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67701B1 - 멀티태스킹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태스킹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701B1
KR101667701B1 KR1020090079966A KR20090079966A KR101667701B1 KR 101667701 B1 KR101667701 B1 KR 101667701B1 KR 1020090079966 A KR1020090079966 A KR 1020090079966A KR 20090079966 A KR20090079966 A KR 20090079966A KR 101667701 B1 KR101667701 B1 KR 101667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applications
thumbnail image
display
st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388A (ko
Inventor
임재현
김동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9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701B1/ko
Publication of KR20110022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70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8Concurrent instruction execution, e.g. pipeline or look ahe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비활성화된 상태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멀티태스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동작 제어 방법. 본 발명의 멀티태스킹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는 각각이 고유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가지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활성화된 상태로 실행하고, 나머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된 상태로 실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로서, 디스플레이; 상기 비활성화된 상태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GUI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비활성화된 상태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 제어 수단; 및 사용자가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면 상기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실행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멀티태스킹, 애플리케이션, 썸네일, GUI

Description

멀티태스킹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HAVING MULTITASKING FUNCTIONALITY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태스킹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와 이와 같은 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수행하는 멀티태스킹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가 보편화되는 추세에 있다. 그렇지만, 이동 단말기의 특성상 이동 단말기에 탑재되는 화면은 제한된 크기를 가질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수행중인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한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들은 화면상에 표시되지 못한 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특정 애플리케이션만이 화면상에 표시된다.
이때,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들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가 한눈에 파악하기 어렵고, 애플리케이션 간의 작업 전환이 통상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이동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멀티태스킹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사용자가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고, 작업 전환을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가 갖는 디스플레이 크기의 제약을 극복하고 멀티태스킹의 수행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메모리, 표시 제어 수단 및 실행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멀티태스킹 기능 즉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어느 한 시점에 있어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GUI가 디스플레이의 전체 화면을 점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썸네일 표시 입력이 인가되면, 여타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영상이 화면을 점유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GUI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썸네일 영상은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응하여 생성되고 표시된다.
상기 이동단말기는 각각이 고유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가지는 다 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활성화된 상태로 실행하고, 나머지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된 상태로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활성화된 상태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GUI를 표시하거나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비활성화된 상태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저장한다.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GUI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비활성화된 상태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실행 제어 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면 상기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은 먼저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그리고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된 상태에서 실행하고, 제 1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 실행 상태로 전환하며, 제 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GUI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중첩시켜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썸네일 이미지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실행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 실행 상태로 전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태스킹 수행시에 간단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 스 환경을 제공하여 멀티태스킹 기능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기반으로 멀티태스킹 작업 정보를 제공하는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 및 동작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좁은 화면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 이동 단말기의 작업 수행 능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멀티태스킹" 이라는 용어는 동시에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독립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즉, 멀티태스킹은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부수하거나 보충하는 것에 국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동등한 레벨을 갖는 별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복수개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온라인 서비스, 메시지 기능, 통화 기능, 카메라 기능 및 동영상이나 음악 파일 재생 등의 각종 부가 기능 등 중 어느 하나를 말한다.
애플리케이션이 "수행 중" 또는 "실행 중" 이라는 용어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후 종료전의 상태를 의미하며,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라는 용어는 수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의 백그라운드(Background)가 아닌 포그라운드(Foreground) 영역에 표시된 상태를 의미한다. 반면, 애플리케이션의 "비활성화"라는 용어는 수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의 포그라운드(Foreground)가 아닌 백그라운드(Background) 영역에 표시된 상태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입력부(100), 메모리(200), 디스플레이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입력부(10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해 인가하는 입력 명령을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명령을 제어부(400)에 전달하여 제어부(400)가 이 명령에 따라 동작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입력, 비활성화된 상태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입력,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및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기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입력부(100)는 키 패드(110), 터치 패드(120), 가속도계(130), 마이크(140)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입력부(100)가 터치 패드(120)를 포함하는 경우에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입력은 화면 중 일정 부분 예컨대 썸네일 이미지 표시 영역을 터치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00)가 가속도계(130)를 포함하는 경우에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입력은 가속도계(130)가 이동 단말기의 소정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이 된다. 여기에서 소정의 움직임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 운동 또는 수평 및/또는 수직의 기타 운동을 포함한다.
메모리(200)는 제어부(4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210),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와, 송수신 또는 디스플레이를 위해 처리하 는 임시 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RAM(2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래시 메모리(210)는 이동 단말기의 하드웨어를 직접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하는 운영체제 및 운영체제 위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RAM(220)은 운영체제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RAM(220)은 비활성화된 상태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비활성화된 상태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인 경우에는 플래시 메모리(210)는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RAM(220)은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데이터 및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RAM(220)은 복수 개의 썸네일 이미지에 대한 표시 순서를 정하기 위한 우선순위 테이블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300)는 제어부(400)로부터 명령을 받아들이고, 이에 응답하여 비활성화된 상태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가 선택되면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한 애플리케이션의 GUI 화면이 디스플레이부(300)의 표시면을 점유하도록 한다.
제어부(400)는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400)는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GUI가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300)가 비활성화된 상태로 실행되 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면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디스플레이부(300)가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00)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입력을 전달받아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된 상태로 실행하고 활성화 상태인 애플리케이션이 있으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거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한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기호를 선택하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킨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400)의 상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400)는 멀티태스킹 제어부(410), 주 제어부(420) 및 UI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도 2에는 입력부(100), 메모리(200) 및 디스플레이부(300)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주 제어부(420)는 제어부(400) 내의 다른 구성 요소와 입력부(100), 메모리(200) 및 디스플레이부(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멀티태스킹 제어부는 이벤트 해석부(411), 썸네일 관리부(413), 우선순위 관리부(415), 표시 제어부(417) 및 실행 제어부(419)를 포함한다.
이벤트 해석부(411)는 주 제어부(420)로부터 입력부(100)를 통해 수신된 입력 이벤트를 해석하고, 입력 이벤트가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입력, 활성화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하기 위한 입력,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기 위한 입력 또는 그 밖의 다른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 한다.
이벤트 해석부(411)는 입력 이벤트가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입력인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417)에 전달하고, 활성화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하기 위한 입력,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입력 또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기 위한 입력인 경우에는 실행 제어부(419)로 전달한다. 또한 이벤트 해석부(411)는 그 밖의 입력에 대하여는 구현 예에 따라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거나 오류 메시지를 출력한다.
썸네일 관리부(413)는 실행 제어부(419)의 명령에 의하여 비활성화 상태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고 RAM(220)에 저장한다. 또한, 썸네일 관리부(413)는 실행 제어부(419)의 명령에 의하여 실행이 종료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RAM(220)에서 삭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썸네일 관리부(413)는 표시 제어부(417)의 명령에 의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RAM(220)에 저장된 썸네일 이미지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썸네일 이미지의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갱신 여부는 CPU 점유율, 저장 가용량 또는 배터리 잔여량 등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성능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우선순위 관리부(415)는 비활성화 상태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인 경우에 실행 제어부(419)의 명령에 의하여 복수 개의 썸네일 이미지에 대한 표시 순서를 정한다. 표시 순서는 복수 개의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우선순위로 결정되며, 우선순위 관리부(415)는 실행 제어부(419)의 명령에 의하여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우선순위를 생성하거나 조정하여 RAM(220)에 저장한다.
표시 제어부(417)는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GUI가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이벤트 해석부(411)로부터 썸네일을 표시하기 위한 입력을 받아들이고, 이에 응답하여 비활성화된 상태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417)는 썸네일 관리부(413)가 RAM(220)에 저장된 썸네일 이미지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갱신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비활성화된 상태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인 경우에 표시 제어부(417)는 복수 개의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417)는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는 썸네일의 표시 여부 및 표시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300)에서 썸네일이 표시될 수 있는 공간이 네 개인 경우, 우선순위가 높은 상위 네 개의 비활성화된 상태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만을 표시한다. 또한, 예를 들면, 표시되는 네 개의 썸네일 이미지들은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417)는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된 복수 개의 썸네일 이미지 중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에 상응한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종료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도록 화면을 재구성한다.
실행 제어부(419)는 이벤트 해석부(411)로부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입력을 받아들이고, 이에 응답하여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활성화 상태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실행 제어부(419)는 썸네일 관리부(413)가 비활성화 상태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실행 제어부(419)는 이벤트 해석부(411)로부터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입력을 받아들이고, 이에 응답하여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된 상태로 실행하고 활성화된 상태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있다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실행 제어부(419)는 썸네일 관리부(413)가 비활성화 상태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며, 비활성화 상태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인 경우 우선순위 관리부(415)가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의 표시 순서를 결정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실행 제어부(419)는 이벤트 해석부(411)로부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비활성화 상태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료를 위한 입력을 받아들이고, 이에 응답하여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킨다. 그리고 비활성화 상태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인 경우 우선순위 관리부(415)가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의 표시 순서를 조정하도록 제어한다.
UI 제어부(430)는 입력부(100)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을 받아들이고, 이에 응답하여 주 제어부(420)에 전달한다. 또한 UI 제어부(430)는 주 제어부(420)로부터 썸네일 이미지의 표시 또는 활성화 애플리케이션 변경 명령을 받아들이고, 이에 응 답하여 디스플레이부(300)에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활성화 애플리케이션의 GUI 화면이 디스플레이부(300)의 표시면을 점유한 상태로 표시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모리(200)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200)는 플래시 메모리(210) 및 RAM(220)을 포함한다.
플래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212)와 운영체제 위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214)이 저장된다.
RAM(220)에는 운영체제 실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임시 데이터(222), 애플리케이션 실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임시 데이터(224) 및 우선순위 테이블(226)이 저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임시 데이터에는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와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될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화면에 대한 GUI 데이터와,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22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225)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수행정보를 나타내며 활성화된 상태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때 썸네일 관리부(413)에 의하여 생성되고 RAM(220)에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225)는 썸네일 관리부(413)에 의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우선순위 테이블(226)은 우선순위 및 해당 우선순위를 갖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디를 저장한다. 우선순위는 바람직하게는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실행 순서 또는 실행 빈도 등 소정 기준에 의하여 결정된다. 예 를 들면, 실행 순서가 기준이 되는 경우에는 최근에 실행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빈도가 기준이 되는 경우에는 자주 실행한 애플리케이션이 각각 높은 우선순위를 갖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는 썸네일들의 표시 여부 및 표시 위치는 우선순위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 4는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제어부(417)는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GUI(510)가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들(522, 524, 526 및 528)을 표시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300)가 썸네일 이미지들(522, 524, 526 및 528)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입력은 예를 들어 화면 중 일정부분 예컨대 썸네일 표시 영역을 터치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행 제어부(419)는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들 간에 데이터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실행 제어부(419)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공유를 위한 입력을 수신하여, 제 2 썸네일 이미지(526)에 상응한 애플리케이션에 제 1 썸네일 이미지(522)에 상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작업중인 데이터의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실행 제어부(419)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다른 음성 또는 영상 통화에 대한 발신호 또는 착신호를 수신하고 썸네일 이미지들을 표시하여 다자간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실행 제어부(419)는 썸네일 이미지 들에 상응한 애플리케이션들 간에 데이터 공유가 지원되지 않는 상황에서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시도에 대하여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하여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게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표시 제어부(417)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들(522, 524, 526 및 528)에 상응한 애플리케이션을 제어(예를 들면, 종료)하기 위한 기호(530)를 추가적으로 표시한다. 실행 제어부(419)는 기호(530)가 선택되면, 제어 동작에 따라 선택된 기호에 상응한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 동작이 종료인 경우에는 우선순위 관리부(415)는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들의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실행 제어부(419)는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킨다. 표시 제어부(417)는 디스플레이부(300)가 종료된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나머지 애플리케이션들의 썸네일 이미지만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썸네일 관리부(413)는 종료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RAM(220)에서 삭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의 표시,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및 종료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 1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로 실행되고(S100) 제 2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로 실행되면 제 1 애플리케이션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다(S200).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제 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고(S300), 사용자가 제 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면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고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비활성 화 상태로 전환된다(S400). 사용자로부터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기 위한 기호가 선택되면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킨다(S500).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과정(S100)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벤트 해석부(411)는 입력부(100)로부터 제 1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명령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S110), 실행 명령이 수신되면 실행 제어부(419)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된 상태에서 실행한다. UI 제어부(43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GUI 화면이 디스플레이부(300)의 표시면을 점유한 상태로 표시되도록 한다(S120).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과정(S200)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벤트 해석부(411)는 입력부(100)로부터 제 1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명령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S210), 실행 명령이 수신되면 실행 제어부(419)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된 상태에서 실행한다. UI 제어부(430)는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GUI 화면이 디스플레이부(300)의 표시면을 점유한 상태로 표시되도록 한다(S220). 또한 실행 제어부(419)는 활성화된 상태로 실행중인 제 1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 실행 상태로 전환하고(S230), 썸네일 관리부(413)는 제 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여 RAM(220)에 저장한다(S240).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제 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의 표시 과정(S300)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UI 제어부(4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00)를 통하여 수신되는 입력을 모니터링하고(S310), 입력이 수신되면 이벤트 해석부(411)는 수신된 입력이 썸네일 이미지 표시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수신된 입력이 썸네일 이미지 표시 입력이 아니면 이벤트 해석부(411)는 수신된 입력을 주 제어부(420)에 전달하여 입력 해당 기능을 실행한다(S335).
제 320 단계에서 수신된 입력이 썸네일 이미지 표시 입력이면 표시 제어부(417)는 RAM(220)에 저장된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고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한다(S330). 또한 썸네일 관리부(413)는 시간 경과에 따라 RAM(220)에 저장된 썸네일 이미지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갱신한다(S340).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제 1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과정(S400)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UI 제어부(4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00)를 통하여 수신되는 입력을 모니터링하고(S410), 입력이 수신되면 이벤트 해석부(411)는 수신된 입력이 제 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수신된 입력이 제 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이 아니면 이벤트 해석부(411)는 수신된 입력을 주 제어부(420)에 전달하여 입력 해당 기능을 실행한다(S435).
제 420 단계에서 수신된 입력이 제 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이면 실행 제어부(419)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UI 제어부(430)는 제 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GUI 화면이 디스플레이부(300)의 표시면을 점 유한 상태로 표시되도록 한다(S430). 또한 실행 제어부(419)는 활성화 상태에서 실행중인 제 2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한다(S440). 썸네일 관리부(413)는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RAM(220)에 저장한다(S450).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는 과정(S500)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표시 제어부(417)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와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기 위한 기호를 표시한 상태에서, 이벤트 해석부(411)는 입력부(100)로부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종료를 위한 명령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S510), 종료 명령이 수신되면 실행 제어부(419)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킨다(S520). 또한 썸네일 관리부(413)는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RAM(220)에서 삭제한다(S530).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b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항법 장치 등 멀티태스킹 기능을 구비하는 모든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 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400)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모리(200)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의 표시,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및 종료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과정(S100)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과정(S200)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제 1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의 표시 과정(S300)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제 1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과정(S400)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는 과정(S500)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0)

  1. 디스플레이부; 및
    실행 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활성화 상태인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 중 비활성화 상태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활성화 상태의 애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비활성화 상태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빈도에 근거하여, 상기 비활성화 상태의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썸네일 이미지들의 표시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실행 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제1애플리케이션 및 제2애플리케이션이 통화 관련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애플리케이션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고, 공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자간 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비활성화 상태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활성화 상태인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 경과에 따라 상기 썸네일 이미지들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와 함께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료와 연계된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실행 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활성화 상태인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 중 비활성화 상태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 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제1애플리케이션 및 제2애플리케이션이 통화 관련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애플리케이션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고, 공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자간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활성화 상태의 애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비활성화 상태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비활성화 상태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빈도에 근거하여, 상기 비활성화 상태의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썸네일 이미지들의 표시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들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 상태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료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090079966A 2009-08-27 2009-08-27 멀티태스킹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667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966A KR101667701B1 (ko) 2009-08-27 2009-08-27 멀티태스킹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966A KR101667701B1 (ko) 2009-08-27 2009-08-27 멀티태스킹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388A KR20110022388A (ko) 2011-03-07
KR101667701B1 true KR101667701B1 (ko) 2016-10-19

Family

ID=43930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966A Expired - Fee Related KR101667701B1 (ko) 2009-08-27 2009-08-27 멀티태스킹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7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2882A (ja) * 2004-01-19 2005-07-28 Sharp Corp 携帯通信端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734A (ko) * 2006-07-28 2008-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전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2882A (ja) * 2004-01-19 2005-07-28 Sharp Corp 携帯通信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388A (ko) 2011-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0990B2 (ja) 携帯端末
US1142927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gesture-based task management
KR102385757B1 (ko) 메시지 대화 이력의 신속 내비게이션
CN102866914B (zh) 在移动装置中执行多个任务的系统和方法
KR100869950B1 (ko) 휴대 단말기의 확장형 대기화면 배치 구조 및 표시 방법
KR102251834B1 (ko)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EP1802085A1 (en) Method of displaying at least one function command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201300248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Tasks Within a Computing Device
WO2021184375A1 (zh) 执行手势指令的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2148181B (zh) 菜单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0003797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기능 수행 방법
KR20140119475A (ko) 앱 운용 방법 및 앱 운용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앱 출력 장치
KR101911740B1 (ko)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00134948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의 메뉴 표시 방법
KR20100097376A (ko) 이종의 터치영역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802320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optional key map of portable terminal
US20130111405A1 (en) Controlling method for basic screen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070107892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폴더내용 관리방법
WO2022160940A1 (zh) 投屏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存储介质及程序产品
KR101667701B1 (ko) 멀티태스킹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CN111782381B (zh) 任务管理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7811947A (zh) 一种多设备组网系统、方法及终端设备
CN112596883A (zh) 一种应用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2008516325A (ja) 対話型コンピュータ装置におけるアプリケーションのナビゲーション
CN112860302A (zh) 应用程序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8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8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