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63561B1 -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561B1
KR101663561B1 KR1020090013550A KR20090013550A KR101663561B1 KR 101663561 B1 KR101663561 B1 KR 101663561B1 KR 1020090013550 A KR1020090013550 A KR 1020090013550A KR 20090013550 A KR20090013550 A KR 20090013550A KR 101663561 B1 KR101663561 B1 KR 101663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active substance
physiologically active
biodegradable polymer
microparticl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227A (ko
Inventor
임낙현
김승수
김성근
김세연
정형준
이덕근
차경회
Original Assignee
동국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3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56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4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56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0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82Proc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담체에 약물을 봉입하여 지속적으로 약물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는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리활성물질을 생분해성 고분자를 용해시킨 비수성용액에 현탁, 분산시키거나 생리활성물질을 용해시킨 수성용매와 생분해성 고분자를 용해시킨 비수성용액을 혼합하여 에멀젼을 형성시키고 나서, 방출억제제를 혼합한 후 이를 수성 매질에 투입하여 미립구를 제조하고, 유기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서방출성 미립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서방출성 미립구는 생리활성물질의 초기 과다방출을 억제하여 체내에서 생리활성물질이 지속적이고 균일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서방출성, 미립구, 방출억제제

Description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DELAYED-RELEASE MICROSPHERES}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담체에 약물을 봉입하여 지속적으로 약물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는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리활성물질을 생분해성 고분자를 용해시킨 비수성용액에 현탁, 분산시키거나 생리활성물질을 용해시킨 수성용매와 생분해성 고분자를 용해시킨 비수성용액을 혼합하여 에멀젼을 형성시키고 나서, 방출억제제를 혼합한 후 이를 수성 매질에 투입하여 미립구를 제조하고, 유기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서방출성 미립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서방출성 주사제형이란 피하 또는 근육주사 시 체내에서 약물이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하면서 지속적이고 균일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제제화된 주사제형을 말한다.
종래에 이와 같은 서방출성 주사제제들의 일반적인 제조방법은 코아세르베이션법, 용융사출(melt extrusion), 분무건조법 및 용매증발법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 중 이중유화증발법(W/O/W; water/oil/water)과 단일유화증발법(O/W; oil/water)으로 분류되는 용매증발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중에멀젼법을 이용한 미립구는 초기 과다방출률이 높다는 단점과 함께 활성성분인 약물을 유기용매 또는 물에 용해시킬 경우 미립구를 형성하면서 약물의 물성변화, 안정성이 떨어지거나, 봉입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특허 제10-0409413호에서는 수중건조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한 후 생분해성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Tg) 이상 가열 건조하여 초기방출을 상당히 억제하고 유기용매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제조방법은 생리활성물질이 열에 의해 변성될 수 있다는 심각한 단점이 있다.
또한 저널(Controlled release of amoxicillin from hydroxyapatite-coated poly(lactic-co-glycolic acid) microspheres,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127 (2008);146-153)에 의하면 생분해성 미립구 외부를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로 코팅하여 초기 방출을 억제하며 장기간의 생리활성물질 방출이 가능한 방법이 공개되어 있으나, 장시간이 요구되는 번거로운 코팅 제조방법으로 생산화하기가 힘든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용매증발법 내지는 용매추출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인 초기 과다방출을 억제된 미립구를 제조하기 위하여 미립구 표면에 생기는 다공을 없애고 표면적을 줄이며 외부 수분의 침투를 지연시켜 보다 안정한 장기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생리활성물질을 생분해성 고분자를 용해시킨 비수성용액에 현탁, 분산시키거나 생리활성물질을 용해시킨 수성용매와 생분해성 고분자를 용해시킨 비수성용액을 혼합하여 에멀젼을 형성시키고 나서, 방출억제제를 혼합한 후 이를 수성 매질에 투입하여 미립구를 제조하고, 유기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서방출성 미립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i) 생분해성 고분자를 비수성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ⅱ) 상기 i) 단계의 비수성용액에 생리활성물질을 현탁, 분산시키는 단계 또는 상기 i) 단계의 비수성용액과 수성용매에 용해시킨 생리활성물질을 혼합하여 에멀젼을 형성시키는 단계;
ⅲ) 상기 ⅱ) 단계의 현탁용액 또는 에멀젼 용액에 방출억제제를 혼합하는 단계;
ⅳ) 상기 ⅲ) 단계에서 형성된 용액 또는 에멀젼 용액을 수성 매질에 투입하여 미립구를 형성하는 단계; 및
ⅴ)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고분자는 미립구 제조시 사용되어지는 통상의 고분자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고분자는 예를 들면, 폴리락타이드(polylactides), 폴리글리코라이드(polyglycolides),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 및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글루코즈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고분자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00 이하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자량 약 13,000인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50:50), 분자량 약 33,000인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50:50), 분자량 약 52,000인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50:50), 분자량 약 20,000인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75:25), 분자량 약 16,000인 폴리(락타이드)(100:0)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생분해성 고분자는 예를 들면, 베링거인겔하임사의 Resomer® RG502H, RG503H, RG504H, RG752H, RG752S, R202H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고분자는 0.1 내지 0.7 dL/g의 고유점도를 가질 수 있 다.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고분자가 0.1 dL/g 미만의 고유점도를 가지면 고분자의 분해가 너무 빨라 원하는 시간까지 생리활성물질의 지속적인 방출이 어려울 수 있고, 0.7 dL/g을 초과하는 고유점도를 가지면 고분자의 분해가 너무 느려 생리활성물질의 방출량이 적어 약효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고분자는 미립구 전체 중량에 대하여 70 내지 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8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7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고분자가 7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생리활성물질 분포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초기 과다 방출 내지 원하는 기간동안 약효를 유지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99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환자에게 투여해야할 양이 너무 많아져 투여가 힘들거나 투여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i) 단계에서 생분해성 고분자를 용해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비수성 용매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용해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아세토니트릴, 디메틸설폭시드, 디메틸포름아마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리활성물질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LHRH(luteinizing hormone-release hormone) 동족체(analogue) 또는 펩타이드 약물이나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LHRH 동족체 중 작 용제(agonist)에는 고세렐린, 루프로라이드, 트립토렐린, 부세렐린, 나파렐린 등이 있고, 길항제(antagonist)에는 세트로렐릭스, 알지타이드 그리고, 그 외 이용가능한 펩타이드 약물에는 옥트레오타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LHRH 동족체 중 작용제는 체내에 투여되었을 때 뇌하수체(pituitary gland)에 작용하여 황체형성 호르몬(luteinizing hormone)의 분비를 억제(작용제의 경우에는 초기에는 분비를 촉진하나, 지속적으로 방출될 경우에는 억제됨)하여 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겐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호르몬 반응성으로 진행되는 전립선암, 유방암, 자궁내막증 등에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펩타이드 물질이다.
본 발명의 상기 ⅱ) 단계에서의 수성용매는 생리활성물질을 용해할 수 있는 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에서 생리활성물질을 용해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수성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주사용수이다.
본 발명의 상기 ⅱ) 단계에서는 현탁용액의 바람직한 물성이나 에멀젼 형성을 돕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계면활성제가 첨가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당 분야에서 관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인 이상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면, 실리콘오일(silicone oil),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상품명 Tween), 소르비탄 에스테르(sorbitan ester, 상품명 Span), 폴록사머(poloxamer),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및 토코페롤(tocophero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방출억제제는 수용성인 생리활성물질의 방출을 지연 내지는 억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수난용성 내지는 수불용성 성분으로 초기 생리활성물질의 과다 방출을 지연 내지는 억제하거나 목적하는 기간 동안 생리활성물질의 방출을 지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성분을 언급한다. 본 발명에서 방출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C6-C20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또는 C4-C8 디카르복시산을 갖는 트리글리세라이드이다.
본 발명에서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에서 지방산은 바람직하게는 C6-C20 불포화지방산이다. 본 발명에서 프로필렌 지방산 에스테르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propylene glycol dicaprylate, 상품명 Labrafac PG)이다. 본 발명에서 C6-C20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또는 C4-C8 디카르복시산을 갖는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예를 들면,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상품명 Miglyol 812), 카프릴릭/카프릭/리놀레익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linoleic triglyceride, 상품명 Miglyol 818), 카프릴릭/카프릭/석시닉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succinic triglyceride, 상품명 Miglyol 829)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출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ⅱ) 단계의 현탁용액 또는 에멀젼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0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첨가되는 방출억제제의 양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계면활성 효과가 미비해져 에멀젼 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0.0 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량의 성분으로 인하여 투여부위에 피부 발적 내지는 가려움 등의 국소 부작용이 발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ⅳ) 단계에서 수성 매질은 바람직하게는 주사용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에멀젼의 확산을 억제하기 위하여 저점도 고분자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되는 저점도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v) 단계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은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임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교반, 가열, 질소퍼지(N2 purg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현탁용액 또는 에멀젼 용액에 방출억제제를 혼합한 다음 이를 수성 매질에 투입하여 미립구 형성시 수불용성 또는 수난용성인 방출억제제가 미립구 내, 외부에 분포하면서 수용성인 생리활성물질이 외부 수성매질과의 접촉을 줄임으로써 초기 용출률을 줄이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서방출성 미립구는 바람직하게는 생리활성물질을 미립구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 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생리활성물질이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환자에게 투여하게 될 미립구 양이 너무 많아져 투여가 불가능하게 되거나 투여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초기 과다 방출 억제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방출성 미립구는 생리활성물질의 초기 과다방출 억제 특성이 우수하여 투여시 인체 내에서 생리활성물질을 지속적이고 균일하게 방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S/O/W 제조방법에 의한 미립구 제조
생분해성 고분자(제조원: 베링거인겔하임)를 메틸렌클로라이드(제조원:머크)에 첨가하고 격렬히 교반하여 투명하게 용해시킨 후 초산고세렐린(제조원: 바켐, 스위스)을 첨가하고 초산고세렐린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초음파분쇄기를 사용하여 교반, 분산시켰다. 여기에 계면활성제 및 방출억제제를 첨가한 다음 충분히 교반하 였다. 이렇게 제조한 각각의 현탁액을 25℃의 0.5% 폴리비닐알코올(Mn=30,000~70,000; 시그마) 수용액상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4,000rpm의 L4R 믹서(Silverson, 영국)를 사용하여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그 후 온도를 40℃로 승온하고 교반속도를 낮추어 유기용매를 휘발시켰다. 사용한 성분 및 함량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제조된 미립구를 주사용수로 수회 세척한 후 72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였다.
Figure 112009010107327-pat00001
실시예 4 내지 5: W/O/W 제조방법에 의한 미립구 제조
초산고세렐린을 주사용수에 용해시키고, 생분해성 고분자(제조원: 베링거인겔하임)를 용해시킨 메틸렌클로라이드(제조원: 머크) 용액에 초산고세렐린 및 계면활성제가 용해되어있는 수상용액을 첨가하고 격렬히 교반하여 에멀젼을 형성시켰다. 이 에멀젼에 방출억제제를 첨가한 다음 충분히 교반하였다. 이 에멀젼을 25℃의 0.5% 폴리비닐알코올(Mn=30,000~70,000; 시그마) 수용액상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4,000rpm의 L4R 믹서(Silverson, 영국)를 이용하여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그 후 온도를 40℃로 승온하고 교반속도를 낮추어 유기용매를 휘발시켰다. 사용한 성분 및 함량은 다음의 표 2와 같다. 제조된 미립구를 주사용수로 수회 세척한 후 72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였다.
Figure 112009010107327-pat00002
비교예 1 내지 2: 방출억제제가 제외된 미립구 제조
방출억제제인 Labrafac PG를 제외하고 실시예 1 (S/O/W method) 및 실시예 4 (W/O/W method)와 동일한 방법으로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미립구의 조성은 다음의 표 3과 같다.
Figure 112009010107327-pat00003
실험예 1: 미립구 형태 측정
미립구의 표면을 관찰하기 위하여 미립구 약 10㎎을 알루미늄 스터브에 고정시키고 진공도 0.1torr 및 고전압(10kV)하에서 3분간 백금 코팅을 한 후, SEM(장비명: Hitachi S-4800 FE-SEM) 분체에 장착하고 이미지 분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미립구의 표면을 관찰하였다.
측정결과를 도 1에 나타냈으며, 방출억제제를 사용할 경우 미립구 표면에 다공성이 월등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미립구의 고세렐린 봉입률 측정
미립구 약 100㎎을 디메틸포름아미드(제조원: 머크) 25㎖에 넣어 완전히 용해 시킨 후 0.45㎛ 실린지 필터로 여과하여 검액으로 사용하고, HPLC를 이용하여 미립구 내에 봉입되어 있는 고세렐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컬럼은 YMC C18 ODS 5㎛, 4.6 × 250㎜이며, 주입량은 10㎕, 검출파장은 280㎚이었다. 이동상은 pH 3.0 인산염 완충액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표 4에 나타냈으며, 이에 의해 투입량 대비 약 80% 이상의 고세렐린이 미립구 내에 충분히 봉입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Figure 112009010107327-pat00004
실험예 3: 미립구의 in - vitro 장기 용출시험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의 미립구 약 25㎎을 50㎖ 시험관에 넣은 다음 50㎖의 pH 7.4 인산완충액을 넣고 39℃에서 인큐베이션하면서 1, 3, 7, 14, 21 및 28일의 측정시간에 상등액을 취하여 HPLC로 고세렐린의 용출량을 측정하였고, 측정결과 및 그 그래프를 표 5 및 도 2에 각각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10107327-pat00005
상기 결과로부터 방출억제제를 사용한 샘플이 사용하지 않은 샘플에 비해 월등히 방출률이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제조된 미립구의 표면을 SEM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1a: 방출억제제가 제외된 미립구, 1b: 방출억제제가 포함된 S/O/W 제조방법의 미립구)
도 2는 제조된 미립구의 in - vitro 장기 용출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실시예 1, ○:실시예4, ×: 비교예 1)

Claims (7)

  1. i) 생분해성 고분자를 비수성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ⅱ) 상기 i) 단계의 비수성용액에 생리활성물질을 현탁, 분산시키는 단계 또는 상기 i) 단계의 비수성용액과 수성용매에 용해시킨 생리활성물질을 혼합하여 에멀젼을 형성시키는 단계;
    ⅲ) 상기 ⅱ) 단계의 현탁용액 또는 에멀젼 용액에 방출억제제를 혼합하는 단계;
    ⅳ) 상기 ⅲ) 단계에서 형성된 용액 또는 에멀젼 용액을 수성 매질에 투입하여 미립구를 형성하는 단계; 및
    ⅴ)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리활성물질이 고세렐린, 루프로라이드, 트립토렐린, 부세레린, 옥트레오타이드 및 세트로렐릭스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며,
    상기 방출억제제가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C6-C20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또는 C4-C8 디카르복시산을 갖는 트리글리세라이드인,
    생리활성물질의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고분자가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코라이드,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 및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글루코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출성 미립구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고분자의 고유점도가 0.1 내지 0.7 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방출억제제가 상기 ⅱ) 단계의 현탁용액 또는 에멀젼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생리활성물질의 함량이 미립구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KR1020090013550A 2009-02-18 2009-02-18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Active KR101663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550A KR101663561B1 (ko) 2009-02-18 2009-02-18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550A KR101663561B1 (ko) 2009-02-18 2009-02-18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227A KR20100094227A (ko) 2010-08-26
KR101663561B1 true KR101663561B1 (ko) 2016-10-10

Family

ID=4275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550A Active KR101663561B1 (ko) 2009-02-18 2009-02-18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5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585A1 (ko)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지투지바이오 데슬로렐린을 함유하는 서방형 주사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1797B1 (ko) 2013-04-03 2017-12-22 동국제약 주식회사 도네페질을 포함하는 비경구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543507B1 (ko) 2013-05-15 2015-08-11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연속 공정의 미립구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미립구
CN105267153B (zh) * 2015-11-27 2018-05-11 上海苏豪逸明制药有限公司 一种曲普瑞林缓释微粒及其制备方法
KR101961848B1 (ko) * 2016-08-25 2019-03-25 영진약품 주식회사 C18:1, c18:1(oh) 또는 c18:2의 장쇄 지방산이 포함된 오일류를 포함한 방출억제제를 적용한 서방출성 마이크로스피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2026B1 (ko) * 2017-05-31 2020-08-06 주식회사 대웅제약 방출제어가 용이한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KR102089737B1 (ko) * 2017-11-01 2020-03-16 한국화학연구원 에씨탈로프람을 함유한 미립구형 서방출 주사제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065B1 (ko) * 2006-11-27 2008-03-24 동국제약 주식회사 초기 방출억제 특성이 우수한 서방출성 마이크로캡슐의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마이크로캡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501B1 (ko) * 2000-06-28 2003-07-22 동국제약 주식회사 다중 에멀젼법에 의한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065B1 (ko) * 2006-11-27 2008-03-24 동국제약 주식회사 초기 방출억제 특성이 우수한 서방출성 마이크로캡슐의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마이크로캡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0585A1 (ko)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지투지바이오 데슬로렐린을 함유하는 서방형 주사제 및 그 제조방법
EP3900705A4 (en) * 2018-12-17 2022-06-15 G2Gbio, Inc. DELAYED RELEASE INJECTION WITH DESLORELIN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12274787B2 (en) 2018-12-17 2025-04-15 G2Gbio, Inc. Sustained-release injection comprising deslorel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227A (ko)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044B1 (ko) 용매교류증발법에 의한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KR101663561B1 (ko)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CA2020477C (en)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s of water soluble peptides
CA2048270C (en) Preparation process of sustained release compositions and the compositions thus obtained
JP7437074B2 (ja) リバスチグミンを含む長期持続型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63560B1 (ko) 균일한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BRPI0718288A2 (pt) Composições de depósito injetável e processo de preparação de tais composições
WO2006032202A1 (en) Long acting sustained-release formulation containing dopamine receptor agonist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16527308A (ja) エンテカビル微小球及びこれを含む非経口投与用医薬組成物
KR101961848B1 (ko) C18:1, c18:1(oh) 또는 c18:2의 장쇄 지방산이 포함된 오일류를 포함한 방출억제제를 적용한 서방출성 마이크로스피어 및 이의 제조방법
JP5851518B2 (ja) 生理活性ペプチドを含む微小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らを含む薬剤学的組成物
WO2019088744A2 (ko) 에씨탈로프람을 함유한 미립구형 서방출 주사제 및 그의 제조방법
GB2277915A (en) Production of microballs including a pharmaceutically active ingredient and a polymer
KR101039237B1 (ko) 새로운 용출률이 개선된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KR100566573B1 (ko) Lhrh 동족체를 함유하는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JP7580139B2 (ja) デスロレリンを含む徐放性注射用組成物
KR102764486B1 (ko) 5-알파 환원효소 저해제를 포함하는 서방성 제제
KR20240066122A (ko) 덱사메타손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서방형 주사제제 및 그 제조방법
JP2024508863A (ja) Btk阻害剤を含むミクロスフェア製剤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2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3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