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336B1 - 팽창흑연을 이용한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 Google Patents
팽창흑연을 이용한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7336B1 KR101667336B1 KR1020160057438A KR20160057438A KR101667336B1 KR 101667336 B1 KR101667336 B1 KR 101667336B1 KR 1020160057438 A KR1020160057438 A KR 1020160057438A KR 20160057438 A KR20160057438 A KR 20160057438A KR 101667336 B1 KR101667336 B1 KR 1016673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me retardant
- panel
- retardant
- resin
- expanded graphi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2—Inorganic materi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6—Organic materials
- C09K21/12—Organic materials containing phosphor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32B2262/0269—Aromatic polyamide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3/00—Elements other than metals
- B32B2313/04—Carb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팽창흑연을 이용한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은 난연패널; 및 상기 난연패널의 일측면에 형성된 섬유촙을 포함하고, 상기 난연패널은 팽창흑연분말, 무기계 난연제, 유기계 난연제 및 복합수지를 포함하여 일정한 조성비로 혼합된 수지혼합물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지혼합물 상에 보강섬유가 적층되되, 상기 수지혼합물 및 보강섬유는 다수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섬유촙은 난연패널의 일측면에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팽창흑연과 난연재료 및 보강섬유 등을 혼합 적층하여 패널을 제조함으로써 화재의 확산 및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열전도를 차단하여 대형 인명참사를 예방할 수 있고 기존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콘크리트나 기타 구조물의 균열을 보강하고 내구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화재시 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하여 충분한 대피시간을 마련할 수 있고 자기소화성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흑연을 이용한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이 콘크리트에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이 콘크리트에 부착된 시공사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실시예 1에 따른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의 화염테스트 실험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비교예에 따른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의 화염테스트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인장성능 |
실시예 1 | 실시예 2 | 비교예 | |
인장(kgf/cm2) | 804 | 810 | 762 | |
인장탄성계수 (×105kgf/cm2) |
3.9 | 4.1 | 3.1 | |
신률(%) | 4.5 | 5.1 | 2.5 |
실시예 1 | 실시예 2 | 비교예 | |
내마모성(mg) | 25 | 26 | 30 |
20; 콘크리트 25; 앵커볼트
30; 에폭시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100; 난연패널 110; 수지혼합물
120; 보강섬유 200; 섬유촙
Claims (5)
- 난연패널(100); 및 상기 난연패널(100)의 일측면에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 섬유촙(200)을 포함하고,
상기 난연패널(100)은 팽창흑연분말, 무기계 난연제, 유기계 난연제 및 복합수지를 포함하여 일정한 조성비로 혼합된 수지혼합물(110)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지혼합물(110)과 보강섬유(120)가 적어도 한번 반복되어 적층되어 열가압성형되며,
상기 유기계 난연제는 할로겐계가 사용되며, 상기 복합수지는 에폭시수지(Epoxy Resin),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 아크릴수지(Acrylic Resin)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BS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가 사용되고,
상기 열가압성형은 상기 난연패널(100)을 5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 내지 2kg/cm2 의 압력으로 50 내지 70분 동안 가압한 다음 상온으로 자연건조한 다음 탈형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을 이용한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흑연분말, 무기계 난연제, 유기계 난연제 및 복합수지는 팽창흑연분말 1 내지 10 중량부, 무기계 난연제 25 내지 30 중량부, 유기계 난연제 20 내지 25 중량부 및 복합수지 35 내지 40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을 이용한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계 난연제는 수산화알루미늄(Aluminium Hydroxide) 및 삼산화안티몬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사용되고,
상기 보강섬유(120)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및 나일론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섬유가 사용되며,
상기 섬유촙(200)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및 나일론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섬유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을 이용한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
- 균열(15)이 형성된 콘크리트(20)의 면을 그라인딩, 핸드워터젯 또는 고압수 세척기로 치핑 건조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균열(15)이 형성된 콘크리트(20)의 면에 팽창흑연분말을 이용하여 제조된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10)을 앵커볼트(25)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균열(15)이 형성된 콘크리트(20) 면과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10) 사이의 공간에 에폭시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30)를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흑연을 이용한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은,
난연패널(100); 및 상기 난연패널(100)의 일측면에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 섬유촙(200)을 포함하고, 상기 난연패널(100)은 팽창흑연분말, 무기계 난연제, 유기계 난연제 및 복합수지를 포함하여 일정한 조성비로 혼합된 수지혼합물(110)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지혼합물(110)과 보강섬유(120)가 적어도 한번 반복되어 적층되어 열가압성형되며,상기 유기계 난연제는 할로겐계가 사용되며, 상기 복합수지는 에폭시수지(Epoxy Resin),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 아크릴수지(Acrylic Resin) 및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ABS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가 사용되고, 상기 열가압성형은 상기 난연패널(100)을 5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 내지 2kg/cm2 의 압력으로 50 내지 70분 동안 가압한 다음 상온으로 자연건조한 다음 탈형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을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촙(200) 상에 에폭시 코팅된 매쉬철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팽창흑연을 이용한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10)은 2 내지 10mm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10)에 형성된 섬유촙(200)과 에폭시 코팅된 매쉬철망은 균열(15)이 형성된 콘크리트(20)와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상기 에폭시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30)와 결합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을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7438A KR101667336B1 (ko) | 2016-05-11 | 2016-05-11 | 팽창흑연을 이용한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7438A KR101667336B1 (ko) | 2016-05-11 | 2016-05-11 | 팽창흑연을 이용한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67336B1 true KR101667336B1 (ko) | 2016-10-18 |
Family
ID=5724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7438A Active KR101667336B1 (ko) | 2016-05-11 | 2016-05-11 | 팽창흑연을 이용한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733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6138A (ko) * | 2017-09-27 | 2019-04-04 | (주)대성씨엠피 | 내화 난연성 덕트 구조체 |
CN109575547A (zh) * | 2018-10-26 | 2019-04-05 | 河北纳格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耐热不饱和树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
KR101974346B1 (ko) * | 2018-11-08 | 2019-05-03 | 한국내진시스템(주) |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 및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 |
CN116157254A (zh) * | 2020-07-16 | 2023-05-23 | 西格里碳素欧洲公司 | 复合材料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6262B2 (ja) * | 1990-11-05 | 1995-09-20 | 昭和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 断熱不燃パネル |
KR20100053373A (ko) * | 2008-11-12 | 2010-05-20 | 손용락 | 건축용 불연 외벽패널 및 그 시공방법 |
KR101013827B1 (ko) | 2008-11-25 | 2011-02-14 | 주식회사 유니언스 | 열팽창성 난연 폴리올레핀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난연성 복합패널 |
KR101060311B1 (ko) | 2011-03-29 | 2011-08-31 | 폴머(주) | 고단열성의 난연성 복합보드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
KR101061524B1 (ko) * | 2010-09-02 | 2011-09-01 | 매일종합건설(주) |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
KR20160045627A (ko) * | 2013-08-21 | 2016-04-27 |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 난연제 조성물 및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
-
2016
- 2016-05-11 KR KR1020160057438A patent/KR10166733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6262B2 (ja) * | 1990-11-05 | 1995-09-20 | 昭和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 断熱不燃パネル |
KR20100053373A (ko) * | 2008-11-12 | 2010-05-20 | 손용락 | 건축용 불연 외벽패널 및 그 시공방법 |
KR101013827B1 (ko) | 2008-11-25 | 2011-02-14 | 주식회사 유니언스 | 열팽창성 난연 폴리올레핀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난연성 복합패널 |
KR101061524B1 (ko) * | 2010-09-02 | 2011-09-01 | 매일종합건설(주) |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
KR101060311B1 (ko) | 2011-03-29 | 2011-08-31 | 폴머(주) | 고단열성의 난연성 복합보드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
KR20160045627A (ko) * | 2013-08-21 | 2016-04-27 |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 난연제 조성물 및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6138A (ko) * | 2017-09-27 | 2019-04-04 | (주)대성씨엠피 | 내화 난연성 덕트 구조체 |
KR101989686B1 (ko) * | 2017-09-27 | 2019-09-30 | (주)대성씨엠피 | 내화 난연성 덕트 구조체 |
CN109575547A (zh) * | 2018-10-26 | 2019-04-05 | 河北纳格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耐热不饱和树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
KR101974346B1 (ko) * | 2018-11-08 | 2019-05-03 | 한국내진시스템(주) | 콘크리트 보강을 위한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용 조성물 및 불연성 섬유강화 패널 |
CN116157254A (zh) * | 2020-07-16 | 2023-05-23 | 西格里碳素欧洲公司 | 复合材料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7336B1 (ko) | 팽창흑연을 이용한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 |
US20160108612A1 (en) | External insulation wall for mechanically-anchored inorganic modified foam insulation board with grid reinforcement | |
JP6009157B2 (ja) | 改善されたグリーンな航空機内部パネル | |
KR101134993B1 (ko) | 우수한 방폭 성능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US9365017B2 (en) | Moldable fire resistant composites | |
EP1184522B1 (de) | Flexible Brandschutzplatte und deren Verwendung zum Brandschutz von Mauer-, Boden- oder Deckendurchbrüchen | |
KR101737557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용 내진 및 난연 복합 보강공법 | |
KR101737554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용 난연/준불연 내진 보강 섬유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강공법 | |
CN102257221A (zh) | 复合结构元件及其制造方法 | |
Agarwal et al. | The use of thermosets in the building and construction industry | |
Kim et al. | Development of the fire retardant glass fabric/carbonized phenolic composite | |
KR102381832B1 (ko) | 섬유시트 또는 섬유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방법 | |
US9587393B2 (en) | Method for producing sandwich construction elements | |
KR102198494B1 (ko) | 난연성능을 확보한 난연재료 실링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실링접착공법 | |
KR101679065B1 (ko) | 섬유강화 준불연 패널과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기능향상 및 보수 보강 공법 | |
KR102178499B1 (ko) | 보강 및 변형 억제부재 모듈, 콘크리트 단면 복구용 모르타르 조성물, 그리고 이를 활용한 콘크리트 단면 복구 공법 | |
KR101643558B1 (ko) | 복합소재를 이용한 frp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 |
KR20200090287A (ko) | 난연성이 우수한 경량 패널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021760B1 (ko) | 난연 frp 패널,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 |
KR101731550B1 (ko) | 인계 난연제가 포함되는 난연 접착제가 함침된 아라미드 섬유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 보강방법 | |
KR20230108415A (ko) | 콘크리트 구조물용 불연 내진 복합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강공법 | |
Grace et al. | Fire protection for beams with fiber-reinforced polymer flexural strengthening systems | |
KR101498998B1 (ko) | 구조물 보강용 고강도 복합섬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 | |
KR101002067B1 (ko) | 유-무기 하이브리드 복합 접착제 조성물과 난연 복합섬유 보강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 패널 보강 방법 | |
EP0630956A2 (en) | Duplex and sandwich fire resistant materials and fire protective coatings from lightweight cold curing syntactic foa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5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0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