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148B1 - In and out manage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In and out management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2148B1 KR101662148B1 KR1020140132963A KR20140132963A KR101662148B1 KR 101662148 B1 KR101662148 B1 KR 101662148B1 KR 1020140132963 A KR1020140132963 A KR 1020140132963A KR 20140132963 A KR20140132963 A KR 20140132963A KR 101662148 B1 KR101662148 B1 KR 1016621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
- main
- power
- breaker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G07C1/1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together with the recording, indicating or registering of other data, e.g. of signs of ident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장치는 복수의 출입 체크부, 상기 출입 체크부에 주 전원을 공급하는 주 전원부, 상기 주 전원부에서 상기 출입 체크부로 제1 비정상전류가 흐를 때 상기 제1 비정상전류를 차단하며, 상기 주 전원부와 직렬연결되고 상호간에 직렬연결되어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주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주 차단기, 상기 주 차단기가 상기 제1 비정상전류를 차단하는 경우 상기 출입 체크부에 부 전원을 공급하는 부 전원부, 상기 부 전원부에서 상기 출입 체크부로 제2 비정상전류가 흐를 때 상기 제2 비정상전류를 차단하며, 상기 부 전원부와 직렬연결되고 상호간에 직렬연결되어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부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부 차단기 및 상기 주 차단기 및 상기 부 차단기와 연결되어 상기 주 차단기 및 상기 부 차단기의 동작을 체크하는 복수의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acces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access check units, a main power unit for supplying main power to the access check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abnormal current A plurality of main breaker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main power supply unit and ser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receive the main power supply in a first direction, and a main breaker connected to the access check unit when the main breaker cuts off the first abnormal current A second abnormal current is cut off when the second abnormal current flows from the sub-power source unit to the entrance check unit, and the second abnormal current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ub-power source unit, A plurality of sub-circuit breakers to which the sub-power is supplied, and a plurality of sub-circuit breakers connected to the main circuit breaker and the sub- And a plurality of control units for checking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Description
본 발명은 출입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control apparatus.
선박의 건조 작업 중 작업자들이 작업을 위해 선박에 오르내리는 일이 계속된다. 이때 화재 등 안전사고 발생시 거대한 선박 내에 있는 탑승한 사람이 모두 탈출해야 하고 승선한 작업자가 모두 나왔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Workers continue to climb up and down the ship for work during the drying of the ship. At this time, in the event of a fire or other safety accident, it is necessary to confirm whether all persons on board a large vessel have escaped and that all the workers on board have come out.
이를 위해서는 현재 선박에 승선한 사람의 수가 체크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POB(personnel on board) 시스템과 같은 출입 관리 장치가 필요하다. 출입 관리 장치는 365일, 24시간 항시 안정적으로 동작되어야만 정확한 승/하선자 계수 및 비인가자 차단을 실시할 수 있다. To do this, the number of people currently boarding the ship must be checked, and an access control system such as a personnel on board (POB) system is required. The access control device must operate reliably at all times for 365 days and 24 hours, and can perform accurate win / fall coefficient and non-winner blocking.
따라서 안정적인 상시 전원 공급 및 비상 시에도 전원 공급이 가능한 장치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상시 전원 공급에 이상 발생 시 즉각 고장 지점 확인 및 원인 분석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essential to provide a stable power supply and a device capable of supplying power even in an emergenc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mediately identify the fault point and analyze the cause of the fault in case of abnormal power supp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장치는 케이블 이상으로 인한 비정상 전류가 발생하더라도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단락된 케이블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출입 관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access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n access management apparatus capable of stably supplying power even when an abnormal current due to a cable abnormality occurs and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shorted cable.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other task which i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출입 체크부, 상기 출입 체크부에 주 전원을 공급하는 주 전원부, 상기 주 전원부에서 상기 출입 체크부로 제1 비정상전류가 흐를 때 상기 제1 비정상전류를 차단하며, 상기 주 전원부와 직렬연결되고 상호간에 직렬연결되어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주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주 차단기, 상기 주 차단기가 상기 제1 비정상전류를 차단하는 경우 상기 출입 체크부에 부 전원을 공급하는 부 전원부, 상기 부 전원부에서 상기 출입 체크부로 제2 비정상전류가 흐를 때 상기 제2 비정상전류를 차단하며, 상기 부 전원부와 직렬연결되고 상호간에 직렬연결되어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부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부 차단기 및 상기 주 차단기 및 상기 부 차단기와 연결되어 상기 주 차단기 및 상기 부 차단기의 동작을 체크하는 복수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차단기 및 상기 부 차단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비정상전류가 흐를 때 상기 부 전원이 상기 출입 체크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릴레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릴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릴레이로부터 상기 주 전원 또는 상기 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출입 체크부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전원 또는 상기 부 전원의 공급 여부에 대한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신호변환부와,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출입 체크부의 식별자나 상기 주 차단기 및 부 차단기의 식별자에 매칭시켜 상기 출입 체크부에 대한 전원상황정보를 출력하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상황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전원상황정보를 복수의 상기 출입 체크부를 관리하는 통합 장치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주 전원, 상기 부 전원 및 상기 비상전원은 동일한 전압 크기와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압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cess check units; a main power unit for supplying main power to the access check unit; A plurality of main breaker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main power supply unit and ser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supplied with the main power in a first direction, and a main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main power to the access check unit when the main breaker cuts off the first abnormal current A second abnormal current is cut off when the second abnormal current flows from the sub-power source unit to the entrance check unit, and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ub-power source unit and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sub-breakers to be supplied to the main breaker and the sub-circuit breaker, and a controller To provide the access control device to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includes a relay connected to the main breaker and the sub-breaker to supply the sub power source to the access check unit when the first abnormal current flows.
The control unit includes an emergency pow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relay and supplying the emergency power to the access check unit when the main power or the sub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relay.
The control unit includes a signal converter for outputting status information on whether the main power source or the sub power source is supplied, and a control unit for matching the status information with an identifier of the access check unit or an identifier of the main circuit breaker and the sub-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power source status information to the unit.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the power status information to the outsid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the power status information to an integrated device that manages the plurality of access check units.
The main power source, the sub power source, and the emergency power source may be AC voltages having the same voltage magnitude and frequenc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장치는 케이블의 단선 등으로 인한 비정상 전류가 발생하더라도 주 전원, 부 전원 또는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acces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the main power source, the sub power source, or the emergency power source even if an abnormal current is generated due to disconnection of the cable or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장치는 주 전원과 부 전원의 공급에 따라 전원상황정보를 출력하여 비정상 상황이 발생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The access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utput the power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upply of the main power and the sub power to determine the location where the abnormal situation occurs.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3은 출입 체크부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출입 관리 장치의 비교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출입 관리 장치의 동작 일례를 나타낸다. 1 shows an acces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the control unit of Fig. 1 in detail.
3 shows an example of the entrance check section.
4 shows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acces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acces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re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You will know.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Also,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certain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Next, an acces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장치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제어부를 상세하게 나타낸다.FIG. 1 shows an acces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the control unit of FIG. 1 in detai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장치는 복수의 출입 체크부(100), 주 전원부(200), 복수의 주 차단기(300), 부 전원부(400), 복수의 부 차단기(500) 및 복수의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1, the acces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출입 체크부(100)는 특정 공간을 출입하는 사람이나 물체를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체크부(100)는 제작 중인 거대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선박을 중심으로 설명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장치는 해양 구조물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e
출입 체크부(10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사람이나 물체의 출입을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며 출입하는 사람이나 물체가 발광부의 빛을 가릴 때마다 카운트가 일어남으로써 사람이나 물체의 출입을 체크할 수 있다. The
또는 출입 체크부(100)가 사람이나 물체에 구비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이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과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람이나 물체의 출입을 체크할 수 있다. Or the
출입 체크부(100)의 동작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의 출입 체크부(100)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The operation method of the
주 전원부(200)는 출입 체크부(100)에 주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주 전원부(200)는 제1 방향을 따라 주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 전원은 60 Hz 220V인 교류 전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main
주 차단기(300)는 주 전원부(200)에서 출입 체크부(100)로 제1 비정상전류가 흐를 때 제1 비정상전류를 차단한다. 제1 비정상전류는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차단기(300)와 이후에 설명될 제어부(600) 사이를 연결하여 출입 체크부(100)에 주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합선되어 단락전류와 같은 제1 비정상전류가 흐를 수 있다. The
부 전원부(400)는 주 차단기(300)가 제1 비정상전류를 차단하는 경우 출입 체크부(100)에 부 전원을 공급한다. 주 차단기(300)가 제1 비정상전류를 차단함에 따라 주 전원의 공급 역시 차단되므로 부 전원부(400)는 출입 체크부(100)에 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부 전원부(400)는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부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부 전원은 60 Hz 220V인 교류 전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ub
삭제delete
부 차단기(500)는 부 전원부(400)에서 출입 체크부(100)로 제2 비정상전류가 흐를 때 제2 비정상전류를 차단한다. 제1 비정상전류는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 차단기(500)와 이후에 설명될 제어부(600) 사이를 연결하여 출입 체크부(100)에 부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합선되어 단락전류와 같은 제2 비정상전류가 흐를 수 있다.The
제어부(600)는 주 차단기(300) 및 부 차단기(500)와 연결되어 주 차단기(300) 및 부 차단기(500)의 동작을 체크한다.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주 차단기(300) 및 부 차단기(500)와 연결되어 제1 비정상전류가 흐를 때 부 전원이 출입 체크부(100)로 공급되도록 하는 릴레이(610)를 포함할 수 있다. 2, the
릴레이(610)에 정상적으로 주 전원이 공급되면 릴레이(610)는 주 전원을 비상전원부(620)를 통하여 출입 체크부(100)에 공급할 수 있다. 만약 주 차단기(300)에 의하여 주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 릴레이(610)가 스위칭하여 부 전원이 비상전원부(620)를 통하여 출입 체크부(100)에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제어부(600)의 릴레이(610) 동작에 따라 부 전원이 출입 체크부(100)에 공급될 수 있다. When the main power is normally supplied to the
또한 제어부(600)는, 릴레이(610)에 연결되어 릴레이(610)로부터 주 전원 또는 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 출입 체크부(100)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비상전원부(620)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주 전원 또는 부 전원이 공급될 때 충전될 수 있다. 주 차단기(300) 및 부 차단기(500)의 동작에 따라 주 전원 및 부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 비상전원부(620)는 배터리의 비상전원을 출입 체크부(100)에 공급할 수 있다. The emergency
한편, 제어부(600)는 주 전원 또는 부 전원의 공급 여부에 대한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신호변환부(630)와, 상태정보를 출입 체크부(100)의 식별자에 매칭시켜 출입 체크부(100)에 대한 전원상황정보를 출력하는 컨트롤 유닛(6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신호변환부(630)는 주 차단기(300) 및 부 차단기(500)와 연결되며, 아날로그 신호 형태의 주 전원 또는 부 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라 디지털 신호 형태의 상태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주 전원이 공급되고 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태정보는 10이 되며, 주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부 전원이 공급되면 상태정보는 01이 되고, 주 전원 및 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태정보는 00이 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main power is supplied and the sub power is not supplied, the status information becomes 10. If the main power is not supplied and the sub power is supplied, the status information becomes 01. If the main power and the sub power are not supplied, The information may be 00.
이와 같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신호변환부(630)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convert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he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컨트롤 유닛(640)은 상태정보를 출입 체크부(100)의 식별자나 주 차단기(300) 및 부 차단기(500)의 식별자에 매칭시킬 수 있다. 상기 식별자와 상태정보의 매칭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주 차단기(300) 및 부 차단기(500)마다 제어부(600)가 구비되고, 출입 체크부(100)는 복수의 제어부(600)들 중 하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
이에 따라 제어부(600)의 컨트롤 유닛(640)은 복수의 출입 체크부(100)들 중 제어부(600)와 연결된 출입 체크부(100)의 식별자나 주 차단기(300) 및 부 차단기(500)의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으며, 컨트롤 유닛(640)은 식별자와 상태정보를 매칭하여 전원상황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전원상황정보는 (0,1,#2)로 출력될 수 있는데 이는 두번째 출입 체크부(100)에 주 전원이 아닌 부 전원이 공급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전원상황정보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원상황정보의 내용 역시 주 전원 및 부 전원의 공급 여부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ower status information may be output as (0, 1, # 2), which means that a secondary power source other than the main power source is being supplied to the second
제어부(600)는 전원상황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모듈(650)을 포함하며, 통신모듈(650)은 전원상황정보를 복수의 출입 체크부(100)를 관리하는 통합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The
통신모듈(650)은 통합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합장치는 복수의 출입 체크부(100)를 관리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The
통신모듈(650)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모듈(650)은 TCP/IP 프로토콜에 따라 통합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이 때 통합장치는 서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CP/IP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모듈(650)은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출입 체크부(100)가 설치가능한 선박은 수백미터의 길이를 가지며, 건조 중인 선박에 작업자가 승선하는 곳은 선박의 선수에서 선미까지 여러 곳에 산재되어 있다. The ship on which the
따라서 작업자의 승/하선이 실시되는 모든 곳에 출입 체크부(100)가 설치되어야 하며, 전원 및 네트워크가 수백미터에 해당되는 넓은 장소에 포설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이와 같이 선박의 넓은 영역에 출입 체크부(100)가 설치되더라도 통합장치가 전원상황정보를 통하여 제1 이상전류나 제2 이상전류가 발생한 주 차단기(300) 및 부 차단기(500)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출입 관리 장치의 고장 지점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Thus, even if the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0)의 전원은 비상전원부(620)의 출력단을 통하여 공급받을 수 있다. 제어부(600)의 컨트롤 유닛(640)은 통합장치와 통신을 수행해야 하므로 항상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컨트롤 유닛(640)에는 주 전원, 부 전원 및 비상전원 중 하나가 공급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비상전원부(620)의 출력단을 통하여 주 전원, 부 전원 및 비상전원 중 하나를 공급받을 수 있다. 2, the power source of the
이 때 제어부(600)는 교류 전기를 직류 전기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66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출입 체크부(100)에는 교류 전기가 공급되고 컨트롤 유닛(640)은 직류 전기를 전원으로 사용하므로 AC/DC 컨버터(660)가 교류 전기를 직류 전기로 변환하여 큰트롤 유닛에 공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한편, 출입 관리 장치는 서로 직렬 연결된 복수의 주 차단기(300)와 서로 직렬 연결된 복수의 부 차단기(500)를 포함하며, 서로 연결된 복수의 주 차단기(300)는 주 전원부(200)로부터 제1 방향을 따라 주 전원을 공급받고, 서로 연결된 부 차단기(500)는 부전원부(400)로부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에서 부 전원을 공급받는다.The access control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장치의 비교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르게 주 차단기(300') 및 부 차단기(500')가 제1 방향에서 주 전원 및 부 전원을 공급받는다.4 shows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acces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unlik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reaker 300 'and the sub breaker 500' are supplied with the main power and the sub power in the first direction.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번째 주 차단기(300')와 제어부(600') 사이의 케이블과 두번째 부 차단기(500')와 제어부(600') 사이의 케이블에서 단락전류가 발생하면, 두번째 주 차단기(300')와 부 차단기(500')가 주 전원 및 부 전원의 공급을 차단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a short circuit current is generated in the cable between the second main breaker 300 'and the control unit 600' and the cable between the second sub-breaker 500 'and the control unit 600' The second main breaker 300 'and the second breaker 500' cut off the supply of the main power and the sub power.
이 때 주 차단기(300') 및 부 차단기(500')는 모두 제1 방향에서 주 전원 및 부 전원을 공급받으므로 세번째 주 차단기(300')와 부 차단기(500')에 주 전원 및 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두번째 및 세번째 제어부(600')는 두번째 및 세번째 출입 체크부(100')에 비상전원을 공급한다.In this case, both the main breaker 300 'and the sub-breaker 500' are supplied with the main power and the sub power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third main breaker 300 'and the second breaker 500' Is not supplied. Accordingly, the second and third control units 600 'supply emergency power to the second and third access check unit 100'.
반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주 차단기(300)가 각각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서 주 전원과 부 전원을 공급받는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 때 두번째 주 차단기(300) 사이의 케이블과 두번째 부 차단기(500) 사이의 케이블에서 단락전류가 발생하면, 두번째 주 차단기(300)와 부 차단기(500)가 주 전원 및 부 전원의 공급을 차단한다.At this time, when a short circuit current is generated in the cable between the second
이 때 주 차단기(300)는 제1 방향에서 주 전원을 공급받고, 부 차단기(500)는 제2 방향에서 부 전원을 공급받으므로 세번째 주 차단기(300)에 주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첫번째 부 차단기(500)에 부전원 공급되지 않는다. Since the
첫번째 제어부(600)에는 첫번째 주 차단기(300)를 통하여 주 전원을 공급받고, 두번째 제어부(600)는 비상전원을 공급하고 세번째 제어부(600)는 세번째 부 차단기(500)를 통하여 부 전원을 공급받는다.The
이에 따라 첫번째 출입 체크부(100), 두번째 출입 체크부(100) 및 세번째 출입 체크부(100)는 각각 주 전원, 비상전원 및 부 전원을 공급받는다.Accordingly, the first
즉, 도 4의 경우 비상전원이 두번째 및 세번째 출입 체크부(100')에 공급되지만 도 5의 경우 비상전원이 두번째 출입 체크부(100)에 공급되므로 도 5의 출입 관리 장치의 전원 공급 안정성이 도 4의 장치에 비하여 우수하다. 4, the emergency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and third access check part 100 '. However, since the emergency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출입 체크부(100)에는 항상 일정한 교류 전압이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주 전원, 부 전원 및 비상전원은 동일한 전압 크기와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압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출입 체크부(100)
주 전원부(200)
주 차단기(300)
부 전원부(400)
부 차단기(500)
제어부(600)
릴레이(610)
비상전원부(620)
신호변환부(630)
컨트롤 유닛(640)
통신모듈(650)
AC/DC 컨버터(660)The
The
The main breaker (300)
The sub-
The sub-
The
Relays (610)
The emergency
The
The communication module (650)
The AC /
Claims (7)
상기 출입 체크부에 주 전원을 공급하는 주 전원부;
상기 주 전원부에서 상기 출입 체크부로 제1 비정상전류가 흐를 때 상기 제1 비정상전류를 차단하며, 상기 주 전원부와 직렬연결되고 상호간에 직렬연결되어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주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주 차단기;
상기 주 차단기가 상기 제1 비정상전류를 차단하는 경우 상기 출입 체크부에 부 전원을 공급하는 부 전원부;
상기 부 전원부에서 상기 출입 체크부로 제2 비정상전류가 흐를 때 상기 제2 비정상전류를 차단하며, 상기 부 전원부와 직렬연결되고 상호간에 직렬연결되어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부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부 차단기; 및
상기 주 차단기 및 상기 부 차단기와 연결되어 상기 주 차단기 및 상기 부 차단기의 동작을 체크하는 복수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장치.A plurality of access check sections;
A main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main power to the access check unit;
A plurality of main parts connected in series to the main power part and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ther and supplied with the main power in a first direction, the first abnormal current is cut off when the first abnormal current flows from the main power part to the entrance check part, breaker;
A sub power supply for supplying a sub power to the access check unit when the main breaker interrupts the first abnormal current;
A plurality of units connected in series to the sub-power unit and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ther to receive the sub-power in a second direction, the second abnormal current being cut off when the second abnormal current flows from the sub- breaker; And
And a plurality of control units connected to the main breaker and the sub-breaker to check operation of the main breaker and the sub-break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차단기 및 상기 부 차단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비정상전류가 흐를 때 상기 부 전원이 상기 출입 체크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릴레이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a relay connected to the main breaker and the sub-breaker to supply the auxiliary power to the access check unit when the first abnormal current flows.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릴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릴레이로부터 상기 주 전원 또는 상기 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출입 체크부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부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nd an emergency power source connected to the relay for supplying emergency power to the access check unit when the main power or the sub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rela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전원 또는 상기 부 전원의 공급 여부에 대한 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신호변환부와,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출입 체크부의 식별자나 상기 주 차단기 및 부 차단기의 식별자에 매칭시켜 상기 출입 체크부에 대한 전원상황정보를 출력하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출입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signal converter for outputting statu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main power source or the sub power source is supplied; a signal converter for matching the status information with an identifier of the access check unit or an identifier of the main circuit breaker and the sub-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status informa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상황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전원상황정보를 복수의 상기 출입 체크부를 관리하는 통합 장치로 전송하는 출입 관리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power status information to the outsid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the power status information to an integrated device that manages a plurality of access check portions.
상기 주 전원, 상기 부 전원 및 상기 비상전원은 동일한 전압 크기와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압인 출입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in power source, the sub power source, and the emergency power source are AC voltages having the same voltage magnitude and frequenc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2963A KR101662148B1 (en) | 2014-10-02 | 2014-10-02 | In and out management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2963A KR101662148B1 (en) | 2014-10-02 | 2014-10-02 | In and out management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9808A KR20160039808A (en) | 2016-04-12 |
KR101662148B1 true KR101662148B1 (en) | 2016-10-04 |
Family
ID=55800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2963A Expired - Fee Related KR101662148B1 (en) | 2014-10-02 | 2014-10-02 | In and out management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2148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39689A (en) * | 2004-11-15 | 2006-06-01 | Miwa Lock Co Ltd | Entrance and exit management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70220A (en) | 2012-11-30 | 2014-06-10 | 주식회사 유누스 | Commute management method with beacon |
-
2014
- 2014-10-02 KR KR1020140132963A patent/KR10166214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39689A (en) * | 2004-11-15 | 2006-06-01 | Miwa Lock Co Ltd | Entrance and exit management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9808A (en) | 2016-04-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46760B1 (en) | Safety circuit for an elevator installation | |
US7667611B2 (en) | High voltage detection system | |
EP3631927B1 (en) | Remote power unit, direct current power system and direct current power system fault detection method | |
JP5897666B1 (en) | Elevator remote monitoring system | |
US8699188B2 (en) | Shunt regulator for overvoltage protection at transformer rectifier unit of electrical generating system | |
KR101662148B1 (en) | In and out management apparatus | |
KR101306018B1 (en) | Unmanned safety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self-diagnosis intelligent generator | |
US20120106009A1 (en) | Shunt Regulator at Excitation Output of Generator Control Unit for Overvoltage Protection | |
CN104217564A (en) | Remote real-time detection terminal of escalator on the basis of cloud service platform | |
US20240165749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laser power | |
KR20210107587A (en) | An Apparatus for Monitering a Distribution Panel Board | |
KR100560842B1 (en) | Alarm device used for switchboard | |
KR100899001B1 (en) | JP failure SSM notification system | |
KR20230115873A (en) | Electric power control system based on multi network | |
KR20230064513A (en) | Remote distribution box fire alarm system us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 |
CN104040446A (en) | A system and a method for locating and notifying fault and handling alarm thereof | |
Spunei et al. | Automatic block signaling installation failure diagnosis with LCOBla | |
CN107370120B (en) | Three-phase power supply protection device and electric power system | |
KR20090112993A (en) | Digital protective relay | |
CN106696770B (en) |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when feeder fault occurs for supply arm | |
CN215218958U (en) | Aviation direct current starting power supply self-checking system | |
CN111313547B (en) | Intelligent power supply and utilization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 |
KR20190104732A (en) | Management system for distribution panel | |
CN103204414A (en) |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control method | |
ES2320861T3 (en) | EMERGENCY OPERATION OF ELECTRICAL DEVICES OPERATORS FOR MOBILE MEMB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171031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17110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