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61352B1 - 캠핑용 다목적 벤치 - Google Patents

캠핑용 다목적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352B1
KR101661352B1 KR1020140104918A KR20140104918A KR101661352B1 KR 101661352 B1 KR101661352 B1 KR 101661352B1 KR 1020140104918 A KR1020140104918 A KR 1020140104918A KR 20140104918 A KR20140104918 A KR 20140104918A KR 101661352 B1 KR101661352 B1 KR 101661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amping
bars
horizontal bar
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0074A (ko
Inventor
한상훈
Original Assignee
한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훈 filed Critical 한상훈
Priority to KR1020140104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35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0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3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10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캠핑용 다목적 벤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다목적 벤치는, 서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가로바와, 가로바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바와, 가로바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되 한 쌍의 연결바 사이에 위치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으면 한 쌍의 연결바 사이로 접히고 펴면 일 측이 연결바에 지지되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다리와, 가로바와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가 병렬로 배치되며 가로바 상면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목심으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분할판, 및 적어도 한 쌍이 분할판의 하부로 돌출되어 한 쌍의 가로바의 내측에 각각 접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캠핑용 다목적 벤치{Versatile bench for camping}
본 발명은 캠핑용 다목적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립으로 착석 가능한 좌석의 수와 좌석의 면적, 및 좌석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착석의 용도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캠핑용 다목적 벤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여가시간의 효율적인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캠핑을 즐기는 캠핑족들이 많아지고 있다. 예전의 캠핑은 야외에서 단순히 텐트만을 설치하고 즐기는 수준이었지만, 캠핑 마니아들이 증가하고 캠핑을 위한 전문적인 캠핑장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전문 야외용 텐트, 식탁도구, 취사도구 및 착석을 위한 캠핑용 벤치, 의자 등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요즘의 캠핑은 집안의 살림살이를 거의 그대로 외부에 옮겨놓은 것과 같은 환경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캠핑용 장비는 일반적으로 고가이기 때문에 각각의 장비를 별도로 구입할 경우 많은 비용이 요구되며, 구입하더라도 복수의 장비를 이동 및 보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복수의 장비를 배치하는 데 넓은 공간이 요구되어 한정된 공간에서 캠핑이 이루어질 경우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캠핑 장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종래의 캠핑용 벤치는 좌석과, 좌석을 지지하는 프레임이 고정되어 있어,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착석 가능한 좌석의 수와 좌석 면적, 및 좌석 배치의 변경이 불가하여 다용도로 활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8430호 2003. 06. 18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단한 조립으로 착석 가능한 좌석의 수와 좌석의 면적, 및 좌석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착석의 용도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캠핑용 다목적 벤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다목적 벤치는, 서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바와, 상기 가로바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연결바 사이에 위치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으면 상기 한 쌍의 연결바 사이로 접히고 펴면 일 측이 상기 연결바에 지지되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다리와, 상기 가로바와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가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가로바 상면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목심으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분할판, 및 적어도 한 쌍이 상기 분할판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가로바의 내측에 각각 접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상기 분할판은 복수 개가 상기 목심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안착판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판은 상기 고정핀이 상기 가로바의 내측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가로바 상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분할판 중 적어도 하나는 중앙이 관통되어 형성된 파라솔 지지홀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나란히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면에 상기 안착판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판은 상기 가로바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면에 한 쌍의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단차부는 상기 한 쌍의 가로바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연결바와 접하는 부분에 오목하게 만입된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에 상기 연결바가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조립으로 안착판을 가감하여 착석 가능한 안착판의 수와 안착판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안착판을 형성하는 분할판을 가감하여 안착판의 면적도 변경할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하여 이동이 편할 뿐만 아니라 보관도 용이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가로바와 안착판 사이에 고정판을 조립하여 식사 시 테이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다목적 벤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캠핑용 다목적 벤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캠핑용 다목적 벤치를 A-A'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다목적 벤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다목적 벤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다목적 벤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다목적 벤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다목적 벤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다목적 벤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다목적 벤치(1)는 착석의 기본 용도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벤치로서, 캠핑장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캠핑용 다목적 벤치(1)가 캠핑장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한 필요처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캠핑용 다목적 벤치(1)는 실내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캠핑용 다목적 벤치(1)는 안착판(100)이 가로바(10)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이므로, 간단한 조립으로 안착판(100)을 가감하여 착석 가능한 안착판(100)의 수와 안착판(100)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안착판(100)을 형성하는 분할판(40)을 가감하여 안착판(100)의 면적도 변경할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하여 이동이 편할 뿐만 아니라 보관도 용이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캠핑용 다목적 벤치(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캠핑용 다목적 벤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캠핑용 다목적 벤치를 A-A'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다목적 벤치(1)는 한 쌍의 가로바(10)와 한 쌍의 연결바(20)와, 적어도 한 쌍의 지지다리(30)와, 복수 개의 분할판(40), 및 고정핀(50)을 포함한다.
한 쌍의 가로바(10)는 각각, 일정한 길이 및 두께를 갖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 강성이 높은 목재를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가로바(10)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나란히 배치되며, 양 끝단 하면에 각각 연결바(20)가 결합된다.
한 쌍의 연결바(20)는 각각, 일정한 길이 및 두께를 갖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 가로바(10)와 같이 강성이 높은 목재를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연결바(20)는 가로바(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로바(10)와 직교하여 가로바(10)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한다. 이 때, 연결바(20)는 각각 목심(木心, 도시되지 않음) 또는 나사못으로 가로바(10)에 고정 체결된다.
가로바(10)와 연결바(20)는 각각 장방형(長方形)의 단면을 갖는데, 이 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바(10)는 종 방향으로 배치되고 연결바(20)는 횡 방향으로 배치된다. 가로바(10)가 종 방향으로 배치되고 연결바(20)가 횡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한 쌍의 가로바(10) 사이의 간격을 최대로 이격시킬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바(10)와 연결바(20)를 모두 횡 방향으로 배치할 경우, 가로바(10)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후술할 지지다리(30) 사이의 간격도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지지다리(30)가 가로바(10) 및 연결바(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으며, 가로바(10) 및 연결바(2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지 못해 파손될 수 있다. 반대로, 가로바(10)와 연결바(20)를 모두 종 방향으로 배치할 경우, 구조적으로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연결바(20)가 가로바(1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가로바(10)의 일 측에는 지지다리(30)가 결합된다. 지지다리(30)는 일정한 길이 및 두께를 갖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 가로바(10) 및 연결바(20)와 같이 강성이 높은 목재를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지지다리(30)는 적어도 한 쌍을 이루며, 한 쌍의 지지다리(30)는 각각 가로바(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되 한 쌍의 연결바(20) 사이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지지다리(30)는 총 4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지지다리(30)는 가로바(10)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30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캠핑용 다목적 벤치(1)의 휴대 또는 보관 시, 각각의 지지다리(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바(20) 사이에 접힌 상태로 유지되고, 캠핑용 다목적 벤치(1)의 사용 시, 각각의 지지다리(30)는 힌지축(30a)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펴져 연결바(20)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다. 이 때, 지지다리(30)는 연결바(20)에 지지된다. 지지다리(30)는 4개로 형성되어 각각 개별적으로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씩 연결되어 회동할 수도 있다.
지지다리(30)는 연결바(20)와 접하는 부분에 오목하게 만입된 오목부(30b)가 형성되어, 지지다리(30)를 펴면 오목부(30b)에 연결바(20)가 지지될 수 있다. 지지다리(30)에 형성된 오목부(30b)에 연결바(20)가 지지됨으로써, 지지다리(30)가 펼쳐지면 오목부(30b)에 연결바(20)가 걸리게 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가로바(10) 및 연결바(2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지지다리(30)가 밀려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로바(10) 및 연결바(20)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할수록 연결바(20)가 오목부(30b)에 강하게 지지되어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로바(1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분할판(40)이 위치한다. 분할판(40)은 일정한 길이 및 두께를 갖는 판 형태의 부재로, 강성이 높은 목재를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분할판(40)은 가로바(10)와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 개가 병렬로 배치되어 가로바(10)의 상면에 위치하며,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수평 방향으로 만입홀(40a)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분할판(40)에 만입홀(40a)이 형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분할판(40)은 각각의 만입홀(40a)에 목심(41)을 삽입하거나 빼내어 서로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분할판(40)은 적어도 하나의 목심(41)으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안착판(100)을 형성한다. 목심(41)은 일정한 길이 및 두께를 갖는 봉 형태의 부재로, 강성이 높은 목재를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안착판(100)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면을 제공하며, 목심(41)으로 연결된 분할판(40)의 개수에 따라 그 면적이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체구 또는 용도에 따라 안착판(100)의 면적을 가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구가 크거나 사용자가 안착판(100)에 눕고자 하는 경우, 연결되는 분할판(40)의 수를 늘려 필요한 만큼 안착판(100)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의 체구가 작거나 사용자가 안착판(100)에 착석하고자 하는 경우, 연결되는 분할판(40)의 수를 줄여 안착판(100)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안착판(100)이 위치하지 않는 가로바(10)의 상면은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로바(10)의 상면 일 측에는 안착판(100)을 위치시켜 사용자가 착석하고, 타 측에는 젖은 옷을 널어 건조시키는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안착판(100)은 가로바(10)의 상면에 고정되는 구조가 아닌 안착되는 구조이므로,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분할판(40)은 연결바(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양단부가 각각 가로바(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분할판(40)이 연결바(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분할판(40)이 연결바(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분할판(40)과 연결바(20)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분할판(4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핀(50)이 결합된다. 고정핀(50)은 일정한 길이 및 두께를 갖는 봉 형태의 부재로, 강성이 높은 목재를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로바(10), 연결바(20), 지지다리(30), 분할판(40), 목심(41) 및 고정핀(50)은 모두 강성이 높은 목재를 가공하여 형성되며, 예를 들어, 강성 및 내구성이 좋은 물푸레나무를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가로바(10), 연결바(20), 지지다리(30), 분할판(40), 목심(41) 및 고정핀(50)이 모두 동일한 재질의 목재로 형성됨으로써, 미관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캠핑용 다목적 벤치(1)의 강성 및 내구성도 향상될 수 있다.
고정핀(50)은 분할판(40)의 하부로 돌출되어, 한 쌍의 가로바(10)의 내측에 각각 접하며 안착판(100)을 가로바(10)에 고정시킨다. 고정핀(50)이 가로바(10)의 내측에 접하며 안착판(100)을 가로바(10)에 고정시킴으로써, 안착판(100)이 앞뒤로 밀리지 않아 사용자가 안정감 있게 착석할 수 있다. 이 때, 안착판(100)은 고정핀(50)이 가로바(10)의 내측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로바(10) 상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즉, 안착판(100)은 고정핀(50)에 의해 앞뒤로 밀리지 않지만 옆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안착판(100)의 위치 변경이 용이하며,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안착판(100)을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캠핑용 다목적 벤치(1)의 사용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다목적 벤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다목적 벤치(1)는 안착판(100)이 가로바(10)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이므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간단한 조립으로 착석 가능한 안착판(100)의 수와 안착판(100)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안착판(100)을 형성하는 분할판(40)을 가감하여 안착판(100)의 면적도 변경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로바(10)의 양 끝단 하면에는 각각 연결바(20)가 결합되며, 가로바(10)의 내측에는 지지다리(30)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지지다리(30)는 펴져 연결바(20)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며, 연결바(20)에 지지된다. 복수 개의 분할판(40)은 목심(41)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안착판(100)을 형성하며, 안착판(100)은 분할판(40)이 가로바(10)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가로바(10)의 상면에 안착된다.
사용자가 두 명인 경우, 안착판(100)을 두 개로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체구가 작은 경우, 연결되는 분할판(40)의 수를 줄여 안착판(100)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구가 큰 경우, 분할판(40)의 수를 늘려 안착판(100)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때, 가로바(10)의 상면에 안착되는 두 개의 안착판(100)을 서로 이격 배치하여, 안착판(100)과 안착판(100) 사이에 별도의 캠핑 테이블(T)을 배치할 수 있다. 안착판(100)과 안착판(100) 사이에 별도의 캠핑 테이블(T)을 배치하면, 캠핑 공간이 작더라도 캠핑 테이블(T)과 캠핑용 다목적 벤치(1)를 모두 배치할 수 있으며, 캠핑 테이블(T)과 캠핑용 다목적 벤치(1)의 동선이 짧아 용이하게 캠핑을 즐길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세 명인 경우에는 안착판(100)을 세 개로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체구에 따라 분할판(40)의 수를 가감하여 안착판(100)의 면적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세 개의 안착판(100)을 서로 근접하게 배치하여 사용자가 모두 착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다목적 벤치(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다목적 벤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다목적 벤치(1)는 분할판(40)에 파라솔 지지홀(40b)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다목적 벤치(1)는 분할판(40)에 파라솔 지지홀(40b)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목심(41)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분할판(40) 중 적어도 하나에는 파라솔 지지홀(40b)이 형성될 수 있다. 파라솔 지지홀(40b)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판(40)의 상면 중앙을 완전히 관통하여 형성되며, 파라솔(P)을 지지하는 봉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파라솔 지지홀(40b)에 파라솔(P)을 지지하는 봉을 삽입하면, 햇볕을 가려 그늘을 형성하거나 우천 시 비를 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할판(40)은 적어도 한 쌍의 고정핀(50)에 의해 앞뒤 방향 흔들림이 제어되므로, 파라솔(P)은 일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파라솔 지지홀(40b)이 형성된 분할판(40)을 중앙에 배치하여 안착판(100)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파라솔 지지홀(40b)이 형성된 분할판(40)을 외곽에 배치하여 안착판(1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라솔 지지홀(40b)이 형성된 분할판(40)이 가로바(1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안착판(100)을 배치할 경우, 파라솔(P)은 캠핑용 다목적 벤치(1)의 중앙에 위치하여 그늘을 형성하거나 비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라솔(P)의 양측으로 안착판(100)에 착석하여 캠핑을 즐길 수 있다. 안착판(100)은 가로바(10)에 고정되는 구조가 아닌 안착되는 구조이므로, 파라솔 지지홀(40b)이 형성된 분할판(40)의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라솔 지지홀(40b)이 형성된 분할판(40)이 가로바(10)의 외곽에 위치하도록 안착판(100)을 배치할 경우, 파라솔(P)은 캠핑용 다목적 벤치(1)의 외곽에 위치하여 그늘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라솔(P)의 일 측으로 안착판(100)에 착석하거나 누워 캠핑을 즐길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햇볕이 쬐이는 방향에 따라 파라솔 지지홀(40b)이 형성된 분할판(40)의 위치를 변경하여 파라솔(P)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다목적 벤치(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다목적 벤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다목적 벤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다목적 벤치(1)는 상면에 안착판(100)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판(6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다목적 벤치(1)는 상면에 안착판(100)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판(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한 쌍의 고정판(60)은 각각, 일정한 길이 및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의 부재로, 강성이 높은 목재를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판(6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고정핀(50)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60a)이 형성되어 상면에 안착판(100)이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판(60)은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60a)이 형성되며, 각각의 고정홀(60a)에 분할판(40)의 고정핀(50)이 삽입되어 안착판(100)과 고정판(60)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판(60)은 분할판(40)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가로바(10)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때, 고정판(60)은 하면에 한 쌍의 단차부(61)가 형성되어 한 쌍의 가로바(10)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단차부(61)는 가로바(10)의 상면 폭과 동일하거나 약간 넓게 형성되므로, 가로바(10)의 상면에 걸려 고정판(60)을 가로바(10)에 지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바(10)의 상면에 고정판(60)을 지지하고 고정판(60)의 상면에 안착판(100)을 고정하면, 가로바(10)의 상면에 안착된 안착판(100)과 고정판(60)의 상면에 안착 된 안착판(100)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판(100) 사이에 단차가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캠핑 테이블(도 4의 T 참조)이 없더라도 캠핑용 다목적 벤치(1)를 테이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캠핑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캠핑용 다목적 벤치 10: 가로바
20: 연결바 30: 지지다리
30a: 힌지축 30b: 오목부
40: 분할판 40a: 만입홀
40b: 파라솔 지지홀 41: 목심
50: 고정핀 60: 고정판
60a: 고정홀 61: 단차부
100: 안착판 P: 파라솔
T: 캠핑 테이블

Claims (5)

  1. 서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가로바;
    상기 가로바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바;
    상기 가로바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연결바 사이에 위치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으면 상기 한 쌍의 연결바 사이로 접히고 펴면 일 측이 상기 연결바에 지지되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다리;
    상기 가로바와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가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가로바 상면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목심으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분할판;
    적어도 한 쌍이 상기 분할판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가로바의 내측에 각각 접하는 고정핀;
    상기 복수 개의 분할판이 상기 목심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이 상기 가로바의 내측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가로바 상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판; 및
    서로 나란히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면에 상기 안착판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판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판은 상기 가로바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면에 한 쌍의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단차부는 상기 한 쌍의 가로바에 각각 지지되는 캠핑용 다목적 벤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 중 적어도 하나는 중앙이 관통되어 형성된 파라솔 지지홀을 포함하는 캠핑용 다목적 벤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연결바와 접하는 부분에 오목하게 만입된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에 상기 연결바가 지지되는 캠핑용 다목적 벤치.
KR1020140104918A 2014-08-13 2014-08-13 캠핑용 다목적 벤치 Active KR101661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918A KR101661352B1 (ko) 2014-08-13 2014-08-13 캠핑용 다목적 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918A KR101661352B1 (ko) 2014-08-13 2014-08-13 캠핑용 다목적 벤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074A KR20160020074A (ko) 2016-02-23
KR101661352B1 true KR101661352B1 (ko) 2016-10-04

Family

ID=55449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918A Active KR101661352B1 (ko) 2014-08-13 2014-08-13 캠핑용 다목적 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3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423B1 (ko) 2021-12-29 2023-12-2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용도 벤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837Y1 (ko) * 2003-12-08 2004-02-21 박용경 휴대용 마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4053A (ja) * 1997-11-28 1999-09-14 Yoshimi Shoji:Kk テーブルや棚等の天板、並びに天板等を構成する板材の連結具
KR200318430Y1 (ko) 2003-03-26 2003-06-28 박서찬 벤치 겸용 테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837Y1 (ko) * 2003-12-08 2004-02-21 박용경 휴대용 마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074A (ko) 201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1337A (en) Combination furniture
CA2990536C (en) Furniture objects for storing foldable beds
US20230108840A1 (en) Furniture objects for storing foldable beds
US20170340100A1 (en) Foldable Banquet Table and Bench Set
KR100951282B1 (ko) 휴대용 낚시 좌대
US6618879B1 (en) Portable bed frame
FR2786995A3 (fr) Amelioration structurelle d'un poste de travail informatique
KR101524151B1 (ko) 절첩 가능한 보조상판을 갖는 테이블
KR101661352B1 (ko) 캠핑용 다목적 벤치
KR101832620B1 (ko) 접철식 캠핑용 그릴
US7004063B1 (en) Barbeque grill assembly with a foldable side rack
KR200483499Y1 (ko) 보강력이 향상된 접이식 낚시좌대
CN109640740A (zh) 可折叠桌
KR20060011477A (ko) 높낮이가 조절되는 낚시용 좌판의자
KR101691057B1 (ko) 테이블 체어
KR101274910B1 (ko) 소파 겸 침대기능을 갖는 다용도 가구
KR101254951B1 (ko) 침대 겸용 소파
KR101118366B1 (ko) 침대 소파 겸용 다기능 가구
KR102275210B1 (ko) 야외용 원목 테이블
KR102291322B1 (ko) 조립식 의자
KR200469291Y1 (ko) 해먹 겸용 의자
CN114803052B (zh) 多功能收纳箱
KR102548719B1 (ko) 캠핑용 테이블
KR102279091B1 (ko) 포터블 접이테이블
JPS641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