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64462B1 -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 Google Patents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462B1
KR101664462B1 KR1020150012648A KR20150012648A KR101664462B1 KR 101664462 B1 KR101664462 B1 KR 101664462B1 KR 1020150012648 A KR1020150012648 A KR 1020150012648A KR 20150012648 A KR20150012648 A KR 20150012648A KR 101664462 B1 KR101664462 B1 KR 101664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upport
sacral
pillow
sacr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2255A (ko
Inventor
김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아이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아이, 김희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150012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462B1/ko
Priority to US15/317,107 priority patent/US20170112702A1/en
Priority to PCT/KR2015/005649 priority patent/WO2015190758A1/ko
Priority to CN201580030491.7A priority patent/CN106456351B/zh
Publication of KR20160092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46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47C7/022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는, 의자의 등받이와 마주하게 세워지는 베개본체를 포함하는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에 있어서, 베개본체는, 사용자의 천골을 감싸 받쳐줄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천골지지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Cranio-Sacral Therapy applied pelvis pillow for seating}
본 발명은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도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에 관한 것이다.
두개천골요법(Cranio Sacral Therapy - CST)은 미국에서부터 연구가 시작되어 이미 1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있는 치료방법이다. 두개천골요법은 중추신경계의 막성장애로 인한 뇌척수액 순환저하로 생기는 여러가지 문제를 치료할 수 있다.
뇌척수액의 정상적인 순환은 분당 8 -12회 주기로 굴곡(흡기,외회전)과 신전(호기,내회전)패턴으로 순환(굴곡, 신전 1회 주기 6-9초)하며, 뇌척수액 전신 1회순환 주기는 시간당 6-7시간정도이며, 1일 4-5회 순환하고 1일 생성량은 500cc이다.
뇌척수액(CSF)의 정상적 흐름은 중추신경계인 뇌와 척수를 감싸고 있는 막의 긴장을 완화하고 나아가 외부에 모든 조직이 연결되어 있는 근막의 긴장도를 완화함으로써 전신의 모세혈관과 세포 수준까지 모든 순환능력을 증진시켜 주고, 자가 치유 면역 시스템을 가동시켜준다.
두개천골요법은 두개골과 천골을 5 그램 정도의 미세한 손으로 터치하여 제한된 뇌내막과 경막을 이완하여 뇌척수액의 흐름 주기를 정상적인 균형을 맞추어주는 치료방법이다.
뇌척수액의 균형은 두통, 후경부 근육긴장, 뒷목의 뻣뻣함과 어깨근육통, 발열, 급 만성 근골격계 질환, 요통, 퇴행성관절염, 대뇌울혈(cerebral congestion)과 폐울혈(pulmonary congestion) 그리고 부종 현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의자는 사람이 걸터앉는 데 쓰는 기구로 사람의 체중을 지지하여 사람의 다리를 쉬게 한다. 더욱이, 현대화로 인해 실내 생활 시간이 증가한 현대인은 의자 위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따라서, 장시간 의자를 사용하더라도 불편함이 없고, 사용자에게 충분한 휴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착석시 사용 가능한 착석용 골반베개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착석시 사용자가 두개천골요법을 자가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사용자의 골반과 요추가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뇌척수액을 순환을 유도하여 인체의 순환능력을 증진시키고 면역 시스템을 강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는, 의자의 등받이와 마주하게 세워지고 사용자의 허리(waist)를 지지하는 요추(lumbar)지지부; 의자의 좌판위에 올려지고, 사용자의 둔부근육(gluteal muscle)과 마주하는 둔부지지부; 및 상기 둔부지지부와 상기 요추지지부 사이에 함몰 형성된 천골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는, 의자의 등받이와 마주하게 세워지고 사용자의 허리(waist)를 지지하는 요추(lumbar)지지부; 및 의자의 좌판위에 올려지고, 사용자의 둔부근육(gluteal Muscle)과 마주하는 둔부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추지지부는, 사용자의 등 근육을 자극하도록 종 방향으로 길게 자극능선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는, 의자의 등받이와 마주하게 세워지는 베개본체를 포함하는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에 있어서, 상기 베개본체는, 의자의 등받이와 마주하게 세워지고 사용자의 허리(waist)를 지지하는 요추(lumbar)지지부; 및 의자의 좌판위에 올려지고, 사용자의 둔부근육(gluteal Muscle)과 마주하는 둔부지지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요추지지부에는, 사용자의 등 근육을 자극하도록 종(Longitudinal) 방향으로 길게 자극능선이 돌출 형성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두개천골요법을 자가 시술할 수 있다.
둘째, 등근육을 자극하여 골반과 요추가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셋째, 천골을 지지 및 자극하여 뇌척수액의 순환을 돕는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뇌척수액의 순환을 간략히 표현한 것이다.
도2(a)는 굴곡주기일때 뇌척수액의 흐름 및 두개골과 요추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고, 도2(b)는 신전주기일때 뇌척수액의 흐름 및 두개골과 요추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다.
도3(a)는 굴곡주기일때 후두부의 이완 및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도3(b)는 신전주기일때 후두부의 수축 및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의 평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의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의 배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의 측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의 사시도이다.
도10(a)는 척추기립근을 표시한 것이고, 도10(b)는 요방형근을 표시한 것이다.
도11(a) 및 도11(b)는 도4 및 도9의 각 구성이 자극하는 인체의 지점을 표현한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의 활용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뇌척수액의 순환을 간략히 표현한 것이다. 도2(a)는 굴곡주기일때 뇌척수액의 흐름 및 두개골과 요추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고, 도2(b)는 신전주기일때 뇌척수액의 흐름 및 두개골과 요추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다. 도3(a)는 굴곡주기일때 후두부의 이완 및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도3(b)는 신전주기일때 후두부의 수축 및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1내지 도3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성인의 두개골(45)은 굳어져 석회화되어 있기 때문에 두개골(45)은 굳어진 상태로 서로 융합되어 움직임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졌었다. 그러나 두개골(45)은 미세하게 움직이며 천골(40)(꼬리표 위쪽)의 움직임과 더불어 인체의 뇌척수액순환에 영향을 주고받는다. 두개천골요법은 두개골(45)의 움직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두정골(51)(parietal bone)은 뇌가 들어있는 뇌두개의 뒤쪽 위를 덮고 있는, 사각형의 편평한 뼈이다. 두정골(51)은 모두 2개이며 바깥쪽으로 각각 튀어나와 있다. 2개의 두정골(51)은 시상봉합(56)으로 접해있다. 두정골(51)은 인자봉합(55)으로 후두골(53)에 연결된다. 측두골(52)은 측두부에 배치된다. 두개골(45)은 단단한 구조물이 아닌 뇌척수액의 생성시 확장되는 굴곡주기와 생성이 멈출시에 수축하는 신전주기를 표현하는 유연성을 갖는 조직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두개골(45)은 수축과 이완을 반복할 수 있다. 두개천골 리듬(Craniosacral rhythm)은 스트레스나 면역력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건강한 사람의 두개천골 움직임은 굴곡과 신전이 8-12회 주기로 매우 안정되어 있다.
굴곡(flexion, expansion)은 확장 혹은 팽창에 해당한다. 두개천골 리듬은 손으로 감지할 수 있다. 손에 전달되는 굴곡의 느낌은 '부풀어 오르는 느낌' 또는 '몸전체가 바깥으로 회전하며 넓어진 느낌'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외회전' 이라고도 불린다.
신전(extension, compression)은 굴곡과 반대의 개념 혹은 반대의 느낌이다. 신전은 수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신전은 '깊숙이 빨려들어 가는 느낌'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신전은 몸 전체가 안쪽으로 회전하며 좁아지는 느낌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신전은 '내회전' 이라고도 불린다.
두개천골 움직임의 주기는 '굴곡'과 '신전' 또는 '확장' 과 '수축' 의 두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굴곡과 신전 사이는 '중립지점' 이라 할 수 있다. 인체는 중립지점에서 정지되는 느낌과 더불어 긴장이 풀리게 되는 '이완' 의 상태에 놓이게 된다. 굴곡과 신전의 주기는 일정하며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과 신전의 주기가 다르거나 불일치하면 신체에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굴곡주기와 신전주기는 뇌척수액(CSF; cerebrospinal fluid)의 순환으로 비롯된다. 뇌척수액은 뇌실(ventricular)에서 만들어진다. 뇌실은 인간의 뇌 내부에 있는 공간을 말하며 뇌실막에 싸여있다. 뇌실은 측뇌실, 제3뇌실, 제4뇌실(60)의 세 가지가 있다. 측뇌실은 좌우 2개가 있으며, 제3뇌실과 제4뇌실(60)은 각각 하나씩 있어 모두 4개의 뇌실이 뇌실계를 구성한다.
측뇌실은 대뇌 내부에 있는 공간으로 좌우 2개(제1뇌실, 제2뇌실)가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뇌실사이구멍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제3뇌실과도 연결된다. 제3뇌실은 사이뇌의 사이에 있는 공간으로 뇌실사이구멍을 통해 측뇌실과 교통하며, 중간뇌수도관을 통해 제4뇌실(60)과 연결된다. 제4뇌실(60)은 중간뇌수도관을 통해 제3뇌실과 교통하며 이곳에서 정중구멍(마장디공) 또는 측구멍(루시카공)을 통해 거미막밑공간(지주막 하강)과 교통하기도 한다.
제4뇌실(60)은 소뇌와 뇌줄기로 둘러싸여 있다. 제4뇌실(60)에서는 뇌척수액이 척수내의 중심관을 통해 척수로 내려가거나 정중구멍 또는 측구멍을 통해 뇌의 바깥으로 나가 뇌 주위를 순환하게 된다.
뇌실의 내부에는 맥락얼기(맥락총)라는 구조물이 있는데, 이것이 뇌척수액을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맥락얼기가 하루에 생산하는 뇌척수액의 양은 500ml 정도이며 결과적으로 뇌실 내부는 항상 뇌척수액으로 가득 차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뇌척수액은 매일 일정한 양이 만들어지고 같은 양이 없어져서 결과적으로 뇌실 내의 뇌척수액은 항상 같은 양을 유지하게 된다. 뇌척수액은 거미막(지주막)과 연질막(연막) 사이에서 순환하며 완충작용을 한다. 뇌실은 뇌척수액의 생성, 저장 및 순환에 기여함으로 궁극적으로 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우선, 두개천골요법에 대해 설명한다.
두개천골계는 굴곡과정과 신전과정을 반복한다. 즉, 두개천골계는 확장과 수축 과정을 반복한다. 그러나, 적당한 시술을 통해 두개천골계의 움직임을 완전히 정지시킬 수 있다.
이것을 스틸포인트(still-point)라고 한다. 스틸포인트가 발생할 때 환자는 몇 가지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스틸포인트 상태에 도달하면 환자는 예전에 발생한 허리의 통증이 다시 발생하거나 또는 비활동적인 예전의 여러 통증들이 재발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환자는 호흡이 변화하고 가볍게 이마에 땀을 흘리기도 한다.
스틸포인트 과정 중에는 인체는 이완되기 시작한다. 이때부터 앞에서 발생한 통증은 서서히 사라진다. 그리고 허리와 골반부위의 천장골 체성 기능장애는 자연스럽게 교정되기 시작한다. 어떤 때에는 ‘딱’하는 소리가 나면서 관절이 교정된다. 이어서 환자의 호흡도 안정되고 긴장된 근육들은 이완되기 시작한다. 이 스틸포인트는 짧으면 몇 초에서 길면 몇 분까지 유지된다. 스틸포인트 현상이 끝나면 두개천골계의 움직임이 다시 시작된다. 일반적으로 관찰하여 보면 대칭적으로 그리고 증가된 움직임의 진폭이 감지된다.
스틸포인트는 머리와 천골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이 부위에 여러 테크닉을 적용하여 보면 다른 부위에 적용할 때보다 보통 다소 더 빠르게 스틸포인트 효과가 나타난다. 스틸포인트는 두개천골계 활동을 원활히 조절하는데 효과적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두개천골요법을 적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를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의 사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는, 의자의 등받이와 마주하게 세워지는 베개본체(100)를 포함하는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에 있어서, 베개본체(100)는, 사용자의 천골을 감싸 받쳐줄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천골지지부(110)가 형성된다.
천골은 골반을 구성하는 뼈로 5개의 천추(薦椎)가 융합해서 된 것으로 척주를 구성하는 척추 중에서 가장 크다. 천골은 대략 역삼각형을 이룬다. 천골의 적어도 일부는 천골 지지부에 수용된다.
천골지지부(110)는 함몰된 형상으로 천골을 감싸 부드럽게 지지한다. 이처럼 천골을 부드럽게 지지하면 뇌척수액의 굴곡주기와 신전주기의 밸런스가 조절된다. 또한 이와 같은 밸런스의 조절은 뇌척수액의 흐름을 증가시킨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의 평면도이다.
도5을 참조하면, 천골지지부(110)는, 사용자의 중간 엉치뼈 능선(medial sacral crest)을 수용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천골은 천골은 5개의 천추(薦椎)가 융합된 것이다. 5개의 천추가 연결되어 중간 엉치뼈 능선을 이룬다. 천골지지부(110)는 엉치뼈 능선을 수용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천골지지부(110)는 천추1번, 천추2번, 천추3번, 천추4번 및 천추5번을 수용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다만, 천골지지부(110)의 구체적인 위치나 크기는 인종별, 연령별로 달라질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크기나 위치는 적절히 변형 가능하다.
베개본체(100)는, 의자의 등받이와 마주하게 세워지고 사용자의 허리(waist)를 지지하는 요추(lumbar)지지부; 및 의자의 좌판위에 올려지고, 사용자의 둔부근육(gluteal muscle)과 마주하는 둔부지지부(130)가 형성되고, 천골지지부(110)는, 둔부지지부(130)와 요추지지부(120) 사이에 형성된다.
요추(90)는 위로는 등뼈를 받치고 아래로는 엉치뼈와 연결되어 그 사이에 존재하는 뼈 구조물이다. 요추(90)는 등뼈부터 골반골까지 인대와 근육을 통해 신체를 지지하고 평형을 유지한다. 또한 척수를 보호하고 척추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요추지지부(120)는 대략 널판지 형상일 수 있다.
둔부는 허리 아래부터 허벅다리 위 쫘우로 살이 볼록한 부분으로, 엉덩이라고도 한다. 둔부 근육은 각 걸음마다 골반을 바로 세워주고 펴주는 역할을 하며, 평상시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달리기와 같이 격렬한 운동을 할 때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보통 엉덩이는 지방의 구성 비율이 높은 부위이며, 대둔근, 중둔근, 소둔근의 세 가지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둔부지지부(130)는, 사용자의 돌출된 둔부근육을 수용하도록 함몰된 둔부수용홈(131)이 형성되며, 둔부수용홈(131)은, 사용자의 미추와 마주하는 부분에 돌출된 분리능선(133)에 의해 좌우로 구분된다. 천골지지부(110)는 분리능선(133)에서 요추지지부(120) 방향의 연장 선상에 형성된다.
미추는 엉치뼈 아래 달려 있는 척추의 마지막 부분으로, 대개 4~5개의 작은 척추 분절로 이루어져 있다. 미추는 척추의 끝부분으로 양측 엉덩이 사이 골반의 마지막 부분에 위치한다.
분리능선(133)과 둔부수용홈(131)의 형상은 인체 구조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와 밀착되며, 천골지지부(110)가 천골을 수용 및 지지하게 된다. 분리능선(133)은 종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분리 능선의 끝에 천골지지부(110)가 형성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의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의 배면도이다.
도6내지 도7을 참조하면, 요추지지부(120)는, 사용자의 요추 가시돌기(91)(Lumbar spinosis)를 수용하도록 함몰된 내측 수용홈(123)이 형성된다.
내측 수용홈(123)은, 종(longitudinal)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측은 천골지지부(110)와 연결된다. 요추 가시돌기(91)는 요추 극돌기(棘突起)라고도 하며, 척추뼈고리판(lamina)이 양쪽에서 서로 만나는 지점에서 직후방으로 뻗어나온 구조물로 살짝 아래로 기울어져 있다. 요추 가시돌기(91)에는 여러 근육과 인대가 부착한다. 내측 수용홈(123)은 요추 가시돌기(91)를 수용하는 형상이다. 즉, 돌출된 요추 가시돌기(91)의 일부분에만 압력이 집중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편안함을 느끼게 된다. 요추지지부(120)는, 내측 수용홈(123) 좌우에 각각 돌출 되어 사용자의 척추 횡돌기(spinal transeverse process)와 기립근을 자극하는 내측 자극능선(127)이 형성된다.
척추기립근(95)은 척추뼈를 따라서 길게 세로로 뻗어 있는 근육을 말한다. '기립근'이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척추를 똑바로 서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척추기립근(95)은 직립보행을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근육이다. 척추기립근(95)은 승모근과 광배근을 안쪽에서 지탱해주고 있기 때문에 몸의 체형을 바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내측 자극능선(127)은 요추의 횡돌기(93)와 척추기립근(95)을 이완시켜 척추기립근(95)의 피로를 풀어준다. 둔부지지부(130)와 수용홈(121)은 사용자의 골반 및 척추기립근(95)이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요추지지부(120)는, 내측 자극능선(127)을 기준으로 일 측에는 내측 수용홈(123)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외측 수용홈(124)이 길게 형성된다.
내측 수용홈(123)과 외측 수용홈(124)으로 인해 내측 자극능선(127)의 자극 정도가 증가한다. 내측 자극능선(127)과 외측 자극능선(128)은 종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외측 수용홈(124)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내측 자극능선(127)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사용자의 요방형근(97)(Quadratus lumborum)을 자극하는 외측 자극능선(128)이 형성된다.
요방형근(97)(Quadratus lumborum)은 마지막 갈비뼈와 요추(90) 1~4번 횡돌기에 붙어서 장골능에 붙는다. 요방형근(97)은 양쪽이 같이 수축을 하면 허리를 뒤로 젖히거나 펴는 신전근 역할을 한다.
요방형근(97)은 두껍고 큰 근육으로 척추의 수직 안정화에 기여하는 근육으로 척추측만증이 있는 사람이거나 측만 증상이 있는 사람은 요방형근(97) 한쪽이 단축되면 반대쪽은 팽팽해지거나 느슨해질 수 있다.
요방형근(97)은 중둔근과 함께 보행시 골반을 잡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요방형근(97)은 허리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골반이 틀어지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외측 자극능선(128)은 요방형근(97)은 자극하여 요방형근(97)을 이완시킨다. 따라서, 요방형근(97)의 피로를 풀어주어 골반을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요통도 완화된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의 측면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요추지지부(120)의 좌우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고정하는 측면지지부(140)가 형성된다.
측면지지부(140)는 요추지지부(120)의 좌우 방향에 각각 형성된다. 측면지지부(140)는 사용자의 요추(90)가 한쪽 방향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요추(90)의 바른 자세를 유도한다. 또한, 차량의 좌석에서는 차량의 코너링 중 발생하는 요추(9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운전 중 바른 자세를 유도한다.
측면지지부(140)는, 사용자의 갈비뼈와 닿지 않는 곳까지 연장형성되고, 내측 자극능선(127)과 외측 자극 능선은 측면지지부(140)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측면지지부(140)는 골반의 바른 자세를 유도하면서 상체의 운동을 어느 정도 허용한다. 다시, 도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는, 의자의 등받이와 마주하게 세워지는 베개본체(100)를 포함하는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에 있어서, 베개본체(100)는, 의자의 등받이와 마주하게 세워지고 사용자의 허리(waist)를 지지하는 요추(lumbar)지지부; 및 의자의 좌판위에 올려지고, 사용자의 둔부근육(gluteal Muscle)과 마주하는 둔부지지부(130)가 형성되고, 요추지지부(120)에는, 사용자의 등 근육을 자극하도록 종(Longitudinal) 방향으로 길게 자극능선(125)이 돌출 형성된다.
요추지지부(120)는 사용자의 요추(90) 및 주변 근육을 자극한다. 둔부지지부(130)는 사용자의 둔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배치된다. 자극능선(125)은 종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요추(90)의 주변 근육 중 척추기립근(95)과 요방형근(97)을 자극한다. 따라서, 척추기립근(95)과 요방형근(97)의 휴식으로 인해 사용자는 요추(90)와 골반의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의 사시도이다.
도4 및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는, 천골지지부(110) 내부에, 사용자의 꼬리뼈 삼각부분에 해당하는 천골첨 (Sacra apex)의 상방과 천골기저부(Sacral base)를 자극하는 지지돌기(111)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는, 의자의 등받이와 마주하게 세워지는 베개본체(100)를 포함하는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에 있어서, 베개본체(100)는, 사용자의 꼬리뼈 삼각부분에 해당하는 천골첨 (Sacra apex)의 상방과 천골기저부(Sacral base)와 마주하는 위치에 지지돌기(111)가 돌출 형성된다.
천추는 천추1번, 천추2번, 천추3번, 천추4번 및 천추 5번을 포함한다. 천추1번은 요추5번의 하측에 돌출 형성된 돌출된 뼈이다. 천추1번은 천골1번의 하측에 형성된 돌출된 뼈이다. 천추1번 및 천추2번을 천골상부라고 하고, 천추3번, 천추4번 및 천추5번을 철골 하부라고 한다.
지지돌기(111)는 천골(40)의 스틸포인트 유도지점(81)을 자극한다. 굴곡주기 동안 천추1번과 천추2번은 의자의 등받이를 향해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지지돌기(111)는 천추1번과 천추2번을 지지하여 회전을 억제하므로 굴곡주기를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돌기(111)는 사용자의 스틸포인트를 유도한다.
도10(a)는 척추기립근을 표시한 것이고, 도10(b)는 요방형근을 표시한 것이다. 도11(a) 및 도11(b)는 도4 및 도9의 각 구성이 자극하는 인체의 지점을 표현한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의 활용도이다.
도10 내지 도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둔부수용홈(131)은 좌골(50)과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천골지지부(110)은 천골(40)을 수용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지지돌기(111)는 천골(40)의 스틸포인트 유도지점(81)과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천골(40)의 일 부분을 자극한다. 수용홈(121) 중 내측 수용홈(123)은 요추 가시돌기(91)과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요추 가시돌기(91)을 수용한다.
자극능선(125) 중 내측 자극능선(127)은 요추 횡돌기(125)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내측 자극능선(127)은 척추기립근(95)과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척추기립근(95)을 자극한다. 내측 자극능선(127)의 측면에는 외측 수용홈(124)이 형성된다. 외측 수용홈(124)으로 인해 외측 자극능선(128)은 돌출되어 요방형근(97)을 자극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81: 스틸포인트 유도지점 83: 중간 엉치뼈 능선
91: 척추기립근 93: 요방형근
100: 베개본체 110: 천골지지부
111: 지지돌기 120: 요추지지부
121: 수용홈 123: 내측 수용홈
124: 외측 수용홈 125: 자극능선
127: 내측 자극능선 128: 외측 자극능선
130: 둔부지지부 131: 둔부수용홈
133: 분리능선 140: 측면 지지부

Claims (15)

  1. 의자의 등받이와 마주하게 세워지는 베개본체를 포함하는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에 있어서,
    상기 베개본체는,
    의자의 등받이와 마주하게 세워지고 사용자의 허리(waist)를 지지하는 요추(lumbar)지지부;
    의자의 좌판위에 올려지고, 사용자의 둔부근육(gluteal muscle)과 마주하는 둔부지지부;
    사용자의 중간 엉치뼈 능선(medial sacral crest)을 수용하는 위치에 형성 되어 사용자의 천골을 감싸 받쳐줄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고, 상기 둔부지지부와 상기 요추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천골지지부; 및
    상기 요추지지부의 좌우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고정하고 사용자의 갈비뼈와 닿지 않는 곳까지 연장형성된 측면지지부를 포함하는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둔부지지부는,
    사용자의 돌출된 둔부근육을 수용하도록 함몰된 둔부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둔부수용홈은,
    사용자의 미추와 마주하는 부분에 돌출된 분리능선에 의해 좌우로 구분되는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골지지부는 상기 분리능선에서 상기 요추지지부 방향의 연장 선상에 형성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추지지부는,
    사용자의 요추 가시돌기(Lumbar spinosis)를 수용하도록 함몰된 내측 수용홈이 형성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수용홈은,
    종(longitudinal)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측은 상기 천골지지부와 연결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요추지지부는,
    상기 내측 수용홈 좌우에 각각 돌출 되어 사용자의 척추 횡돌기(spinal transeverse process)와 척추 기립근을 자극하는 내측 자극능선이 형성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요추지지부는,
    상기 내측 자극능선을 기준으로 일 측에는 상기 내측 수용홈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외측 수용홈이 길게 형성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수용홈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내측 자극능선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사용자의 요방형근(Quadratus lumborum)을 자극하는 외측 자극능선이 형성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부는,
    상기 내측 자극능선과 상기 외측 자극 능선은 상기 측면지지부보다 길게 형성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골지지부 내부에, 사용자의 꼬리뼈 삼각부분에 해당하는 천골첨 (Sacra apex)의 상방과 천골기저부(Sacral base)를 자극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14. 의자의 등받이와 마주하게 세워지는 베개본체를 포함하는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에 있어서,
    상기 베개본체는,
    의자의 등받이와 마주하게 세워지고 사용자의 허리(waist)를 지지하는 요추(lumbar)지지부;
    의자의 좌판위에 올려지고, 사용자의 둔부근육(gluteal Muscle)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둔부지지부; 및
    사용자의 중간 엉치뼈 능선(medial sacral crest)을 수용하는 위치에 형성 되어 사용자의 천골을 감싸 받쳐줄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고, 상기 둔부지지부와 상기 요추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천골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둔부지지부는,
    사용자의 돌출된 둔부근육을 수용하도록 함몰된 둔부수용홈과 상기 둔부수용홈을 좌우로 구분하고 사용자의 미추와 마주하는 부분에 돌출된 분리능선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능선은,
    종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천골지지부의 종 방향 중심선의 연결선상에 형성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15. 의자의 등받이와 마주하게 세워지는 베개본체를 포함하는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에 있어서,
    상기 베개본체는,
    의자의 등받이와 마주하게 세워지고 사용자의 허리(waist)를 지지하는 요추(lumbar)지지부;
    의자의 좌판위에 올려지고, 사용자의 둔부근육(gluteal muscle)과 마주하는 둔부지지부;
    사용자의 중간 엉치뼈 능선(medial sacral crest)을 수용하는 위치에 형성 되어 사용자의 천골을 감싸 받쳐줄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고, 상기 둔부지지부와 상기 요추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천골지지부; 및
    상기 요추지지부의 좌우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고정하고 사용자의 갈비뼈와 닿지 않는 곳까지 연장형성된 측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둔부지지부는,
    사용자의 돌출된 둔부근육을 수용하도록 함몰된 둔부수용홈과 상기 둔부수용홈을 좌우로 구분하고 사용자의 미추와 마주하는 부분에 돌출된 분리능선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능선은,
    종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천골지지부의 종 방향 중심선의 연결선상에 형성된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KR1020150012648A 2014-06-10 2015-01-27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Active KR101664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648A KR101664462B1 (ko) 2015-01-27 2015-01-27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US15/317,107 US20170112702A1 (en) 2014-06-10 2015-06-05 Spinal column support
PCT/KR2015/005649 WO2015190758A1 (ko) 2014-06-10 2015-06-05 척추 지지대
CN201580030491.7A CN106456351B (zh) 2014-06-10 2015-06-05 脊椎支撑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648A KR101664462B1 (ko) 2015-01-27 2015-01-27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611A Division KR20160105763A (ko) 2016-09-01 2016-09-01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255A KR20160092255A (ko) 2016-08-04
KR101664462B1 true KR101664462B1 (ko) 2016-10-10

Family

ID=5670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648A Active KR101664462B1 (ko) 2014-06-10 2015-01-27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4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626B1 (ko) * 2019-09-09 2021-06-23 김병훈 등 베개
KR102737415B1 (ko) * 2022-08-01 2024-12-03 박유동 척추관절보호 기능성 등받이 지지대
KR102653645B1 (ko) * 2022-11-09 2024-04-01 박병철 요추전만 지지를 위한 허리베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2256A (ja) * 2004-10-06 2006-04-20 Hiroyoshi Takahashi 矯正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2256A (ja) * 2004-10-06 2006-04-20 Hiroyoshi Takahashi 矯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255A (ko)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933B1 (ko)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KR200460780Y1 (ko) 숙면용 정형 베개
KR102079421B1 (ko) 뇌척수액 순환유도베개
US20170119624A1 (en) Leg pillow for physiotherapy
KR102284813B1 (ko)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JP4999883B2 (ja)
US20170112702A1 (en) Spinal column support
KR101780277B1 (ko)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KR101630386B1 (ko)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KR100926484B1 (ko) 두개천골 요법을 이용한 명상베개
KR20090102595A (ko) 개량형 척추교정장치
CN106264827B (zh) 一种人体舒展牵引设备
KR101664462B1 (ko)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KR20200136285A (ko) 경추 후두하근 마사지장치
KR100795271B1 (ko) 베어 등목 베개
WO2007091863A1 (en) Bear back and neck pillow
KR101616087B1 (ko)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KR100718661B1 (ko) 물리치료용 헤드레스터
KR101598065B1 (ko) 물리치료용 척추 지지대
KR101913098B1 (ko) 물리치료용 골반 교정베개
TWI583364B (zh) 用於物理治療之顱薦椎治療與整脊治療用的肌筋膜鬆弛器
KR101848645B1 (ko) 기능성 경추 이완 장치
KR20160004497U (ko)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
KR20160077014A (ko)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 베개
KR20160105763A (ko)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9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90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