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701B1 - 멀티태스킹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태스킹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7701B1 KR101667701B1 KR1020090079966A KR20090079966A KR101667701B1 KR 101667701 B1 KR101667701 B1 KR 101667701B1 KR 1020090079966 A KR1020090079966 A KR 1020090079966A KR 20090079966 A KR20090079966 A KR 20090079966A KR 101667701 B1 KR101667701 B1 KR 1016677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pplication
- applications
- thumbnail image
- display
- st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994 act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8—Concurrent instruction execution, e.g. pipeline or look ahea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0)
- 디스플레이부; 및실행 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활성화 상태인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 중 비활성화 상태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상기 비활성화 상태의 애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비활성화 상태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상기 제어부는,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빈도에 근거하여, 상기 비활성화 상태의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썸네일 이미지들의 표시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상기 실행 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제1애플리케이션 및 제2애플리케이션이 통화 관련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애플리케이션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고, 공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자간 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썸네일 이미지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비활성화 상태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의 실행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상기 활성화 상태인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시간 경과에 따라 상기 썸네일 이미지들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썸네일 이미지와 함께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료와 연계된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실행 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활성화 상태인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들 중 비활성화 상태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상기 실행 중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제1애플리케이션 및 제2애플리케이션이 통화 관련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애플리케이션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고, 공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자간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비활성화 상태의 애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비활성화 상태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상기 비활성화 상태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는,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빈도에 근거하여, 상기 비활성화 상태의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썸네일 이미지들의 표시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들은,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 상태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는,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료와 연계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및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9966A KR101667701B1 (ko) | 2009-08-27 | 2009-08-27 | 멀티태스킹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9966A KR101667701B1 (ko) | 2009-08-27 | 2009-08-27 | 멀티태스킹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2388A KR20110022388A (ko) | 2011-03-07 |
KR101667701B1 true KR101667701B1 (ko) | 2016-10-19 |
Family
ID=43930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9966A Expired - Fee Related KR101667701B1 (ko) | 2009-08-27 | 2009-08-27 | 멀티태스킹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7701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02882A (ja) * | 2004-01-19 | 2005-07-28 | Sharp Corp | 携帯通信端末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10734A (ko) * | 2006-07-28 | 2008-01-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전환 제어방법 |
-
2009
- 2009-08-27 KR KR1020090079966A patent/KR101667701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02882A (ja) * | 2004-01-19 | 2005-07-28 | Sharp Corp | 携帯通信端末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2388A (ko) | 2011-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90990B2 (ja) | 携帯端末 | |
US11429275B2 (en) | Electronic device with gesture-based task management | |
KR102385757B1 (ko) | 메시지 대화 이력의 신속 내비게이션 | |
CN102866914B (zh) | 在移动装置中执行多个任务的系统和方法 | |
KR100869950B1 (ko) | 휴대 단말기의 확장형 대기화면 배치 구조 및 표시 방법 | |
KR102251834B1 (ko) |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 |
EP1802085A1 (en) | Method of displaying at least one function command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 |
US2013002481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Tasks Within a Computing Device | |
WO2021184375A1 (zh) | 执行手势指令的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 |
CN112148181B (zh) | 菜单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KR20100037973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기능 수행 방법 | |
KR20140119475A (ko) | 앱 운용 방법 및 앱 운용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앱 출력 장치 | |
KR101911740B1 (ko) |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 |
KR20100134948A (ko) |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의 메뉴 표시 방법 | |
KR20100097376A (ko) | 이종의 터치영역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 |
US2018023206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optional key map of portable terminal | |
US20130111405A1 (en) | Controlling method for basic screen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KR20070107892A (ko)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폴더내용 관리방법 | |
WO2022160940A1 (zh) | 投屏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存储介质及程序产品 | |
KR101667701B1 (ko) | 멀티태스킹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 |
CN111782381B (zh) | 任务管理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 |
CN117811947A (zh) | 一种多设备组网系统、方法及终端设备 | |
CN112596883A (zh) | 一种应用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 |
JP2008516325A (ja) | 対話型コンピュータ装置におけるアプリケーションのナビゲーション | |
CN112860302A (zh) | 应用程序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8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8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