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703B1 -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독출 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독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2703B1 KR101662703B1 KR1020100054498A KR20100054498A KR101662703B1 KR 101662703 B1 KR101662703 B1 KR 101662703B1 KR 1020100054498 A KR1020100054498 A KR 1020100054498A KR 20100054498 A KR20100054498 A KR 20100054498A KR 101662703 B1 KR101662703 B1 KR 1016627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ing node
- voltage
- precharge
- control signal
- memory ce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08—Address circuits; Decoders; Word-line control circui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26—Sensing or reading circuits; Data output circu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4—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 G11C16/0483—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comprising cells having several storage transistors connected in seri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0—Power supply circui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페이지 버퍼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페이지 버퍼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독출 동작의 제1 실시예을 나타내는 타이밍도(Timing diagram)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독출 동작의 제2 실시예을 나타내는 타이밍도(Timing diagram)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독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Flowchart)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독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Flowchart)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팅 시스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는 메모리 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30, 230: 센싱 노드 전압 제어부
121_0 ~ 121_m, 221_0 ~ 221_m, 300, 400: 페이지 버퍼
223_0 ~ 223_m, 310, 410: 비트라인 연결부
225_0 ~ 225_m, 320, 420: 프리차지부
227_0 ~ 227_m, 330, 430: 데이터 입출력부
Claims (10)
- 복수 개의 메모리 셀들을 구비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
프리차지 전압 및 센싱 노드 전압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센싱 노드 전압 제어부; 및
상기 프리차지 전압 및 상기 센싱 노드 전압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와 복수 개의 비트라인들을 통해 연결되는 페이지 버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페이지 버퍼부는,
상기 복수 개의 비트라인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페이지 버퍼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페이지 버퍼들 각각은,
대응되는 비트라인과 센싱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센싱 노드 전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센싱 노드의 전압을 제어하는 비트라인 연결부;
상기 센싱 노드에 연결되고, 프리차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받은 프리차지 전압에 따라 상기 센싱 노드를 프리차지(precharge)하는 프리차지부; 및
래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센싱 노드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여 선택된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결정하고, 입출력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데이터 입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싱 노드 전압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센싱 노드의 프리차지 동작 이후에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센싱하기 전에, 상기 센싱 노드의 전압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노드 전압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센싱 노드의 프리차지 동작 이후에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센싱하기 전에 상기 센싱 노드에 연결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 연결부는,
상기 대응되는 비트라인과 상기 센싱 노드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고,
상기 센싱 노드에 직접 연결되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은, 상기 센싱 노드의 프리차지 동작 이후에 부스팅(boost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노드에 직접 연결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는, 프리차지 구간에서는 제1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데이터 센싱 구간에서는 제2 전원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제2 전원 전압은, 상기 제1 전원 전압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지부는,
제1 단자에는 상기 프리차지 전압이 인가되고, 제2 단자는 상기 센싱 노드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에는 상기 프리차지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프리차지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지 전압은, 상기 비트라인 연결부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 복수 개의 메모리 셀들을 구비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및 페이지 버퍼부를 구비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독출 방법에 있어서,
워드라인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 셀에 연결된 비트라인과 상기 페이지 버퍼부의 센싱 노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프리차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센싱 노드를 프리차지(precharge)하는 단계;
상기 센싱 노드에 연결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을 부스팅 전압(boosting voltage)으로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에 연결된 비트라인과 상기 페이지 버퍼부의 센싱 노드를 전기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센싱 노드의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독출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노드에 연결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에는, 프리차지 구간에서는 제1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데이터 센싱 구간에서는 제2 전원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제2 전원 전압은, 상기 제1 전원 전압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독출 방법. - 복수 개의 메모리 셀들을 구비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및 페이지 버퍼부를 구비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독출 방법에 있어서,
워드라인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 셀에 연결된 비트라인과 상기 페이지 버퍼부의 센싱 노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프리차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센싱 노드를 프리차지(precharge)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에 연결된 비트라인과 상기 페이지 버퍼부의 센싱 노드를 전기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센싱 노드의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독출 방법은 센싱 노드의 커패시턴스를 이용하여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센싱하는 벨로시 독출 방법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독출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노드를 프리차지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노드를 전원 전압보다 큰 고전압으로 프리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독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4498A KR101662703B1 (ko) | 2010-06-09 | 2010-06-09 |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독출 방법 |
US13/155,462 US8593867B2 (en) | 2010-06-09 | 2011-06-08 | Flash memory device and read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4498A KR101662703B1 (ko) | 2010-06-09 | 2010-06-09 |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독출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4748A KR20110134748A (ko) | 2011-12-15 |
KR101662703B1 true KR101662703B1 (ko) | 2016-10-14 |
Family
ID=45096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4498A Active KR101662703B1 (ko) | 2010-06-09 | 2010-06-09 |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독출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593867B2 (ko) |
KR (1) | KR10166270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36533A (ko) * | 2011-06-09 | 2012-12-20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반도체 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
KR20140013401A (ko) * | 2012-07-23 | 2014-02-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메모리 장치, 메모리 시스템 및 상기 메모리 장치의 독출 전압의 제어 방법 |
KR102544136B1 (ko) * | 2016-03-08 | 2023-06-16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KR102662026B1 (ko) | 2016-09-30 | 2024-05-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트립 전압의 변화를 보상하는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읽기 방법 |
KR102662764B1 (ko) * | 2016-11-17 | 2024-05-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페이지 버퍼,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독출 방법 |
CN107437427B (zh) * | 2017-08-07 | 2020-06-23 | 上海兆芯集成电路有限公司 | 读取电路和读取方法 |
KR102303763B1 (ko) | 2017-10-23 | 2021-09-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JP7309923B2 (ja) * | 2019-12-09 | 2023-07-18 | 長江存儲科技有限責任公司 | フラッシュメモリデバイスにおけるセンス回路および検知動作方法 |
KR102657140B1 (ko) * | 2019-12-26 | 2024-04-15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KR20240011395A (ko) * | 2022-07-19 | 2024-01-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압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트립 전압을 조절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센싱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73280A (ja) | 1998-12-03 | 2000-06-23 | Sony Corp |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
DE60222504T2 (de) * | 2001-07-06 | 2008-06-19 | Halo Lsi Design And Device Technology Inc.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elbstjustierenden L-förmigen Seitenwand-Abstandsstücken |
KR100655280B1 (ko) | 2003-06-20 | 2006-12-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저전압에서 동작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 장치 |
JP4287235B2 (ja) | 2003-10-09 | 2009-07-01 | 株式会社東芝 |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
KR100996017B1 (ko) * | 2003-12-24 | 2010-11-22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페이지 버퍼 |
KR100694972B1 (ko) * | 2006-03-27 | 2007-03-14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센싱 노드용 프리차지 전압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기능을가지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그 독출 동작 방법 |
KR101014968B1 (ko) * | 2007-11-29 | 2011-02-21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그 페이지 버퍼 회로 |
KR20090120672A (ko) * | 2008-05-20 | 2009-11-25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
KR20100040424A (ko) * | 2008-10-10 | 2010-04-20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비트라인 프리차지 방법 |
KR101462605B1 (ko) * | 2008-10-29 | 2014-11-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이의 테스트 방법 |
KR101016078B1 (ko) * | 2009-01-21 | 2011-02-17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KR101053745B1 (ko) * | 2009-05-29 | 2011-08-02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비트라인 프리차지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
-
2010
- 2010-06-09 KR KR1020100054498A patent/KR101662703B1/ko active Active
-
2011
- 2011-06-08 US US13/155,462 patent/US8593867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4748A (ko) | 2011-12-15 |
US8593867B2 (en) | 2013-11-26 |
US20110305087A1 (en) | 2011-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2703B1 (ko) |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독출 방법 | |
US10748633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US10297299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US8023335B2 (en) | Flash memory device and systems and reading methods thereof | |
KR101532755B1 (ko) |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및 그것의 프리차지 전압 부스팅 방법 | |
US10497452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CN106910524B (zh) | 感测控制信号发生电路和包括其的半导体存储器件 | |
KR101462489B1 (ko) |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램 방법 및 이니셜 차징 방법 | |
KR102122239B1 (ko) |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프로그램 방법 | |
KR20150072099A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
KR102645731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US9349457B2 (en) | High voltage switch, nonvolatile memory device comprising same,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 |
KR101642015B1 (ko) |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램 방법 | |
US10790033B2 (en) | Operating method of memory device using channel boosting before read or verify operation | |
US20170169866A1 (en) | Page buffer and memory device having the same | |
KR20190012570A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90033791A (ko) | 컨트롤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 |
KR20160061673A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그것의 동작 방법 | |
US9530467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1504342B1 (ko) |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그것을 포함한 컴퓨팅 시스템 및그것의 워드 라인 구동 방법 | |
KR102831453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20079227A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20121616A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50023890A (ko) | 소프트 디시전 데이터를 생성하는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5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6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9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