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61183B1 - 기울기 센서를 구비한 전기밥솥 - Google Patents

기울기 센서를 구비한 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183B1
KR101661183B1 KR1020150006802A KR20150006802A KR101661183B1 KR 101661183 B1 KR101661183 B1 KR 101661183B1 KR 1020150006802 A KR1020150006802 A KR 1020150006802A KR 20150006802 A KR20150006802 A KR 20150006802A KR 101661183 B1 KR101661183 B1 KR 101661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tate
inner pot
touch
he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7616A (ko
Inventor
박광환
이영수
이경일
이미영
이승철
엄민지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50006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183B1/ko
Priority to CN201610023960.9A priority patent/CN105768844B/zh
Publication of KR20160087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1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센서를 구비한 전기밥솥은, 전기밥솥의 내솥을 덮는 뚜껑의 개방 및 폐쇄에 대응하여 기울기 신호를 출력하는 기울기 센서; 상기 내솥을 가열하여 상기 내솥에 담겨진 내용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기울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뚜껑이 소정 각도 이상 개방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가열부를 포함하는 전기밥솥을 구성하는 복수의 구성부 중 특정 구성부의 동작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기울기 센서를 구비한 전기밥솥{ELECTRIC RICE COOKER HAVING TILT SENSOR}
본 발명은 전기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이 개방되어 있거나 밥솥이 기울어진 경우를 감지하여 대응할 수 있는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부분의 가정 및 업소에서는 전기밥솥을 사용하여 취사 및 조리를 수행한다.
한편, 전기밥솥은 취사를 위해서 또는 보온의 과정중에 뚜껑을 여닫을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사용자의 안전 및 취사의 완료를 위해서 뚜껑의 여닫음을 감지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999-012483호(1999.01.25.) (명칭: 전기밥솥의 뚜껑열림/오븐 감지장치 및 방법)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오븐의 일정영역에 부착된 자성체와; 뚜껑의 일정영역에 장착되어 자기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감지부의 출력에 따라 뚜껑열림 또는 오븐 유/무를 인식하고 그에 따라 취사 행정을 정지시키는 마이컴을 구비한 전기밥솥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자성체와 감지부의 상호간의 자력에 의해 감지 기능이 이루어지므로, 전기밥솥 주변에 다른 전자기력이 발생하면 감지의 정확도가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지 뚜껑의 열림/닫힘 여부에 따라 취사의 실행/중단을 결정할 뿐이어서, 전기밥솥이 제공하는 다른 기능에 대한 처리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단지 뚜껑의 열림/닫힘 및 오븐의 유무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전기밥솥이 처하는 다양한 위치 변동에 대한 부가적인 안전 기능을 제공할 수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999-012483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변에서 작용하는 다양한 환경요인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뚜껑의 개폐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그에 따라 다양한 추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전기밥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뚜껑의 개폐에 따라서 발생하는 내솥 내부의 환경 변화를 상쇄시켜 밥의 변질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밥솥이 비정상적인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에 대한 안전 조치를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센서를 구비한 전기밥솥은, 전기밥솥의 내솥을 덮는 뚜껑의 개방 및 폐쇄에 대응하여 기울기 신호를 출력하는 기울기 센서; 상기 내솥을 가열하여 상기 내솥에 담겨진 내용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기울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뚜껑이 소정 각도 이상 개방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가열부를 포함하는 전기밥솥을 구성하는 복수의 구성부 중 특정 구성부의 동작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기울기 센서는, 3축 기울기 감지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태는 보온 실행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가열량 보정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뚜껑이 개방된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구성부는, 사용자가 터치하여 상기 전기밥솥에 대한 기능 조작 의도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부이고,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터치부를 활성화시키는 터치 조작 대기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터치부를 비활성화시키는 터치 조작 차단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기 터치부는, 상기 뚜껑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뚜껑이 개방된 경우에 상기 터치 조작 차단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뚜껑이 완전히 폐쇄되어 외솥 또는 상기 내솥을 완전히 밀폐시키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터치 조작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뚜껑이 개방되는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을 표시하는 상기 기울기 신호를 수신하면, 조리 또는 보온을 위한 가열 동작, 또는 예약 조리 또는 예약 보온을 위한 대기 동작을 실행하는 기능 실행 상태를, 상기 기능 실행 상태를 해제하여 모든 기능을 정지시키는 기능 정지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센서를 구비한 전기밥솥의 또다른 실시예는, 외솥, 상기 외솥에 안착되는 내솥, 및 상기 외솥 및 내솥을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전기밥솥에 있어서, 상기 외솥 또는 상기 내솥의 일측에 배치되어 3축 방향으로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기울기 신호를 출력하는 기울기 센서; 상기 내솥을 가열하여 상기 내솥에 담겨진 내용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기울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외솥 또는 상기 내솥이 수평 방향으로부터 소정 각도 이상 기울어진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가열부의 현재 동작 상태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센서를 구비한 전기밥솥에 의하면, 전기밥솥 주변에서 작용하는 다양한 환경요인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뚜껑의 개폐 및 전기밥솥의 기울어짐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뚜껑의 개폐 및 전기밥솥의 기울어짐과 관련한 다양한 추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뚜껑의 개폐에 따라서 발생하는 내솥 내부의 환경 변화를 상쇄시켜 밥의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전기밥솥이 비정상적인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에 대한 안전 조치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밥솥의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센서를 구비한 전기밥솥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에서 기울기 센서를 활용하는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처리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에서 기울기 센서를 활용하는 제2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에서 기울기 센서를 활용하는 제3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센서를 구비한 전기밥솥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그 기능을 고려하여 예시적으로 명명된 것이므로, 용어 자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한정시켜 이해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밥솥의 구성을 보여준다. 전기밥솥은 내솥을 수용하는 외솥과, 외솥(20)을 덮음으로써 내솥을 덮는 뚜껑(30)을 포함한다. 한편, 뚜껑 또는 외솥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전기밥솥의 상태를 볼 수 있는 시청각 표시 수단(32)이 구비될 수 있다. 시청각 표시 수단(32)은 터치 스크린과 같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항목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원하는 기능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표시 수단 외의 위치에 별도의 조작 버튼을 조작 수단으로서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에는, 사용자가 전기밥솥의 뚜껑을 열거나 닫은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또는 전기밥솥 자체가 기울어진 상태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기울기 센서(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울기 센서(120)에 의해 뚜껑(30)의 개폐나 전기밥솥의 기울어짐이 감지되면, 그에 따른 처리가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은, 가열부(110)와, 기울기 센서(120)와, 제어부(130)와, 터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110)는,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내솥을 가열하거나 내솥 자체를 발열시킨다. 가열부로의 전원의 공급은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기울기 센서(120)는, 예를 들면, X, Y, Z의 3축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전기밥솥의 뚜껑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울기 센서는 감지된 기울기를 나타내는 신호(기울기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터치부(140)는, 전기밥솥의 뚜껑 또는 외솥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와의 조작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터치부는 터치 스크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로써, 사용자는 표시되는 항목을 실시간으로 터치함으로써 조작 의도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30)는, 가열부(1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기밥솥의 조리 또는 보온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타이머를 구비하여, 조리 또는 보온의 예약 실행을 지원한다. 또한, 터치부를 동작시키고, 터치부에 발생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아 대응하는 기능을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킨다.
특히, 제어부(130)는, 기울기 센서(120)에서 출력하는 기울기 신호에 기초하여 뚜껑이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졌는지 판정하고, 그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대응하는 처리로는, (1) 내솥에 담겨진 내용물을 보온 유지하는 동안(보온 실행 상태)에 뚜껑의 열림이 감지되면 보온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유지시키기 위하여 가열부(110)의 동작을 조정(가열량 보정 상태)하는 처리, (2) 임의의 동작 상태(터치 조작 대기 상태)로부터 뚜껑이 열려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터치부(140)에 접촉할 때에는 터치 입력을 허용하지 않도록(터치 조작 차단 상태) 하는 처리, (3) 임의의 동작이 실행되는 중에(기능 실행 상태) 뚜껑(30)이 열리거나 닫히는 방향이 아니라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진 것이 감지되면 현재의 동작 상태를 모두 정지시키는(기능 정지 상태) 처리를 상정할 수 있다. 각 처리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대응하는 실시예로써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울기 센서(120)는 외솥(20)이나 내솥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비록, 뚜껑(30)의 개폐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는 없지만, 기울기 센서(120)를 통해 소정 각도 이상의 기울기가 감지되면, 전기밥솥이 크게 기울어지거나 넘어진 것으로 간주하고, 현재 실행중인 모든 기능을 정지하는 안전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에서 기울기 센서를 활용하는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전기밥솥의 뚜껑(30)의 개폐를 감지하고, 내솥에 담겨져서 보온중인 내용물의 온도 높이거나 식지않도록 하기 위해 가열부(110)의 동작을 조정하는 기능을 개시한다.
먼저, 전기밥솥이 임의의 제1 상태(예를 들면, 보온 실행 상태)로 유지되는 도중에(S110) 뚜껑 기울기를 감지하고(S120), 기울기가 소정 각도 이상 감지되어 뚜껑(30)이 개방된 것으로 판정되면(S130), 현재 유지되던 제1 상태를 제2 상태로 전환하는 처리를 수행한다(S140).
도 4는 도 3의 처리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어부(130)에 의해 가열부(110)가 제어되면서 내솥에 담겨진 내용물이 특정의 온도로 유지되는 보온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 기울기 센서(120)는 지속적으로 기울기를 감지하여 기울기 신호를 출력한다(S111). 제어부(130)에서 기울기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면서, 뚜껑(30)이 소정 각도 이상 기울어진 것(열린 상태)으로 감지되면(S112), 제어부(130)는 뚜껑(30)이 열려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한다(S113). 그리고 측정된 시간에 대응하여 가열부(110)의 동작을 제어하여 내용물에 대한 가열량을 조정한다(S114).
가열량의 조정은 예를 들면, [표 1]과 같다.
뚜껑이 열려 있는 시간 가열량 증가폭(가열 시간)
1분 미만 없음
1분 ~ 5분 +0.5초
5분 ~ 10분 +0.7초
10분 ~ 20분 +1.0초
20분 ~ 30분 +1.5초
30분 초과 경고음 발생
일반적으로 보온 동작에 있어서의 가열부(110)의 동작은, 일정 주기 내에서 몇 초간 동작하고 몇 초간 정지(대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열부(110)의 동작에 대한 제어는, 가열을 수행하는 동작 시간을 가감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온 기능의 실행 동안에 뚜껑(30)이 열려진 것이 감지되면, 내솥에 담겨진 내용물이 식게 되는 것을 억제하고자 가열부(110)의 동작 시간을 증가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표 1]을 참고하면, 보온 기능이 실행중인 상태에서 특정 시간 이상(예를 들면 30분 이상) 뚜껑(30)이 열려진 것으로 판정되면, 경고음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뚜껑(30)을 닫도록 알릴 수 있다.
한편, 뚜껑(30)이 열려져서 가열량이 조정되는 상태에서, 기울기 신호에 의해 뚜껑이 닫혀진 것으로 판정되면(S115), 제어부(130)는 단계(S111)에서 수행하던 정상적인 보온 동작을 재개하게 된다(S116). 이때, 내솥에 담겨진 내용물의 양 또는 종류가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내용물에 대응하여 보온 동작용 가열 제어 알고리즘을 재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뚜껑이 개폐되어 내솥 내부의 환경이 변화되더라도 보온중인 내용물의 품질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보온 중 뚜껑이 오래 열려 있는 경우에는 내용물(예를 들면, 밥)의 온도가 빨리 식기 때문에, 이전에 설정된 보온 온도로 다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보온을 위한 가열 알고리즘에 의해서는) 비교적 오랜 시간이 걸린다. 또한, 뚜껑이 오래 열려 있으면, 밥이 변색되거나 마를 수 있다. 따라서, 뚜껑이 열려있는 시간에 맞추어 가열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기준 시간을 두고 그 이상 뚜껑이 열려져 있으면 사용자에게 경고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이러한 뚜껑의 열림에 대응하여 보온 가열량을 조정하는 기능은, 전기밥솥뿐만 아니라, 뚜껑을 구비하고 내용물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모든 전기 조리 장치, 예를 들면, 저온 조리기, 약탕기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에서 기울기 센서를 활용하는 제2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뚜껑(30)에 터치부(140)가 배치되고 사용자가 뚜껑(30)을 덮으려 할 때 터치부(140)에 접촉이 발생한 경우,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처리하는 기능을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은 언제라도 사용자가 터치부(14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터치 조작 대기 상태로 유지된다(S210). 이 상태에서 뚜껑이 열린 것으로 감지되면(S220), 제어부(130)는, 터치부(140)를 정지시키거나 터치부(140)로부터 전송되는 조작 입력을 허용하지 않는 터치 조작 차단 상태로 전환한다(S230). 이로써, 뚜껑(30)이 열려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뚜껑(30)의 일부, 특히 터치부(140)를 접촉하게 될 때, 무의식적인 접촉에 의해 이루어진 의도하지않은 조작에 대응하여 전기밥솥이 제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뚜껑(30)이 완전히 닫혀진 것으로 감지되면(S240), 제어부(130)는 터치 조작 차단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더욱,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30)이 완전히 닫혀진 것으로 판정된 후 소정의 시간, 예를 들면, 1초가 더 경과한 후에(S250) 비로소 터치 조작 대기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현하고 있다(S260).
이는, 사용자가 뚜껑(30)을 덮은 후 손을 뚜껑으로부터 떼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단계(S240)에서 뚜껑(30)이 완전히 닫혀진 것으로 판정된 후, 터치부(140)에 사용자의 접촉이 있는지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접촉이 없다고 판단된 후에 단계(S250)을 수행하는 것도 상정할 수 있다. 이렇게, 뚜껑(30)이 덮여진 후 뚜껑을 덮은 손이 완전히 제거된 후에 터치 조작에 대기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한 전기밥솥의 오동작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밥솥에서 기울기 센서를 활용하는 제3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밥솥의 외솥(20) 또는 내솥이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개시한다.
먼저, 전기밥솥이 임의의 지정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310). 지정된 기능은, 예를 들면, 조리 또는 보온을 위한 가열 동작, 또는 예약 조리 또는 예약 보온을 위한 대기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열부(110)가 동작중이거나 동작이 예약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110)는 다량의 전력을 소비하므로, 전기밥솥이 넘어지면 내용물이 흘러나와 가열부(110)의 누전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감전 또는 화재 발생을 유발할 수 있는 것이다.
기울기 센서(120)에 의한 기울기 감지 동작은 실시간으로 지속될 수 있다. 이때 밥솥의 기울어짐이 감지되면(S330), 제어부(130)는, 현재 실생중인 기능 또는 예약된 기능을 모두 정지시킬 수 있다(S340).
여기서, 기울기 센서(120)는 전기밥솥의 뚜껑(30)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전기밥솥의 외솥(20)의 일측 또는 내솥에 설치될 수도 있다.
기울기 센서(120)가 뚜껑(30)에 설치된 경우에는, 뚜껑(30)이 개폐되면서 회전하는 방향(예를 들면, 도 1에서 Y, Z 방향)으로 감지된 기울기는 단지 뚜껑(30)의 개폐로만 인정될 뿐 전기밥솥의 기울어짐으로 간주되지 않을 것이다. 다만, X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대해서만 단계(S330)에서 기울어짐으로 판단하고 기능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발생시킬 것이다.
한편, 기울기 센서(120)가 외솥(20) 또는 내솥에 설치된 경우에는, X, Y, Z의 모든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대해서, 전기밥솥이 기울어진 것으로 간주하고, 기능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울기 센서(120)가 외솥(20) 또는 내솥에 배치되는 것이 더욱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다.
여기서, 기능 정지 상태는, 예를 들면, 가열부(110)의 동작 또는 예약을 정지시키거나 취소시키는 것, 터치부(140)에 대한 조작 입력을 차단하거나 입력된 내용을 취소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밥솥의 기울어짐이 감지되면, 별도의 경고를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처리도 가능하다.
또한, 기울기 센서(120)는, 뚜껑, 외솥, 또는 내솥의 어느 한 군데에만 설치되는 방안뿐만 아니라, 뚜껑 및 외솥, 뚜껑 및 내솥에 복수 개 설치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로써, 전기밥솥의 다양한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3축 기울기 감지 기능을 구비하며 전기밥솥의 내솥을 덮는 뚜껑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뚜껑의 개방 및 폐쇄에 대응하여 기울기 신호를 출력하는 기울기 센서;
    상기 내솥을 가열하여 상기 내솥에 담겨진 내용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기울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뚜껑이 소정 각도 이상 개방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가열부를 포함하는 전기밥솥을 구성하는 복수의 구성부 중 특정 구성부의 동작 상태를 보온 실행 상태에서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가열량 보정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기울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뚜껑이 개방된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울기 센서를 구비한 전기밥솥.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구성부는, 사용자가 터치하여 상기 전기밥솥에 대한 기능 조작 의도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부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뚜껑이 소정 각도 이상 개방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터치부를 터치 조작 대기 상태로부터 터치 조작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센서를 구비한 전기밥솥.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상기 뚜껑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뚜껑이 개방된 경우에 상기 터치 조작 차단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뚜껑이 완전히 폐쇄되어 상기 내솥을 완전히 밀폐시키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터치 조작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센서를 구비한 전기밥솥.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뚜껑이 개방되는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을 표시하는 상기 기울기 신호를 수신하면,
    조리 또는 보온을 위한 가열 동작, 또는 예약 조리 또는 예약 보온을 위한 대기 동작을 실행하는 기능 실행 상태를, 상기 기능 실행 상태를 해제하여 모든 기능을 정지시키는 기능 정지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센서를 구비한 전기밥솥.
  8. 삭제
KR1020150006802A 2015-01-14 2015-01-14 기울기 센서를 구비한 전기밥솥 Active KR101661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802A KR101661183B1 (ko) 2015-01-14 2015-01-14 기울기 센서를 구비한 전기밥솥
CN201610023960.9A CN105768844B (zh) 2015-01-14 2016-01-14 具有倾斜度传感器的电饭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802A KR101661183B1 (ko) 2015-01-14 2015-01-14 기울기 센서를 구비한 전기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616A KR20160087616A (ko) 2016-07-22
KR101661183B1 true KR101661183B1 (ko) 2016-09-29

Family

ID=56403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802A Active KR101661183B1 (ko) 2015-01-14 2015-01-14 기울기 센서를 구비한 전기밥솥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1183B1 (ko)
CN (1) CN10576884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764B1 (ko) * 2018-08-10 2019-03-11 이진희 자동 전열 스위치가 구비되는 전기압력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3489B2 (en) 2017-06-01 2023-08-15 Apption Labs Limited Temperature sensing devices and wireless communication improvements for cooking appliances
US11056763B2 (en) 2017-06-01 2021-07-06 Apption Labs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improvements for cooking appliances
DE202018006409U1 (de) 2017-08-09 2020-04-23 Sharkninja Operating Llc Kochgerät und Komponenten davon
CN109744898B (zh) * 2017-11-01 2022-03-0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料理机和防倾倒控制系统
JP6999930B2 (ja) * 2017-12-27 2022-01-19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炊飯器
JP7171400B2 (ja) * 2018-12-05 2022-11-15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7214453B2 (ja) * 2018-12-05 2023-01-30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109512266B (zh) * 2018-12-21 2024-08-06 广东顺德金易厨电器有限公司 一种滚筒式烹饪机
CN109620014A (zh) * 2018-12-21 2019-04-16 广东顺德金易厨电器有限公司 滚筒式烹饪机的工作模式选择方法及滚筒式烹饪机
CN111407652A (zh) * 2019-01-08 2020-07-14 北京东华原医疗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煎药机的控制方法
WO2020156435A1 (en) * 2019-02-02 2020-08-06 Zhejiang Supor Electrical Appliances Manufacturing Co., Ltd. Cooking appliance
US11751710B2 (en) 2019-02-25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Guard for cooking system
EP4485819A3 (en) * 2019-08-30 2025-07-16 Apption Labs Ltd. Temperature sensing devices and wireless communication improvements for cooking appliances
US11134808B2 (en) 2020-03-30 2021-10-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12075830A (zh) * 2020-09-01 2020-12-15 佛山市川东磁电股份有限公司 一种电饭煲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6871B2 (ja) * 1997-08-21 2003-02-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炊飯器
JP2012135451A (ja) * 2010-12-27 2012-07-19 Rinnai Corp ガス炊飯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36751B (en) 1998-04-09 2003-08-06 Usui Kokusai Sangyo Kk Magnetic heater
JP2000225056A (ja) * 1999-02-04 2000-08-15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炊飯器
CN2792359Y (zh) * 2005-04-29 2006-07-05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电压力锅锅盖
CN1943483B (zh) * 2005-10-05 2010-12-2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饭锅
CN102073329A (zh) * 2010-10-20 2011-05-25 湛江鸿智电器有限公司 电脑电饭锅粥/汤烹饪过程添加材料的自动精确控温工艺
CN201987331U (zh) * 2010-12-17 2011-09-28 九阳股份有限公司 安全豆浆机
CN203195468U (zh) * 2013-03-13 2013-09-18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一种安全使用的调理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6871B2 (ja) * 1997-08-21 2003-02-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炊飯器
JP2012135451A (ja) * 2010-12-27 2012-07-19 Rinnai Corp ガス炊飯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764B1 (ko) * 2018-08-10 2019-03-11 이진희 자동 전열 스위치가 구비되는 전기압력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68844A (zh) 2016-07-20
KR20160087616A (ko) 2016-07-22
CN105768844B (zh)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183B1 (ko) 기울기 센서를 구비한 전기밥솥
EP3334978B1 (en) A household appliance controlled by using a virtual interface
KR102350474B1 (ko) 자동보온기능을 구비한 가열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168076B2 (ja) 監視装置
KR101183930B1 (ko) 전기 레인지 안전 차단 제어 방법
JP4046696B2 (ja) 圧力炊飯器
JP6558926B2 (ja) 加熱調理器
JP2008215741A (ja) レンジフード
JP5100135B2 (ja) 加熱調理器
JP2005302632A (ja) 加熱調理器
KR102354272B1 (ko) 전기 조리기
JP2010014372A (ja) ガステーブルの天ぷら火災防止装置
KR102357789B1 (ko) 밥솥 및 밥솥의 제어방법
JP4992553B2 (ja) 加熱装置
JP2008226750A (ja) 電磁調理器
JP4692366B2 (ja) レンジフード及び前記レンジフードを有する加熱調理装置
JP2006029710A (ja) 加熱調理器
JP2010113973A (ja) 誘導加熱調理器
JP6058587B2 (ja) ガスコンロ
KR101981592B1 (ko) 가스레인지용 비등검지장치
KR101818056B1 (ko) 조작키 이상 상태에 대응가능한 전기 레인지 및 전기 레인지의 조작키 이상 상태에 대한 대응 방법
JP2006078079A (ja) 調理装置とプログラム
US20250093044A1 (en) Proximity sensing assembly for an oven appliance
JP2007173065A (ja) 加熱調理器
KR101249441B1 (ko) 오븐 제어장치의 과열 방지 시스템 및 과열 방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11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