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903B1 - 지중배전선 합선방지용 조립식 관로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선 합선방지용 조립식 관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9903B1 KR101659903B1 KR1020160029465A KR20160029465A KR101659903B1 KR 101659903 B1 KR101659903 B1 KR 101659903B1 KR 1020160029465 A KR1020160029465 A KR 1020160029465A KR 20160029465 A KR20160029465 A KR 20160029465A KR 101659903 B1 KR101659903 B1 KR 1016599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underground
- main body
- underground pipe
- sen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내부에 지중배전선(L)이 배치되는 지중배관(10)을 포함하는 지중배전선 합선방지용 조립식 관로에 있어서,
상기 지중배관(10)은,
내부에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구비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수용부(11a)와,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좌측 상부에 구비되는 유입부(11b)와,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우측 상부에 구비되는 배출부(11c)와,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좌측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11d) 및,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우측에 구비되는 제2연결부(11e)를 구비한 지중배관본체부(11)와; 지중배관본체부(11)의 좌측 둘레부에 구비되는 좌측플랜지부(12) 및; 지중배관본체부(11)의 우측 둘레부에 구비되는 우측플랜지부(13)를 갖추며,
지중배관(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41)와; 내부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구비되는 수용부(142a)를 갖추고서 베이스(141)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용체(142)와;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구비되는 라운드부(143a) 및, 상부가 라운드부(143a)와 연통되고 하부가 수용체(142)의 수용부(142a)와 연통되는 연통부(143b)를 갖추고서, 수용체(142)의 수용부(142a)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단이 수용체(142)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승강부재(143)와; 수용체(142)의 수용부(142a)에 설치되며 승강부재(143)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탄발체(144)와; 수용체(142)의 수용부(142a)에 구비되며, 승강부재(143)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중을 받을 시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재(145) 및; 승강부재(143)의 연통부(143b)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며 센싱부재(145)의 상부에 안착되는 가압체(146)를 갖춘 감지기구(140)와:
내부에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구비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공간부(21)와; 좌측 상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와 상하방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유입부(22) 및; 우측 상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지중배관본체부(11)의 배출부(11c)와 상하방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배출부(23)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부(21)에 지중배관(10)이 삽입되어, 지중배관(10)의 좌측플랜지부(12) 및 우측플랜지부(13)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보강관(20)과: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중배전선(L)이 통과하는 통과부(31)와, 둘레부에 구비되는 체결부(32)와,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제1연결부(11d)와 연통되는 연결부(33) 및, 상기 연결부(33)와 연통되며 우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개구부(34)를 구비하여, 지중배관본체부(11)의 좌측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되,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보다 좌측에 위치하는 제1지지기구(30)와: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중배전선(L)이 통과하는 통과부(41)와, 둘레부에 구비되는 체결부(42)와,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제2연결부(11e)와 연통되는 연결부(43) 및, 상기 연결부(43)와 연통되며 좌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개구부(44)를 구비하여, 지중배관본체부(11)의 우측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되, 지중배관본체부(11)의 배출부(11c)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제2지지기구(40)와:
제1지지기구(30)의 우측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체(51)와; 좌측단이 지지체(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단이 우측방으로 돌출되며,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된 삽입부(52a)가 좌측방에서 우측방으로 다수 개 구비되는 바 형상의 회전체(52)와; 회전체(52)의 좌측 둘레부에 외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패널 형상의 다수의 날개체(53) 및; 회전체(52)의 삽입부(5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체결부(54a) 및, 상단이 상기 체결부(54a)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단이 지중배전선(L)과 맞닿는 연질의 타격막(54b)을 구비하여, 날개체(53)의 우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타격체(54)를 갖춘 바람확산기구(50)와:
내부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부가 지중배관본체부(11)와 보강관(20)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제1노즐부(61)와; 상부가 제1노즐부(61)와 연통되도록 제1노즐부(61)의 하부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바람확산기구(50)의 날개체(53)를 향하는 제2노즐부(62)와; 둘레부에 구비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체결부(63) 및; 상부 둘레부에 구비되어 지중배관본체부(11)와 보강관(2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상부 직경보다 하부 직경이 커 둘레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며, 하부 직경이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보다 큰 바람유도부(64)를 갖춘 노즐기구(60)와:
하단이 보강관(20)의 유입부(22)에 삽입되어 노즐기구(60)의 제1노즐부(61)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단이 지면으로부터 노출되는 공기공급관(70)과:
공기공급관(70)의 상단과 연결되며, 지면에 설치되어 공기공급관(7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팬장치(80)와:
지중배관본체부(11)의 배출부(11c) 및 보강관(20)의 배출부(23)에 삽입되고, 하단이 지중배관본체부(11)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단이 지면으로부터 노출되는 공기흡입관(90)과:
공기흡입관(90)의 상단과 연결되며, 지면에 설치되어 지중배관(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장치(100)와:
지중배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중배관(1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감지센서(110)와:
공급팬장치(80)에 설치되어,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감지센서(120)과:
공급팬장치(80)에 설치되며, 제1온도감지센서(110) 및 제2감지센서(120)로부터의 온도신호에 따라 공급팬장치(80) 및 흡입팬장치(10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130) 및;
흡입팬장치(100)에 설치되며, 감지기구(140)의 센싱부재(145)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외부로 경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감지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1지지기구가 없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B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 8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지중배관 및 보강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 8의 X-X선 단면도로서 나사산을 생략하고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지중배관 및 보강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 8의 Y-Y선 단면도로서 나사산을 생략하고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은 도 14의 C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도 14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0; 제1지지기구 40; 제2지지기구
50; 바람확산기구 60; 노즐기구
70; 공기공급관 80; 공급팬장치
90; 공기흡입관 100; 흡입팬장치
110; 제1온도감지센서 120; 제2온도감지센서
130; 제어유닛 140; 감지기구
141; 베이스 142; 수용체
143; 승강부재 144; 탄발체
145; 센싱부재 146; 가압체
150; 송신기
Claims (1)
- 내부에 지중배전선(L)이 배치되는 지중배관(10)을 포함하는 지중배전선 합선방지용 조립식 관로에 있어서,
상기 지중배관(10)은,
내부에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구비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수용부(11a)와,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좌측 상부에 구비되는 유입부(11b)와,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우측 상부에 구비되는 배출부(11c)와,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좌측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11d) 및,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우측에 구비되는 제2연결부(11e)를 구비한 지중배관본체부(11)와; 지중배관본체부(11)의 좌측 둘레부에 구비되는 좌측플랜지부(12) 및; 지중배관본체부(11)의 우측 둘레부에 구비되는 우측플랜지부(13)를 갖추며,
지중배관(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41)와; 내부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구비되는 수용부(142a)를 갖추고서 베이스(141)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용체(142)와;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구비되는 라운드부(143a) 및, 상부가 라운드부(143a)와 연통되고 하부가 수용체(142)의 수용부(142a)와 연통되는 연통부(143b)를 갖추고서, 수용체(142)의 수용부(142a)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단이 수용체(142)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승강부재(143)와; 수용체(142)의 수용부(142a)에 설치되며 승강부재(143)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탄발체(144)와; 수용체(142)의 수용부(142a)에 구비되며, 승강부재(143)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중을 받을 시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싱부재(145) 및; 승강부재(143)의 연통부(143b)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며 센싱부재(145)의 상부에 안착되는 가압체(146)를 갖춘 감지기구(140)와:
내부에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구비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공간부(21)와; 좌측 상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와 상하방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유입부(22) 및; 우측 상부에 상하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지중배관본체부(11)의 배출부(11c)와 상하방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배출부(23)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부(21)에 지중배관(10)이 삽입되어, 지중배관(10)의 좌측플랜지부(12) 및 우측플랜지부(13)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보강관(20)과: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중배전선(L)이 통과하는 통과부(31)와, 둘레부에 구비되는 체결부(32)와,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제1연결부(11d)와 연통되는 연결부(33) 및, 상기 연결부(33)와 연통되며 우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개구부(34)를 구비하여, 지중배관본체부(11)의 좌측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되,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보다 좌측에 위치하는 제1지지기구(30)와:
좌우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중배전선(L)이 통과하는 통과부(41)와, 둘레부에 구비되는 체결부(42)와,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제2연결부(11e)와 연통되는 연결부(43) 및, 상기 연결부(43)와 연통되며 좌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개구부(44)를 구비하여, 지중배관본체부(11)의 우측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되, 지중배관본체부(11)의 배출부(11c)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제2지지기구(40)와:
제1지지기구(30)의 우측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체(51)와; 좌측단이 지지체(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단이 우측방으로 돌출되며,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된 삽입부(52a)가 좌측방에서 우측방으로 다수 개 구비되는 바 형상의 회전체(52)와; 회전체(52)의 좌측 둘레부에 외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패널 형상의 다수의 날개체(53) 및; 회전체(52)의 삽입부(52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체결부(54a) 및, 상단이 상기 체결부(54a)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단이 지중배전선(L)과 맞닿는 연질의 타격막(54b)을 구비하여, 날개체(53)의 우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타격체(54)를 갖춘 바람확산기구(50)와:
내부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부가 지중배관본체부(11)와 보강관(20)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제1노즐부(61)와; 상부가 제1노즐부(61)와 연통되도록 제1노즐부(61)의 하부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바람확산기구(50)의 날개체(53)를 향하는 제2노즐부(62)와; 둘레부에 구비되며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체결부(63) 및; 상부 둘레부에 구비되어 지중배관본체부(11)와 보강관(2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상부 직경보다 하부 직경이 커 둘레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며, 하부 직경이 지중배관본체부(11)의 유입부(11b)보다 큰 바람유도부(64)를 갖춘 노즐기구(60)와:
하단이 보강관(20)의 유입부(22)에 삽입되어 노즐기구(60)의 제1노즐부(61)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단이 지면으로부터 노출되는 공기공급관(70)과:
공기공급관(70)의 상단과 연결되며, 지면에 설치되어 공기공급관(7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팬장치(80)와:
지중배관본체부(11)의 배출부(11c) 및 보강관(20)의 배출부(23)에 삽입되고, 하단이 지중배관본체부(11)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단이 지면으로부터 노출되는 공기흡입관(90)과:
공기흡입관(90)의 상단과 연결되며, 지면에 설치되어 지중배관(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장치(100)와:
지중배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중배관(1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감지센서(110)와:
공급팬장치(80)에 설치되어,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감지센서(120)과:
공급팬장치(80)에 설치되며, 제1온도감지센서(110) 및 제2감지센서(120)로부터의 온도신호에 따라 공급팬장치(80) 및 흡입팬장치(10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130) 및;
흡입팬장치(100)에 설치되며, 감지기구(140)의 센싱부재(145)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외부로 경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 합선방지용 조립식 관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9465A KR101659903B1 (ko) | 2016-03-11 | 2016-03-11 | 지중배전선 합선방지용 조립식 관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9465A KR101659903B1 (ko) | 2016-03-11 | 2016-03-11 | 지중배전선 합선방지용 조립식 관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9903B1 true KR101659903B1 (ko) | 2016-09-26 |
Family
ID=57068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9465A Active KR101659903B1 (ko) | 2016-03-11 | 2016-03-11 | 지중배전선 합선방지용 조립식 관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990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1118B1 (ko) * | 2019-05-20 | 2019-10-11 | (주)금강엔지니어링 | 지중 배전선로의 감시 시스템 |
KR102361503B1 (ko) | 2021-03-29 | 2022-02-14 | 주식회사 부윤엔지니어링 |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합선방지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7713B1 (ko) * | 2007-12-06 | 2008-03-03 | 이유박 | 지중 전력 케이블 보호블럭 |
KR20080033924A (ko) * | 2008-03-30 | 2008-04-17 | 임성황 | 배관을 통한 전력구 내부 공기주입 냉각시스템 |
KR101145351B1 (ko) * | 2012-02-06 | 2012-05-15 | 태형전기(주) |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
KR101569868B1 (ko) | 2015-04-22 | 2015-11-18 | 이윤경 | 토압으로부터 지중 배전선로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장치 |
-
2016
- 2016-03-11 KR KR1020160029465A patent/KR10165990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7713B1 (ko) * | 2007-12-06 | 2008-03-03 | 이유박 | 지중 전력 케이블 보호블럭 |
KR20080033924A (ko) * | 2008-03-30 | 2008-04-17 | 임성황 | 배관을 통한 전력구 내부 공기주입 냉각시스템 |
KR101145351B1 (ko) * | 2012-02-06 | 2012-05-15 | 태형전기(주) | 배전형 지중선로의 보호를 위한 전선관 |
KR101569868B1 (ko) | 2015-04-22 | 2015-11-18 | 이윤경 | 토압으로부터 지중 배전선로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1118B1 (ko) * | 2019-05-20 | 2019-10-11 | (주)금강엔지니어링 | 지중 배전선로의 감시 시스템 |
KR102361503B1 (ko) | 2021-03-29 | 2022-02-14 | 주식회사 부윤엔지니어링 |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합선방지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22975B1 (ko) | 경사지 또는 연약지반의 보강방법 | |
US5314313A (en) | Water-sensing alarm for water-control systems | |
US8100006B2 (en) | Liquid level measurement device and installation incorporating the same | |
KR102163322B1 (ko) | 맨홀 내 유해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 | |
KR101656787B1 (ko) | 지중배전선의 이탈방지용 지지장치 | |
KR101659903B1 (ko) | 지중배전선 합선방지용 조립식 관로 | |
KR102693867B1 (ko) | 관로식 지중 배전선로 | |
US20150204041A1 (en) | Two-tier wireless soil measurement apparatus | |
JP2011231568A (ja) | 間隙水圧測定装置、それを用いた軟弱地盤の改良工法、地下埋設物が埋設される地盤の動態把握方法、及び盛土構造物が造成される地盤の動態把握方法 | |
US11264710B2 (en) | Mounting structure for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ystem | |
CN203822381U (zh) | 钻埋分层式电磁-声地下水害监测装置 | |
KR101664211B1 (ko) | 외부충격으로부터 지중배전선의 보호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보호관 | |
KR101946992B1 (ko) | 무관정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 |
KR101375123B1 (ko) | 송전, 변전, 배전용 지중 케이블의 안전진단 시스템 | |
CA2154433A1 (en) | Freeze and water detector for a fire hydrant | |
KR101809125B1 (ko) | 무관정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 |
CN105201000A (zh) | 一种能远程监测的大面积基坑降水方法 | |
KR101666175B1 (ko) | 지중배전선로의 배전선 이탈 방지용 연결대 | |
KR20110019633A (ko) | 수중펌프의 방수구조 및 모니터링 장치 | |
KR200473856Y1 (ko) | 대구경 공공관정 밀폐식 지하수 정호커버 | |
CN207037401U (zh) | 一种潜水电机监控系统 | |
KR101585953B1 (ko) | 지중배전선간 안정적 연결을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 |
CA2598215C (en) | Liquid level measurement device and installation incorporating the same | |
CN105993747A (zh) | 一种砀山酥梨果树早春防冻系统及其防冻方法 | |
KR101320409B1 (ko) | 지하수 상부보호공에 설치된 관정시설물의 동파방지를 위한 잔류수 자동배수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3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9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