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584B1 -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 - Google Patents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1584B1 KR101661584B1 KR1020150030460A KR20150030460A KR101661584B1 KR 101661584 B1 KR101661584 B1 KR 101661584B1 KR 1020150030460 A KR1020150030460 A KR 1020150030460A KR 20150030460 A KR20150030460 A KR 20150030460A KR 101661584 B1 KR101661584 B1 KR 1016615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peller
- vortex
- plate
- flow
- vib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63H1/18—Propellers with means for diminishing cavitation, e.g. supercavi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63H1/28—Other means for improving propeller efficienc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recesses; with stationary water-guiding elements; Means to prevent fouling of the propeller, e.g. guards, cages or scree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와류 발생기에 대한 유동과의 받음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추진기 날개면에 대한 유동과의 받음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와류 발생기를 부착하지 않은 경우 추진기 면에 유입되는 반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류 발생기를 부착한 경우와 부착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류 발생기를 부착한 경우와 부착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와류 발생기를 부착한 경우와 부착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류 발생기를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여 부착한 경우와 오각형 형상으로 형성하여 부착한 경우를 각각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류 발생기를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여 부착한 경우와 오각형 형상으로 형성하여 부착한 경우의 유속 분포를 각각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류 발생기를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여 부착한 경우와 오각형 형상으로 형성하여 부착한 경우 발생하는 와류 강도를 각각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와류 발생기를 부착한 경우와 부착하지 않은 경우에 프로펠러 표면에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의 발생량을 수치 해석으로 추정한 결과를 각각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3)
-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에 있어서,
프로펠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시, 금속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추진기 전방의 선박의 우현(상기 프로펠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는 좌현) 측에 부착되는 제 1 와류생성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와류생성판은,
5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선박의 선저면에서부터 상기 추진기의 축 높이까지의 범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선박의 선두부(FP)에서 선미부(AP)까지의 길이(AP ~ FP)를 상기 선박의 전체 길이(LBP)라 할 때, 상기 선미부(AP)에서부터 상기 전체 길이(LBP)의 12% ~ 18%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와류 생성판에 유입되는 유동과 상기 제 1 와류 생성판이 이루는 받음각이 5 ~ 15도 사이가 되도록 하는 각도로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추진기의 우측 상부(상기 프로펠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는 좌측 상부)에서 상기 추진기의 날개면으로 유입되는 유동의 유입속도를 더욱 빠르게 증가시키는 비대칭 반류(wake)를 생성하여 상기 추진기의 각 날개에 유입되는 유동의 받음각을 감소하는 것에 의해, 캐비테이션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상기 추진기의 우측 상부(상기 프로펠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는 좌측 상부)에서의 상기 캐비테이션의 발생을 감소하여 상기 추진기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을 감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발생기는,
상기 제 1 와류생성판과 동일한 형태의 금속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와류생성판의 맞은편인 상기 추진기 전방의 상기 선박의 좌현(상기 프로펠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는 우현) 측에 부착되는 제 2 와류생성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와류생성판 및 상기 제 2 와류생성판은,
상기 선박의 좌우 측면의 동일한 위치에 각도를 각각 달리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발생기는,
상기 제 1 와류생성판보다 상기 추진기 측에 더 가까운 위치에 상기 제 1 와류생성판과 같은 높이로 상기 선박의 우현(상기 프로펠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는 좌현) 측에 부착되는 제 3 와류생성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와류생성판은,
상기 선미부(AP)에서부터 상기 전체 길이(LBP)의 12% ~ 18%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와류생성판은,
상기 선미부(AP)에서부터 상기 전체 길이(LBP)의 8% ~ 15%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와류생성판 및 상기 제 3 와류생성판은,
상기 선박의 선저면에서부터 상기 추진기의 축 높이까지의 범위 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와류생성판 및 상기 제 3 와류생성판은,
각각 5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와류생성판 및 상기 제 3 와류생성판은,
상기 와류 생성판에 유입되는 유동과 상기 와류 생성판이 이루는 받음각이 5 ~ 15도 사이가 되도록 하는 각도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발생기는,
상기 프로펠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선박의 우현(상기 프로펠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는 좌현)에 설치되는 상기 제 1 와류생성판 및 상기 제 3 와류생성판과 상기 선박의 좌현(상기 프로펠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는 우현)에 설치되는 상기 제 2 와류생성판의 부착각도 차이가 0 ~ 10도 사이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발생기는,
상기 프로펠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선박의 우현(상기 프로펠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는 좌현)에 설치되는 상기 제 1 와류생성판 및 상기 제 3 와류생성판과 상기 선박의 좌현(상기 프로펠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는 우현)에 설치되는 상기 제 2 와류생성판의 부착각도 차이가 1 ~ 10도 사이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발생기는,
상기 프로펠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선박의 우현(상기 프로펠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는 좌현)에 설치되는 상기 제 1 와류생성판 및 상기 제 3 와류생성판과 상기 선박의 좌현(상기 프로펠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는 우현)에 설치되는 상기 제 2 와류생성판의 부착각도 차이가 1 ~ 5도 사이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
- 청구항 1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방법.
- 청구항 1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0460A KR101661584B1 (ko) | 2015-03-04 | 2015-03-04 |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 |
CN201580000741.2A CN106163916B (zh) | 2015-03-04 | 2015-05-18 | 产生用于减少推进器噪音与振动的非对称伴流的涡流发生器 |
SG11201609079RA SG11201609079RA (en) | 2015-03-04 | 2015-05-18 | Asymmetric wake generating vortex generator for reducing propeller noise and vibration |
PCT/KR2015/004963 WO2016140398A1 (ko) | 2015-03-04 | 2015-05-18 |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 |
EP15884064.5A EP3266698B1 (en) | 2015-03-04 | 2015-05-18 | Asymmetric wake generating vortex generator for reducing propeller noise and vibr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0460A KR101661584B1 (ko) | 2015-03-04 | 2015-03-04 |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07558A KR20160107558A (ko) | 2016-09-19 |
KR101661584B1 true KR101661584B1 (ko) | 2016-10-10 |
Family
ID=56848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0460A Active KR101661584B1 (ko) | 2015-03-04 | 2015-03-04 |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3266698B1 (ko) |
KR (1) | KR101661584B1 (ko) |
CN (1) | CN106163916B (ko) |
SG (1) | SG11201609079RA (ko) |
WO (1) | WO2016140398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8320B1 (ko) | 2019-01-17 | 2019-10-04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와류를 이용한 일체형 추진 장치 및 이의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
KR102439312B1 (ko) | 2022-06-15 | 2022-09-01 | 주식회사 모쓰 | 질량 호흡 제어를 이용한 팁 보오텍스 케비테이션 저감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25256A (zh) | 2017-08-29 | 2019-03-05 | 上海泰禾国际贸易有限公司 | 一种新型传无水热介质及其应用 |
CN110103934A (zh) * | 2019-04-25 | 2019-08-09 | 哈尔滨创奇旅游装备科技开发有限公司 | 基于涡流发生器的高速救援全垫升气垫船装备减阻方法 |
CN112977713B (zh) * | 2021-04-07 | 2021-12-21 | 浙江海洋大学 | 一种用于螺旋桨式船舶的涡流发生器及船舶 |
CN115017609B (zh) * | 2022-05-23 | 2023-05-26 |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 一种实尺度船舶附体空化部位有效攻角评估方法 |
CN115447740B (zh) * | 2022-09-06 | 2024-07-26 | 中国人民解放军海军工程大学 | 一种用于潜艇流动和噪声抑制的涡流发生器 |
KR102610005B1 (ko) * | 2023-09-01 | 2023-12-05 | 주식회사 모쓰 | 캐비테이션 저감을 위한 선박용 프로펠러 회전속도 제어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62485A (ja) | 2001-06-05 | 2002-12-18 | Sanoyas Hishino Meisho Corp | 船舶フィン装置 |
JP2008260445A (ja) * | 2007-04-13 | 2008-10-30 | Oshima Shipbuilding Co Ltd | 船舶 |
JP2012158210A (ja) * | 2011-01-31 | 2012-08-23 |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 複合型フィン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8388A (en) * | 1977-06-20 | 1979-01-22 | Nippon Kokan Kk <Nkk> | Shipping |
KR920009838B1 (ko) * | 1989-07-28 | 1992-10-31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비대칭 유도판을 이용한 선미류 유도장치 |
KR100718934B1 (ko) * | 2006-09-01 | 2007-05-1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압력저항 및 진동 개선 용 유동제어장치 |
KR20090072242A (ko) * | 2007-12-28 | 2009-07-02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추진기 유기 기진력 저감을 위한 선박의 다중 유동제어장치 |
CN102046461B (zh) * | 2008-06-09 | 2013-08-28 | 联邦国有制企业"圣彼得堡Malakhit机械制造海事局" | 海下交通工具的十字形尾部控制表面 |
US7802533B1 (en) * | 2009-04-09 | 2010-09-28 | CSBC Corporation, Taiwan | Marine vehicle having pre-swirl generator for generating pre-swirl flow |
KR20120019280A (ko) * | 2010-08-25 | 2012-03-0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 및 선박의 제어 방법 |
KR101293006B1 (ko) * | 2011-07-04 | 2013-08-08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선속 향상 및 선미부의 유동 개선을 위한 선미 부가물 |
-
2015
- 2015-03-04 KR KR1020150030460A patent/KR101661584B1/ko active Active
- 2015-05-18 CN CN201580000741.2A patent/CN106163916B/zh active Active
- 2015-05-18 EP EP15884064.5A patent/EP3266698B1/en active Active
- 2015-05-18 SG SG11201609079RA patent/SG11201609079RA/en unknown
- 2015-05-18 WO PCT/KR2015/004963 patent/WO201614039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62485A (ja) | 2001-06-05 | 2002-12-18 | Sanoyas Hishino Meisho Corp | 船舶フィン装置 |
JP2008260445A (ja) * | 2007-04-13 | 2008-10-30 | Oshima Shipbuilding Co Ltd | 船舶 |
JP2012158210A (ja) * | 2011-01-31 | 2012-08-23 |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 複合型フィン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8320B1 (ko) | 2019-01-17 | 2019-10-04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와류를 이용한 일체형 추진 장치 및 이의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
KR102439312B1 (ko) | 2022-06-15 | 2022-09-01 | 주식회사 모쓰 | 질량 호흡 제어를 이용한 팁 보오텍스 케비테이션 저감 시스템 |
US12325499B2 (en) | 2022-06-15 | 2025-06-10 | Moth Co., Ltd. | System for reducing blade tip vortex cavitation by controlling mass flow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140398A1 (ko) | 2016-09-09 |
EP3266698A4 (en) | 2018-10-24 |
KR20160107558A (ko) | 2016-09-19 |
EP3266698B1 (en) | 2019-11-06 |
CN106163916B (zh) | 2018-09-21 |
SG11201609079RA (en) | 2016-12-29 |
EP3266698A1 (en) | 2018-01-10 |
CN106163916A (zh) | 2016-1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1584B1 (ko) | 추진기 소음 및 진동 저감을 위한 비대칭 반류 생성 와류 발생기 | |
CN102673760B (zh) | 提高能量效率的船舶驱动系统的前喷嘴 | |
KR101023052B1 (ko) | 덕트를 구비한 전류고정날개 | |
JP5081455B2 (ja) | 船舶の非対称前流固定翼 | |
KR20130052505A (ko) | 선박의 구동력 필요조건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 |
CN106043641A (zh) | 一种船用环形导流栅 | |
JP2006347285A (ja) | 船舶の船尾部構造及びその設計方法 | |
KR20120023843A (ko) | 전류고정날개의 덕트 고정방법 | |
KR20120063246A (ko) | 선박용 덕트 구조체 | |
KR101066213B1 (ko) | 정체류 감소 및 전진력 발생 기능을 가지는 날개형 유동개선 장치 | |
KR20130004756A (ko) | 선속 향상 및 선미부의 유동 개선을 위한 선미 부가물 | |
CN107000825B (zh) | 推进效率提高装置 | |
JP2015127179A (ja) | ダクト装置 | |
KR20120121112A (ko) | 선박의 전류고정날개 | |
KR20120068250A (ko) | 선박용 덕트 구조체 | |
KR20120007854U (ko) | 3개 지지점을 가지는 비대칭 프로펠러 덕트 설치구조 | |
CN101234667B (zh) | 船舶的非对称预旋定子 | |
KR101764400B1 (ko) | 추진효율 향상을 위한 트위스트 타입 스테이터를 구비한 선박용 덕트장치 | |
KR101506050B1 (ko) | 선박용 덕트 구조체 | |
KR20150145982A (ko) | 선미부 전류고정날개 | |
KR102742186B1 (ko) | 전류고정날개 | |
JP3886049B2 (ja) | バルブ、舵、船舶 | |
KR100640298B1 (ko) | 저속비대선의 전류고정날개 설치구조 | |
JP5511869B2 (ja) | 船舶の非対称前流固定翼 | |
KR20150076332A (ko) | 선박에 구비되는 좌우현 비대칭 유동 제어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2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7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3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7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5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9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8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7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5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