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64227B1 - Contactless card selectively using one of application chips - Google Patents

Contactless card selectively using one of application chip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227B1
KR101664227B1 KR1020150182708A KR20150182708A KR101664227B1 KR 101664227 B1 KR101664227 B1 KR 101664227B1 KR 1020150182708 A KR1020150182708 A KR 1020150182708A KR 20150182708 A KR20150182708 A KR 20150182708A KR 101664227 B1 KR101664227 B1 KR 101664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pplication chip
card body
card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성민
Original Assignee
코나아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나아이 (주) filed Critical 코나아이 (주)
Priority to KR1020150182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2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227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06K19/0724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the arrangement being a circuit for communicating at a plurality of frequencies, e.g. for managing time multiplexed communication over at least two antennas of different ty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3External electrical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66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comprising at least a second communication arrangement in addition to a first non-contact communication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less card capable of selectively using one of application chips. The contactless card comprises: a first antenna embedded in a card body unit, an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ignal transmit path is disconnected; a second antenna embedded in the card body uni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ignal transmit path is disconnected, and physically independently of the first antenna; a first application chip first antenna embedded in the card body unit, and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a second application chip embedded in the card body unit, and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a first selecting unit expos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card body unit, and connecting the signal transmit path of the first antenna according to a users input to activate an operation of the first application chip through the first antenna; and a second selecting unit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ard body unit, and connecting the signal transmit path of the second antenna according to a users input to activate an operation of the second application chip through the second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less card can allow an application chip supporting a specific function to be easily selected by using a button formed on a surface of the contactless card, and can enable the user to clearly recognize which application is currently selected and executed.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칩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비접촉식 카드{CONTACTLESS CARD SELECTIVELY USING ONE OF APPLICATION CHIP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less card capable of selectively using one of application chips,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칩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비접촉식 카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카드 표면에 형성된 버튼을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칩을 용이하게 선택하고, 사용자가 현재 선택되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 여부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접촉식 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less card that can selectively use one of application chip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contact type card which enables a user to easily select an application chip supporting a specific function by using a button formed on the card surface, .

하나의 카드에 서로 다른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탑재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과 현재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어 실행중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When an application supporting different functions is loaded on one card, a means for selecting an application and a means for informing the user whether a current application is selected and being executed is required.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카드에 별도의 디스플레이 수단과 선택 수단을 장착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 방식에 따르면, 카드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디스플레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장착해야 하고, 카드의 가용시간이 배터리의 가용시간으로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meet such a demand, it is known to mount a separate display means and selection means on the card. However, 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of manufacturing the card is increased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display is mounted, and the available time of the card is limited to the available time of the battery.

종래의 다른 방식으로, 휴대폰과의 NFC 통신 등을 통해 사용할 카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 방식에 따르면, NFC 통신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때문에, 카드 자체만으로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를 알 수 없으며, 사용상의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nother conventional method, a method of selecting a card application to be used through NFC communication with a mobile phone is known. However, 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method, since the application is selected through the NFC communication, the card alone can not know what the selected application i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venience of use is inferior.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05425호(공개일자: 2006년 10월 11일, 명칭: 비접촉식 IC 카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6-0105425 (public date: October 11, 2006, name: contactless IC car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62104호(공개일자: 2002년 07월 25일, 명칭: IC 카드 서비스 제공 방법, 카드 단말기, 및 IC 카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2-0062104 (Published Date: July 25, 2002, titled: IC card service providing method, card terminal, and IC car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79998호(공개일자: 2001년 08월 22일, 명칭: IC 카드 및 컨트롤러 및 IC 카드의 어플리케이션 선택방법)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1-0079998 (Published Date: Aug. 22, 2001, titled: IC card, controller, and IC card application selection method)

본 발명은 카드 표면에 형성된 버튼을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칩을 용이하게 선택하고, 사용자가 현재 선택되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접촉식 카드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ctless card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select an application chip supporting a specific function by using a button formed on the card surface and to clearly recognize what application is currently being selected and executed by a user. We will do it.

또한, 본 발명은 카드에 별도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시키거나 모바일 단말을 연계시키지 않고도, 사용자가 현재 카드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접촉식 카드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ctless card that allows a user to clearly recognize what application is currently running on a card without having a separate display means on the card 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do.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카드는 카드 몸체부와, 상기 카드 몸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신호 전송 경로가 단절된 구조를 갖는 제1 안테나와, 상기 카드 몸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신호 전송 경로가 단절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안테나와 물리적으로 독립되어 있는 제2 안테나와, 상기 카드 몸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안테나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어플리케이션 칩과, 상기 카드 몸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안테나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어플리케이션 칩과, 상기 카드 몸체부의 외면에 노출되어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의 신호 전송 경로를 연결하여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칩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제1 선택부 및 상기 카드 몸체부의 외면에 노출되어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의 신호 전송 경로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칩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제2 선택부를 포함한다.A contactless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d body, a first antenna embedded in the card body and having a signal transmission path cut off, and a second antenna embedded in the card body, A second antenna that is physically independent from the first antenna; a first application chip embedded in the card body and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and a second application chip embedded in the card body, A first application chip ex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ard body portion and connected to a signal transmission path of the first antenna according to a user input to activate the operation of the first application chip through the first antenna, And the card body portion. The second antenna Connecting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includes a second selection portion to enable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pplication chip via the second antenna.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카드는 상기 카드 몸체부의 외면의 제1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칩의 활성화 상태를 안내하는 제1 안내부 및 상기 카드 몸체부의 외면의 제2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칩의 활성화 상태를 안내하는 제2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actless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guide part formed in a first area of an outer surface of the card body part and guiding an activated state of the first application chip, and a second guide part formed in a second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ard body part, And a second guide unit for guiding the activation state of the second application chip.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카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택부와 상기 제2 선택부는 누름 버튼 방식 스위치이고, 상기 제1 선택부는 상기 제2 안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선택부는 상기 제1 안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tactless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lecting unit and the second selecting unit are push-button switches, the first selecting unit is formed in the second guiding unit, And is formed on the base.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카드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제1 선택부를 눌러 상기 제1 안테나의 신호 전송 경로를 연결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칩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경우, 상기 제2 안내부가 사용자의 손에 가려져 상기 제1 안내부를 통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칩의 활성화 상태가 안내되고, 사용자가 상기 제2 선택부를 눌러 상기 제2 안테나의 신호 전송 경로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칩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안내부가 사용자의 손에 가려져 상기 제2 안내부를 통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칩의 활성화 상태가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tactless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first selection unit to connect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of the first antenna to activate the operation of the first application chip, the second guide unit is concealed in the user's hands When the activation state of the first application chip is guided through the first guide unit and the user activate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pplication chip by connecting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of the second antenna by pressing the second selection unit, The first guide part is covered by the user's hand so that the activated state of the second application chip through the second guide part is guided.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카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택부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안테나의 단절된 부분에 접촉되어 상기 제1 안테나의 신호 전송 경로를 연결하는 제1 도전성 연결 패턴 및 상기 제1 도전성 연결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누름 동작이 해제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위치가 복원되어 상기 제1 안테나의 신호 전송 경로를 단절시키는 제1 탄성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election unit includes a first conductive connection pattern that contacts a disconnected portion of the first antenna by a user's pressing operation and connects a signal transmission path of the first antenna, And a first resilient button for restoring the posi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of the first antenna by elastic force when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user is released.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카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과 상기 제1 탄성 버튼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제1 도전성 연결 패턴과 상기 제1 안테나의 부식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누름 동작이 해제된 경우 상기 제1 탄성 버튼의 위치 복원력을 증대시키는 질소 가스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tactless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ductive connection pattern and the first antenna are prevented from being corroded in a space between the substrate on which the first antenna is formed and the first elastic button, And nitrogen gas which increases the position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button is filled.

본 발명에 따르면, 카드 표면에 형성된 버튼을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칩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현재 선택되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 여부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접촉식 카드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elect an application chip supporting a specific function by using a button formed on the card surface, and to allow a user to clearly recognize whether the currently selected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or not There is an effect provided.

또한, 카드에 별도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시키거나 모바일 단말을 연계시키지 않고도, 사용자가 현재 카드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접촉식 카드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re is an effect that a contactless card is provided which allows the user to clearly recognize what application is currently being executed on the card, without having a separate display means on the card 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카드를 기능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카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카드의 단면도이다.
1 is a functional diagram of a contactless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contactless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ctless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can take various forms, so that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nam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The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ar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herei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카드를 기능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카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카드의 단면도이다.2 is a plan view of a contactless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lan view of a contactless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카드는 카드 몸체부(10), 제1 안테나(20), 제2 안테나(30), 제1 어플리케이션 칩(40), 제2 어플리케이션 칩(50), 제1 선택부(60), 제2 선택부(70), 제1 안내부(80) 및 제2 안내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3, a contactless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d body 10, a first antenna 20, a second antenna 30, a first application chip 40, 2 application chip 50, a first selecting unit 60, a second selecting unit 70, a first guiding unit 80, and a second guiding unit 90.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본적인 동작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basic operation princi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제1 어플리케이션 칩(40)과 제2 어플리케이션 칩(50)에는 각각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제1 선택부(60)를 누른 상태에서 카드를 카드 단말기로 근접시키면 제1 어플리케이션 칩(40)이 지원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고, 제2 선택부(70)를 누른 상태에서 카드를 카드 단말기로 근접시키면 제2 어플리케이션 칩(50)이 지원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 칩(40)은 교통거래기능을 지원하는 칩이고, 제2 어플리케이션 칩(50)은 출입관리기능을 지원하는 칩일 수 있다.The first application chip 40 and the second application chip 50 each have an application supporting a specific func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first selection unit 60 and brings the card close to the card terminal, The function supported by the application chip 40 can be utilized and the function supported by the second application chip 50 can be used by bringing the card close to the card terminal while the second selection unit 70 is pressed. For example, the first application chip 40 may be a chip supporting a traffic transaction function, and the second application chip 50 may be a chip supporting an access control function.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카드 몸체부(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카드의 몸체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카드 몸체부(10)에는 제1 안테나(20), 제2 안테나(30), 제1 어플리케이션 칩(40), 제2 어플리케이션 칩(50)이 내장되고, 카드 몸체부(10)의 외면에는 제1 안내부(80)와 제2 안내부(9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안내부(80)에는 제2 선택부(7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2 안내부(90)에는 제1 선택부(6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card body 10 includes a first antenna 20, a second antenna 30, a first application chip 32, and a second application chip 32. The card body 10 is a part of the body of the contactless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guide part 80 and a second guide part 90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rd body part 10 and the first guide part 80 The second selector 70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second selector 90 is formed to expose the first selector 60 to the outside.

예를 들어, 카드 몸체부(10)는 기판(12), 상부층(14), 하부층(1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rd body portion 10 may comprise a substrate 12, an upper layer 14, and a lower layer 16.

기판(12)에는 제1 안테나(20), 제2 안테나(30)가 인쇄 등의 방식으로 형성되고, 제1 어플리케이션 칩(40), 제2 어플리케이션 칩(50)이 설치된다. 또한, 기판(12)의 상면에는 상부층(14)이, 그 하면에는 하부층(16)이 형성된다.The first antenna 20 and the second antenna 30 are formed on the substrate 12 by printing or the like and the first application chip 40 and the second application chip 50 are installed. An upper layer 1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2, and a lower layer 16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상부층(14)은 일정 수준의 탄성을 갖는 연성 재질의 층으로서, 이 상부층(14)에는 제1 안내부(80)와 제2 안내부(90)가 인쇄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layer 14 is a layer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a certain level of elasticity. The first guide portion 80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90 may be formed on the upper layer 14 by printing or the like.

하부층(16)에는 카드와 관련한 부가적인 정보들이 인쇄될 수 있다.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the card may be printed on the bottom layer 16.

제1 안테나(20)는 카드 몸체부(10)에 내장되어 있으며 신호 전송 경로가 단절된 구조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안테나(20)는 카드 몸체부(10)를 구성하는 기판(12)에 인쇄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안테나(20)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신호 전송 경로가 단절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안테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도 3의 도면부호 20-1과 20-2는 제1 안테나(20)의 단절된 상태에 있는 안테나 패턴들을 지시한다. 이러한 제1 안테나(20)는 제1 선택부(6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선택부(60)를 누르는 동작을 하면, 단절 상태에 있던 신호 전송 경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상적인 안테나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제1 선택부(60)를 누른 상태에서 카드를 카드 단말기로 근접시키는 경우, 제1 안테나(20)는 카드 단말기로부터 RF 신호를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수신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 칩(40)으로 전달하게 된다.The first antenna 20 is embedded in the card body 10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signal transmission path is disconnected. More specifically, the first antenna 20 can be formed on the substrate 12 constituting the card body 10 by printing or the like, and a part of the first antenna 20 is opened, Since it has a disconnected structure, it can not perform the function as an antenna at normal times. Reference numerals 20-1 and 20-2 in FIG. 3 indicate antenna patterns that are in a disconnected state of the first antenna 20. When a user input is received through the first selection unit 60,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first selection unit 60, the first antenna 20 transmits a signal transmission pat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function as a normal antenna. That is, when the user brings the card close to the card terminal while the first selecting unit 60 is being pressed, the first antenna 20 receives the RF signal from the card terminal in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anner, .

제2 안테나(30)도 제1 안테나(20)와 마찬가지로 카드 몸체부(10)에 내장되어 있으며 신호 전송 경로가 단절된 구조를 갖는다. 제2 안테나(30)는 제1 안테나(20)와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구조를 가지며, 그 구조와 작동원리는 제1 안테나(20)와 동일하다. 즉, 제2 안테나(30)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신호 전송 경로가 단절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안테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선택부(70)를 누르는 동작을 하면, 단절 상태에 있던 신호 전송 경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상적인 안테나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제2 선택부(70)를 누른 상태에서 카드를 카드 단말기로 근접시키는 경우, 제2 안테나(30)는 카드 단말기로부터 RF 신호를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수신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 칩(50)으로 전달하게 된다.Like the first antenna 20, the second antenna 30 is built in the card body 10, and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is disconnected. The second antenna 30 is physically independent from the first antenna 20, and its structure and operation principle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antenna 20. That is, since a part of the second antenna 30 is opened and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is disconnected, it can not function as an antenna at normal times.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second selection unit 70,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in the disconnected stat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perform a function as a normal antenna. That is, when the user brings the card close to the card terminal while the second selecting unit 70 is pressed, the second antenna 30 receives the RF signal from the card terminal in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anner, .

제1 어플리케이션 칩(40)은 카드 몸체부(10)에 내장된 상태로 제1 안테나(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다.The first application chip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20 while being embedded in the card body 10, and a first application supporting a specific function is mounted.

제2 어플리케이션 칩(50)도 카드 몸체부(10)에 내장되어 있으며 제2 안테나(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어플리케이션과 상이한 기능을 지원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다.The second application chip 50 is also built in the card body 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30, and a second application supporting a different function from the first application is mounted.

제1 선택부(60)는 카드 몸체부(10)의 외면에 노출되어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안테나(20)의 신호 전송 경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1 안테나(20)를 통한 제1 어플리케이션 칩(40)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누름 버튼 방식 스위치일 수 있다.The first selection unit 60 is ex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rd body 10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of the first antenna 20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functions to activate the operation of the chip 40, for example, it may be a push button switch.

이하에서는, 제1 선택부(60)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selector 60 will be described.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1 선택부(60)는 제1 도전성 연결 패턴(62), 제1 탄성 버튼(64), 질소 가스(6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3, the first selection unit 60 may include a first conductive connection pattern 62, a first elastic button 64, and a nitrogen gas 66. In addition,

제1 도전성 연결 패턴(62)은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제1 안테나(20)의 단절된 안테나 패턴들(20-1, 20-2)에 접촉되어 제1 안테나(20)의 신호 전송 경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conductive connection pattern 6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disconnected antenna patterns 20-1 and 20-2 of the first antenna 20 by the user's pressing operation so that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of the first antenna 20 is electrically As shown in FIG.

제1 탄성 버튼(64)에는 제1 도전성 연결 패턴(62)이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누름 동작이 해제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위치가 복원되어 제1 안테나(20)의 신호 전송 경로를 단절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일정 수준의 탄성을 갖는 연성 재질의 상부층(14)의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어 제1 탄성 버튼(64)을 구성할 수 있다.A first conductive connection pattern 62 is coupled to the first elastic button 64. When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user is released, the position is restored by the elastic force to disconnect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of the first antenna 20 .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upper layer 14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a certain level of elasticity may protrude outward to form the first elastic button 64.

질소 가스(66)는 제1 안테나(20)를 구성하는 단절된 상태에 있는 안테나 패턴들(20-1, 20-2)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12)과 제1 탄성 버튼(64) 사이의 비어있는 공간에 충진되어 있으며, 제1 도전성 연결 패턴(62)과 제1 안테나(20) 즉, 단절된 상태에 있는 안테나 패턴들(20-1, 20-2)의 부식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누름 동작이 해제된 경우 제1 탄성 버튼(64)의 위치 복원력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Nitrogen gas 66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substrate 12 on which the antenna patterns 20-1 and 20-2 in the disconnected state constituting the first antenna 20 are formed and the first elastic button 64, And prevents corrosion of the first conductive connection pattern 62 and the first antenna 20, that is, the antenna patterns 20-1 and 20-2 in a disconnected state, The function of increasing the position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button 64 is performed.

제2 선택부(70)는 카드 몸체부(10)의 외면에 노출되어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2 안테나(30)의 신호 전송 경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2 안테나(30)를 통한 제2 어플리케이션 칩(50)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선택부(70)의 구조는 제1 선택부(60)와 동일하다.The second selection unit 70 is ex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rd body 10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of the second antenna 30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activates the operation of the chip 50. The structure of the second selector 7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selector 60.

제1 안내부(80)는 카드 몸체부(10)의 외면의 제1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어플리케이션 칩(40)의 활성화 상태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2 안내부(90)는 카드 몸체부(10)의 외면의 제2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어플리케이션 칩(50)의 활성화 상태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guide part 80 is formed in a first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ard body part 10 and functions to guide the user to the activation state of the first application chip 40. The second guide part 90 Is formed in the second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ard body 10 and functions to guide the user to the activation state of the second application chip 50. [

예를 들어, 제1 선택부(60)는 상기 제2 안내부(90)에 형성되고, 제2 선택부(70)는 제1 안내부(80)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가 현재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election unit 6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guide unit 90, and the second selection unit 70 may be formed in the first guide unit 80. In this way, the configuration allows the user to visually and clearly recognize which application is currently executed.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첫째, 사용자가 제1 선택부(60)를 눌러 제1 안테나(20)의 신호 전송 경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제1 어플리케이션 칩(40)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경우, 제2 안내부(90)가 제1 선택부(60)를 누르는 사용자의 손에 가려져 잘 보이지 않는 반면, 제1 어플리케이션 칩(40)의 활성화 상태를 안내하는 제1 안내부(80)는 어떠한 장애물도 없이 사용자에 의해 명확하게 인지되기 때문에, 제1 안내부(80)를 통한 제1 어플리케이션 칩(40)의 활성화 상태가 사용자에게 안내된다.First, when the user activate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pplication chip 40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of the first antenna 20 by pressing the first selection unit 60, the second guide unit 90 The first guidance unit 80 guiding the activation state of the first application chip 40 is not clearly recognized by the user without any obstacles while being hidden by the user's hand pressing the first selection unit 60 The activation state of the first application chip 40 through the first guide unit 80 is guided to the user.

둘째, 사용자가 제2 선택부(70)를 눌러 제2 안테나(30)의 신호 전송 경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제2 어플리케이션 칩(50)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경우, 제1 안내부(80)가 제2 선택부(70)를 누르는 사용자의 손에 가려져 잘 보이지 않는 반면, 제2 어플리케이션 칩(50)의 활성화 상태를 안내하는 제2 안내부(90)는 어떠한 장애물도 없이 사용자에 의해 명확하게 인지되기 때문에, 제2 안내부(90)를 통한 제2 어플리케이션 칩(50)의 활성화 상태가 사용자에게 안내된다.Secondly, when the user activate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pplication chip 50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of the second antenna 30 by pressing the second selection unit 70, the first guide unit 80 The second guidance unit 90 guiding the activation state of the second application chip 50 is not clearly recognized by the user without any obstacle while the second selection unit 70 is hidden by the user's hand pressing it, The activation state of the second application chip 50 through the second guide unit 90 is guided to the user.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카드 표면에 형성된 버튼을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칩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현재 선택되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 여부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접촉식 카드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elect an application chip supporting a specific function by using a button formed on the card surface, and to clearly recognize whether the application is currently selected and executed There is an effect that a contactless card is provided.

또한, 카드에 별도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시키거나 모바일 단말을 연계시키지 않고도, 사용자가 현재 카드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접촉식 카드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re is an effect that a contactless card is provided which allows the user to clearly recognize what application is currently being executed on the card, without having a separate display means on the card 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10: 카드 몸체부
12: 기판
14: 상부층
16: 하부층
20: 제1 안테나
20-1, 20-2: 제1 안테나의 단절된 안테나 패턴들
30: 제2 안테나
40: 제1 어플리케이션 칩
50: 제2 어플리케이션 칩
60: 제1 선택부
62: 제1 도전성 연결 패턴
64: 제1 탄성 버튼
66: 질소 가스
70: 제2 선택부
80: 제1 안내부
90: 제2 안내부
10: Card body part
12: substrate
14: Upper layer
16:
20: First antenna
20-1, 20-2: Disconnected antenna patterns of the first antenna
30: Second antenna
40: first application chip
50: second application chip
60: first selection unit
62: first conductive connection pattern
64: first elastic button
66: nitrogen gas
70: second selection unit
80: first guide portion
90: second guide portion

Claims (6)

카드 몸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신호 전송 경로가 단절된 구조를 갖는 제1 안테나;
상기 카드 몸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신호 전송 경로가 단절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안테나와 물리적으로 독립되어 있는 제2 안테나;
상기 카드 몸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안테나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어플리케이션 칩;
상기 카드 몸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안테나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어플리케이션 칩;
상기 카드 몸체부의 외면에 노출되어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의 신호 전송 경로를 연결하여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칩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제1 선택부;
상기 카드 몸체부의 외면에 노출되어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의 신호 전송 경로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칩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제2 선택부;
상기 카드 몸체부의 외면의 제1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칩의 활성화 상태를 안내하는 제1 안내부; 및
상기 카드 몸체부의 외면의 제2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칩의 활성화 상태를 안내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선택부는 상기 제2 안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선택부는 상기 제1 안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카드.
A first antenna embedded in the card body and having a signal transmission path cut off;
A second antenna embedded in the card body an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ignal transmission path is disconnected and being physically independent from the first antenna;
A first application chip embedded in the card body and connected to the first antenna;
A second application chip embedded in the card body and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A first selector which is ex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ard body and activates an operation of the first application chip through the first antenna by connecting a signal transmission path of the first antenna according to a user input;
A second selector which is ex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ard body and activates an operation of the second application chip through the second antenna by connecting a signal transmission path of the second antenna according to a user input;
A first guide formed in a first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ard body part and guiding the activated state of the first application chip; And
And a second guide part formed in a second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ard body part and guiding the activated state of the second application chip,
Wherein the first selec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econd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selec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 guide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택부와 상기 제2 선택부는 누름 버튼 방식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election unit and the second selection unit are push-button switches.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제1 선택부를 눌러 상기 제1 안테나의 신호 전송 경로를 연결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칩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경우, 상기 제2 안내부가 사용자의 손에 가려져 상기 제1 안내부를 통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칩의 활성화 상태가 안내되고,
사용자가 상기 제2 선택부를 눌러 상기 제2 안테나의 신호 전송 경로를 연결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칩의 동작을 활성화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안내부가 사용자의 손에 가려져 상기 제2 안내부를 통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칩의 활성화 상태가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user activate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pplication chip by connecting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of the first antenna by pressing the first selection part, the second guide part is concealed in the user's hand, The activation state of the application chip is guided,
When the user activate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pplication chip by connecting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of the second antenna by pressing the second selection part, the first guide part is concealed in the user's hand, And the activated state of the application chip is gu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택부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안테나의 단절된 부분에 접촉되어 상기 제1 안테나의 신호 전송 경로를 연결하는 제1 도전성 연결 패턴; 및
상기 제1 도전성 연결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누름 동작이 해제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위치가 복원되어 상기 제1 안테나의 신호 전송 경로를 단절시키는 제1 탄성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lector
A first conductive connection pattern contacting the disconnected portion of the first antenna by a user's pushing operation and connecting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of the first antenna; And
And a first elastic button for restoring a posi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of the first antenna by an elastic force when the first conductive connection pattern is formed and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user is released,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과 상기 제1 탄성 버튼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제1 도전성 연결 패턴과 상기 제1 안테나의 부식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누름 동작이 해제된 경우 상기 제1 탄성 버튼의 위치 복원력을 증대시키는 질소 가스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카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space between the substrate on which the first antenna is formed and the first elastic button prevents corrosion of the first conductive connection pattern and the first antenna and prevents corrosion of the first elastic contact button And a nitrogen gas for increasing the position restoring force is filled in the non-contact type card.
KR1020150182708A 2015-12-21 2015-12-21 Contactless card selectively using one of application chips Expired - Fee Related KR1016642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708A KR101664227B1 (en) 2015-12-21 2015-12-21 Contactless card selectively using one of application chip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708A KR101664227B1 (en) 2015-12-21 2015-12-21 Contactless card selectively using one of application chip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227B1 true KR101664227B1 (en) 2016-10-10

Family

ID=5714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7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664227B1 (en) 2015-12-21 2015-12-21 Contactless card selectively using one of application chip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22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4712A (en) * 2019-07-08 2019-09-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Radio frequency circuit, electronic equipment and radio frequency circuit control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104A (en) 2001-01-19 2002-07-25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Method of providing ic card service, card terminal, and ic card
KR20020092155A (en) 2001-06-01 2002-12-11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키 Cosmetic utensils for eyes
KR20060105425A (en) 2003-10-20 2006-10-11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Contactless IC Card
JP2010122940A (en) * 2008-11-20 2010-06-03 Toppan Printing Co Ltd Non-contact ic car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104A (en) 2001-01-19 2002-07-25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Method of providing ic card service, card terminal, and ic card
KR20020092155A (en) 2001-06-01 2002-12-11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키 Cosmetic utensils for eyes
KR20060105425A (en) 2003-10-20 2006-10-11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Contactless IC Card
JP2010122940A (en) * 2008-11-20 2010-06-03 Toppan Printing Co Ltd Non-contact ic car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4712A (en) * 2019-07-08 2019-09-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Radio frequency circuit, electronic equipment and radio frequency circuit control method
CN110224712B (en) * 2019-07-08 2021-04-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Radio frequency circuit, electronic equipment and radio frequency circuit control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3220B2 (en) Manually operated switch for enabling and disabling an RFID card
US8615195B2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touch activated near field communications (NFC) circuit
US7010333B2 (en) Radiotelephone terminal with dual-sided keypad apparatus
EP2169924B1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touch activated near field communications (NFC) circuit
US8258418B2 (en) Keyboard dome overlay structure
US7462787B1 (en) Rotary manipulation type input device
US20090179817A1 (en) Induction card with a printed antenna
US20140349572A1 (en) Integrated inductive power receiver and near field communicator
US8090407B2 (en) Contactless smart SIM
KR101664227B1 (en) Contactless card selectively using one of application chips
KR101282878B1 (en) Portable terminal
CN102047589A (en)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CN106576420B (en) Equipment with single sided printed circuit board
CN204667276U (en) Be equipped with the combined type palm terminal of data backup function
KR200423038Y1 (en) Metal dome assembly
JP2005222097A (en) Mobile equipment
JP2007193675A (en) Non-contact communication device, IC card and portable device
KR20190107066A (en) Double-sided push-button with touch
WO2013102901A1 (en) Integrated inductive power receiver and near field communicator
KR20180061453A (en) An NFC card with multiple chips
CN106370328A (en) Side key assembly and terminal device
CN206235420U (en) Side key component and terminal device
JPH03184429A (en) Portable radiotelephony system
CA2725166C (en) Keyboard dome overlay structure
KR101452970B1 (en) Smart phone side key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0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