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240B1 - Temporary Anti-rain System for Reactor Building of Nuclear power plant - Google Patents
Temporary Anti-rain System for Reactor Building of Nuclear power pla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5240B1 KR101665240B1 KR1020150030140A KR20150030140A KR101665240B1 KR 101665240 B1 KR101665240 B1 KR 101665240B1 KR 1020150030140 A KR1020150030140 A KR 1020150030140A KR 20150030140 A KR20150030140 A KR 20150030140A KR 101665240 B1 KR101665240 B1 KR 1016652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ielding film
- weather
- containment
- containment building
- power pla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8—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against unfavourable weather influence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3/00—Pressure vessels; Containment vessels; Containment in general
- G21C13/08—Vesse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election of materials for pressure vessels
- G21C13/093—Concrete vesse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용 전천후 가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과 철거를 용이하게 빠른 시간안에 할 수 있고, 제작 및 설치 비용이 저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용 전천후 가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격납철판과, 그 격납철판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강재의 제1보강재와, 상기 격납철판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제1보강재에 결합하는 채널형상의 제2보강재를 구비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 중 기상 악화시에도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격납건물의 상부를 덮어 외부로부터 일시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용 전천후 가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격납건물의 시공 중 개방된 상부를 덮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되었을 때 중앙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구멍과 구멍 주변에 형성된이 형성된 차폐막; 상기 차폐막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단부는 상기 차폐막의 구멍쪽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격납건물의 벽쪽에 고정되는 슬링 벨트(sling belt); 상기 차폐막에 형성된 구멍에 배치되어 상기 차폐막으로 떨어진 물이 모이는 집수통; 상기 집수통에 고인 물을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부는 상기 집수통의 바닥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격납건물의 벽쪽에 배치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관을 지지하는 배수관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용 전천후 가설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l-weather installation system for a containment building of a nuclear power plan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l-weather installation system for a containment building for a nuclear power plant that can be easily constructed and demoun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l-weather all-weather system.
A second reinforcing member of steel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taining steel plate and a second reinforcing member of a channel shape that engages with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taining steel pl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l-weather installation system for a containment building construction for a nuclear power plant for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ment building and temporarily shielding the containment building from the outside so as to be able to be installed even when the weather deteriorates during construction of the containment building of the nuclear power plant, A shielding film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hole to surround the open top during installation of the building, A sling belt having one end fixed to the hole of the shielding film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wall of the containment; A collecting container disposed in a hole formed in the shielding film and collecting water falling into the shielding film; A drain pipe connected to a bottom of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and having an opposite end disposed on a wall of the containment; And a drain pipe supporting unit for supporting the drain pip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ll-weather installation system for the containment building construction of a nuclear power plant.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용 전천후 가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과 철거를 용이하게 빠른 시간안에 할 수 있고, 제작 및 설치 비용이 저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용 전천후 가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l-weather installation system for a containment building of a nuclear power plan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l-weather installation system for a containment building for a nuclear power plant that can be easily constructed and demoun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l-weather all-weather system.
전 지구적으로 에너지는 오래전부터 중요한 이슈로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한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지속 되고 있으며 최근 풍력, 태양열, 태양광, 지열, 조력 등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집중되고 있으며 독일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기존의 발전 시스템을 신재생 에너지 중심의 발전 시스템으로 점진적으로 교체해가고 있는 중이다.Globally, energy has long been of interest as an important issue. In particular, efforts to replace fossil fuels, which are the main cause of global warming, are continuing worldwide. Recent interest in renewable energy such as wind, solar, solar, geothermal, The existing power generation system is gradually being replaced by a new generation power generation system.
원자력 발전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와 같이 폭발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돌이키기 힘든 피해가 생기기는 하지만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발전과정에서 관리를 요하는 방사선 폐기물이 발생하기는 하지만 대기오염이나 수질오염 등의 공해도 거의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발전 시스템의 하나이고 앞으로도 많은 수의 원자력 발전소가 시공 및 운영될 예정이다.Nuclear power generation is not only cost-effective, but also produces radiation wastes that need to be managed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although air pollution or water pollution Since it does not cause pollution, it is one of the most used power generation system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a large number of nuclear power plants will be constructed and operated in the future.
원자력 발전소는 내부에 핵물질을 수용하는 격납시설을 포함하고 있는데 안전상의 이유로 이러한 격납시설의 시공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비가 오면 시공을 멈추게 된다. 우리나라 같은 경우 장마철 기간 내내 공사를 멈추어야 하며 이러한 상황은 시공공기를 길어지게 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Nuclear power plants contain enclosures that contain nuclear material inside. For safety reasons, the construction of these enclosures is very important. Therefore, when it comes to rain, construction stops. In the case of Korea, construction should be stopped throughout the rainy season and this situation is an important cause of lengthening the construction ai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원자력 발전소의 시공에 있어 시공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비가 오는 상황에서도 시공할 수 있는 시공방법과 이와 관련된 시스템(장치)을 소위 전천후 시공방법이나 전천후 가설 시스템이란 명칭으로 부르고 있다.Effort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in the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have been continuing, and construction methods and related systems that can be constructed even in the rainy conditions are called "all-weather construction methods" or "all- .
도 1은 브라질 앙그라 원전에서 실시된 전천후 시공방법으로서 공사장 전체에 가설막을 설치하고 시공을 하는 방법이다. 가설막은 별도의 구조물 없이 공기를 이용하여 부풀리는 방식으로 설치되었다. 원자력 발전소의 현장은 일반적으로 수만제곱미터에 달할 정도로 매우 넓어서 그 전체를 막으로 둘러싸는 것은 비용면에서 매우 비현실적이며 막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는 것 역시 쉬운 일은 아니므로 도 1에 도시된 전천후 시공방법이 일반화되지는 못하였다. Fig. 1 shows an all-weather installation method carried out in the Brazilian nuclear power plant. The hypothetical membrane was installed in an inflated manner using air without any additional structure. Since the site of a nuclear power plant is so wide that it is generally as large as tens of thousands of square meters, it is very unrealistic in terms of cost to enclose the whole of the nuclear power plant, and it is not easy to blow air into the inside of the membrane. It was not generalized.
도 1에 도시된 전천후 시공방법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비나 눈이 오는 등의 악천후 시에는 전천후 가설 시스템를 설치했다가 시공 하기에 문제가 없는 날씨가 되면 전천후 가설 시스템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of the all-weather construction method shown in FIG. 1, in case of bad weather such as rain or snow, an all-weather hypothesis system is installed, and a method of eliminating the all- .
본 발명은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경기술에 비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만으로 시공 및 철거가 가능하고 시공이나 철거를 빠른 시간에 할 수 있으며 비용 측면에서도 저렴한 전천후 가설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background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related art, Affordable all-weather hypothetical system.
전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격납철판과, 그 격납철판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강재의 제1보강재와, 상기 격납철판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제1보강재에 결합하는 채널형상의 제2보강재를 구비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 중 기상 악화시에도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격납건물의 상부를 덮어 외부로부터 일시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용 전천후 가설 시스템에 있어서,A first reinforcing member made of a steel material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taining steel plate and a second reinforcing member in the form of a channel coupled to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taining steel plate, 1. An all-weather installation system for a containment building construction for a nuclear power plant for covering an upper part of the containment building and temporarily shielding the containment building from the outside so as to allow construction even during a weather deterioration during construction of a containment building of a power plant,
상기 격납건물의 시공 중 개방된 상부를 덮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되었을 때 중앙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구멍과 구멍 주변에 형성된이 형성된 차폐막;A shielding film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hole to surround the open upper part of the containment building when the enclosure is installed;
상기 차폐막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단부는 상기 차폐막의 구멍쪽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격납건물의 벽쪽에 고정되는 슬링 벨트(sling belt);A sling belt having one end fixed to the hole of the shielding film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wall of the containment;
상기 차폐막에 형성된 구멍에 배치되어 상기 차폐막으로 떨어진 물이 모이는 집수통;A collecting container disposed in a hole formed in the shielding film and collecting water falling into the shielding film;
상기 집수통에 고인 물을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부는 상기 집수통의 바닥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격납건물의 벽쪽에 배치되는 배수관; 및,A drain pipe connected to a bottom of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and having an opposite end disposed on a wall of the containment; And
상기 배수관을 지지하는 배수관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용 전천후 가설 시스템을 제공한다.And a drain pipe supporting unit for supporting the drain pip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ll-weather installation system for a containment building construction of a nuclear power plant.
상기 슬링 벨트의 일단부는 상기 집수통에 고정되고 상기 슬링 벨트의 타단부는 상기 격납건물쪽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end of the sling belt is fixed to the collection tube, and the other end of the sling belt is detachably fixed to the containment structure.
상기 슬링 벨트의 타단부는 상기 제2보강부재를 감싼 상태로 래칫 스트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nd the other end of the sling belt is fixed by the ratchet strap in a state of wrapping the second reinforcement member.
상기 슬링 벨트를 감싼 상태로 상기 차폐막에 결합하는 결합막에 상기 슬링 벨트가 상기 차폐막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슬링 벨트나 상기 차폐막이 신축될 때 서로 독립적으로 신축되는 것이 좋다.And the sling belt is engaged with the shielding film on a bonding film which is coupled to the shielding film while the sling belt is being wrapped, so that the sling belt or the shielding film is stretched and contrac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when the sling belt or the shielding film is stretched or shrunk.
상기 차폐막이 설치되었을때 상기 차폐막의 외주부에는 상기 시공 중인 격납건물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공기구멍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n air hole is formed in an outer periphery of the shielding film so that air can be communicated from the inside of the enclosing building to the outside when the shielding film is installed.
상기 배수관 지지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집수통과 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격납건물 벽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케이블과,The water pipe support unit includes a first cabl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water reservoir and the other end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tainment building wall,
상기 제1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배수관을 지지하는 제2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a second cable connected to the first cable and supporting the drain pipe.
본 발명의 효과는,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첫째, 비교적 간단한 구성만으로 시공 및 철거가 가능하고,First, construction and demolition are possible with relatively simple structure,
둘째, 빠른 시간에 시공이나 철거를 할 수 있으며,Second, construction and dismantling can be done quickly,
셋째, 저렴하고,Third,
넷째, 보관이 용이한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용 전천후 가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Fourth, it is possible to provide all-weather hypothesis system for the containment building construction of the nuclear power plant which can be easily stored.
도 1은 종래의 전천후 시공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용 전천후 가설 시스템의 정면도.
도 3은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용 전천후 가설 시스템의 차폐막과 슬링 벨트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 표시된 슬링 벨트를 서로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집수통과 배수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슬링 벨트를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슬링 벨트와 차폐막을 서로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배수관을 지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all-weather installation method;
FIG. 2 is a front view of an all-weather installation system for a containment building of a nuclear power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a shielding film and a sling belt of an all-weather installation system for the containment building construction of a nuclear power plant.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necting the sling belts shown in FIG. 3 to each other; FIG.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water collecting container and a drain pipe.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fixing a sling belt.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necting a sling belt and a shielding film to each other;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supporting a drain pip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용 전천후 가설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an all-weather installation system for a containment building of a nuclear power plant.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용 전천후 가설 시스템의 정면도, 도 3은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용 전천후 가설 시스템의 차폐막과 슬링 벨트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 표시된 슬링 벨트를 서로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집수통과 배수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슬링 벨트를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슬링 벨트와 차폐막을 서로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배수관을 지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2 is a front view of an all-weather installation system for the containment building construction of a nuclear power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shielding film and the sling belt of the all-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necting the sling belts to each other,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water container and a drain pipe,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fixing a sling belt,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necting a sling belt and a shielding film to each other, and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supporting a drain pipe.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 중 비가 오는 등의 기상 악화시에도 계속해서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격납건물의 상부를 덮어 외부로부터 일시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용 전천후 가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l-weather installation for the containment building construction of a nuclear power plant for temporarily shielding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ment building from the outside so as to be able to continue construction even when the weather deteriorates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containment building of the nuclear power plant. ≪ / RTI >
원자로의 격납건물은 대규모 철근 콘크리트 건물인데, 이러한 격납건물에는 에는 방사능 차폐를 위하여 격납철판(Containment Liner Plate; CLP)이 일정두께(보통 1/4 인치 내외)로 설치된다. The reactor containment building is a large-scale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Containment liner plates (CLP) are installed at a certain thickness (usually 1/4 inch) to shield radioactivity.
격납철판에는 제1보강재(3; 도 6참조)와 제2보강재(4; 도 6참조)가 설치되는데, 제1보강재(3)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격납철판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된다. 제1보강재(3)로는 일반적으로 H형강이 사용된다. 제1보강재(3)는 격납건물이 시공되는 과정에서 격납건물의 콘크리트 외벽에 매몰되며, 격납철판의 강성을 보강하는 한편, 격납건물의 외벽을 이루는 콘크리트와 격납철판의 합성을 보다 강력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6) and a second stiffener 4 (see Fig. 6) are provided on the holding steel plate. The
상기 제2보강재(4)는 상기 제1보강재에 결합하는 강재의 채널로서 격납철판을 감싸는 형태로 제1보강재(3)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전체적으로 보아 원형이다. 제2보강재(4) 역시 콘크리트 외벽에 함몰되는 구성이다.The second stiffener 4 is dispos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이러한 원자력 발전소 시공에 있어 공기단축은 공사 비용 절감이 필수적이므로 비가 오는 등의 악천후에도 공사를 진행할 수 있는 전천후 가설 시스템이 필요한 것이다.
In order to shorten the construction time of the nuclear power plant,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cost of the constru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all-weather system that can carry out the construction even in bad weather such as rain.
본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용 전천후 가설 시스템은 차폐막(10), 슬링 벨트(20), 집수통(30), 배수관(40) 및 배수관 지지유닛(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 표시시된 도면부호 T는 타워 크레인이다.The all-weather installation system for the containment building construction of the nuclear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상기 차폐막(10)은 상기 격납건물(1)의 상부를 덮어서 그 내부로 빗물이 침투하는 것을 막는 막으로서 막 구조물에 사용되는 막을 사용할 수 있다.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막(10)의 중앙에는 구멍(11)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공기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a
상기 구멍(11)은 차폐막에 떨어진 빗물을 배출하기 위한 구멍이다.The
상기 공기구멍(12)은 차폐막이 설치되어 있는 동안 시공 중인 격납건물(1)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소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멍으로서 부압에 의해 과도한 하중이 차폐막에 작용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The air hole (12) is a hole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air inside and outside of the containment building (1) while the shielding film is installed, so as to prevent an excessive load from acting on the shielding film due to negative pressure.
상기 슬링 벨트(20)는 상기 차폐막(10)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슬링 벨트는 웹슬링, 슬링바 또는 벨트슬링이라고도 불리며 공사현장에서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릴 때 그 물건을 감싸는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가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꼬아 만든 섬유 케이블과 그 섬유 케이블을 감싸는 합성 섬유 소재의 커버로 구성되어 가볍고 유연하다. 슬링 벨트가 버틸 수 있는 하중의 크기는 슬링 벨트의 폭이나 단부의 고리형태 등에 따라 달라지며 다양한 형태로 규격화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규격에 따라 지탱가능한 하중의 크기 역시 규격화되어 있다.The
막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슬링 벨트(20)의 규격과 배치는 하중을 고려하여 설계하게 된다. 도 3에는 이러한 설계에 따란 배치된 슬링 벨트(2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The size and arrangement of the
슬링 벨트(20)를 배치하면서 하나의 슬링 벨트(20)와 둘 이상의 슬링 벨트(20)가 연결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럴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클(shackle; 27)을 사용하여 슬링 벨트(20)를 서로 연결하게 된다.A
상기 슬링 벨트(20)의 일단부는 집수통(3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격납건물(1) 쪽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보강부재(4)를 감싼 상태로 라쳇 스트립(21)에 의해 임시 고정된다. One end of the
도 5에는 슬링 벨트(20)의 일단부가 집수통(30)에 고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슬링 벨트(20)의 타단부가 제2보강부재(4)를 감싼 상태로 라쳇 스트립(21)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5 shows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라쳇 스트립(21)은 슬링 벨트(20)를 고정할 때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라쳇 기어(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고 반대방향으로는 회전이 제한되는 기어)를 활용하여 슬링 벨트(20)를 결속하는 도구이며 현장에서는 깔깔이바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The
종래에 막을 이용한 전천후 가설 시스템의 경우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케이블은 통상적으로 강재로 구성되는데 강재의 케이블은 하중에 저항하는 능력은 탁월하지만 쉽게 굽혀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 격납건물(1)은 원형으로 제작되고 그 반경이 24m가 넘으므로 차폐막의 면적은 1,800㎡가 넘는다. 차폐막과 케이블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고 보관되는데 강재의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보관과정에서 차폐막을 접기가 어려워 보관이 매우 어렵다. 이에 비하여 슬링 벨트의 경우 강재 케이블에 비하여 하중에 저항하는 능력은 떨어지지만 차폐막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탱하기에는 충분하며 천으로 되어 있어서 유연성이 뛰어나므로 차폐막과 결합한 상태로 접기가 쉬워 보관 면적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을 위한 이동에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Conventionally, in case of all-weather installation system using membrane, cable was often used. Cables are typically made of steel. Steel cables have the ability to withstand loads but not easily bend. The containment building (1) is made in a circular shape and has a radius of more than 24m so that the area of the shielding film exceeds 1,800m2. The shielding film and the cable are installed and stored in a state where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When a steel cable is used, it is difficult to keep the shielding film in a storage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sling belt is less resistant to load than steel cables, but it is sufficient to support the load acting on the shielding film. Since it is excellent in flexibility because it is cloth, it is easy to fold because it is combined with shielding film.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moving for storage as well as being advantageous.
상기 슬링 벨트(20)와 상기 차폐막(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막(15)에 의해 결합한다. 결합막(15)은 슬링 벨트(20)를 감싼 상태로 차폐막(10)에 결합함으로써 슬링 벨트(20)와 차폐막(10)이 결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결합으로 인하여 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의 구성이 신축될 때 서로 독립적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한다. 차폐막(10)과 슬링 벨트(20)가 서로 독립적으로 신축하지 못하는 경우 슬링 벨트(20)에 작용하는 하중이 차폐막(10)에 전달될 수 있고 차폐막(10)에 인장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찢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므르로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막(15)에 의해 차폐막(10)과 슬링 벨트(20)를 결합한다. 이로서 모든 하중은 슬링 벨트(20)가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집수통(30)은 상기 차폐막(10)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11)에 배치되어 상기 차폐막(10)의 위로 떨어지는 눈이나 비 등의 물이 모이는 통이다. The
상기 배수관(40)은 상기 집수통(30)에 모인 물을 배출하는 관으로서 일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통(40)의 바닥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납건물(1)의 벽쪽에 배치되어 배수관(40)을 통하여 이동한 물이 격납견물(1)의 내벽을 따라 바닥으로 내려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상기 배수관(40)의 타단부는 집수통(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배치됨으로써 중력에 의해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없이도 집수통(30)의 물을 배수관(40)을 통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수관(40)의 재질 역시 상기 슬링벨트(20)처럼 접힐 수 있을 정도로 유연한 재질의 관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이러한 조건에 만족하는 천으로 된 소방호스와 동일한 소재의 관을 사용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상기 배수관 지지유닛(50)은 상기 배수관(40)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케이블(51)과 제2케이블(52)로 구성된다. 상기 제1케이블(51)은 상기 집수통(30)과 격납건물(1)의 벽 사이에 설치되는 긴 케이블이고, 상기 제2케이블(52)은 상기 제1케이블(51)과 상기 배수관(40) 사이를 잇는 케이블이다.
The water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의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용 전천후 가설 시스템의 설치 및 해체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함으로써 각 구성의 기능,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operation and effect of each constitution will be described by briefly explaining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all-weather installation system for the containment building construction of the nuclear power pla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원자력 발전소의 시공 중에 비가 오면 전술한 구성의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용 전천후 가설 시스템을 설치하게 된다.If it rai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nuclear power plant, it will install the all-weather installation system for the containment building construction of the nuclear power plant with 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
차폐막(10), 슬링 벨트(20), 집수통(30), 배수관(40) 및 배수관 지지 유닛(50)은 서로 결합이 완료된 상태로 제작되며, 비가 오면 언제나 사용하능한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가 비가 오면 설치하게 되며, 타워 크레인에 의하여 격납건물(1)의 상부로 올려진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슬링 벨트(20)를 제2보강부재(4)에 결합함으로써 그 설치가 마무리된다.The shielding
차폐막(10)은 격납 건물의 상부를 차폐함으로써 비가 격납 건물의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The shielding
차폐막(10)의 위에 떨어지는 빗물은 중력에 의하여 중앙부의 구멍(11)에 마련되는 집수통(30)으로 모인 후 다시 중력에 의하여 배수관(40)을 통하여 바로바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차폐막(10)에 작용하는 하중을 최소화하도록 한다.The rainwater falling on the shielding
비가 그치게 되면 슬링 벨트(20)를 제2보강부재(4)에 결합하는 라쳇 스트립(27)을 조작하여 슬링 벨트(20)를 풀어낼 수 있는 상태로 만든 후에 역시 타워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체하게 된다.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형태의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용 전천후 가설 시스템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can be embodied as an all-weather hypothesis system for the containment building construction of various types of nuclear power plants.
10 : 차폐막 20 : 슬링 벨트
30 : 집수통 40 : 배수관
50 : 배수관 지지 유닛10: Shielding film 20: Sling belt
30: Pail 40: Pail
50: Drain pipe support unit
Claims (6)
상기 격납건물의 시공 중 개방된 상부를 덮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되었을 때 중앙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구멍과 구멍 주변에 형성된이 형성된 차폐막;
상기 차폐막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단부는 상기 차폐막의 구멍쪽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격납건물의 벽쪽에 고정되는 슬링 벨트(sling belt);
상기 차폐막에 형성된 구멍에 배치되어 상기 차폐막으로 떨어진 물이 모이는 집수통;
상기 집수통에 고인 물을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부는 상기 집수통의 바닥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격납건물의 벽쪽에 배치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관을 지지하는 배수관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슬링 벨트의 일단부는 상기 집수통에 고정되고 상기 슬링 벨트의 타단부는 상기 격납건물쪽의 제2 보강부재를 감싼 상태로 래칫 스트랩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슬링 벨트를 감싼 상태로 상기 차폐막에 결합하는 결합막에 상기 슬링 벨트가 상기 차폐막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슬링 벨트나 상기 차폐막이 신축될 때 서로 독립적으로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용 전천후 가설 시스템.
A first reinforcing member made of a steel material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taining steel plate and a second reinforcing member in the form of a channel coupled to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taining steel plate, 1. An all-weather installation system for a containment building construction for a nuclear power plant for covering an upper part of the containment building and temporarily shielding the containment building from the outside so as to allow construction even during a weather deterioration during construction of a containment building of a power plant,
A shielding film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hole to surround the open upper part of the containment building when the enclosure is installed;
A sling belt having one end fixed to the hole of the shielding film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wall of the containment;
A collecting container disposed in a hole formed in the shielding film and collecting water falling into the shielding film;
A drain pipe connected to a bottom of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and having an opposite end disposed on a wall of the containment; And
And a drain pipe supporting unit for supporting the drain pipe,
One end of the sling belt is fixed to the water collection tube and the other end of the sling belt is detachably fixed by a ratchet strap in a state of enclosing a second reinforcing member on the side of the containment building,
Wherein the sling belt is stretched and contrac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when the sling belt or the shielding film is stretched and contracted by engaging the sling belt with the shielding film on a joining film which is coupled to the shielding film while the sling belt is being wrapped. All - weather hypothesis system.
상기 차폐막이 설치되었을때 상기 차폐막의 외주부에는 상기 시공 중인 격납건물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공기구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용 전천후 가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ir hole is formed in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hielding film when the shielding film is installed so that air can be communicat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enclosing building during construction of the shielding film.
상기 배수관 지지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집수통과 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격납건물 벽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케이블과,
상기 제1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배수관을 지지하는 제2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격납건물 시공용 전천후 가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pipe support unit includes a first cabl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water reservoir and the other end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tainment building wall,
And a second cable connected to the first cable to support the drain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0140A KR101665240B1 (en) | 2015-03-04 | 2015-03-04 | Temporary Anti-rain System for Reactor Building of Nuclear power pla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0140A KR101665240B1 (en) | 2015-03-04 | 2015-03-04 | Temporary Anti-rain System for Reactor Building of Nuclear power pla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8627A KR20160108627A (en) | 2016-09-20 |
KR101665240B1 true KR101665240B1 (en) | 2016-10-25 |
Family
ID=5710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0140A Active KR101665240B1 (en) | 2015-03-04 | 2015-03-04 | Temporary Anti-rain System for Reactor Building of Nuclear power pla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5240B1 (en) |
-
2015
- 2015-03-04 KR KR1020150030140A patent/KR101665240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8627A (en) | 2016-09-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K2805909T3 (en) | Heating device | |
US7918632B2 (en) | Wind turbine nacelle | |
US20180202182A1 (en) | Tower for a wind power plant | |
EA011704B1 (en) | A top piece for a manhole structure | |
KR101665240B1 (en) | Temporary Anti-rain System for Reactor Building of Nuclear power plant | |
WO2022103348A1 (en) | A multi-pod support structure for a wind turbine tower | |
JP6894406B2 (en) | How to install the rain pit in the tank pit and the rain pit in the tank pit | |
KR101445561B1 (en) | Temporary roof system for all-weather construction of neclear power plant | |
CN202289669U (en) | Novel bag in-and-out structure for replacing filter for containment sump filter | |
KR200479748Y1 (en) | Stainless steel water tank with a reinforcing flange | |
CN103883135B (en) | AP1000 reactor building internal structure building course finished product protection device | |
CN217141660U (en) | Movable roof and rigid landfill | |
CN206367672U (en) | A kind of construction site environmental protection cistern device | |
CN106128534A (en) | A kind of underground nuclear power station with low and intermediate level radioac disposal site | |
CN205530648U (en) | Pump station device | |
KR101229095B1 (en) | Inner roof system for reactor containment building of nuclear power plant | |
CN102855947A (en) | Temporary roof cover of nuclear island safety shell | |
CN209760554U (en) | Openable inflatable temporary top cover for nuclear island containment | |
CN205476609U (en) | Rain-proof cover of mechanical equipment movable | |
JP5681318B1 (en) | Method for dismantling a damaged reactor core | |
KR100823556B1 (en) | Storm receiver installed on the foundation of transmission tower | |
JP5265328B2 (en) | Air membrane structure | |
CN205900109U (en) | An underground nuclear power plant with a disposal site for low and intermediate radioactive waste | |
CN215759111U (en) | Underground factory roof arch prevention of seepage water-collection device | |
US12264721B2 (en) | Leak containment arrang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8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2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8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9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8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8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0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