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66712B1 -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 Google Patents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712B1
KR101666712B1 KR1020140057356A KR20140057356A KR101666712B1 KR 101666712 B1 KR101666712 B1 KR 101666712B1 KR 1020140057356 A KR1020140057356 A KR 1020140057356A KR 20140057356 A KR20140057356 A KR 20140057356A KR 101666712 B1 KR101666712 B1 KR 101666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modules
submodule
power
sub
switch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0146A (ko
Inventor
송웅협
김영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7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712B1/ko
Priority to US14/696,137 priority patent/US9680392B2/en
Priority to ES15165599T priority patent/ES2711884T3/es
Priority to EP15165599.0A priority patent/EP2945273B1/en
Priority to CN201510242693.XA priority patent/CN105099219B/zh
Priority to JP2015097945A priority patent/JP6023263B2/ja
Publication of KR20150130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7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3Converters with outputs that each can have more than two voltages levels
    • H02M7/49Combination of the output voltage waveforms of a plurality of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3Converters with outputs that each can have more than two voltages levels
    • H02M7/4835Converters with outputs that each can have more than two voltages level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each including a switchable capacitor, the capacitors having a nominal charge voltage which corresponds to a given fraction of the input voltage, and the capacitors being selectively connected in series to determine the instantaneous output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4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4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4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 H02M5/45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5/45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모듈;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를 각각 제어하는 복수의 서브 제어기; 및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의 스위칭 동작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스위칭 동작 조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복수의 서브 제어기에 전송하는 중앙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제어기 각각은, 자신이 제어하고 있는 서브 모듈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상태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기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Modular Multi-Level Converter}
본 발명은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서브 모듈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초고압 직류 송전(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은 송전소가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시켜서 송전한 후, 수전소에서 교류로 재변환시켜 전력을 공급하는 송전 방식을 말한다.
HVDC 시스템은 해저 케이블 송전, 대용량 장거리 송전, 교류 계통 간 연계 등에 적용된다. 또한, HVDC 시스템은 서로 다른 주파수 계통 연계 및 비동기(asynchronism) 연계를 가능하게 한다.
송전소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즉, 교류 전력을 해저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상황은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송전소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수전소로 전송한다.
한편, HVDC 시스템에 이용되는 전압형 컨버터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최근 모듈형 멀티레벨 형태의 전압형 컨버터가 가장 주목받고 있다.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Modular Multi-Level Converter, MMC)는 다수의 서브 모듈(Sub-Module)을 이용하여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각각의 서브 모듈을 충전, 방전, 바이패스 상태로 제어하여 동작한다.
따라서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에서 다수의 서브 모듈을 제어하는 것이 전력 변환 동작에서 가장 중요하며, 다수의 서브 모듈의 제어 동작이 출력 교류 전력의 형태 및 품질을 결정한다.
이에 따라,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다수의 서브 모듈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에 포함되는 다수의 서브 모듈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에 포함되는 다수의 서브 모듈의 스위칭 순서를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에 포함되는 다수의 서브 모듈에 대한 스위칭 빈도의 균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를 제공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을 구분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각각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어드레스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의 스위칭 동작 조건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스위칭 동작 조건에 대응하는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제어기는, 상기 할당된 어드레스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에 대한 스위칭 순서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의 배치 순서에 따라 앞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어드레스를 할당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 동작 조건은, 충전 동작 조건, 방전 동작 조건 및 바이패스 동작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 제어기는, 목표 전압 및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에 충전된 각각의 충전 전압을 기준으로 앞 번호의 어드레스를 가진 서브 모듈부터 순차적으로 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방전 동작을 하는 서브 모듈에 충전된 충전 전압의 합은, 상기 목표 전압에 상응하며, 상기 중앙 제어기는, 앞 번호의 어드레스를 가진 서브 모듈부터 상기 충전 전압을 확인하여, 상기 목표 전압에 대응하는 출력 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각 서브 모듈의 스위칭 동작 조건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기는, 상기 방전 동작 조건으로 동작하는 서브 모듈이 결정되면, 상기 방전 동작 조건으로 동작하는 서브 모듈 중 가장 마지막 번호의 어드레스를 가진 서브 모듈의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기는, 이전 시점에서 방전 동작을 수행한 가장 마지막 번호의 어드레스를 가진 서브 모듈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서브 모듈의 다음 어드레스를 가진 서브 모듈부터 순차적으로 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다수의 서브 모듈에 대한 스위칭 순서를 할당된 어드레스에 따라 결정함으로써, 상기 서브 모듈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다수의 서브 모듈을 어드레스의 순서대로 스위칭 시켜 다수의 서브 모듈의 스위칭 빈도에 대한 균형성을 유지시킴으로써, 특정 서브 모듈만이 계속적으로 스위칭하는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뿐 아니라 상기 특정 서브 모듈의 수명이 단축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전압 직류 송전(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HVDC transmission)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노폴라 방식의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이폴라 방식의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와 3상 밸브 브릿지의 결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서브 모듈의 연결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브 모듈 구성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브 모듈의 등가 모델을 나타낸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브 모듈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14 내지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스위칭 순서 결정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및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스위칭 순서 결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도면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도면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도면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직류 송전(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HVDC transmission)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VDC 시스템(100)은 발전 파트(101), 송전 측 교류 파트(110), 송전 측 변전 파트(103), 직류 송전 파트(140), 수요 측 변전 파트(105), 수요 측 교류 파트(170), 수요 파트(180), 및 제어 파트(190)를 포함한다. 송전 측 변전 파트(103)는 송전 측 트랜스포머 파트(120), 송전 측 교류-직류 컨버터 파트(130)를 포함한다. 수요 측 변전 파트(105)는 수요 측 직류-교류 컨버터 파트(150), 수요 측 트랜스포머 파트(160)를 포함한다.
발전 파트(101)는 3상의 교류 전력을 생성한다. 발전 파트(101)는 복수의 발전소를 포함할 수 있다.
송전 측 교류 파트(110)는 발전 파트(101)가 생성한 3상 교류 전력을 송전 측 트랜스포머 파트(120)와 송전 측 교류-직류 컨버터 파트(130)를 포함하는 DC 변전소에 전달한다.
송전 측 트랜스포머 파트(120)는 송전 측 교류 파트(110)를 송전 측 교류-직류 컨버터 파트(130) 및 직류 송전 파트(140)로부터 격리한다(isolate).
송전 측 교류-직류 컨버터 파트(130)는 송전 측 트랜스포머 파트(120)의 출력에 해당하는 3상 교류 전력를 직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직류 송전 파트(140)는 송전 측의 직류 전력을 수요 측으로 전달한다.
수요 측 직류-교류 컨버터 파트(150)는 직류 송전 파트(140)에 의해 전달된 직류 전력을 3상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수요 측 트랜스포머 파트(160)는 수요 측 교류 파트(170)를 수요 측 직류-교류 컨버터 파트(150)와 직류 송전 파트(140)로부터 격리한다.
수요 측 교류 파트(170)는 수요 측 트랜스포머 파트(160)의 출력에 해당하는 3상 교류 전력을 수요 파트(180)에 제공한다.
제어 파트(190)는 발전 파트(101), 송전 측 교류 파트(110), 송전 측 변전 파트(103), 직류 송전 파트(140), 수요 측 변전 파트(105), 수요 측 교류 파트(170), 수요 파트(180), 제어 파트(190), 송전 측 교류-직류 컨버터 파트(130), 수요 측 직류-교류 컨버터 파트(1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특히, 제어 파트(190)는 송전 측 교류-직류 컨버터 파트(130)와 수요 측 직류-교류 컨버터 파트(150) 내의 복수의 밸브의 턴온 및 턴오프의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밸브는 싸이리스터 또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폴라 방식의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을 보여준다.
특히, 도 2는 단일의 극의 직류 전력을 송전하는 시스템을 보여준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일의 극은 양극(positive pole)임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송전 측 교류 파트(110)는 교류 송전 라인(111)과 교류 필터(113)를 포함한다.
교류 송전 라인(111)은 발전 파트(101)가 생성한 3상의 교류 전력을 송전 측 변전 파트(103)로 전달한다.
교류 필터(113)는 변전 파트(103)이 이용하는 주파수 성분 이외의 나머지 주파수 성분을 전달된 3상 교류 전력에서 제거한다.
송전 측 트랜스포머 파트(120)는 양극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머(121)를 포함한다. 양극을 위하여 송전 측 교류-직류 컨버터 파트(130)는 양극 직류 전력을 생성하는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를 포함하고, 이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는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머(121)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3상 밸브 브릿지(131a)를 포함한다.
하나의 3상 밸브 브릿지(131a)가 이용되는 경우,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는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6개의 펄스를 가지는 양극 직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그 하나의 트랜스포머(12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Y-델타(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2개의 3상 밸브 브릿지(131a)가 이용되는 경우,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는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12개의 펄스를 가지는 양극 직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2개 중 하나의 트랜스포머(12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나머지 하나의 트랜스포머(12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3개의 3상 밸브 브릿지(131a)가 이용되는 경우,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는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18개의 펄스를 가지는 양극 직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양극 직류 전력의 펄스의 수가 많을수록, 필터의 가격이 낮아질 수 있다.
직류 송전 파트(140)는 송전 측 양극 직류 필터(141), 양극 직류 송전 라인(143), 수요 측 양극 직류 필터(145)를 포함한다.
송전 측 양극 직류 필터(141)는 인덕터(L1)와 커패시터(C1)를 포함하며,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가 출력하는 양극 직류 전력을 직류 필터링한다.
양극 직류 송전 라인(143)는 양극 직류 전력의 전송을 위한 하나의 DC 라인을 가지고, 전류의 귀환 통로로는 대지가 이용할 수 있다. 이 DC 라인 상에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수요 측 양극 직류 필터(145)는 인덕터(L2)와 커패시터(C2)를 포함하며, 양극 직류 송전 라인(143)을 통해 전달된 양극 직류 전력을 직류 필터링한다.
수요 측 직류-교류 컨버터 파트(150)는 양극 직류-교류 컨버터(151)를 포함하고, 양극 직류-교류 컨버터(151)는 하나 이상의 3상 밸브 브릿지(151a)를 포함한다.
수요 측 트랜스포머 파트(160)는 양극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3상 밸브 브릿지(151a)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머(161)를 포함한다.
하나의 3상 밸브 브릿지(151a)가 이용되는 경우, 양극 직류-교류 컨버터(151)는 양극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6개의 펄스를 가지는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그 하나의 트랜스포머(16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Y-델타(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2개의 3상 밸브 브릿지(151a)가 이용되는 경우, 양극 직류-교류 컨버터(151)는 양극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12개의 펄스를 가지는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2개 중 하나의 트랜스포머(16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나머지 하나의 트랜스포머(16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3개의 3상 밸브 브릿지(151a)가 이용되는 경우, 양극 직류-교류 컨버터(151)는 양극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18개의 펄스를 가지는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교류 전력의 펄스의 수가 많을수록, 필터의 가격이 낮아질 수 있다.
수요 측 교류 파트(170)는 교류 필터(171)와 교류 송전 라인(173)을 포함한다.
교류 필터(171)는 수요 파트(180)가 이용하는 주파수 성분(예컨데, 60Hz) 이외의 나머지 주파수 성분을, 수요 측 변전 파트(105)가 생성하는 교류 전력에서 제거한다.
교류 송전 라인(173)은 필터링된 교류 전력을 수요 파트(180)에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폴라 방식의 고전압 직류 송전 시스템을 보여준다.
특히, 도 3은 2개의 극의 직류 전력을 송전하는 시스템을 보여준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2개의 극은 양극(positive pole)과 음극(negative pole)임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송전 측 교류 파트(110)는 교류 송전 라인(111)과 교류 필터(113)를 포함한다.
교류 송전 라인(111)은 발전 파트(101)가 생성한 3상의 교류 전력을 송전 측 변전 파트(103)로 전달한다.
교류 필터(113)는 변전 파트(103)이 이용하는 주파수 성분 이외의 나머지 주파수 성분을 전달된 3상 교류 전력에서 제거한다.
송전 측 트랜스포머 파트(120)는 양극을 위한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머(121)를 포함하고, 음극을 위한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머(122)를 포함한다. 송전 측 교류-직류 컨버터 파트(130)는 양극 직류 전력을 생성하는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와 음극 직류 전력을 생성하는 교류-음극 직류 컨버터(132)를 포함하고,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는 양극을 위한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머(121)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3상 밸브 브릿지(131a)를 포함하고, 교류-음극 직류 컨버터(132)는 음극을 위한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머(122)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3상 밸브 브릿지(132a)를 포함한다.
양극을 위하여 하나의 3상 밸브 브릿지(131a)가 이용되는 경우,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는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6개의 펄스를 가지는 양극 직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그 하나의 트랜스포머(12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Y-델타(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양극을 위하여 2개의 3상 밸브 브릿지(131a)가 이용되는 경우,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는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12개의 펄스를 가지는 양극 직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2개 중 하나의 트랜스포머(12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나머지 하나의 트랜스포머(12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양극을 위하여 3개의 3상 밸브 브릿지(131a)가 이용되는 경우,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는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18개의 펄스를 가지는 양극 직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양극 직류 전력의 펄스의 수가 많을수록, 필터의 가격이 낮아질 수 있다.
음극을 위하여 하나의 3상 밸브 브릿지(132a)가 이용되는 경우, 교류-음극 직류 컨버터(132)는 6개의 펄스를 가지는 음극 직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그 하나의 트랜스포머(122)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Y-델타(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음극을 위하여 2개의 3상 밸브 브릿지(132a)가 이용되는 경우, 교류-음극 직류 컨버터(132)는 12개의 펄스를 가지는 음극 직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2개 중 하나의 트랜스포머(122)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나머지 하나의 트랜스포머(122)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음극을 위하여 3개의 3상 밸브 브릿지(132a)가 이용되는 경우, 교류-음극 직류 컨버터(132)는 18개의 펄스를 가지는 음극 직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음극 직류 전력의 펄스의 수가 많을수록, 필터의 가격이 낮아질 수 있다.
직류 송전 파트(140)는 송전 측 양극 직류 필터(141), 송전 측 음극 직류 필터(142), 양극 직류 송전 라인(143), 음극 직류 송전 라인(144), 수요 측 양극 직류 필터(145), 수요 측 음극 직류 필터(146)를 포함한다.
송전 측 양극 직류 필터(141)는 인덕터(L1)와 커패시터(C1)를 포함하며, 교류-양극 직류 컨버터(131)가 출력하는 양극 직류 전력을 직류 필터링한다.
송전 측 음극 직류 필터(142)는 인덕터(L3)와 커패시터(C3)를 포함하며, 교류-음극 직류 컨버터(132)가 출력하는 음극 직류 전력을 직류 필터링한다.
양극 직류 송전 라인(143)는 양극 직류 전력의 전송을 위한 하나의 DC 라인을 가지고, 전류의 귀환 통로로는 대지가 이용할 수 있다. 이 DC 라인 상에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음극 직류 송전 라인(144)는 음극 직류 전력의 전송을 위한 하나의 DC 라인을 가지고, 전류의 귀환 통로로는 대지가 이용할 수 있다. 이 DC 라인 상에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수요 측 양극 직류 필터(145)는 인덕터(L2)와 커패시터(C2)를 포함하며, 양극 직류 송전 라인(143)을 통해 전달된 양극 직류 전력을 직류 필터링한다.
수요 측 음극 직류 필터(146)는 인덕터(L4)와 커패시터(C4)를 포함하며, 음극 직류 송전 라인(144)을 통해 전달된 음극 직류 전력을 직류 필터링한다.
수요 측 직류-교류 컨버터 파트(150)는 양극 직류-교류 컨버터(151)와 음극 직류-교류 컨버터(152)를 포함하고, 양극 직류-교류 컨버터(151)는 하나 이상의 3상 밸브 브릿지(151a)를 포함하고, 음극 직류-교류 컨버터(152)는 하나 이상의 3상 밸브 브릿지(152a)를 포함한다.
수요 측 트랜스포머 파트(160)는 양극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3상 밸브 브릿지(151a)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머(161)를 포함하고, 음극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3상 밸브 브릿지(152a)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머(162)를 포함한다.
양극을 위하여 하나의 3상 밸브 브릿지(151a)가 이용되는 경우, 양극 직류-교류 컨버터(151)는 양극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6개의 펄스를 가지는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그 하나의 트랜스포머(16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Y-델타(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양극을 위하여 2개의 3상 밸브 브릿지(151a)가 이용되는 경우, 양극 직류-교류 컨버터(151)는 양극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12개의 펄스를 가지는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2개 중 하나의 트랜스포머(16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나머지 하나의 트랜스포머(161)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양극을 위하여 3개의 3상 밸브 브릿지(151a)가 이용되는 경우, 양극 직류-교류 컨버터(151)는 양극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18개의 펄스를 가지는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교류 전력의 펄스의 수가 많을수록, 필터의 가격이 낮아질 수 있다.
음극을 위하여 하나의 3상 밸브 브릿지(152a)가 이용되는 경우, 음극 직류-교류 컨버터(152)는 음극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6개의 펄스를 가지는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그 하나의 트랜스포머(162)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Y-델타(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음극을 위하여 2개의 3상 밸브 브릿지(152a)가 이용되는 경우, 음극 직류-교류 컨버터(152)는 음극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12개의 펄스를 가지는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2개 중 하나의 트랜스포머(162)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Y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고, 나머지 하나의 트랜스포머(162)의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Y-Δ 형상의 결선을 가질 수도 있다.
음극을 위하여 3개의 3상 밸브 브릿지(152a)가 이용되는 경우, 음극 직류-교류 컨버터(152)는 음극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18개의 펄스를 가지는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교류 전력의 펄스의 수가 많을수록, 필터의 가격이 낮아질 수 있다.
수요 측 교류 파트(170)는 교류 필터(171)와 교류 송전 라인(173)을 포함한다.
교류 필터(171)는 수요 파트(180)가 이용하는 주파수 성분(예컨데, 60Hz) 이외의 나머지 주파수 성분을, 수요 측 변전 파트(105)가 생성하는 교류 전력에서 제거한다.
교류 송전 라인(173)은 필터링된 교류 전력을 수요 파트(180)에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와 3상 밸브 브릿지의 결선을 보여준다.
특히, 도 4는 양극을 위한 2개의 트랜스포머(121)와 양극을 위한 2개의 3상 밸브 브릿지(131a)의 결선을 보여준다. 음극을 위한 2개의 트랜스포머(122)와 음극을 위한 2개의 3상 밸브 브릿지(132a)의 결선, 양극을 위한 2개의 트랜스포머(161)와 양극을 위한 2개의 3상 밸브 브릿지(151a)의 결선, 음극을 위한 2개의 트랜스포머(162)와 음극을 위한 2개의 3상 밸브 브릿지(152a)의 결선, 양극을 위한 1개의 트랜스포머(121)와 양극을 위한 1개의 3상 밸브 브릿지(131a), 양극을 위한 1개의 트랜스포머(161)와 양극을 위한 1개의 3상 밸브 브릿지(151a)의 결선 등은 도 4의 실시예로부터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으므로, 그 도면과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서, Y-Y 형상의 결선을 가지는 트랜스포머(121)를 상측 트랜스포머, Y-Δ 형상의 결선을 가지는 트랜스포머(121)를 하측 트랜스포머, 상측 트랜스포머에 연결되는 3상 밸브 브릿지(131a)를 상측 3상 밸브 브릿지, 하측 트랜스포머에 연결되는 3상 밸브 브릿지(131a)를 하측 3상 밸브 브릿지라고 부르도록 한다.
상측 3상 밸브 브릿지와 하측 3상 밸브 브릿지는 직류 전력을 출력하는 2개의 출력단인 제1 출력단(OUT1)과 제2 출력단(OUT2)을 가진다.
상측 3상 밸브 브릿지는 6개의 밸브(D1-D6)를 포함하고, 하측 3상 밸브 브릿지는 6개의 밸브(D7-D12)를 포함한다.
밸브(D1)는 제1 출력단(OUT1)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상측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의 제1 단자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가진다.
밸브(D2)는 밸브(D5)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밸브(D6)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가진다.
밸브(D3)는 제1 출력단(OUT1)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상측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의 제2 단자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가진다.
밸브(D4)는 밸브(D1)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밸브(D6)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가진다.
밸브(D5)는 제1 출력단(OUT1)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상측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의 제3 단자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가진다.
밸브(D6)는 밸브(D3)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를 가진다.
밸브(D7)는 밸브(D6)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하측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의 제1 단자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가진다.
밸브(D8)는 밸브(D11)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제2 출력단(OUT2)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가진다.
밸브(D9)는 밸브(D6)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하측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의 제2 단자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가진다.
밸브(D10)는 밸브(D7)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제2 출력단(OUT2)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가진다.
밸브(D11)는 밸브(D6)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하측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의 제3 단자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가진다.
밸브(D12)는 밸브(D9)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와 제2 출력단(OUT2)에 연결되는 애노드를 가진다.
한편, 수요 측 직류-교류 컨버터 파트(150)는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Modular Mulit-Level Converter, 200)로 구성될 수 있다.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200)는 복수의 서브 모듈(210)을 이용하여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고하여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 및 6은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2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200)는 중앙 제어기(250), 복수의 서브 제어기(230), 복수의 서브 모듈(210)을 포함한다.
중앙 제어기(250)는 복수의 서브 제어기(230)를 제어하고, 각각의 서브 제어기(230)는 자신과 연결된 각각의 서브 모듈(2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하나의 서브 제어기(230)는 하나의 서브 모듈(210)과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중앙 제어기(250)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기준으로 자신과 연결된 하나의 서브 모듈(21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다르게, 도 6에서와 같이 하나의 서브 제어기(230)는 복수의 서브 모듈(210)과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중앙 제어기(250)를 통해 전송되는 복수의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자신과 연결된 복수의 서브 모듈(210)에 대한 각각의 제어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제어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210)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기(250)는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210)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동작 조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2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동작 조건은, 방전 동작, 충전 동작 및 바이패스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210) 각각에는 서로 다른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210) 각각에는 배치 순서대로 앞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어드레스가 할당된다.
즉, 서브 모듈(210)은 직류 전력을 입력받아 충전, 방전 및 바이패스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서브 모듈(210)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며, 이에 따라 스위칭 동작과 다이오드의 정류 동작으로 서브 모듈(210)의 충전, 방전 및 바이패스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제어기(230) 각각은, 상기 중앙 제어기(250)를 통해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210)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전달받은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 모듈(21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즉, 중앙 제어기(250)는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중앙 제어기(250)는 자신과 연계된 교류 파트(110, 170) 및 직류 송전 파트(140)의 전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기(250)는 전체 제어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 제어값이란,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200)의 출력 교류 전력의 전압, 전류, 주파수 크기에 대한 목표값일 수 있다.
중앙 제어기(250)는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200)와 연계된 교류 파트(110, 170)의 전류, 전압 및 직류 송전 파트(140)의 전류, 전압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전체 제어값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중앙 제어기(250)는 통신 장치(미도시)를 통해 상위 제어기(미도시)로부터 수신한 기준 유효 전력, 기준 무효 전력, 기준 전류, 기준 전압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중앙 제어기(250)는 상기 서브 제어기(23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중앙 제어기(250)는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210)의 배치 순서대로 어드레스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210)의 스위칭 순서를 결정한다.
즉, 일반적으로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210)은 모두 동일한 스위칭 조건 내에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필요한 목표 전압에 따라 특정 서브 모듈은 충전 또는 바이패스 동작을 수행하고, 나머지 서브 모듈은 방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중앙 제어기(250)는 상기 방전 동작을 수행할 서브 모듈을 우선적으로 결정해야 한다.
이때, 상기 방전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210)이 서로 균형성 있는 빈도 내에서 방전 동작을 수행해야만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210)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특정 서브 모듈의 방전 동작 빈도가 높으면, 상기 특정 서브 모듈의 수명은 방전 동작 빈도가 낮은 다른 서브 모듈의 수명보다 낮게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210)의 스위칭 빈도의 균형성을 유지하면서, 보다 빠른 시간에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210)의 스위칭 조건을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순차적으로 할당된 어드레스의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210)의 스위칭 순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1번에서 5번까지의 어드레스가 각각 할당된 서브 모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중앙 제어기(250)는 상기 1번에서부터 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서브 모듈의 수는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이 각각 충전한 전압 값과, 목표 값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즉, 상기 중앙 제어기(250)는 복수의 서브 모듈이 가지는 충전 전압 값의 합이 상기 목표 값에 도달하도록 상기 스위칭 조건을 결정한다. 다시 말해서, 1번 어드레스가 할당된 서브 모듈과, 2번 어드레스가 할당된 서브 모듈만이 방전해도 상기 목표 값에 대응하는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면, 상기 중앙 제어기(250)는 상기 1번 및 2 번 어드레스가 할당된 서브 모듈만이 방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제어기(250)는 다음 스위칭 조건을 결정할 때, 이전 시점에서 방전 동작을 수행한 서브 모듈 중 가장 마지막 어드레스를 가진 서브 모듈의 다음 서브모듈부터 상기 방전 동작을 수행할 서브 모듈을 결정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고하여,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2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모듈(210)의 연결을 설명한다.
도 7은 3상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2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모듈(210)의 연결을 나타낸다.
도 7을 참고하면, 복수의 서브 모듈(210)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하나의 상(Phase)의 양극 또는 음극에 연결된 복수의 서브 모듈(210)을 하나의 암(Arm)을 구성할 수 있다.
3상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200)는 일반적으로 6개의 암(Arm)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A, B, C인 3상 각각에 대해 양극과 음극으로 구성되어 6개의 암(Ar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3상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200)는 A상 양극에 대한 복수의 서브 모듈(210)로 구성되는 제1 암(221), A상 음극에 대한 복수의 서브 모듈(210)로 구성되는 제2 암(222), B상 양극에 대한 복수의 서브 모듈(210)로 구성되는 제3 암(223), B상 음극에 대한 복수의 서브 모듈(210)로 구성되는 제4 암(224), C상 양극에 대한 복수의 서브 모듈(210)로 구성되는 제5 암(225), C상 음극에 대한 복수의 서브 모듈(210)로 구성되는 제6 암(226)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상(Phase)에 대한 복수의 서브 모듈(210)은 레그(Leg)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3상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200)는 A상에 대한 복수의 서브 모듈(210)을 포함하는 A상 레그(227)과, B상에 대한 복수의 서브 모듈(210)을 포함하는 B상 레그(228), C상에 대한 복수의 서브 모듈(210)을 포함하는 C상 레그(229)로 구성될 수 있다.
그래서 제1 암(221) 내지 제 6암(226)은 각각 A, B, C상 레그(227, 228, 229)에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A상 레그(227)에는 A상의 양극 암인 제1 암(221)과 음극 암인 제2 암(222)이 포함되며, B상 레그(228)에는 B상의 양극 암인 제3 암(223)과 음극 암인 제4 암(224)가 포함된다. 그리고 C상 레그(229)에는 C상의 양극 암인 제5 암(225)과 음극 암인 제6 암(226)이 포함된다.
또한, 복수의 서브 모듈(210)은 극성에 따라 양극 암(Arm, 227)과 음극 암(Arm, 228)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고하면,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2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 모듈(210)은 중성선(n)을 기준으로 양극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 모듈(210)과 음극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 모듈(210)로 분류할 수 있다.
그래서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200)는 양극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 모듈(210)로 구성되는 양극 암(227), 음극에 대응하는 복수의 서브 모듈(210)로 구성되는 음극 암(228)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극 암(227)은 제1 암(221), 제3 암(223), 제5 암(225)로 구성될 수 있고, 음극 암(228)은 제2 암(222), 제4 암(224), 제6 암(22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8을 참고하여, 서브 모듈(2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은 서브 모듈(210)의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서브 모듈(210)은 2개의 스위치, 2개의 다이오드,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서브 모듈(210)의 형태를 하프 브릿지(half-bridge) 형태 또는 반파 인버터(half bridge inverter)라고도 한다.
그리고 스위칭부(217)에 포함되는 스위치는 전력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 반도체는 전력 장치용 반도체 소자를 말하며, 전력의 변환이나 제어용에 최적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전력 반도체는 밸브 장치라고 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스위칭부(217)에 포함되는 스위치는 전력 반도체로 구성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GTO(Gate Turn-off Thyristor), IGCT(Integrated Gate Commutated Thyristo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219)는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있어서, 에너지를 충전 또는 방전할 수 있다. 한편, 서브 모듈(210)의 구성 및 동작을 기초로 서브 모듈(210)을 등가 모델로 나타낼 수 있다.
도 9는 서브 모듈(210)의 등가 모델을 나타내며, 도 9를 참고하면 서브 모듈(210)은 스위치와 커패시터로 구성된 에너지 충전 및 방전 장치로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모듈(210)은 출력 전압이 Vsm인 에너지 충전 및 방전장치와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서브 모듈(2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의 서브 모듈(210)의 스위치부(217)는 복수의 스위치 T1, T2를 포함하고, 각각의 스위치는 각각의 다이오드 D1, D2에 연결된다. 그리고 서브 모듈(210)의 저장부(219)는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서브 모듈(210)의 충전 및 방전동작을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서브 모듈(210)의 커패시터 전압(Vsm) 형성을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스위치부(217)의 스위치 T1은 턴온, 스위치 T2는 턴오프 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서브 모듈(210)은 각각의 스위치 동작에 따라 커패시터 전압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고하면 서브 모듈(210)에 유입되는 전류는 다이오드 D1을 거쳐 커패시터에 전달되어 커패시터 전압을 형성한다. 그리고 형성된 커패시터 전압은 커패시터에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모듈(210)은 충전된 에너지를 방출하는 방출 동작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고하면 서브 모듈(210)에 충전된 에너지인 커패시터의 저장 에너지는 스위치 T1을 거쳐 출력된다. 따라서 서브 모듈(210)은 저장된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여 서브 모듈(210)의 바이패스(Bypass) 동작을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서브 모듈(210)의 영 전압 형성을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스위치부(217)의 스위치 T1은 턴오프, 스위치 T2는 턴온 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서브 모듈(210)의 커패시터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서브 모듈(210)은 영 전압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고하면 서브 모듈(210)로 유입되는 전류는 스위치 T2를 통해 출력되어 서브 모듈(210)은 영 전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을 참고하면, 서브 모듈(210)에 유입되는 전류는 다이오드 D2를 통해 출력되어 서브 모듈(210)은 영 전압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서브 모듈(210)은 영 전압을 형성할 수 있어서, 흐르는 전류가 서브 모듈(210)에 유입되지 않고 통과하는 바이패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 내지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스위칭 순서 결정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210)이 서브 모듈 1, 서브 모듈 2, 서브 모듈 3, 서브 모듈 4, 서브 모듈 5, 서브 모듈 6 및 서브 모듈 7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중앙 제어기(250)는 서브 모듈 1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어드레스를 할당한다.
즉, 서브 모듈 1에는 1번 어드레스가 할당될 수 있고, 서브 모듈 2에는 2번 어드레스가 할당될 수 있으며, 서브 모듈 3에는 3번 어드레스가 할당될 수 있고, 서브 모듈 4에는 4번 어드레스가 할당될 수 있으며, 서브 모듈 5에는 5번 어드레스가 할당될 수 있고, 서브 모듈 6에는 6번 어드레스가 할당될 수 있으며, 서브 모듈 7에는 7번 어드레스가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제어기(250)는 상기 1번에서부터 순서대로 스위칭 순서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스위칭 순서는 상기 각각의 서브 모듈이 가지는 충전 전압과, 목표 전압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목표 전압이 60이고, 서브 모듈 1에서부터 서브 모듈 7에 20이라는 전압이 동일하게 충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중앙 제어기(250)는 상기 목표 전압을 맞추기 위한 서브 모듈의 스위칭 순서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서브 모듈에는 20이라는 전압이 충전되어 있음으로, 상기 목표 전압을 맞추기 위해서는 앞에서부터 3개의 서브 모듈만이 방전 동작을 수행하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중앙 제어기(250)는 어드레스 순서대로 서브 모듈 1, 서브 모듈 2 및 서브 모듈 3만이 방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나머지 다른 서브 모듈은 바이 패스 동작 또는 충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중앙 제어기(250)는 상기와 같은 스위칭 조건이 결정된 경우, 방전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 모듈 중 가장 마지막 어드레스를 가진 서브 모듈을 기억한다.
그리고, 도 16을 참조하면, 다음 스위칭 조건 결정시에는, 상기 기억하고 있는 서브 모듈의 다음 어드레스부터 스위칭 순서를 결정한다.
즉, 상기에서는 서브 모듈 3까지 방전 동작이 이루어졌음으로, 다음 스위칭 시에는 서브 모듈 4부터 방전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목표 전압이 40인 경우, 상기 기억하고 있는 서브 모듈의 다음 서브 모듈부터 2개의 서브 모듈만이 방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따라서, 중앙 제어기(250)는 서브 모듈 4 및 서브 모듈 5만이 방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나머지 다른 서브 모듈은 바이 패스 동작 또는 충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중앙 제어기는 상기 방전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 모듈 중 가장 마지막 어드레스가 할당된 서브 모듈 5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고, 이를 추후 스위칭 조건 결정시에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다수의 서브 모듈에 대한 스위칭 순서를 할당된 어드레스에 따라 결정함으로써, 상기 서브 모듈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다수의 서브 모듈을 어드레스의 순서대로 스위칭 시켜 다수의 서브 모듈의 스위칭 빈도에 대한 균형성을 유지시킴으로써, 특정 서브 모듈만이 계속적으로 스위칭하는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뿐 아니라 상기 특정 서브 모듈의 수명이 단축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 및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스위칭 순서 결정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17을 참조하면, 중앙 제어기(250)는 서브 모듈의 배치 순서대로 어드레스를 할당한다(100단계). 즉 서브 모듈 중 가장 앞에 배치된 서브 모듈은 가장 낮은 어드레스가 할당될 것이며, 가장 마지막에 배치된 서브 모듈은 가장 높은 어드레스가 할당될 것이다.
이후, 상기 중앙 제어기(250)는 목표 전압 및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이 각각 충전하고 있는 충전 전압을 확인한다(110단계).
다음으로, 중앙 제어기(250)는 상기 목표 전압 및 충전 전압을 기준으로, 앞 번호의 어드레스를 가진 서브모듈부터 순차적으로 스위칭 순서를 결정한다(120단계).
즉, 상기 충전 전압을 기준으로 상기 목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앞 번호의 어드레스를 가진 서브모듈부터 순차적으로 방전 동작을 수행한다(130단계).
그리고, 상기 순차적인 방전 동작을 통해 상기 목표 전압에 상응하는 출력 전압을 발생한다(130단계).
이때, 중앙 제어기(250)는 상기 목표 전압을 출력하기 위해 방전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 모듈 중 가장 마지막 번호를 가진 서브 모듈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고, 추후 이를 활용하여 상기 서브 모듈의 스위칭 조건을 결정한다.
즉, 도 18을 참조하면, 중앙 제어기(250)는 목표 전압 및 서브 모듈의 충전 전압을 확인한다(200단계).
그리고, 중앙 제어기(250)는 이전 시점에서 방전 동작을 수행한 서브 모듈 중 가장 마지막 번호의 어드레스를 가진 서브 모듈을 확인한다(210단계).
이어서, 중앙 제어기(250)는 상기 확인한 서브 모듈의 다음 어드레스를 가진 서브 모듈부터 상기 목표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 순서를 결정한다(220단계).
예를 들어, 이전 시점에서 3번 어드레스를 가진 서브 모듈까지 방전이 이루어졌다면, 현 시점에서는 4번 어드레스를 가진 서브 모듈부터 방전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결정된 스위칭 순서에 따라 상기 서브 모듈의 방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목표 전압에 상응하는 출력 전압을 발생한다(230단계).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다수의 서브 모듈에 대한 스위칭 순서를 할당된 어드레스에 따라 결정함으로써, 상기 서브 모듈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다수의 서브 모듈을 어드레스의 순서대로 스위칭 시켜 다수의 서브 모듈의 스위칭 빈도에 대한 균형성을 유지시킴으로써, 특정 서브 모듈만이 계속적으로 스위칭하는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뿐 아니라 상기 특정 서브 모듈의 수명이 단축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6)

  1.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모듈;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로 배치 순서에 따라 앞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어드레스를 각각 할당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에 충전된 각각의 충전전압 및 목표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에 대한 스위칭 동작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스위칭 동작 조건에 대응하는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 제어기; 및
    상기 스위칭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을 스위칭 동작시키는 서브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기는,
    상기 스위칭 동작 조건이 결정되면, 이전 시점에 방전 동작을 수행한 마지막 번호의 어드레스를 가진 서브 모듈의 다음 어드레스를 가진 서브 모듈부터 순차적으로 방전 동작이 수행되게 상기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스위칭 신호는,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에 충전된 각각의 충전전압에 대한 합이 상기 목표전압과 동일하거나 높아지는 시점의 서브 모듈까지 방전 동작을 수행할 서브 모듈로 스위칭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 중 방전 동작을 하는 서브 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서브 모듈에 대해 충전 동작 및 바이패스 동작을 수행할 서브 모듈로 결정하여 출력하는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기는,
    상기 방전 동작을 하는 서브 모듈이 결정되면, 상기 방전 동작하는 서브 모듈 중 가장 마지막 번호의 어드레스를 가진 서브 모듈의 정보를 저장하는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6. 삭제
KR1020140057356A 2014-05-13 2014-05-13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Active KR101666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356A KR101666712B1 (ko) 2014-05-13 2014-05-13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US14/696,137 US9680392B2 (en) 2014-05-13 2015-04-24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ES15165599T ES2711884T3 (es) 2014-05-13 2015-04-29 Conversor modular de múltiples niveles
EP15165599.0A EP2945273B1 (en) 2014-05-13 2015-04-29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CN201510242693.XA CN105099219B (zh) 2014-05-13 2015-05-13 模块化多级转换器
JP2015097945A JP6023263B2 (ja) 2014-05-13 2015-05-13 モジュール型マルチレベルコンバー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356A KR101666712B1 (ko) 2014-05-13 2014-05-13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146A KR20150130146A (ko) 2015-11-23
KR101666712B1 true KR101666712B1 (ko) 2016-10-14

Family

ID=53054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356A Active KR101666712B1 (ko) 2014-05-13 2014-05-13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80392B2 (ko)
EP (1) EP2945273B1 (ko)
JP (1) JP6023263B2 (ko)
KR (1) KR101666712B1 (ko)
CN (1) CN105099219B (ko)
ES (1) ES271188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4626B2 (ja) 1992-01-27 2001-05-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二段圧縮式冷凍サイクル装置
WO2015007302A1 (de) * 2013-07-15 2015-01-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dularer multi level dc/dc wandler für hvdc anwendungen
EP2897268B1 (en) * 2014-01-20 2022-01-05 ABB Schweiz AG Master/slave controller system in ring topology for modular multilevel converters
CN106105007B (zh) * 2014-02-03 2018-09-21 Abb瑞士股份有限公司 多电平功率转换器和用于控制多电平功率转换器的方法
US10732685B2 (en) * 2015-02-27 2020-08-04 Ge Energy Power Conversion Technolog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power converters
US9520801B1 (en) * 2015-08-12 2016-12-1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a gas tube switch-based voltage source 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system
US9748857B2 (en) * 2015-08-12 2017-08-2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a gas tube-based current source 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system
WO2017171182A1 (ko) * 2016-03-30 2017-10-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 시스템의 컨버터 구동 장치 및 컨버터 제어 장치, 풍력 발전 시스템의 스위칭 소자 모듈 구동 장치 및 스위칭 소자 모듈 제어 장치
KR101838181B1 (ko) * 2016-04-14 2018-03-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 시스템의 스위칭 소자 모듈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668431B1 (ko) * 2016-05-02 2016-10-24 주식회사 효원파워텍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의 서브모듈 전압 추정 방법 및 장치
KR101840117B1 (ko) 2016-07-06 2018-03-19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송전 시스템에서 컨버터 선충전 방법 및 이를 위한 제어기
KR102600766B1 (ko) * 2016-09-22 2023-11-13 엘에스일렉트릭(주)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KR101923690B1 (ko) * 2016-11-11 2018-11-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보상장치의 서브모듈성능시험을 위한 합성시험회로 및 그 시험방법
CN108566072A (zh) 2016-12-16 2018-09-21 台达电子企业管理(上海)有限公司 模块化电源系统
KR102393893B1 (ko) * 2017-04-17 2022-05-03 엘에스일렉트릭(주) 전력보상장치의 서브모듈의 성능시험을 위한 시험 회로
US11289996B2 (en) * 2017-07-31 2022-03-29 Siemens Energy Global GmbH & Co. KG Converter assembly with an ability to disconnect a fault current and a method for disconnecting a fault current at a converter assembly of this type
CN108111030B (zh) * 2017-12-07 2020-09-15 上海交通大学 混合型海上风场直流换流器
RU2762792C1 (ru) * 2018-05-28 2021-12-23 ЭнАр ЭЛЕКТРИК КО., ЛТД Компенсатор, а также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его контроля
CN110971132B (zh) * 2018-09-30 2023-10-20 西门子股份公司 模块化多电平换流器的控制系统、方法、装置和子模块
EP3654517B1 (en) * 2018-11-19 2021-06-02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Operating a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MX2021011935A (es) 2019-03-29 2022-03-11 Tae Tech Inc Sistemas de energía basados en módulos que tienen módulos de convertidor-fuente y métodos relacionados con los mismos.
EP3726718A1 (en) * 2019-04-19 2020-10-21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vdc converter stations
CN110556852B (zh) * 2019-09-29 2021-01-08 东北大学 基于soc动态均衡子模块检索的分布式储能系统及控制方法
CN110943471A (zh) * 2019-11-07 2020-03-31 长沙理工大学 基于系统能量最优分布的mmc故障控制策略
CN111953002A (zh) * 2020-08-17 2020-11-17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换流阀快速耗能装置及方法
CN113110119B (zh) * 2020-11-26 2022-08-19 国网天津市电力公司 一种电子式全自动支路交换器
KR102470345B1 (ko) * 2020-12-08 2022-11-25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의 초기 충전 장치 및 방법
DE102023128073B3 (de) 2023-10-13 2025-01-16 p&e power&energy GmbH Verfahren, Computerprogramm und Vorrichtung zum Steuern mehrerer Einheiten mittels einer übergeordneten Steuer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698B1 (ko) * 2010-06-24 2011-12-01 동영전기 주식회사 병렬제어형 전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7643A (en) 1974-01-14 1975-02-18 Massachusetts Inst Technology Electric power converter
US4062057A (en) * 1977-04-15 1977-12-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Regulated power supply having a series arrangement of inverters
JPH10276093A (ja) * 1997-03-28 1998-10-13 Sony Corp D/a変換器
US7024257B2 (en) 2001-02-09 2006-04-04 Motion Engineering, Inc. System for motion control, method of using the system for motion control, and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for use with the system for motion control
CN101171741B (zh) * 2005-04-27 2010-06-09 株式会社安川电机 功率变换装置
JP2006320103A (ja) 2005-05-12 2006-11-24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直列多重電力変換装置の制御装置
US8631483B2 (en) * 2005-06-14 2014-01-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acket processors and packet filter processes, circuits, devices, and systems
US9088178B2 (en) * 2006-12-06 2015-07-21 Solaredge Technologies Ltd Distributed power harvesting systems using DC power sources
JP4825660B2 (ja) 2006-12-26 2011-11-30 三菱電機株式会社 超電導コイル用電力変換装置
WO2009030275A1 (en) * 2007-09-05 2009-03-12 Abb Technology Ag Voltage source converter for 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transmission
CN101911463B (zh) * 2008-01-08 2013-09-04 Abb技术有限公司 用于控制电压源转换器的方法和电压转换设备
JP5449893B2 (ja) * 2009-07-21 2014-03-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変換装置
CN102577072B (zh) 2009-10-06 2015-05-27 Abb研究有限公司 改进型电压源转换器结构
JP5592236B2 (ja) 2010-11-01 2014-09-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変換装置
JP5734672B2 (ja) 2011-01-12 2015-06-17 株式会社東芝 半導体電力変換装置
JP5858217B2 (ja) 2011-08-23 2016-02-10 富士電機株式会社 交流−交流変換回路
US8982593B2 (en) 2012-04-27 2015-03-17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Cascaded H-Bridge (CHB) inverter level shift PWM with rotation
JP6012387B2 (ja) 2012-10-12 2016-10-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変換装置及び電力変換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698B1 (ko) * 2010-06-24 2011-12-01 동영전기 주식회사 병렬제어형 전원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홍정원 외 3인,"HVDC 적용을 위한 MMC 기반 Back-to-Back 컨버터의 스위칭레벨 동작분석", pp. 1240~1248, 전기학회논문지, 2013.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99219A (zh) 2015-11-25
CN105099219B (zh) 2017-10-27
ES2711884T3 (es) 2019-05-08
JP2015220991A (ja) 2015-12-07
EP2945273A1 (en) 2015-11-18
US20150333654A1 (en) 2015-11-19
KR20150130146A (ko) 2015-11-23
JP6023263B2 (ja) 2016-11-09
EP2945273B1 (en) 2018-12-26
US9680392B2 (en) 201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712B1 (ko)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KR101630510B1 (ko)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KR101622461B1 (ko) 계기용 변압기의 편차 보상 방법
US10270250B2 (en) Insulation design apparatus of 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system
JP6117852B2 (ja) 計器用変圧器の偏差補償方法
JP2015220986A (ja) Hvdcシステム
KR20160109366A (ko)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KR101678802B1 (ko)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502391B1 (ko) 변압기를 갖는 초고압 직류송전 시스템
KR101659252B1 (ko)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및 그의 제어 방법
JP6301976B2 (ja) 高圧直流送電システムにおける電力値測定方法
KR20150130863A (ko)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50130864A (ko)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072499A (ko) 모듈형 멀티 레벨 컨버터의 운전 방법
KR20150124329A (ko) Hvdc 시스템의 컨버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622458B1 (ko) Hvdc 시스템의 컨버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707735B1 (ko) Hvdc 시스템의 컨버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122015A (ko)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KR101707768B1 (ko) Hvdc 시스템의 전력 변환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50124328A (ko) Hvdc 시스템의 전력 변환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3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9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3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0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5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3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3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0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0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