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888B1 - dehumidifier - Google Patents
dehumid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2888B1 KR101662888B1 KR1020140091352A KR20140091352A KR101662888B1 KR 101662888 B1 KR101662888 B1 KR 101662888B1 KR 1020140091352 A KR1020140091352 A KR 1020140091352A KR 20140091352 A KR20140091352 A KR 20140091352A KR 101662888 B1 KR101662888 B1 KR 1016628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tank
- water
- chamber
- main body
- dehumidifi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안전성이 향상되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는, 내부 공간에 열교환 유닛이 장착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방으로 탈착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열교환 유닛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수용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수위에 따라 이동하는 플로터; 상기 플로터와 반응하여, 상기 물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플로터와 반응하여, 상기 물탱크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안전센서; 및 상기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humid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humidifier having improved safety.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heat exchange unit mounted in an inner space and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water tank installed to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and contain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 unit; A floater moving according to a level of the water tank; A sensor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water tank in response to the floater; A safety sensor which reacts with the floater to sense a full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main body; .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안전성이 향상되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humid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humidifier having improved safety.
제습기는 원하는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을 통해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고,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원하는 공간으로 토출함으로써, 원하는 공간의 습도를 낮추는 가전 기기의 일종이다.The dehumidifier is a kind of home appliance that lowers the humidity of a desired space by sucking air in a desired space to remov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through heat exchange and discharging the moisture-depleted air to a desired space.
상기 제습기는 일련의 유동 사이클에 따라 동작하면서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게 되며, 이러한 유동 사이클은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증발의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humidifier operates in accordance with a series of flow cycles to remove moisture from the air, and this flow cycle can be accomplished by compression, condensation, expansion, and evaporation of the refrigerant.
상기 유동 사이클을 따라 유동하는 냉매는 응축과 증발의 과정에서 외부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 교환을 하게 되고, 이러한 냉매와의 열 교환을 통해 공기에 포함되는 습기가 제거되며, 습기가 제거된 공기는 원하는 공간으로 토출되고, 냉매는 유동 사이클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The refrigerant flowing along the flow cycle undergoes heat exchange with air flowing in the outside during the process of condensation and evaporation.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is remov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and the moisture- Is discharged to a desired space, and the refrigerant flows along the flow cycle.
상기 냉매의 유동 사이클에서 냉매가 증발되는 구간에는 증발기가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에서 액체 상태의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주위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게 된다.An evaporator is installed in a section where the refrigerant is evaporated in the flow cycle of the refrigerant, and the refrigerant in the liquid state is evaporated in the evaporator, thereby absorbing heat from the surrounding air.
상기 증발기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상기 증발기의 온도는 낮아지게 되며, 온도가 낮아진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가 냉매와의 열 교환을 통해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As the refrigerant evaporates in the evaporator,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becomes low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becomes lower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지는 공기는,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응축되어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이슬로 맺히게 되고, 응축된 수분을 제외한 공기는 상기 유동 사이클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구간에 설치되는 응축기로 유동하게 된다.The air having a low temperat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is condensed into moisture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and the air other than the condensed moisture is condensed by the condenser installed in a region where the refrigerant is condensed in the flow cycle .
상기 응축기로 유동하는 냉매는 응축되면서 열을 방출하여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 교환되고, 이때,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는 공기는 냉매에서 방출되는 열을 흡수하여 건조된 상태에서 원하는 공간으로 토출되어 원하는 공간의 습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The refrigerant flowing to the condenser is condensed and heat is discharged to be exchanged with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At this tim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 absorbs heat released from the refrigerant and is discharged into a desired space in a dried state The humidity of the desired space can be lowered.
이처럼, 상기 제습기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습과 건조 과정이 진행되면서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공기만 원하는 공간, 일 예로 실내로 토출되면서 실내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게 된다.Thu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ier is dehumidified and dried, and only the dry air from which moisture has been removed is discharged into a desired space, for example, the room, thereby removing moisture from the room air.
그리고, 근래에는 주거 공간의 확대와 생활 환경의 변화 등에 의해 제습기의 대용량화와 다기능화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demand for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dehumidifier and increasing the versatility of the dehumidifier due to the expansion of the living space and the change of the living environment.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59164호에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오작동의 우려가 없는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며, 이를 위하여 저수탱크의 수위가 일정수준 이하이면 자석의 자력에 의하여 스위치 온 상태로 작동하고, 저수탱크의 수위가 일정수준 이상이면 스위치 오프 상태로 작동하여 제습기를 작동/정지시키는 리드스위치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59164 discloses an invention relating to a level detecting device for a dehumidifier which has a simple structure and does not cause a malfunction. For this purpose, if the water level of the storage tank is below a certain level, And a reed switch that operates in a switch-off state and operates / stops the dehumidifier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is higher than a certain level.
상기 선행기술 문헌에서 개시되는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의 경우 플로트의 내부에 자석이 장착되고, 수위에 따른 플로트의 상하 이동에 의해 자력에 의해 동작하는 리드 스위치가 작동함으로써, 저수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구성이 개시된다.In the case of the water level sensor of the dehumidifier disclosed in the prior art document, a magnet is mounted inside the float, and a reed switch operated by the magnetic force is operated by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float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thereby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tank The configuration is disclosed.
다만, 저수탱크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리드 스위치 또는 자석의 자성 감소 등에 의한 오류에 대응하지 못하여 이러한 상황에서 저수탱크의 수위가 가득 차게 되면, 저수탱크에 수용되는 응축수가 외부로 배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However, if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tank becomes full in such a situation due to failure of the reed switch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tank or reduction of magnetism of the magnet, etc., the condensat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tank may be drained to the outside .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48463호에는 응축수가 마수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만수감지수단으로 사용되는 온/오프 스위치 또는 자성감지센서에 공용될 수 있는 플로팅 기구를 갖춘 제습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048463 discloses a dehumidifier having a floating mechanism that can be used for an on / off switch or a magnetic detection sensor, which is used as a water level sensing means for sensing whether or not condensed water has been consumed .
상기 선행기술 문헌에는 만수감지수단으로써 설치되는 부품이 온/오프 스위치인지 또는 자성감지센서인지에 관계없이 두 부품과 공용될 수 있도록 플로팅 기구의 일측에 자석 설치부를 형성시키고 자석 설치부에 자석이 삽입되는 플로팅 기구을 장착하는 제습기를 위한 구성이 개시된다.In the prior art document, a magnet mount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a floating mechanism so that a component installed as a fullness detecting means can be shared with both components regardless of whether it is an on / off switch or a magnetic sensing sensor, A configuration for a dehumidifier to which a floating mechanism is attached is disclosed.
다만, 상기 선행기술 문헌에는 플로팅 기구의 위치에 따라 응축수가 저장되는 버킷 어셈블리에 저장된 응축수의 만수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스위치와 자성감지센서의 오류에 의한 오작동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However, the prior art documen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fullness of the condensed water stored in the bucket assembly in which the condensed water is stor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mechanism, thereby causing malfunction of the switch and the magnetic sensing sensor.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감지장치에 의해 수위가 감지되는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humidifier in which the water level is sensed by a plurality of sensing devic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정된 만수위가 감지되면 동작을 종료하도록 제어되는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humidifier which is controlled to end an operation when a set high water level is detec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는, 내부 공간에 열교환 유닛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열교환 유닛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면에서 상기 본체의 하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개구되는 물탱크실과, 압축기가 수용되는 압축기실, 제습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기판이 수용되는 전장실이 동일 연장선상에 차례로 형성되도록 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물탱크실에 탈착되며, 상기 열교환유닛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집수되는 물탱크; 상기 하부 프레임과 접하는 상기 물탱크의 측벽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가이드룸; 상기 가이드룸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물탱크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되며, 적어도 일부가 자성을 가지는 플로터; 및 상기 가이드룸과 마주보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플로터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메인기판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물탱크에는 상기 물탱크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에는 회동 가능한 손잡이가 상기 물탱크실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의 양측에서 돌출되며, 상기 물탱크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물탱크실 내측의 결합홈에 구속되는 결합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물탱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룸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룸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룸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룸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탱크실의 바닥에는 응축수의 집수를 위한 베이스 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로터는, 자성을 가지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를 수용하며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유동되는 유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체의 외면 일부는 상기 자성체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humidifier comprising: a body having a heat exchange unit in an inner space; An upper frame supporting the heat exchange unit; A water tank chamber exten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to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 compressor chamber accommodating the compressor, and a main chamber accommodating the main substrate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dehumidifier, A lower frame to be formed in order; A water tank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water tank room and collects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 unit; A guide chamber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on a side wall of the water tank in contact with the lower frame and opened upward; A floater accommodated in the guide chamber and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tank and having at least a part of magnetic property; And a plurality of sensors disposed on the lower frame facing the guide room and sensing a position of the plotter to transmit a signal to the main board.
Wherein the water tank is provided with a cover for shielding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And a rotatable handle is mounted on the cover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chamber.
And a coupling module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cover and passing through a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and being constrained to a coupling groove inside the water tank chamber.
And the cover is configured to cover the guide room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water tank.
And a room cover for shielding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guide room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oom.
And a bottom groove for collecting condensed water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chamber.
The plotter includes a magnetic body having magnetism and a fluid that receives the magnetic body and flow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and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luid body is incised so that the magnetic body can be identified.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integrally formed.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는,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가 장착되고, 다수의 센서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본체의 동작을 다르게 제어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ensors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by signal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이에 따라, 응축수의 수위가 다수의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서, 응축수의 넘침이 예방됨으로써, 제습기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condensate water level is sensed by a plurality of sensors, the overflow of the condensed water is prevented, so that the safety of the dehumidifier can be improved.
또한, 응축수의 넘침 예방으로 인해 제습기가 설치되는 공간의 오염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제습기가 설치되는 공간의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Also, it is possible to expect that the space in which the dehumidifier is installed is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due to the prevention of flooding of the condensed water, and the effect of keeping the environment of the space in which the dehumidifier is installed clean can be expected.
그리고, 응축수의 넘침 예방으로 인해 제습기의 오염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습기의 사용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Also,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and damage of the dehumidifier due to prevention of overflow of the condensed water, and it is expected that the service life of the dehumidifier is prolonged.
한편, 응축수의 넘침 예방으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제품의 활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expected by preventing the overflow of the condensed water,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expected.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외형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외형을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물탱크가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물탱크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플로터를 나타낸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물탱크가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line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shape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tank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ater tank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lotter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ater tank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외형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외형을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shape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shape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물탱크가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tank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습기(10)는 본체(20)에 의해 외형이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20)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패널(21)과, 전면 외관을 이루는 전면패널(22)과, 상기 전면패널(22)과 마주보는 면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상기 본체(20)의 외부 공기가 상기 본체(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입구(231)를 가지는 후면패널(23)과, 우측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측면패널(24)과,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figures, the
상기 본체(20)는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본체(2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20)를 원하는 공간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할 수 있는 상부핸들(26)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25)에는 사용자가 상기 상부핸들(26)을 파지하여 상기 본체(20)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이동의 용이성을 위한 바퀴(27)가 장착된다.An
상기 상부핸들(26)은 한쪽 끝 부분이 상기 전면패널(22)의 상단부와 상기 상면패널(21)의 전단부에 결합되고, 다른 쪽 끝 부분이 상기 후면패널(23)의 상단부와 상기 상면패널(21)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중앙부가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가지도록 대략 아치(arch)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One end of the
상기 상부핸들(26)이 상기 상면패널(21)과 상기 전면패널(22) 및 상기 후면패널(23)과 결합되면서, 아치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물론, 상기 상부핸들(26)의 형태가 상기와 같은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고, 다수 제공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Of course, the shape of the
다만, 상기 상부핸들(26)은 다음에 설명할 물탱크(30)의 탈착 방향으로 위치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고, 다수 제공되는 형태인 경우에도 동일 방향으로 제공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즉, 상기 물탱크(30)가 위치하는 방향의 상기 본체(20)에 상기 상부핸들(26)이 위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상부핸들(26)을 파지하여 상기 제습기(10)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상기 물탱크(30)의 수위를 확인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holds the
상기 본체(20)에는 외부 공간의 공기를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유입구(231)와,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토출구(211)가 형성될 수 있다.The
일 예로, 상기 유입구(231)는 상기 후면패널(23)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구(211)는 상기 상면패널(21)에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또한, 상기 토출구(211)는 상기 상면패널(21)에 형성되는 상기 토출구(211) 외에도 상기 후면패널(23)의 상반부에 제2토출구(232)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토출구(232)는 토출 악세사리가 결합되면서 토출 악세사리를 통해 제습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제2토출구(232)에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2토출구(232)를 개폐하기 위한 캡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캡에 의해 상기 제2토출구(232)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폐되고, 사용하게 될 경우 상기 캡을 이탈시켜 상기 제2토출구(232)를 개방시키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토출 악세사리는 신발의 건조를 위한 신발 건조 악세사리와, 옷장의 건조를 위한 옷장 건조 악세사리 등이 더 제공될 수 있다.The discharge accessory may further include a shoe drying accessory for drying the shoe, a closet drying accessory for drying the wardrobe, and the like.
상기 제2토출구(232)에 상기 토출 악세사리를 결합하게 되면, 상기 제2토출구(232)에서 토출되는 제습 공기가 상기 토출 악세사리에 의해 안내되면서, 원하는 공간의 공기를 제습하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When the discharging accessory is coupled to the second discharging
다만, 상기 유입구(231)와 상기 토출구(211)의 형태와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더라도 공기의 유입과 토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게 된다.However,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상기 상면패널(21)에는 상기 본체(20)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 제습된 공기가 외부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토출구(211)를 개폐함과 동시에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루버가 더 제공될 수 있다.The
상기 루버의 일측에는 상기 제습기(10)의 동작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제습기(10)의 동작 정보 또는 현재의 습도 상태 등을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The louver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unit for allowing a user to operate the
상기 조작부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습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습도를 설정하게 되면, 현재 습도와 설정 습도를 비교하여 다음에 설명할 압축기와 팬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The user can select the humidity desired by the user. When the user sets the desired humidity, the us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and the fan assembly,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by comparing the current humidity and the set humidity.
일 예로, 현재 습도가 사용자가 원하는 습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압축기의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팬 어셈블리의 팬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유지하거나 정지하도록 제어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current humidity reaches the humidity desired by the user,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is stopped, and the fan rotation speed of the fan assembly is controlled to be maintained at a low speed or stopped.
상기 후면패널(23)에 형성되는 상기 유입구(231)에는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상기 본체(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231)에는 상기 유입구(231)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공기필터(233)가 더 장착될 수 있다.The
상기 후면패널(23)에는 상기 제습기(10)가 설치되는 공간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234)가 더 장착되며, 상기 습도센서(234)에서 감지되는 습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후면패널(23)에는 상기 본체(20)의 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코드가 감기는 코드고정부(236)와 상기 파워코드가 임시로 삽입되는 코드삽입부(237)를 포함하는 파워코드부(235)가 형성된다.The
상기 파워코드부(235)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제습기(1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파워코드를 보관하기 용이한 장점을 가지게 되며, 상기 제습기(10)의 이동 시 상기 파워코드가 고정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불편함이 해소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When the
상기 유입구(231)에 장착되는 상기 공기필터(233)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유입구(231)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걸러주게 됨으로써, 상기 본체(20)의 내부 공간으로 이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공기만 유입될 수 있다.The
상기 공기필터(233)는 상기 본체(20)의 내측으로 인입/인출되면서 장착되고, 사용자는 상기 공기필터(233)를 인출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켜 다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후면패널(23)에는 상기 공기필터(233)의 인입/인출을 안내하는 필터가이드(238)가 더 형성된다. 상기 필터가이드(238)는 상기 유입구(231)가 형성되는 상기 후면패널(23)의 전면에 상기 유입구(231)와 일정 정도 이격된 상태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공기필터(233)는 상기 필터가이드(238)와 상기 유입구(231) 사이 간격을 통해 상기 본체(2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가이드(238)가 측방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필터가이드(238)에 의해 사용자가 부주의 또는 실수로 인해 상기 공기필터(233)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신체의 일부 또는 이물질을 삽입하더라도 상기 본체(2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The
상기 전면패널(22)과 상기 후면패널(23)의 하단부에는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25)가 장착되고, 상기 전면패널(22)과 상기 후면패널(23)의 우측 끝 부분에는 측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측면패널(24)이 장착될 수 있다.The
이때, 상기 전면패널(22)과 상기 후면패널(23)의 좌측 끝 부분에는 상기 전면패널(22)에서 상기 후면패널(23)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전면패널(22)의 일부와, 상기 후면패널(23)에서 상기 전면패널(22)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기 후면패널(23)의 일부가 결합되면서 상기 본체(20)의 좌측면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e left end of the
물론, 별도의 좌측패널이 제공되고, 이러한 좌측패널이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전면패널(22)과 상기 후면패널(23)의 좌측 끝 부분에 결합되면서 상기 본체(20)의 좌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Of course, a separate left panel is provided, which is coupled to the left end of the
상기 측면패널(24)의 하측에는 공기의 제습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물탱크(3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30)에 의해 상기 본체(20)의 측면 외관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A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본체(2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유입구(23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 교환되는 열교환 유닛(40)과, 상기 본체(20)의 내부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 어셈블리(50)가 장착된다.3, the internal space of the
그리고, 상기 열교환 유닛(40)과 상기 팬 어셈블리(50)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 유닛(40)과 상기 팬 어셈블리(50)를 지지하는 프레임(60)과, 상기 열교환 유닛(4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71)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압축실(70)와, 다수의 전장부품이 장착되는 전장실(80)과, 상기 물탱크(3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물탱크실(90)이 형성된다.A
상기 열교환 유닛(40)은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파이프가 다수 절곡되면서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면적과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이프의 사이를 상기 유입구(23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게 된다.The
상기 열교환 유닛(40)을 공기가 통과하면서 상기 열교환 유닛(4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가 열 교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제습 및 건조할 수 있게 된다.As the air passes through the
상기 열교환 유닛(40)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20)의 내부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팬 어셈블리(50)가 장착된다. 상기 팬 어셈블리(50)는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본체(20)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게 된다.A fan assembly (5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heat exchange unit (40) to force the air flow inside the main body (20). The
상기 유입구(23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팬 어셈블리(5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열교환 유닛(40)을 통과하여 상기 토출구(211)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유동하게 된다.The air flowing through the
상기 열교환 유닛(40)과 상기 팬 어셈블리(50)의 하측에는 상기 프레임(60)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프레임(60)의 상면에 의해 상기 열교환 유닛(40)과 상기 팬 어셈블리(50)가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프레임(60)은 상기 열교환 유닛(40)과 상기 팬 어셈블리(50)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61)과, 상기 상부프레임(61)의 하측 공간을 상기 압축실(70)과, 상기 전장실(80)과 상기 물탱크실(90)로 구획하는 하부프레임(6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상부프레임(61)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면에는 상기 팬 어셈블리(50)가 지지되는 부분과 상기 열교환 유닛(40)이 지지되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upper frame 61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be divided into a portion where the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61)에서 상기 열교환 유닛(40)이 지지되는 부분은 상기 열교환 유닛(40)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팬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A portion of the upper frame 61 where the
상세하게는, 상기 열교환 유닛(40)이 지지되는 부분의 상면은 일정 정도의 기울기를 가지면서 상기 열교환 유닛(40)에서 낙하하는 응축수가 일정 위치로 합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ion where the
상기 상부프레임(61)의 상면 기울기에 의해 상기 상부프레임(61)의 상면 일부에 합수되는 응축수는 상기 물탱크(30)의 상면으로 낙하되고, 상기 물탱크(30)로 낙하되는 응축수는 상기 물탱크(30)의 내부 공간으로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ndensed water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61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61 drops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이처럼, 상기 상부프레임(61)은 상면의 기울기에 의해 상기 열교환 유닛(40)에서 낙하하는 응축수가 합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30)로 낙하하도록 안내함으로써 드레인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upper frame 61 is formed so that the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상기 상부프레임(61)에 의해 상기 본체(20)의 내부 공간은 상부와 하부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하부프레임(62)에 의해 상기 본체(20)의 내부 공간 하반부는 상기 전장실(80)과, 상기 압축실(70)과, 상기 물탱크실(90)로 구분될 수 있다.The inner space of the
이때, 상기 전장실(80)과 상기 압축실(70)과 상기 물탱크실(90)은 가상의 직선상에 놓이도록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전장실(80)과 상기 압축실(70)과 상기 물탱크실(90)이 가상의 직선상에 놓이도록 일렬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본체(20)의 전체적 형상이 슬림하게 형성될 수 있어, 상기 제습기(10)의 심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하부프레임(62)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상의 프레임이 일정 정도의 간격을 가지면서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62)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프레임(61)에 지지되고,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25)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frame 62 may be provided in a pair while the plate-shaped frames having a certain thickness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a certain interval. The upper end of the lower frame 62 may be supported by the upper frame 61 and the lower end thereof may be supported by the
상기 하부프레임(62)은 상기 전면패널(22)과 상기 후면패널(2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전후 방향으로 가로질러 장착됨으로써, 상기 본체(20)의 내부 공간 하반부를 가로 방향으로 세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게 된다.The lower frame 62 is mounted transversely to the space formed by the
이러한 상기 상부프레임(61)과 상기 하부프레임(62)을 전방에서 보면, 대략 "∩"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측에는 상기 열교환 유닛(40)과 상기 팬 어셈블리(50)가 위치하고, 하측에는 상기 전장실(80)과 상기 압축실(70)과 상기 물탱크실(90)이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따라서, 상기 프레임(60)에 의해 상기 압축실(70)을 중앙으로 하여 상기 압축실(70)의 일측에는 상기 전장실(80)이 위치하게 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물탱크실(90)이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열교환 유닛(40)과 상기 팬 어셈블리(50)의 중앙부를 잇는 가상의 선과 상기 전장실(80)과 상기 압축실(70) 및 상기 물탱크실(90)을 잇는 가상의 선은 서로 교차 방향, 상세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refore, the
한편, 상기 압축실(70)에는 상기 열교환 유닛(4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71)가 장착된다. 상기 압축기(71)는 상기 열교환 유닛(40)으로 압축된 냉매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압축기(71)에서 공급되는 냉매가 상기 열교환 유닛(40)을 통과하면서 상기 유입구(23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열 교환하게 된다.Meanwhile, a
따라서, 상기 하부프레임(62)은 상기 압축기(71)의 상측과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압축기(71)를 보호하고 상기 전장실(80)과 상기 물탱크실(90)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ccordingly, the lower frame 62 is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and both sides of the
상기 전장실(80)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장실(80)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기판(81)이 장착되면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메인기판(81)을 보호하기 위한 컨트롤케이스(82)가 위치된다.A plurality of electric components can be mounted on the electric field chamber (80). For example, a
상기 컨트롤케이스(82)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그 내부 공간에 상기 메인기판(81)이 장착되고, 상기 메인기판(81)이 장착되면 컨트롤커버(83)에 의해 상기 컨트롤케이스(82)가 차폐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메인기판(81)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물탱크실(90)에는 상기 물탱크(30)가 장착된다. 상기 물탱크실(90)은 전방에서 볼 때, 일 측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상기 물탱크(30)가 상기 본체(20)의 측방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물탱크실(90)은 하면이 상기 베이스(25)에 의해 형성되고, 개방된 일 측면을 제외한 면은 상기 하부프레임(62)과 상기 전면패널(22) 및 후면패널(2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물탱크실(90)의 측면에는 상기 물탱크(30)에 장착되는 결합모듈(도 4의 35)의 끝 부분이 삽입되면서, 상기 물탱크(30)가 고정 장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모듈(35)의 일부가 상기 결합홈(9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물탱크(3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즉, 상기 결합홈(91)에 상기 결합모듈(35)의 일부가 삽입되면서 일정 정도의 외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물탱크(30)가 상기 물탱크실(90)에 고정 장착되고, 사용자에 의해 일정 정도의 외력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결합모듈(35)이 상기 결합홈(91)에서 이탈함으로써 상기 물탱크(30)가 상기 물탱크실(90)로부터 탈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if a certain amount of external force is not generated when a part of the
그리고, 상기 물탱크실(90)의 측면에는 상기 물탱크(30)를 사용자가 이탈시키거나 장착하게 될 때, 상기 결합홈(91)으로 상기 결합모듈(35)의 일부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95)가 더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상기 안내부(95)는 상기 물탱크실(90)의 측면에서 측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일정 정도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모듈(35)의 일부를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안내부(95)는 일정 정도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모듈(35)의 이동을 안내하거나, 일정 정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모듈(35)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본체(20)의 내부를 전방에서 보면, 상기 프레임(60)에 의해 상기 압축기(71)의 상부와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압축기(71)를 기준으로 상기 압축기(71)의 양 측방으로 상기 전장실(80)과 상기 물탱크실(90)이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프레임(60)에 의해 상기 압축기(71)의 상부와 양 측부를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압축기(71)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The frame (60) is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and both sides of the compressor (71), thereby reducing the noise generated in the compressor (71).
상기 열교환 유닛(40)과 상기 팬 어셈블리(50)는 상기 후면패널(23)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게 되고, 하단부가 상기 상부프레임(61)에 의해 지지되면서 고정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이때, 상기 유입구(231)와 가까운 위치에 상기 열교환 유닛(40)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열교환 유닛(40)의 다른 측에 상기 팬 어셈블리(50)가 위치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물탱크실(90)의 하면 즉, 상기 물탱크(3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상기 베이스(25)의 상면에는 상기 물탱크(30)가 이탈된 상태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수용하기 위한 베이스홈(25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5 supporting the
상기 베이스홈(251)은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면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물탱크(30)가 이탈된 상태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집수함으로써 응축수가 상기 본체(2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이처럼, 상기 베이스홈(251)에 의해 응축수가 상기 본체(20)의 외부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제습기(10)의 사용 편의성이 더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Thus, the use of the
그리고, 상기 본체(20)의 외부 공간으로 응축수의 누설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본체(20)의 외부 공간으로 응축수가 누설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실내 공간의 각종 오염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안전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The condensed water is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er space of the
상기 본체(20)로의 외부로 응축수 누설이 방지됨으로써, 사용자가 응축수 누설에 의한 청소 등에 사용되는 시간을 활용할 수 있어 시간 활용성이 향상되고, 사용자 신체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The leakage of the condensed water to the outside of the
상기 본체(20)의 측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물탱크(30)의 일면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베이스(25)의 측면에는 데코패널(252)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데코패널(25)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베이스(25)의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20)의 측면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A
상기 데코패널(252)은 상기 베이스(25)의 측면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25)의 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데코패널(252)의 상단부 테두리 부분에는 상기 물탱크(30)의 하단부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리브(253)가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물탱크(30)의 하단부 테두리 부분에는 상기 제한리브(253)와 대응되는 형태의 단차부(3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317)는 상기 물탱크(30)의 하단부 테두리 부분이 내부 공간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 stepped
이러한 단차부(317)에 상기 제한리브(253)가 형합되어 상기 물탱크(30) 하반부의 측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물탱크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플로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ater tank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floater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습기의 물탱크가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다.7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tank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측면패널(24)의 하측에는 상기 물탱크(30)가 장착되면서 상기 본체(20)의 측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물탱크(30)는 상기 후면패널(23)에 대하여 측방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상기 물탱크(30)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물탱크(30)에 수용되는 물의 양을 다른 방법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일 예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물탱크(30)가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물탱크(30)의 무게를 감지하여 무게 변화에 따라 수위를 예측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25)에 상기 물탱크(30)의 무게 감지를 위한 무게 센서 등이 장착되어야 함은 물론이다.In this case, a weight sensor or the like for sensing the weight of the
한편, 상기 물탱크(30)는 상면이 개방되면서 내부 공간에 상기 열교환 유닛(4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32)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32)와 상기 케이스(31)의 선택적 결합과, 상기 본체(20)와 상기 케이스(31)의 선택적 결합을 위한 결합모듈(3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케이스(31)는 상기 본체(20)의 외면 일부를 형성하는 면이 상기 측면패널(24)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면패널(24)의 하측 부분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e
또한, 상기 커버(32)는 상기 케이스(31)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두 개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32)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탱크손잡이(321)가 장착될 수 있다. The
상기 물탱크(30)의 외면 일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물탱크(30)를 탈착하고자 할 때, 상기 탱크손잡이(321)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파지홈(322)이 형성될 수 있다.A
상기 파지홈(322)에 의해 상기 물탱크(30)의 청소 또는 비움 시 사용자의 신체 일부인 손이 위치하게 되고, 이러한 사용자의 손이 상기 파지홈(322)에 수용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When the
그리고, 상기 파지홈(322)에 사용자의 손이 위치됨으로써 상기 물탱크(3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응축수를 비우기에도 용이한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Also, since the hand of the user is located in the
상기 커버(32)는 적어도 두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커버(32)는 상기 케이스(31)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커버(33)와, 상기 결합커버(3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수커버(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배수커버(34)는 상기 결합커버(33)와의 체결 부분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상기 케이스(31)의 상면 일부를 개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31)의 상면 다른 일부가 상기 결합커버(33)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즉,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3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응축수를 비우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탱크손잡이(321)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물탱크(30)를 기울이게 되면, 상기 배수커버(34)가 상기 결합커버(33)에 대하여 회동하면서 상기 물탱크(30)의 상면 일부를 개방하게 되고, 개방된 상면 일부를 통해 응축수가 배수됨으로써 상기 물탱크(30)의 내부 공간을 비울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desires to empty the condensed water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배수커버(34)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물탱크(30)의 상면 일부를 개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결합커버(33)를 상기 케이스(31)의 상단부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물탱크(30)의 상면 전체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user can ope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배수커버(34)의 상면에는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면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 유닛(40)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합수하는 상기 상부프레임(61)에서 유동하는 응축수를 상기 케이스(31)의 내부 공간으로 안내하는 응축수안내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ndensing water flowing in the upper frame (61), which is condensed downwardly and has a predetermined area, is conden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ain cover (34) And a condensed water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condensed water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denser.
상기 응축수안내부는 일정 정도의 면적으로 상기 배수커버(34)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안내부가 상기 배수커버(34)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그 바닥면은 상기 케이스(31)의 내부 공간 측면 방향으로 일정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측에서 낙하하는 응축수가 수집되면서 상기 응축수안내부(341)의 경사에 의해 유동하여 상기 케이스(31)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ndensed water guide portion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때, 응축수가 유동하는 방향의 상기 응축수안내부의 측면은 개방됨으로써 응축수가 유동하여 상기 케이스(31)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ide surface of the condensed water guide por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densed water flows is opened to guide the condensed water to flow into the inner space of the
상기 응축수안내부의 상측에는 상기 열교환 유닛(40)이 지지되는 상기 상부프레임(61)이 위치되고, 드레인팬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 상기 응축수안내부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열교환 유닛(40)에서 낙하하는 응축수가 상기 상부프레임(61)을 거쳐 합수되면서 상기 응축수안내부로 유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frame 61 on which the
즉, 상기 상부프레임(61)의 상면 기울기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합수되는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안내부로 낙하하면서 상기 응축수안내부의 경사에 의해 유동하여 상기 케이스(31)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물탱크(30)의 내부 공간에 집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condensed water flow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61 flows down to the condensed water guide portion and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제습기(10)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for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상기 물탱크(30)와 상기 물탱크실(90)에는 상기 물탱크(30)에 수용되는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센서를 살펴보면, 상기 물탱크(30)의 수위에 따라 이동하는 플로터(311)와, 상기 플로터(311)에 의해 상기 물탱크(30)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92)와, 상기 플로터(311)에 의해 상기 물탱크(30)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안전센서(9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플로터(311)는 상기 물탱크(3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물탱크(3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플로터(311)는 상기 물탱크(3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이를 살펴보면, 상기 물탱크(30)에는 상기 플로터(311)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모듈(314)이 제공된다. 상기 안내모듈(314)은 상기 물탱크(30)의 내부 공간 일 측면에 위치하면서, 상기 플로터(311)의 이동을 공간적으로 제한하여 상기 플로터(311)가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상기 안내모듈(314)은 상기 플로터(311)가 상기 물탱크(30)의 내부 공간 일 측면에 위치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가이드룸(315)과, 상기 가이드룸(315)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상기 플로터(311)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룸커버(3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가이드룸(315)은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일 측면은 상기 물탱크(30)의 내부 공간 측면에 의해 형성되고, 하면과 다른 측면을 가지면서 상면이 개방되는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가이드룸(315)은 상기 케이스(31)의 내부 공간에 상기 케이스(31)의 내부 공간과 분리되도록 일정 정도의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룸(315)의 내부 공간은 상기 케이스(3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상세하게는, 상기 가이드룸(315)의 하면 일부와 측면 일부는 상기 플로터(311)가 이탈되지 않는 범위의 면적만큼 절제되어, 상기 물탱크(3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응축수가 자유롭게 상기 가이드룸(315)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상기 가이드룸(315)의 내부 공간으로 응축수가 유입되면, 응축수에 의해 상기 플로터(311)가 상기 가이드룸(315)의 내부 공간에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룸(315)의 내부 공간에서 응축수가 배출되면, 상기 플로터(311)는 상기 가이드룸(315)의 내부 공간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condensed water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즉, 상기 가이드룸(315)의 내부 공간이 상기 케이스(3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케이스(3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응축수가 상기 가이드룸(315)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플로터(311)는 상기 가이드룸(315)의 내부 공간에서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internal space of the
그리고, 상기 가이드룸(315)이 상기 물탱크(30)의 내부 공간과 분리되는 공간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플로터(311)의 유동을 제한하면서 안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상기 플로터(311)는 상기 가이드룸(315)의 내부 공간에서만 유동하게 되므로, 상기 가이드룸(315)은 상기 플로터(311)의 이동을 공간적으로 제한하면서, 상기 플로터(311)의 상하 방향 유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상기 가이드룸(315)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룸(315)의 개방된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상기 룸커버(316)가 장착되면서 상기 플로터(311)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플로터(311)의 상기 가이드룸(315)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플로터(311)는 자성을 가지는 자성체(312)와, 상기 자성체(312)를 수용하고,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유동 가능한 유동체(31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상기 자성체(312)는 일정 정도의 부피를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자체 자성을 가지는 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유동체(313)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내부 공간에 상기 자성체(312)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유동체(313)의 외면은 일정 정도 절개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유동체(313)의 내부 공간에 상기 자성체(312)가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outer surface of the fluid 313 may be formed in a partially incised state. This is to make it easy to visually identify whether or not the
즉, 제품의 조립 등이 진행될 때 상기 유동체(313)의 내부 공간에 상기 자성체(312)를 수용하지 않는 실수를 예방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상기 자성체(312)의 수용 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유동체(313)의 일부가 절개되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in order to prevent the mistake of not accommodating the
물론, 상기 유동체(313)의 일부가 투명 소재로 이루어지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며,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자성체(312)의 수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Of course, a part of the fluid 313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그리고, 상기 자성체(312)의 높이는 상기 유동체(313)의 내부 공간 상하 방향 높이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자성체(312)가 상기 유동체(313)의 내부 공간에서 임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height of the
한편, 상기 물탱크실(90)의 일 측면, 상세하게는 상기 가이드룸(315)과 마주보는 상기 물탱크실(90)의 일 측면에는 상기 감지센서(92)와 상기 안전센서(93)가 장착될 수 있다. The
상기 감지센서(92)는 상기 플로터(311)의 자성 상세하게는, 상기 자성체(312)의 자성에 반응하면서 상기 플로터(311)의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상기 감지센서(92)는 상기 플로터(311)가 감지되면, 상기 물탱크(30)의 내부 공간에 응축수가 일정 수위까지 도달한 상황으로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에 의해 상기 제습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상기 물탱크(3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응축수를 비우도록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The
상기 안전센서(93)는 상기 감지센서(92)와 동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감지센서(92)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안전센서(93)는 상기 물탱크(30)의 응축수 수위의 만수위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다시 말해, 상기 안전센서(93)에서 상기 플로터(311)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탱크(30)의 응축수 수위를 만수위로 판단하여 상기 본체(20)의 동작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상기 감지센서(92)에서 상기 플로터(311)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컨트롤패널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물탱크(30)의 수위가 높음을 알리고, 상기 물탱크(30)의 응축수를 비우도록 알려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이때, 상기 컨트롤패널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물탱크(30)의 비움을 알려주기 위한 램프 또는 스피커 등이 더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램프는 수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점등되거나, 점등과 소등이 반복적으로 동작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trol panel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lamp or a speaker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emptying of the
또한, 상기 안전센서(93)에서 상기 플로터(311)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패널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물탱크(30)의 수위가 만수위임을 알리고, 상기 본체(20)의 동작을 종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물론, 상기 안전센서(93)에서 상기 플로터(311)가 감지되더라도 상기 본체(20)의 동작을 종료하지 않고, 상기 압축기(71) 또는 팬어셈블리(50)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열교환 유닛(40)에서 실질적으로 응축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The operation of the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92)는 다수 제공되어 상기 플로터(311)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다수의 단계로 상기 물탱크(30)의 수위를 감지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A plurality of the
이처럼, 다수의 상기 센서(92,93)들은 상기 플로터(311)와 반응하여 상기 플로터(311)의 위치에 따라 상기 물탱크(30)의 수위를 감지하게 되고, 다수의 상기 센서(92,93)에서 감지되는 감지신호는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며,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센서(92,93)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20)가 다른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다시 말해, 상기 감지센서(92)에서 상기 플로터(311)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패널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물탱크(30)에 수용되는 응축수를 비우도록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상기 신호는 음성, 영상, 색상 신호 등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패널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본체(20)의 동작을 종료시킨 후 상기 물탱크(30)의 응축수를 비우게 된다.The signal may be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to a user through voice, image, color signal, etc., and the user may terminate the operation of the
또한,상기 안전센서(93)에서 상기 플로터(311)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패널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본체(20)의 동작 종료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물론, 상기 본체(20)의 다른 부품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서, 실질적으로 응축수를 발생시키는 부품 즉, 일 예로 상기 압축기(71)와 상기 열교환 유닛(40)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응축수의 생성을 방지하여 상기 물탱크(30)의 내부로 응축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Of course, the other components of the
다만, 어떠한 경우라도 상기 물탱크(30)에 수용되는 응축수를 사용자가 비울 수 있도록 알려주기 위하여 상기 본체(20)를 동작시키거나, 응축수의 생성이 방지되도록 상기 본체(20)를 동작시키는 구성이 바람직할 것이다.However, in any case, there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이처럼, 상기 센서(92,93)가 다수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습기(10)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각각의 상기 센서(92,93)에서 감지되는 상기 플로터(311)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습기(1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동작으로 상기 제습기(10)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safety of the
그리고, 다수의 상시 센서(92,93)에 의한 신호에 따라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various controls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본체(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본체(2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이 동작하게 되고, 이러한 다수의 부품이 동작함으로써 상기 열교환 유닛(40)의 표면에서 응축수가 상기 물탱크(30)로 낙하하여 상기 물탱크(3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When power is applied to the
상기 본체(20)의 계속적인 운전에 의해 상기 물탱크(3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응축수의 수위는 상승하게 되고, 응축수의 수위 상승에 의해 상기 물탱크(3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룸(315)의 수위도 상승하게 된다.The water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receiv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상기 가이드룸(315)의 수위 상승으로 인해 상기 가이드룸(315)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플로터(311)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플로터(311)가 응축수에 의해 일정 정도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92)가 상기 플로터(311)를 감지하게 된다.The
상기 감지센서(92)가 상기 플로터(311)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92)는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92)의 신호에 따라 상기 컨트롤패널로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When the
상기 컨트롤패널에서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물탱크(30)의 비움 또는 경고 알림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컨트롤패널의 신호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본체(20)의 동작을 정지한 다음 상기 물탱크(30)를 비우게 된다.The control panel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emptying or warning the
물론,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센서(92)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본체(20) 또는 상기 본체(20)에 장착되는 일부 부품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Of course,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signal from the
한편, 상기 감지센서(92)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컨트롤패널을 통해 비움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되더라도 사용자가 상기 물탱크(30)를 비우지 않게 되면, 상기 물탱크(30)의 수위는 더욱 상승하게 된다.If the user does not empty the
이때, 상기 플로터(311)는 응축수의 수위 상승에 따라 더욱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플로터(311)의 상방 이동에 의해 상기 안전센서(93)가 상기 플로터(311)를 감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안전센서(93)가 상기 플로터(311)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안전센서(93)는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상기 안전센서(93)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20)의 동작을 종료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When the
물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본체(20)에 장착되는 일부 부품들의 동작을 종료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본체(20)의 내부 공간에서의 응축수 발생을 제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generation of condensed water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이때에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패널을 통해 상기 물탱크(30)의 수위가 만수위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물탱크(30)의 만수위를 인지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물탱크(30)를 비우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also transmits a signal through the control panel to inform the user that the water level of the
상기 안전센서(93)에서 감지되는 수위에 의해 상기 제습기(10)의 동작을 강제 종료하도록 제어됨으로써 상기 제습기(10)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The safety of the
그리고, 상기 안전센서(93)는 상기 감지센서(92)가 비정상 상태일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제어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며, 상기 감지센서(92)가 정상 상태일 경우에도 상기 물탱크(30)의 만수위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Also, the
또한, 상기 물탱크(30)가 장착되는 공간에는 상기 물탱크(30)를 향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9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94)는 엘이디(LED) 조명 또는 알지비(RGB) 방식의 발광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상기 발광부(94)에서 상기 물탱크(30)로 빛을 발산하게 되면, 사용자는 외부에서 상기 물탱크(30)의 현재 수위를 원활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When the light is emitted from the
상기 물탱크(30)가 장착되는 공간에는 상기 발광부(94)에서 발산되는 빛을 안내하는 빛가이드가 더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빛가이드에 의해 상기 발광부(94)에서 발산되는 빛이 상기 물탱크(30)로 잘 조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 light guide for guiding light emitted from the
상기 발광부(94)가 엘이디 조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물탱크(30)의 수위에 따라 빛의 세기를 제어함으로써, 외부에서 빛의 세기를 확인하여 상기 물탱크(3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상기 발광부(94)가 알지비 방식으로 빛을 발산하도록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물탱크(30)의 수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빛을 발산함으로써, 외부에서 빛의 색상을 확인하여 상기 물탱크(3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일 예로, 상기 물탱크(30)의 수위가 저 수위인 경우에는 녹색 빛깔의 빛을 발산하고, 상기 물탱크(30)의 수위가 중 수위인 경우에는 파란색 빛깔의 빛을 발산하며, 상기 물탱크(30)의 수위가 고 수위인 경우에는 붉은색 빛깔의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발광부(94)에서 발산되는 빛을 확인하여 상기 물탱크(30)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이와 같이, 상기 발광부(94)에서 발산되는 빛에 의해 상기 물탱크(3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습기(10)의 사용 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ter level of the
상기 베이스(25)의 하측에는 상기 제습기(10)의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기 바퀴(27)가 장착되고, 상기 바퀴(27)에 의해 상기 제습기(10)의 이동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는, 안전성이 향상되면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safety of the dehumidifier is improved and the ease of use is improved.
이러한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는 상기 제습기의 생산 및 제조, 판매를 위한 산업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Due to these various merits,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not only for the production, manufacture and sale of the dehumidifier but also for various related industries.
10. 제습기 20. 본체
21. 상면패널 22. 전면패널
23. 후면패널 231. 유입구
232. 제2토출구 233. 공기필터
234. 습도센서 235. 파워코드부
25. 베이스 26. 상부핸들
27. 바퀴 30. 물탱크
31. 케이스 311. 플로터
312. 자성체 313. 유동체
314. 안내모듈 315. 가이드룸
316. 룸커버 317. 단차부
32. 커버 321. 탱크손잡이
322. 파지홈 33. 결합커버
34. 배수커버 341. 응축수안내부
35. 결합모듈 351. 결합로드
352. 제1로드 353. 제2로드
354. 탄성체 40. 열교환 유닛
50. 팬 어셈블리 60. 프레임
70. 압축실 80. 전장실
90. 물탱크실 91. 결합홈
92. 감지센서 93. 안전센서
94. 발광부 95. 안내부10.
21.
23.
232.
234.
25.
27.
31.
312.
314.
316.
32.
322. Retaining
34. Drain cover 341. Condensate water guide
35. Coupling module 351. Coupling rod
352. First load 353. Second load
354.
50.
90.
92.
94.
Claims (11)
상기 열교환 유닛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면에서 상기 본체의 하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개구되는 물탱크실과, 압축기가 수용되는 압축기실, 제습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기판이 수용되는 전장실이 동일 연장선상에 차례로 형성되도록 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물탱크실에 탈착되며, 상기 열교환유닛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집수되는 물탱크;
상기 하부 프레임과 접하는 상기 물탱크의 측벽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가이드룸;
상기 가이드룸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물탱크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되며, 적어도 일부가 자성을 가지는 플로터; 및
상기 가이드룸과 마주보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플로터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메인기판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제습기.A main body in which a heat exchange unit is provided in an inner space;
An upper frame supporting the heat exchange unit;
A water tank chamber exten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to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 compressor chamber accommodating the compressor, and a main chamber accommodating the main substrate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dehumidifier, A lower frame to be formed in order;
A water tank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water tank room and collects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 unit;
A guide chamber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on a side wall of the water tank in contact with the lower frame and opened upward;
A floater accommodated in the guide chamber and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ater tank and having at least a part of magnetic property; And
And a plurality of sensors disposed vertically on the lower frame facing the guide room and sensing a position of the plotter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main board.
상기 물탱크에는 상기 물탱크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에는 회동 가능한 손잡이가 상기 물탱크실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tank is provided with a cover for shielding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And a rotatable handle is mounted on the cover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chamber.
상기 커버의 양측에서 돌출되며, 상기 물탱크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물탱크실 내측의 결합홈에 구속되는 결합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coupling module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cover and penetrating a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and being constrained to a coupling groove inside the water tank chamber.
상기 커버는 상기 물탱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룸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cover is configured to cover the guide room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water tank.
상기 가이드룸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룸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룸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oom cover for shielding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guide room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oom.
상기 물탱크실의 바닥에는 응축수의 집수를 위한 베이스 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ase groove for collecting condensed water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chamber.
상기 플로터는,
자성을 가지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를 수용하며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유동되는 유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체의 외면 일부는 상기 자성체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otter includes:
A magnetic body having magnetism,
And a fluid that receives the magnetic material and flow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condensed water,
And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luid is cut so that the magnetic body can be identified.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integrally formed.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510138125.5A CN104949215B (en) | 2014-03-31 | 2015-03-26 | Dehumidifier |
EP15161875.8A EP2927617B1 (en) | 2014-03-31 | 2015-03-31 | Dehumidifier |
US14/674,184 US20150276241A1 (en) | 2014-03-31 | 2015-03-31 | Dehumidif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8279 | 2014-03-31 | ||
KR20140038279 | 2014-03-3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3789A KR20150113789A (en) | 2015-10-08 |
KR101662888B1 true KR101662888B1 (en) | 2016-10-06 |
Family
ID=54346656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4035A Active KR101597038B1 (en) | 2014-03-31 | 2014-07-04 | Dehumidifier |
KR1020140091352A Active KR101662888B1 (en) | 2014-03-31 | 2014-07-18 | dehumidifier |
KR1020140094289A Active KR102069875B1 (en) | 2014-03-31 | 2014-07-24 | Dehumidifier |
KR1020140094291A Active KR102125092B1 (en) | 2014-03-31 | 2014-07-24 | Dehumidifier |
KR1020140093698A Active KR101680425B1 (en) | 2014-03-31 | 2014-07-24 | Dehumidifier |
KR1020140097966A Active KR101662891B1 (en) | 2014-03-31 | 2014-07-31 | dehumidifier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4035A Active KR101597038B1 (en) | 2014-03-31 | 2014-07-04 | Dehumidifier |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4289A Active KR102069875B1 (en) | 2014-03-31 | 2014-07-24 | Dehumidifier |
KR1020140094291A Active KR102125092B1 (en) | 2014-03-31 | 2014-07-24 | Dehumidifier |
KR1020140093698A Active KR101680425B1 (en) | 2014-03-31 | 2014-07-24 | Dehumidifier |
KR1020140097966A Active KR101662891B1 (en) | 2014-03-31 | 2014-07-31 | dehumidif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6) | KR10159703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7202007A1 (en) * | 2017-02-08 | 2018-08-09 | E.G.O. Elektro-Gerätebau GmbH | Apparatus for dehumidifying, electrical appliance with such a device and method for dehumidifying |
KR101954633B1 (en) * | 2017-02-28 | 2019-03-06 | 주식회사 위닉스 | Dehumidifier |
KR102155300B1 (en) * | 2018-01-24 | 2020-09-14 | 대한민국 | Portable condensing apparatus for vapor from wood drying |
CN110319518A (en) * | 2019-07-26 | 2019-10-11 | 佛山科学技术学院 | A kind of removable water tank and its air cooler |
KR102539750B1 (en) * | 2021-03-12 | 2023-06-02 |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and water pail of the same |
CN114087677B (en) * | 2021-12-07 | 2024-12-20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 dehumidifier |
US20250101662A1 (en) * | 2022-01-28 | 2025-03-27 | Lg Electronics Inc. |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
KR102538127B1 (en) | 2022-11-14 | 2023-05-31 |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 Dehumdifying apparatus |
KR102538124B1 (en) | 2022-11-14 | 2023-05-31 |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 Dehumidifier that secures improved dehumidification amount by reducing wind los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11391A (en) | 1998-10-06 | 2000-04-18 | Sharp Corp | Level detecting device with container-loading-and- unloading detecting function and dehumidifier |
JP2007183191A (en) * | 2006-01-10 | 2007-07-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Water level detector of air dryer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91148A (en) * | 1983-10-26 | 1985-05-22 | Hitachi Ltd | Compressor mounting structure of dehumidifier |
JPS6062537A (en) * | 1984-07-30 | 1985-04-10 | Hitachi Ltd | Cabinet structure of dehumidifier |
KR0115552Y1 (en) * | 1994-01-15 | 1998-04-18 | 김광호 | Dehumidifier collection device |
JP2940786B2 (en) * | 1994-02-28 | 1999-08-25 | 三洋電機株式会社 | Dehumidifier |
JP3924712B2 (en) * | 2000-02-17 | 2007-06-06 | 三菱電機株式会社 | Dehumidifier |
JP2002103904A (en) * | 2000-10-02 | 2002-04-09 | Citizen Electronics Co Ltd | Auxiliary device for movement of air conditioner |
JP2002162066A (en) * | 2000-11-20 | 2002-06-07 | Fujitsu General Ltd | Dehumidifier |
KR100428209B1 (en) * | 2000-12-28 | 2004-04-3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evice for confirming flow rate of cooling water in radiator reservoir tank |
KR20020096310A (en) * | 2001-06-19 | 2002-12-31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water level sensing device of dehumidifier |
KR20060129678A (en) * | 2005-06-13 | 2006-12-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ehumidifier |
JP4609205B2 (en) * | 2005-07-04 | 2011-01-12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Dehumidifier |
KR101233197B1 (en) * | 2006-01-24 | 2013-0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ehumidifier |
JP4997803B2 (en) * | 2005-12-06 | 2012-08-0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Dehumidifier |
JP4516037B2 (en) * | 2006-03-08 | 2010-08-04 | シャープ株式会社 | Air conditioner |
JP4876637B2 (en) * | 2006-03-08 | 2012-02-15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Dehumidifier |
KR20080036310A (en) * | 2006-10-23 | 2008-04-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ter level detection means of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JP5380776B2 (en) * | 2007-02-20 | 2014-01-0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Dehumidifier drain tank |
JP6089204B2 (en) * | 2012-07-06 | 2017-03-0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Humidifier |
KR20140027809A (en) * | 2012-08-27 | 2014-03-07 | 코웨이 주식회사 | Dehumidifier |
-
2014
- 2014-07-04 KR KR1020140084035A patent/KR101597038B1/en active Active
- 2014-07-18 KR KR1020140091352A patent/KR101662888B1/en active Active
- 2014-07-24 KR KR1020140094289A patent/KR102069875B1/en active Active
- 2014-07-24 KR KR1020140094291A patent/KR102125092B1/en active Active
- 2014-07-24 KR KR1020140093698A patent/KR101680425B1/en active Active
- 2014-07-31 KR KR1020140097966A patent/KR10166289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11391A (en) | 1998-10-06 | 2000-04-18 | Sharp Corp | Level detecting device with container-loading-and- unloading detecting function and dehumidifier |
JP2007183191A (en) * | 2006-01-10 | 2007-07-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Water level detector of air dry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3793A (en) | 2015-10-08 |
KR20150113789A (en) | 2015-10-08 |
KR20150113792A (en) | 2015-10-08 |
KR20150113791A (en) | 2015-10-08 |
KR102125092B1 (en) | 2020-06-19 |
KR20150113794A (en) | 2015-10-08 |
KR102069875B1 (en) | 2020-01-23 |
KR20150113788A (en) | 2015-10-08 |
KR101597038B1 (en) | 2016-03-07 |
KR101680425B1 (en) | 2016-11-28 |
KR101662891B1 (en) | 2016-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2888B1 (en) | dehumidifier | |
EP2927617B1 (en) | Dehumidifier | |
US10082302B2 (en) | Dehumidifier | |
KR102069074B1 (en) | Dehumidifier | |
KR102556967B1 (en) | Dehumidifier | |
EP2942581B1 (en) | Dehumidifier and water tank for dehumidifier | |
US9879878B2 (en) | Dehumidifier | |
KR20170038225A (en) | Dehumidifier | |
JP7508886B2 (en) | Dehumidifier | |
KR20170058100A (en) | Air conditioning device | |
KR20140027809A (en) | Dehumidifier | |
KR20170105220A (en) | Air washer | |
KR100829101B1 (en) | dehumidifier | |
KR102463802B1 (en) | Dehumidifier | |
KR102211114B1 (en) | Dehumidifier | |
KR102400752B1 (en) | Apparatus for dehumidification or humidification | |
KR20010077923A (en) | An Air conditioner | |
KR100781636B1 (en) | dehumidifier | |
KR100829190B1 (en) | Dehumidifier and its operation method | |
KR20030024267A (en) | A water tank's briming perception apparatus for the dehumidifier | |
JP2005218896A (en) | Dehumidif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6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