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64894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자동 등록 및 실행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자동 등록 및 실행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894B1
KR101664894B1 KR1020100020245A KR20100020245A KR101664894B1 KR 101664894 B1 KR101664894 B1 KR 101664894B1 KR 1020100020245 A KR1020100020245 A KR 1020100020245A KR 20100020245 A KR20100020245 A KR 20100020245A KR 101664894 B1 KR101664894 B1 KR 101664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cuting
input
information
function
specific fun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1316A (ko
Inventor
전진우
한영섭
김영집
박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0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894B1/ko
Priority to US13/043,273 priority patent/US9958969B2/en
Publication of KR20110101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89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자동 등록 및 실행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등록 및 실행 방법은, 기능 및 상기 기능에 대한 환경설정값과 사용 문자열/숫자열값을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에 대한 원터치 입력이 감지될 시, 상기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에 등록된 환경설정값 및 사용 문자열/숫자열값으로, 상기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에 등록된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자동 등록 및 실행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GISTERING AND EXECUTING PREFERED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자동 등록 및 실행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편리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스케줄러(Scheduler),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인터넷(Internet), 이메일(e-mail), 알람(Alarm), MP3(MPEG Audio Layer-3), 디지털카메라(Digital Camera), 전자사전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종래 이동통신 단말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으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단말의 메뉴 화면을 통한 여러 단계의 메뉴 선택과 다수의 키 조작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회의중에 전화가 왔을 때, 사용자가 단말의 메시지 전송 기능을 선택하여 "회의중입니다. 회의 후 전화드리겠습니다."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전화를 건 상대방에게 전송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메시지 전송 기능을 선택하고, 메시지의 내용과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확인키를 눌러야 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제공하며, 특히 사용자가 특정 기능의 특정 동작을 자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더 큰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자동 등록 및 실행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기능 및 일련의 동작을 자동으로 등록하고 원터치로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기능 및 해당 기능의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을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예를 들어, 위젯, 모션 커맨드, 마이메뉴, 버튼, 키)에 등록하고, 상기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의 원터치가 감지되면, 해당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을 적용하여 해당 기능을 자동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등록 및 실행 방법은, 기능 및 상기 기능에 대한 환경설정값과 사용 문자열/숫자열값을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에 대한 원터치 입력이 감지될 시, 상기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에 등록된 환경설정값 및 사용 문자열/숫자열값으로, 상기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에 등록된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등록 및 실행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로 제공하는 입력부와, 기능 및 상기 기능에 대한 환경설정값과 사용 문자열/숫자열값을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에 등록하고, 상기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에 대한 원터치 입력이 감지될 시, 상기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에 등록된 환경설정값 및 사용 문자열/숫자열값으로, 상기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에 등록된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기능 및 해당 기능의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을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예를 들어, 위젯, 모션 커맨드, 마이메뉴, 버튼, 키)에 등록하고, 상기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의 원터치가 감지되면, 해당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을 적용하여 해당 기능을 자동 실행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기능 및 일련의 동작을 자동으로 등록하고 원터치로 실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최소한의 클릭, 최소한의 터치만으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자동 등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자동 실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호기능 직접 등록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젯 또는 버튼으로 등록된 선호기능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자동 등록 및 실행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기능 및 해당 기능의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을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예를 들어, 위젯, 모션 커맨드, 마이메뉴, 버튼, 키)에 등록하고, 상기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의 원터치가 감지되면, 해당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을 적용하여 해당 기능을 자동 실행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 문자열/숫자열 값은, 사용자가 키를 조작하여 입력해야 하는 값으로, 예를 들어 메시지에 입력될 내용 또는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션 커맨드는, 단말의 대기화면에 직접 그림을 그리거나 휴대폰을 움직임으로써 단말에게 입력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모션 커맨드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단말에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가 구비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제어부(100), 표시부(102), 입력부(104), 메모리(106), 통신부(1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0)는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기능 및 일련의 동작을 자동으로 등록하고 원터치로 실행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기능 및 해당 기능의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을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예를 들어, 위젯, 모션 커맨드, 마이메뉴, 버튼, 키)에 등록하고, 상기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의 원터치가 감지되면, 해당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을 적용하여 해당 기능을 자동 실행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상기 표시부(102)는 단말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02)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4)는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02)와 입력부(104)의 기능은 터치스크린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스크린부(도시하지 않음)는 사용자의 화면 터치를 통한 터치스크린 입력과 터치스크린을 통한 그래픽 화면 출력을 담당한다.
상기 메모리(106)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각종 정보들을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기능 및 일련의 동작을 자동으로 등록하고 원터치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즉, 상기 메모리(106)는 사용자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기능 및 해당 기능의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을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예를 들어, 위젯, 모션 커맨드, 마이메뉴, 버튼, 키)에 등록하고, 상기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의 원터치가 감지되면, 해당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을 적용하여 해당 기능을 자동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06)는 기 결정된 기간 동안, 기능,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의 조합으로 사용 이력을 저장한다.
상기 통신부(108)는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08)는 상기 제어부(100)로부터의 신호를 변조 및 주파수 상승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거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주파수 하강변환 및 복조하여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자동 등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은 201단계에서 기능,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 조합의 사용 이력을 저장한다. 이와 같은 사용 이력은, 기 결정된 기간,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간, 또는 현재 시점으로부터 최근 기 결정된 기간 동안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203단계에서 상기 저장된 사용 이력을 기반으로, 사용 횟수가 기준값 이상인 기능,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 조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즉, 사용자에 의해 일정 횟수 이상 자주 사용되는 조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조합의 검출 조건으로, 일정 기간 동안의 사용 횟수뿐만 아니라, 사용 시간 및 장소 등의 사용자 상황이 함께 고려될 수 있다.
상기 203단계에서, 사용 횟수가 기준값 이상인 기능,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 조합이 존재하지 않음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상기 201단계로 돌아간다.
반면, 상기 203단계에서, 사용 횟수가 기준값 이상인 기능,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 조합이 존재함이 판단될 시, 상기 단말은 205단계에서 표시부를 통해 상기 기능,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 조합을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에 등록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질의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팝업창을 통해 상기 질의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 결과에 따라 등록 응답 또는 취소 응답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207단계에서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 등록 응답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207단계에서, 취소 응답이 선택됨이 감지될 시, 상기 단말은 상기 201단계로 돌아간다.
반면, 상기 207단계에서, 등록 응답이 선택됨이 감지될 시, 상기 단말은 209단계에서 상기 표시부에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의 목록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의 목록으로, 위젯, 모션 커맨드, 마이메뉴, 버튼, 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기능,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 조합을 등록할 하나의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211단계에서 하나의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211단계에서, 하나의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가 선택됨이 감지될 시, 상기 단말은 213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에 상기 기능,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을 등록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자동 실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은 301단계에서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의 원터치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301단계에서,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의 원터치 입력이 감지될 시, 상기 단말은 303단계에서 해당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에 등록된 기능,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305단계에서 상기 확인된 환경설정값 및 사용 문자열/숫자열값으로, 대응하는 기능을 자동 실행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단말은 사용 이력을 기반으로 사용 횟수가 기준값 이상인 기능,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 조합을 자동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조합에 대해 위젯, 모션 커맨드, 마이메뉴, 버튼, 키 등으로 등록할 것인지 여부를 질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호되는 기능을 등록한다.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 조합을 위젯, 모션 커맨드, 마이메뉴, 버튼, 키 등으로 직접 등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단말의 모든 어플리케이션이, 현재 설정 상태 그대로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로 등록할 수 있는 메뉴(option)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는 단말의 각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호하는 환경을 설정한 후 상기 메뉴를 통해 현재 설정 상태 그대로를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로 등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단말이 표시부에 기능,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 조합의 사용 이력을 표시하고, 그 중 하나의 아이템이 선택될 경우, 원터치 실행 오브젝트에 해당 기능,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 조합을 등록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젯 또는 버튼으로 등록된 선호기능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위젯 또는 버튼에는 사용자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기능, 환경설정값, 사용 문자열/숫자열값이 등록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위젯 또는 버튼의 원터치가 감지될 경우, 다음과 같은 일련의 과정이 실행될 수 있다.
1. 야외촬영 모드, 외부메모리카드, 640×480 크기, 30fps의 설정으로 동영상 촬영 바로 시작
2.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최근에 재생된 MP3 앨범을 볼륨 5로 듣기
3.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을 검색하여 바로 연결하기
4. '해운대' 영화를 전체화면으로 블루투스 모드로 이어보기, 밝기 최대로 재생 시작
5. SBS DMB TV 채널을 전체화면으로 바로 시청하기
6. 회의중에 전화가 왔을 때, '회의중입니다. 회의 후 전화드리겠습니다'라는 메시지를 전화 건 사람에게 보내기
7. 애인에게 영상통화로 전화하기
8. 남편에게 퇴근 언제하는지 SMS 보내기: "지금 집에 간다"
9. 91.9 MHz FM Radio 시작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제어부 100, 표시부 102, 입력부 104, 메모리 106, 통신부 108

Claims (10)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등록 및 실행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오브젝트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오브젝트들 중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제1 입력을 감지할 시, 상기 제1 입력이 감지된 오브젝트에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 실행을 위한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입력이 감지된 오브젝트에 대한 제2 입력을 감지할 시, 상기 제1 입력이 감지된 오브젝트에 등록된 특정 기능 실행을 위한 정보를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의 실행 횟수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실행 횟수가 기준 값보다 클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의 실행을 위한 정보를 오브젝트에 등록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창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 실행을 위한 정보는, 휴대용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모드 실행을 위한 정보, 오디오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의 재생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정보 및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텍스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다수의 오브젝트들 중 사용자에 의한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선택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오브젝트들은, 위젯, 모션 커맨드, 마이메뉴, 버튼 및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등록 및 실행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와,
    입력부와,
    다수의 오브젝트들을 표시하고, 상기 다수의 오브젝트들 중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제1 입력을 감지할 시, 상기 제1 입력이 감지된 오브젝트에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 실행을 위한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제1 입력이 감지된 오브젝트에 대한 제2 입력을 감지할 시, 상기 제1 입력이 감지된 오브젝트에 등록된 특정 기능 실행을 위한 정보를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의 실행 횟수를 계산하고, 상기 실행 횟수가 기준 값보다 클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 실행을 위한 정보를 오브젝트에 등록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 실행을 위한 정보는, 휴대용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모드 실행을 위한 정보, 오디오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의 재생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정보 및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텍스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다수의 오브젝트들 중 사용자에 의한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선택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오브젝트들은, 위젯, 모션 커맨드, 마이메뉴, 버튼 및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00020245A 2010-03-08 2010-03-0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자동 등록 및 실행을 위한 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664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245A KR101664894B1 (ko) 2010-03-08 2010-03-0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자동 등록 및 실행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3/043,273 US9958969B2 (en) 2010-03-08 2011-03-08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gistering and executing preferred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245A KR101664894B1 (ko) 2010-03-08 2010-03-0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자동 등록 및 실행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316A KR20110101316A (ko) 2011-09-16
KR101664894B1 true KR101664894B1 (ko) 2016-10-11

Family

ID=4453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245A Expired - Fee Related KR101664894B1 (ko) 2010-03-08 2010-03-0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자동 등록 및 실행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58969B2 (ko)
KR (1) KR1016648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304B1 (ko) * 2012-02-16 2013-05-03 김수현 맞춤형 위젯 제공시스템
EP3135526B1 (en) * 2014-04-24 2023-03-01 Hyundai Motor Company Display system
CN104915059B (zh) * 2015-06-02 2018-03-20 深圳中电数码显示有限公司 一种处理移动终端触摸指令的方法及装置
KR20160145365A (ko) * 2015-06-10 201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2882A (ja) 2004-01-19 2005-07-28 Sharp Corp 携帯通信端末
US20060187483A1 (en) * 2005-02-21 2006-08-24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gener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6287556A (ja) 2005-03-31 2006-10-19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通信機器及び携帯通信機器の操作画面表示方法
US20090320070A1 (en) 2006-07-31 2009-12-24 Access Co., Ltd. Electronic device, display system, display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2475B1 (en) * 1998-05-28 2003-03-11 Increment P Corporation Map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ap information searching method
US7877707B2 (en) * 2007-01-06 2011-01-25 Apple Inc. Detecting and interpreting real-world and security gestures on touch and hover sensitive devices
KR101604846B1 (ko) * 2009-11-27 2016-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2882A (ja) 2004-01-19 2005-07-28 Sharp Corp 携帯通信端末
US20060187483A1 (en) * 2005-02-21 2006-08-24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gener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6287556A (ja) 2005-03-31 2006-10-19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通信機器及び携帯通信機器の操作画面表示方法
US20090320070A1 (en) 2006-07-31 2009-12-24 Access Co., Ltd. Electronic device, display system, display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316A (ko) 2011-09-16
US20110216026A1 (en) 2011-09-08
US9958969B2 (en) 201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05398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setting menu environments in the terminal
KR100506199B1 (ko)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서 인디케이터 표시 제어 방법
US201001770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tion detection in a portable terminal
US20080004084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rotary key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JP5313962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プログラム
EP1761008A2 (en) Multi-tasking apparatus and method in portable terminal
EP314516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nswer extension function
KR20100108691A (ko)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89499B1 (ko) 휴대단말기에서 키 설정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20070010226A (ko) 다기능 단축키 설정 장치, 그 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지는이동통신단말기
KR100790177B1 (ko)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CN109324846B (zh) 应用显示方法及装置、存储介质
KR1016648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호기능 자동 등록 및 실행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88492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hortcut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CN106603801B (zh) 一种通话录音方法及装置
HK1208283A1 (en) Handhel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ith remote control output mode
CN105119984B (zh) 发送文件的方法及装置
US202002962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menu in portable terminal
KR1006218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정보 막대 표시 방법
KR10067809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즐겨찾기 방법
JP2003174497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操作方法
KR20200016909A (ko) 단말기의 메뉴환경 설정 장치 및 방법
KR20060001448A (ko) 초기화면 메뉴 등록방법
KR100678261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방법
KR20080046810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멀티화면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3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3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0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