩(152)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작동판(130)과 마찬가지로 발판복원부재(155)에 의해 최초위치로 복원된다. 즉, 발판(150)의 외측은 본체(11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발판(150)의 외측단에 발판복원부재(155)가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판(130)의 개폐방향의 직각방향에 구비되어 개폐된다. 그리고, 발판(150)은 오름판(120)의 반대측에 구비된다. 이는 붉은귀거북이 일광욕을 위해 오름판(120)을 통해 본체(110)의 상부로 올라온 상태에서 작동판(130)을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붉은귀거북의 포획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지지부(160)는 본체(110)에 힌지 연결되는 제1작동바(162)와, 작동판(130)에 힌지 연결되는 제2작동바(164) 및 제1작동바(162)와 제2작동바(164)가 일측방향으로만 접어지도록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재(165)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동부(170)는 발판(150)과 지지부(160)를 연결하는 와이어부재(172) 및 와이어부재(172)를 안내하는 안내부재(175)를 포함한다.The supporting
힌지부재(165)는 제1작동바(162)와 제2작동바(164)의 일면을 상호 연결하고, 일측으로 접어지는 작동경첩을 포함한다. 즉, 도 4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작동바(162)와 제2작동바(164)는 단부가 상호 접하며, 힌지부재(165)가 제1,2작동바의 본체(110) 내측방향으로 구비되어 본체(110)의 외측방향으로 접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와이어부재(172)의 일단은 발판(150)에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부(160) 중 힌지부재(165)와 인접하게 연결된다.The
이때, 제1,2작동바(162,164)와 힌지부재(165)에 의해 원활하게 접어질 수 있도록 안내부재(175)에 의해 와이어부재(172)는 본체(110)의 측면에서 지지부(160)방향으로 연결된다. 즉,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재(175)는 본체(110)의 측면에 구비되는 안내홀(176)과 안내홀(176)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원형링(177)으로 이루어진다. 본체(110)의 측면 각각에는 2개의 안내홀(176)이 형성되며, 발판(150)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172)는 첫번째 안내홀(176)을 통해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되고, 두번째 안내홀(176)을 통해 본체(110) 내부로 삽입되어 힌지부재(165)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원형링(177)은 안내홀(176)의 날카로운면을 제거할 수 있어 와이어부재(172)와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와이어부재(172)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The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trapp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100)는 붉은귀거북에 대한 생태계파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붉은귀거북이 일광욕하는 습성을 이용하여 붉은귀거북을 포획할 수 있는 장치이다.First, the capturing
붉은귀거북을 포획하기 위해 붉은귀거북이 서식하는 호수, 습지, 저수지 등 유속이 느린 곳에 포획장치(100)를 설치한다.In order to capture the red eared turtle, the
본체(110)의 전면에는 경사지게 구비되는 오름판(120)이 구비되며, 본체(110)의 상부는 작동판(130)에 의해 커버된 상태이다. 붉은귀거북은 비타민 D₃합성, 소화촉진, 체온조절, 면역체계활성화, 살균 및 휴식 위해 일광욕이 필수적임으로 오름판(120)을 이용하여 물밖으로 나오게 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붉은귀거북은 일광욕을 위해 오름판(120)을 따라 본체(110)의 상부로 오르고, 작동판(130)의 상부에 도달하여 일광욕을 하게 된다. 이때, 작동판(130)은 지지부(160)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다.The red-eared turtle ascends to the upper part of the
이후, 작동판(130)의 상부로 일광욕을 위해 오른 붉은귀거북이 발판(150)에 도달하게 되면, 발판(15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발판(150)은 발판경첩(152)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되고, 발판(150)의 회동과 연동되어 작동부(140)가 작동되어 작동판(130)을 개방하게 된다.Then, when the right red-eared tortoise reaches the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붉은귀거북의 하중에 의해 발판(150)이 회동되게 되면, 발판(150)에 연결된 와이어부재(172)가 당겨지게 되고, 와이어부재(172)의 당겨짐에 의해 제1,2작동바(162,164)는 힌지부재(165)를 중심으로 접어지게 되어 작동판(130)의 지지를 해제시킨다. When the
지지부(160)의 지지가 해제됨에 따라 작동판(130)은 붉은귀거북의 하중에 의해 작동판힌지축(132)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벌어지게 된다. 이처럼 작동판(130)이 하부로 회동되어 벌어지면, 작동판(130) 상부에 위치한 붉은귀거북은 본체(110)의 포획공간(112)으로 떨어져 포획된다.As the supporting
이때, 와이어부재(172)는 안내홀(176)에 의해 힌지부재(165)의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2작동바(162,164)의 원활한 접힘 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원형링(177)에 의해 와이어부재(172)과 안내홀(176)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와이어부재(172)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처럼 작동판(130)의 벌어짐으로 붉은귀거북이 포획된 이후, 발판(150)과 작동판(130)은 각각의 발판복원부재(155)와, 작동판복원부재(135)의 하중에 의해 최초위치로 복원된다.After the red ear turtle has been caught by the widening of the working
발판복원부재(155)와 작동판복원부재(135)는 각각의 발판(150)과 작동판(130)의 외측단 저면에 형성되고, 기립된 상태에서도 각각의 발판경첩(152)과, 작동판힌지축(132)의 외측에 위치되므로 하중에 의해 발판(150)과 작동판(130)을 최초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The
그리고, 작동판(130)의 최초위치 복원에 의해 지지부(160)가 작동판(130)을 지지한 상태이므로 지속하여 붉은귀거북을 포획할 수 있다.Since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획장치에 의하면,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붉은귀거북을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으며, 발판의 회동에 의해 작동판이 연동되는 구조에 의해 별도의 작동수단을 구비하지 않아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작동판과 발판이 구조적 특징에 의해 최초위치로 복원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포획작동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ap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 turtle turtles disturbing the ecosystem can be easily captured, and the operation plate is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foot plate, The production cost is reduced, and the operation plate and the foot plate can be restor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structural feature, so continuous capture operation is possibl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 포획장치 110 : 본체
112 : 포획공간 120 : 오름판
130 : 작동판 132 : 작동판힌지축
135 : 작동판복원부재 140 : 작동부
150 : 발판 152 : 발판경첩
155 : 발판복원부재 160 : 지지부
162 : 제1작동바 164 : 제2작동바
165 : 힌지부재 170 : 연동부
172 : 와이어부재 175 : 안내부재
176 : 안내홀 177 : 원형링100: capturing device 110: main body
112: Capture space 120: Upright plate
130: operating plate 132: operating plate hinge axis
135: operating plate restoring member 140: operating part
150: foot plate 152: foot plate hinge
155: footrest restoring member 160:
162: first operating bar 164: second operating bar
165: hinge member 170:
172: wire member 175: guide member
176: Guide hole 177: Circular ring
Claims (8)
상기 작동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하중에 의해 회동되는 발판;
상기 작동판을 상기 본체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발판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기 지지부의 지지를 해제하는 연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은 상기 오름판의 반대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에 힌지 연결되는 제1작동바;
상기 작동판에 힌지 연결되는 제2작동바; 및
상기 제1작동바와 상기 제2작동바가 상기 작동판을 지지하도록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발판과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발판의 회동시 상기 지지부의 지지를 해제시키는 와이어부재; 및
상기 와이어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획장치.
An operation plate which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selectively opened and an operation portion which is operated to selectively open the operation plate;
The operation unit includes a footres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rotated by a loa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operation plate from the main body; And
And an interlocking portion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footrest to release support of the support portion;
The foot plate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scending plate;
The suppor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operating bar hinged to the main body;
A second actuating bar hinged to the actuating plate; And
And a hinge member for hinge-connecting the first actuating bar and the second actuating bar to support the actuating plate;
Wherein the interlocking portion comprises a wire member connecting the foot plate and the support portion and releasing support of the support portion when the foot plate is rotated; And
And a guide member for guiding movement of the wire member.
상기 작동판은 상기 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tuating plate is formed of a pair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dy.
상기 작동판은 각각 상기 본체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개방되며, 작동판복원부재에 의해 최초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획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each of the operating plates is hinged to the main body,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and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operating plate restoring member.
상기 작동판복원부재는 상기 작동판의 외측단에 형성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획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ctuating plate restoring member includes a weight formed at an outer end of the actuating plate.
상기 발판은 발판복원부재에 의해 최초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획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otres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footrest restoring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8998A KR101668161B1 (en) | 2014-11-28 | 2014-11-28 | Trap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8998A KR101668161B1 (en) | 2014-11-28 | 2014-11-28 | Trap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5370A KR20160065370A (en) | 2016-06-09 |
KR101668161B1 true KR101668161B1 (en) | 2016-10-21 |
Family
ID=5613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8998A Active KR101668161B1 (en) | 2014-11-28 | 2014-11-28 | Trap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816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0919B1 (en) | 2022-06-14 | 2023-05-10 | 최진호 | red-eared slider trapping device |
KR102604355B1 (en) | 2022-09-26 | 2023-11-23 | 최진호 | Apparatus for capturing ecological disturbance exotic turtle with improved capture efficienc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08833A (en) * | 2016-10-19 | 2017-03-22 | 晏新海 | Device for catching soft-shelled turtles |
KR102508126B1 (en) * | 2022-09-01 | 2023-03-08 | 공명식 | Floating type ecological disturbance species capturing device for maintaining survivability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16577B2 (en) * | 1990-08-03 | 2000-03-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Vibration wave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77641A (en) * | 1981-04-25 | 1982-11-01 | Hideaki Murakami | Continuous and automatic rat killing device |
US4925428A (en) * | 1989-04-04 | 1990-05-15 | Sonesson Harald V | Ball with unbalance mechanism |
JPH11289957A (en) * | 1998-04-13 | 1999-10-26 | Masanori Fujisaki | Animal trap |
-
2014
- 2014-11-28 KR KR1020140168998A patent/KR10166816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16577B2 (en) * | 1990-08-03 | 2000-03-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Vibration wave devic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0919B1 (en) | 2022-06-14 | 2023-05-10 | 최진호 | red-eared slider trapping device |
KR20230171862A (en) | 2022-06-14 | 2023-12-21 | 최진호 | Hazardous turtles capturing device |
KR102604355B1 (en) | 2022-09-26 | 2023-11-23 | 최진호 | Apparatus for capturing ecological disturbance exotic turtle with improved capture efficienc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5370A (en) | 2016-06-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8161B1 (en) | Trap apparatus | |
CA2762699C (en) | Coverable fish net apparatus | |
AU2007200854A1 (en) | Foldable fish-trap | |
JP3185114U (en) | Floating island type turtle capture device | |
FR2919016B3 (en) | DEVICE FOR EXTRACTING A MATERIAL LOCATED AT THE BOTTOM OF A WATER EXTEND AND ASSOCIATED METHOD | |
KR101142075B1 (en) | bait trap for catching freshwater turtles | |
US8516737B2 (en) | Coverable fish net apparatus | |
TWI304108B (en) | ||
KR20160102796A (en) | Apparatus for catching mouse | |
CN203675932U (en) | Clean mosquito and fly catching device | |
KR20180060649A (en) | Structure of prop for beehive | |
FR3051100A1 (en) | DEVICE FOR CAPTURING INSECTS, IN PARTICULAR FLIES | |
WO2006136744A3 (en) | Floating station for aquatic exercises | |
AU2009214838A1 (en) | Device for removing marine animals from an aquaculture tank | |
CA2816068C (en) | Coverable fish net apparatus | |
TWI553195B (en) | Deodorize and insect repelling anti-water backflow drainage head | |
JP2007313211A (en) | Underwater muscular strength training machine | |
DE202005014161U1 (en) | Umbrella in particular to be used by single person, comprising asymmetrically positioned shaft | |
FR2581886A1 (en) | Submersible floor for a swimming pool | |
SE1250353A1 (en) | Capture device | |
US204538A (en) | Improvement in fish-traps | |
CN105010274A (en) | Foldable cage for trapping mudskipper on shoal | |
DE202009003449U1 (en) | Multifunctional trap for capturing free-living cats for animal welfare reasons | |
JP2007037524A (en) | Animal-trapping device | |
JP2005261381A (en) | Capturing c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