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999B1 - 내열성 및 강도가 우수한 내열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내열성 및 강도가 우수한 내열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7999B1 KR101667999B1 KR1020150152601A KR20150152601A KR101667999B1 KR 101667999 B1 KR101667999 B1 KR 101667999B1 KR 1020150152601 A KR1020150152601 A KR 1020150152601A KR 20150152601 A KR20150152601 A KR 20150152601A KR 101667999 B1 KR101667999 B1 KR 1016679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istant material
- polyester resin
- resin foam
- heat
- densit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 B29C47/0042—
-
- B29C47/04—
-
- B29C47/2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Description
열 전도율 (W/mK) |
밀도 (kg/m3) | 굴곡강도 (N/cm2) |
||
실시예 1 | 0.031 | 60 | 60 | |
실시예 2 | 내측 | 0.031 | 45 | 55 |
외측 | 60 | |||
비교예 | 0.03 | 40 | 15 |
치수 변화율 (%) | |
실시예 1 | 0.5 |
실시예 2 | 0.48 |
비교예 | 6.8 |
Claims (11)
-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체를 포함하며,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내열재:
[수학식 1]
|V1-V0| / V0 x 100 ≤ 5%
상기 수학식 1에서,
V0은 100℃에서 3 시간 동안 노출 전 내열재의 체적(mm3)이고,
V1은 100℃에서 3 시간 동안 노출 후 내열재의 체적(mm3)이다.
- 제 1 항에 있어서,
열전도도가 0.04 W/mK 이하인 내열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체의 밀도(KS M ISO 845)는 20 내지 230 kg/m3인 내열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체는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내열재:
[수학식 2]
X/Y ≥ 1.5
상기 수학식 2에서 X는 KS M ISO 844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의 굴곡강도(N/cm2)를 나타내고, Y는 KS M ISO 845에 폴리에스테르 따른 수지 발포층의 밀도(kg/m3)를 나타낸다.
- 제 1 항에 있어서,
밀도(KS M ISO 845)가 20 내지 100 kg/m3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 및
밀도가 110 내지 230 kg/m3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층이 복합된 구조인 내열재.
- 이중 환형 노즐을 통해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체를 압출하되,
상기 이중 환형 노즐 중에서,
내측 노즐에서 압출되는 발포체의 밀도와 외측 노즐에서 압출되는 발포체의 밀도 차는 10 kg/m3 이상인 내열재 제조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환형 노즐에서 발포체 압출 과정에서 공급되는 발포제는 각각 열분해성 발포제 및 휘발성 발포제 중 1 종 이상이며,
내측 노즐에서 압출시 사용된 발포제와 외측 노즐에서 압출시 사용된 발포제는 동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재 제조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이중 환형 노즐에서,
내측 노즐에서 압출시 공급되는 발포제는 탄산 가스이고,
외측 노즐에서 압출시 공급되는 발포제는 탄산 가스 및 시클로펜탄의 혼합 가스인 내열재 제조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탄산 가스 및 시클로펜탄의 복합 발포제는,
탄산 가스와 시클로펜탄이 1:0.1 내지 1:10의 유량비율로 혼합된 내열재 제조방법.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내열재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용기는 식품 포장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2601A KR101667999B1 (ko) | 2015-10-30 | 2015-10-30 | 내열성 및 강도가 우수한 내열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2601A KR101667999B1 (ko) | 2015-10-30 | 2015-10-30 | 내열성 및 강도가 우수한 내열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67999B1 true KR101667999B1 (ko) | 2016-10-21 |
Family
ID=5725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2601A Active KR101667999B1 (ko) | 2015-10-30 | 2015-10-30 | 내열성 및 강도가 우수한 내열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799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63651A (ja) * | 1995-11-28 | 1997-10-07 | Dainippon Ink & Chem Inc | 発泡体及び積層体 |
KR20000018836A (ko) | 1998-09-05 | 2000-04-06 | 윤종용 | 튜너 회로 설계 방법 |
KR20010060152A (ko) * | 1999-12-21 | 2001-07-06 | 서관호 | 가교화된 폴리에스테르 성형물의 제조방법 |
JP2002201260A (ja) * | 2000-10-23 | 2002-07-19 | Mitsubishi Gas Chem Co Inc | 発泡体用ポリエステル樹脂、ポリエステル樹脂発泡体およびポリエステル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
-
2015
- 2015-10-30 KR KR1020150152601A patent/KR10166799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63651A (ja) * | 1995-11-28 | 1997-10-07 | Dainippon Ink & Chem Inc | 発泡体及び積層体 |
KR20000018836A (ko) | 1998-09-05 | 2000-04-06 | 윤종용 | 튜너 회로 설계 방법 |
KR20010060152A (ko) * | 1999-12-21 | 2001-07-06 | 서관호 | 가교화된 폴리에스테르 성형물의 제조방법 |
JP2002201260A (ja) * | 2000-10-23 | 2002-07-19 | Mitsubishi Gas Chem Co Inc | 発泡体用ポリエステル樹脂、ポリエステル樹脂発泡体およびポリエステル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6785B1 (ko) | 내한성이 우수한 수지 발포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 |
KR101759068B1 (ko) | 내구성이 우수한 차량용 내장재 | |
KR101888820B1 (ko) |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발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발포체 | |
KR101778629B1 (ko) | 친환경 내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 |
JP2021062622A (ja) | 耐熱性および加工性が優秀な食品容器用複合シートおよびそれで形成された食品容器 | |
KR101723815B1 (ko) | 가스 베리어층이 형성된 내열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 |
KR101784884B1 (ko) | 마스터배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체의 제조방법 | |
KR102456052B1 (ko) | 발포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78625B1 (ko) |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내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 |
KR101667999B1 (ko) | 내열성 및 강도가 우수한 내열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 |
KR101759062B1 (ko) | 경량성이 우수한 차량용 내장재 | |
KR101887897B1 (ko) | 가스 베리어 특성을 갖는 내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 |
KR102235854B1 (ko) | 기능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발포 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42601B1 (ko) | 외관이 개선된 내열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 |
KR101876929B1 (ko) | 기능성 첨가제가 분산된 영역을 포함하는 발포수지 접합체 | |
KR101706907B1 (ko) | 중공 구조를 포함하는 수지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83837B1 (ko) | 밀도 조절이 용이한 코어-쉘 구조의 발포체 | |
KR101802383B1 (ko) | 코어-쉘 구조의 발포체 | |
KR101767975B1 (ko) |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를 포함하는 가구용 자재 | |
KR101767984B1 (ko) | 난연성 및 단열성이 우수한 발포 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80904B1 (ko) | 기능성 첨가제가 분산된 영역을 포함하는 면상 적층체 | |
KR20170019852A (ko) | 기능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발포 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10869426A (zh) | 食品包装容器及其制备方法 | |
KR101753777B1 (ko) | 섬유가 분산된 발포 성형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11867799B (zh) | 两面加热型发泡片成型装置及利用其的成型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