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59411B1 -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설치구조와 그 설치방법 및, 강연선의 교체방법 - Google Patents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설치구조와 그 설치방법 및, 강연선의 교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411B1
KR101659411B1 KR1020160028332A KR20160028332A KR101659411B1 KR 101659411 B1 KR101659411 B1 KR 101659411B1 KR 1020160028332 A KR1020160028332 A KR 1020160028332A KR 20160028332 A KR20160028332 A KR 20160028332A KR 101659411 B1 KR101659411 B1 KR 101659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strand
grip
fixed
stranded wi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환
이동천
Original Assignee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8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4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2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parts deformable to grip the cable or cables; 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 F16G11/025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e.g.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장교, 아치교 등의 교량에서 주탑 또는 아치리브와 거더를 구조적으로 연결하거나 건축물의 구조부재를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치되는 강연선의 설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설치구조는 강연선의 일단부를 제1부재에 고정 지지시키는 고정단 정착구와, 상기 고정단 정착구에 고정 지지된 강연선의 장력을 조정한 후 그의 타단부를 제2부재에 고정 지지시키는 조정단 정착구로 이루어지는 강연선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강연선의 일단부는 그립부와 웨지부로 이루어진 그립웨지가 고정단 정착구에 구비된 그립웨지홀에 삽입되면서 정착 고정되고, 상기 강연선의 타단부는 조정단 정착구에 구비된 웨지홀에 웨지가 삽입되면서 정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설치구조와 그 설치방법 및, 강연선의 교체방법{ANCHORING STRUCTURE OF THE STEEL WIRE USING THE GRIP-WEDGE AND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REPLACING THE STEEL WIRE}
본 발명은 사장교, 아치교 등의 교량에서 주탑 또는 아치리브와 거더를 구조적으로 연결하거나 건축물의 구조부재를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치되는 강연선의 설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멀티 스트랜드 정착방식을 이용하여 적용되는 부재의 규모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상기 강연선의 설치구조와 그 설치방법 및, 강연선의 교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장교는 거더와 주탑 그리고 이들 사이를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강연선 등의 케이블이 만들어 내는 기하학적인 형상으로 인하여 매우 수려한 외관을 가지게 할 뿐 아니라 하부구조와 상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장스팬이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인 교량구조라고 할 수 있다.
주 구조가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케이블을 통해 지지된 연직하중을 수평반력이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함으로써 부재의 단면력을 줄일 수 있는 아치교 역시 장스팬이 가능하며 경제성과 함께 독특한 곡선미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시의 디자인화와 함께 외관이 우수한 사장교, 아치교 등과 같은 케이블을 이용한 교량들의 설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케이블의 부식이나 케이블을 부재에 고정시키는 정착구 등 케이블의 설치에 관한 연구개발 역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케이블을 구성하는 강연선 정착은 웨지 또는 그립을 이용하는 방식이 가장 일반적이며, 예컨대 사장교의 경우 거더와 주탑의 양측 모두에 대하여 웨지에 의한 정착방식을 적용하거나, 일측은 그립을 이용하고 타측은 웨지를 이용하는 정착방식을 적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은 주로 대하중용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단과 조정단 앵커헤드를 미리 설치하고 현장에서 설치 길이에 맞도록 케이블을 제작 설치한 후 스트랜드 잭을 이용하여 장력을 조정하게 되는 바, 상기와 같은 앵커헤드 등의 정착부를 콘크리트 주탑 및 거더에 매립하거나 콘크리트 바닥판 아래의 강재 거더와 연결하기 위해 거푸집 및 철근배근 공정의 단계에서부터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고, 케이블을 현장에서 제작 및 설치하므로 투입장비에 대한 시공하중 검토가 요구되는 등 공기가 길어지고 작업이 번거로워 공사비가 크게 증가되어 소형의 강교량에서는 이를 적용할 수가 없다.
이와 더불어, 양측을 모두 웨지로 정착시키는 경우에는 조정단에서 케이블에 장력을 도입할 때 상기 케이블이 전후로 이동될 수 있는 바, 이로 인하여 고정단의 웨지홀에 삽입된 웨지의 각 분할편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단쪽에도 인력 및 장비가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고정단을 그립방식으로 정착시키는 경우에는 웨지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으나, 접촉면적이 작은 측면으로 장력을 지지하게 되므로 피로에 약하여 정착능력이 웨지에 의한 방식보다 훨씬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강연선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측에 요입 형성된 수용부가 형성된 외측 케이싱(11)과, 외측 케이싱(11)의 수용부에 삽입되어 케이블(1)을 파지하는 내측 케이싱(13)과, 케이블(10)의 끝단에 끼워져 내측 케이싱(13)의 케이블 고정공(13a)에 삽입되는 마찰 튜브(12)와, 케이블(10)이 케이블 고정공(13a) 내에서 고정되도록 압착력을 가하는 압착 부재(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도 1의 강연선 설치구조는, 케이블 길이별로 절단, 압축 및 조립공정이 주로 공장에서 이루어짐으로써 품질이 균일하고 케이블 설치의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앵커헤드부를 압착하는 것이어서 강연선의 일부가 손상된 경우에도 해당 케이블 전체를 교체시켜야 하기 때문에 유지관리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0-0111436 A KR 10-0997673 B1 KR 10-1303393 B1
본 발명은 종래기술들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앵커헤드 등을 콘크리트에 매립시킬 필요가 없고, 공장에서 제작, 조립한 케이블 및 정착구를 현장에서 간단히 설치할 수 있어 공기가 단축되고, 케이블의 설치 및 장력 조정작업을 안전하게 진행시킬 수 있으며, 조정단에서 강연선의 장력을 조정할 때 고정단에서의 정착상태에 대한 작업자의 확인 및 재세팅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강력한 정착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강연선의 개별 장력조정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일부 강연선에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손상된 강연선만을 교체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한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설치구조와 이의 시공방법 및 강연선 교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강연선의 일단부를 제1부재에 고정 지지시키는 고정단 정착구와, 상기 고정단 정착구에 고정 지지된 강연선의 타단부를 제2부재에 고정 지지시키는 조정단 정착구로 이루어지는 강연선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강연선의 일단부는 그립부와 웨지부 및, 이들 사이의 응력완화부로 이루어진 그립웨지가 고정단 정착구에 구비된 그립웨지홀에 삽입되면서 정착 고정되고, 상기 강연선의 타단부는 조정단 정착구에 구비된 웨지홀에 웨지가 삽입되면서 정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a) 강연선 및 케이블 보호관을 제작 및 조립하는 단계; b) 그립웨지를 이용하여 강연선의 일단부를 고정단 정착구에 고정시키는 단계; c) 강연선이 삽입된 케이블 보호관의 일단에 조정단 보호관을 설치하고, 상기 케이블 보호관을 고정단쪽으로 밀착시켜 조정관 정착구에 대한 작업공간을 형성시키는 단계; d) 제1부재의 러그에 고정단 정착구 및 강연선을 설치하는 단계; e) 제2부재의 러그에 조정단 정착구를 설치하는 단계; f) 웨지를 이용하여 조정단 보호관이 설치된 강연선을 앵커헤드에 가체결하는 단계; g) 스트랜드 잭을 이용하여 강연선에 장력을 도입하고 이를 조정하는 단계; h) 강연선 설치작업을 마무리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설치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정착 고정된 강연선 중 일부를 교체함에 있어서, a) 교체 강연선을 소요 길이로 절단한 후, 상기 교체 강연선 중 고정단 정착구 및 조정단 정착구에 위치하는 각 단부에 대하여 피복을 제거하는 단계; b) 피복이 제거된 교체 강연선의 양 단부 중 고정단 정착구에 위치할 일단부에 그립웨지를 끼우고, 상기 그립웨지의 그립부를 압착하여 교체 강연선에 대하여 웨지부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c) 조정단 정착구의 웨지를 이탈시켜 파손된 강연선을 제거하는 단계; d) 그립웨지가 설치된 교체 강연선의 일단부를 고정단 정착구의 그립웨지홀에 삽입시켜 가체결 되도록 하고, 교체 강연선의 타단부와 웨지를 조정단 정착구의 웨지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스트랜드 잭으로 교체 강연선의 장력을 조정하여 교체 강연선의 타단부를 조정단 정착구에 정착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교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공장에서의 작업범위를 늘려줌으로써 현장작업의 공수를 줄여주기 때문에 공기가 대폭 단축되고 정밀한 시공이 가능해지며, 연결핀을 이용하여 쉽게 설치할 수 있어 대하중용은 물론 소하중용으로도 적용 가능하여 범용성을 가지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의 설치 및 장력 조정작업을 안전한 상판위에서 진행할 수 있고, 고정단에 그립웨지를 사용함으로써 정착성능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장력 조정작업을 실시할 때 고정단쪽에 인력 및 장비를 배치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이 도모되고, 작업의 신속성 향상과 더불어 경비절감에 따른 경제적인 강연선의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부 강연선이 파손되더라도 케이블 전체를 구조물에서 분리시킬 필요 없이 손상된 강연선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차량 통제없이 보수작업을 신속히 진행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강연선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연선의 설치구조를 사장교에 적용한 예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본 발명의 강연선의 설치구조 중 고정단 정착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고정단 정착구에 구비된 차단부재의 설치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고정단 정착구에 사용되는 그립웨지의 일 실시예를 타나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본 발명의 강연선의 설치구조중 조정단 정착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14는 본 발명의 강연선의 설치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5 내지 22는 본 발명의 강연선 교체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연선의 설치구조를 사장교에 적용한 예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상기 강연선의 설치구조 중 고정단 정착구(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4는 고정단 정착구(100)에 구비된 차단부재(140)의 설치에 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상기 고정단 정착구(100)에 사용되는 그립웨지(160)의 일 실시예를 타나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6은 상기 강연선의 설치구조중 조정단 정착구(2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강연선 설치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보호관(500)에 의해 보호되는 강연선(600)의 양 단부를 고정단 정착구(100)와 조정단 정착구(200)에 정착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단 정착구(100)는 제1부재(300)에 고정지지되고 조정단 정착구(200)는 제2부재(400)에 고정지지된다.
이때 제1부재(300)와 제2부재(400)는 주탑과 거더, 또는 아치리브와 거더 와 같이 서로 다른 부재일 수도 있고, 동일한 부재의 양 단부, 예컨대 거더의 휨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것처럼 동일한 부재의 양 단부일 수도 있다.
또 주탑 또는 아치리브에 고정단 정착구(100)를 설치하고, 거더에 조정단 정착구(20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강연선의 설치작업 및 장력 조정작업을 교량의 상판 위에서 진행하게 되므로 작업의 용이성 및 안정성이 크게 도모될 수 있다.
고정단 정착구(100)와 제1부재(300), 조정단 정착구(200)와 제2부재(400)의 각 사이는 매립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핀결합 구조를 가지게 한다. 이러한 핀결합구조는 각 정착구(100,200)와, 케이블 보호관(500)에 강연선(600)을 삽입시킨 케이블 및, 상기 강연선(600)의 일단부를 고정단 정착구(100)에 설치된 구조까지 공장에서 조립 제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작업공수를 줄이고 시공성을 향상시켜 공기를 단축시키고 공사비를 절감시킬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제1부재(300)와 제2부재(400)에는 핀홀이 구비된 러그(310,410)가 각각 설치되고, 각 정착구(100,200)에도 핀홀이 각각 구비된다.
다수 가닥의 강연선(600)이 삽입되는 케이블 보호관(500)은 PE 또는 HDPE 재질로 구성되어 색상변화를 통해 주위환경과의 조화를 꾀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강연선(600)을 자외선, 빗물, 대기중의 산화성 기체등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며 고정단 정착구(100)로부터 조정단 정착구(200)까지 강연선(600)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강연선(600)의 일단부를 제1부재(300)에 고정 지지시키는 고정단 정착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300)에 결합되는 고정단 소켓(110)과, 상기 고정단 소켓(110)에 나사결합되는 T형 앵커헤드(120)와, 상기 T형 앵커헤드(120)에 결합되는 직경변환슬리브(130) 및, 이들을 감싸는 원통형상의 고정단 보호관(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단 소켓(110)은 강연선(600)을 통해 전달된 하중을 제1부재(300)에 전달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제1부재(300)에 핀결합되는 경우 강연선(600)의 설치각도에 꺽임없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고정단 소켓(110)은 핀홀이 구비된 'ㅗ' 또는 'ㅛ'형상의 요크부(111)와, 나사홀(112a)이 구비된 몸체부(112)로 구성되며, 상기 요크부(111)는 연결핀(311)으로 제1부재(300)의 러그(310)와 핀결합되고, 몸체부(112)는 후술하는 T형 앵커헤드(120)와 나사체결된다.
T형 앵커헤드(120)는 강연선(600)을 정착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다리부(121)와, 다수 개의 그립웨지홀(122a)이 구비된 플랜지부(122)로 구성되며, 상기 다리부(121)는 고정단 소켓(110)의 몸체부(112)에 나사체결되고, 그립웨지홀(122a)에는 강연선(600)과 그립웨지(160)가 삽입 고정된다. 즉 상기 그립웨지홀(122a)에 강연선(600)이 삽입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그립웨지(160)를 삽입시킴으로써 그립웨지(160)의 쐐기 작용에 의해 강연선(600)의 일단부가 T형 앵커헤드(120)에 정착 고정된다. 이러한 그립웨지(16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는 뒤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직경변환슬리브(130)는 T형 앵커헤드(120)의 플랜지부(122)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T형 앵커헤드(120)를 통과한 각 강연선(600)의 진행방향을 변화시켜 케이블 보호관(5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강연선(600)의 배치 직경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직경변환슬리브(130)는 T형 앵커헤드(120)쪽에 위치한 원통형상의 측판(131)과, T형 앵커헤드(120)의 반대쪽에 위치한 변환판(1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환판(132)에는 대통과홀(132a)이 구비되되, 상기 대통과홀(132a)의 직경은 외경(d1)이 케이블 보호관(500)의 내경(d2)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직경변환슬리브(130)의 측판(131)은 그 길이를 통해 강선의 각도변화 정도를 설정하게 된다.
상기 직경변환슬리브(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T형 앵커헤드(120)에 결합되는 바, 이러한 결합수단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직접 나사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T형 앵커헤드(120)의 플랜지부(122)에 단턱진 나사부(123)를 형성시키고, 직경변환슬리브(130)의 측판(131)의 내면에 암나사를 형성시킬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인입측'과 '인출측'이라는 용어가 다수 사용되는 바, '인입측'이라 함은 강연선(600)의 단부가 삽입되는 쪽을 의미하고, 인출측이라 함은 그 반대쪽을 의미함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고정단 정착구(100)의 T형 앵커헤드(120)에서 인입측은 조정단 정착구(200) 쪽, 즉 직경변환슬리브(130)가 위치한 쪽이고, 인출측은 고정단 소켓(110)이 위치한 쪽이 된다. 또 후술하는 조정단 정착구(200)의 앵커블록(230)에서 인입측은 고정단 정착구(100) 쪽이고, 인출측은 조정단 소켓(210)이 위치한 쪽이 된다. 아울러 '고정단쪽'이라 함은 고정단 정착구(100)가 설치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고, '조정단쪽'이라 함은 조정단 정착구(200)가 설치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다.
고정단 보호관(150)은 강연선(600)이 정착된 T형 앵커헤드(120) 등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연선(600)이 삽입된 케이블 보호관(500)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블 보호관(500)과 고정단 소켓(110) 사이를 감싸면서 고정단 소켓(110)의 몸체부(112)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고정단 보호관(150)에 삽입된 케이블 보호관(500)의 단부에는 차단부재(1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140)는 고정단 보호관(150) 내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밀폐기능을 하는 차단판(141)과 케이블 보호관(500) 단부와의 결합을 위한 끼움부(142)로 이루어진다.
차단판(141)은 고정단 보호관(150)의 내측에 밀착되어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그립웨지(160)가 정착되는 강연선(600) 단부의 피복탈피구간(S)을 부식으로부터 보호하고, 상기 피복탈피구간(S)의 방청오일이 고정단 보호관(150)의 내면과 케이블 보호관(500)의 외면을 타고 고정단 보호관(150)의 밖으로 흘러 나가거나, 빗물 또는 결로에 의해 형성된 물방울이 상기 피복탈피구간(S) 안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다.
강연선의 설치 및 교체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차단부재(140)를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뿐 아니라, 온도변화에 따른 케이블 보호관(500)의 길이의 신축에도 대응할 수 있어야 하는 바, 차단부재(140)중 적어도 고정단 보호관(150)의 내면에 직접 접하는 차단판(141)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140)의 양측으로 강연선 설치작업을 위한 들림여유공간과 케이블 보호관(500)의 수축에 대응하는 수축여유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판(141)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부(142)는 내부에 삽입홈이 구비되어 케이블 보호관(500)의 단부가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케이블 보호관(500)의 전후 이동시 상기 케이블 보호관(500)으로부터 차단부재(140)가 이탈되지 않도록 끼움부(142)의 외면에 고정밴드(143)를 더 구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정단 정착구(100)에 구비되는 그립웨지홀(122a)에 압착작용과 쐐기작용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그립웨지(160)를 적용시키는 것에 중요한 기술적 특징의 하나로 하고 있다.
상기의 그립웨지(16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161)와 웨지부(162) 및, 이들 사이의 응력완화부(163)로 이루어지되, 그립웨지홀(122a)에 삽입될 때 그립부(161)는 강연선(600)의 인출측에 위치하고 웨지부(162)는 강연선(600)의 인입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웨지부(162)는 다수 개의 분할편(162a)이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그립부(161)는 강연선(600)을 압착함으로써 도 5의 (b)에서와 같이 상기 강연선(600)에 대하여 웨지부(162)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웨지부(162)의 각 분할편(162a)은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응력완화부(163)는 그립부(161)와 웨지부(162)의 사이에서 변형이 서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그립부(161)와 웨지부(162)가 제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그립부(161)를 강연선에 고정시키기위해 압착할 때 그립부(161)에 발생하는 소성변형이 웨지부(162)에 전가되는 경우 분할편(162a) 자체에 또는 분할편(162a)들사이의 연결상태에 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분할편(162a)들이 서로 어긋나게 그립웨지홀(122a)에 삽입되게 할 수도 잇다. 이와 반대로 웨지부(162)가 그립웨지홀(122a)에 삽입되면서 각 분할편(162a)들이 압입될 때도 각 분할편(162a)들은 그들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는데, 이러한 웨지부(162)의 변형이 강연선(600)을 압착하고 있는 그립부(161)의 형상을 변형시키고, 상기 그립부(161)의 변형은 또 다시 분할편(162a)들의 위치를 변화시키게 할 여지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응력완화부(163)는 상기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그립부(161)와 웨지부(162) 사이에 위치하되, 응력완화부(163)의 두께는 그립부(161)의 단면두께보다 작게 구성되며, 이는 가압장치에 의해 그립부(161)가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면서 단면두께가 감소되는 소성변형이 일어나더라도 그 변형이 웨지부(162)에 전달되지 않으며, 웨지부(162)에 쐐기작용에 의해 소성변형되더라도 그 변형이 그립부(161)에 전달되지 않게 한다.
상기한 응력완화부(163)의 기능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한 단면두께의 구성과 함께 강연선이 통과하는 응력완화부(163)의 내경을 그립부(161)와 웨지부(162)의 각 내경보다 크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그립웨지(160)는 강연선(600)에 대한 장력조절 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정착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며, 특히 고정단 정착구(100)를 주탑이나 아치리브에 설치함으로써 작업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단쪽에 정착성능을 크게 가지게 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분할편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웨지를 적용하게 되면, 조정단쪽에서 장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강연선을 전후이동시키는 과정중에 분할편의 일부가 이탈하거나 서로 어긋나게 웨지홀에 삽입됨으로써 강연선에 편심이 발생하는 등 정확한 정착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조정단쪽에서 장력을 조절하는 작업을 할 때는 고정단쪽에도 인력 및 장비를 배치시켜 분할편들이 이탈되거나 서로 어긋나게 삽입되지 않도록 잡아주거나 재세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고정단을 주탑과 같이 작업환경이 열악한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작업자의 안전 등이 문제될 수 있다.
또 압착그립을 적용하게 되면 강연선은 압착그립과의 마찰에 의해 고정되는 것인 바, 정착성능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음 역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강연선의 뒷쪽, 즉 인출측의 강연선(600) 단부를 그립부(161)로 압착시키게 되면 그에 따라 웨지부(162)의 각 분할편(162a)이 정위치에서 이탈되거나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되어, 조정단쪽에서 장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강연선(600)을 밀고 당기는 과정중에도 각 분할편(162a)이 어긋나지 않게 되므로, 별도의 인력 및 장비의 배치를 불필요하게 하여 경제성 및 작업자의 안정성을 도모하게 할 뿐 아니라, 웨지부(162)의 쐐기작용에 의해 강연선(600)이 정착 고정되고 그립부(161)가 이를 보조할 수 있게 되는 바, 매우 우수한 정착성을 발휘하게 된다.
더욱이 고정단 정착구(100)를 주탑이나 아치리브에 설치하게 되면, 장력의 조정작업은 거더 위의 안전한 상판에서 진행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이고 능률적으로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그립웨지(160)에 관하여 도 5에서는 그립부(161)와 웨지부(162)가 일체로 구성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들이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지더라도 무방하다. 다만 그립부(161)를 강연선(600)에 압착시켜 고정될 때 웨지부(162) 역시 강연선(600)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도 6은 고정단 정착구(100)에 고정 지지된 강연선(600)의 타단부를 제2부재(400)에 고정 지지시키는 조정단 정착구(200)의 구조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정단 정착구(200)는, 제2부재(400)와 결합되는 조정단 소켓(210)과, 조정단 소켓(210)과 결합되는 길이조정바(220)와, 길이조정바(220)의 일단과 결합되는 앵커블록(230)과, 앵커블록(23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앵커헤드(240) 및 보호캡(250)과, 앵커블록(23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조립링(260)과, 상기 조립링(260)과 결합되는 보호링(270) 및, 앵커블록(230)의 또 다른 내측면에 설치되는 조정단 보호관(2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정단 소켓(210)은 거더 등의 제2부재(400)를 통해 전달된 교량의 연직하중을 강연선(600)에 전달하기 위한 매개체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제2부재(400)에 핀결합되는 경우 고정단 소켓(110)과 마찬가지로 강연선(600)의 설치각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조정단 소켓(210)은 핀홀이 구비된 'ㅗ' 또는 'ㅛ'형상의 요크부(211)와, 나사홀(212a)이 구비된 몸체부(212)로 구성된다는 점에서도 고정단 소켓(110)과 차이가 없다.
다만 상기 요크부(211)에는 제2부재(400)의 러그(410)와 핀결합되고, 몸체부(212)의 나사홀(212a)에는 후술하는 길이조정바(220)가 나사체결하게 되며,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조정단 소켓(210)이 한 쌍이 대칭적으로 배치된다는 점에서 고정단 소켓(110)과 다소 차이가 있다.
길이조정바(220)는 양 단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일단은 조정단 소켓(210)의 나사홀(212a)에 나사체결되면서 로크너트(221)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앵커블록(230)에 나사체결된다.
이러한 길이조정바(220)는 여기에 체결되는 길이조정너트(222)와 함께 조정단 정착구(200)의 길이를 설정하면서 강연선(600)의 장력을 1차적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앵커블록(230)의 외측에는 길이조정바(220)의 단부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홀(231)이 구비되고, 내측에는 강연선(600)이 통과하는 가이드홀(232)이 구비된다. 따라서 길이조정바(220)를 앵커블록(230)의 관통홀(23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길이조정너트(222)를 이용하여 조정단 소켓(210)과 앵커블록(230)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면 조정단 정착구(200)의 전체적인 길이가 조정되면서 동시에 강연선(600)의 장력이 함께 조정된다.
앵커블록(230)의 내측에 설치된 가이드홀(232)은 앵커헤드(240)의 웨지홀(241)과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강연선(600)을 웨지홀(241)쪽으로 쉽게 인출될 수 있게 한다.
앵커블록(230)의 인출측에는 강연선(600)을 정착 고정시키는 앵커헤드(240)가 조립 설치된다
상기 앵커헤드(240)에는 강연선(600)이 정착되는 웨지홀(241)이 구비되는 바, 일단부가 고정단 정착구(100)에 정착 고정된 강연선(600)의 타단부가 상기 웨지홀(2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웨지(242)가 삽입됨으로써 강연선(600)이 조정단 정착구(200)에 정착 고정된다.
상기 웨지홀(241)은 다수 개가 각 강연선(600)별로 구비되어 멀티 스트랜드 정착방식의 웨지(242)에 의해 정착되는 바, 이는 스트랜드 잭(J)을 이용하여 강연선(600)의 개별 장력 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중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도 손상된 강연선만을 교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교체작업의 신속성과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앵커헤드(240)의 웨지홀(241)에 삽입된 웨지(242)의 단부에는 웨지덮개(243)를 더 구비시킬 수 있다. 상기 웨지덮개(243)는 이상 진동 등에 의해 웨지홀(241)에 삽입된 웨지(242)가 풀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장 또는 현장에서 셋팅된 강연선이 운반 또는 설치중 그 길이가 변화되거나, 또는 사용중 강연선의 장력이 손실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웨지덮개(243)에는 강연선(600)이 통과될 수 있는 소통과홀(243a)이 구비된다.
상기 웨지(242)와 웨지덮개(243)의 사이에는 탄성력을 가진 가압재(미도시)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가압재는 웨지(242)를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웨지홀(241)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게 할 뿐 아니라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웨지(242)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스프링 또는 신축성의 패드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웨지덮개(243)는 외주연에 고정공(243b)을 구비시켜 고정볼트(243c)로 앵커헤드(240)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앵커블록(230)의 외측면, 즉 인출측의 면에는 상기한 앵커헤드(240) 및 강연선(60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250)이 더 설치된다. 상기 보호캡(250)은 앵커헤드(240)를 감싸면서 밀폐된 공간을 형성시켜 웨지홀(241)을 통과한 피복이 탈피된 강연선(600)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보호캡(250)과 앵커블록(230) 사이에는 패킹(P)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그리스 등의 방청재가 충진될 수 있다.
앵커블록(230)의 내측면, 즉 인입측의 면에는 케이블 보호관(500)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립링(260)이 설치된다. 상기 조립링(260)의 일측단은 앵커블록(230)에 용접 조립되고, 타측단은 케이블 보호관(500)의 중심과 앵커블록(230)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케이블 보호관(500)의 단부에 끼워진 보호링(270)의 내경부분에 삽입된다. 따라서 바람의 영향으로 케이블 보호관(500)이 흔들리더라도 조립링(260)과 보호링(270)의 조립부에서는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앵커블록(230)의 내측면에는 상기한 조립링(260)외에도 조정단 보호관(280)이 더 설치된다. 상기 조정단 보호관(280)은 조립링(260)과 보호링(270)을 함께 감싸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그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케이블 보호관(500)과 더불어 조립링(260)과 보호링(270)을 외부로부터 차단시켜 누수 및 부식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조정단 보호관(280)과 앵커헤드(240) 사이의 결합부위에는 패킹(P)이 더 설치될 수 있고, 케이블 보호관(500)의 외면에 접하는 조정단 보호관(280)의 타측 단부에는 방수캡(281)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수캡(281)은 조정단 보호관(280)과 케이블 보호관(500) 사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시키는 것으로써, 그 재질을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신축성과 더불어 열수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조정단 보호관(280)을 이용하여 그 내부의 강연선(600) 등이 부식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결로 또는 미세한 틈새의 하자로 인하여 물이 조립링(260)과 보호링(270)의 결합부위에 스며들 수 있는 바, 조립링(260)의 외면에 물끊기홈(261)을 구비시켜 강연선(600)에 물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14는 지금까지 설명한 정착구를 사장교에 적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강연선의 설치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강연선 설치방법은, a) 강연선(600) 및 케이블 보호관(500)의 제작 및 조립단계, b) 강연선(600)의 일단부를 고정단 정착구(100)에 고정시키는 단계, c) 케이블 보호관(500)을 고정단쪽으로 밀착시키는 단계, d) 제1부재(300)의 러그(310)에 고정단 정착구(100)를 설치하는 단계, e) 제2부재(400)의 러그(410)에 조정단 정착구(200)를 설치하는 단계, f) 웨지(242)로 강연선(600)을 앵커헤드(240)에 가체결하는 단계, g) 강연선(600)에 장력을 도입하는 단계, h) 강연선 설치작업을 마무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a) 강연선(600) 및 케이블 보호관(500)의 제작 및 조립단계(도 7 참조);
강연선(600)을 케이블 보호관(500)에 삽입시켜 케이블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피복된 강연선(600)을 필요한 가닥 수 만큼 준비하여 소요 길이로 절단하고, 이들 각 강연선(600)의 양 단부에 대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피복을 제거한다. 이와 함께 케이블 보호관(500)을 소요 길이만큼 절단 또는 접합하여 준비한 후, 상기 강연선(600)을 삽입시켜 케이블을 제작한다.
b) 강연선(600) 일단부를 고정단 정착구(100) 고정시키는 단계(도 8 참조);
강연선(600)의 고정단쪽에 고정단 보호관(150), 차단부재(140), 직경변환슬리브(130)를 순차 끼워 넣은 후, 상기 강연선(600)이 T형 앵커헤드(120)의 그립웨지홀(122a)을 관통되도록 하고, 그립웨지홀(122a)을 관통한 강연선(600)이 웨지부(162)와 그립부(161)에 순차 삽입되도록 그립웨지홀(122a)에 끼워 넣은 후, 그립웨지(160)의 그립부(161)를 압착하여 상기 강연선(600)에 그립웨지(160)가 고정되도록 한다.
강연선(600)에 그립웨지(160)가 고정되면 웨지부(162)가 그립웨지홀(122a)에 삽입되도록 하여 강연선(600)을 임시 고정하고, 직경변환슬리브(130)와 T형 앵커헤드(120) 및 고정단 소켓(110)의 각 사이를 나사체결하여 일체화시킨다.
이와 함께 차단부재(140)의 끼움부(142) 외면을 고정밴드(143)로 조여주어 차단부재(140)가 케이블 보호관(5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고정단 보호관(150)의 일단부를 고정단 소켓(110)의 몸체부(112)에 고정시킨다.
c) 케이블 보호관(500)을 고정단쪽으로 밀착시키는 단계(도 9 참조);
케이블 보호관(500)을 고정단쪽으로 밀착시켜 조정단 정착구(200)에 대한 작업공간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강연선(600)의 조정단쪽에 방수캡(281), 조정단 보호관(280), 보호링(270)을 순차 끼워 조립한 후, 케이블 보호관(500)의 단부가 고정단쪽에 밀착되도록 고정단 정착구(100)를 향하여 밀어낸 상태에서 분할클램프(C)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한다. 케이블 보호관(500)의 단부에 설치되는 보호링(270)은 a)단계에서 미리 설치함으로써 케이블 보호관(500)의 운반 등의 작업과정중에 케이블 보호관(500)의 단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단계가 완료되면 고정단 정착구(100)의 차단부재(140)는 도 4에 도시된 들림여유공간만큼 직경변환슬리브(13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a) 내지 c)단계의 작업은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공장에서 제작 및 조립시킨 후 이를 현장으로 운반하여 후속작업을 진행시키게 할 수 있다. 이때 현장 및 공장제작의 판단기준은 각 작업장의 여건도 고려되어야 하나, 강연선으로 이루어진 케이블의 길이와 관련한 운반 가능 여부가 더욱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예컨대 케이블의 길이가 길더라도 케이블 보호관과 함께 보빈에 감아서 운반할 수 있다면 공장제작이 가능하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현장 제작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들을 공장에서 제작 및 조립시킨 후 현장으로 운반하고, 현장에서는 다음의 각 단계만을 진행하게 되면, 현장 작업공수의 대폭 감소로 인하여 공기단축을 도모할 수 있게 되므로 급속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d) 제1부재(300) 러그(310) 고정단 정착구(100) 설치하는 단계(도 10 참조);
고정단 정착구(100)를 제1부재(300)의 러그(310), 즉 주탑의 러그(310)에 설치함으로써 케이블이 주탑에 설치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고정단 소켓(110)의 요크부(111)와 상기 러그(310)의 핀홀에 연결핀(311)을 삽입하여 고정단 정착구(100)가 제1부재(300)에 핀결합되도록 한다. 이로써 강연선(600)이 제1부재(300)에 설치된다.
e) 제2부재(400)의 러그(410)에 조정단 정착구(200)를 설치하는 단계(도 11 참조);
조정단 소켓(210)과, 길이조정바(220) 및 앵커블록(230)을 조립하고, 상기 조정단 소켓(210)의 요크부(211)와 제2부재(400), 즉 거더의 러그(410)에 각 구비된 핀홀에 연결핀(411)을 삽입하여 조정단 정착구(200)가 제2부재(400)에 핀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앵커블록(230)에는 조립링(260)을 미리 조립시켜 놓는 것이 바람지기하다.
제2부재(400)에 대한 조정단 정착구(200)의 핀결합이 완료되면, 길이조정바(220)와 길이조정너트(222)를 이용하여 조정단 정착구(200)의 길이를 셋팅하고, 케이블이 설치되어야 하는 각도에 대응하도록 지지받침(K)을 설치하여 조정단 정착구(200)의 설치방향을 유지시킨다.
f) 웨지(242)로 강연선(600) 앵커헤드(240) 가체결하는 단계(도 12 참조);
강연선(600)의 조정단쪽 단부를 앵커블록(230)의 가이드홀(232)에 인입시키고, 상기 가이드홀(232)로부터 인출된 강연선(600)을 다시 앵커헤드(240)의 웨지홀(241)을 통과하도록 하면서 앵커헤드(240)를 상기 앵커블록(230)에 조립한다.
앵커블록(230)의 조립이 완료되면 웨지홀(241)에 웨지(242)를 삽입시켜 강연선(600)을 가체결한다.
g) 강연선(600) 장력을 도입하는 단계(도 13 참조);
각 강연선(600)에 대하여 스트랜드 잭(J)을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장력을 도입한다.
이러한 장력도입은 전체적으로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다음의 본 장력도입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초기 장력의 도입단계와, 예정된 만큼의 장력이 도입되도록 하는 본 장력 도입단계의 2단계로 나누어 실시될 수 있다.
본 장력 도입이 완료된 후에는 제2부재(400), 예컨대 거더가 계획고에 일치하도록 장력을 조정한다.
h) 강연선 설치작업을 마무리하는 단계(도 14 참조);
강연선(600)에 대한 장력 도입작업이 완료되면, 강연선(600)이 앵커헤드(240)로부터 돌출된 길이를 필요한 만큼 남겨두고 일정하게 절단한 후, 웨지덮개(243)를 앵커헤드(240)에 고정시키고, 이들을 둘러싸면서 밀폐되도록 보호캡(250)을 앵커헤드(240)에 조립한다. 이때 피복이 제거된 강연선의 노출부위에 대하여는 그리스 등의 방청재를 도포하거나 상기 보호캡(250) 내부에 충진시킴으로써 강연선(600)에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의 c)단계에서 케이블 보호관(500) 등을 고정시켰던 고정수단을 제거하고, 상기 케이블 보호관(500) 등을 조정단쪽으로 이동시킨후 조립링(260)을 매개로 하여 앵커블록(230)과 케이블 보호관(500)이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조정단 보호관(280)의 일단부를 앵커블록(230)에 고정시키고, 방수캡(281)이 열수축성 재질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방수캡(281)에 대하여 토오치로 가열하여 수축시킴으로써 조정단 보호관(280)과의 사이 및 케이블 보호관(500)과의 사이에 대한 방수처리가 완료되도록 한다.
도 15 내지 22는 그립웨지(160)를 이용하여 사장교에 설치된 강연선(600)의 일부를 교체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것으로서, a) 교체 강연선(600a)을 준비하는 단계, b) 교체 강연선(600a)에 그립웨지(160)를 고정시키는 단계, c) 파손된 강연선(600b)을 제거하는 단계, d) 교체 강연선(600a)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의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교체 강연선(600a) 준비하는 단계(도 15 참조);
파손된 강연선(600b)을 대체할 교체 강연선(600a)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강연선을 소요 길이로 절단 한 후, 고정단쪽의 단부에 대하여는 그립웨지(160)가 정착하면서 위치할 범위에 대하여 피복을 제거하고, 조정단쪽의 단부에 대하여는 웨지(242)가 정착하면서 위치할 범위에 대하여 피복을 제거하여 교체 강연선(600a)을 준비한다.
b) 교체 강연선(600a) 그립웨지(160) 고정시키는 단계(도 15 참조);
강연선에 대한 피복 제거작업이 완료되면, 피복이 제거된 교체 강연선(600a)의 양 단부 중 고정단 정착구(100)에 위치할 일단부에 그립웨지(160)를 끼우고, 그립웨지(160)의 그립부(161)와 웨지부(162) 중 그립부(161)를 압착하여 교체 강연선(600a)에 대하여 웨지부(162)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c) 파손된 강연선(600b) 제거하는 단계(참고도 16, 17 참조);
조정단 정착구(200)의 웨지(242)를 이탈시켜 파손된 강연선(600b)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먼저, 조정단 정착구(200)의 조정단 보호관(280)과 보호캡(250)의 볼트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그 내부를 개방시키고, 케이블 보호관(500)과 함께 상기 조정단 보호관(280)을 고정단 정착구(100)쪽으로 밀어 올리고 받침대(미도시) 등을 설치하여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고정단 정착구(100)에 대하여도 차단부재(14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단 보호관(150)을 하부로 이동시킨 후 이를 분할클램프(C)로 케이블 보호관(500)에 지지시킨다(참고도 16 참조).
상기한 작업에 의해 앵커헤드(240) 등이 노출되면 웨지덮개(243)를 제거하여 파손된 강연선(600b)의 웨지(242)를 제거하여 장력을 소멸시킴과 더불어, 도 17의 (a)에서와 같이 고정단 정착구(100)의 T형 앵커헤드(120)의 그립웨지홀(122a)을 통하여 상부방향으로 파손된 강연선(600b)을 제거할 수도 있고, 도 17의 (b)에서와 같이, 그립웨지(160) 아래부분의 강연선을 절단한 후, 조정단 정착구(200)의 웨지홀(241)을 통해 하부방향으로 파손된 강연선(600b)을 제거할 수도 있다.
d) 교체 강연선(600a) 설치하는 단계;
파손된 강연선(600b)이 제거되면 그 위치에 교체 강연선(600a)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는 다음의 각 단계에 따라 진행된다.
ⅰ) 교체 강연선(600a) T형 앵커헤드(120) 삽입하는 단계(참고도 18 참조);
교체 강연선(600a)의 그립웨지(160)가 설치되지 아니한 쪽의 단부, 즉 조정단 정착구(200)에 정착되어야 하는 쪽의 단부를 고정단 정착구(100)의 T형 앵커헤드(120)의 그립웨지홀(122a)의 인출측에 삽입시킨 후, 계속하여 직경변환슬리브(130)의 대통과홀(132a)과, 차단부재(140)의 끼움부(142)를 순차로 통과시키고, 케이블 보호관(500)을 통하여 조정단 정착구(200)의 앵커블록(230) 상단에 이르도록 교체 강연선(600a)을 삽입한다.
상기한 교체 강연선(600a)의 삽입작업이 완료되면, 교체 강연선(600a)의 타측 단부에 고정 설치된 그립웨지(160)는 T형 앵커헤드(120)의 그립웨지홀(122a)에 가체결되는 상태가 된다.
ⅱ) 교체 강연선(600a) 앵커블록(230)의 가이드홀(232) 삽입하는 단계(참고도 19 참조);
케이블 보호관(500)을 통과하여 조정단 정착구(200)에 도달한 교체 강연선(600a)을 다시 앵커블록(230)의 가이드홀(232)과 앵커헤드(240)의 웨지홀(241)을 통과시켜 그 단부가 웨지홀(241)의 인출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다.
ⅲ) 웨지홀(241) 웨지(242)를 삽입하고 장력을 도입시키는 단계(참고도 20 참조);
교체 강연선(600a)이 삽입된 웨지홀(241)에 웨지(242)를 삽입시키고, 스트랜드 잭(J)을 이용하여 교체 강연선(600a)의 장력을 조정한다. 이때 교체하지 아니한 강연선에 대하여도 장력을 확인하여 전체적으로 균등한 장력이 작용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ⅳ) 웨지덮개(243) 조립하고 강연선(600) 노출부에 대한 방청처리를 하는 단계(참고도 21 참조);
교체 강연선(600a) 등에 대한 장력조정이 완료되면, 웨지(242)의 단부쪽에 웨지덮개(243)를 다시 조립하고, 피복이 제거되어 노출된 강연선에 대한 방청처리를 한다. 상기의 방청처리는 그리스 등의 방청재를 강연선(600)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으나, 다음 단계에서 조립되는 보호캡(250)의 내부에 방청재를 충진시킬 수도 있다.
ⅴ) 각 보호관 및 보호캡(250) 조립하고 교체작업을 마무리하는 단계(참고도 22 참조);
고정단 보호관(150)과 조정단 보호관(280)을 원래의 상태로 조립하는 단계이다. 이에 앞서 조정단 보호관(280)과 보호캡(250)을 앵커블록(230)에 고정시킬 때 그 사이에 설치되는 각 패킹(P)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손상된 패킹(P)은 교체시키도록 한다.
아울러 케이블 보호관(500)의 외면에 접하는 조정단 보호관(280)의 단부는 방수캡(281)을 설치하여 빗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고정단 정착구 110; 고정단 소켓
120; T형 앵커헤드 130; 직경변화슬리브
140; 차단부재 150; 고정단 보호관
160; 그립웨지 161; 그립부
162; 웨지부 163; 응력완화부
200; 조정단 정착구 210; 조정단 소켓
220; 길이조정바 230; 앵커블록
242; 웨지 250; 보호캡
260; 조립링 270; 보호링
280; 조정단 보호관 281; 방수캡
300; 제1부재 310,410; 러그
400; 제2부재 500; 케이블 보호관
600; 강연선

Claims (13)

  1. 강연선(600)의 일단부를 제1부재(300)에 고정 지지시키는 고정단 정착구(100)와, 상기 고정단 정착구(100)에 고정 지지된 강연선(600)의 타단부를 제2부재(400)에 고정 지지시키는 조정단 정착구(200)로 이루어지는 강연선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강연선(600)의 일단부는 그립웨지(160) 내로 삽입되면서 고정단 정착구(100)에 구비된 그립웨지홀(122a)에 정착 고정되고, 강연선(600)의 타단부는 웨지(242)에 삽입되면서 조정단 정착구(200)에 구비된 웨지홀(241)에 정착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그립웨지(160)는 그립부(161)와 웨지부(162) 및, 이들 사이의 응력완화부(163)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단 정착구(100)는, 제1부재(300)에 핀결합되는 고정단 소켓(110)과; 상기 고정단 소켓(110)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강연선(600)이 정착되는 그립웨지홀(122a)을 구비한 T형 앵커헤드(120)와; 상기 T형 앵커헤드(120)에 결합되며 T형 앵커헤드(120)를 통과한 각 강연선(600)이 케이블 보호관(5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강연선(600)의 배치 직경을 감소시키는 직경변환슬리브(130) 및; 상기 케이블 보호관(500)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블 보호관(500)과 고정단 소켓(110) 사이를 감싸는 원통형상의 고정단 보호관(15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블 보호관(500)의 단부에는 고정단 보호관(150) 내에서 케이블 보호관(500)과 함께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차단부재(140)가 고정단 보호관(15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완화부(163)의 두께는 그립부(161)의 단면두께보다 작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설치구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단 정착구(200)는,
    제2부재(400)에 핀결합되는 조정단 소켓(210)과; 상기 조정단 소켓(210)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조정단 정착구(200)의 길이를 설정하는 길이조정바(220)와; 상기 길이조정바(220)의 일단이 통과되는 관통홀(231)과, 강연선(600)이 통과되는 가이드홀(232)을 각 구비한 앵커블록(230)과; 상기 앵커블록(23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다수 개의 웨지홀(241)을 구비한 앵커헤드(240)와; 상기 웨지홀(241)을 통과한 강연선(600) 및 앵커헤드(240)를 보호하기 위하여 앵커블록(23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보호캡(250)과; 상기 앵커블록(23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조립링(260)과; 상기 조립링(260)과 결합되면서 케이블 보호관(500)이 앵커블록(230)에 연결되도록 하는 보호링(270) 및; 상기 앵커블록(23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조립링(260)과 보호링(270)을 감싸는 원통형상의 조정단 보호관(28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설치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250) 내부에는 방청재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설치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링(260)의 외면에는 물끊기홈(26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설치구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보호관(500)의 외면에 접하는 조정단 보호관(280)의 단부에는 방수캡(281)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설치구조.
  10. 제6항에 있어서, 앵커헤드(240)의 웨지홀(241)에 삽입된 웨지(242)의 단부에는 상기 웨지(242)의 이탈을 방지하는 웨지덮개(243)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설치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242)와 웨지덮개(243)의 사이에는 탄성력을 가진 가압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설치구조.
  12. a) 강연선(600) 및 케이블 보호관(500)을 제작 및 조립하는 단계;
    b) 강연선(600)의 고정단쪽에 고정단 보호관(150), 전후 이동이 가능한 차단부재(140) 및, 직경변환슬리브(130)를 순차 끼워 넣은 후, 상기 강연선(600)이 T형 앵커헤드(120)의 그립웨지홀(122a)을 관통하도록 하고, 그립웨지홀(122a)을 관통한 강연선(600)이 웨지부(162)와 그립부(161)에 순차 삽입되도록 그립웨지홀(122a)에 끼워 넣은 후, 그립웨지(160)의 그립부(161)를 압착하여 강연선(600)에 그립웨지(160)가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그립웨지(160)의 웨지부(162)를 그립웨지홀(122a)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강연선(600)의 일단부를 고정단 정착구(100)에 고정시키는 단계;
    c) 강연선(600)이 삽입된 케이블 보호관(500)의 일단에 조정단 보호캡(280)설치하고, 차단부재(140)를 들림여유공간만큼 직경변환슬리브(130)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케이블 보호관(500)을 고정단쪽으로 밀착시켜 조정단 정착구(200)에 대한 작업공간을 형성시키는 단계;
    d) 제1부재(300)의 러그(310)에 고정단 정착구(100) 및 강연선(600)을 설치하는 단계;
    e) 제2부재(400)의 러그(410)에 조정단 정착구(200)를 설치하는 단계;
    f) 웨지(242)를 이용하여 조정단 보호관(280)이 설치된 강연선(600)을 앵커헤드(240)에 가체결하는 단계;
    g) 스트랜드 잭(J)을 이용하여 강연선(600)에 장력을 도입하고 이를 조정하는 단계;
    h) 강연선 설치작업을 마무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설치방법.
  13. 제1항, 제2항,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강연선 설치구조에 의해 정착 고정된 강연선 중 일부를 교체함에 있어서,
    a) 교체 강연선(600a)을 소요 길이로 절단한 후, 상기 교체 강연선(600a) 중 고정단 정착구(100) 및 조정단 정착구(200)에 위치하는 각 단부에 대하여 피복을 제어하는 단계;
    b) 피복이 제거된 교체 강연선(600a)의 양 단부 중 고정단 정착구(100)에 위치할 일단부에 그립웨지(160)를 끼우고, 상기 그립웨지(160)의 그립부(161)를 압착하여 교체 강연선(600a)에 대하여 웨지부(162)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c) 조정단 정착구(200)의 웨지(242)를 이탈시켜 파손된 강연선(600b)을 제거하는 단계;
    d) 교체 강연선(600a)의 단부 중 조정단 정착구(200)에 정착되어야 하는 쪽의 단부를 고정단 정착구(100)의 웨지홀(122a)과 직경변환슬리브(130)의 대통과홀(132a) 및, 이동이 가능한 차단부재(140)의 끼움부(142)에 순차로 통과시킴으로써 그립웨지(160)가 설치된 교체 강연선(600a)의 일단부를 고정단 정착구(100)의 그립웨지홀(122a)에 삽입시켜 가체결 되도록 하고, 교체 강연선(600a)의 타단부와 웨지(242)를 조정단 정착구(200)의 웨지홀(24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스트랜드잭(J)으로 교체 강연선(600a)의 장력을 조정하여 교체 강연선(600a)의 타단부를 조정단 정착구(200)에 정착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 교체방법.
KR1020160028332A 2016-03-09 2016-03-09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설치구조와 그 설치방법 및, 강연선의 교체방법 Active KR101659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332A KR101659411B1 (ko) 2016-03-09 2016-03-09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설치구조와 그 설치방법 및, 강연선의 교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332A KR101659411B1 (ko) 2016-03-09 2016-03-09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설치구조와 그 설치방법 및, 강연선의 교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411B1 true KR101659411B1 (ko) 2016-09-30

Family

ID=57079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332A Active KR101659411B1 (ko) 2016-03-09 2016-03-09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설치구조와 그 설치방법 및, 강연선의 교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41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9104A (zh) * 2017-08-31 2017-12-19 浙江工业大学 一种t梁预应力钢束张拉防护装置
KR101867515B1 (ko) * 2017-07-10 2018-06-15 상명산업(주) 주케이블 장력조절 고정장치를 갖는 현수교
KR101875332B1 (ko) * 2017-07-12 2018-07-05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케이블 교량의 낙뢰보호 케이블 장력 도입방법
CN108797370A (zh) * 2018-08-30 2018-11-13 湖北科技学院 一种桥梁预应力张拉设备上的钢绞线夹持装置
CN109629444A (zh) * 2019-01-16 2019-04-16 温州市建设监理有限公司 一种市政桥梁工程施工挂篮后锚连接结构
KR20200001836A (ko) * 2018-06-28 2020-01-07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케이블 교량의 낙뢰보호 케이블 장력 도입방법
CN111677364A (zh) * 2020-07-22 2020-09-18 江西七圆新材料有限公司 一种风电塔用散束式体外索及制作施工方法
KR20200124968A (ko) * 2019-04-25 2020-11-04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케이블 설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설치 방법
CN112411537A (zh) * 2020-11-26 2021-02-26 华侨大学 一种用于可回收锚杆的自解锁锚具及其施工方法
CN113403960A (zh) * 2021-07-14 2021-09-17 中建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斜拉桥钢索安装装置及安装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3303A (ja) * 1988-04-12 1989-10-19 Kyokuto Kogen Concrete Shinko Kk Pcケーブル定着装置
JPH0573012U (ja) * 1992-03-13 1993-10-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斜張橋のケーブル制振装置
JPH10325245A (ja) * 1997-05-27 1998-12-08 Kajima Corp 緊張材用定着具
KR20100111436A (ko) 2009-04-07 2010-10-15 (주)신성피씨 보강 앵커용 압착그립
KR100997673B1 (ko) 2010-03-12 2010-12-01 이인귀 강연선을 교체할 수 있는 영구앵커 구조
KR101125369B1 (ko) * 2006-04-11 2012-03-27 프리씨네 구조물 요소에 구조용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KR101303393B1 (ko) 2012-12-04 2013-09-05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엔씨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3303A (ja) * 1988-04-12 1989-10-19 Kyokuto Kogen Concrete Shinko Kk Pcケーブル定着装置
JPH0573012U (ja) * 1992-03-13 1993-10-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斜張橋のケーブル制振装置
JPH10325245A (ja) * 1997-05-27 1998-12-08 Kajima Corp 緊張材用定着具
KR101125369B1 (ko) * 2006-04-11 2012-03-27 프리씨네 구조물 요소에 구조용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KR20100111436A (ko) 2009-04-07 2010-10-15 (주)신성피씨 보강 앵커용 압착그립
KR100997673B1 (ko) 2010-03-12 2010-12-01 이인귀 강연선을 교체할 수 있는 영구앵커 구조
KR101303393B1 (ko) 2012-12-04 2013-09-05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엔씨 타이 케이블 결속 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515B1 (ko) * 2017-07-10 2018-06-15 상명산업(주) 주케이블 장력조절 고정장치를 갖는 현수교
KR101875332B1 (ko) * 2017-07-12 2018-07-05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케이블 교량의 낙뢰보호 케이블 장력 도입방법
CN107489104A (zh) * 2017-08-31 2017-12-19 浙江工业大学 一种t梁预应力钢束张拉防护装置
KR20200001836A (ko) * 2018-06-28 2020-01-07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케이블 교량의 낙뢰보호 케이블 장력 도입방법
KR102200895B1 (ko) * 2018-06-28 2021-01-11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케이블 교량의 낙뢰보호 케이블 장력 도입방법
CN108797370A (zh) * 2018-08-30 2018-11-13 湖北科技学院 一种桥梁预应力张拉设备上的钢绞线夹持装置
CN109629444B (zh) * 2019-01-16 2020-07-21 温州市建设监理有限公司 一种市政桥梁工程施工挂篮后锚连接结构
CN109629444A (zh) * 2019-01-16 2019-04-16 温州市建设监理有限公司 一种市政桥梁工程施工挂篮后锚连接结构
KR20200124968A (ko) * 2019-04-25 2020-11-04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케이블 설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설치 방법
KR102255412B1 (ko) 2019-04-25 2021-05-24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케이블 설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설치 방법
CN111677364A (zh) * 2020-07-22 2020-09-18 江西七圆新材料有限公司 一种风电塔用散束式体外索及制作施工方法
CN112411537A (zh) * 2020-11-26 2021-02-26 华侨大学 一种用于可回收锚杆的自解锁锚具及其施工方法
CN113403960A (zh) * 2021-07-14 2021-09-17 中建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斜拉桥钢索安装装置及安装方法
CN113403960B (zh) * 2021-07-14 2023-02-03 中建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斜拉桥钢索安装装置及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411B1 (ko) 그립웨지를 이용한 강연선의 설치구조와 그 설치방법 및, 강연선의 교체방법
EP0235891A1 (en) Clamp Assembly
RU2756644C1 (ru) Оболочка конструкционного каната для сооружения, способы установки и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EP3047539A1 (en) Assembly and method for electrical splice connection of cables
US20200199831A1 (en) Improved assembly comprising a structural cable and a saddle
KR20180048995A (ko) 케이블 앵커리지 시스템
CA1197587A (en) Overhead electric transmission systems
KR200431182Y1 (ko) 송배전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20180138443A (ko) 케이블 절단부용 고정장치 및 이를 사용한 케이블 정착부의 보수방법
EP0942504A1 (de) Verfahren zur Befestigung von Kabeln in Kanal- oder Rohrsystemen
KR100976990B1 (ko) 강선정착장치와 강선정착장치를 구비한 피씨암거 및 그 피씨암거 설치방법
CN102163830B (zh) 光纤复合电力电缆直线接续方法和装置
RU2317621C1 (ru) Натяжной клиновой зажим
CN210605142U (zh) 一种单芯高压海缆接头盒
US20120298248A1 (en) Tendon duct, duct connector and duct termination therefor
JP4563747B2 (ja) 構造体を補強する方法、およびそれに関連する固定ユニット
US11781329B2 (en) Sealing connector for post tensioned anchor system
EP0587621A1 (en) Cable sealing
KR101941873B1 (ko) 영구앵커 상부 정착구의 조립구조
KR102111677B1 (ko) 설치가 용이한 사장교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21104A (ko) 철탑 교체용 연결 지지 장치
KR101178574B1 (ko) 압출압착식 그립과 앵커통을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RU2383979C1 (ru) Анкерный зажим для 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типа восьмерки
CN210947973U (zh) 接地式架空水泥杆
KR102775628B1 (ko) 인장 클램프 및 이의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9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