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60480B1 - Elastic diene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lastic diene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480B1
KR101660480B1 KR1020140050154A KR20140050154A KR101660480B1 KR 101660480 B1 KR101660480 B1 KR 101660480B1 KR 1020140050154 A KR1020140050154 A KR 1020140050154A KR 20140050154 A KR20140050154 A KR 20140050154A KR 101660480 B1 KR101660480 B1 KR 101660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cal
carbon atoms
group
copolymer
elastomeric copolym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1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23593A (en
Inventor
고준석
전현우
김선근
윤성철
박성호
최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050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480B1/en
Publication of KR20150123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5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48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C08F210/18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with non-conjugated dienes, e.g. EPT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04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in combination with another component of C08F4/6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08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in combination with an ionising compound other than alumoxane, e.g. (C6F5)4B-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12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in combination with an organoaluminium compou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가공성 및 탄성(유연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3원계 탄성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3원계 탄성 공중합체는 에틸렌, 탄소수 3 내지 20의 알파올레핀 및 디엔의 공중합체로서,
i) GPC로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0 내지 100,000이고,
ii) 125℃에서 고무 가공처리 분석기(Rubber Process Analyzer)로 측정한 100.0rad/s의 각진동수에서의 동적점도에 대한 1.0rad/s의 각진동수에서의 동적점도의 비인 전단 유동화도(Shear thinning)가 8 내지 40일 수 있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capable of simultaneously satisfying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flexibility (flexibility)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is a copolymer of ethylene, an alpha olefin having 3 to 20 carbon atoms and a diene,
i)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s measured by GPC of from 30,000 to 100,000,
ii) The shear thinning, which is the ratio of the dynamic viscosity at an angular frequency of 1.0 rad / s to the dynamic viscosity at an angular frequency of 100.0 rad / s measured by a rubber process analyzer at 125 ° C. is 8 To 40 days.

Description

디엔을 포함하는 3원계 탄성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ELASTIC DIENE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including a dien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BACKGROUND ART [0002]

본 발명은 에틸렌, 알파올레핀 및 디엔의 공중합체인 3계 탄성 공중합체와,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우수한 가공성 및 탄성(유연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3원계 탄성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component elastomeric copolymer which is a copolymer of ethylene, an alpha-olefin and a diene,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capable of simultaneously satisfying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flexibility (flexibility),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알파올레핀, 그리고 에틸리덴 노보넨 등의 디엔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인 EPDM 고무는 주쇄에 불포화 결합을 갖지 않는 분자 구조를 가지며, 내후성, 내화학성 및 내열성 등이 일반적인 공액 디엔 고무보다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상기 EPDM 고무와 같은 3원계 탄성 공중합체는 각종 자동차용 부품 재료, 전선 재료, 건축 및 각종 호스, 가스킷, 벨트, 범퍼 또는 플라스틱과의 블랜드 등의 공업용 재료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EPDM rubbers, which are three-component elastomeric copolymers such as alpha-olefins such as ethylene and propylene and dienes such as ethylidene norbornene, have a molecular structure that does not have an unsaturated bond in the main chain, and are superior in weather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to general conjugated diene rubbers And has excellent characteristics. Due to such properties,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such as EPDM rubber is widely used for various automobile parts materials, wire materials, construction and industrial materials such as various hoses, gaskets, belts, blends with bumpers or plastics.

이전부터 이러한 EPDM 고무 등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는 주로 바나듐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 예를 들어, 바나듐계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3종의 단량체를 공중합함으로서 제조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바나듐계 촉매는 낮은 촉매 활성으로 과량의 촉매를 사용할 필요가 있고, 이로 인해 공중합체 내 잔류 금속 함량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공중합체 제조 후 촉매 제거 및 탈색 과정 등이 필요하고 수지 내 촉매 잔류분에 의해 내열성 악화, 이물질 발생 또는 가황반응 저해등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나듐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를 이용한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제조는 낮은 중합활성과 저온 중합조건으로 반응 온도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고, 프로필렌과 디엔 등 공단량체 흡입량 조절이 용이치 못해 공중합체의 분자 구조 제어가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바나듐계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물성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제조에 한계가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바나듐계 지글러-나타 촉매 대신 메탈로센 계열의 4족 전이금속 촉매를 사용하여 EPDM 고무 등 3원계 탄성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Previously, such a ternary elastomer such as EPDM rubber has been produced by copolymerizing three kinds of monomers using a catalyst containing a vanadium compound, for example, a vanadium-based Ziegler-Natta catalyst. However, such a vanadium-based catalyst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requires the use of an excess amount of catalyst with a low catalytic activity, thereby increasing the residual metal content in the copolymer. Accordingly, catalyst removal and decolorization processes are required after the production of the copolymer, and deterioration of heat resistance, generation of foreign matter, or inhibition of the vulcanization reaction may be caused by residual catalyst components in the resin. In addition, the production of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using the vanadium compound-containing catalyst is not easy to control the reaction temperature due to low polymerization activity and low-temperature polymerization conditions, and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amount of comonomers to be inhaled such as propylene and diene, It is true that it was difficult to control the molecular structure. Therefore, when a vanadium-based catalyst is used, the production of a three-component elastomer having various physical properties has been limited. Due to these problems, recently, a method of producing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such as an EPDM rubber by using a metallocene type transition metal catalyst of the metallocene type instead of a vanadium-based Ziegler-Natta catalyst has been developed.

이러한 4족 전이금속 촉매는 올레핀 중합에 있어 높은 중합 활성을 나타내며, 분자량이 보다 높은 공중합체의 제조를 가능케 할 뿐 아니라,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 및 조성 등의 조절이 용이하다. 또, 다양한 공단량체의 공중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5,229,478 호, 미국 특허 제 6,545,088 호 및 한국 등록 특허 제 0488833 호 등에는 시클로펜타디에닐, 인데닐 또는 플루오레닐 등의 리간드로부터 얻어진 다양한 메탈로센계 4족 전이금속 촉매를 이용하여, 큰 분자량을 갖는 3원계 탄성 공중합체를 우수한 중합 활성으로 얻을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Such a four-group transition metal catalyst exhibits a high polymerization activity in the olefin polymerization and not only makes it possible to produce a copolymer having a higher molecular weight, but also easily controls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the copolymer.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polymerization of various comonomers is possible. For example, U.S. Patent No. 5,229,478, U.S. Patent No. 6,545,088, and Korean Patent No. 0488833 disclose various metallocene group 4 transition metal catalysts obtained from ligands such as cyclopentadienyl, indenyl or fluorenyl, , It is disclosed that a ternary elastomer having a large molecular weight can be obtained with excellent polymerization activity.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4족 전이금속 촉매를 사용해 3종의 단량체를 공중합할 경우, 알파올레핀의 공단량체 등에 대한 높은 반응성으로 인해 공중합체 사슬 내에 각 단량체에서 유래한 반복단위의 분포가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그 결과, 우수한 탄성 및 유연성 등을 갖는 EPDM 고무 등 3원계 탄성 공중합체를 얻기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However, when three kinds of monomers are copolymerized using such a conventional four-group transition metal catalyst, the distribution of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each monomer in the copolymer chain becomes uneven due to the high reactivity of alpha-olefins to comonomers and the like Disadvantages have occurred. As a result, it has been difficult to obtain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such as an EPDM rubber having excellent elasticity and flexibility.

또한, 이러한 EPDM 고무는 상기 여러 가지 재료로 적용될 때, 일반적으로 황이나 과산화물(peroxide)을 이용하여 가교를 한 형태로 사용된다. 가교를 하기 위해서는 목적에 따라 원료수지인 EPDM과 함께 여러 가지 배합제를 첨가하여 혼합하게 되는데, 배합제로 가교제인 황이나 과산화물(peroxide)을 사용할 수 있고, 고무를 유연하게 하여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향족, 나프텐계, 파라핀계 오일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물리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카본블랙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가교반응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Thiazoles, sulfenamideds와 같은 촉진제와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어 가교촉진제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ZnO, stearic acid와 같은 활성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산화방지제, 오존안정제 등을 함께 섞어 배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such an EPDM rubber is applied to various materials described above, it is generally used in the form of crosslinking using sulfur or peroxide. In order to perform crosslinking, a variety of compounding agents are added and mixed with EPDM as a raw material resin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As a blending agent, sulfur or peroxide, which is a crosslinking agent, can be used. Aromatic, naphthenic or paraffinic oil may be used, or carbon black for improving physical properties may be used. In addition, accelerators such as Thiazoles and sulfenamideds for shortening the crosslinking reaction time and activators such as ZnO and stearic acid for maximizing the effect of the crosslinking accelerator by lowering the activation energy can be used. In addition, antioxidants and ozone stabilizers You can mix them together.

이렇게 원료 EPDM과 각종 배합제를 혼합하고, 분쇄, 압출 또는 사출과 같은 가공과정을 거쳐 최종제품을 만드는 일련의 과정을 가공이라 하는데, 원료고무와 배합제가 혼합이 잘 되고, 이들 혼합물의 압출특성이 우수하고, 압출시간이 단축되는 등의 특성을 나타낼 때 가공성이 우수하다고 하며, 분자량이 작은 EPDM이 배합제와의 혼합 및 압출특성 등에 있어서 분자량이 큰 EPDM에 비해 더 우수한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he process of mixing the raw EPDM with various compounding agents and forming the final product through a process such as grinding, extrusion or injection is referred to as processing. The raw rubber and the compounding agent are mixed well, and the extrusion characteristics It is said that EPDM having a small molecular weight exhibits better properties than EPDM having a high molecular weight in mixing and extrusion characteristics with a compounding agent.

이에 우수한 가공성 및 탄성(유연성)을 나타내는 3원계 탄성 공중합체 및 이를 높은 생산성 및 수율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의 개발이 계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it is continuously required to develop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showing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elasticity (flexibility) and a manufacturing method capable of producing the same with high productivity and yield.

미국등록특허 제5,229,478 호U.S. Patent No. 5,229,478 미국등록특허 제6,545,088 호U.S. Patent No. 6,545,088 한국등록특허 제0488833호Korean Patent No. 0488833

이에 본 발명은 우수한 가공성 및 탄성(유연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3원계 탄성 공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capable of simultaneously satisfying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flexibility (flexibility).

본 발명은 또한, 상기 3원계 탄성 공중합체를 생산성 높게 제조할 수 있는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ocess for producing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capable of producing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with high productivity.

본 발명은 에틸렌, 탄소수 3 내지 20의 알파올레핀 및 디엔의 공중합체로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polymer of ethylene, an alpha olefin having 3 to 20 carbon atoms and a diene,

i) GPC로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0 내지 100,000이고, i)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s measured by GPC of from 30,000 to 100,000,

ii) 125℃에서 고무 가공처리 분석기(Rubber Process Analyzer)로 측정한 100.0rad/s의 각진동수에서의 동적점도에 대한 1.0rad/s의 각진동수에서의 동적점도의 비인 전단 유동화도(Shear thinning)가 8 내지 40인 3원계 탄성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ii) The shear thinning, which is the ratio of the dynamic viscosity at an angular frequency of 1.0 rad / s to the dynamic viscosity at an angular frequency of 100.0 rad / s measured by a rubber process analyzer at 125 ° C. is 8 To 40. < / RTI >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1 전이금속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 2 전이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서, 40 내지 70 중량%의 에틸렌, 15 내지 55 중량%의 탄소수 3 내지 20의 알파올레핀 및 0.5 내지 20 중량%의 디엔을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연속적으로 반응기에 공급하면서 공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atalyst composition comprising 40 to 70% by weight of ethylene, 15 to 55% by weight of ethylene, Of an alpha-olefin having 3 to 20 carbon atoms and 0.5 to 20% by weight of a diene are fed continuously to a reactor.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4039879858-pat00001
Figure 112014039879858-pat00001

[화학식 2](2)

Figure 112014039879858-pat00002
Figure 112014039879858-pat00002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In the above Formulas 1 and 2,

R1 내지 R13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라디칼;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 라디칼;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 라디칼; 실릴 라디칼; 탄소수 7 내지 20의 알킬아릴 라디칼; 탄소수 7 내지 20의 아릴알킬 라디칼; 또는 하이드로카르빌로 치환된 4족 금속의 메탈로이드 라디칼이고; 상기 R1 내지 R13 중 이웃하는 서로 다른 2 개의 그룹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 라디칼을 포함하는 알킬리딘 라디칼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지방족 고리 또는 방향족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R 1 to R 13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n alkyl radica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lkenyl radical having 2 to 20 carbon atoms; An aryl radical having 6 to 20 carbon atoms; Silyl radical; An alkylaryl radical having 7 to 20 carbon atoms; An arylalkyl radical having 7 to 20 carbon atoms; Or a metalloid radical of a Group 4 metal substituted with hydrocarbyl; Two adjacent two of R 1 to R 13 may be linked to each other by an alkylidene radical contain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or an aryl radical having 6 to 20 carbon atoms to form an aliphatic ring or an aromatic ring ;

M은 4족 전이금속이고;M is a Group 4 transition metal;

Q1 및 Q2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라디칼;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라디칼;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 라디칼;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 라디칼; 탄소수 7 내지 20의 알킬아릴 라디칼; 탄소수 7 내지 20의 아릴알킬 라디칼;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아미도 라디칼;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 아미도 라디칼;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리덴 라디칼이다.
Q 1 and Q 2, which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re each independently a halogen radical; An alkyl radica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lkenyl radical having 2 to 20 carbon atoms; An aryl radical having 6 to 20 carbon atoms; An alkylaryl radical having 7 to 20 carbon atoms; An arylalkyl radical having 7 to 20 carbon atoms; An alkylamido radica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rylamido radical having 6 to 20 carbon atoms; Or an alkylidene radica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3원계 탄성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용어는 특별히 다른 의미가 설명되지 않는 한,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3원계 탄성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20의 알파올레핀과, 디엔의 3 종의 단량체가 공중합된 임의의 탄성 공중합체(예를 들어, 가교 가능한 랜덤 공중합체)를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대표적인 예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및 디엔의 공중합체인 EPDM 고무를 들 수 있다. 다만, 이러한 "3원계 탄성 공중합체"가 단 세 가지 단량체의 공중합체만을 지칭하지는 않으며, 상기 에틸렌과 함께, 알파올레핀의 범주에 속하는 한 가지 이상의 단량체 및 디엔의 범주에 속하는 한 가지 이상의 단량체가 공중합된 임의의 탄성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에틸렌과, 프로필렌 및 1-부텐의 2종의 알파올레핀과, 에틸리덴 노보넨 및 1,4-헥사디엔의 2종의 디엔이 공중합된 탄성 공중합체 역시, 에틸렌과, 알파올레핀과, 디엔의 범주에 각각 속하는 3종의 단량체가 공중합된 것이므로, 상기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First, the term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be defined as follows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may refer to any elastic copolymer (for example, a crosslinkable random copolymer) in which three kinds of monomers such as ethylene, an alpha olefin having 3 to 20 carbon atoms, and a diene are copolymerized have. 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h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include EPDM rubber which is a copolymer of ethylene, propylene and a dien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such a "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does not refer to only a copolymer of three monomers, and one or more monomers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alpha olefins and one or more monomers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dien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any elastic copolymer. For example, an elastic copolymer obtained by copolymerizing ethylene with two types of alpha-olefins of propylene and 1-butene, and two dienes such as ethylidene norbornene and 1,4-hexadiene is also an ethylene- , And three kinds of monomers respectively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dienes are copolymerized, and thus can be classified into the above-mentioned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

한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에틸렌, 탄소수 3 내지 20의 알파올레핀 및 디엔의 공중합체로서,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polymer of ethylene, an alpha olefin having 3 to 20 carbon atoms and a diene,

i) GPC로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0 내지 100,000이고, i)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s measured by GPC of from 30,000 to 100,000,

ii) 125℃에서 고무 가공처리 분석기(Rubber Process Analyzer)로 측정한 100.0rad/s의 각진동수에서의 동적점도에 대한 1.0rad/s의 각진동수에서의 동적점도의 비인 전단 유동화도(Shear thinning)가 8 내지 40인 3원계 탄성 공중합체가 제공된다. ii) The shear thinning, which is the ratio of the dynamic viscosity at an angular frequency of 1.0 rad / s to the dynamic viscosity at an angular frequency of 100.0 rad / s measured by a rubber process analyzer at 125 ° C. is 8 Lt; / RTI > to 40. < RTI ID = 0.0 >

이러한 일 구현예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는 에틸렌, 알파올레핀 및 디엔의 3종의 단량체가 일정한 함량 범위로 공중합된 것으로서, GPC로 측정하였을 때 약 30,000 내지 100,000, 혹은 약 35,000 내지 95,000, 혹은 약 40,000 내지 95,000의 비교적 작은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이러한 작은 중량 평균 분자량은 4족 전이금속 촉매, 예를 들어, 메탈로센 계열에 속하는 후술하는 화학식 1 및 2의 제 1 및 제 2 전이금속 화합물의 우수한 활성과 높은 반응온도에 기인하여 달성되는 것으로서, 일 구현예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가 이러한 작은 분자량을 가짐에 따라, 상기 3원계 탄성 공중합체, 예를 들어, EPDM 고무는 우수한 가공성을 나타낼 수 있다.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of this embodiment is obtained by copolymerizing three kinds of monomers such as ethylene, alpha olefin, and diene in a predetermined content range, and has a molecular weight of about 30,000 to 100,000, or about 35,000 to 95,000, Lt; RTI ID = 0.0 > 95,000. ≪ / RTI > These small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s are achieved due to the excellent activity and the high reaction temperature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tion metal compounds of the formulas (1) and (2) described later belonging to the group 4 transition metal catalyst, for example, the metallocene series As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of one embodiment has such a small molecular weight,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for example, EPDM rubber, can exhibit excellent processability.

또한, 상기 일 구현예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는, 125℃에서 고무 가공처리 분석기(Rubber Process Analyzer)로 측정한 100.0rad/s의 각진동수에서의 동적점도에 대한 1.0rad/s의 각진동수에서의 동적점도의 비인 전단 유동화도(Shear thinning)가 8 내지 40의 값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of the embodiment has a dynamic viscosity at an angular frequency of 1.0 rad / s to the dynamic viscosity at an angular frequency of 100.0 rad / s measured at 125 ° C by a rubber process analyzer Shear thinning can have a value of from 8 to 40. [

이러한 관계를 충족하는 일 구현예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는 실제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사용상태인 낮은 각진동수에서 높은 동적점도를 가져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가공상태인 높은 각진동수에서 낮은 동적점도를 가지므로 우수한 탄성, 유연성 및 용융 가공성을 나타내어 압사출 가공에 적합하다.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of one embodiment satisfying this relationship has a high dynamic viscosity at a low angular velocity which is the actual state of use of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and exhibit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exhibits a low dynamic viscosity at a high angular velocity It has excellent elasticity, flexibility and melt processability and is suitable for extrusion processing.

한편, 상기 일 구현예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에서, 상기 일 구현예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동적점도의 비인 전단 유동화도(Shear thinning)는 고무 가공처리 분석기(Rubber Process Analyzer)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할 수 있다. 먼저, 3원계 탄성 공중합체를 중합 및 제조한 후, 각 공중합체에 대해, Monsanto 사의 RPA2000 MV 2000E 고무 가공처리 분석기(Rubber Process Analyzer)로 정해진 온도(125℃)와 0.1-210 rad/s의 각진동수 범위에서 동적점도(dynamic complex viscosity) 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100.0rad/s의 각진동수에서의 동적점도에 대한 1.0rad/s의 각진동수에서의 동적점도의 비를 전단 유동화도(Shear thinning)로 산술적으로 계산하여 도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of one embodiment, the shear thinning, which is the ratio of the dynamic viscosity of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of one embodiment to the embodiment, can be determined by using a rubber process analyzer Can be measured. First, after polymerization and production of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the respective copolymers were melt-kneaded at a temperature (125 DEG C) determined by an RPA2000 MV 2000E Rubber Process Analyzer (Monsanto Co., Ltd.) and an oscillation frequency of 0.1-210 rad / s The dynamic complex viscosity is measured in the range. The ratio of the dynamic viscosity at the angular velocity of 1.0 rad / s to the dynamic viscosity at the measured 100.0 rad / s angular velocity can be calculated by arithmetically calculating the shear thinning.

이 때, 측정된 100.0rad/s의 각진동수에서의 동적점도를 η100.0이라 하고, 1.0rad/s의 각진동수에서의 동적점도를 η1.0이라 정의하면 전단 유동화도(Shear thinning)는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measured dynamic viscosity at an angular velocity of 100.0 rad / s is defined as? 100.0 and the dynamic viscosity at an angular velocity of 1.0 rad / s is defined as? 1.0 , the shear thinning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Can be displayed.

[일반식 1][Formula 1]

전단 유동화도(Shear thinning) = η1.0 / η100.0 Shear thinning = 侶1.0 / 侶100.0

이러한 방법으로, 일 구현예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전단 유동화도를 산출한 결과, 상기 3원계 탄성 공중합체는 이전에 사용되던 4족 전이금속 촉매 제조 EPDM 고무 등에 비하여 높은 값인 8 내지 40을 나타내어, 실 사용상태인 낮은 각진동수에서 높은 동적점도를 가져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압사출 가공상태인 높은 각진동수에서 낮은 동적점도를 가지므로 보다 우수한 용융 가공성을 나타낼 수 있다.In this way, the shear fluidity of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of one embodiment was calculated. As a result,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exhibited a high value of 8 to 40 as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used EPDM rubber of the Group 4 transition metal catalyst, And exhibit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due to high dynamic viscosity at low angular speeds in practical use, and exhibits excellent melt processability since it has a low dynamic viscosity at a high angular frequency, which is a pressure injection state.

그리고, 상기 일 구현예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는 4족 전이금속 촉매의 존재 하에 얻어진 것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특성을 갖는 3원계 탄성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메탈로센 계열에 속하는 4족 전이금속 촉매 특유의 우수한 생산성 및 수율로 제조될 수 있으며, 큰 분자량 및 이에 따른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충족하면서도, 종래에 메탈로센계 4족 전이금속 촉매로 제조된 EPDM 고무가 갖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우수한 가공성, 탄성 및 유연성 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다.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of one embodiment may be obtained in the presence of a transition metal of Group 4 transition metal. Particularly,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having the above properties can be produced with excellent productivity and yield peculiar to a Group 4 transition metal catalyst belonging to the metallocene series, for example, while satisfying a large molecular weight and hence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 And EPDM rubber prepared by the metallocene-type transition metal catalyst of the related art can solve the problems of excellent processability, elasticity and flexibility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 에틸렌, 탄소수 3 내지 20의 알파올레핀 및 디엔의 공중합체는 약 40 내지 70 중량%, 혹은 약 45 내지 65중량%의 에틸렌, 15 내지 55 중량%, 혹은 약 30 내지 50중량%의 탄소수 3 내지 20의 알파올레핀 및 0.5 내지 20 중량%, 혹은 4 내지 10 중량%의 디엔의 공중합체 일 수 있다. 이러한 공중합체는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서, 40 내지 70 중량%의 에틸렌, 15 내지 55 중량%의 탄소수 3 내지 20의 알파올레핀 및 0.5 내지 20 중량%의 디엔을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연속적으로 반응기에 공급하면서 공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각각의 단량체를 상기 비율로 포함함에 따라, 보다 우수한 탄성 및 유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Also, the copolymer of ethylene, the alpha olefins of 3 to 20 carbon atoms and the diene contains about 40 to 70 wt%, or about 45 to 65 wt% of ethylene, 15 to 55 wt%, or about 30 to 50 wt% 3 to 20 alpha olefins and 0.5 to 20 wt%, or 4 to 10 wt% of a diene. Such copolymers can be prepared by continuously feeding a monomer composition comprising 40 to 70% by weight of ethylene, 15 to 55% by weight of alpha olefins of 3 to 20 carbon atoms and 0.5 to 20% by weight of diene in the presence of the catalyst composition . In particular, as each monomer is contained in the above ratio, it can exhibit more excellent elasticity and flexibility.

또, 상기 일 구현예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는, 이러한 공중합체 중의 에틸렌의 분포 상태를 나타내는 반응성 비 상수 Re와, 공중합체 중의 알파올레핀의 분포 상태를 나타내는 반응성 비 상수 Rc의 곱 Re*Rc이 약 1보다 작은 값, 예를 들어, 약 0.50 내지 0.99의 값을 갖는 특성을 충족할 수 있다. In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of one embodiment, the product Re * Rc of the reactive constant, Re, indicating the distribution of ethylene in the copolymer, and the reactive constant Rc, indicating the distribution of alpha olefins in the copolymer, 1, for example, a value of about 0.50 to 0.99.

이러한 특성치에서, 상기 Re = k11/k12이고, Rc = k22/k21이며, k11은 공중합체 사슬에서 에틸렌 다음에 에틸렌이 결합될 때의 성장반응 속도상수이고, k12는 공중합체 사슬에서 에틸렌 다음에 알파올레핀이 결합될 때의 성장반응 속도상수이고, k21은 공중합체 사슬에서 알파올레핀 다음에 에틸렌이 결합될 때의 성장반응 속도상수이고, k22은 공중합체 사슬에서 알파올레핀 다음에 알파올레핀이 결합될 때의 성장반응 속도상수이다. In this characteristic value, Re = k11 / k12, Rc = k22 / k21, k11 is the growth rate constant when ethylene is bonded after ethylene in the copolymer chain, k12 is the rate constant of ethylene in the copolymer chain K21 is the growth rate constant when the ethylene is bonded after the alpha olefin in the copolymer chain, k22 is the rate constant when the alpha olefin is bonded to the alpha olefin in the copolymer chain Is the growth rate constant of the reaction.

또한, 상기 k11, k12, k21 및 k22의 각 성장반응 속도상수는 13C-NMR을 이용해 각 공중합체를 분석함으로서, 측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Randall의 방법에 의한 Triad Sequence 분석 [Journal of Polymer Science: Polymer Physics edition, 1973, 11, 275~287] 및 Kakugo의 방법 [Macromolecules 1982, 15, 1150] 등에 의해, 상기 13C-NMR의 분석 결과로부터 상기 Re*Rc의 값을 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owth rate constants k11, k12, k21 and k22 of the k11, k12, k21 and k22 can be measured by analyzing each copolymer using 13 C-NMR. For example, the triad sequence analysis by Randall The value of Re * Rc can be calculated from the above 13 C-NMR analysis results by the method of Polymer Science: Polymer Physics edition, 1973, 11, 275 to 287 and Kakugo's method [Macromolecules 1982, 15, 1150] .

상기 Re*Rc의 값이 약 1 보다 작다고 함은 상기 공중합체의 사슬에서 에틸렌 다음에는 알파올레핀이 결합될 개연성이 높고, 알파올레핀 다음에는 에틸렌이 결합될 개연성이 높아, 상기 공중합체 사슬이 에틸렌과 알파올레핀 간에 교대 분포를 가짐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Re*Rc의 값이 약 1로 되면 상기 공중합체 사슬이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의 각 단량체 간에 무작위 분포(random polymer)를 가짐을 나타낼 수 있고, 이러한 Re*Rc의 값이 약 1 보다 크게 되면, 동종의 단량체끼리 결합하여 상기 공중합체 사슬이 블록 공중합체의 형태를 가짐을 나타낼 수 있다. When the value of Re * Rc is less than about 1, it means that the alpha-olefin is likely to be bonded to ethylene after ethylene in the chain of the copolymer, and the alpha-olefin has high possibility to be bonded with ethylene, Alpha olefins. ≪ / RTI > On the other hand, when the value of Re * Rc is about 1, it can be shown that the copolymer chain has a random polymer between the respective monomers of ethylene and alpha olefin, and the value of Re * Rc is about 1 , It can be shown that the homopolymers are bonded to each other and the copolymer chain has the form of a block copolymer.

상기 일 구현예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가 상기 Re*Rc의 값이 약 1 미만, 예를 들어, 약 0.50 내지 0.99의 값을 가짐에 따라, 이러한 공중합체는 각 단량체가 균일하게 교대 배열(alternative)된 특성을 나타낼 수 있고, 이로서 상기 공중합체는 사슬이 블록을 형성하지 않아 결정화도가 낮아져 EPDM 고무 등에 요구되는 보다 우수한 탄성 및 유연성 등을 나타낼 수 있다. As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of this embodiment has a value of Re * Rc of less than about 1, for example, of about 0.50 to 0.99, such a copolymer is such that each monomer is uniformly alternating, And as a result, the copolymer does not form a block, so that the crystallinity of the copolymer is lowered, so that it can exhibit more excellent elasticity and flexibility required for EPDM rubber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일 구현예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는 약 -55 내지 30℃, 혹은 약 -50 내지 15℃의 결정화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정화 온도는 DSC 곡선 데이터를 도출한 후, 이로부터 평균 결정화 온도를 산출하여 측정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가 이러한 범위의 결정화 온도를 가짐에 따라, EPDM 고무 등으로서의 우수한 탄성 및 유연성과, 보다 향상된 가공성 및 내열성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만일, 결정화 온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면, 상기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고, 반대로 결정화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면 상기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탄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The tri-elastomeric copolymer of one embodiment may have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about -55 to 30 ° C, or about -50 to 15 ° C. At this time,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can be measured by deriving DSC curve data and calculating the averag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herefrom. As the copolymer has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ithin this range, it can exhibit excellent elasticity and flexibility as EPDM rubber and the like, and further improved processability and heat resistance. If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is too low, the heat resistance of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may be deteriorated. On the contrary, if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becomes too high, the elasticity and the like of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may deteriorate.

그리고, 상기 일 구현예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는 EPDM 고무 등으로서의 적절한 물성 충족이 가능한 밀도 범위, 예를 들어, 약 0.840 내지 0.895 g/㎤, 혹은 약 0.850 내지 0.890 g/㎤ 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of this embodiment may have a density range of about 0.840 to 0.895 g / cm 3, or about 0.850 to 0.890 g / cm 3, for example, such that EPDM rubber or the like can satisfy appropriate physical properties .

또한, 상기 일 구현예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는 EPDM 고무 등으로서의 적절한 물성 충족이 가능한 무늬 점도(1+4ⓐ100℃) 범위, 예를 들어, 약 1 MU 내지 40 MU, 혹은 약 2 MU 내지 30 MU, 혹은 약 3 MU 내지 26 MU의 무늬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구현예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는 2 내지 4의 분자량 분포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of one embodiment may have a Mooney viscosity (1 + 4 a) 100 ° C, for example, about 1 MU to 40 MU, or about 2 MU to 30 MU, MU, or a pattern viscosity of about 3 MU to 26 MU.
In addition,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of one embodiment may have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2 to 4.

또, 상기 일 구현예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에서, 상기 알파올레핀으로는,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트리데센, 1-테트라데센, 1-펜타데센, 1-헥사데센, 1-헵타데센, 1-노나데센, 9-메틸-1-데센, 11-메틸-1도데센, 12-에틸-1-테트라데센 등의 탄소수 3 내지 20의 알파올레핀을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도 탄소수 3 내지 10의 알파올레핀, 대표적인 예로서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또는 1-옥텐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In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of one embodiment, examples of the alpha olefin include propylene, 1-butene, 1-hexene, 1-octene, 1-pentene, Heptadecene, 1-heptadecene, 1-nonadecene, 1-nonadecene, 1-undecene, 1-tridecene, 1-decene, 1-methyl-1-decene, 1-decene, 1-decene, 1-methylene-1-decene, Propylene, 1-butene, 1-hexene or 1-octene may suitably be used.

또, 상기 디엔으로는 비공액 디엔계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5-1,4-헥사디엔, 1,5-헵타디엔, 1,6-옥타디엔, 1,7-노나디엔, 1,8-데카디엔, 1,12-테트라데카디엔, 3-메틸-1,4-헥사디엔, 4-메틸-1,4-헥사디엔, 5-메틸-1,4-헥사디엔, 4-에틸-1,4-헥사디엔, 3,3-다이메틸-1,4-헥사디엔, 5-메틸-1,4-헵타디엔, 5-에틸-1,4-헵타디엔, 5-메틸-1,5-헵타디엔, 6-메틸-1,5-헵타디엔, 5-에틸-1,5-헵타디엔, 4-메틸-1,4-옥타디엔, 5-메틸-1,4-옥타디엔,4-에틸-1,4-옥타디엔, 5-에틸-1,4-옥타디엔, 5-메틸-1,5-옥타디엔, 6-메틸-1,5-옥타디엔, 5-에틸-1,5-옥타디엔, 6-에틸-1,5-옥타디엔, 6-메틸-1,6-옥타디엔, 7-메틸-1,6-옥타디엔, 6-에틸-1,6-옥타디엔, 6-프로필-1,6-옥타디엔, 6-부틸-1,6-옥타디엔, 7-메틸-1,6-옥타디엔, 4-메틸-1,4-노나디엔, 에틸리덴-2-노보넨, 5-메틸렌-2-노보넨, 5-(2-프로페닐)-2-노보넨, 5-(3-부테닐) -2-노보넨, 5-(1-메틸-2-프로페닐) -2-노보넨, 5-(4-펜테닐) -2-노보넨, 5-(1-메틸-3-부테닐) -2-노보넨, 5-(5-헥세닐)-2-노보넨, 5-(1-메틸-4-펜테닐) -2-노보넨, 5-(2,3-디메틸-3-부테닐)-2-노보넨, 5-(2-에틸-3-부테닐) -2-노보넨, 5-(6-헵테닐) -2-노보넨, 5-(3-메틸-헥세닐) -2-노보넨, 5-(3,4-디메틸-4-펜테닐) -2-노보넨, 5-(3-에틸-4-펜테닐) -2-노보넨, 5-(7-옥테닐) -2-노보넨, 5-(2-메틸-6-헵테닐) -2-노보넨, 5-(1,2-디메틸-5-헥세닐) -2-노보넨, 5-(5-에틸-5-헥세닐) -2-노보넨, 5-(1,2,3-트리메틸-4-펜테닐) -2-노보넨, 5-프로필리덴-2-노보넨, 5-이소프로필리덴-2-노보넨, 5-부틸리덴-2-노보넨, 5-이소부틸리덴-2-노보넨, 2,3-디이소프로필리덴 -5-노보넨, 2-에틸리덴-3-이소프로필리덴-5-노보넨, 2-프로페닐-2,2-노보나디엔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 선택된 디엔을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As the diene, a nonconjugated diene-based monomer may be use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5-1,4-hexadiene, 1,5-heptadiene, 1,6-octadiene, 1,7-nonadiene, 1,8-decadiene, 1,12- Methyl-1,4-hexadiene, 4-methyl-1,4-hexadiene, 3-methyl- Heptadiene, 5-methyl-1,5-heptadiene, 6-methyl-1,5-heptadiene, Methyl-1,4-octadiene, 4-ethyl-1,4-octadiene, 5-ethyl-1,4-pentadiene, 1,5-octadiene, 5-methyl-1,5-octadiene, 6-methyl-1,5-octadiene, Hexadiene, 6-methyl-1,6-octadiene, 6-methyl-1,6-octadiene, Methylidene-2-norbornene, 5-methylene-2-norbornene, 5- (2- Propenyl) -2-norbornene, 5- (3-butenyl) -2-norbornene, 5- 5- (1-methyl-3-butenyl) -2-norbornene, 5- (5-hexenyl) 5- (2-ethyl-3-butenyl) -2-norbornene, 5- (2,3- Pentenyl) -2-norbornene, 5- (3-methyl-hexenyl) 5- (2-methyl-6-heptenyl) -2-norbornene, 5- (5-ethyl-5-hexenyl) -2-norbornene, 5- (1,2,3-trimethyl-4-pentenyl) Norbornene, 5-propylidene-2-norbornene, 5-isopropylidene-2-norbornene, 5-butylidene- , 3-diisopropylidene-5-norbornene, 2-ethylidene-3-isopropylidene-5-norbornene and 2-propenyl-2,2-norbornadiene. One or more dienes may be used.

이들 디엔 중에서도 특히, 5-에틸리덴-2-노보넨, 5-메틸렌-2-노보넨, 또는 4-헥사디엔을 적절히 사용하여, 상기 일 구현예의 중량 평균 분자량과 LCB Index를 만족하는 3원계 탄성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종래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제조에 상기 디엔으로 사용되던 5-비닐-2-노보렌(VNB) 또는 디시클로펜타디엔(DCPD)은 이중결합을 2개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이중결합이 중합반응에 참여하여 가교된 형태의 고분자 구조를 나타내므로 중합과정에서 겔 입자가 형성되거나, 공중합체의 분자량 조절이 어렵고 중합반응 또한 조절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Of these dienes, particularly, 5-ethylidene-2-norbornene, 5-methylene-2-norbornene, or 4-hexadiene is suitably used to give a ternary elasticity satisfying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LCB Index of the above- Copolymers can be prepared. On the other hand, 5-vinyl-2-norbornene (VNB) or dicyclopentadiene (DCPD) used as the diene in the preparation of the conventional three-component elastomer includes two double bonds,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gel particles are formed in the polymerization process,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opolymer is difficult to control, and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also difficult to control since it exhibits a crosslinked polymer structure.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일 구현예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1 전이금속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 2 전이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서, 40 내지 70 중량%의 에틸렌, 15 내지 55 중량%의 탄소수 3 내지 20의 알파올레핀 및 0.5 내지 20 중량%의 디엔을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연속적으로 반응기에 공급하면서 공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ocess for producing a three-component elastomeric copolymer of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process for producing such a copolymer comprises reacting 40 to 70% by weight of ethylene, 15 to 55% by weight of ethylene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composition comprising a first transition metal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nd a second transition metal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By weight of a monomer composition comprising from 3 to 20% by weight of alpha olefins and from 0.5 to 20% by weight of dienes, in continuous feed to the reactor.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4039879858-pat00003
Figure 112014039879858-pat00003

[화학식 2](2)

Figure 112014039879858-pat00004
Figure 112014039879858-pat00004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In the above Formulas 1 and 2,

R1 내지 R13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라디칼;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 라디칼;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 라디칼; 실릴 라디칼; 탄소수 7 내지 20의 알킬아릴 라디칼; 탄소수 7 내지 20의 아릴알킬 라디칼; 또는 하이드로카르빌로 치환된 4족 금속의 메탈로이드 라디칼이고; 상기 R1 내지 R13 중 이웃하는 서로 다른 2 개의 그룹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 라디칼을 포함하는 알킬리딘 라디칼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지방족 고리 또는 방향족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R 1 to R 13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n alkyl radica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lkenyl radical having 2 to 20 carbon atoms; An aryl radical having 6 to 20 carbon atoms; Silyl radical; An alkylaryl radical having 7 to 20 carbon atoms; An arylalkyl radical having 7 to 20 carbon atoms; Or a metalloid radical of a Group 4 metal substituted with hydrocarbyl; Two adjacent two of R 1 to R 13 may be linked to each other by an alkylidene radical contain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or an aryl radical having 6 to 20 carbon atoms to form an aliphatic ring or an aromatic ring ;

M은 4족 전이금속이고;M is a Group 4 transition metal;

Q1 및 Q2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라디칼;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라디칼;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 라디칼;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 라디칼; 탄소수 7 내지 20의 알킬아릴 라디칼; 탄소수 7 내지 20의 아릴알킬 라디칼;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아미도 라디칼;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 아미도 라디칼;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리덴 라디칼이다.Q 1 and Q 2, which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re each independently a halogen radical; An alkyl radica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lkenyl radical having 2 to 20 carbon atoms; An aryl radical having 6 to 20 carbon atoms; An alkylaryl radical having 7 to 20 carbon atoms; An arylalkyl radical having 7 to 20 carbon atoms; An alkylamido radica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rylamido radical having 6 to 20 carbon atoms; Or an alkylidene radica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이하의 실시예 등을 통해서도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일정 함량의 단량체, 즉, 약 40 내지 70 중량%, 혹은 약 45 내지 65중량%의 에틸렌, 약 15 내지 55 중량%, 혹은 약 30 내지 50중량%의 탄소수 3 내지 20의 알파올레핀 및 약 0.5 내지 20 중량%, 혹은 약 4 내지 10중량%의 디엔을 사용하는 한편, 이러한 각 단량체를 상기 화학식 1 혹은 2의 전이금속 촉매의 존재 하에 높은 반응온도에서 연속 중합 공정으로 제조함에 따라, 상술한 작은 분자량 범위 및 전단 유동화도가 특정 범위를 충족하는 일 구현예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가 높은 수율 및 생산성으로 얻어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Or about 45 to 65% by weight of ethylene, about 15 to 55% by weight, or about 30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monomers, i.e., about 40 to 70% By weight of an alpha olefin having from 3 to 20 carbon atoms and from about 0.5 to 20% by weight, or from about 4 to 10% by weight of a diene, in the presence of a transition metal catalyst of the above formula 1 or 2 at a high reaction temperature It was confirmed that the tri-elastomeric copolymer of one embodiment, in which the small molecular weight range and the degree of shear fluidization described above meet a specific range, can be obtained with high yield and productivity.

이는 주로 상기 2종의 특정 촉매가 갖는 우수한 촉매 활성 및 공단량체 반응성에 기인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이금속 화합물의 특정 촉매는 4족 전이금속 촉매로서의 우수한 촉매 활성을 나타내며, 특히 알파올레핀과 디엔 등의 공단량체에 대해 우수한 선택성과 공중합 반응성을 나타낼 수 있다. 더구나, 이들 2종의 특정 촉매를 사용함에 따라, 디엔이 비교적 높은 함량으로 고분자 사슬 내에 균일하게 분포되면서 공중합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화학식 1 및 2의 특정 촉매가 퀴놀린계 아미도 그룹에 의해 금속 자리 주위가 견고한 5각링 및 6각링 구도로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구조적으로 단량체들의 접근이 용이한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즉, 상기 화학식 1 및 2의 특정 촉매는 상술한 촉매의 구조적 특성을 바탕으로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이 공중합되는 동안 장쇄분지형태의 이중결합을 가지는 매크로머를 형성시킬 수 있고, 이는 다시 촉매와의 반응으로 공중합되어, 장쇄분지를 갖는 3원계 탄성 공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This can be mainly due to the excellent catalytic activity and comonomer reactivity of the two specific catalysts. The specific catalyst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tion metal compounds exhibit excellent catalytic activity as a transition metal of Group 4, and can exhibit excellent selectivity and copolymerization reactivity with respect to comonomers such as alpha olefins and dienes. Furthermore, by using these two specific catalysts, the copolymer can be distributed while uniformly distributing the dienes in the polymer chain with a relatively high content. This is because the specific catalysts of the above formulas (1) and (2) are stably maintained in a quasi-ringing and hexagonal ring structure around the metal sites by the quinoline amido group and structurally easy to access the monomers . That is, the specific catalysts of Formulas 1 and 2 may form a macromer having a double bond in the form of a long chain branch during the copolymerization of ethylene and an alpha olefin bas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atalyst, To form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having a long-chain branch.

더구나, 이러한 제 1 및 제 2 전이금속 화합물의 2종의 특정 촉매를 사용하는 한편, 각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연속적으로 중합 반응기에 공급하면서 상기 공중합을 연속 공정으로 진행함에 따라, 상기 공단량체, 특히 디엔은 고분자 사슬 내에 더욱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Furthermore, by using the two kinds of specific catalyst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tion metal compounds, and continuing the copolymerization to a continuous process while continuously supplying the monomer composition containing each monomer to the polymerization reactor, the comonomer , In particular dienes, can be more evenly distributed within the polymer chain.

그 결과, 분자량이 작으면서도, 각 단량체가 균일하게 교대 분포되어 있는 3원계 탄성 공중합체가 생산성 및 수율 높게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얻어진 3원계 탄성 공중합체는 각 단량체가 균일하게 교대 분포된 특성으로 인해, 에틸렌의 함량 대비 결정화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분포됨을 알 수 있다. As a result,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having a small molecular weight and uniformly alternating distribution of each monomer can be produced with high productivity and yield. It can be seen that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s of the three-component elastomer copolymers thus obtained are distributed relatively low relative to the content of ethylene due to the uniformly alternating distribution of the respective monomers.

부가하여, 각 단량체의 함량이 에틸렌 약 40 내지 70 중량%, 혹은 약 45 내지 65중량%, 알파올레핀 약 15 내지 55 중량%, 혹은 약 30 내지 50 중량% 및 디엔 약 0.5 내지 20 중량%, 혹은 약 4 내지 10 중량%으로 최적화된 범위로 조절됨에 따라, 각 단량체의 고분자 사슬 내의 분포는 더욱 균일하게 교대 배열될 수 있고, 이는 상기 일 구현예의 특성을 충족하는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효과적 제조를 가능케 한다. In addition, the content of each monomer is about 40 to 70 wt%, or about 45 to 65 wt%, alpha olefin about 15 to 55 wt%, or about 30 to 50 wt% and about 0.5 to 20 wt% The distribution in the polymer chain of each monomer can be arranged more evenly alternately as the monomer is adjusted to an optimized range of about 4 to 10 weight percent and this leads to an effective production of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satis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따라서, 다른 구현예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술한 일 구현예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가 생산성 및 수율 높게 제조될 수 있고, 이러한 3원계 탄성 공중합체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보다 향상된 탄성 등을 동시에 충족하는 4족 전이금속 촉매로 제조된 EPDM 고무 등으로서 매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of another embodiment,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of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can be produced with high productivity and yield, and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is excellent in mechanical properties, 4-group transition metal catalyst, and the like.

다만, 상술한 2종의 특정 촉매를 사용하지 않거나, 이들 중 1종의 촉매만을 사용하거나, 상술한 각 단량체의 적절한 함량 범위, 특히 디엔의 함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최종 제조된 3원계 탄성 공중합체가 일 구현예의 작은 분자량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거나, 전단 유동화도가 낮게 나타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above-mentioned two kinds of specific catalysts are not used, only one of these catalysts is used, or when the content of each of the above-mentioned monomers is out of the appropriate range, particularly the diene content range, The copolymer may not meet the small molecular weight range of one embodiment, or the shear fluidity may be low.

한편, 상술한 다른 구현예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화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제 1 및 제 2 전이금속 화합물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와 같다. 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of another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transition metal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s (1) and (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하이드로카르빌은 하이드로카르본으로부터 수소 원자를 제거한 형태의 1가 작용기를 지칭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틸 등의 알킬기나, 페닐 등의 아릴기를 포괄하여 지칭할 수 있다. First, hydrocarbyl in Formulas 1 and 2 may refer to a monovalent functional group in which a hydrogen atom is removed from a hydrocarbons. For example, an alkyl group such as ethyl, an aryl group such as phenyl, can do.

또, 화학식 1 및 2에서, 메탈로이드는 준금속으로 금속과 비금속의 중간적 성질을 보이는 원소로서, 예를 들어, 비소, 붕소, 규소 또는 텔루르 등을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M은, 예를 들어, 티타늄, 지르코늄 또는 하프늄 등의 4족 전이금속 원소를 지칭할 수 있다. In the formulas (1) and (2), the metalloid is an element which is a metalloid and shows intermediate properties between metal and nonmetal, and may be, for example, arsenic, boron, silicon or tellurium. The M may be, for example, a Group 4 transition metal element such as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이들 제 1 및 제 2 전이금속 화합물 중에서, 상기 화학식 1의 제 1 전이금속 화합물로는, 하기 식의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Among these first and second transition metal compounds,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s can be suitably used as the first transition metal compound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Figure 112014039879858-pat00005
Figure 112014039879858-pat00005

Figure 112014039879858-pat00006
Figure 112014039879858-pat00006

상기 식에서, R2 및 R3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 라디칼이고, M은 4족 전이금속이고, Q1 및 Q2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라디칼, 디메틸이미도 라디칼 또는 염소 라디칼이다.R 2 and R 3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a methyl radical, M is a Group 4 transition metal, Q 1 and Q 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methyl A radical, a dimethylimido radical or a chlorine radical.

또한, 나머지 화학식 2의 제 2 전이금속 화합물로는, 하기 식의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As the second transition metal compound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2),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s can be suitably used:

Figure 112014039879858-pat00007
Figure 112014039879858-pat00007

Figure 112014039879858-pat00008
Figure 112014039879858-pat00008

상기 식에서, R2 및 R3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 라디칼이고, M은 4족 전이금속이고, Q1 및 Q2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라디칼, 디메틸이미도 라디칼 또는 염소 라디칼이다.R 2 and R 3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a methyl radical, M is a Group 4 transition metal, Q 1 and Q 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methyl A radical, a dimethylimido radical or a chlorine radical.

한편, 상기 다른 구현예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촉매 조성물은 상술한 제 1 및 제 2 전이금속 화합물 외에 하기 화학식 3, 화학식 4 및 화학식 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조촉매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talyst composition used in the production method of another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cocatalyst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3), (4) and (5) in addition to the first and second transition metal compounds have:

[화학식 3](3)

-[Al(R)-O]n-- [Al (R) -O] n -

상기 화학식 3에서,In Formula 3,

R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이고; n은 2 이상의 정수이며;R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alogen; Hydrocarbons having 1 to 20 carbon atoms; Or a hydrocarbon having 1 to 20 carbon atoms substituted with halogen; n is an integer of 2 or more;

[화학식 4][Chemical Formula 4]

D(R)3 D (R) 3

상기 화학식 4에서, R은 상기 화학식 3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D는 알루미늄 또는 보론이며;In Formula 4, R is as defined in Formula 3; D is aluminum or boron;

[화학식 5][Chemical Formula 5]

[L-H]+[ZA4]- 또는 [L]+[ZA4]- [LH] + [ZA 4 ] - or [L] + [ZA 4 ] -

상기 화학식 5에서, L은 중성 또는 양이온성 루이스 산이고; H는 수소 원자이며; Z는 13족 원소이고; A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 알콕시 또는 페녹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다.In Formula 5, L is a neutral or cationic Lewis acid; H is a hydrogen atom; Z is a Group 13 element; A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independently at least one hydrogen atom is an aryl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with halogen, hydrocarbon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lkoxy or phenoxy .

이러한 조촉매 화합물에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예로는 메틸알루미녹산, 에틸알루미녹산, 이소부틸알루미녹산 또는 부틸알루미녹산 등을 들 수 있다. In such a promoter compound, examples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3) include methyl aluminoxane, ethyl aluminoxane, isobutyl aluminoxane, and butyl aluminoxane.

또,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예로는,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트리프로필알루미늄, 트리부틸알루미늄, 디메틸클로로알루미늄, 트리이소프로필알루미늄, 트리-s-부틸알루미늄, 트리시클로펜틸알루미늄, 트리펜틸알루미늄, 트리이소펜틸알루미늄, 트리헥실알루미늄, 트리옥틸알루미늄, 에틸디메틸알루미늄, 메틸디에틸알루미늄, 트리페닐알루미늄, 트리-p-톨릴알루미늄, 디메틸알루미늄메톡시드, 디메틸알루미늄에톡시드, 트리메틸보론, 트리에틸보론, 트리이소부틸보론, 트리프로필보론 또는 트리부틸보론 등을 들 수 있고, 이 중에서도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또는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4) include trimethylaluminum, triethylaluminum, triisobutylaluminum, tripropylaluminum, tributylaluminum, dimethylchloroaluminum, triisopropylaluminum, tri- But are not limited to, cyclopentyl aluminum, tripentyl aluminum, triisopentyl aluminum, trihexyl aluminum, trioctyl aluminum, ethyldimethyl aluminum, methyldiethyl aluminum, triphenyl aluminum, tri-p-tolyl aluminum, dimethyl aluminum methoxide, Trimethylboron, triethylboron, triisobutylboron, tripropylboron or tributylboron. Of these, trimethylaluminum, triethylaluminum or triisobutylaluminum can be suitably used.

그리고,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브론스테드 산인 양이온과 양립 가능한 비배위 결합성 음이온을 포함한다. 적절한 음이온은 크기가 비교적 크며 준금속을 포함하는 단일 배위결합성 착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다. 특히, 음이온 부분에 단일 붕소 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는 단일 붕소 원자를 함유하는 배위결합성 착화합물을 포함하는 음이온을 함유한 염이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5) includes a non-coordinating anion which is compatible with a cation which is a Bronsted acid. Suitable anions are relatively large in size and contain a single coordination complex containing a metalloid. Particularly, compounds containing a single boron atom in the anion moiety are widely used. From this viewpoint, as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5), an anion-containing salt containing a coordination complex containing a single boron atom can be suitably used.

이러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 트리알킬암모늄염의 경우에는 트리메틸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에틸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프로필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n-부틸)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2-부틸)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디메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디메틸아닐리늄 n-부틸트리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디메틸아닐리늄 벤질트리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디메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4-(t-부틸디메틸실릴)-2,3,5,6-테트라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디메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4-트리이소프로필실릴)-2,3,5,6-테트라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디메틸아닐리늄 펜타플루오로페녹시트리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디에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디메틸-2,4,6-트리메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메틸암모늄 테트라키스(2,3,4,6-테트라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에틸암모늄 테트라키스(2,3,4,6-테트라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프로필암모늄 테트라키스(2,3,4,6-테트라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n-부틸)암모늄 테트라키스(2,3,4,6-테트라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디메틸(t-부틸)암모늄 테트라키스(2,3,4,6-테트라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디메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2,3,4,6-테트라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디에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2,3,4,6-테트라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디메틸-2,4,6-트리메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2,3,4,6-테트라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데실디메틸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도데실디메틸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테트라데실디메틸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헥사데실디메틸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에이코실디메틸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메틸디데실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메틸디도데실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메틸디테트라데실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메틸디헥사데실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메틸디에이코실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데실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도데실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테트라데실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헥사데실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옥타데실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에이코실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데실디(n-부틸)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도데실디(n-부틸)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옥타데실디(n-부틸)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디도데실아닐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메틸-N-도데실아닐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또는 메틸디(도데실)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As specific examples of such compounds, there may be mentioned trialkylammonium salts such as trimethyl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triethyl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tripropyl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Pentafluorophenyl) borate, tri (2-butyl) 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N, N-dimethylanili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Pentafluorophenyl) borate, N, N-dimethylanilinium benzyltris (pentafluorophenyl) borate, N, N-dimethylanilinium tetrakis (t-butyldimethylsilyl) -2,3,5,6-tetrafluorophenyl) borate, N, N-dimethylanilinium tetrakis (4-triisopropylsilyl) -2,3,5,6-tetra Fluorophenyl) borate, N, N-dimethylanilinium N, N-diethylanili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N, N-dimethyl-2,4,6-trimethylanili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2,3,4,6-tetrafluorophenyl) borate, trimethylammonium tetrakis (2,3,4,6-tetrafluorophenyl) borate, triethylammonium tetrakis (2,3,4,6-tetrafluorophenyl) (2,3,4,6-tetrafluorophenyl) borate, dimethyl (t-butyl) ammonium tetrakis (2,3,4,6-tetrafluorophenyl) Ammonium tetrakis (2,3,4,6-tetrafluorophenyl) borate, N, N-dimethylanilinium tetrakis (2,3,4,6-tetrafluorophenyl) borate, N, Anilinium tetrakis (2,3,4,6-tetrafluorophenyl) borate, N, N-dimethyl-2,4,6-trimethylanilinium tetrakis (2,3,4,6-tetrafluorophenyl) ) Borey , Pentyldimethyl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dodecyldimethyl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tetradecyldimethyl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hexadecyldimethylammonium tetrakis Octadecyldimethyl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eicosyldimethyl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methyldecyl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methyldido (Pentafluorophenyl) borate, methyldiotetradecyl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methyldihexadecyl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methyl dioctadecyl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methyldiacosylammonium tetrakis (pentafluoro (Pentafluorophenyl) borate, tridecyl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tridodecyl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trityl tetradecylammonium tetrakis (N-butyl) 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trioctadecyl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trieocosyl 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Pentafluorophenyl) borate, dodecyldi (n-butyl) 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octadecyldi (n-butyl) 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or methyldi (dodecyl) 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N-methyl-N-dodecyl anili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and the like.

또한, 디알킬암모늄염의 경우에는, 디-(i-프로필)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또는 디시클로헥실암모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In the case of dialkylammonium salts, di- (i-propyl) 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or dicyclohexylamm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그리고, 카르보늄염의 경우에는 트로필륨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트리페닐메틸륨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또는 벤젠(디아조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arbonium salt include tropyl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triphenylmethyl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or benzene (diazo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

한편, 상술한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에서, 상술한 제 1 및 제 2 전이금속 화합물과, 선택적으로 조촉매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은,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및 제 2 전이금속 화합물과, 상기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의 조촉매 화합물을 접촉시켜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상기 화학식 5의 조촉매 화합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mentioned method for producing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the catalyst composition comprising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transition metal compounds and optionally a co-catalyst compound is obtained, for example, Contacting the compound with the promoter compound of Formula 3 or Formula 4 to obtain a mixture; And adding the promoter compound of Formula 5 to the mixture.

또, 상기 촉매 조성물에서, 상기 제 1 전이금속 화합물 : 제 2 전이금속 화합물의 몰비는 약 20 : 1 내지 1 : 20으로 될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이금속 화합물을 합한 전체 전이금속 화합물 : 상기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의 조촉매 화합물의 몰비는 약 1 : 1 내지 1 : 500로 될 수 있으며, 상기 전체 전이금속 화합물 : 상기 화학식 5의 조촉매 화합물의 몰비는 약 1 : 1 내지 1 : 10으로 될 수 있다. In the catalyst composition, the molar ratio of the first transition metal compound: the second transition metal compound may be about 20: 1 to 1:20, and the total transition metal compound The molar ratio of the total transition metal compound to the promoter compound of Formula 5 may be from about 1: 1 to 1: 500, 10 < / RTI >

그리고, 상기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촉매 조성물은 반응 용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반응 용매로는 펜탄, 헥산 또는 헵탄 등과 같은 탄화수소계 용매; 벤젠 또는 톨루엔 등과 같은 방향족계 용매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for producing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the catalyst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reaction solvent, and examples of the reaction solvent include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pentane, hexane or heptane; Aromatic solvents such as benzene or toluen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량체 조성물에 포함되는 알파올레핀으로는,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1-데센, 1-운데센 또는 1-도데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디엔으로는 비공액 디엔계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중에서도, EPDM 고무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단량체, 예를 들어, 상기 알파올레핀으로서 프로필렌과, 상기 디엔으로서 5-에틸리덴-2-노보넨, 1,4-헥사디엔 또는 디시클로펜타디엔 등의 비공액 디엔계 단량체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As already mentioned above, the alpha-olefins contained in the monomer composition include propylene, 1-butene, 1-hexene, 1-octene, 1-pentene, -Heptene, 1-decene, 1-undecene, 1-dodecen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diene, a nonconjugated diene monomer can be used. Of these, monomers commonly used in the production of EPDM rubber, for example, propylene as the alpha olefin and 5-ethylidene-2-norbornene, 1,4-hexadiene or dicyclopentadiene as the diene Nonconjugated dienic monomer can be suitably used.

그리고, 상술한 다른 구현예의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공중합 단계는 약 100 내지 200℃의 온도, 혹은 약 120 내지 180℃의 온도에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 3종의 단량체가 균일하게 교대 분포된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합성이 어려울 수 있으며, 중합 반응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 단량체 또는 제조된 공중합체가 열 분해 될 수 있다. 또, 이러한 공중합은 용액 중합, 특히, 연속 용액 중합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촉매 조성물은 이러한 용액에 용해된 균일계 촉매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And,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producing a copolymer of another embodiment, the copolymerization step can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about 100 to 200 ° C, or a temperature of about 120 to 180 ° C. When the copolymerization temperature is too low, it may be difficult to synthesize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in which three kinds of monomers are homogeneously alternately distributed. I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emperature is too high, the monomer or the produced copolymer may be thermally decomposed. Such copolymerization can be carried out by solution polymerization, in particular, continuous solution polymerization. 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catalyst composition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homogeneous catalyst dissolved in such a solution.

이러한 연속 용액 중합의 진행을 위해, 상술한 단량체 조성물과, 제 1 및 제2 전이금속 화합물, 및 선택적으로 조촉매를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을 반응기에 용액 상태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상기 공중합 단계를 진행할 수 있고, 공중합된 3원계탄성 공중합체를 반응기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공중합 단계를 연속 진행할 수 있다. For the progress of such continuous solution polymerization, the copolymerization step can be carried out while continuously supplying the catalyst composition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monomer composition, the first and second transition metal compounds and optionally the cocatalyst to the reactor in a solution state continuously And the copolymerization step can be continuously carried out while continuously discharging the copolymerized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from the reactor.

이러한 연속 용액 중합의 진행에 의해, 상술한 특징을 갖는 3원계 탄성 공중합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생산성 및 수율 높게 얻을 수 있게 된다. By the progress of such continuous solution polymerization, the three-component elastomeric copolymer having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more efficiently in productivity and yiel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가공성과, 보다 향상된 탄성 및 유연성 등을 나타내어 EPDM 고무 등으로서 매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3원계 탄성 공중합체가 제조된다. 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that exhibits excellent processability, improved elasticity and flexibility, and the like, which can be very preferably used as an EPDM rubber or the like, is pro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3원계 탄성 공중합체를 생산성 및 수율 높게 제조할 수 있는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ocess for producing a copolymer capable of producing such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with high productivity and yield.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3원계 탄성 공중합체는 이전에 알려진 메탈로센계 4족 전이금속 촉매로 제조된 EPDM 고무 등의 한계를 극복하고, 가공성이 뛰어나며, 탄성 및 유연성을 다른 물성과 함께 충족할 수 있으므로, 4족 전이금속 촉매 특유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EPDM 고무 등으로서 매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obta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ly known metallocene type 4 transition metal catalyst, such as EPDM rubber, and is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can satisfy elasticity and flexibility with other physical properties , EPDM rubber or the like, while taking advantage of the advantages inherent to the Group 4 transition metal catalyst.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example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 리간드Ligand 및 전이금속 화합물의 합성> And Transition Metal Compounds &gt;

모든 리간드 및 촉매합성은 공기와 수분의 접촉을 차단하는 질소분위기하에서 표준 쉴렝크(Schlenk)와 글로브박스(Blove-box)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되었으며, 반응에 사용하는 유기 시약 및 용매는 알드리치사와 머크사에서 구입하여 표준방법으로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합성된 리간드와 촉매구조는 400MHz 핵자기 공명기(NMR) 및 X-ray 분광기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All ligands and catalyst synthesis were carried out using standard Schlenk and Blove-box techniques under a nitrogen atmosphere to block the contact of air and moisture, and the organic reagents and solvents used in the reaction were obtained from Aldrich and Merck And purified by standard methods. The synthesized ligand and catalyst structure were confirmed using a 400 MHz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and X-ray spectroscopy.

하기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전이금속 화합물로는, 각각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 -8-일)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에타5,케파-N]티타늄 디메틸 ([(1,2,3,4-Tetrahydroquinolin-8-yl)tetramethylcyclopentadienyl-eta5,kapa-N]titanium dimethyl) 및 [(2-메틸인돌린-7-일)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에타5,케파-N]티타늄 디메틸 ([(2-Methylindolin-7-yl)tetramethylcyclopentadienyl-eta5,kapa-N]titanium dimethyl)을 사용하였으며, 조촉매 화합물로는 N,N-디메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및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을 사용하였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이금속 화합물은 한국 특허 등록 제 0,976,131 호의 실시예 2 및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고, 상기 조촉매 화합물은 이러한 한국 특허 등록 제 0,820,542 호의 실시예 9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조촉매 화합물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Example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tion metal compounds in the following examples are [(1,2,3,4-tetrahydroquinolin-8-yl) tetramethylcyclopentadienyl-eta 5, kepa-N] titanium dimethyl ([(1,2,3,4-Tetrahydroquinolin-8-yl) tetramethylcyclopentadienyl-eta 5, kapa-N] titanium dimethyl and [(2-methylindolin-7-yl) tetramethylcyclopentadienyl- (2-methylindolin-7-yl) tetramethylcyclopentadienyl-eta5, kapa-N] titanium dimethyl was used as the cocatalyst compound and N, N-dimethylanilinium tetrakis Phenyl) borate and triisobutyl aluminum were used. The first and second transition metal compounds were prepared and us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2 and 14 of Korean Patent No. 0,976,131, and the co-catalyst compound was us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9 of Korean Patent No. 0,820,542 A co-catalyst compound was prepared and used.

<< 실시예Example 1 내지 20> 에틸렌, 프로필렌 및 5- 1 to 20> ethylene, propylene and 5- 에틸리덴Ethylidene -2--2- 노보넨의Nobonen 3원계Triplet 탄성 공중합체의 제조 Preparation of elastic copolymer

2L 압력 반응기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및 5-에틸리덴-2-노보넨의 3원 공중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상기 반응기 하부로부터 중합 용매로서 헥산을 시간당 5.5 내지 6.5kg의 공급 속도로 연속 투입하고, 반응기 상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중합 용액을 빼내었다. A ternary copolymerization reaction of ethylene, propylene and 5-ethylidene-2-norbornene was continuously carried out using a 2 L pressure reactor. Hexane as a polymerization solvent was continuously f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reactor at a feeding rate of 5.5 to 6.5 kg per hour, and the polymerization solution was continuously withdrawn from the upper part of the reactor.

제 1 및 제 2 전이금속 화합물로는, 상술한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 -8-일)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에타5,케파-N]티타늄 디메틸 및 [(2-메틸인돌린-7-일)테트라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에타5,케파-N]티타늄 디메틸을 헥산에 용해된 상태로 사용하였고, 시간당 20 내지 60μmol의 속도로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또, 조촉매 화합물로는 상술한 N,N-디메틸아닐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를 톨루엔에 용해된 상태로 사용하였고, 시간당 100 내지 200μmol의 속도로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또, 추가적인 조촉매 화합물로서 상술한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을 헥산에 용해된 상태로 사용하였고, 시간당 2000 내지 4000μmol의 속도로 반응기에 투입하였다.As the first and second transition metal compounds, there may be mentioned [(1,2,3,4-tetrahydroquinolin-8-yl) tetramethylcyclopentadienyl-eta 5, kepa-N] titanium dimethyl and [ 7-yl) tetramethylcyclopentadienyl-eta 5, kepa-N] titanium dimethyl was used in the state of being dissolved in hexane and charged into the reactor at a rate of 20 to 60 μmol per hour. The above-mentioned N, N-dimethylanilinium tetrakis (pentafluorophenyl) borate was used as the co-catalyst compound in the state of being dissolved in toluene, and the reactor was charged at a rate of 100 to 200 μmol per hour. The above-mentioned triisobutylaluminum was used as an additional promoter compound in a state of being dissolved in hexane, and the reactor was charged at a rate of 2000 to 4000 占 퐉 ol per hour.

단량체인 에틸렌은 시간당 800 내지 950g, 프로필렌은 900 내지 1500g, 그리고, 5-에틸리덴-2-노보넨은 시간당 90 내지 170g의 속도로 반응기에 연속 공급하면서, 상기 공중합을 진행하였다. 반응기 내의 공중합 온도는 150 내지 190℃ 이었으며, 각 단량체의 투입량, 촉매의 투입량, 중합온도 등의 반응조건은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The copolymerization proceeded while continuously feeding the monomer as a monomer at a rate of 800 to 950 g per hour, at a rate of 900 to 1500 g of propylene and at a rate of 90 to 170 g per hour at a rate of 90 to 170 g per hour. The copolymerization temperature in the reactor was 150 to 190 ° C. The reaction conditions such as the amount of each monomer, the amount of the catalyst, and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are summarized in Table 1 below.

상술한 조건 하에, 연속 용액 중합으로 공중합을 진행하여, 실시예 1 내지 20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를 균일한 용액 상태로 연속 제조하였고, 반응기 상부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된 중합 용액은 에탄올 하에서 중합 반응이 정지된 후, 60℃의 진공 오븐에서 감압 건조되어 실시예 1 내지 20의 공중합체로 최종 제조되었다.
The co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by continuous solution polymerization under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to continuously produce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s of Examples 1 to 20 in a uniform solution state. The polymerization solution continuously discharg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reactor was subjected to polymerization reaction under ethanol After stopping, it was finally dried in a vacuum oven at 60 DEG C under reduced pressure to prepare the copolymers of Examples 1 to 20.

<<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상용화된 에틸렌, 프로필렌 및 5- 1 > Commercialized ethylene, propylene and 5- 에틸리덴Ethylidene -2--2- 노보넨의Nobonen 3원계Triplet 탄성 공중합체  Elastic copolymer

상용화된 EPDM 고무인 Mitsui사의 EPT X-4010M를 비교예 1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로 하였다.
EPT X-4010M of Mitsui Co., which is a commercially available EPDM rubber, was used as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of Comparative Example 1.

이렇게 얻어진 공중합체에서 각 단량체의 함량은 하기 표 2에 정리된 바와 같다. 이때, 각 단량체의 함량은 Bruker 사의 600MHz Avance III HD NMR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때 온도는 373K이었으며, 샘플은 ODCB-d4용액을 사용하여 1H NMR 측정을 진행하였다.
The content of each monomer in the copolymer thus obtained is summarized in Table 2 below. At this time, the content of each monomer was measured using a 600 MHz Avance III HD NMR from Bruker.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was 373 K and the sample was subjected to 1 H NMR measurement using ODCB-d4 solution.

실시예Example 에틸렌투입량
(g/hr)
Ethylene input
(g / hr)
프로필렌
투입량
(g/hr)
Propylene
input
(g / hr)
5-에틸리덴-2-노보넨 투입량
(g/hr)
5-ethylidene-2-norbornene charge
(g / hr)
헥산 투입량
(kg/hr)
Hexane charge
(kg / hr)
촉매 1
(μmol/hr)
Catalyst 1
(μmol / hr)
촉매 2
(μmol/hr)
Catalyst 2
(μmol / hr)
조촉매
(μmol/hr)
Co-catalyst
(μmol / hr)
TIBAL
(mmol/hr)
TIBAL
(mmol / hr)
수소
(L/hr)
Hydrogen
(L / hr)
중합온도
(℃)
Polymerization temperature
(° C)
1One 900 900 900    900 166 166 5.5 5.5 48 48 3 3 180 180 2 2 0 0 178.7178.7 22 800 800 1,150  1,150 153 153 6.0 6.0 54 54 3 3 180 180 3 3 1 One 175.4175.4 33 800 800 1,150  1,150 153 153 6.0 6.0 54 54 3 3 180 180 3 3 1 One 175.6175.6 44 800 800 1,250  1,250 156 156 5.5 5.5 54 54 3 3 180 180 3 3 0 0 185.3185.3 55 800 800 1,250  1,250 156 156 5.5 5.5 54 54 3 3 180 180 2.5 2.5 1 One 185.4185.4 66 800 800 1,250  1,250 156 156 5.5 5.5 54 54 3 3 180 180 2 2 0 0 185.3185.3 77 830 830 1,100  1,100 148 148 6.0 6.0 54 54 3 3 180 180 3 3 3 3 172.3172.3 88 830 830 1,100  1,100 148 148 6.0 6.0 54 54 3 3 180 180 3 3 3 3 170.1170.1 99 830 830 1,100  1,100 150 150 6.0 6.0 54 54 3 3 180 180 3 3 3 3 169.7169.7 1010 940 940 1,190  1,190 107 107 6.5 6.5 27 27 3 3 120 120 2 2 0 0 173.5173.5 1111 940 940 1,190  1,190 113 113 6.5 6.5 27 27 3 3 120 120 2 2 0 0 173.8173.8 1212 940 940 1,190  1,190 118 118 6.5 6.5 27 27 3 3 120 120 2 2 0 0 175.1175.1 1313 940 940 1,190  1,190 134 134 6.5 6.5 27 27 3 3 120 120 2 2 0 0 174.5174.5 1414 940 940 1,190  1,190 113 113 6.5 6.5 27 27 3 3 150 150 3 3 0 0 158.8158.8 1515 860 860 1,340  1,340 104 104 6.5 6.5 27 27 3 3 150 150 2 2 0 0 174.5174.5 1616 860 860 1,340  1,340 98 98 6.5 6.5 27 27 3 3 150 150 2 2 0 0 174.5174.5 1717 860 860 1,340  1,340 109 109 6.5 6.5 27 27 3 3 150 150 2 2 0 0 176176 1818 860 860 1,340  1,340 104 104 6.5 6.5 24 24 6 6 150 150 4 4 0 0 164164 1919 860 860 1,340  1,340 104 104 6.5 6.5 24 24 6 6 150 150 3 3 0 0 168.5168.5 2020 860 860 1,300  1,300 104 104 6.5 6.5 24 24 9 9 150 150 4 4 0 0 152.5152.5

<< 시험예Test Example 1>  1> 동적점도Dynamic viscosity ( ( dynamicdynamic complexcomplex viscosityviscosity )의 측정)

동적점도(dynamic complex viscosity)는 ASTM D6204-01에 따라 고무가공처리 분석기(Rubber Process Analyz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Monsanto 사의 RPA2000 MV 2000E 장비모델을 사용하였고, 측정샘플은 산화방지제(Irganox 1076)로 처리한 공중합체 샘플을 프레스 몰드를 이용해 시트로 제작하고 이를 125℃에서 7% 변형(strain) 및 0.1-210 rad/s 의 주파수 범위에서 동적점도(dynamic complex viscosity) 를 측정하였다. 실시예의 각 공중합체의 1.0rad/s 및 100.0rad/s의 각진동수에서의 동적점도를 측정하고, 이를 순서대로 η1.0, η100.0 이라 할 때, 하기 일반식 1에 따라 전단 유동화도 값을 산출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The dynamic complex viscosity was measured using a Rubber Process Analyzer according to ASTM D6204-01. A sample of the RPA2000 MV 2000E equipment manufactured by Monsanto was used. A sample of the copolymer treated with an antioxidant (Irganox 1076) was made into a sheet using a press mold, which was subjected to a 7% strain at 125 DEG C and a strain of 0.1-210 rad / s. &lt; / RTI &gt; The dynamic viscosities of the respective copolymers of the examples at an angular velocity of 1.0 rad / s and 100.0 rad / s were measured, and when they were respectively designated as eta 1.0 and eta 100.0 , shear fluidity valu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Table 2 shows the results.

[일반식 1][Formula 1]

전단 유동화도(Shear thinning) = η1.0 / η100.0
Shear thinning = 侶1.0 / 侶100.0

<< 시험예Test Example 2>  2> ReRe ** Rc 의Of Rc 측정 Measure

13C-NMR을 이용해 실시예의 각 공중합체를 분석함으로서, k11, k12, k21 및 k22의 각 성장반응 속도상수를 구하였다. 이때, 측정 기기로는 600MHz의 Bruker DRX 600 기기를 사용하였고, 오르소-디클로로벤젠-d4 용매에 각 공중합체를 용해시켜 100℃에서 분석하였다. The respective growth rate constants of k11, k12, k21 and k22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each copolymer of the examples using 13 C-NMR. At this time, a 600 MHz Bruker DRX 600 instrument was used as a measuring instrument, and each copolymer was dissolved in an ortho-dichlorobenzene-d4 solvent and analyzed at 100 ° C.

Randall의 방법에 의한 Triad Sequence 분석 [Journal of Polymer Science: Polymer Physics edition, 1973, 11, 275~287] 및 Kakugo의 방법 [Macromolecules 1982, 15, 1150] 등에 의해, 상기 13C-NMR의 분석 결과로부터 각 성장반응 속도상수를 구하였고, 이로부터 Re = k11/k12이고, Rc = k22/k21인 식에 기초하여, Re*Rc의 값을 산출하였다. 각 공중합체에 대해 산출된 Re*Rc의 값은 하기 표 2에 함께 나타내었다.
From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bove 13 C-NMR by the triad sequence analysis by Randall's method [Journal of Polymer Science: Polymer Physics edition, 1973, 11, 275-287] and Kakugo's method [Macromolecules 1982, 15, The values of Re * Rc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equation of Re = k11 / k12 and Rc = k22 / k21. The values of Re * Rc calculated for each copolymer are shown together in Table 2 below.

<< 시험예Test Example 3>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3> Measurement of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실시예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개의 선형 혼합된 베드 컬럼이 장착된 Polymer Laboratory 사의 PL-GPC 220에 의하여 측정하고,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온도는 160℃이었고, 1,2,4-트리클로로벤젠을 용매로 사용하여 1.0ml/min의 유속으로 측정하였다.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s of the copolymers obtained in the Examples were measured by PL-GPC 220 from Polymer Laboratory equipped with three linearly mixed bed columns and are shown in Table 2 below.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was 160 캜, and 1,2,4-trichlorobenzene was used as a solvent at a flow rate of 1.0 ml / min.

<< 시험예Test Example 4> 결정화 온도의 측정 4> Measurement of crystallization temperature

실시예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에 대해 PerkinElmer DSC 6000의 DSC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DSC 곡선 데이터를 도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공중합체 샘플을 약 0?로부터 약 20?/분의 속도로 약 100?까지 가열하고, 약 100?에서 약 2분간 유지한 후에, 약 -10?/분의 속도로 약 -150?까지 냉각하면서 DSC 분석을 진행하였다. DSC curve data were derived for the copolymers obtained in the examples using a PerkinElmer DSC 6000 DSC measuring instrument. More specifically, each copolymer sample was heated from about 0 ° C to about 100 ° C at a rate of about 20 ° C / min, held at about 100 ° C for about 2 minutes, and then at about -10 ° C / DSC analysis was carried out while cooling to 150 ° C.

이러한 DSC 곡선 데이터로부터 각 공중합체의 평균 결정화 온도(Tc; ?)를 산출하였으며, 상기 평균 결정화 온도를 각 공중합체의 결정화 온도로 하였다. 각 공중합체에 대한, 결정화 온도는 하기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The averag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c;?) Of each copolymer was calculated from the DSC curve data, and the averag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as defined as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each copolymer.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s for each copolymer are summarized in Table 2 below.

<< 시험예Test Example 5> 무늬 점도 측정 5> Pattern Viscosity Measurement

실시예에서 얻어진 공중합체의 무늬 점도는 100?에서 Monsanto MV 2000E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렇게 측정된 무늬 점도는 하기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The pattern viscosity of the copolymer obtained in the examples was measured using a Monsanto MV 2000E instrument at 100 ?. The measured pattern viscosities are summarized in Table 2 below.

에틸렌 함량
(중량%)
Ethylene content
(weight%)
프로필렌 함량
(중량%)
Propylene content
(weight%)
5-에틸리덴-2-노보넨 함량 (중량%)5-ethylidene-2-norbornene content (% by weight) 무늬 점도
(1+4ⓐ100℃)
Pattern viscosity
(1 + 4 a &lt;
중량평균분자량
(kg/mol)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kg / mol)
결정화
온도(℃)
crystallization
Temperature (℃)
Re*RcRe * Rc 전단 유동화도Shear fluidization degree
실시예1Example 1 64.3 64.3 31.4 31.4 4.2 4.2 14.4 14.4 78K 78K 2.2 2.2 0.93 0.93 22.822.8 실시예2Example 2 53.5 53.5 39.2 39.2 7.3 7.3 6.5 6.5 58K 58K -28.3 -28.3 0.84 0.84 1010 실시예3Example 3 53.4 53.4 39.3 39.3 7.3 7.3 5.2 5.2 56K 56K -28.5 -28.5 0.830.83 9.59.5 실시예4Example 4 54.4 54.4 38.2 38.2 7.4 7.4 4.0 4.0 51K51K -27.8 -27.8 0.860.86 9.19.1 실시예5Example 5 54.4 54.4 38.2 38.2 7.4 7.4 3.6 3.6 42K42K -27.7 -27.7 0.860.86 8.98.9 실시예6Example 6 54.4 54.4 38.2 38.2 7.4 7.4 3.7 3.7 49K49K -27.7 -27.7 0.850.85 8.98.9 실시예7Example 7 54.6 54.6 38.5 38.5 6.9 6.9 7.5 7.5 60K60K -27.6 -27.6 0.860.86 11.711.7 실시예8Example 8 54.2 54.2 38.9 38.9 6.9 6.9 8.5 8.5 65K65K -28.1 -28.1 0.840.84 13.813.8 실시예9Example 9 53.1 53.1 39.7 39.7 7.2 7.2 8.2 8.2 63K63K -28.9 -28.9 0.810.81 12.912.9 실시예10Example 10 56.956.9 38.438.4 4.74.7 19.119.1 88K88K -16.8 -16.8 0.610.61 27.527.5 실시예11Example 11 56.656.6 38.638.6 4.84.8 1919 87K87K -19.8 -19.8 0.620.62 27.427.4 실시예12Example 12 56.756.7 38.438.4 4.94.9 19.819.8 85K85K -18.9 -18.9 0.660.66 28.128.1 실시예13Example 13 56.656.6 3838 5.45.4 20.520.5 86K86K -20.1 -20.1 0.630.63 28.728.7 실시예14Example 14 51.751.7 43.343.3 4.94.9 2525 94K94K -33.3 -33.3 0.610.61 32.132.1 실시예15Example 15 51.951.9 43.943.9 4.24.2 10.110.1 68K68K -35.8 -35.8 0.610.61 17.717.7 실시예16Example 16 51.851.8 4444 4.24.2 10.510.5 69K69K -36.8 -36.8 0.610.61 18.418.4 실시예17Example 17 51.551.5 4444 4.64.6 8.48.4 64K64K -37.0 -37.0 0.610.61 13.513.5 실시예18Example 18 48.148.1 47.747.7 4.24.2 12.612.6 74K74K -46.0 -46.0 0.590.59 20.220.2 실시예19Example 19 50.350.3 45.545.5 4.24.2 1010 68K68K -40.8 -40.8 0.590.59 17.517.5 실시예20Example 20 46.746.7 48.848.8 4.54.5 20.920.9 92K92K -47.5 -47.5 0.590.59 29.129.1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54.654.6 39.839.8 5.65.6 7.47.4 53K53K -12.4-12.4 1.631.63 5.05.0

상기 표 2를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20의 공중합체는 30,000 내지 100,000의 낮은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며, 8 내지 40의 전단 유동화도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Re*Rc값도 1 보다 작은 0.5 내지 0.99의 값을 가지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2,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polymers of Examples 1 to 20 have a low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30,000 to 100,000 and a shear fluidity value of 8 to 40. [ Also,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 * Rc value has a value of 0.5 to 0.99 smaller than 1.

이로부터 상기 실시예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는 사용상태인 낮은 각진동수에서 높은 동적점도를 가지므로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작은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며, 압사출 가공상태인 높은 각진동수에서 낮은 동적점도를 가지므로 보다 우수한 용융 가공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s of the above-mentioned Examples exhibit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because they have high dynamic viscosities at low angular velocities in use, and also have low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s and low dynamic viscosities at high angular velocities, It was confirmed that it exhibited better melt processability.

Claims (1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1 전이금속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 2 전이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 혼합물의 존재 하에 얻어진, 에틸렌, 탄소수 3 내지 20의 알파올레핀 및 디엔의 공중합체로서,
i) GPC로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0 내지 100,000이고,
ii) 125℃에서 고무 가공처리 분석기(Rubber Process Analyzer)로 측정한 100.0rad/s의 각진동수에서의 동적점도에 대한 1.0rad/s의 각진동수에서의 동적점도의 비인 전단 유동화도(Shear thinning)가 8 내지 40인, 3원계 탄성 공중합체:
[화학식 1]
Figure 112016078625986-pat00015

[화학식 2]
Figure 112016078625986-pat00016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 내지 R13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라디칼;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 라디칼;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 라디칼; 실릴 라디칼; 탄소수 7 내지 20의 알킬아릴 라디칼; 탄소수 7 내지 20의 아릴알킬 라디칼; 또는 하이드로카르빌로 치환된 4족 금속의 메탈로이드 라디칼이고; 상기 R1 내지 R13 중 이웃하는 서로 다른 2 개의 그룹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 라디칼을 포함하는 알킬리딘 라디칼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지방족 고리 또는 방향족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M은 4족 전이금속이고;
Q1 및 Q2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라디칼;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라디칼;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 라디칼;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 라디칼; 탄소수 7 내지 20의 알킬아릴 라디칼; 탄소수 7 내지 20의 아릴알킬 라디칼;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아미도 라디칼;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 아미도 라디칼;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리덴 라디칼이다.
A copolymer of ethylene, an alpha-olefin having 3 to 20 carbon atoms and a diene, obtained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mixture comprising a first transition metal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nd a second transition metal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i)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s measured by GPC of from 30,000 to 100,000,
ii) The shear thinning, which is the ratio of the dynamic viscosity at an angular frequency of 1.0 rad / s to the dynamic viscosity at an angular frequency of 100.0 rad / s measured by a rubber process analyzer at 125 ° C. is 8 &Lt; / RTI &gt; to 40,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6078625986-pat00015

(2)
Figure 112016078625986-pat00016

In the above Formulas 1 and 2,
R 1 to R 13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n alkyl radica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lkenyl radical having 2 to 20 carbon atoms; An aryl radical having 6 to 20 carbon atoms; Silyl radical; An alkylaryl radical having 7 to 20 carbon atoms; An arylalkyl radical having 7 to 20 carbon atoms; Or a metalloid radical of a Group 4 metal substituted with hydrocarbyl; Two adjacent two of R 1 to R 13 may be linked to each other by an alkylidene radical contain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or an aryl radical having 6 to 20 carbon atoms to form an aliphatic ring or an aromatic ring ;
M is a Group 4 transition metal;
Q 1 and Q 2, which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re each independently a halogen radical; An alkyl radica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lkenyl radical having 2 to 20 carbon atoms; An aryl radical having 6 to 20 carbon atoms; An alkylaryl radical having 7 to 20 carbon atoms; An arylalkyl radical having 7 to 20 carbon atoms; An alkylamido radica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rylamido radical having 6 to 20 carbon atoms; Or an alkylidene radica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제1항에 있어서, 공중합체 중의 에틸렌의 분포 상태를 나타내는 반응성 비 상수 Re와, 공중합체 중의 알파올레핀의 분포 상태를 나타내는 반응성 비 상수 Rc의 곱 Re*Rc이 1보다 작은 3원계 탄성 공중합체:
이때, Re = k11/k12이고, Rc = k22/k21이며, k11은 공중합체 사슬에서 에틸렌 다음에 에틸렌이 결합될 때의 성장반응 속도상수이고, k12는 공중합체 사슬에서 에틸렌 다음에 알파올레핀이 결합될 때의 성장반응 속도상수이고, k21은 공중합체 사슬에서 알파올레핀 다음에 에틸렌이 결합될 때의 성장반응 속도상수이고, k22은 공중합체 사슬에서 알파올레핀 다음에 알파올레핀이 결합될 때의 성장반응 속도상수이다.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roduct Re * Rc of the reactive constant, Re, indicative of the distribution of ethylene in the copolymer, and the reactive constant Rc, which indicates the distribution of alpha olefins in the copolymer,
In this case, Re = k11 / k12, Rc = k22 / k21, k11 is the growth rate constant when ethylene is bonded to ethylene in the copolymer chain, k12 is the rate constant when ethylene is bonded to ethylene in the copolymer chain, K21 is the growth rate constant when the ethylene is bonded after the alpha olefin in the copolymer chain, k22 is the growth reaction rate constant when the alpha olefin is bonded to the alpha olefin in the copolymer chain, It is a rate consta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Re*Rc는 0.70 내지 0.95인 3원계 탄성 공중합체.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e * Rc is 0.70 to 0.95.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탄소수 3 내지 20의 알파올레핀 및 디엔의 공중합체는 40 내지 70 중량%의 에틸렌, 15 내지 55 중량%의 탄소수 3 내지 20의 알파올레핀 및 0.5 내지 20 중량%의 디엔의 공중합체인, 3원계 탄성 공중합체.
Th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copolymer of ethylene, an alpha olefin having 3 to 20 carbon atoms and a diene comprises 40 to 70% by weight of ethylene, 15 to 55% by weight of an alpha olefin having 3 to 20 carbon atoms, and 0.5 to 20% A copolymer of dienes, and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제 1 항에 있어서, -55 내지 30℃의 결정화 온도를 갖는 3원계 탄성 공중합체.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according to claim 1, having a 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55 to 30 캜.
제 1 항에 있어서, 1 내지 40 MU의 무늬점도(1+4ⓐ100℃)를 갖는 3원계 탄성 공중합체.
2.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according to claim 1, having a pattern viscosity of 1 to 40 MU (1 + 4 ai100 deg. C).
제 1 항에 있어서, 2 내지 4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3원계 탄성 공중합체.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according to claim 1, which has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2 to 4.
제 1 항에 있어서, 알파올레핀은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디엔은 5-에틸리덴-2-노보넨, 5-메틸렌-2-노보넨 및 4-헥사디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3원계 탄성 공중합체.
The proces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lpha olefi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pylene, 1-butene, 1-hexene and 1-octene and the diene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5-ethylidene- Norbornene and 4-hexadiene, wherein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orbornene and 4-hexadiene.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1 전이금속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 2 전이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서, 40 내지 70 중량%의 에틸렌, 15 내지 55 중량%의 탄소수 3 내지 20의 알파올레핀 및 0.5 내지 20 중량%의 디엔을 포함하는 단량체 조성물을 연속적으로 반응기에 공급하면서 공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의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4039879858-pat00009

[화학식 2]
Figure 112014039879858-pat00010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 내지 R13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라디칼;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 라디칼;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 라디칼; 실릴 라디칼; 탄소수 7 내지 20의 알킬아릴 라디칼; 탄소수 7 내지 20의 아릴알킬 라디칼; 또는 하이드로카르빌로 치환된 4족 금속의 메탈로이드 라디칼이고; 상기 R1 내지 R13 중 이웃하는 서로 다른 2 개의 그룹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 라디칼을 포함하는 알킬리딘 라디칼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지방족 고리 또는 방향족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M은 4족 전이금속이고;
Q1 및 Q2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라디칼;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라디칼;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 라디칼;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 라디칼; 탄소수 7 내지 20의 알킬아릴 라디칼; 탄소수 7 내지 20의 아릴알킬 라디칼;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아미도 라디칼;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 아미도 라디칼;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리덴 라디칼이다.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composition comprising a first transition metal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nd a second transition metal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40 to 70% by weight of ethylene, 15 to 55% Of an alpha-olefin and 0.5 to 20% by weight of a diene are continuously supplied to a reactor, wherein the monomer composition is fed continuously to the reactor.
[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4039879858-pat00009

(2)
Figure 112014039879858-pat00010

In the above Formulas 1 and 2,
R 1 to R 13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n alkyl radica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lkenyl radical having 2 to 20 carbon atoms; An aryl radical having 6 to 20 carbon atoms; Silyl radical; An alkylaryl radical having 7 to 20 carbon atoms; An arylalkyl radical having 7 to 20 carbon atoms; Or a metalloid radical of a Group 4 metal substituted with hydrocarbyl; Two adjacent two of R 1 to R 13 may be linked to each other by an alkylidene radical contain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or an aryl radical having 6 to 20 carbon atoms to form an aliphatic ring or an aromatic ring ;
M is a Group 4 transition metal;
Q 1 and Q 2, which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re each independently a halogen radical; An alkyl radica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lkenyl radical having 2 to 20 carbon atoms; An aryl radical having 6 to 20 carbon atoms; An alkylaryl radical having 7 to 20 carbon atoms; An arylalkyl radical having 7 to 20 carbon atoms; An alkylamido radica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 arylamido radical having 6 to 20 carbon atoms; Or an alkylidene radical having 1 to 20 carbon atom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이금속 화합물은 하기 식의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Figure 112014039879858-pat00011

Figure 112014039879858-pat00012

상기 식에서, R2 및 R3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 라디칼이고, M은 4족 전이금속이고, Q1 및 Q2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라디칼, 디메틸이미도 라디칼 또는 염소 라디칼이다.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first transition metal compound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Figure 112014039879858-pat00011

Figure 112014039879858-pat00012

R 2 and R 3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a methyl radical, M is a Group 4 transition metal, Q 1 and Q 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methyl A radical, a dimethylimido radical or a chlorine radical.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이금속 화합물은 하기 식의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Figure 112014039879858-pat00013

Figure 112014039879858-pat00014

상기 식에서, R2 및 R3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 라디칼이고, M은 4족 전이금속이고, Q1 및 Q2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라디칼, 디메틸이미도 라디칼 또는 염소 라디칼이다.
The method for producing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second transition metal compound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s:
Figure 112014039879858-pat00013

Figure 112014039879858-pat00014

R 2 and R 3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a methyl radical, M is a Group 4 transition metal, Q 1 and Q 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methyl A radical, a dimethylimido radical or a chlorine radical.
제 10 항에 있어서, 촉매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3, 화학식 4 및 화학식 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조촉매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3]
-[Al(R)-O]n-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이고; n은 2 이상의 정수이며;
[화학식 4]
D(R)3
상기 화학식 4에서, R은 상기 화학식 3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D는 알루미늄 또는 보론이며;
[화학식 5]
[L-H]+[ZA4]- 또는 [L]+[ZA4]-
상기 화학식 5에서, L은 중성 또는 양이온성 루이스 산이고; H는 수소 원자이며; Z는 13족 원소이고; A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 알콕시 또는 페녹시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다.
11. The method for producing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catalyst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promoter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3), (4) and (5)
(3)
- [Al (R) -O] n -
In Formula 3,
R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alogen; Hydrocarbons having 1 to 20 carbon atoms; Or a hydrocarbon having 1 to 20 carbon atoms substituted with halogen; n is an integer of 2 or more;
[Chemical Formula 4]
D (R) 3
In Formula 4, R is as defined in Formula 3; D is aluminum or boron;
[Chemical Formula 5]
[LH] + [ZA 4 ] - or [L] + [ZA 4 ] -
In Formula 5, L is a neutral or cationic Lewis acid; H is a hydrogen atom; Z is a Group 13 element; A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independently at least one hydrogen atom is an aryl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with halogen, hydrocarbon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lkoxy or phenoxy .
제 10 항에 있어서, 알파올레핀은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옥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디엔은 5-에틸리덴-2-노보넨, 5-메틸렌-2-노보넨 및 4-헥사디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11. The process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alpha olefin i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pylene, 1-butene, 1-hexene and 1-octene and the diene i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5-ethylidene- Norbornene, and 4-hexadiene, wherein the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orbornene and 4-hexadien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조성물, 제 1 및 제 2 전이금속 화합물, 및 조촉매를 반응기에 용액 상태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공중합하는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11. The method for producing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monomer composition, the first and second transition metal compounds, and the cocatalyst are copolymerized while continuously supplying the solution in a reactor.
제 15 항에 있어서, 공중합된 3원계 탄성 공중합체를 반응기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공중합 단계를 연속 진행하는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16. The process for producing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copolymerization step is continuously carried out while continuously discharging the copolymerized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from the reacto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단계는 10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3원계 탄성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The method for producing a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copolymerization step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100 to 200 ° C.
KR1020140050154A 2014-04-25 2014-04-25 Elastic diene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ctive KR1016604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154A KR101660480B1 (en) 2014-04-25 2014-04-25 Elastic diene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154A KR101660480B1 (en) 2014-04-25 2014-04-25 Elastic diene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593A KR20150123593A (en) 2015-11-04
KR101660480B1 true KR101660480B1 (en) 2016-09-27

Family

ID=5460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154A Active KR101660480B1 (en) 2014-04-25 2014-04-25 Elastic diene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480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9478A (en) 1988-06-16 1993-07-20 Exxon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for produc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EPDM elastomers using a metallocene-alumoxane catalyst system
US6545088B1 (en) 1991-12-30 2003-04-08 Dow Global Technologies Inc. Metallocene-catalyze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EP and EPDM polymers
WO1998049212A1 (en) 1997-04-30 1998-11-05 The Dow Chemical Company Ethylene/alpha-olefin/diene interpolymers and their preparation
KR101262305B1 (en) * 2009-07-01 2013-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Process for preparation of elastomeric polymer using transition cataly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593A (en)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3593B2 (en) Elastic diene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391692B1 (en) Elastic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585206B1 (en) Elastic diene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655392B1 (en) Elastic diene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9650460B2 (en) Elastic diene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585204B1 (en) Elastic diene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4250332A (en) Ternary Elastomeric Copolymer Comprising Dien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101476374B1 (en) Elastic diene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70075365A (en) Elastic diene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462208B1 (en) Elastic diene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660480B1 (en) Elastic diene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652920B1 (en) Elastic diene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446685B1 (en) Elastic diene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691629B1 (en) Elastic diene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680831B1 (en) Elastic diene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684648B1 (en) Elastic diene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9428600B2 (en) Elastic diene ter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5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4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4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7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1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7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3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8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7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3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9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