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023B1 - 나노 구멍을 갖는 고분자 박막, 그의 몰드 및 그를 이용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 구멍을 갖는 고분자 박막, 그의 몰드 및 그를 이용한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6023B1 KR101666023B1 KR1020140006196A KR20140006196A KR101666023B1 KR 101666023 B1 KR101666023 B1 KR 101666023B1 KR 1020140006196 A KR1020140006196 A KR 1020140006196A KR 20140006196 A KR20140006196 A KR 20140006196A KR 101666023 B1 KR101666023 B1 KR 1016660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
- pattern
- hole
- polymer
- cro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8
- 229920005597 polymer membrane Polymers 0.000 title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1878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205 dimethyl polysilox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435 poly(dimethyl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627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4205 SiNX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9 electron-beam 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86 nano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61 nanopill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076 repl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MWRBQBLMFGWIX-UHFFFAOYSA-N C60 fullerene Chemical class C12=C3C(C4=C56)=C7C8=C5C5=C9C%10=C6C6=C4C1=C1C4=C6C6=C%10C%10=C9C9=C%11C5=C8C5=C8C7=C3C3=C7C2=C1C1=C2C4=C6C4=C%10C6=C9C9=C%11C5=C5C8=C3C3=C7C1=C1C2=C4C6=C2C9=C5C3=C12 XMWRBQBLMFGWI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00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03 carbon fibre reinforced carb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72 fullere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89 graphe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64 ion-beam 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84 ion-beam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3 mas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20 nano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1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0 nanowi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06 photo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polydimethyl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62 replic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28 spin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9 spontane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박막과 그 제조방법은 다차원 다층 구조로 높은 젖음성(wettability) 차이와 구조적 강화를 얻어내고, 이를 기반으로 나노 구멍이 있고 구조 조절이 가능하며, 유연하고 프리스탠딩한 고분자 박막을 쉽게 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제2 몰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몰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몰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제1 몰드 및 제2 몰드를 이용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박막을 제조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박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일측면(S1, S2)에서 고분자 박막을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고분자 박막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도 7의 고분자 박막의 다른 방향에 따라 잘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관통홀의 주변 박막이 부러진 상태를 나타내는 SEM 이미지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박막을 나타내는 TEM 사진이다.
도 15 및 도 16은 각각 실제 제조된 제2 몰드와 제1 몰드의 SEM 사진을 나타낸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된 고분자 박막을 나타내는 SEM 이미지이다.
도 18은 더 큰 마이크로 패턴이 형성된 몰드를 이용하여 형성된 고분자 박막을 나타내는 SEM 이미지이다.
도 19는인가 압력을 상대적으로 적게한 상태에서 형성된 고분자 박막을 나타내는 SEM이미지이다.
도 20은 AAO로부터 50nm 지름을 갖는 PFPE 나노 기둥을 복제한 몰드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분자 박막을 나타내는 SEM 이미지이다.
30: 고분자 박막
Claims (20)
- 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관통홀(through-hole);
상면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제1 관통홀의 형성영역에 관련없이 독립적인 위치 및 관통 넓이를 갖는 복수의 제3 관통홀; 및
상기 제1 관통홀의 주변 영역에 상기 제1 관통홀 측 두께에 비하여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별도의 지지구조 없이 그 자체로 독립적인 지지구조(free-standing)를 형성하는 지지영역;을 포함하는 고분자 박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의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고분자 박막.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제1 관통홀의 횡단면상의 직경에 비하여 작은 횡단면상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고분자 박막.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관통홀은 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도트형 홈 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라인형 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홈으로 형성되는 고분자 박막.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2 관통홀은 마이크로 미터 단위의 횡단면상의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관통홀은 도트형 홈인 경우의 횡단면 상의 직경과 라인형 홈인 경우의 횡단면 상의 폭이 나노 단위 크기로 형성되는 고분자 박막.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의 크기는 5㎛ 이하이고, 상기 제1 관통홀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는 10㎛ 미만이고, 상기 지지영역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는 적어도 10㎛인 고분자 박막. -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구비되는 양각의 패턴들이 형성되는 제1 패턴부를 포함하는 제1 몰드; 및
상기 제1 몰드와 마주하는 일면에 상기 제1 패턴부의 형성 범위에 무관하게 양각의 패턴들이 형성되는 제3 패턴부를 포함하는 제2 몰드;를 포함하는 고분자 박막의 제조를 위한 몰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몰드는 상기 제1 패턴부 상에 양각으로 형성되는 제2 패턴부가 더 형성되는 고분자 박막의 제조를 위한 몰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패턴부에는 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도트형 패턴 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라인형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패턴을 포함하는 고분자 박막의 제조를 위한 몰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2 패턴부에 형성되는 각 패턴의 횡단면 상의 직경은 마이크로 단위의 크기로 형성되는 고분자 박막의 제조를 위한 몰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패턴부에 형성되는 도트형 패턴의 횡단면 상의 직경과 라인형 패턴의 횡단면 상의 폭은 나노 단위 크기로 형성되는 고분자 박막의 제조를 위한 몰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몰드 및 상기 제2 몰드는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고분자 박막의 제조를 위한 몰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몰드 및 상기 제2 몰드는 각각의 패턴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롤형으로 형성되는 고분자 박막의 제조를 위한 몰드. - 청구항 제13항에 기재된 제1 몰드 및 제2 몰드 중 어느 하나의 몰드의 패턴이 형성된 면에 폴리머(polymer)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몰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몰드를 타 몰드측으로 가압하는 단계;
상기 폴리머를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한 쌍의 몰드를 상기 경화된 폴리머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 박막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단계는 상기 제1 몰드에 형성된 양각의 패턴과 상기 제2 몰드에 형성된 양각 패턴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폴리머를 경화시키는 고분자 박막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광경화성 폴리머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화 단계에서는 상기 폴리머에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고분자 박막 제조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자외선인 고분자 박막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몰드 및 제2 몰드는 친수성(hydrophile property)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폴리머는 소수성(hydrophobic property) 재료로 형성되는 고분자 박막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몰드 및 제2 몰드는 소수성(hydrophobic property)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경화성 폴리머는 친수성(hydrophile property) 재료로 형성되는 고분자 박막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94454 | 2013-08-08 | ||
KR1020130094454 | 2013-08-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8347A KR20150018347A (ko) | 2015-02-23 |
KR101666023B1 true KR101666023B1 (ko) | 2016-10-13 |
Family
ID=53046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6196A Active KR101666023B1 (ko) | 2013-08-08 | 2014-01-17 | 나노 구멍을 갖는 고분자 박막, 그의 몰드 및 그를 이용한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602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86312A1 (en) * | 2018-03-28 | 2019-10-03 | BSH Hausgeräte GmbH | Thermoplastic polymer body with a surface structure, process for its manufacture and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the thermoplastic polymer bod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979982A1 (en) | 2015-03-17 | 2016-09-22 |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 Automated membrane fabrication system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6423B1 (ko) | 2004-02-06 | 2011-10-2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에치레지스트와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소자의 제조방법 및장치 |
KR101295826B1 (ko) | 2012-04-19 | 2013-08-12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나노기공을 가지는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
WO2013119083A1 (ko) | 2012-02-09 | 2013-08-15 | Jung Wonjae | 관통홀을 가지는 프리스탠딩한 고분자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
-
2014
- 2014-01-17 KR KR1020140006196A patent/KR10166602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6423B1 (ko) | 2004-02-06 | 2011-10-2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에치레지스트와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소자의 제조방법 및장치 |
WO2013119083A1 (ko) | 2012-02-09 | 2013-08-15 | Jung Wonjae | 관통홀을 가지는 프리스탠딩한 고분자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
KR101295826B1 (ko) | 2012-04-19 | 2013-08-12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나노기공을 가지는 고분자 또는 고분자복합재료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86312A1 (en) * | 2018-03-28 | 2019-10-03 | BSH Hausgeräte GmbH | Thermoplastic polymer body with a surface structure, process for its manufacture and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the thermoplastic polymer bod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8347A (ko) | 2015-0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6063B1 (ko) | 관통홀을 가지는 프리스탠딩한 고분자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 |
KR100805229B1 (ko) | 나노임프린트를 이용한 미세 패턴의 형성방법 | |
US20090120904A1 (en) |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structure having patte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 | |
US10583677B2 (en) | Nanoporous stamp printing of nanoparticulate inks | |
Kim et al. | Recent advances in unconventional lithography for challenging 3D hierarchical structures and their applications | |
AU2016343276A1 (en) | Polymer membranes having open through holes,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 |
US20050191419A1 (en) | Fabrication of nanostructures | |
US10118426B2 (en) | Nanoporous stamp for flexographic printing | |
Kumar et al. | Direct metal nano-imprinting using an embossed solid electrolyte stamp | |
KR20150053303A (ko) | 복제 몰드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세 구조 및 그 활용. | |
CN107175939B (zh) | 用于印刷线路制程的印章及其制造方法以及印刷线路制程 | |
CN108089398A (zh) | 一种纳米通孔阵列聚合物模板及其制备方法 | |
KR101666023B1 (ko) | 나노 구멍을 갖는 고분자 박막, 그의 몰드 및 그를 이용한 제조방법 | |
US20110094402A1 (en) | Template and pattern formation method | |
TW200936363A (en) | Imprint lithography apparatus and method | |
KR101107474B1 (ko) | 소프트몰드와 이를 이용한 패턴방법 | |
KR100881233B1 (ko) | 임프린트 리소그래피용 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임프린트리소그래피방법 | |
US9149958B2 (en) | Stamp for microcontact printing | |
Lim et al. | Novel soft stamp development for direct micro-and nano-patterning of macroscopic curved surfaces | |
US9955584B2 (en) | Stamp for printed circuit proces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printed circuit process | |
KR101080612B1 (ko) | 전기화학적 에칭을 위한 식각 구멍 형성 방법 | |
US7964054B2 (en) | Method of applying a material on a substrate | |
JP2007073696A (ja) | パターン形成方法、パターン形成装置およびパターン形成ずみフィルム | |
JP6279430B2 (ja) | テンプレート、テンプレート形成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Li et al. | Fabrication of micro/nano fluidic system combining hybrid mask-mould lithography with thermal bon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